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롱

Melong
비마 나이팅크의 혈통 소유자인 드루브홉 멜롱 도르제(1243~1303)는 목에 거울을 매달고 있는 모습이 그려졌다.

멜롱(티베탄: མེལང, Willie: me long; 산스크리트어: ādarśa, darpaṇa)는 "거울", "보기글라스"를 뜻하는 티베트어 용어다. 멜롱다발성 상징, 신성한 속성, 깨달은 마음가짐이나 보드히타의 질이다.

의미와 의의

거울은 인도 종교 전반에 걸쳐 고대의 상징이다. 인도의 우상화에서 그것은 명료성, 건전성 또는 완전한 지각, 그리고 마음의 흐름이나 의식의 '원초순도'(카다그)의 상징으로 이해될 수 있다. 거울은 종종 완전히 실현된 마하시다, 조겐파, 마하무드라 사다카해기적 기호를 나타내는[a] 것으로 묘사된다. 거울은 클레샤 등에 의해 형성되는 외설 없이 경험을 있는 그대로 지각하는 것을 나타내는 마음의 질로 이해될 수 있다.

탄트리크 불교

그 거울은 진보된 규뤼의 탄트리크 새드하나에 걸려 있을지도 모른다. 거울처럼, 마음처럼. 요가카라를 따르는 정신으로서의 거울은 비록 직접적으로 변형되지는 않고 '모든 속성과 자질(nirguna)'을 넘어서지만 질과 형태를 반영한다.

소여는 다르마팔라 마하칼라에 대한 '제사의식 제물 배열'[b]을 묘사한 19세기 마하칼라 실크에 관한 전시회의 큐레이터 노트와 함께 쓴 에세이에서 다르마카야에 대한 '거울' 아이콘그래피의 중요성에 주목한다.

다르마카야나 진리 본체를 대표하는 외관 유리/거울(T. me-long, Skt. adarsa)은 순도(거울은 오염이 없다)와 지혜(거울은 구별 없이 모든 현상을 반영한다.[1]

거울 모티브는 불교 문학 전반에 널리 퍼져 있으며 드조겐의 전통에 중요하다. A number of texts use the mirror motif in their title, such as The Mirror of the Heart of Vajrasattva (Tibetan: རྡོ་རྗེ་སེམས་དཔའ་སྙིང་གི་མེ་ལོང, Wylie: rdo rje sems dpa' snying gi me long) which is one of the Seventeen Tantras of the Upadesha.

악쇼비야

거울은 '거울 지식'(산스크리트어: ardarśa-jna; 참조파냐나)의 구현인 오타타가타 중 하나인 악쇼비야의 우상화의 일부다.

참고 항목

메모들

  1. ^ 어센션(Accountrement)은 에티몬(Refer, accentrement)이라는 의미에서 여기에 사용된다.
  2. ^ '제사의 배열'은 간택("장식의 숙주")이나 강자("연회의 재료")의 장르 안에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반켓'이 가나카크라야

참조

  1. ^ Sawyer, Chad (3 June 1998). "Offerings to Mahakal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anuary 2009. Retrieved 14 March 2009.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