겔루그

Gelug
창시자인 제송카파(Je Songkhhapa)와 그의 두 주요 제자(Kédrup, Gyeltsap)가 겔루그 전통의 다른 혈통 선생님과 보호자들과 함께 그의 좌우에 있는 삽화.
현대 겔루그 전통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인 제14대 달라이 라마(가운데)가 2003년 칼라차크라 기념식인 보드가야(인도)에서 열렸다.

겔루그(Willie: dGe-Lugs; 때때로 "불교"[1]라는 뜻의 철자 게륵(Géluk))은 티베트 불교 4대 학교 중 가장 최신이다.[2] 티베트 철학자 제송카파(1357–1419)가 창시하고, 탄트리크 요기, 라마가 그의 제자들(예: 케드럽 제, 얄츠랩 제, 겐딘 드루브파)에 의해 더욱 확장·발전되었다.[1]

겔루그 학파는 스스로를 아티샤(c. 11세기)의 카담 전통의 지속으로 보기 때문에 대안적으로 뉴카담(bKa'-gdams gsar-pa)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쑹카파에서 세운 첫 번째 수도원의 이름을 따서 간덴 학교라고도 불린다.[1] 간덴 트리파("간덴 왕좌 보유자")는 이 학교의 공식 수장이지만,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은 달라이 라마("오션 교사")이다. 겔루그 학파는 몽골 칸족과 교제하면서 16세기 말(종교적, 정치적으로)부터 티베트몽골의 지배적인 불교학교로 부상했다. 이 전통의 또 다른 대안 이름은 "노란 모자" 학교다.[3]

겔루그 학파는 쑹카파의 작품을 바탕으로 프라산기카 마드야마카라는 독특한 형태를 홍보하고 있다. 존 파워스에 따르면 쑹하파의 작품은 "경전과 탄트라, 분석적 추리, 요가 명상을 통합한 불교 철학과 실천에 대한 종합적인 관점을 담고 있다"[4]고 한다.

어원

겔루그
티벳의 이름
티베트어 དགེ་ལུགས་པ་
한자이름
중국어 번체格魯派/黃教/新噶當派
중국어 간체格鲁派/黄教/新噶当派

간덴은 미륵불관련순수인 산스크리트어 '투시타'의 티베트어이다. 처음에 쑹카파의 학교는 "간덴의 영적 혈통"이라는 뜻의 "간덴철욱"이라고 불렸다. '간덴'의 제1음절과 '천국'의 제2음절을 취함으로써 이것은 '갈룩'으로 약칭한 다음 보다 쉽게 발음되는 '겔로그'[5]로 수정되었다.

겔루그 학교는 아티샤가 세운 카담 학파의 부활을 스스로 목격했기 때문에 "뉴 카담"이라고도 불렸다.[6]

역사

쑹카파

겔루그 학교는 카담, 사키야, 드룽 카구유, 조낭, 닌잉마 선생님 밑에서 공부하며 티베트를 여행한 절교 승려 겸 요기 제송카파(Je Songkhapa)에 의해 설립되었다. 여기에는 사카야 학자 렌다와(1349–1412), 드루쿵틸 학자 청가 초키 얄포, 카담 신비주의자 라마 우마파, 조낭의 거장 보동 초클리 남길, 드조겐의 거장 드루프첸 레키 도르제 등이 포함된다.[7][8][9][10]

카담 학파의 열렬한 숭배자인 쑹카파(Tongkhhapa)는 로종의 카담 가르침과 사키야, 카유, 요낭 학파의 바야야나 가르침과 함께 람림(길의 상태)을 병합했다.[11] 그는 또한 수도주의와 비나야에 대한 엄격한 집착을 강조했다. 그는 이것을 마디야마카, 불교 인식론, 불교 관행에 관한 광범위하고 독특한 글과 결합시켰다. 쑹하파의 수많은 철학과 탄성적 실천에 관한 작품들은 널리 영향을 미쳤으며 티베트 불교 철학사에 전환점을 맞았다.[12][13]

Tsongkhapa와 그의 제자들은 1409년에 간덴 수도원을 설립했고, 그 뒤를 이어 드레풍(1416)과 세라(1419년)가 설립되어 '위대한 세 개의' 겔루그 수도원이 되었다(결국 그들은 세계에서 가장 큰 수도원 중 일부가 될 것이다.[14] 샘 반 샤이크에 따르면 이 겔루그 센터들은 "수세기 동안 중앙 티베트의 종교적, 정치적 삶을 지배할 대규모 겔루그 수도원들을 형성할 것"이라고 한다.[15]

얼리 성장

케드럽 게렉 펠짱, 쑹카파 사후 겔루그 학파의 주지도자 제1판첸 라마(1385–1438 CE)이다.
타실훈포 수도원 설립자 겐둔 드루프(Gendun Drupp)와 제1대 달라이라마(First Dalai Lama)

1419년(당시 이미 유명하고 수많은 제자들을 끌어들였던) 쑹카파(Gelug) 질서는 수많은 새로운 수도원을 세우고 교리를 티베트 전역에 전파한 쑹카파 제자들의 노력을 통해 극히 빠르게 성장했다.[16] 겔루그 학파는 수도원 규율(비나야)을 엄격히 고수하고 엄격한 장학금을 받는 것은 물론 탄트리적인 실천으로 명성을 얻었다.[17] 샘 반 샤이크에 따르면, 쑹하파 자신은 새로운 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았지만, 정식으로 새로운 불교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맡은 것은 쑹하파의 제자들이었다. 게다가, 판 샤이크는 "새로운 학교를 정의하고 옹호한 공로의 상당 부분은 쑹하파의 학생 케드럽에게 가야 한다"[18]고 쓰고 있다.

Tongkhhapa의 3대 제자는 Kedrup Gelek Palsang, Gyaltsap Darma Linchen, Dülzin Drakpa Gyaltsen이었다.[19] 쑹카파의 다른 중요한 제자들은 토크덴 잼펠 갸초, 잠양 츄제, 잠첸 초제 (각각 드레풍과 세라 수도원의 설립자), 그리고 제1대 달라이 라마 겐딘 드루프였다."[19] Tsang에는 Tashi Lünpo, Segyu, Gyümé, Gyütö 대학을 포함한 몇몇 주요 수도회관이 설립되었다.[20] 15세기 말까지 쑹카파의 수집된 작품들이 목판화 위에 세워졌다. 그의 작품들은 후에 얄츠랩과 케드럽의 작품들과 함께 수집되어 '아버지와 아들들이 모은 작품'(jé 얏세 웅범)으로 알려진 겔루그 학파의 독특한 정식 수집품이 되었다.[21]

투프텐 진파(Thupten Jinpa)에 따르면, 15세기 말까지 "새로운 간덴 전통은 티베트 문화권 전체를 통해 퍼져나갔고, 수도원은 티베트 서부티벳, 중부와 남부의 티베트, 그리고 동쪽과 암도에 위치한 전통을 지탱하고 있었다"[21]고 한다. 존 파워스는 또한 다음 세기 동안 겔로그 학교는 "인상적인 수의 저명한 학자들과 탄트리 아데트를 계속해서 배출했다"[22]고 언급했다.

15세기 말에 이르러 쑹하파는 겔루그 전통 중에서 제2의 부처로 보이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하기오그래피들이 그의 제자들에 의해 쓰여졌다(케드럽 제, 톡덴 잠펠 갸초 등). 이러한 문헌들은 쑹하파 부처의 위대한 신화를 발전시켰고, 겔루그 학파의 새로운 정체성을 진정한 혈통으로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추적되어 만주시리로 거슬러 올라간다.[21][23] 한편, 다른 티베트 학교들 중에서, 쑹카파 학교는 이제 "그들 자신의 소중한 혈통과 전통과 관련하여 비전과 사상과 글을 이해해야 했던, 무시할 수 없는 힘"[21]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 초기 성장기에는 새로운 겔루그 전통과 룽턴 샤키야 얄츠엔(1367~1449)과 같은 쑹카파의 철학에 대한 비평을 쓴 사키야 학교와 같은 초기 종파들 사이의 학문적 논쟁과 교류가 있었다(그의 업적이 케드럽 제의 반응을 이끌었다).[24] Tongkhhapa의 Madhyamaka 해석에 대한 이 논쟁은 사키야 학교 사상가 3인방이 맡았다. 탁상 로타와, 고람파, 샤키아 쵸크덴.[21][25] 그들의 비평은 레크파 뫼조르(예: 겔루그)와 같은 수많은 학자들의 업적에 의해 반박될 것이다. Jamyang Galo, 1429–1503), the first Panchen Lama Lozang Chökyi Gyaltsen (1507-1662), Jetsun Chökyi Gyaltsen (1469-1544/46), Sera Jetsun Chökyi Gyaltsen, Panchen Delek Nyima and Jamyang Zhepa (1648-1751).[21][26]

달라이 라마스 그리고 몽골로 퍼졌다.

세 번째 달라이 라마, 쇠남 갸초.

1577년 겐딘 드루프의 제3의 화신으로 여겨졌던 쇠남 갸초는 당시 몽골의 최고 권력자였던 알탄 칸과 동맹을 맺었다.[27][27] 그 결과 쇠남 갸초는 제3대 달라이 라마로 지정되었다. 달라이(Dalai)는 티베트어 이름인 "가트소"(ocean)의 몽골어로 번역한 것이다.[27] 겐딘 드루프와 겐둔 갸초는 각각 제1대 달라이라마와 제2대 달라이라마로 추증되었다.[28]

쇠남 갸초는 몽골인들 사이에서 산문화에 매우 적극적이었으며,[28] 겔루그 전통은 다음 세기에 몽골인들의 주요 종교가 되는 것이었다.[28] 쇠남 갸초는 몽골을 여행했고, 수도원 설립과 몽골어로 불교 서적의 번역 등을 지원했다.[29] 그는 또한 동물의 희생이나 피의 희생과 같은 특정한 무속적인 관습에 대항하여 일했다.[30]

이러한 상황의 전환은 겔루그 학교에 그들을 티벳의 정치적 우월성으로 몰아갈 강력한 후원자들을 제공했다.[28] 겔루그-몽골 동맹은 소남 갸초 사후 그의 화신이 제4대 달라이 라마가 된 알탄 칸의 증손자로 밝혀지면서 더욱 강화됐다.[28] 몽골 불교에 대한 겔루그 학파의 영향력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강하다. 투프텐 진파에 따르면 "이 관계의 중요한 유산은 젊은 몽골인들이 암도와 티베트 중부의 위대한 겔루크 학문의 중심지에서 공부하는 전통이었다"[31]고 한다.

그레이트 5의 규칙이다.

왕조는 1653년 베이징에서 5대 달라이 라마가 슌지 황제를 만나는 그림을 그렸다.

티베트 불교 종파 간의 격렬한 분쟁이 있은 후, 겔루그 학파가 지배적인 학파로 부상하였는데, 1642년 티베트를 침공한 몽골 귀시리 칸의 군사적인 도움을 받아 창왕을 물리쳤다. 티베트 역사학자 삼텐 카르메이에 따르면, 간덴 궁전의 회계책임자인 소남[32] 초펠(1595~1657)은 겔로그가 정치 권력에 오른 주요 건축가였다. 후에 그는 '레지던트'라는 뜻의 데시[윌리: sde-ris]라는 칭호를 받았는데, 이는 겔루그파 세력을 확립하기 위한 그의 노력으로 얻게 될 것이다.[33]

제5대 달라이 라마인 나왕 랍상 갸초(1617~1682)는 티베트에서 정치·정신적 전권을 가진 최초의 인물이다. 그는 공식적인 신정체제를 확립하고 청나라 중국과 외교관계를 개국했으며 라싸포탈라 궁전을 짓고 티베트 국가인 네충오라클을 제도화했으며 미술과 책 인쇄의 일대 부흥을 촉진했다.[31] 17세기 5대 달라이 라마 시대부터 달라이 라마는 티베트 중심부에 대한 정치적 통제권을 쥐고 있었다.[34] 이 정부의 핵심 지도부는 간덴 포드랑이라고도 불렸다. 투프텐 진파에 따르면, 제5대 달라이라마의 통치는 "약 700년 전 티베트 제국이 붕괴된 이후 처음으로 티베트를 정치적 통합의 모습으로 보이게 할 것"[31]이라고 한다.

제5대 달라이 라마는 다작의 작가와 학자였다.[35] 진파에 따르면 "제5대 달라이 라마는 개인적으로 티베트의 다른 주요 불교 전통, 특히 닌잉마를 숭배하는 에큐메니스트였다"[31]고 한다. 이 과정에서 그는 겔루그 수도사였으며 닌그마 대완전(Dzogchen) 전통의 대가였던 스승 팔조 룬드럽의 영향을 받았다.[36] '위대한 제5기'는 수많은 작품을 썼고, 드조그첸 가르침의 한 주기를 드러냈다. 그의 제자 중 한 명(그리고 섭정으로서의 정치적 후계자)인 데시 상계 갸초티베트의학, 점성술, 전기, 서예와 같은 주제에 관한 다양한 작품을 쓴 위대한 학자로도 알려져 있었다.[37] 그는 티베트의 중요한 의학 전문인 '베릴의 거울'의 저자로 의학 회화 세트를 의뢰하고 제5대 달라이 라마의 전기를 썼다.[38][37]

제5대 달라이라마 통치 기간 중 스승 롭상 처키 얄츠센이 1645년 알탄 칸과 달라이 라마로부터 '판첸 보그드'라는 칭호를 받았다.[39] 이것이 타실훈포 수도원 기지에서 전통적으로 시가체와 창 지역을 지배하는 판첸 라마 툴쿠 선의 시작이다.[40] 달라이 라마와 판첸 라마의 기관들은 각각 서로의 환생을 인정하는 과정에 참여한다.[41] 롭상 처키 질트센은 다작의 학자였고, 겔루그 마하무드라(주로 그의 루트 텍스트인 정복자의 하이웨이마하무드라를 재조명하는 마하무드라)에 대한 저술로 특히 잘 알려져 있다.[42]

자나반자르, 자화상, 17세기 말 또는 18세기 초, 미술관 울란바토르

제5대 달라이 라마는 몽골 겔루그 전통의 정신적 지도자(보그드 게겐)인 젭순담바 후투(Jebtsundamba Khutuktu) 최초의 공식으로 자나바자르(1635~1723)를 인정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자나바자르는 회화, 조각, 시, 장학, 언어에 뛰어난 몽골의 위대한 다산수학이었다. 그는 17세기에 몽골 문화의 르네상스를 시작했으며, 소엄보 대본을 창제하고 몽골인들 사이에 불교를 널리 알린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43] 자나바자르는 또한 샨크 수도원, Tövkhön 수도원, Erdene Zuu 수도원 등 몽골의 수많은 주요 겔루그 수도원의 건설을 감독했다.

제5대 달라이 라마의 통치는 겔루그 학파의 정적이었고 창 왕조를 지지했던 티베트 불교 학파의 탄압을 감독하기도 했다. 전쟁이 끝난 후, 많은 카규와 조낭 수도원이 겔루그 수도원으로 강제 전환되었다.[44] 쑹하파를 공격한 사키야 명인들의 문학뿐 아니라 조낭 학파의 글도 금지되었고 그들의 목판 인쇄물도 잠겨 있었다.[44] 닌그마에 대한 달라이 라마의 태도는 달랐고, 닌그마 문헌의 수집과 보존을 지지했으며, 개인적으로 민드롤링 수도원과 그 지도자인 테르다그 링파, 로크헨 다르마쉬리를 후원했다.[45]

17와 18세기

제6대 달라이 라마(1683~1706)는 평신도 생활을 좋아하고 수도승 서약을 거부하고 술을 마시고 여자와 잠자리를 하고 연애시와 에로티시 등을 쓰는 파격적인 인물이었다.[46] 그의 시는 티베트 시에서 중요한 부분이다.[47] 그의 후임인 제7대 달라이 라마 역시 유명한 시인이었으나 불교와 영적 주제를 중심으로 글을 썼다. 제7대 달라이 라마 켈짱 갸초는 고학력 불교학자로 다양한 불교 주제에 수백 개의 제목을 썼다.[48][49] 7일 동안 티베트도 강시황제(재위 1661~1722) 휘하의 청 제국의 보호국이 되었다.[50]

제8회, 제9회, 제10회. 제11회, 제12회 달라이 라마는 모두 젊게 죽었고 의미 있는 인물은 아니었다. 티베트는 이 기간 동안 일련의 섭정들에 의해 통치되었고 많은 정치적 불안을 겪었다.[51]

17세기와 18세기 동안, 겔루그 인물들은 계속해서 새로운 학문을 만들어냈다. '테넷'(Tib. grub mtha, skt. siddhanta) 장르의 발전은 겔로그 교육과 장학의 특히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52][53] 아마도 가장 영향력 있는 겔루그 독소작가는 위대한 학자 잠양 셰바(1648–1721)로, 그는 오면의 포효[라이온]를 썼고, 테넷에 대한 일련의 구절이며, 테넷에 대한 대박람회라고 불리는 이 루트 텍스트(약 530폴리오스)에 대한 거대한 해설서를 썼다. 다니엘 코조트에 따르면 잠양의 작품은 "티베트 불교에서 가장 포괄적인 교서"라고 한다.[54] 그의 환생인 괴척직메 옹포(1728~1791)는 테네츠의 귀중가란 짧은 테네츠 텍스트뿐만 아니라 보살길의 다른 작품으로도 유명하다.[52]

이 시기의 다른 핵심 학자들로는 테네츠 프리젠테이션을 쓴 창야 뢰펜 도르제(1717-1786)와 잠양대박람회에 대한 주요 논평을 쓴 은왕 벨덴(1797)이 있다.[52]

창키아 뢰페 도르제(Changkya Rölpé Dorjé)는 또한 언어와 번역 작업에 대한 지식과 첸룽 황제 궁정의 주교로 알려져 있다. 창가는 티베트 불교 성전몽골어, 만추어 번역을 총괄하고, 성문집(중국어, 만주어, 몽골어, 티베트어)을 4개 언어(중국어, 만주어, 몽골어, 티베트어)로 편찬하였으며, śraṅgama Sutra의 티베트어 번역을 감독하기도 하였다.[55]

18세기 동안 창가의 제자였던 투켄 로상 쵸키니 니마(1737–1802)는 철학적 계통의 크리스탈 미러와 함께 테네츠 장르를 한 걸음 더 나아갔다. Roger R. Jackson에 따르면, 이 텍스트는 "전근대 티베트에서 쓰여진 종교 철학 중 가장 광범위한 것"이라고 한다. 비교철학과 비교 종교의 이 작품은 티베트 불교, 중국 불교, 중국 종교의 모든 학교와 인도, 몽골, 코탄의 종교 체계를 논하고 있다.[56]

19세기

19세기에는 영향력 있는 겔루그 승려, 시인, 그리고 특히 겔루그와 니잉마 전통에 대한 비종교적 연구로 특히 유명한 드조그첸 요기였던 샤브카르 sok드룩 랑드롤(1781~1851)의 위대한 모습이 보였다. 비종파주의에 관한 그의 저술은 약 30년 동안 리메 운동의 상승을 미리 보여주고 있다.[57] 그의 자서전과 다른 작품들은 겔루그 전통의 가르침과 닌잉마 학파의 가르침이 통합되어 있다.[58] 비종교적 활동과 관련이 있는 또 다른 겔루그 거장은 민야크 쿤짱 소남(1823년 - 1905년)이었다. 그는 Dzogchen 의술가였고 Ningma의 거장 Patrul Linpoche의 4대 달마 상속인 중 한 명이었다.[59][60]

13대 달라이 라마 시대(1876~1933년) 티베트는 중국으로부터의 독립을 되찾고 일부 개혁과 현대화 활동을 거쳤다. 13일은 현대적인 조세체계, 군, 경찰, 행정의 개발을 통해 티베트 국가를 중앙집중화하고 현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러한 변화들은 자신들의 재정을 운영하는데 익숙했던 엘리트 겔루그 기관들로부터 약간의 갈등을 야기시켰는데, 그 중 가장 충격적인 것은 제9대 판첸 라마가 달라이 라마와의 권력투쟁에서 패한 후 중국으로 망명했을 때였다.[61] 13대 달라이라마도 티베트 불교 성전의 새로운 현대판 인쇄를 시작했다.[62]

20세기에는 겔루그 기관에서 겐딘 처펠(1903–1951)과 파봉카 데첸 니잉포(1878–1941)를 비롯한 여러 영향력 있는 인물들이 생겨났다. 13대 달라이라마 집권기에 파봉카 종파적 성향을 중심으로 이른바 '도르제 슈그덴 논란'이 시작됐다. 겔루그 질서 내의 이 분열은 다른 불교 학파로부터 실천에 옮긴 겔루그스를 벌한다는 말을 들은 도르제 슈그덴이라는 수호신의 숭배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63]제13대 달라이 라마(본인이 닐마 조그첸과 신 바즈라킬라야를 행한 자)는 이 종파주의에 반대했다.[64][65]

PRC시대, 디아스포라와 웨스트.

2013년 마인드 앤드 라이프 연구소 XXVI에서 열린 제14회 달라이 라마, 투프텐 진파, 리처드 데이비슨과의 라제시 카스투리랑안. 마음과 생명 연구소는 불교와 과학에 관한 일련의 대화였으며, 이러한 대화들이 명상 과학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중화인민공화국에 의한 티베트 병합 후 수천 개의 티베트 수도원이 파괴되거나 훼손되었고(주로 1959년 티베트 봉기와 1966-1976년 문화 혁명 중), 14대 달라이 라마를 포함한 많은 겔루그 수도사들이 티베트 디아스포라의 일부로 인도로 망명했다. 겔로그의 3대 대학(세라, 드레풍, 간덴)이 인도에서 재현됐다. 달라이 라마의 현재 자리는 다람살라남기랄 수도원이며, 이 수도원은 뉴욕 이타카에 분원 수도원을 두고 있다.[66]

14대 달라이 라마는 현대 티베트 디아스포라의 중앙 지도자로, 티베트 자치와 인권을 계속 옹호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티베트 불교를 계속 가르치고 있다. 달라이 라마는 과학자와 철학자는 물론 수많은 정치와 종교 지도자들을 만나 비폭력, 종교대화, 불교와 과학의 대화를 촉진하고 있다.[67][68][69] 달라이 라마는 세계에서 가장 존경 받는 종교인 중 한 명이 되었다.[70][71]

수많은 다른 겔루그 선생님들이 현재 서양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겔루그 센터들은 서양 불교의 정규 부분이 되었다. 아마도 겔루그 전통과 연관된 가장 큰 종교단체는 1975년 투브텐 예헤투브텐 조파 린포체(Thubten Jopa Linpoche)가 설립한 마하야나 전통 보존 재단일 것이다. 이 단체는 수많은 명상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프랑스의 날란다 수도원과 같은 수도원, 마이트리파 대학과 같은 수도원을 운영하고 있다. 서양 불교도들을 가르친 다른 영향력 있는 겔루그 라마들로는 나왕 왕얄, 룬두브 소파, 게세 랍텐, 첸드 린포체, 쿄제 용진 린포체, 게세 라크도르, 다르도 린포체 등이 있다. 일부 겔루그 라마들도 근대 서양 대학 교육을 받기 위해 나아가 게렉 린포체, 게셰 웁텐 진파, 게셰 겔센, 소남 탁초와 같은 출판학자가 되었다.

디아스포라 겔루그 라마의 일부 서양 학생들(이들 중 일부는 모나스틱으로 시간을 보낸 사람들)도 알렉산더 베르진(B)을 비롯한 번역가와 교사뿐만 아니라 불교의 학자가 되었다. 앨런 월리스, 로버트 서먼, 로비나 코트린, 제프리 홉킨스, 도널드 S. 로페즈 주니어, 호세 카베손, 가이 마틴 뉴랜드, 니콜라스 브레랜드, 배리 커진, 글렌 뮬린, 개러스 스파럼.

미국의 겔루그 비흐수니인 Thubten Chodron은 미국에서 유일하게 서양의 비크수니들을 위한 티베트 불교 훈련 수도원인 Sravasti 사원의 설립자 겸 수도원이다.[72]

마오쩌둥 시대 불교의 잔혹한 탄압 이후 겔루그 학자 3명이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티베트 학문의 부흥에 중요한 인물이 되었다. 이들은 "세 개의 폴리매스"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들은 체텐 자브르룽(1910–1985), 무게 삼텐(1914–1993), 둥카르 로잔 트린레(1927–1997)이었다.[73]

제9대 젭툰담바 후투크투가 지휘하는 몽골 겔루그 학교는 1990년 몽골의 공산주의 통치 붕괴 이후 몽골 불교 부흥을 이끌었다. 겔루그 전통은 부랴티아, 칼미키아, 투바와 같은 현대 러시아 공화국에서도 강한 전통적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가르침

인도와 티베트 불교 명인들이 둘러싸고 있는 나무의 중앙에 제송카파를 묘사한 겔루그 리니지 피난처 트레상카. 이와 같은 탕카들은 종종 피난을 위한 초점으로 이용된다.

경로의 단계( 림)

쑹카파의 작품들은 인도의 고전적인 마하야나와 바하야나를 바탕으로 불교적 경로의 종합적인 비전을 제공하는 불교 교리의 체계적 합성을 담고 있다.[74] 주요 마하야나 가르침은 쑹하파의 그라데이션 경로의 대박람회(람림 첸모), 미드링 그라데드 경로(람림 '브링 바', 작은 그라데드 경로(람림 청응우) 등 다양한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75] 다른 관련 작품으로는 「길의 3원칙, 모든 좋은 자질의 기초」가 있다. 제3대 달라이 라마정제된 금의 정수, 판첸 로상 츄키 얄첸쉬운 길(de lam) 등 다른 인물들이 람림에 대한 다양한 엑스포도 있다.

이 람림 작품들은 샨티데바와 다른 인도 마디야마카 작가들의 작품뿐만 아니라 '각성하는 길을 위한 램프'에 나오는 인도의 거장 아티차(c. 11세기)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75] 겔루그 스콜라스틱스에 따르면 쑹하파(Tongkhhapa)의 경로 단계 발표는 아티샤를 통해 다시 나가르주나(만주쉬리로부터 받은 것)로 추적된다. 쑹카파도 아산가가 (미륵불이 가르쳐준 대로) 길을 제시하는 에서 나온 요소들을 통합했다고 한다.[76]

쑹카파 람림에서 사마타vipaśyana의 발표도 8세기 인도 교사 카말라la라바바나크라마(명상의 상태)에 바탕을 두고 있다.[77] 겔루그에서 또 다른 중요한 텍스트는 아티샤나 드롬톤과 같은 카담 거장들의 가르침을 담은 카담 이매션 경전이라고도 알려진 책이다.[78]

세 동기의 스키마를 유추합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인도의 고전 마하야나 불교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색과 수련 단계를 실천하는 점진적인 경로 모델이다. 불교적 경로의 제시는 가장 낮은 단계의 존재들(잘못된 견해를 가지고 있고 고통으로 가득 찬 사람들)에서 시작하여 부지런한 훈련과 윤리적 행동과 사색을 통해 이 상태에서 벗어나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길을 제시한다.[79] 파워스에 따르면, "이 길은 계층적으로 배열된 단계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구상되고 있으며, 연습생들은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각 단계를 완료할 것으로 기대된다"[79]고 한다.

람림 가르침은 일반적으로 동기부여의 세 가지 주요 범위를 기반으로 구성된다.[75][80][81][82][83][84]

  • 순환적 존재(삼사라)를 즐기고 더 높은 영역에서 좋은 재탄생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가장 낮은 범위. 이러한 동기를 위해 배우는 영적 실천에는 우리 인간 재탄생의 소중함을 숙고하고, 8대 세속적 관심에서 벗어나, 하층 재탄생의 괴로움을 숙고하고, 죽음에 대한 숙고, 인간 생명의 귀중함, 불순함을 숙고하고, 3대 보석에 피신하고, 카르미칼 라를 숙고하는 것이 포함된다.원인과 결과의 w 이 수준에 대한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10가지 해로운 행동을 피하고 10가지 건전한 행동을 함양함으로써 (사일라)의 실천이다.
  • 자신을 위한 재탄생 라운드에서 해방을 노리는 이들의 중간 범위(스라바카나 히나야나 동기). 이 중간 범위의 초점은 포기와 진정한 자유에 대한 욕구를 배양하는 것이다. 이는 모든 형태의 재탄생(최고의 형태도)이 어떻게 불만족스러운지(듀hakha)를 생각하는 것과 더불어 윤리(실라), 명상적 안정(사마디), 통찰(비파시아나)의 세 가지 훈련을 실천하는 데서 비롯된다. 이 수준에는 삼사라를 일으키는 6가지 뿌리 망상(클레아)을 고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의존적 기원 12가지 링크에 포함된 삼사라의 분석도 포함된다. 이 수준에는 공허(수냐타)에 대한 통찰도 포함되어 있지만, 마하야나에서처럼 철저하게 설명되지는 않는다.
  • 동정심이 큰 자에게 적합한 가장 높은 범위는 다른 자들의 해방을 돕기 위해 완전한 불상(마하야나 동기)을 얻으려고 하는 자들이다. 이는 각성(보디시타)의 정신의 생성과 모든 존재에 대한 사랑(마이트르타)과 동정(카루아)의 함양에서 시작하여, 7점 마인드 트레이닝, '우리 자신과 타인을 변화시키는 것', 통글렌, 보살 서약, 6 파라미타(사마타, vipa 포함)와 같은 실천의 함양에 이른다.무증상 명상), 공허의 직접적인 깨달음으로 절정을 이룬다.

람림의 가장 높은 범위는 불상의 빠른 달성을 돕기 위해 금강야나 방식으로 절정을 이룬다. 동기부여가 더 높아졌다고는 하지만, 이전의 동기부여는 하지 않는다.[85]

3주요 요소들

쑹카파(Tongkhhapa)는 그의 <경로 3원칙>에서 각성경로의 3대 요소를 다음과 같이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86][87][88]

  1. 순환적 존재, 즉 포기(naiṣkramya)를 확실히 남기려는 의도.
  2. 모든 지각 있는 존재들을 위해 불상을 얻으려는 의도를 불러일으킨다(보디시타, 각성하는 마음)
  3. 올바른 견해(삼야크dṭi), 즉 공허(수냐타)에 대한 적절한 이해.

쑹카파에 따르면 이 세 가지 요소는 모든 불교적 가르침과 실천의 본질을 담고 있으며 모든 경전, 서전, 탄트라의 공통 목표라고 한다.[79] 더욱이, Tongkhhapa에 따르면, 이것들은 단지 입문이나 부분적인 요소가 아니라, 모든 불교 관행, 봉합(즉, 비탄성 마하야나)이나 탄트릭을 위한 필수적인 기초라고 한다.[89]

추론과 공허감에 대한 묵상을.

겔루그에서 지혜의 완성(프라자파라미타)을 성취하려면 공허의 관점에 대한 적절한 이해가 필요하다. 람림 천모에서 쑹하파는 모든 지적 노력과 개념, 정신적 활동이 영적 이해의 장애물이라는 생각을 거부한다. 그는 또한 일종의 영속주의본질주의로 비치는 허무의 어떤 견해, 특히 심통(다른 공허)의 관점을 거부한다.[75] 겔루그 학파의 적정한 공허감은 쑹카파에서 해석한 나가르주나와 찬드라키르티프라산가리카 마히아미카 철학으로 간주된다. 제이 가필드에 따르면 쑹하파의 견해는 "나가르주나의 형이상학과 다르마키르티의 인식론과 논리를 종합한 것"[90]이라고 한다.

현상들이 나타나는 방식인지 확인하기 위해 처음에는 연구와 추론을 통해 공허에 대한 올바른 관점을 확립한다. 겔루그 텍스트에는 공허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얻고 통찰 명상(비파시아나)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많은 설명이 들어 있다. 겔루그 명상에는 "자신과 모든 현상의 공허함을 위한 것으로 절정을 이루는, 가르침의 논리적 논리에 대한 점별 사색"[91]이라는 분석적인 종류의 통찰 연습이 포함되어 있다.

존 파워스에 따르면:

추리의 초기 사용은 명상자가 모든 현상에 내재된 존재가 공허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하고, 이성적인 증거를 통해 이를 증명할 수 있다는 사실은 확신을 흔들리지 않게 한다. 그러나 개념적인 불안감을 얻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반복적인 친숙화를 통해 공허함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야 한다. 공허함을 수련할수록 자신의 분별력은 깊어져 개념적 사고의 필요성을 초월하고, 공허에 대한 인식이 직접적인 인식의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명상 속에서 어떤 현상을 고려할 때, 그 내재적 존재의 부재를 즉시 파악하게 된다.[92]

쑹카파에게 있어서 통찰력과 지혜의 훈련은 연민에서의 훈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공허에 대한 통찰력 훈련은 연민과 악절을 깊게 한다. 둘 다 서로 보강하고 강화한다.[93]

비나야

겔루그 학파는 영적 실천의 중심판으로서 비나야의 윤리와 수도원적 규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단계별, 순차적으로 영적 실천을 추구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된다. 겔루그는 수도승 서품을 스승(라마/구루)에게 필요한 자격과 근거로서 규정하는 유일한 바랴야나 불교 학파다.[citation needed] 보통 평신도들은 가까운 곳에 수도승 서약을 한 교사들이 있다면 입회를 허락하지 않는다.

Vajrayāna(비밀 만트라)

구야사마야 만다라를 중심으로 마뇨바야라를 신으로 삼았다.

겔루그 학파의 탄트리적인 실천도 쑹하파의 <시크릿 맨트라 대박람회>에 의해 경로 모델의 단계에 통합되어 있다. 이것은 구하사마야자, 카크라사시바라, 야만타카, 카라카크라 탄트라스와 같은 아누타라요가 탄트라탄트리 요가와 결합된다.[94][95]

Tongkhapa의 경우, Vajraayana 실천은 bodhicitta와 (vipaśyana 명상을 통한) 공허에 대한 통찰이 필요하며, 따라서 비탄트리 Mahayana(그리고 그것의 세 가지 주요 면인 포기, bodhicitta, 그리고 공허에 대한 통찰)는 겔로그의 Vajraina에 없어서는 안 될 것으로 보인다.[96] 실제로 쑹카파에 따르면, 허전함을 확인하지 않고서는 바즈랴나(Vajrayana)의 탄성적인 요가를 실천할 수 없다고 한다.[97]

겔루그 학파도 바즈랴나가 특별한 방법인 신요가의 난해한 실천에 의해서만 경트라와 구별된다는 쑹하파의 견해를 따르고 있는데, 이는 6개의 애정만을 행하는 연습보다 반드시 빠른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95][98]

Tongkhapa의 탄트릭 연습과 이론은 그가 "탄트라의 왕"으로 간주했던 글인 Guhyasamaja 탄트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95][99][100] 쑹하파는 자신을 "구야사마자 요기"라고 칭하며 자신을 전통의 부활자, 개혁자로 보았다.[101] 이와 같이 구야사마야자 탄트라는 겔루그 학교의 주임 탄트라다. 달라이 라마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겔루그에는 '누군가 이동 중이면 구하사마야자'라는 말이 있다. 한 사람이 고요하다면 그것은 구하사마야자이다. 명상을 하고 있다면 그것은 구하사마자에게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학문에 종사하든 실천에 종사하든 구하사마자는 자신의 초점이 되어야 한다."[102]

쑹카파도 다그포 카구유 선에서 나로파 6요가, 마하무드라의 감질나는 관행을 접목시켰다. 이 전통은 마하무드라 프레셔스 겔루그/카기위 전통을 위한 루트 텍스트(A Root Text for the Prevident Gelug/Kagyu Rusic of Mahmudra)를 작곡한 최초의 판첸 라마에 의해 계속되었다.[103]

겔루그 전통은 또한 Dzogchen의 가르침을 유지하고 있다; Lozang Gyatso, 5번째 달라이 라마, Thubten Gyatso, 13번째 달라이 라마, 그리고 14번째 달라이 라마는 Gelug-pa Dzogchen의 대가들이다.[web 1] 마찬가지로 초드의 실천은 겔로그파스(Chyabje Zong Linpoche)에 의해 가르쳤다.

독특한 구강기 계통

18세기 루빈 미술관 마뉴주리

겔루그 전통은 또한 독특한 구술지침의 계통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쑹카파(Tongkhhapa)가 보살 마뉴주르(Tib. Jampal 량양)로부터 받은 가르침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간덴 마냐슈르 주기의 구술지침에는 크게 두 가지 선형이 있는데, 이는 엔사 전통(질와 엔사파 로상 돈드럽에서 발췌)과 세규 혈통(제셰라브 센계로부터 발췌)이다. 인기 있는 라마 초파 실천의 가르침은 엔사 혈통을 통해 내려온다.[104]

데이비드 곤살레스에 따르면:

만주스리는 쑹카하파에게 구하사마자 탄트라로부터의 맑은 빛과 환상에 관한 가르침, 내면의 의 사용과 카크라사시바라 탄트라로부터의 액션 무드라에 대한 가르침, 그리고 바자라바(Vajrabhairava)의 실천을 결합하여 지혜를 높이고 장애를 극복하는 수단으로 삼도록 지시했다. 이것을 그의 짜릿한 연습의 기초로서 그는 구루 요가의 연습에 중심이 되는 람림로종의 기초를 확립해야 한다. 만주쉬리는 앞서 언급한 가르침의 모든 면에 대해 쑹하파에게 상세한 가르침을 주기 위해 계속하여 모든 것을 하나의 실천으로 통합하라고 충고했다. 이것이 라마 초파의 기원에 대한 자극제였다. 이러한 지시로부터 구루에서 제자로 구두로 전달되는 구루 요가의 아주 비밀스러운 시스템이 생겨났다.[104]

연구

2013년 티베트 세라 수도원에서 토론하는 승려들.

주요 주제고 텍스트

겔루그 학교는 형식적인 논쟁뿐만 아니라 주요 지문의 암기와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고도로 구조화된 학업 체계를 개발했다. 연구에 사용되는 주요 주제와 본문은 다음과 같다.[105][106]

  1. 몬스타틱 규율('dul ba, vinaya): 구나프라바의 비나야수트라
  2. 아비달마: 바수반두아비하르마코샤
  3. 인식론(tshad ma, pramana): 다르마키르티Pramanavarttika에 바탕을 둔 것으로, 디그나가 'Pramana의 비교'에 대한 논평이다.
  4. 마디야마카(dbu-ma): 찬드라키르티의 '마디야마카'야
  5. Prajnaparamita(파르피인): 미륵의 아비사마얄랑카라.

모든 겔로그 대학들은 Tongkhapa, Gyaltsab Je, Kedrub Je가 쓴 이 글들에 대한 논평들을 연구한다.[106]

Tsongkhapa의 6개의 본문 또한 겔루그 전통 연구의 주요 원천이다.

  1. 길의 무대의 대진출 (람림천모)
  2. 비밀 만트라 대진출 (sngag-rim chenmo)
  3. 해석적이고 결정적인 가르침에 대한 웅변의 본질 (Drng-nges 다리-bshad sning-po)
  4. 종속적 기원 (rTen-'brel bstodpa)
  5. Ghyasamaja의 5단계에 대한 명확한 설명과
  6. 황금 로사리 (gser-preng)

각 겔루그 수도원은 또한 추가적인 학문적 세부사항과 해석적 이슈를 설명하기 위해 쓰여진 코멘터리 교과서 세트(yig-cha)를 사용한다. 겔루그 교과서의 다양한 세트는 수많은 해석의 미세한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106] 주요 교과서 세트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06]

  • 간덴 장세, 세라 제, 세라 제에서 공부한 젯순 초키 질텐의 교과서 (1469-1544)
  • 케드럽 텐다르와(1493-1568), 세라메 대학에서 공부한 책
  • 드레풍 로슬 링, 간덴 샤르체, 규통, 라투 대학에서 연구되고 있는 판첸 소남 드라그파의 문헌(1478-1554)은,
  • 쿤키엔 잠양제파 (1648년-1721년)는 라브랑의 드레풍 고망대학에서 공부했다.

코스 오브 스터디

세라 수도원에서 토론하는 승려들

조르주 드레이퍼스에 따르면

연구된 각 주제에 대해 절차는 유사하다. 그 과정은 루트 텍스트의 경험적 암기와 때로는 그 논평의 경험적 암기로 시작된다. 논평을 통한 뿌리 본문의 해석으로 이어지며 변증법적 논쟁으로 절정을 이룬다.[107]

고상한 본문을 연구한 후에 승려가 난해한 본문의 연구와 실천에 들어갈 수 있는데, 특히 구하사마야자, 야만타카, 카크라삼바라 탄트라 등이 그렇다.[108]

모든 학문을 마친 스님은 그 후, 드물고 얻기 어려운 학위 수여를 시도할 수 있는데, 이 학위 수여는 완료하는 데 15년에서 25년이 걸릴 수 있다.[109] 존 파워스에 따르면, "겔루크파 전통은 어떤 사람들을 위대한 라마의 환생인 튤커스로 인식하지만, 다양한 수준의 학문적 성취는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완성할 수 있는 모든 남성들에게 열려 있다"[110]고 한다. 스님의 다양한 학위 및 학위 취득 능력에는 실력 외에 큰 제약이 없으며, 어느 사회 계층, 가족, 지역 출신도 있을 수 있다. 현대에는 여러 명의 서양인이 학위를 마쳤다.[110]

파워스는 또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검사의 일차적인 방법은 구술 논쟁인데, 승려가 광범위한 철학적 입장을 신속하게 평가하고, 그 중 어느 한 쪽도 다른 어떤 것에 대해서도 방어할 수 있어야 하며, 아무런 금지도 없는 지적 경합에서 승리(또는 최소한 자신의 입장을 고수해야 한다)해야 한다. 토론은 대체로 매우 활기차다...그 연습의 명시적인 목적은 승려들의 지성을 계발하는 것이며, 직접적인 변증법적 대립은 승려들이 철학적 입장을 옹호하고, 발로 서서 생각하고, 그들의 교리와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도록 훈련시킴으로써 이 목표를 달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09]

알렉산더 버진은 티베트에는 기억력 시험과 토론 시험인 두 가지 시험만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베르진 교수는 "인도 14대 달라이라마 개혁 이후 매년 필기시험(브라이언-강아지), 시 작문시험(rtsom-bri), 티베트 문화 및 종교사 시험(rgyal-rabs Chosbyung)도 통과해야 한다"고 말했다."[106]

수도원 학위를 획득한 후, 종종 3년간 지속되는 긴 명상 수련회에 들어가거나 탄트리크(Vajrayana)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파워스에 따르면 "이 제도의 이면에 있는 논리는 풀타임 명상을 하기 전에 먼저 불교 경전, 철학, 교리, 실천에서 철저한 근거를 얻어야 한다는 생각에 바탕을 두고 있다. 명상을 철저히 하는 수련생들은 이해력이 피상적인 수련생들보다 명상을 잘못하는 일이 적을 것이다."[111]

수도원과 혈통 보유자

2013년 티벳 간덴 수도원
세라 메이, 인도 세라 수도원

Monasteries

Tsongkhapa는 1409년 간덴의 수도원을 그의 주요 자리로 세웠다. 드레풍 수도원은 잠양 초제가, 세라 수도원은 초제 샤키야 예셰가, 타시 룬포 수도원은 제1대 달라이라마인 얄와 겐딘 드루프가 설립했다. 이 네 곳은 티베트에서 가장 크고 가장 강력한 겔루그 수도원이었다. 중국 점령 전에 간덴과 세라는 각각 약 5천 명의 승려를 둔 반면 드레풍은 7천 명 이상을 수용했다.[citation needed]

간쑤 성 샤허 현(및 티베트 전통의 암도 지방)에 있는 라브랑 수도원은 1709년 제1차 잠양즈파인 은가왕 천드루에 의해 설립되었다. 많은 겔루그 수도원과 사원들도 중국몽골뿐만 아니라 티베트 전역에 세워졌다.

행정 계통

제6회 간덴 트리파 초키 질트센 (1402–1473)

쑹카파 사후, 그의 가르침은 간덴 수도원의 거점으로 그의 후계자였던 얄차브 제와 케드럽 게렉 펠짱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전파되었다. 이들은 겔루그 학교 전체의 공식 대표가 된 최초의 "간덴 트리파"(dga'ldan khripa, Ganden Rethrostholder) 사무실이었다. 이 혈통은 현재 소유자인 Thubten Nyima Lungtok Tenzin Norbu,[112] 102번째 간덴 트리파 (그리고 자주 오해되진 않지만 달라이 라마는)가 아직도 보유하고 있다.

간덴 트리파(Ganden Tripa)는 규메(Gyume)와 규토(Gyuto) 상·하위 탄트리(Lower Tantric)대학의 최고위층 출신들이 갖고 있는 선출직이다. 그 사무실은 7년 동안만 지속된다.[113] 이는 다른 티베트 학교들이 특정한 툴쿠스(카르마파스족과 같은 반국가적인 라인업)나 특정 씨족(호른족이 이끄는 사키야족과 같은)에 의해 주도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113]

겔루그의 주요 혈통 보유자는 다음과 같다.

참고 항목

메모들

참조

인용구

  1. ^ Jump up to: a b c 케이, 데이비드 N. (2007) 영국의 티베트 및 선불교: 이식, 개발적응, 페이지 39. 루틀리지.
  2. ^ 샤이크, 샘 밴. 티베트: 역사. 예일대 프레스 2011, 129페이지.
  3. ^ Alexander Berzin, The Origin of the Yellow Hat, Berzin 아카이브는 2020년 9월 18일을 회수했다.
  4. ^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67. 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5. ^ 2001년, 367페이지.
  6. ^ 레이, 레지날드 파괴할 수 없는 진실: 티베트 불교의 살아있는 영성, 8장.
  7. ^ Tsong Khapa (2006년). 오션 오브 추리: 나가르주나의 무라마디야마카리카에 대한 대평, 페이지 ix-x
  8. ^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69. 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9. ^ 크리스탈 미러 6: 1971, 달마 출판, 464페이지, 0-913546-59-3
  10. ^ 샤브카르의 삶: 마티외 리카드의 티벳 요긴의 자서전 뉴욕 주립대학 출판부: 1994. ISBN0-7914-1835-9 페이지 25
  11. ^ 반 샤이크 티베트 불교의 정령, 페이지 10.
  12. ^ 진파, 투프텐. 티베트 철학의 자아, 현실 그리고 이성. 루트리지 2002, 10페이지.
  13. ^ 라마 쑹카파, 람림 천모 V3 페이지 224-267
  14. ^ 스파람, 가레스, "Tsongkhapa",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 (Fall 2017 Edition), 에드워드 N. 잘타 (ed.
  15. ^ 샘 반 샤이크(2011년). 티베트: 역사, 페이지 109. 예일 대학 출판부.
  16. ^ 진파, 투프텐(2019년). 쑹카파: 눈의 나라에 있는 부처. 보울더, 코오: 샴발라 출판물 329-365페이지. ISBN 9781611806465.
  17. ^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76.
  18. ^ 샘 반 샤이크(2011년). 티베트: 역사, 104-105쪽. 예일 대학 출판부.
  19. ^ Jump up to: a b 진파, 투프텐(2019년). 쑹카파: 눈의 나라에 있는 부처. 보울더, 코오: 샴발라 출판물 365페이지. ISBN 9781611806465.
  20. ^ 진파, 투프텐(2019년). 쑹카파: 눈의 나라에 있는 부처. 보울더, CO: 샴발라 출판물. 페이지 365-372. ISBN 9781611806465.
  21. ^ Jump up to: a b c d e f 진파, 투프텐(2019년). 쑹카파: 눈의 나라에 있는 부처. 보울더, 코오: 샴발라 출판물 329-365페이지. ISBN 9781611806465.
  22. ^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75.
  23. ^ 샘 반 샤이크(2011년). 티베트: 역사, 107 페이지 예일 대학 출판부.
  24. ^ 페티트, 존 W. (2013). Mipham의 확실성의 비콘: Dzogchen, Great Perfect, 페이지 136. Simon과 Schuster.
  25. ^ 잠곤 미팜, 파드마카라 번역 그룹(2017). 지혜의 장: 잼괴언 미팜의 <보살길 9장> 해설. 페이지 30. 샴발라 출판사.
  26. ^ 잠곤 미팜, 파드마카라 번역 그룹(2017). 지혜의 장: 잼괴언 미팜의 <보살길 9장> 해설. 페이지 31. 샴발라 출판사.
  27. ^ Jump up to: a b c 맥케이 2003, 페이지 18.
  28. ^ Jump up to: a b c d e 맥케이 2003, 페이지 19.
  29. ^ Laird, Thomas(2006년). 티벳 이야기: 달라이 라마와의 대화, 144 페이지 뉴욕 그로브 프레스, ISBN 978-0-8021-1827-1
  30. ^ 노르부, 터프텐 지그메와 턴불, 콜린 M. (1968년) 티베트: 티베트의 역사, 종교, 그리고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219페이지. 뉴욕, 터치스톤 북스 ISBN 0-671-20099-2(hbk), ISBN 0-671-20559-5(pbk).
  31. ^ Jump up to: a b c d 진파, 투프텐(2019년). 쑹카파: 눈의 나라에 있는 부처. 보울더, CO: 샴발라 출판물. 페이지 365-372. ISBN 9781611806465.
  32. ^ 또한 소남 초에펠 또는 소남 랍텐
  33. ^ 삼텐 G. 카마이, The Great Fifth
  34. ^ Waddell, L. Austine (1895). The Buddhism of Tibet or Lamaism: with its Mystic Cults, Symbolism and Mythology, and in its Relation to Indian Buddhism. London. p. 63. OCLC 475275688. And as we have seen in the previous chapter, the Ge-lug-pa sect in 1640, under its fifth Grand Lama, leapt into temporal power as the dominant sect in Tibet, and has ever since remained the Established Church for the country.
  35. ^ 티베트는 나의 나라: 249페이지 하인리히 해러에게 달라이 라마의 형제인 Thubten Jigme Norbu의 자서전. 에드워드 피츠제럴드의 영어 번역, 1960년 출간. 업데이트된 새 장과 함께 재인쇄(1986): 런던의 지혜 출판사 ISBN 0-86171-045-2.
  36. ^ 샘 반 샤이크(2011년). 티베트: 역사, 페이지 119. 예일 대학 출판부.
  37. ^ Jump up to: a b 샘 반 샤이크(2011년). 티벳: 역사, 페이지 133. 예일 대학 출판부.
  38. ^ 상예 데시 갸초; 킬티, 개빈 (번역자) (2016) 베릴의 거울: 티베트 의학에 대한 역사적 소개, 페이지 1. 사이먼과 슈스터
  39. ^ Chuluun, Sampildondov; Bulag, Uradyn E. (2013). The Thirteenth Dalai Lama on the Run (1904–1906): Archival Documents from Mongolia. BRILL. p. 17. ISBN 978-9004254558.
  40. ^ Goldstein, Melvyn C. (2007). A History of Modern Tibet, Volume 2: The Calm Before the Storm: 1951–19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267. ISBN 978-0-520-24941-7.
  41. ^ "China, Tibet and the Dalai Lama". The Economist.
  42. ^ 잭슨, 로저, "마하무드라 하워드 드단의 dGe ldan-bKa' brgyud 전통? 뉴랜드, 가이, 변화된 마음: 제프리 홉킨스를 기리기 위한 불교와 티베트 연구에 대한 기고문 2001 페이지 155.
  43. ^ 월리스, 베스나 A. (2015년) 몽골 역사, 문화, 사회에서의 불교 (불교)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페이지 엑스픽스. ISBN 978-0199958665.
  44. ^ Jump up to: a b 샘 반 샤이크(2011년). 티베트: 역사, 122-123쪽. 예일 대학 출판부.
  45. ^ 샘 반 샤이크(2011년). 티베트: 역사, 128페이지. 예일 대학 출판부.
  46. ^ 유 도크위안, "제6대 달라이 라마의 사랑 노래", 학계 시니카 모노그래프, 시리즈 A, 5번, 1930년
  47. ^ Paul D. Williams (2005년). 사랑의 노래, 슬픔의 시: 6대 달라이 라마의 에로틱한 시. I. B. 타우리스.
  48. ^ Thubten Samphel과 Tendar. 롤리 & 얀센(2004년). 티베트의 달라이 라마, 페이지 101. 뉴델리.
  49. ^ 멀린, 글렌 H.(2001) 달라이 라마 14: 환생의 신성한 유산. 페이지 302-308. 라이트 퍼블리셔 지우기. 산타페, NM. ISBN 1-57416-092-3.
  50. ^ 샘 반 샤이크(2011년). 티베트: 역사, 140-141페이지. 예일 대학 출판부.
  51. ^ 멀린, 글렌 H.(2001) 달라이 라마 14: 환생의 신성한 유산. 라이트 퍼블리셔 지우기. 산타페, NM. ISBN 1-57416-092-3.
  52. ^ Jump up to: a b c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76.
  53. ^ 창키아 뢰페이 도르제; 로페즈, 도날드 (번역기) (2019). 메루 산의 아름다운 장식, 소개. 사이먼과 슈스터.
  54. ^ Bloom-bzaṅ-dkon-mchog, Daniel Cozort, Craig Preston(2003). 불교 철학: 로상 귄촉의 테네츠에 대한 잠양 샤이바의 <뿌리 텍스트>에 대한 짧은 해설, 페이지 시시. 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55. ^ 사무엘, 제프리(2012년). 티베트 불교 소개. 세계 종교를 소개한다. 아빙돈: 루트리지. 페이지 249. ISBN 978-0-415-45664-7
  56. ^ 투켄 로상 초키 니마, 잭슨, 로저 (편집자) (2017). 철학적 체계의 결정 거울: 아시아 종교 사상의 티베트 연구. 사이먼과 슈스터.
  57. ^ Rachel H. Pang, "Shabkar Tsokdruk Rangdrol (1781년-1851년)", Revue d'Etudes Tibétaines (29번, 에이브릴 2014년, 페이지 5-30년).
  58. ^ 페티트, 존 W. (2013). Mipham의 확실성의 비콘: Dzogchen의 시야를 비추는 대완전, 페이지 12. 사이먼과 슈스터.
  59. ^ "Minyak Kunzang Sonam". The Treasury of Lives. Retrieved 2021-10-17.
  60. ^ 쿤짱 펠덴(2010년). 만주쉬리 연설의 : 샨티데바의 보살 길, p. xiv. 샴발라 출판사.
  61. ^ 샘 반 샤이크(2011년). 티베트: 역사, 196-200페이지. 예일 대학 출판부.
  62. ^ 샘 반 샤이크(2011년). 티벳: 역사, 200-201페이지. 예일 대학 출판부.
  63. ^ 케이, 데이비드 N. (2004) 영국의 티베트 및 선불교: 이식, 개발적응, 페이지 43. 런던: Routrege Curzon. 페이지 44-52. ISBN 0-415-29765-6
  64. ^ 나타냐, 에바(2018). 오픈 마인드: 레랍 링파의 시선과 명상. 사이먼과 슈스터.
  65. ^ 볼트리니, 라이몬도(2013년). 달라이 라마와 데몬, 5부, 올드 토겐은 121을 기록하고 있다. 헤이 하우스.
  66. ^ "Overview of Namgyal Ithaca – Namgyal Monastery Institute of Buddhist Studies". Retrieved 2021-05-17.
  67. ^ Koch, Christof (July 1, 2013). "Neuroscientists and the Dalai Lama Swap Insights on Meditation". Scientific American. Retrieved 5 May 2021.
  68. ^ Foley, Ryan J. (May 14, 2010). "Scientist, Dalai Lama Share Research Effort". NBC News. Associated Press. Retrieved 5 May 2021.
  69. ^ 나는 인도의 고대사상을 전하는 사람이다: 달라이 라마, 나는 인도의 고대사상을 전하는 사람이다. 달라이 라마 힌두스탄 타임스, 달라이 라마 스토리 페이지 USATODAY.com 2012년 10월 3일 웨이백 머신, 캐나다 티벳 위원회 뉴스룸 WTN "나는 인도의 고대 사상을 전하는 사람이다": 달라이 라마; 2009년 11월 14일; 이타나가르 인도 익스프레스 신문, 힌두스탄 타임즈 신문, PTI 뉴스, 달라이 라마 인용 페이지 – USATODAY.com; 공식 웹사이트; 중국 변화의 조짐: 달라이 라마; 바이 슈모지트 배너지; 2010년 5월 27일; 힌두 신문
  70. ^ Regina A. Corso (29 May 2013). "The Dalai Lama, President Obama and Pope Francis at Highest Levels of Popularity in U.S. and Five Largest European Countries". New York: Harris, A Nielsen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pril 2015. Retrieved 1 May 2015.
  71. ^ Matthew Smith (22 September 2020). "World's most admired 2020". YouGov.
  72. ^ "Home - Sravasti Abbey - A Buddhist Monastery". Sravasti Abbey. Retrieved 2017-07-28.
  73. ^ 윌록, 니콜(2021년). 문학의 라인업: 사회주의 중국의 티베트 불교 다학사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
  74. ^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81. 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75. ^ Jump up to: a b c d 루그, D.. 세이포트, 「송카파(2015년)」의 소개, 계몽주의 길의 단계에 관한 대서특필 (1권). 샴발라 출판물.
  76. ^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84. 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77. ^ 하비, 피터 불교 입문: 가르침, 역사 및 실천(종교 입문) 제2판 341페이지.
  78. ^ Thubten Jinpa (번역기) 카담의 서: 핵심 텍스트
  79. ^ Jump up to: a b c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82. 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80. ^ Geshe Lhundup Sopa, David Patt, Beth Newman(2004). 계몽주의의 길을 걷는 단계: 송하파의 람림 천모에 대한 해설, 2-5페이지. 사이먼과 슈스터.
  81. ^ 파봉카 린포체; 트리장 린포체(편집자); 리차드, 마이클(번역기) 손금속의 해방: 계몽주의의 길에 대한 간결한 담론 (신개정판) 2006. 지혜 출판물. 보스턴
  82. ^ 베르진, 알렉산더 그라데이션된 경로 소개 studybuddhism.com
  83. ^ Tsenzhab Serkong Linpoche. 1976년 10월 인도 다람살라에서 열린 세미나의 람림 그라데이션 전통 발표: 알렉산더 베르진(Alexander Berzin)이 번역했다.
  84. ^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85-90.
  85. ^ 하비, 피터 불교 입문: 가르침, 역사 및 실천 (종교 입문) 제2판 208쪽
  86. ^ 제송카파, 라마 조파 린포체 (번역자) (2010) 경로의 삼원칙.
  87. ^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82.
  88. ^ Geshe Lhundup Sopa, David Patt, Beth Newman(2004). 계몽주의의 길을 걷는 계단: 송하파의 람림 천모에 대한 해설, 3페이지.
  89. ^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83. 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90. ^ 가필드, 제이 L; 게쉬 은가왕 삼텐; 쑹 카파(2006) 오션 오브 추리닝: 나가르주나의 물라마디야마카리카에 대한 위대한 논평, 페이지 x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91. ^ 레이, 레지날드 불멸의 진실 티베트 불교의 살아있는 영성 196-197페이지
  92. ^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90-91. 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93. ^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90. 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94. ^ 크리스탈 미러 6: 1971, 달마 출판, 464페이지, 0-913546-59-3
  95. ^ Jump up to: a b c 스파람, 가레스, "Tsongkhapa",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 (Fall 2017 Edition), 에드워드 N. 잘타 (ed.
  96. ^ 아놀드, 에드워드 A. (2021년) Tongkhapa의 Sutra와 Tsongkhapa's Coordination of Sutra and Tantra: 티베트 불교 자아 창조의 금욕적 수행, 서술 철학, 286페이지. 컬럼비아 대학의 박사 논문.
  97. ^ Tsongkhapa (Gavin Kilty에 의해 번역됨) (2012), 5단계를 비추는 램프: 구야사마자 탄트라에 대한 가르침, 98쪽. 사이먼과 슈스터.
  98. ^ 쑹카파, 달라이 라마, 홉킨스, 제프리(2016), 페이지 8, 189-194.
  99. ^ 쑹카파, 달라이 라마, 홉킨스, 제프리(2016), 페이지 7.
  100. ^ Tsongkhapa (Gavin Kilty에 의해 번역됨) (2012), 5단계를 비추는 램프: 구야사마자 탄트라에 대한 가르침, 11-12페이지, 14페이지. 사이먼과 슈스터.
  101. ^ Tsongkhapa (Gavin Kilty에 의해 번역됨) (2012), 5단계를 비추는 램프: 구야사마자 탄트라에 대한 가르침, 페이지 12. 사이먼과 슈스터.
  102. ^ 달라이 라마의 웨이백 머신(06-12-2000)에서 2010-04-19를 보관하고 03-23-2010을 검색한 제2차 겔로그 컨퍼런스 연설.
  103. ^ 베르진, 알렉산더, 달라이 라마. 마하무드라의 겔루그/카규 전통, 1997
  104. ^ Jump up to: a b Kachen Yeshe Gyaltsen; Gonsalez, David(2019년). 만주쉬리의 가장 내면의 비밀: 라마 초파 실천에 관한 구두 지시의 심오한 해설, 1-5페이지. 사이먼과 슈스터.
  105. ^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77-78. 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106. ^ Jump up to: a b c d e Berzin, Alexander. "The Gelug Monastic Education System". studybuddhism.com. Retrieved 2021-10-19.
  107. ^ 드레퓌스, 조지 두 손이 박수를 치는 소리 티베트 승려의 교육, 2003년 108쪽
  108. ^ 드레퓌스, 조지 두 손이 박수를 치는 소리 티베트 승려의 교육, 2003년 118쪽
  109. ^ Jump up to: a b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78. 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110. ^ Jump up to: a b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페이지 479. 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111. ^ 파워스, 존(2007) 티베트 불교 소개, 480페이지. 스노우 라이온 출판물.
  112. ^ "Loselingmonastery -". Loselingmonaste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8-04. Retrieved 2014-11-26.
  113. ^ Jump up to: a b Berzin, Alexander. "Special Features of the Gelug Tradition". studybuddhism.com. Retrieved 2021-10-20.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