바지랴나
Vajrayana이 글은 너무 길어서 쉽게 읽고 탐색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2021년 9월) |
시리즈의 일부 |
바지랴나 불교 |
---|
바즈라야나(산스크리트어: ज"""""", "번개차", "다이아몬드차", "불멸의 차")는 만트라야나, 구야만트라야나, 탄트라야나, 비밀만트라, 탄트라 불교, 밀교와 함께 불교와 관련된 명칭과 탄트라와 관련지어진다.그리고 티베트, 네팔, 동아시아, 몽골 그리고 다른 히말라야 국가들로 퍼져나갔다.
바자야나의 관습은 계보를 가진 사람들의 가르침을 통해 불교에서 특정한 혈통과 연결되어 있다.다른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본문을 [1]불교 탄트라라고 부르기도 한다.만트라, 다라니, 무드라, 만다라를 이용한 실천과 신불의 시각화를 포함한다.
전통적인 Vajrayanna 자료들은 Vajrayanna의 탄트라와 혈통이 석가모니 부처와 보살 Vajrapani와 Padmasambhava와 같은 다른 인물들에 의해 가르쳤다고 주장한다.한편, 불교 연구의 현대 역사학자들은 이 운동이 중세 인도의 탄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한다.[2]
Vajrayanna 경전에 따르면, Vajrayanna라는 용어는 세 가지 수단 또는 깨달음으로 가는 길 중 하나를 가리키며, 다른 두 가지는 rravakayanna (조시적으로 Hnnayanna라고도 알려져 있음)와 Mahyyyanna (일명 Paramitaiyanna)이다.
인도-티베타 불교, 중국의 난해한 불교, 신곤 불교, 뉴아르 불교 등 현재 행해지고 있는 여러 불교 전통이 있다.
용어.
히말라야 지역의 인도, 네팔, 부탄에서 행해지는 티베트 불교에서 불교 탄트라는 종종 Vajrayanna (Tib. ་ར dor dor dor dor dor dor dor dor dor dor dor dor, dorje tekpa, Wyl. rdo rje theg pa)와 시크릿 만트라 (Sktra)로 불린다.구야만트라, 티브གསང་སྔགས་, sang ngak, Wyl. gsang sngags).바즈라는 파괴할 수 없고 깨지지 않으며 매우 강력하다고 알려진 인드라에 관련된 신화적인 무기이다.따라서 이 용어는 다이아몬드 자동차, 썬더볼트 자동차, 불멸의 자동차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됩니다.
중국의 난해한 불교는 일반적으로 만트라, 탕미, 한미, 미종, 종파 등 다양한 용어로 알려져 있다.중국어로 mi 密(비밀, 난해, 은밀, 은밀, 심오, 난해)[3]는 산스크리트어 구야(secret (")의 번역어이다.
일본에서는 불교의 난해한 가르침은 미쿄(三京) 또는 진곤(),a)이라는 용어로 알려져 있으며, 진곤슈의 특정 종파를 가리키기도 한다.
역사
마하시드하스와 탄탈릭 운동은
탄트라 불교는 중세 인도의 [4]마하시다라 불리는 떠돌이 요기들과 연관되어 있다.로버트 서먼에 따르면, 이러한 탄탈적인 인물들은 서기 [2]1천년의 후반기에 번성했다.레이놀즈(2007)에 따르면 마하시다는 북인도 중세로 거슬러 올라가 납골당에서의 [5]수행 등 불교 사원에서 사용되는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방법을 사용했다.
탄트라의 실천이 독을 지혜로 바꾸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요거 서클은 종종 춤, 노래, 배우자 연습 그리고 술, 소변, [6]고기와 같은 금기 물질의 섭취를 포함한 신성한 장소와 장소들에서 탄트릭 잔치에 함께 모였습니다.불교 문헌에 인용된 마하시드다 중 적어도 두 가지는 하타 요가를 실천한 샤이바 나트 성인(고락샤나트, 마트시엔드라나트)과 견줄 만하다.
슈만에 따르면, 사하자시디라고 불리는 운동이 8세기에 [7]벵골에서 발전했다고 합니다.그것은 불교 [8]기득권에 공개적으로 도전하고 조롱하는 긴 머리의 떠돌이 마하시드들에 의해 지배되었다.마하시드는 영적 [9]해방뿐만 아니라 비행과 초감각적 인식과 같은 부차적인 마법의 힘을 추구했다.
로널드 M.데이비슨은 이렇게 말합니다.
불교 신도들은 밭과 숲 사이의 경계에 있는 제한 구역에서 살았던 독립적인 현인/마술사라는 오래된 사회학적 형태를 활용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그들의 의식은 성행위와 불교 만다라의 시각화와 인간의 신체 일부에서 만들어진 의식 도구의 결합을 포함했고, 그래서 우주를 마음대로 조종하는 싯다의 타고난 능력을 방해하는 힘에 대한 통제를 행사할 수 있었다.극단적으로, sidd는 또한 불교 전통 내에서 방어적인 위치를 나타내었고, 중세 공공 폭력 문화에 대한 공격적인 참여를 목적으로 채택되고 지속되었습니다.그들은 다양한 맛의 악마 같은 여성들(다키니, 야크시, 요기니), 묘지 구울(베탈라), 그리고 밤에 부딪히는 다른 것들에 대한 마법적인 조작 루머로 개인적인 신성함에 대한 그들의 명성을 강화했다.수도원과 상류 사회의 경계에서 활동하면서, 어떤 사람들은 유령과 관련된 행동들을 종교적 축일 뿐만 아니라 그들의 암시적인 [10]위협의 연장선상에서 채택했다.
탄트라
불교 탄탈 문학에서 발견되는 많은 요소들이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이전의 마하야나 경전에는 이미 만트라와 다라니 같은 [11]탄트라에서 강조된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었다.보호의 구절이나 구절의 사용은 실제로 베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초기 불교 문헌에서 볼 수 있는데, 여기서 그들은 파리타라고 불린다.아미타바 같은 부처의 시각화는 긴 수카바트비유하 [12]수트라와 같은 타르타르 이전의 문헌에서도 볼 수 있다.
탄트릭 [13]텍스트의 시각적인 이미지의 중심 원천으로 사용되었을지도 모르는 간다부하와 다사부미카와 같은 "원탄트릭" 재료를 포함하는 다른 대하야나 경전이 있다.카라샤브유하 수트라 (기원전 4-5세기)와 같은 후기 마하야나는 관음보살과 같은 매우 강력한 존재와 연관된 옴 마니 파드메 웅웅과 같은 만트라의 사용을 설명한다.인기 있는 심경에는 만트라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Vajrayanna 불교는 불교 탄트라라고 불리는 많은 양의 문서를 개발했는데, 그 중 일부는 적어도 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더 오래된 것일 수도 있다.데이비드 스넬그로브에 [14]따르면 탄트라들의 데이트는 "어렵고 정말 불가능한 일"이라고 한다.
이러한 문헌들 중 가장 초기의 일부인 Manjurr--mulla-kalpa (6세기경)와 같은 크리야 탄트라는 병을 치료하고 날씨를 통제하며 [15]부를 창출하는 것을 포함한 대부분의 세속적인 목적을 위해 만트라와 다라니스의 사용을 가르친다."요가 탄트라"로 분류되는 타트바사그라 탄트라 (원칙의 개요)는 세속적인 목표와는 달리 해방에 초점을 맞춘 최초의 불교 탄트라 중 하나이다.또 다른 초기 탄트라에서는 다섯 개의 불가의 영향력 있는 스키마인 바자라세하라(바자라봉)가 [16]개발되었습니다.다른 초기 탄트라에는 마하바이로카나 아비히사보디와 [17]구야사마자가 있다.
구야사마자는 탄트라의 마하요가 계급으로, 술과 같은 금기 물질의 사용, 배우자의 관습, 분노한 [18]신들을 불러 일으키는 납골당 관행과 같은 "왼쪽"(vamachara)으로 여겨지는 의식의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다지마 류쥔은 탄트라를 "마하얀주의 사상의 발전"과 "8세기 말에 유행한 형태로 형성되어 [19]좌파의 난해함으로 쇠퇴한 것"으로 나누는데, 이 "좌파 난해론"은 주로 요기족과 유랑 요기족과 관련된 후기 작품들을 말한다.이 관습은 티베트 불교에서도 남아 있지만, 실제 사람과 함께 하는 것은 드문 일이다.요기나 요기니는 상상 속의 배우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 흔하다.[20]
헤바즈라 탄트라와 차크라삼바라 같은 이후의 탄트라들은 "요기니 탄트라"로 분류되며 9세기와 10세기 [15]인도 불교 탄트라들의 발전의 최종 형태를 나타낸다.칼라차크라 탄트라는 10세기에 [21]개발되었다.그것은 초기 불교 전통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불교 [8]문학에는 없는 구세주의나 점성술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로널드 M에 따르면데이비드슨, 탄트릭 불교의 발흥은 왕이 신의 현상으로 신성시되는 것을 본 중세 초기(기원전 500-1200년 경)의 인도 사회의 봉건적 구조에 대한 반응이었다.마찬가지로, 탄트릭 요기들은 왕성한 요새와 그들의 정치적 [22]힘을 상징하는 황실의 은유인 신성한 신들의 만다라 궁전의 지배자로서 (아비히에카) 봉헌되는 것을 은유함으로써 그들의 관행을 재구성했다.
샤이즘과의 관계
초기 바지랴나의 기원에 대한 문제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어 왔다.David Seyfort Rueg는 불교 탄트라가 불교, 샤이바,[23] 바이슈나바가 아닌 "범인도적 기질"의 다양한 요소를 사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알렉시스 샌더슨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바자야나 문학의 발달은 불교와 [24]샤이즘을 모두 후원하는 왕실 궁정의 결과라고 합니다.두 시스템의 관계는 나중에 크리야 탄트라로 분류된 마니주스리무라칼파 같은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샤이바, 가루다, 바이슈나바 탄트라에서 가르친 만트라는 모두 만주쉬리에 [25]의해 원래부터 가르쳤기 때문에 불교에서 적용하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Alexis Sanderson은 Vajrayanna Yogini 탄트라가 Vidyapitha로 분류되는 Shaiva Bhairava 탄트라스에도 존재하는 물질로부터 광범위하게 추출되었다고 지적합니다.샌더슨의 비교는 "합법적인 절차, 수행 스타일, 신들, 만트라, 만다라, 제사 의상, 해골 그릇과 같은 카팔리카 부속품, 전문 용어, 비밀 제스처, 비밀스러운 항아리"에서 유사성을 보여준다.샌더슨은 샤이바 [26]구루 역할을 하고 구성원을 사이바 싯단타 경전과 만다라로 [27]인도하는 구야사마자의 전통과 관련된 작품인 파드마바즈라의 구야시디 등 수많은 예를 들었다.샌더슨은 삼바라 탄트라 문헌이 시바의 탄트라사드바바에서 비타 목록을 채택해 신을 [28]장소로 오인한 복사 오류를 일으켰다고 주장한다.
로널드 M.데이빗슨 한편,"그 Vidyapitha tantras의 연대순을 결코 그렇게 잘 확립된다"[29]고는 이날 사용할 수 있는 증거를 받은 시바파 tantras을 증거로 언젠가는 9회에서 다지고 10세기에 온다는 의미이므로 Shaiva Vidyapitha 것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에 샌더슨의 주장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다.전나무아비나바굽타(기원전 1000년)[30]와 같은 학자들에 의해 탄생되었습니다." 데이비슨은 또한 "비타 또는 성지 목록은 두 [31]전통에 의해 사용되는 목록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확실히 불교적이지도 않고 독특한 카팔리카 장소도 아닙니다."라고 언급했습니다.데이비드슨은 또한 불교 신자들과 마찬가지로 샤이바 전통도 힌두교와 비힌두교 신들, 텍스트와 전통들을 도용하는 데 관여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예를 들어, "텀부루와 같은 마을이나 부족의 신들"[32]입니다.
데이비슨은 불교와 카팔리카뿐만 아니라 다른 고행자들(아마도 파수파타)도 섞여 다양한 순례지에서 그들의 길을 논의했고 다른 집단들 사이에 전환이 있었다고 덧붙인다.그는 이렇게 결론짓는다.
불교와 카팔리카의 관계는 종교적 모방과 문자 도용이라는 단순한 과정보다 더 복잡하다.불교 탄트라들이 카팔리카와 다른 사이바 운동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그 영향은 분명 상호적이었다.아마도 더 미묘한 모델은 다양한 전송 경로가 국지적으로 번성하고 있고, 어떤 지역에서는 상호 작용하고 있는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일치된 적대감을 유지하는 것일 것이다.따라서 불교와 카팔리카가 극단적으로 [33]대립하고 있는 곳에서도 그 영향은 지속적이고 상호적이었다.
데이비드슨은 또한 비브라질적이고 왕따된 부족 종교와 그들의 여성신(파르나사바리, [34]장굴리 등)의 영향을 주장한다.
전통적인 전설
전통적인 티베트 불교 자료뿐만 아니라 몇몇 불교 탄트라에 따르면 탄트라와 바자야나는 석가모니 부처에 의해 가르쳤지만 [35][36]일부 개인에게만 가르쳤다고 한다.탄트라가 어떻게 전파되었는지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와 버전이 있다.예를 들어, 쟈나 틸라카 탄트라에는 부처님이 탄트라에 대해 설명한다고 적혀 있습니다.[35]가장 유명한 전설 중 하나는 오디야나의 인드라부티 왕(일명 자왕)[35]이다.
다른 기록들은 파드마삼바바가 아미타바와 관음보살의 산물이며 부처가 그의 도착을 예언했다고 주장하면서 불교 탄트라의 계시를 파드마삼바바의 탓으로 돌린다.어떤 기록들은 또한 파드마삼바바가 석가모니 [36]부처의 직접적인 환생이라고 주장한다.
철학적 배경
Louis de La Vallée-Poussin과 Alex Wayman에 따르면, Vajrayana의 철학적 관점은 주로 마디아마카와 요가카라 [39][40]학파인 대하야나 불교 철학을 기반으로 한다.Vajrayana 사상가들에 의해 보여지는 주요한 차이점은 탄트릭 방법의 우수성이다. 탄트릭 방법은 해방으로 가는 더 빠른 수단을 제공하며 더 많은 교묘한 수단(우파야)을 포함하고 있다.
공허론의 중요성은 탄트릭 불교 관점과 실천의 중심이다.불교의 공허한 견해는 세계를 존재론적 기반이나 내재적 존재 없이 유동적인 것으로 보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구성의 구조라고 본다.이 때문에 신으로서의 자기시각화와 같은 탄탈적인 실천은 일상적인 현실 못지않게 현실적이면서도 실천자의 신으로서의 정체성을 포함한 현실 자체를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보인다.스테판 베이어가 언급했듯이, "모든 사건들이 존재론적으로 공허함으로 용해되는 우주에서, 의식에서 공허함의 접촉은 실제로 세계를 다시 창조하는 것이다."[41]
아산가의 라트나고트라비바가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부처자연의 교리 또한 탄트릭 견해의 [42]기초가 된 중요한 이론이었다.탄트라 해설가 릴라바즈라의 설명처럼 이 '내적 비밀(배후)'은 탄트라의 극비이자 목표다.알렉스 웨이먼에 따르면, 이 "부처배아"는 "비이중, 자기발생의 지혜, 좋은 품질의 쉬운 원천"이며, 이는 정신세계에 존재하지만 "산만적인 [43]생각에 의해 실현된다"고 합니다.이 교리는 종종 내재적 또는 자연스러운 광채(Skt: praktiti-prabhara-citta, T. 'od gsal gyi sems') 또는 정신의 순수함(prakrti-parisuddha)과 관련이 있다.
탄트릭 실천의 또 다른 기본 이론은 변형 이론이다.Vajrayanna에서는 욕망, 증오, 탐욕, 자부심과 같은 부정적인 정신적인 요소들이 경로의 일부로 사용된다.프랑스의 인도학자 마들렌 비아르도가 지적한 바와 같이, 이 탄탈 교리는 "카마와 욕망을,[44] 모든 의미에서, 해방을 위해 봉사하려는 시도"이다.이 견해는 Hevajra tantra의 다음 인용문에 요약되어 있다.
악인이 묶이는 그런 것들은 다른 것들이 수단으로 변하고 그로 인해 존재의 속박에서 해방된다.세상은 열정에 의해 구속되고, 열정에 의해 해방되지만, 이단적인 불교 신자들에 의해 이러한 역행의 관습은 [45]알려져 있지 않다.
헤바즈라는 더 나아가 "독의 성질을 아는 사람은 [44]독으로 독을 제거할 수 있다"고 말한다.Snellgrove가 지적했듯이, 이 생각은 아산가의 마하야나 수트라 알람카라 카리카에 이미 존재하며, 따라서 그가 성적 [46]요가를 포함한 탄트릭 기법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불교 탄트라에 따르면, 불경 또는 삼사라와 신성 또는 열반의 엄격한 구분은 없으며, 오히려 연속체로 존재한다.모든 개인은 그 안에 교화의 씨앗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그 씨앗은 더럽혀져 있다.더글러스 덕워스는 바자야나가 불상을 외부의 무엇이나 미래의 사건으로 보지 않고 영원히 [47]존재하는 것으로 본다고 말한다.
부처님, 비말라미트라, 라트나카라얀티, 아바야카라굽타와 같은 인도의 탄트라 불교 철학자들은 불교 철학의 전통을 이어갔고 주요 탄트라에 대한 그들의 해설에 그것을 적용했다.아바야카라굽타의 바지라발리는 탄탈 의식의 이론과 실천의 중요한 원천이다.와라보디와 우바카라시하와 같은 승려들이 당나라에 탄트라를 가져온 후, 탄트 철학은 이싱과 쿠카이 같은 사상가들에 의해 중국과 일본어로 계속 발전되었다.
마찬가지로, 티베트에서, Sakya Pandita (1182년-28년-1551년)와 Longchenpa (1308년-1364년)와 같은 후대의 사상가들은 그들의 탄탈적인 논평과 논문에서 이러한 철학을 확장했다.중세 티베트에서는 탄탈적 견해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었다.티베트 불교인 융좀 촉이 짱포(1012~1088)는 마디아마카와 같은 경전의 관점이 궁극적 [48]현실의 기본적인 순수성에 바탕을 둔 탄트라보다 열등하다고 보았다.반면에, Tsongkhapa (1357–1419)는 Vajrayana와 다른 형태의 Mahayana는 프라즈나파라미타(통찰의 완성) 자체에서 차이가 없고 Vajrayana가 더 [49]빨리 작동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불교 전통에 입각하다
다른 불교 전통과 금강야나를 구분할 때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Vajrayana는 Thrarbakayanna와 Mahayana [8]다음으로 세 번째 야나로 볼 수 있다.바지랴나는 수트라야나와 구별될 수 있다.수트라야나는 좋은 자질을 완성하는 방법이고, 바자야나는 부처의 의도된 결과를 길로 삼는 방법이다.바지랴나는 파라미타야나와 구별될 수도 있다.이 스키마에 따르면 인도 마하야나는 깨달음을 얻기 위한 두 가지 수단(야나) 즉, 완벽의 방법(파라미타야나)과 만트라 방법(만트라야나)[50]을 밝혔다.
파라미타야나는 여섯에서 열 개의 파라미타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를 부처에게 인도하기 위해서는 세 개의 셀 수 없는 아온이 필요하다고 경전에 쓰여 있다.그러나 탄트라 문헌은 만트라야나가 한 [50]생에 부처님에게 인도한다고 주장한다.문헌에 따르면 만트라는 파라미타야나 [50]고유의 어려움이 없는 쉬운 길이다.만트라야나는 때때로 [50]열등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방법으로 묘사된다.그러나 만트라 수행자는 여전히 보살님의 [50]서약을 지켜야 한다.
특성.
목표
마하야나와 바자야나의 전통에서 영적 수행의 목표는 삼마삼불다(완전히 깨어난 부처)가 되는 것이며, 이 길을 걷는 이들을 보살이라고 부른다.마하야나와 마찬가지로, 동기 부여는 Vajrayanna 실천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보살 길은 모든 관음보살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모든 관음보살의 길은 모든 관음보살을 위해 불도를 성취하기 위한 동기부여를 통해 수행되어야 한다고 가르친다.
수트라 마하야나의 차량에서는, 「원인의 길」이 행해지고 있습니다.즉, 수행자는 자신의 잠재적인 부처의 본성에서 출발해, 그것을 양성해 부처의 열매를 맺는 것입니다.바자야나에서는 수행자가 자신의 타고난 부처의 본성을 실천의 수단으로 삼는 "과일의 길"이 취해진다.그 전제는, 우리는 본래 깨달은 마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궁극의 진리로 세상을 보는 연습을 하면, 완전한 부처의 [51]본성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궁극의 진실을 경험하는 것이 바지랴나에서 행해지는 모든 다양한 탄탈 기술의 목적이라고 한다.
난해한 전송
바자야나 불교는 어떤 가르침의 전승은 오직 힘을 주는 동안에만 직접적으로 일어나고 그들의 수행은 [52]신의 만다라를 포함하는 의식 공간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난해하다.많은 기법들이 또한 일반적으로 비밀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일부 Vajrayana 교사들은 비밀 그 자체는 중요하지 않으며 단지 교사-학생 [citation needed]혈통 외에는 그 기법들이 타당하지 않다는 현실의 부작용일 뿐이라고 응답했다.
가르침의 비밀은 종종 [53]교사의 해석과 지도를 필요로 하는 암시적, 간접적, 상징적, 은유적인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보호되었다.그 가르침은 또한 "자기 비밀"로 여겨질 수 있는데, 이것은 비록 그것이 사람에게 직접 말해진다고 해도, 그 사람은 적절한 맥락이 없다면 반드시 그 가르침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이처럼 단순한 [54][55]호기심 이상으로 길을 따르지 않는 이들의 마음속에는 이 가르침이 '비밀'이다.
관행에 접근하고 이를 통해 학생을 지도하는 그들의 역할 때문에, Vajracharya 라마의 역할은 Vajrayanna에서 필수적이다.
여성, 안티노미안, 금기의 긍정
일부 Vajrayanna 의식은 전통적으로 피, 정액, 알코올, 소변과 같은 특정 금기 물질을 제물과 성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 중 일부는 종종 요구르트 같은 덜 금기된 물질로 대체된다.탄탈의 향연과 시작은 때때로 카하의 요가라트나말라에서 [56]언급된 인육과 같은 물질을 사용했다.
이러한 물질의 사용은 부처의 지혜의 비이중성(advaya)과 관련이 있다.궁극적인 상태는 어떤 의미에서 비이중적이므로, 개업의는 "순수, 불순, 허용 및 금지와 같은 이중 범주에 대한 애착을 초월"함으로써 그 상태에 접근할 수 있다.구야사마 탄트라는 "차별하지 않는 현자는 불도를 얻는다"[56]고 말한다.
Vajrayanna 의식은 또한 성적인 요가, 발달된 관행의 일부로서 육체적인 파트너와의 결합을 포함합니다.일부 탄트라는 더 나아가서, 헤바즈라 탄트라는 '생물을 죽이고, 거짓말을 하고, 주어지지 않은 것을 가져가며,[56] 다른 여자들과 어울려야 한다'고 말한다.이러한 진술들 중 일부는 문자 그대로 의례적인 관행의 일부로 받아들여진 반면, 살인과 같은 다른 것들은 은유적인 의미로 해석되었다.헤바즈라에서 "죽이기"는 산만한 [57]생각의 생명을 죽임으로써 집중력을 발달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마찬가지로, 실제 육체적 배우자와의 성적 결합이 행해지는 동안, 시각화된 정신적 [citation needed]배우자를 사용하는 것도 일반적이다.
알렉스 웨이맨은 탄탈성의 상징적 의미는 궁극적으로 보디치타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보살의 깨달음 추구는 [58]부처의 마음과의 결합을 추구하는 연인에 비유된다고 지적한다.Judith Boom-Brown은 "위대한 행복"이라고 불리는 성적 요가에서 발생하는 정신-육체적 경험의 중요성을 지적한다: "Bliss는 개념적인 정신을 녹이고, 감각 의식을 높이며,[59] 실천자를 마음의 본성에 대한 벌거벗은 경험에 개방한다."이 탄탈적 경험은 깨달음의 [60]동기뿐만 아니라 환상과 시각화를 이용한 탄탈적 명상 방법에 의존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자기 만족적 성욕과는 다르다.헤바즈라 탄트라의 말처럼:
이 습관은 즐거움을 위해서가 아니라 마음이 안정되어 있는지,[61] 흔들리고 있는지 자신의 생각을 조사하기 위해서 가르친다.
여성의 신과 힘 또한 Vajrayanna에서 점점 더 두드러지고 있다.특히 요기니 탄트라에서는 여성 및 여성 요기니가 [62]야생 및 나체 바자요기니 등의 여성 신의 화신으로서 높은 지위를 부여받고 있다.칸다마하로사나 탄트라(vii:29-30)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인도에서는 여성이 남성과 함께 탄탈 연습에 참여했고 또한 교사, 아데프트, 탄탈 [63]텍스트의 저자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있다.
서약과 행동
Vajrayanna의 수행자들은 사마야라고 불리는 다양한 탄트리스 서약이나 서약을 따를 필요가 있다.이것들은 낮은 수준의 탄트라에 대한 프라티모카 및 보살 서약의 연장선상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특정 요가 탄트라에 대한 권한 부여를 시작할 때 취해진다.특별한 탄탈 서약은 개시를 받은 특정한 만다라 관행에 따라 그리고 개시의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Ningma 학파의 Ngagpas는 특별한 비순교 서품을 지킨다.
탄트릭 구루, 즉 교사는 그의 학생들과 같은 방식으로 그의 혹은 그녀의 사마야 서약을 지킬 것으로 기대됩니다.적절한 행동은 특히 자격을 갖춘 Vajrayana guru에게 필요하다고 여겨진다.예를 들어 Manjushrikirti의 정수를 위한 장식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세 가지 서약을 지키지 않는 Vajra Masters와 거리를 두어라.
그들은 뿌리째 무너져 가고, 달마와 인색하게 지내며,
버려야 할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죠
그들을 숭배하는 사람들은 [64]그 결과 지옥으로 가고 또 그렇게 된다.
탄트라 기술
모든 대승불교 전통은 대승불교에서 사용되는 보디치타의 개발, 수행, 명상 등 모든 전통 관행을 포함하지만, 그들은 또한 더 발전된 것으로 보이는 독특한 탄탈법과 조첸 명상을 사용한다.여기에는 만트라, 만다라, 무드라, 신 요가, 시각화에 기초한 다른 명상, 투모 같은 환상적 신체 요가와 고마 화재 의식과 같은 의식이 포함됩니다.Vajrayana는 이러한 기술들이 부처님에게 [65]더 빠른 길을 제공한다고 가르친다.
탄트라 연습의 가장 큰 특징은 만트라와 씨앗 음절의 사용이다.만트라는 명상, 마법, 의식의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단어, 구 또는 음절의 모음이다.만트라는 보통 특정한 신이나 부처와 연관되어 있고, 그들의 소리의 형태로 나타난다.그들은 전통적으로 깨달음뿐만 아니라 초능력(siddhis)[66]을 가져올 수 있는 영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진다.
인도학자 알렉스 웨이먼에 따르면, 불교적 난해성은 "세 가지 신비" 또는 "비밀"로 알려진 것에 집중되어 있다: 탄탈적 숙련자는 각각 [67]무드라, 만트라, 사마디를 통해 그의 몸과 말, 그리고 마음을 부처의 몸과 결합시킨다.Padmavajra(7세기경)는 그의 탄트라타바타라 주석에서 부처의 비밀 몸, 말, 마음을 [68]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본문의 비밀:어떤 형태로든 생명체를 길들이는 데 필요하다.
- 말의 비밀: 야카어 등의 언어에서와 같이 생물의 혈통에 정확히 맞는 말.
- 마음의 비밀: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아는 것.
이러한 요소들은 신의 몸과 만다라를 시각화하고, 신의 주문을 암송하고, 이러한 사색에 기초한 사물의 본질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것을 포함하는 탄트릭 신 요가의 실천에서 함께 모인다.신 요가와 같은 고급 탄틀릭 연습은 탄틀릭 스승이나 바자라차리아(바자라 마스터)에 의해 탄틀릭 시작자에게 입회식의 맥락에서 가르친다.바자라는 또한 공식적인 약속이나 서약(사마야)[66]을 한다.티베트 불교에서, 신 요가 같은 고급 수행은 보통 5~7개의 축적 수행으로 구성되어 있고 100음절 만트라에 대한 절과 암송을 포함하는 은곤드로라고 [69]불리는 "예비 수행"에 선행되거나 결합됩니다.
Vajrayana는 탄트라 계통의 체계이며, 따라서 권한 부여 또는 개시(abhiseka)를 받은 사람들만이 보다 진보된 난해한 방법을 연습할 수 있다.탄트릭 신 요가에서는 만트라나 비자가 발성되고 시각화된 사마귀 음절에서 나온다고 하는 신들의 의식적인 발성 중에 사용된다.신의 이미지와 만다라가 확립된 후, 마음 [70]만트라는 신의 몸의 여러 지점에서 사색의 일부로 시각화된다.
신 요가
불교 탄트라의 기본적인 실천은 선택된 신 또는 "소원신"에 대한 명상인 "신성 요가"이다.만트라 암송, 기도, 시각화, 신의 부처밭의 관련 만다라, 그리고 수행 부처와 [71]보살과 함께 하는 것을 포함하는 I-a-devata, Tib. yidam).티베트 학자 Tsongkhapa에 따르면, 신 요가는 탄트라와 수트라의 [72]관행을 구분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인도-티베타 불교에서 가장 널리 퍼진 탄트라 형태인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요가 탄트라에서, 이 방법은 생성 단계(utpatti-krama)와 완료 단계(nispanna-krama)의 두 단계로 나뉜다.세대 단계에서 자신의 현실을 공허함에 녹여 신 만다라를 묵상함으로써 이 신성한 현실과 동일시하게 된다.완성단계에서는 환상체와 함께 신성한 이미지를 적용하여 광휘의 공허감을 실현한다.
이 공허한 상태로의 분해는 신에 대한 시각화와 신으로서의 요기의 부활로 이어진다.신을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신들은 신기루나 [73]무지개의 특징과 함께 견고하거나 실체가 없는 것으로, "비어 있지만 명백한" 것처럼 이미지화된다.이 시각화는 "자신이 [74]시각화하는 신이라는 생각"인 "신성한 자부심"과 결합되어야 한다.신성한 자부심은 다른 사람에 대한 동정심과 [75]공허함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자부심과 다르다.
티베트의 학자 데이비드 게르마노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의 완료 실천을 개괄한다: 마음의 궁극적인 공허한 본질에 대한 형식적이고 이미지 없는 숙고와 환상의 육체를 이용하여 활기찬 행복감과 [76]따뜻함을 만들어 내는 다양한 요가.
나로파의 6다르마와 칼라차크라의 6요가와 같은 환상의 신체 요가 시스템은 "에너지 채널" (Skt. nadi, Tib. rtsa), "바람" 또는 조류 (Skt. vayu, Tib rung") 또는 "전하 입자"로 구성된 인간 정신 생리학의 에너지 스키마를 이용한다.이러한 미묘한 에너지는 의식의 물리적 구성요소인 의식에 대한 "마운트"로 보여집니다.그들은 프라나야마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궁극의 [77]현실 실현에 적용되는 행복한 경험을 만들어 낸다.
티베트 불교에서 완성 단계와 연관된 다른 방법으로는 꿈 요가 (자각몽에 의존하는), 바르도 (죽음과 부활 사이의 중간 상태), 의식 전환 (포와) 그리고 요기가 의식적으로 탄탈 신들에 의해 그들의 몸을 먹는 것을 제공하는 초드 (Chöd)가 있습니다.의식의 향연
기타 프랙티스
Vajrayana 수행의 또 다른 형태는 Mahamudrara와 Dzogchen과 관련된 특정한 명상 기법이며, 종종 "형식 없는 수행" 또는 자기 해방의 길이라고 불립니다.이러한 기법은 신의 시각화 그 자체에 의존하지 않고 마스터의 직접 지시 지시에 의존하며 종종 가장 진보되고 직접적인 [78]방법으로 보여진다.
탄트라 불교의 또 다른 특징은 독특하고 종종 정교한 의식이다.그들은 푸하스(예배 의식), 기도 축제, 보호 의식, 죽음 의식, 탄탈 축제(가나차크라), 탄탈 계획(아비세카), 고마 화재 의식(동아시아의 난해함)을 포함한다.
이러한 의식들 중 일부에서 중요한 요소(특히 시작과 탄탈 축제)는 혼합된 성교와 같은 "힘있는 물질"의 성찬 섭취뿐만 아니라 의식적인 섹스 또는 성 요가(카르마무드라, "욕망물범"이라고도 언급됨), 그리고 완곡하게 "비디아브라타"라고 언급되는 성찬식이었다.알액과 자궁혈액(종종 외음부에서 이러한 물질을 핥아 수행됨, 요니푸자라고 [79]함)
성적 유체의 섭취 관행은 수많은 탄트릭 논평가들에 의해 언급되며, 때로는 완곡하게 음경을 "바즈라"라고 부르고 질을 "연골"이라고 부른다.Cakrasambara Tantra 해설가 Kambala는 이 관행에 대해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이 좌석은 연꽃 만다라 안에 있는 점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안에 머무름으로써 왕실의 기쁨인 비이중적인 기쁨이 가득합니다.그래서 연꽃좌석은 정액과 자궁의 피가 섞여 있어 특히 입맞춤을 해야 하고 혀로 감싼다.이 [80]술의 황홀함과 함께 바자라와 연꽃을 합치자.
데이비드 그레이에 따르면, 이러한 성행위는 아마도 비모나적인 맥락에서 시작되었지만, 나중에 수도원 시설들에 의해 채택되었다.그는 아티사와 같은 인물들이 이러한 관습에 대해 불안해하고, 비루파와 미트리파가 수행했다는 이유로 수도원에서 쫓겨났다는 이야기는 독신일체성형제가 [81]이러한 성적인 의식을 행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수도원 전통에 의해 채택되었기 때문에, 성적 요가는 실제 사람 대신 요기에 의해 시각화된 상상 속의 배우자와 행해지거나, 혹은 "최고" 혹은 엘리트 수행자들의 소그룹에게만 행해지는 것으로 서서히 변화되었다.마찬가지로, 성적 유체의 음주는 또한 완벽 단계 [82]관행의 환상적 신체 해부학을 언급하기 위해 후기 해설자들에 의해 재해석되었습니다.
기호 및 이미지
Vajrayanna는 복잡한 아날로그 사고 체계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갖는 다양한 기호, 용어, 이미지를 사용합니다.Vajayanna에서는 기호와 용어가 다원화되어 아바야카라굽타의 니스판나요가발리의 [83]"Asoutout, so in" (yatha bahyam tatha 'dhyatmam iti)" 구절에서와 같이 소우주 및 대우주(macosm)를 반영한다.
바자라
산스크리트어 "바즈라"는 전설의 무기와 신의 속성, 또는 어떤 장애물이나 난독을 뚫고 통과할 수 있는 파괴할 수 없는 물질과 같은 벼락을 의미했다.그것은 데바스의 왕 인드라가 선택한 무기이다.부차적인 의미로서, "바즈라"는 탄트라에서 반투명하고 순수하며 빛나지만 파괴할 수 없고 불가분의 것으로 묘사되는 사물의 궁극적인 본질을 상징한다.그것은 [84]또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탄틀릭 방법의 힘을 상징한다.
A vajra is also a scepter-like ritual object (Standard Tibetan: རྡོ་རྗེ་ dorje), which has a sphere (and sometimes a gankyil) at its centre, and a variable number of spokes, 3, 5 or 9 at each end (depending on the sadhana), enfolding either end of the rod.Vajra는 종종 종이나 Ghanta와 함께 전통적으로 탄트릭 의식에 사용된다; 상징적으로 Vajra는 방법뿐만 아니라 큰 행복을 상징하고 종은 지혜, 특히 공허함을 실현하는 지혜를 상징한다.바퀴의 중앙에 있는 두 세트의 스포크의 결합은 남성과 여성의 [85]성적인 결합뿐만 아니라 지혜와 동정심의 결합을 상징한다고 한다.
신 요가에서의 이미지와 의식
조각상(머티), 그림(탱카), 만다라와 같은 신의 표현은 종종 시각화의 보조 수단으로 신 요가에 사용된다.시각적인 보조 도구, 특히 만다라로 알려진 미세 우주/거시 도표의 사용은 불교 탄트라의 또 다른 독특한 특징이다.만다라는 깨달은 부처와 보살들의 신성한 공간뿐만 아니라 인간의 [86]내면을 상징적으로 묘사하는 것이다.당시 만다라의 거시적 상징성은 인체의 힘을 나타내기도 한다.구야사마자 탄트라 바즈라말라의 설명 탄트라에는 "몸은 모든 부처의 신성한 [87]기반인 궁전이 된다"고 쓰여 있다.
만다라는 또한 중앙의 신이나 이담과 그 레티뉴의 획득할 수 없는 본질을 수용하고 포함하는 신성한 건축물이기도 하다.달라이 라마는 '티베트 불교의 세계'라는 책에서 만다라를 이렇게 묘사했다. "이것은 신의 순수한 거주지인 천상의 저택이다."다섯 개의 타타가타 또는 '오불'은 아디-부다의 모습과 함께 태초의 지혜 또는 부처 [88]본성의 다섯 가지 주요 측면인 '오대 지혜'를 상징하기 때문에 많은 바자야나 만다라의 중심이다.
Vajrayana의 모든 의식은 시각화와 식별의 이 과정을 돕는 것으로 볼 수 있다.수행자는 바지라, 종, 수공(手空) 또는 단검( (ph)과 같은 다양한 손도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의례적인 손동작( ( ()을 할 수도 있고, 특별한 구호를 할 수도 있고, 공들인 제물이나 발상에는 더 많은 의례적인 도구와 도구들이 사용되는데, 각각 정교한 상징적 의미가 있다.g 연습용 특별한 환경을 만듭니다.Vajrayana는 따라서 티베트 전통 미술의 중요한 영감이 되었다.
텍스트
불교 탄트라에는 탄트라 자체, 탄트라 주석과 샤스트라, 사다나(예식용 문서), 의식 매뉴얼(중국어: 儀 pin; 핀인:로만지:기키, 다라니, 시와 노래, 용어 등.하루나가 아이작슨에 따르면
오늘날 인도의 탄탈 불교 경전이 얼마나 많이 남아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그 수는 분명히 천오백 개가 넘고, 저는 2천 개가 넘을 것으로 추측합니다.이 본문의 대부분은 티베트어로 번역되었고, 나머지 일부는 중국어로 번역되었다.이것들 외에, 오늘날에는 이러한 번역만으로 알려진 또 다른 2000여 개의 작품이 있을 것이다.어떤 형태로든 다른 많은 것들이 영원히 우리에게 잊혀진다는 것도 확신할 수 있다.살아남은 텍스트 중 극히 일부만이 출판되었다; 거의 미미한 부분이 확실하게 [89]편집되거나 번역되었다.
Vajrayanna 텍스트는 다양한 중세 인도 방언이나 [90]우아한 고전 산스크리트어에서도 종종 "문법과 용법의 고전 규범에 자주 위배되는" 산스크리트어로 보통 시와 산문의 혼합으로 광범위한 문학 특성을 보인다.
중국 만트라야나(선옌)와 일본 신곤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문자는 마하바이로카나 탄트라와 바즈라세카라 수트라이다.[91][92]
티베트 불교에서는, 많은 탄탈 작품들이 널리 연구되고 있고, 다른 학교들은 다양한 주기의 텍스트의 연구와 실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Geoffrey Samuel은
Sakyapa는 Hevajra Tantra를 전문으로 하고, Ningmapa는 Old Tantra와 Terma cycle을 전문으로 하며, 가장 중요한 Kagyudpa와 Gelugpa Tantra는 Guhyasamaja, Cakravaravara 그리고 Kalacakra입니다.[93]
둔황 필사본
둔황 필사본에는 티베트 탄트릭 필사본도 들어 있다.Dalton and Schaik (2007년, 개정판)는 현재 분리된 디지털 [web 1]원고로 온라인에 접속할 수 있는 영국 도서관 Stein Collection의 Dunhuang의 350개의 티베트 탄트릭 원고를 나열한 훌륭한 온라인 카탈로그를 제공합니다.Wylie의 필사본과 함께 그것들은 [94]미래에 온라인에서 발견될 수 있게 될 것이다.이 350여 개의 텍스트는 둔황 필사본의 방대한 저장고 중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전통
동남아시아와 그 밖의 다른 지역에서 불교에 대한 역사적 증거가 있지만(위의 불교 역사 참조), 오늘날 불교는 주로 티베트 불교와 일본 난해불교의 두 가지 주요 전통(말 그대로 "진정한 말"로 알려진 소수의 불교)의 형태로 존재한다.난해한 물질이나 탄탈성 물질을 적게 사용하는 학교
전통 간의 구분이 항상 엄격한 것은 아니다.예를 들어, 티베트 불교 경전의 탄트라 부분에는 보통 티베트 불교 전통 밖에서 탄트라라고 생각되지 않는 소재, 예를 들어 심장경이나[95] 심지어 팔리 [96][a]경전에서 발견된 일부 자료의 버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중국 밀교
밀교와 탄트교의 가르침은 불교 자체와 같은 경로를 따라 당나라 때인 7세기 전반기에 실크로드와 동남아시아 연해 무역로를 통해 전해져 당나라 황제들의 승인을 받았다.이 기간 동안 인도에서 중국으로 건너온 세 명의 거장: 핵심 문헌을 번역하고 진옌([97] ( (, "진어", "만트라") 전통을 세운 우하카라시하, 바즈라보디, 아모하바즈라.젠옌도 이 시기에 신곤으로 일본에 건너왔다.이 전통은 마하바이로카나 탄트라와 같은 탄트라에 초점을 맞췄고, 티베트 불교와는 달리 아누타라요가 탄트라스의 반미교적이고 급진적인 탄트라교를 사용하지 않는다.이 전통의 위신은 결국 찬과 천태와 같은 중국 불교의 다른 학파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난해한 관행을 채택하도록 영향을 미쳤고, 여러 [98][99][100]학파들 사이에 가르침이 합쳐지게 되었다.원나라 때 몽골 황제는 티베트 불교를 중국의 공식 종교로 삼았고 티베트 라마들은 [101]궁정에서 후원받았다.티베트 바지라야나에 대한 황제의 지원은 명나라와 청 왕조까지 계속되었다.
오늘날, 난해한 전통은 중국 주류 불교에 깊이 뿌리박혀 있으며 탄트라 만트라와 다라의 사용, 그리고 쿤디와 아칼라와 [102]같은 특정 탄트라 신을 숭배하는 다양한 의식을 통해 표현된다.많은 중국 불교 사원에서 여전히 행해지고 있는 난해한 가르침의 한 예는 중국의 선 [103]전통에 특히 영향을 미치는 "우라g가마 수트라"와 그 안에 나타난 "우라,가마 만트라"이다.
중국에서 또 다른 형태의 난해한 불교는 중국의 바이족들 사이에서 행해지고 마하칼라를 주요 [104][105]신으로 숭배하는 아즈할리교이다.
일본의 난해성
신곤불교
신곤교는 일본에서 볼 수 있으며, 불교와 비슷한 개념의 미쿄(Mikkyo)로 알려진 관행을 포함하고 있다.신곤불교의 계보는 9-11세기 팔라 왕조와 중앙아시아(중국을 거쳐)에 인도에서 생겨난 티베트 바자야나와 다르며 티베트 계보보다 인도 문헌의 이전 버전을 기반으로 한다.신곤은 티베트 불교와 난해한 경전(티베트 불교에서는 탄트라라고 함)과 만다라 같은 물질을 공유하지만 실제 관습은 관련이 없다.신곤불교의 주요 경전은 대하바이로카나경, 대하바라경이다.신곤불교의 창시자는 9세기 당나라 때 중국에서 유학한 일본인 승려 쿠카이(國海)로 당시 중국에서 유행하던 바자야나 경전과 기법, 만다라를 가져왔다.이 학교는 당나라 말기에 중국의 다른 학교들과 합병되었지만 일본에서는 종파였다.신곤은 세계에서 산스크리트어의 사이드담 문자를 계속 사용하는 몇 안 되는 불교 분야 중 하나이다.
천태불교
중국과 일본의 천태학파는 난해한 관행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의식은 연화경의 외설적인 가르침과 동등하게 중요하게 여겨지게 되었다.만트라를 외치거나 무드라를 유지하거나 명상을 함으로써 부처의 가르침에 따른 감각 경험을 이해할 수 있고, 자신이 선천적으로 깨달은 존재라는 믿음을 가질 수 있으며, 현재 생전에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천대는 주장한다.
슈겐도
슈겐도는 7세기 일본의 고행자 엔노 교자에 의해 왕비의 공경(公經)7세기에 독거 히지리에서 유래한 수겐도는 난해한 불교와 신도, 그리고 도교를 포함한 여러 다른 종교적 영향 사이의 일종의 합병체로서 진화했다.불교와 신도(神道)가 신불(神佛)에 융합되어 에도시대 말기까지 구카이(九海)의 혼합신앙은 슈겐도[106] 내의 신도파(神道流)와 공존했다.
에도시대 1613년, 도쿠가와 막부는 슈겐도 절을 신곤과 덴다이 절 중 하나에 귀속시키는 규정을 공표했다.메이지 유신 때 신도가 불교와 분리된 독립 국교로 선언되었을 때, 슈겐도는 새로운 개화 일본에 적합하지 않은 미신으로 금지되었다.일부 슈겐도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다양한 신토 종파로 전환되었다.현대에 있어서, 수겐도는 주로 덴다이 종파나 신곤 종파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어 근대 일본의 종교나 [107]문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한국 밀교
밀교(밀교, 密敎)라고 알려진 난해한 불교 관습과 문헌이 한국에 들어온 것은 서기 [108]372년 이 지역에 불교가 처음 소개되었을 때였다.난해한 불교는 통일신라 (668-935)와 고려 (918-1392)[108]의 왕족들에 의해 지지를 받았다.고려시대에는 선파, 화엄파, 신인파, 청지파와 같은 작은 난해파에서 난해한 풍습이 흔했다.몽골의 점령기(1251~1350년대)에는 티베트 불교가 한국에도 존재했지만 [109]발판을 마련하지는 못했다.
조선 시대에는 난해한 불교 학교들이 손학파와 교학파와 합쳐져 제사 전문가가 되었다.한국의 불교가 쇠퇴하면서, 조계종과 [109]태고종의 의식에서 몇 가지 흔적을 제외하고, 난해한 불교는 대부분 사라졌다.
현대 한국에는 두 개의 난해한 불교 학교가 있다: 진언과 진각종이다.Henrik H. Sörensen에 따르면, "이것들은 한국 불교 전통 자체와는 전혀 관련이 없지만 일본 신곤 [109]불교를 크게 기초로 한 후기 건축물이다."
인도 티베트 불교
시리즈의 일부 |
티베트 불교 |
---|
바자야나 불교는 767년 이전인 8세기 티벳에서 파드마삼바바 (8세기 CE)와 샨타락시타 (725–788년)와 같은 다양한 인물들이 트리송 뎃센 왕에 의해 초대되었을 때 처음 설립되었습니다.티베트 불교는 굽타 후기 중세(기원전 500~[110][111]1200년)의 탄티즘 인도 불교를 반영한다.이 전통은 동아시아의 난해한 불교의 일부가 아닌 더 "왼손"인 (바마차라) 탄트라와 관련된 일련의 탄트라 텍스트와 해설을 실천하고 연구한다.이러한 탄트라(때로는 '아누타라요가 탄트라'라고도 함)는 동아시아 불교에서 연구된 초기 탄트라와는 공유되지 않는 성적 상징과 영안실 상징과 같은 많은 초월적인 요소들을 포함한다.이 문서들은 "새로운 번역기" (10-12세기)에 고전 티베트어로 번역되었다.티베트 불교는 또한 툴쿠 체계, 새로운 사다나 문헌, 티베트 학술 작품, 조첸 문학, 테르마 문학 등 티베트 고유의 많은 발전도 포함하고 있다.4가지 주요 전통 또는 학교가 있습니다.Ningma, Sakya, Kagyu, Gelug.
전근대 시대에, 티베트 불교는 주로 중국, 몽골 그리고 동부 시베리아를 지배했던 쿠빌라이 칸에 의해 세워진 몽골 원 왕조 (1271–1368)의 영향으로 티베트 밖으로 퍼져나갔다.현대에는 티베트 디아스포라(1959년 이후)의 노력으로 아시아 밖으로 퍼져나갔다.티베트의 불교 전통은 오늘날 티베트, 부탄, 인도 북부, 네팔, 중국 남서부와 북부, 몽골 그리고 아무르 주, 부랴티아, 치타 주, 투바 공화국, 하바로프스크 지방과 같은 이 지역에 인접한 러시아의 여러 구성 공화국들에서 발견된다.티베트 불교는 칼미키아의 주요 종교이기도 합니다.그것은 또한 서구 국가들로 퍼져나갔고, 지금은 4개 학교 모두에서 온 티베트 불교 사원과 서양의 명상 센터들의 국제적인 네트워크가 있다.
네팔 뉴아르 불교
네와르 불교는 네팔의 네와르에 의해 행해진다.그것은 경전이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지는 유일한 불교 형태이며, 이 전통은 이 언어로 된 많은 바지랴나 문헌을 보존해 왔다.그것의 성직자들은 독신주의를 따르지 않고 바자라차랴라고 불린다.
인도네시아 밀교
인도네시아의 난해한 불교는 이슬람이 이 지역에서 번성하고 지배하기(13-16세기) 이전 인도네시아 자바섬과 수마트라섬에서 발견된 난해한 불교의 전통을 말한다.스리비자야의 불교 제국 (650–1377 CE)은 중국 승려들과 [112]아티샤와 같은 인도 학자들을 끌어들인 난해한 불교 학문의 주요 중심지였다.샤일렌드라 왕조에 의해 건설된 중부 자바 보로부두르의 사원 단지도 강한 탄트릭 또는 적어도 원형, 특히 비로카나의 숭배에 대한 영향을 [113][114]반영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의 난해한 불교도 필리핀에 도달하여 필리핀에서 불교의 첫 번째 형태를 확립했을 가능성이 있다.섬에서 발견된 몇 안 되는 불교 유물들은 스리비자야의 바자야나의 [115]도상화를 반영한다.
남방 난해한 불교
"남부 밀교" 또는 "보란 캄마샤나"는 신불교가 지배적인 동남아시아에서 온 난해한 형태의 불교를 일컫는 용어이다.스리랑카의 수도승 아바야기리 비하라가 [116]한때 섬에서 유행했던 탄트라 형태를 실천했다.이런 유형의 또 다른 전통은 버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아리 불교였다.탄트릭 불교 '요가바카라' 전통은 [117]근대까지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에서 주요한 불교 전통이었다.이러한 형태의 불교는 동남아시아 불교 모더니즘의 출현 이후 쇠퇴했다.
이러한 난해한 형태의 불교는 동남아시아에서 발전했고 대하스족의 인도 탄트릭 운동과 나란다 대학과 비크라마실라 대학의 탄트릭 설립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점에서 독특하다.그러므로, 그것은 고전적인 불교 탄트라를 사용하지 않고 독자적인 문헌과 실천 전통을 가지고 있다.
학업의 어려움
서양에서 심각한 Vajrayana 학술 연구는 다음과 같은 [118]장애물로 인해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 많은 탄트릭 경전이 존재하지만, 그것들은 공식적으로 명령되거나 체계화되지 않았다.
- 전통의 난해한 주도적 특성으로 인해, 많은 실무자들은 정보나 정보의 출처를 누설하지 않을 것이다.
- 많은 다른 과목들과 마찬가지로, 그것은 많은 다른 문화에 걸친 긴 역사와 맥락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 의식과 교리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불교 탄틀리 관습은 비밀 수행으로 분류된다; 이것은 잘못된 정보를 가진 사람들이 그 관행을 해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이 비밀을 유지하는 방법은 실제 실무에 대한 지시를 받기 전에 마스터로부터 탄트릭 개시가 요구된다는 것입니다.탄트라 최고반(예: 칼라차크라)의 입문 절차 동안, 학생들은 비밀에 [web 2]부치는 탄트라 서약을 해야 한다."일반 탄트라 이론을 실천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학문적인 방식으로 설명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근본적인 몰락은 아닙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우리의 탄틀릭 [web 3]관행의 효과를 약화시킨다.
용어.
바지랴나 불교와 관련된 용어는 혼란스러울 수 있다.대부분의 용어들은 산스크리트어 탄틀릭 인도 불교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독자들에게 번역되기 전에 다른 문화, 특히 일본과 티베트를 거쳐갔을 수도 있다.외관상 같아 보이는 용어가 맥락, 시간 및 장소에 따라 사용 및 의미에 미묘한 차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더 복잡한 문제가 발생합니다.세 번째 문제는 Vajrayana 텍스트가 의도적으로 코드화된 교육 수단인 황혼 언어의 탄탈적 전통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동의어, 은유, 단어 연상뿐만 아니라 상징성에 의존하는 이러한 불명확한 교수법은 Vajrayana 불교를 이해하려는 사람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현재 주로 티베트 계통에 보존되어 있는 Vajrayana 전통에서, 특정한 중요한 가르침이 '황혼 언어'인 사흐야-바흐샤로 알려진 비밀 상징 언어의 형태로 표현된다는 것은 오랫동안 인식되어 왔다.1960년대 사이비 불교 히피 문화에서 매우 유행했던 무드라, 만트라, 마살라, 카크라는 모두 트와일라잇 언어의 예시였다.[119]
탄트 불교라는 용어는 원래 그것을 실천하는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었다.학자 이사벨 오니안의 설명:
"천문불교"는 토착 용어의 표기가 아니라 완전히 서양은 아니더라도 다소 현대적인 조어이다.산스크리트어 탠트리카가 발견되지만 불교 문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탠트리카는 탄트라로 알려진 경전의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을 가리키는 용어이지만, 불교가 아니라 사이비즘에서만 그 자신을 산스크리트어, 만트라야나, 바자야나, 만트라야나 또는 만트라마야나로 부르는 현상의 이름이다.그 개업의들은 만트린, 요기 또는 사다카스로 알려져 있다.따라서 탄트라에서 가르친 불교 종교에 영어화된 형용사 "탄트릭"을 사용하는 것은 전통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그 목적에 [120]부합하는 차용어입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레퍼런스
인용문
- ^ 맥밀런 출판사 2004, 875~876페이지.
- ^ a b 데이비드 B.그레이, ed. (2007)카크라삼바라 탄트라: 헤루카의 담화. 토마스 F. 야놀. 컬럼비아 대학 미국 불교 연구 연구소. ix~x페이지. ISBN978-0-9753734-6-0.
- ^ 지안푸 뤼(2017).중국과 티베트의 난해한 불교, 페이지 72~82. 동아시아 종교에 관한 연구, 제1권: 브릴.
- ^ Ray, Reginald A;불멸의 진실:티베트 불교의 살아있는 영성, 2000
- ^ Reynolds, John Myrdhin. "The Mahasiddha Tradition in Tibet". Vajranatha. Vajranatha. Retrieved 18 June 2015.
- ^ 스넬그로브, 데이비드(1987년) 인도 티베트 불교:인도 불교 신자들과 그들의 티베트 후계자들. 페이지 168.
- ^ 슈만 1974, 페이지 163
- ^ a b c 기타가와 2002, 페이지 80
- ^ Dowman, The 84 Mahasiddhas and the Path of Tantra - Mahamudra의 주인 소개, 1984.
- ^ 데이비드슨, 로널드 M. (2002)인도 밀교: 탄트릭 운동의 사회사, 콜롬비아 대학 출판부, 페이지 228, 234.
- ^ 스넬그로브, 데이비드(1987년) 인도 티베트 불교: 인도 불교 신자들과 그들의 티베트 후계자들. 페이지 122.
- ^ Williams, Wynne, Tribe; 불교 사상: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225페이지.
- ^ 오스토, 더글라스간다위하 경전에 나오는 '프로토 탄트릭' 요소.종교사 저널 제33호, 제2호, 2009년 6월
- ^ 스넬그로브, 데이비드(1987년) 인도 티베트 불교:인도 불교 신자들과 그들의 티베트 후계자들. 페이지 147.
- ^ a b 윌리엄스, 윈, 부족; 불교 사상: 인도 전통에 대한 완전한 소개, 205-206페이지.
- ^ 윌리엄스, 윈, 부족; 불교 사상: 인도 전통에 대한 완전한 소개, 210페이지.
- ^ 웨이맨, 알렉스, 불교 탄트라:인도-티베타 난해주의, 루트리지(2008), 19페이지.
- ^ 윌리엄스, 윈, 부족; 불교 사상: 인도 전통에 대한 완전한 소개, 212페이지.
- ^ 타지마, R. 에뛰드 수르 마하바이로카나-사트라
- ^ 멀린, 글렌 H;쑹카파(2005) 쑹카파의 해설집 '나로파의 여섯 요가'는 '나로파의 여섯 가지 심오한 길의 훈련 단계에 대한 논문'이라는 제목으로 70쪽이다.스노우 라이온 출판물ISBN 1-55939-234-7
- ^ 슈만 1974년
- ^ Gordon White, David; "인도 난해한 불교" 리뷰, 로널드 M.Davidson, 캘리포니아 대학교, Santa Barbara JIATS, No.1(2005년 10월), THL #T1223, 11 페이지.
- ^ 데이빗슨, 로널드 M.인도 밀교:탄트릭 운동의 사회사, 171페이지
- ^ 샌더슨, 알렉시스「Aiva 시대:중세 초기 아이비즘의 부상과 지배"인: 신고 에이누 편집 탄트리즘의 창세기 및 발전.도쿄: 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 2009.동양문화연구소 특집 시리즈, 23, 124쪽.
- ^ 샌더슨, 알렉시스「Aiva 시대:중세 초기 아이비즘의 부상과 지배"인: 신고 에이누 편집 탄트리즘의 창세기 및 발전.도쿄: 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 2009.동양문화연구소, 23, 129-131쪽.
- ^ Sanderson, Alexis; Vajrayana:, 기원과 함수, 1994
- ^ 샌더슨, 알렉시스「Aiva 시대:중세 초기 아이비즘의 부상과 지배"인: 신고 에이누 편집 탄트리즘의 창세기 및 발전.도쿄: 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 2009.동양문화연구소, 23, 144-145페이지.
- ^ Huber, Toni (2008). The holy land reborn : pilgrimage & the Tibetan reinvention of Buddhist Indi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94–95. ISBN 978-0-226-35648-8.
- ^ 데이빗슨, 로널드 M.인도 밀교:탄트릭 운동의 사회사, 204쪽
- ^ 데이빗슨, 로널드 M.인도 밀교:탄트릭 운동의 사회사, 206페이지
- ^ 데이빗슨, 로널드 M.인도 밀교:탄트릭 운동의 사회사, 207쪽
- ^ 데이빗슨, 로널드 M.인도 밀교:탄트릭 운동의 사회사, 214페이지
- ^ 데이빗슨, 로널드 M.인도 밀교:탄트릭 운동의 사회사, 217페이지
- ^ 데이빗슨, 로널드 M.인도 밀교:탄트릭 운동의 사회사, 페이지 228, 231
- ^ a b c Verrill, Wayne (2012) The Yogini's Eye: 불교 탄트라에 대한 포괄적인 입문, 7장: Guhyamantra의 기원
- ^ a b Khenchen Palden Sherab Rinpoche, 구루 린포체의 8가지 표현, (1992년 5월)에서 주어진 가르침의 번역과 번역,
- ^ Orlina, Roderick (2012). "Epigraphical evidence for the cult of Mahāpratisarā in the Philippine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35 (1–2): 165–166. ISSN 0193-600X.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5-30. Retrieved 2019-05-30.
This image was previously thought to be a distorted Tārā, but was recently correctly identified as a Vajralāsyā (‘Bodhisattva of amorous dance’), one of the four deities associated with providing offerings to the Buddha Vairocana and located in the southeast corner of a Vajradhātumaṇḍala.
- ^ Weinstein, John. "Agusan Gold Vajralasya". Google Arts & Cultu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une 2019.
Scholars think that the statue may represent an offering goddess from a three-dimensional Vajradhatu (Diamond World) mandala.
- ^ 웨이맨, 알렉스, 불교 탄트라:인도-티베타 난해성에 대한 조명, 2013년, 3페이지.
- ^ L. de la Valé Poussin, Boudhisme, et matériaux, 페이지 174-5.
- ^ 베이어, 스테판타라의 종교: 티베트의 마법과 의식, 1978, 69페이지
- ^ 스넬그로브, 데이비드(1987년) 인도 티베트 불교:인도 불교 신자들과 그들의 티베트 후계자들. 페이지 125.
- ^ Wayman, Alex; Guhyasamajatantra의 요가:40절의 난해한 설화: 불교 탄트라 해설, 1977, 56페이지.
- ^ a b Williams, Wynne, Tribe; 불교 사상: 인도 전통에 대한 완전한 소개, 202페이지.
- ^ 스넬그로브, 데이비드(1987년) 인도 티베트 불교:인도 불교 신자들과 그들의 티베트 후계자들. 페이지 125-126.
- ^ 스넬그로브, 데이비드(1987년) 인도 티베트 불교:인도 불교 신자들과 그들의 티베트 후계자들. 페이지 126.
- ^ '불교 철학의 동반자' (100페이지)에서 더글라스, 티베트 마하야나, 바자야나.
- ^ 코플, 하이디신으로서의 외모를 확립하다.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2008, 제4장.
- ^ 웨이맨, 알렉스, 불교 탄트라:인도-티베타 난해성에 대한 조명, 2013년, 5페이지.
- ^ a b c d e 맥밀런 출판사 2004, 페이지 875.
- ^ Palmo, Tenzin (2002). Reflections on a Mountain Lake:Teachings on Practical Buddhism. Snow Lion Publications. pp. 224–5. ISBN 978-1-55939-175-7.
- ^ 윌리엄스, 윈, 부족; 불교 사상: 인도 전통에 대한 완전한 소개, 198, 231페이지.
- ^ 윌리엄스, 윈, 부족; 불교 사상: 인도 전통에 대한 완전한 소개, 198페이지.
- ^ Morreale, Don (1998) 불교계 미국 ISBN 1-57062-270-1 페이지 215
- ^ Trungpa, Chögyam and Chödzin, Sherab (1992) 사자의 포효: 탄트라 ISBN 소개 0-8773-654-5 페이지 144.
- ^ a b c 윌리엄스, 윈, 부족; 불교 사상: 인도 전통에 대한 완전한 소개, 236페이지.
- ^ 윌리엄스, 윈, 부족; 불교 사상: 인도 전통에 대한 완전한 소개, 237페이지.
- ^ 웨이맨, 알렉스, 불교 탄트라:인도-티베타 난해증에 대한 조명, 39페이지
- ^ 끓는 갈색, 주디스; 다키니의 따뜻한 숨결:티베트 불교의 여성 원리, 2002년, 217쪽
- ^ 끓는 갈색, 주디스; 다키니의 따뜻한 숨결:티베트 불교의 여성 원리, 2002년, 217-219페이지
- ^ 끓는 갈색, 주디스; 다키니의 따뜻한 숨결:티베트 불교의 여성 원리, 2002년, 219쪽
- ^ a b Williams, Wynne, Tribe; 불교 사상: 인디언 전통에 대한 완전한 소개, 198, 240페이지.
- ^ Williams, Wynne, Tribe; 불교 사상: 인도 전통에 대한 완전한 소개, 198, 242페이지.
- ^ Tsongkhapa, 탄트릭 윤리: ISBN 0-86171-290-0, 46페이지 '바자야나 수행의 계율 설명'
- ^ Hopkins, Jeffrey; Tantric Technics, 2008, 페이지 220, 251
- ^ a b 그레이, 데이비드(2007), 카크라삼바라 탄트라(스리 헤루카의 담화) 【헤루카비다나】연구와 주석번역(불교과학부), 페이지 132.
- ^ Wayman, Alex; Guhyasamajatantra의 요가:40절의 난해한 설화: 불교 탄트라 해설, 1977, 63쪽.
- ^ 웨이맨, 알렉스, 불교 탄트라:인도-티베타 난해증에 대한 조명, 36페이지
- ^ 레이, 레지날드 AVajra 세계의 비밀, 티벳의 탄트라 불교, 샴발라, 178페이지.
- ^ 윌리엄스, 윈, 트리브.불교 사상: 인도 전통에 대한 완전한 소개, 페이지 223-224.
- ^ Garson, Nathaniel DeWitt; Secret Essence Tantra: Mahayoga System in the Mahayoga-ma Tantra, 2004, 37페이지
- ^ 파워, John (2007)티베트 불교 입문, 271쪽
- ^ 레이, 레지날드 AVajra 세계의 비밀, 티벳의 탄트라 불교, 샴발라, 218페이지.
- ^ 코조트, 다니엘 최고 요가 탄트라 57쪽
- ^ 힘, 존; 티베트 불교 소개, 273쪽.
- ^ 그레이, 데이비드(2007), 카크라삼바라 탄트라(스리 헤루카의 담화) 【헤루카비다나】연구와 주석번역(불교과학부), 73-74페이지
- ^ Garson, Nathaniel DeWitt; Secret Essence Tantra: Mahayoga System in the Mahayoga-ma Tantra, 2004, 페이지 45
- ^ 레이, 레지날드 AVajra 세계의 비밀, 티벳의 탄트라 불교, 샴발라, 112-113페이지.
- ^ 그레이, 데이비드(2007), 카크라삼바라 탄트라(스리 헤루카의 담화) 【헤루카비다나】연구와 주석번역(불교과학부), 108-118페이지.
- ^ 그레이, 데이비드(2007), 카크라삼바라 탄트라(스리 헤루카의 담화) 【헤루카비다나】연구와 주석 번역 (불교과학부) 페이지 118.
- ^ 그레이, 데이비드(2007), 카크라삼바라 탄트라(스리 헤루카의 담화) 【헤루카비다나】연구와 주석번역(불교과학부) 126쪽.
- ^ 그레이, 데이비드(2007), 카크라삼바라 탄트라(스리 헤루카의 담화) 【헤루카비다나】연구와 주석번역(불교과학부), 페이지 121,127.
- ^ Wayman, Alex; Guhyasamajatantra의 요가:40절의 난해한 설화: 불교 탄트라 해설, 1977, 62쪽.
- ^ 윌리엄스, 윈, 부족; 불교 사상: 인도 전통에 대한 완전한 소개, 217페이지.
- ^ 윌리엄스, 윈, 부족; 불교 사상: 인도 전통에 대한 완전한 소개, 219페이지.
- ^ Garson, Nathaniel DeWitt; Secret Essence Tantra: Mahayoga System in the Mahayoga-ma Tantra, 2004, 페이지 42
- ^ 웨이맨, 알렉스, 불교 탄트라:인도-티베타 난해증에 대한 조명, 83페이지
- ^ 레이, 레지날드 AVajra 세계의 비밀, 티벳의 탄트라 불교, 샴발라, 130페이지.
- ^ 하루나가 아이작슨(1998).인도의 탄트라 불교(c. 800~c. 1200).인: 게시히테와 게겐와트의 불교.밴드 IIHamburg. 페이지 23~49. (함부르크대학교 내부출판) 3페이지 PDF.
- ^ 아이작슨[citation needed]
- ^ Griffin, David Ray(1990), Sacred Interconnections: 포스트모던 영성, 정치경제학, 예술, SUNY Press, 199페이지.
- ^ Emmanuel, Steven M. (2015), 불교철학의 동반자, John Wiley & Sons, 페이지 120.
- ^ Samuel, Geoffrey(1993), 문명화된 무당: 티베트 사회의 불교, Smithsonian Institute Press, 페이지 226.
- ^ Dalton, Jacob & van Schaik, Sam(2007).스타인 컬렉션의 둔황의 티베트 탄트릭 필사본 카탈로그 [온라인]제2 전자판국제 둔황 프로젝트.출처 : [1] (접근처:2010년 2월 2일 (화)
- ^ 콩제, 프라즈나파라미타 문학
- ^ Peter Skilling, Mahasutras, 제1권, 1994, Pali Text Society [2], 랭커스터, xxiv 페이지
- ^ Baruah, Bibbuti (2008) 불교 종파와 종파주의: p.170
- ^ Orzecho, Charles D. (총편집자) (2011).동아시아의 난해한 불교와 탄트라, 브릴, 296쪽.
- ^ 샤프, 로버트 (2001) 중국 불교와 타협: 보물창고 논문 낭독: 268페이지
- ^ 포레, 버나드(1997) 정통주의 의지: 북찬불교의 비판적 계보: 85페이지
- ^ 남화진.기초 불교: 불교와 선(善)을 탐구한다.뉴욕 비치: 사무엘 와이저, 1997년, 페이지 99
- ^ Orzech, Charles D. (1989). "Seeing Chen-Yen Buddhism: Traditional Scholarship and the Vajrayāna in China". History of Religions. 29 (2): 87–114. doi:10.1086/463182. ISSN 0018-2710. JSTOR 1062679. S2CID 162235701.
- ^ 시, 셴화(1977년).수랑가마경, 중미불교협회 68-71페이지, 불교문역학회.ISBN 978-0-917512-17-9.
- ^ Huang, Zhengliang; Zhang, Xilu (2013). "Research Review of Bai Esoteric Buddhist Azhali Religion Since the 20th Century". Journal of Dali University.
- ^ Wu, Jiang (2011). Enlightenment in Dispute: The Reinvention of Chan Buddhism in Seventeenth-Century China. USA: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895564. 페이지 441
- ^ 미야케, 히토시역사 속 슈겐도. pp45~52.
- ^ ★★★★ 2016-03-04 Wayback Machine 아카이브 완료
- ^ a b 조지바-루스, 넬리고려시대 난해한 불교 의식물 (936-1392)
- ^ a b c 쇠렌센대동아 전통에 비추어 고려시대 난해한 불교국제불교사상문화저널 2006년 9월, 제7권, 55-94페이지.
- ^ White, David Gordon, ed. (2000). Tantra in Practi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1. ISBN 0-691-05779-6.
- ^ Davidson, Ronald M(2004).인도 밀교: 탄트릭 운동의 사회사, 페이지 2. 모틸랄 바나르시다스 푸블.
- ^ J. 다카쿠스(2005년).불교의 기록: 인도와 말레이 군도에서 행해진 대로 (A.D. 671-695)/I-Tsing.뉴델리, AESISBN 81-206-1622-7.
- ^ 레벤다, 피터탄트릭 템플:에로스와 매직(Java), 99페이지
- ^ Fontein, Jan. Entering the Dharmadhātu: A Study of the <Gandavyūha Reliefs of Borobudur, page 233.
- ^ Laszlo Legeza, "Tantric Elements in Pre-Hispanic Gold Art," Arts of Asia, 1988, 4:129-133.
- ^ Cousins, L.S. (1997), "Aspects of Southern Esoteric Buddhism", in Peter Connolly and Sue Hamilton (eds.), Indian Insights: Buddhism, Brahmanism and Bhakd Papers from the Annual Spalding Symposium on Indian Religions, Luzac Oriental, London: 185-207, 410. ISBN 1-898942-153
- ^ Kate Crosby, Traditional Theravada Meditation and its Modern-Era Suppression Hong Kong: Buddha Dharma Centre of Hong Kong, 2013, ISBN 978-9881682024
- ^ Akira 1993, p. 9.
- ^ Bucknell, Roderick & Stuart-Fox, Martin (1986). The Twilight Language: Explorations in Buddhist Meditation and Symbolism. Curzon Press: London. ISBN 0-312-82540-4.
- ^ Isabelle Onians, "Tantric Buddhist Apologetics, or Antinomianism as a Norm," D.Phil. dissertation, Oxford, Trinity Term 2001 pg 8
- Web citations
Sources
- Akira, Hirakawa (1993), Paul Groner (ed.), History of Indian Buddhism, Translated by Paul Groner,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 Banerjee, S. C. (1977), Tantra in Bengal: A Study in Its Origin, Development and Influence, Manohar, ISBN 978-81-85425-63-4
- Buswell, Robert E., ed. (2004),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Reference USA, ISBN 978-0-02-865910-7
- Datta, Amaresh (2006), The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Volume One (A To Devo), Volume 1, Sahitya Akademi publications, ISBN 978-81-260-1803-1
- Harding, Sarah (1996), Creation and Completion - Essential Points of Tantric Meditation, Boston: Wisdom Publications
- Hawkins, Bradley K. (1999), Buddhism, Routledge, ISBN 978-0-415-21162-8
- Hua, Hsuan; Heng Chih; Heng Hsien; David Rounds; Ron Epstein; et al. (2003), The Shurangama Sutra - Sutra Text and Supplements with Commentary by the Venerable Master Hsuan Hua, Burlingame, California: Buddhist Text Translation Society, ISBN 978-0-88139-949-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9, 2009
- Kitagawa, Joseph Mitsuo (2002), The Religious Traditions of Asia: Religion, History, and Culture, Routledge, ISBN 978-0-7007-1762-0
- Macmillan Publishing (2004), Macmillan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Publishing
- Mishra, Baba; Dandasena, P.K. (2011), Settlement and urbanization in ancient Orissa
- Patrul Rinpoche (1994), Brown, Kerry; Sharma, Sima (eds.), kunzang lama'i shelung [The Words of My Perfect Teacher],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HarperCollinsPublishers, ISBN 978-0-06-066449-7 Translated by the Padmakara Translation Group. With a foreword by the Dalai Lama.
- Ray, Reginald A (2001), Secret of the Vajra World: The Tantric Buddhism of Tibet, Boston: Shambhala Publications
- Schumann, Hans Wolfgang (1974), Buddhism: an outline of its teachings and schools, Theosophical Pub. House
- Snelling, John (1987), The Buddhist handbook. A Complete Guide to Buddhist Teaching and Practice, London: Century Paperbacks
- Thompson, John (2014). "Buddhism's Vajrayāna: Meditation". In Leeming, David A. (ed.). Encyclopedia of Psychology and Religion (2nd ed.). Boston: Springer. pp. 250–255. doi:10.1007/978-1-4614-6086-2_9251. ISBN 978-1-4614-6087-9.
- Thompson, John (2014). "Buddhism's Vajrayāna: Rituals". In Leeming, David A. (ed.). Encyclopedia of Psychology and Religion (2nd ed.). Boston: Springer. pp. 255–259. doi:10.1007/978-1-4614-6086-2_9347. ISBN 978-1-4614-6087-9.
- Thompson, John (2014). "Buddhism's Vajrayāna: Tantra". In Leeming, David A. (ed.). Encyclopedia of Psychology and Religion (2nd ed.). Boston: Springer. pp. 260–265. doi:10.1007/978-1-4614-6086-2_9348. ISBN 978-1-4614-6087-9.
- Wardner, A.K. (1999), Indian Buddhism,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 Williams, Paul; Tribe, Anthony (2000), Buddhist Thought: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Routledge, ISBN 978-0-203-18593-3
Further reading
- Rongzom Chözang; Köppl, Heidi I. (trans) (2008). Establishing Appearances as Divine. Snow Lion. pp. 95–108. ISBN 9781559392884.
- Kongtrul, Jamgon; Thrangu Rinpoche; Harding, Sarah (2002). Creation and Completion: Essential Points of Tantric Meditation. Wisdom Publications. ISBN 978-0-86171-312-7.
- Kongtrul, Jamgon; Barron, Richard (1998). Buddhist Ethics. The Treasury of Knowledge (book 5). Ithaca: Snow Lion. pp. 215–306. ISBN 978-1-55939-191-7.
- Kongtrul, Jamgon; Guarisco, Elio; McLeod, Ingrid (2004). Systems of Buddhist Tantra:The Indestructible Way of Secret Mantra. The Treasury of Knowledge (book 6 part 4). Ithaca: Snow Lion. ISBN 9781559392105.
- Kongtrul, Jamgon; Guarisco, Elio; McLeod, Ingrid (2008). The Elements of Tantric Practice:A General Exposition of the Process of Meditation in the Indestructible Way of Secret Mantra. The Treasury of Knowledge (book 8 part 3). Ithaca: Snow Lion. ISBN 9781559393058.
- Kongtrul, Jamgon; Harding, Sarah (2007). Esoteric Instructions: A Detailed Presentation of the Process of Meditation in Vajrayana. The Treasury of Knowledge (book 8 part 4).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s. ISBN 978-1-55939-284-6.
- Kongtrul, Jamgon; Barron, Richard (2010). Journey and Goal: An Analysis of the Spiritual Paths and Levels to be Traversed and the Consummate Fruition state. The Treasury of Knowledge (books 9 & 10).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s. pp. 159–251, 333–451. ISBN 978-1-55939-360-7.
- Tantric Ethics: An Explanation of the Precepts for Buddhist Vajrayana Practice by Tson-Kha-Pa, ISBN 0-86171-290-0
- Perfect Conduct: Ascertaining the Three Vows by Ngari Panchen, Dudjom Rinpoche, ISBN 0-86171-083-5
- Āryadeva's Lamp that Integrates the Practices (Caryāmelāpakapradīpa): The Gradual Path of Vajrayāna Buddhism according to the Esoteric Community Noble Tradition, ed. and trans by Christian K. Wedemeyer (New York: AIBS/Columbia Univ. Press, 2007). ISBN 978-0-9753734-5-3
- S. C. Banerji, Tantra in Bengal: A Study of Its Origin, Development and Influence, Manohar (1977) (2nd ed. 1992). ISBN 8185425639
- Arnold, Edward A. on behalf of Namgyal Monastery Institute of Buddhist Studies, fore. by Robert A. F. Thurman. As Long As Space Endures: Essays on the Kalacakra Tantra in Honor of H.H. the Dalai Lama, Snow Lion Publications, 2009.
- Snellgrove, David L.: Indo-Tibetan Buddhism. Indian Buddhists and Their Tibetan Successors. London: Serindia, 1987.
External links
- Media related to Vajrayana at Wikimedia Commons
- An Introduction to Vajrayana
- What is Vajrayana Buddh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