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유전자는 두 개의 모공 형성 P 도메인을 포함하는 칼륨 채널 단백질의 슈퍼 패밀리 중 하나인 K92P.1을 암호화한다.이 열린 채널은 소뇌에서 매우 잘 발현된다.세포외 산성화 및 아라키돈산에 의해 억제되며 포르볼12-미리스틴산13-아세테이트에 [6][7]의해 강하게 억제된다.포르볼 12-미리스틴산염 13-아세테이트는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13-아세테이트(TPA)라고도 한다.작업 채널은 GqPCR을 통해 신호를 보내는 호르몬 및 송신기에 의해 추가로 억제됩니다.결과적으로 생기는 세포 탈분극은 운동 조절과 알도스테론 분비와 같은 과정을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이러한 억제의 기초가 되는 정확한 메커니즘에 대한 초기 논란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관점은 포스폴리파아제 Cβ에 의한포스파티딜리노시톨-4,5-비스-인산의 분해에 의해 생성된 디아실-글리세롤이 채널 폐쇄를 유발한다는 것이다.[8]
KCNK9 유전자는 TASK 3으로 더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온 채널로 발현됩니다.이 채널에는 다양한 표현 패턴이 있습니다.TASK 3은 소뇌과립세포, 강직, 운동신경세포, 폰틴핵, 신피질 일부 세포, 하베눌라, 후구과립세포, [9]후구외측 플렉스상세포에서 TASK 1(KCNK3)과 함께 발현된다.TASK-3 채널은 피라미드 세포와 인터뉴론 [10]모두에서 해마에서도 발현된다.이들 채널은 표현들이 공존하는 [11][12]헤테로디머를 형성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기능.
TASK-3 유전자가 삭제된 생쥐는 흡입 마취에 대한 민감도를 감소시키고, 야간의 활동 및 인지 결핍을 증가시키며, 식욕과 체중 [13][14]증가를 현저하게 증가시켰다.신경 네트워크 진동에서 TASK-3 채널의 역할도 설명되었습니다.작업-3 녹아웃 생쥐는 해마에서 아트로핀에 민감한 할로탄 유도 세타 진동(4-7Hz)이 부족하고 급속 안구 운동([14]REM) 수면 중 세타 진동을 유지할 수 없다.
^Linden AM, Aller MI, Leppä E, Rosenberg PH, Wisden W, Korpi ER (October 2008). "K+ channel TASK-1 knockout mice show enhanced sensitivities to ataxic and hypnotic effects of GABA(A) receptor ligands".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327 (1): 277–86. doi:10.1124/jpet.108.142083. PMID18660435. S2CID31086459.
Chapman CG, Meadows HJ, Godden RJ, Campbell DA, Duckworth M, Kelsell RE, Murdock PR, Randall AD, Rennie GI, Gloger IS (2001). "Cloning, localisation and functional expression of a novel human, cerebellum specific, two pore domain potassium channel". Brain Res. Mol. Brain Res. 82 (1–2): 74–83. doi:10.1016/S0169-328X(00)00183-2. PMID11042359.
Vega-Saenz de Miera E, Lau DH, Zhadina M, Pountney D, Coetzee WA, Rudy B (2001). "KT3.2 and KT3.3, two novel human two-pore K(+) channels closely related to TASK-1". J. Neurophysiol. 86 (1): 130–42. doi:10.1152/jn.2001.86.1.130. PMID11431495.
Rusznák Z, Pocsai K, Kovács I, Pór A, Pál B, Bíró T, Szücs G (2004).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TASK-1, TASK-2 and TASK-3 immunoreactivities in the rat and human cerebellum". Cell. Mol. Life Sci. 61 (12): 1532–42. doi:10.1007/s00018-004-4082-3. PMID15197476. S2CID11439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