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v2.1

Cav2.1
CACNA1A
사용 가능한 구조
PDBOrtholog 검색: PDBe RCSB
식별자
에일리어스CACNA1A, APCA, BI, CACNL1A4, CAV2.1, EA2, FHM, HPCA, MHP, MHP1, SCA6, Cav2.1, 칼슘 전압 게이트 채널 서브유닛 알파1A, EIE42, DE42
외부 IDOMIM : 601011 MGI : 109482 HomoloGene : 56383 GenCard : CACNA1A
맞춤법
종.인간마우스
엔트레즈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23035
NM_000068
NM_001127221
NM_001127222
NM_001174080

NM_001252059
NM_001252060
NM_001252061
NM_007578

RefSeq(단백질)

NP_000059
NP_001120693
NP_001120694
NP_001167551
NP_075461

NP_001238988
NP_001238989
NP_001238990
NP_031604

장소(UCSC)Chr 19: 13.21 ~13.63 MbChr 8: 85.07 ~85.37 Mb
PubMed 검색[3][4]
위키데이터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표시/편집

Pv/Q 전압 의존형 칼슘 채널이라고도 불리는 Ca2.1은 주로 [5]에서 발견되는 칼슘 채널이다.특히, 그것은 뇌와 [5]소뇌에 있는 뉴런의 시냅스 전 말단에서 발견됩니다.Ca2v.1은 [5]뉴런 사이의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알파-1, 베타, 알파-2/델타 및 감마 서브유닛을 [6]포함한 여러 서브유닛으로 구성됩니다.알파-1 서브유닛은 모공 형성 서브유닛으로 칼슘 이온이 이 [6]서브유닛을 통해 흐릅니다.칼슘 채널의 종류에 따라 알파-1 서브유닛의 아이소폼(버전)이 다릅니다.Ca2v.1은 CACNA1A [a][5]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알파-1A 서브유닛을 [6]가진다.CACNA1A의 돌연변이는 가족성 반신마비성 편두통, 일회성 운동실조증 2, 척추신경실조증 [5]6을 포함한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과 관련되어 있다.

기능.

"전압 의존형 칼슘 채널은 칼슘 이온이 흥분성 세포로 들어가는 것을 중재하며 근육 수축, 호르몬 또는 신경 전달 물질 방출, 유전자 발현 등 다양한 칼슘 의존형 과정에도 관여합니다.칼슘 채널은 알파-1, 베타, 알파-2/델타 및 감마 서브유닛으로 구성된 다중 서브유닛 복합체이다.채널 활성은 기공 형성 알파-1 서브유닛에 의해 지시되며, 다른 서브유닛은 이 활성을 조절하는 보조 서브유닛으로 작용한다.칼슘 채널 유형의 특징적인 특성은 주로 알파-1A, B, C, D, E 및 S 등 다양한 알파-1 동위원소의 발현과 관련이 있습니다.이 유전자는 주로 신경 조직에서 발현되는 알파-1A 서브유닛을 암호화한다."[6]

임상적 의의

CACNA1A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가족성 반신마비성 편두통, 일회성 운동실조증, 다중 발작 유형의 [8]간질과 같은 일시적 신경 장애와 관련이 있다. 뇌전증

이 유전자는 (CAG)n-반복에 의한 다형성 변이도 보인다.이 유전자에 대해 서로 다른 아이소폼을 코드하는 여러 개의 전사 변형이 발견되었다.한 세트의 전사 변이체에서 (CAG)n-반복은 3' UTR에서 발생하며 어떤 질병과도 관련이 없다.그러나 다른 변종 세트에서는 삽입은 폴리글루타민로를 부호화하는 (CAG)n-반복기를 포함하도록 부호화 영역을 확장한다.부호화 영역에서의 (CAG)n-반복의 확대는 척추신경실조증 [6]6과 관련되어 있다.

상호 작용

Cav2.1은 CACNB4[9][10]상호작용하는 으로 나타났습니다.

메모들

  1. ^ "CACNA1A는 유전자의 전체 이름인 CAlcium voltage-gate ChaNnel subunit AIpha 1A의 줄임말로 [7]유전자에 의해 코드화된 단백질의 설명입니다."

레퍼런스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즈 89: ENSG00000141837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즈 89: ENSMUSG000034656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a b c d e Sutherland HG, Albury CL, Griffiths LR (21 June 2019). "Advances in genetics of migraine". The Journal of Headache and Pain. 20 (1): 72. doi:10.1186/s10194-019-1017-9. PMC 6734342. PMID 31226929.
  6. ^ a b c d e "CACNA1A". Gen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16 March 2021. Retrieved 28 March 2021.{{cite web}}: CS1 maint :url-status (링크)
  7. ^ "The Science of CACNA1A". CACNA1A Foundation. Retrieved 28 March 2021.
  8. ^ Papandreou A, Danti FR, Spaull R, Leuzzi V, Mctague A, Kurian MA (February 2020). "The expanding spectrum of movement disorders in genetic epilepsies".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62 (2): 178–191. doi:10.1111/dmcn.14407. PMID 31784983. S2CID 208498567.
  9. ^ Walker D, Bichet D, Campbell KP, De Waard M (January 1998). "A beta 4 isoform-specific interaction site in the carboxyl-terminal region of the voltage-dependent Ca2+ channel alpha 1A subunit".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3 (4): 2361–7. doi:10.1074/jbc.273.4.2361. PMID 9442082.
  10. ^ Walker D, Bichet D, Geib S, Mori E, Cornet V, Snutch TP, et al. (April 1999). "A new beta subtype-specific interaction in alpha1A subunit controls P/Q-type Ca2+ channel activation".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4 (18): 12383–90. doi:10.1074/jbc.274.18.12383. PMID 10212211.

추가 정보

추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