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DAC3

VDAC3
VDAC3
식별자
별칭VDAC3, HD-VDAC-3, 전압 종속 음이온 채널 3
외부 IDOMIM: 610029 MGI: 106922 HomoloGene: 36115 GeneCard: VDAC3
직교체
인간마우스
엔트레스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01135694
NM_005662

NM_001198998
NM_011696

RefSeq(단백질)

NP_001129166
NP_005653

NP_001185927
NP_035826

위치(UCSC)Chr 8: 42.39 – 42.41MbChr 8: 23.07 – 23.08Mb
PubMed 검색[3][4]
위키다타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보기/편집

전압 의존성 음이온 선택적 채널 단백질 3(VDAC3)은 인간에서 8번 염색체의 VDAC3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되는 단백질이다.[5][6] 이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된 단백질은 전압에 의존하는 음이온 채널이며 다른 VDAC 이소폼과 높은 구조 호몰로학을 공유한다.[5][6][7]그럼에도 불구하고, VDAC3는 제한된 모공 형성 능력을 입증하며, 대신 다른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정자 플라겔라 조립체 및 센트리올 조립체를 포함한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한다.[8][9]VDAC3의 돌연변이는 파킨슨병뿐만 아니라 남성 불임과 관련이 있다.[10][11]

구조

인간의 세 가지 VDAC 이소 형태는 특히 3D 구조와 관련하여 보존성이 매우 높다.VDACs는 넓은 β-바렐 구조를 형성하며, 그 안에 N단자가 상주하여 모공을 부분적으로 닫는다.VDAC3 ISO 형식의 순서는 이황화 교량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β-바렐의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풍부한 시스테인을 포함하고 있다.[7]VDAC에는 단백질이 외부 미토콘드리아 막으로 변환하기 위한 미토콘드리아 표적 시퀀스도 포함되어 있다.[12]VDAC3는 아직 VDAC3b라고 불리는 전체 길이 형태와 더 짧은 형태를 포함한 여러 개의 ISO 형식을 보유하고 있다.이 짧은 형태는 주로 세포 중심에서 전체 길이 형태에 걸쳐 표현된다.[8]

함수

VDAC3는 미토콘드리아 포린 계열에 속하며 다른 VDAC ISO 형식과 유사한 생물학적 기능을 공유할 것으로 예상된다.VDAC는 외부 미토콘드리아 막을 가로질러 ATP와 다른 작은 대사물들을 운반함으로써 세포대사에 관여한다.또한 VDACs는 미토콘드리아 투과성 전이공(MPTP)의 일부를 형성하여 시토크롬 C를 방출하여 사멸을 유도한다.[13]VDACs는 또한 Bcl-2 계열 단백질과 키나아제와 같은 친 또는 반독성 단백질과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왔으며, 따라서 MPTP와는 독립적으로 세포사멸에 기여할 수 있다.[14]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험은 VDAC3 ISO 형식의 모공 형성 능력 부족을 밝혀내 다른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0][15]특히 모든 VDAC 이소성형은 보편적으로 표현되지만, VDAC3는 정자외밀섬유(ODF)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여기서 정자플라겔라의 적절한 조립과 유지보수를 촉진하기 위한 가설을 세운다.[8][9]ODF 막은 모공 형성을 지원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VDAC3는 단백질 파트너와 상호 작용하여 ODF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6]예를 들어, 세포 내에서 VDAC3는 주로 센트로솜에 위치하며, 센트리올 어셈블리를 조절하기 위해 Mps1을 모집한다.[8][9]미토콘드리아에 대한 국산화인 경우, VDAC3와 Mps1의 상호작용이 대신 cherry 분해로 이어진다.[9]

임상적 유의성

VDAC3는 외부 막을 통한 아데닌 뉴클레오티드의 변환에 관여하는 미토콘드리아 막 채널 그룹에 속한다.이러한 채널은 헥소키나아제글리세롤키나아제를 위한 미토콘드리아 결합 부지로도 기능할 수 있다.VDAC는 미토콘드리아 사망 경로와 심장 근소세포 세포사멸 신호의 일부로서 세포사멸과 산화 스트레스의 중요한 구성 요소다.[17]프로그램된 세포 죽음은 메타조인에게 필수적인 뚜렷한 유전적, 생화학적 경로다.성공적인 배아 발달과 정상적 조직 생활습관 유지를 위해서는 온전한 죽음의 통로가 필요하다.사멸은 다른 필수적인 세포 경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세포사망 경로에서 중요한 제어 지점의 식별은 기초 생물학에 대한 근본적인 통찰력을 제공했으며,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타당한 목표를 제공했으며, 정상적인 발생 과정 또는 세포 손상(심장마비뇌졸중 중 허혈-재융 부상 등) 동안 또는 ca에서 발병 및 과정 중에 제공했다.세포핵 세포인 ncer는 세포수축, 혈장막 표백, 핵응축, DNA의 파편화를 포함한 구조적 변화를 겪는다.이것은 뒤이어 포구세포에 의해 빠르게 제거되는 세포사체로 분열되어 염증 반응을 예방한다.[18]특징적인 형태학적, 생화학적, 분자적 변화로 정의되는 세포사멸의 한 방식이다.처음에는 "수축 괴사"로 묘사되었고, 그 후 이 용어는 세포 운동학에서 유사 분열 반대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 세포 사멸로 대체되었다.세포사멸의 후기에는 전체 세포가 분열되어 핵 및 세포질 원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플라스마 막 경계 세포 사체를 형성한다.괴사의 초구조적 외형은 상당히 다른데, 주된 특징은 미토콘드리아 붓기, 혈장막파괴, 세포분해 등이다.사멸은 많은 생리적, 병리적 과정에서 발생한다.프로그래밍된 세포사멸로서 발생발달 중 중요한 역할을 하며, "원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하는 메커니즘의 역할을 하는 다양한 정상적인 비자발적 과정을 수반한다.

또한 VDAC3는 심장의 허혈성 전제 조건화 중과 같은 허혈성 재융해 손상에 대한 심장 절제술에 관여하였다.[19]비록 반응성 산소 종의 큰 폭발이 세포 손상으로 이어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치명적이지 않은 짧은 허혈증 에피소드 동안 발생하는 미토콘드리아에서 ROS를 적당히 방출하는 것은 허혈성 전제 조건의 신호 전달 경로에서 세포 손상 감소로 이어지는 중요한 촉발 역할을 할 수 있다.심지어 이 반응성 산소 종의 방출 동안 VDAC3는 여기서 세포 사멸과 세포 사멸을 조절함으로써 미토콘드리아 세포 사멸 경로 전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VDAC3는 정자의 운동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므로 VDAC3를 놓친 수컷 생쥐는 불임을 초래한다.[10]VDAC3의 돌연변이는 파킨슨병과도 관련이 있는데, VDAC3는 미토콘드리아에 결함이 있는 미토콘드리아를 대상으로 하여 미토파기(mitochondria)를 제거하려는 것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이러한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하지 못하면 파킨슨병의 원인인 반응성 산소종이 축적된다.[11]또한 VDAC3-null 생쥐는 기대 멘델 비율에서 태어난 것으로 밝혀졌다.돌연변이 암컷은 비옥했지만, 수컷은 현저하게 감소된 정자 운동성 때문은 아니었다.[20]대부분의 경피성 차축은 구조적 결함을 보였으며, 가장 일반적으로 차축성 내 보존 위치에서 단일 미세 관이 이중으로 손실되었다.고환 정자의 경우 결함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을 뿐이며, 이는 정자가 성숙하는 동안 정상적으로 형성된 축소의 불안정성이 발생했음을 시사한다.이와는 대조적으로 기관상피실리아는 구조적 이상을 보이지 않았지만, 각막 세포의 수가 감소했다.골격근에서는 미토콘드리아가 비정상적으로 형성되어 호흡사슬 복합효소의 활동이 줄어들었다.구연산 싱타아제 활성은 변하지 않았으며, 이는 호흡 체인 결함에 반응하여 흔히 발생하는 미토콘드리아 증식의 부재를 시사한다.

상호작용

VDAC3는 다음과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스 89: ENSG000078668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스 89: ENSMUSG000008892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a b Mao M, Fu G, Wu JS, Zhang QH, Zhou J, Kan LX, Huang QH, He KL, Gu BW, Han ZG, Shen Y, Gu J, Yu YP, Xu SH, Wang YX, Chen SJ, Chen Z (Jul 1998). "Identification of genes expressed in human CD34(+) hematopoietic stem/progenitor cells by expressed sequence tags and efficient full-length cDNA clonin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5 (14): 8175–80. doi:10.1073/pnas.95.14.8175. PMC 20949. PMID 9653160.
  6. ^ a b Rahmani Z, Maunoury C, Siddiqui A (Nov 1998). "Isolation of a novel human voltage-dependent anion channel gene". European Journal of Human Genetics. 6 (4): 337–40. doi:10.1038/sj.ejhg.5200198. PMID 9781040.
  7. ^ a b Amodeo GF, Scorciapino MA, Messina A, De Pinto V, Ceccarelli M (2014). "Charged residues distribution modulates selectivity of the open state of human isoforms of the voltage dependent anion-selective channel". PLOS ONE. 9 (8): e103879. doi:10.1371/journal.pone.0103879. PMC 4146382. PMID 25084457.
  8. ^ a b c d e Majumder S, Slabodnick M, Pike A, Marquardt J, Fisk HA (Oct 2012). "VDAC3 regulates centriole assembly by targeting Mps1 to centrosomes". Cell Cycle. 11 (19): 3666–78. doi:10.4161/cc.21927. PMC 3478317. PMID 22935710.
  9. ^ a b c d Majumder S, Fisk HA (Mar 2013). "VDAC3 and Mps1 negatively regulate ciliogenesis". Cell Cycle. 12 (5): 849–58. doi:10.4161/cc.23824. PMC 3610733. PMID 23388454.
  10. ^ a b c Reina S, Palermo V, Guarnera A, Guarino F, Messina A, Mazzoni C, De Pinto V (Jul 2010). "Swapping of the N-terminus of VDAC1 with VDAC3 restores full activity of the channel and confers anti-aging features to the cell". FEBS Letters. 584 (13): 2837–44. doi:10.1016/j.febslet.2010.04.066. PMID 20434446. S2CID 22130291.
  11. ^ a b c Sun Y, Vashisht AA, Tchieu J, Wohlschlegel JA, Dreier L (Nov 2012). "Voltage-dependent anion channels (VDACs) recruit Parkin to defective mitochondria to promote mitochondrial autophagy".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7 (48): 40652–60. doi:10.1074/jbc.M112.419721. PMC 3504778. PMID 23060438.
  12. ^ De Pinto V, Messina A, Lane DJ, Lawen A (May 2010). "Voltage-dependent anion-selective channel (VDAC) in the plasma membrane". FEBS Letters. 584 (9): 1793–9. doi:10.1016/j.febslet.2010.02.049. PMID 20184885. S2CID 3391282.
  13. ^ "Entrez Gene: voltage-dependent anion channel 3".
  14. ^ Lee MJ, Kim JY, Suk K, Park JH (May 2004). "Identification of the hypoxia-inducible factor 1 alpha-responsive HGTD-P gene as a mediator in the mitochondrial apoptotic pathway".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24 (9): 3918–27. doi:10.1128/mcb.24.9.3918-3927.2004. PMC 387743. PMID 15082785.
  15. ^ De Pinto V, Guarino F, Guarnera A, Messina A, Reina S, Tomasello FM, Palermo V, Mazzoni C (2010). "Characterization of human VDAC isoforms: a peculiar function for VDAC3?".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Bioenergetics. 1797 (6–7): 1268–75. doi:10.1016/j.bbabio.2010.01.031. PMID 20138821.
  16. ^ Hinsch KD, De Pinto V, Aires VA, Schneider X, Messina A, Hinsch E (Apr 2004). "Voltage-dependent anion-selective channels VDAC2 and VDAC3 are abundant proteins in bovine outer dense fibers, a cytoskeletal component of the sperm flagellum".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9 (15): 15281–8. doi:10.1074/jbc.M313433200. PMID 14739283.
  17. ^ Danial NN, Korsmeyer SJ (Jan 2004). "Cell death: critical control points". Cell. 116 (2): 205–19. doi:10.1016/S0092-8674(04)00046-7. PMID 14744432. S2CID 10764012.
  18. ^ Kerr JF, Wyllie AH, Currie AR (Aug 1972). "Apoptosis: a basic biological phenomenon with wide-ranging implications in tissue kinetics". British Journal of Cancer. 26 (4): 239–57. doi:10.1038/bjc.1972.33. PMC 2008650. PMID 4561027.
  19. ^ Liem DA, Honda HM, Zhang J, Woo D, Ping P (Dec 2007). "Past and present course of cardioprotection against ischemia-reperfusion injury".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3 (6): 2129–36. doi:10.1152/japplphysiol.00383.2007. PMID 17673563.
  20. ^ Sampson MJ, Decker WK, Beaudet AL, Ruitenbeek W, Armstrong D, Hicks MJ, Craigen WJ (Oct 2001). "Immotile sperm and infertility in mice lacking mitochondrial voltage-dependent anion channel type 3".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6 (42): 39206–12. doi:10.1074/jbc.M104724200. PMID 11507092.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