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NE3
KCNE3KCNE3 | |||||||||||||||||||||||||||||||
---|---|---|---|---|---|---|---|---|---|---|---|---|---|---|---|---|---|---|---|---|---|---|---|---|---|---|---|---|---|---|---|
식별자 | |||||||||||||||||||||||||||||||
에일리어스 | KCNE3, HOKPP, HYPP, MiRP2, 칼륨 전압 게이트 채널 서브패밀리E 규제 서브유닛3, BRGDA6 | ||||||||||||||||||||||||||||||
외부 ID | OMIM : 604433 MGI : 1891124 HomoloGene : 3994 GenCard : KCNE3 | ||||||||||||||||||||||||||||||
| |||||||||||||||||||||||||||||||
| |||||||||||||||||||||||||||||||
| |||||||||||||||||||||||||||||||
| |||||||||||||||||||||||||||||||
위키데이터 | |||||||||||||||||||||||||||||||
|
칼륨 전압 게이트 채널, Isk 관련 패밀리, 멤버 3(KCNE3)은 MinK 관련 펩타이드 2(MiRP2)로도 알려져 있으며, KCNE3 [5][6]유전자에 의해 인체에서 코드되는 단백질이다.
기능.
전압 개폐 칼륨 채널v(K)은 기능적 및 구조적 관점에서 전압 개폐 이온 채널의 가장 복잡한 클래스를 나타냅니다.그들의 다양한 기능은 신경전달물질 방출, 심박수, 인슐린 분비, 신경 흥분성, 상피 전해질 수송, 평활근 수축, 세포 부피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KCNE3는 전압게이트칼륨(Kv) 채널 보조 또는 β 서브유닛의 5강 KCNE 패밀리 멤버를 부호화한다.
KCNE3는 KCNQ1v Kα 서브유닛을 조절하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이종공현실험 및/또는 생체내에서의 hERG, K2v.1, K3v.x, K4v.x 및 K12v.2도 조절한다.
KCNE3와의 공동조립은 KCNQ1을 전압의존성 지연정류기 K+채널에서 약선형 전류/전압([7]I/V) 관계를 가진 구성개방형 K+채널로 변환한다.KCNQ1-KCNE3 채널은 Cl- [8]분비를 조절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마우스 소장암세포의 기저외막에서 검출되었다.KCNE3의 세포외 도메인(D54 및 D55)과 KCNQ1의 [9][10]전압의존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막외 세그먼트(V72) 내의 특정 아미노산이 중요하다.D54 및 D55는 KCNQ1 전압센서의 S4 세그먼트에서 R237과 정전적으로 상호작용하여 S4를 활성화 상태에서 안정시키고 셀이 강한 과분극(음)막전위로 유지되지 않는 한 채널을 잠근다.KCNQ1-KCNE3 채널이 약하게 음의 막 전위에서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은 장에서와 같은 비흥성 분극 상피 세포에서의 활동을 허용합니다.
KCNE3는 또한 hERG와 상호작용하며, Xenopus laevis 난모세포 KCNE3에서 함께 발현될 경우 알려지지 않은 메커니즘에 의해 hERG 활성을 억제한다.hERG-KCNE3 복합체가 [7]생체 내에서 발생하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KCNE3는 체외에서 Kv2.1과 상호작용하며 쥐의 심장과 뇌에서 복합체를 형성한다.KCNE3는 Kv2.1의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느리게 합니다.KCNE3는 또한 Kv3 서브패밀리의 채널을 조절할 수 있는데, Kv3 서브패밀리는 매우 빠른 게이트(활성화 및 비활성화)로 인해 뉴런의 초긴장 발사를 허용하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KCNE3는 Kv3.1과 Kv3.2의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완만하게 늦추고 [11][12]C타입의 비활성화를 완만하게 한다.Kv3.1 및 Kv3.2의 KCNE3(및 KCNE1 및 2) 규제는 Kv3 서브패밀리 [13]내에서 기능 다양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KCNE3는 또한 Kv3.4를 조절하고, 채널이 더 많은 음전압에서 열 수 있도록 단일 컨덕턴스를 증가시키고 전압 의존성을 좌회전시킴으로써 전류를 증가시킵니다.이를 통해 Kv3.4-KCNE3 채널이 휴지막 [14]전위를 설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KCNE3는 사람의 심장근세포에서v 일시적인 외부 Kv 전류(Ito)[15]를 생성하는 K채널 K4.3의 빠른 비활성화를v 억제합니다.비슷하게, KCNE3는 최근 Kv4.2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조절은 청각 [16]뉴런의 스파이크 주파수와 다른 전기적 특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Kv12.2 채널은 Xenopus laevis 난모세포에서 내인성 KCNE3(및 KCNE1) 서브유닛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따라서 내인성 KCNE3 또는 KCNE1의 siRNA를 이용한 소음은 외생적으로 발현되는 Kv12.2의 거시적 전류를 증가시킨다.Kv12.2는 난모세포에서 KCNE1 및 KCNE3와 3중 복합체를 형성하며, 마우스 [17]뇌에서 그렇게 할 수 있다.앞서 내인성 난모세포 KCNE3와 KCNE1도 외인성 HERG 활성을 억제하고 외인성 Kv2.[18][19]1의 게이트를 느리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조.
KCNE 단백질은 I형 막단백질이며, 각 단백질은 1종 이상의v K채널α 서브유닛을 조합하여 게이트 동태 및 기타 기능 파라미터를 변조한다.KCNE3는 다른 KCNE [20]단백질에 비해 1차 구조 측면에서 세포외 도메인이 크고 세포내 도메인이 작다.다른 KCNE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KCNE3의 막 통과 세그먼트는 α 나선형이라고 생각되며 세포외 도메인도 부분적으로 나선형 구조를 [21]채택한다.KCNE1 및 다른 KCNE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복합체 내 Kvα 서브유닛의 사량체 내에서 하나의 α 서브유닛의 S4 및 다른 α 서브유닛의 S6과 접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기능성 채널 복합체 내의 KCNE3 서브유닛의 수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으며, 이는 2 또는 4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다.
조직 분포
KCNE3는 대장, 소장, 그리고 [22]위의 특정 세포 유형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발현된다.콩팥과 기관에서도 검출이 가능하며 종류에 따라 뇌, 심장, 골격근의 낮은 수준에서도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특히 KCNE3는 쥐,[12][23][24] 말, 사람의 심장에서는 검출됐지만 쥐의 [8][25]심장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일부는 쥐의 뇌, 쥐와 인간의 골격근, 그리고 생쥐의 C2C12 골격근 세포주에서의 KCNE3 발현을 관찰했고, 다른 일부는 [8][11][14][26]생쥐의 이러한 조직들에서 그것을 검출하지 못했다.
임상적 의의
생쥐의 Kcne3 유전자의 유전적 교란은 염화물 전류 조절에 중요한 장내 KCNQ1-KCNE3 채널의 교란을 통해 장내 순환 AMP 자극 염화물 분비를 저해한다.KCNE3는 쥐 기관 상피에서도 비슷한 기능을 한다.또한 마우스에서의 Kcne3 결실은 심실 부정맥 형성을 일으키기 쉽지만, 마우스 심장에서는 KCNE3 발현이 검출되지 않는다.심실 부정맥 형성을 위한 메커니즘은 간접적이며 부신의 자가면역 공격 및 2차 과알도스테론증(KCNE3는 부신에서 검출되지 않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혈청 알도스테론의 증가는 관상동맥 결찰 허혈/재액 손상 모델에서 트리거되는 부정맥의 경향이 있다.스피로노락톤에 의한 알도스테론 수용체 차단은 Kcne3-/- 마우스에서 심실 부정맥 소인을 제거했다.또한 Kcne3 결실은 청각 시스템의 나선 신경절 뉴런(SGN)에서 KCNE3에 의한 Kv4.2 채널의 조절 상실로 인해 청각 기능을 손상시킨다.KCNE3는 Kv4.[16]2의 변조를 통해 SGN 발화 특성과 막 전위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인간 KCNE3의 돌연변이는 저칼륨 주기성[5] 마비 및 브루가다 [27]증후군과 관련이 있다.
KCNE3의 R83H 돌연변이와의 연관성은 논란이 되고 있으며, 다른 그룹은 주기적 [28]마비 증상을 보이지 않는 개체에서 동일한 돌연변이를 검출했다.그 돌연변이는 양성 다형성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병원성이 되기 전에 또 다른 유전적 또는 환경적 '타격'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Kv3.4 및 R83H-KCNE3에 의해 형성된 Kv 채널은 야생형 채널에 비해 기능이 저하되고 음전위에서의 개방성이 떨어지며 산증 [14][29]시 양성자 블록에 민감하다.
KCNE3 연결 브루가다 증후군은 돌연변이 KCNE3가 건강한 개인에서 권장되는 것처럼 심실근세포에서 Kv4.3 채널을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생쥐와는 달리 KCNE3 발현이 사람의 심장에서 검출되는 것으로 보인다.KCNE3 돌연변이를 가진 사람들도 과알도스테론증과 같은 부신 관련 증상을 보이는지는 보고되지 않았다.
KCNE3 돌연변이는 이명, 자발적 현기증, 주기적 [30]난청으로 나타나는 질환인 일본어 Méniere병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되었지만, 이 연관성은 또한 논란이 되고 백인 [31]집단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심층 재시퀀싱 분석을 이용한 이명의 연구에서 저자는 KCNE3 배열 변동과 [32]이명의 연관성을 입증하거나 반증할 수 없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이 기사의 2015년 버전은 외부 전문가에 의해 이중 출판 모델로 업데이트되었다.대응하는 학술 동료 리뷰 기사는 Gene에 게재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인용할 수 있다. Geoffrey W Abbott (24 September 2015). "KCNE1 and KCNE3: The yin and yang of voltage-gated K(+) channel regulation". Gene. Gene Wiki Review Series. 576 (1 Pt 1): 1–13. doi:10.1016/J.GENE.2015.09.059. ISSN 0378-1119. PMC 4917010. PMID 26410412. Wikidata Q37028794. |
레퍼런스
-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즈 89: ENSG00000175538 - 앙상블, 2017년 5월
-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즈 89: ENSMUSG000035165 - 앙상블, 2017년 5월
-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 a b "Entrez Gene: KCNE3 potassium voltage-gated channel, Isk-related family, member 3".
- ^ Abbott GW, Sesti F, Splawski I, Buck ME, Lehmann MH, Timothy KW, Keating MT, Goldstein SA (Apr 1999). "MiRP1 forms IKr potassium channels with HERG and is associated with cardiac arrhythmia". Cell. 97 (2): 175–87. doi:10.1016/S0092-8674(00)80728-X. PMID 10219239. S2CID 8507168.
- ^ a b Schroeder BC, Waldegger S, Fehr S, Bleich M, Warth R, Greger R, Jentsch TJ (Jan 2000). "A constitutively open potassium channel formed by KCNQ1 and KCNE3". Nature. 403 (6766): 196–9. Bibcode:2000Natur.403..196S. doi:10.1038/35003200. PMID 10646604. S2CID 205004809.
- ^ a b c Preston P, Wartosch L, Günzel D, Fromm M, Kongsuphol P, Ousingsawat J, Kunzelmann K, Barhanin J, Warth R, Jentsch TJ (Mar 2010). "Disruption of the K+ channel beta-subunit KCNE3 reveals an important role in intestinal and tracheal Cl- transport".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5 (10): 7165–75. doi:10.1074/jbc.M109.047829. PMC 2844166. PMID 20051516.
- ^ Melman YF, Krumerman A, McDonald TV (Jul 2002). "A single transmembrane site in the KCNE-encoded proteins controls the specificity of KvLQT1 channel gating".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7 (28): 25187–94. doi:10.1074/jbc.M200564200. PMID 11994278.
- ^ Choi E, Abbott GW (May 2010). "A shared mechanism for lipid- and beta-subunit-coordinated stabilization of the activated K+ channel voltage sensor". FASEB Journal. 24 (5): 1518–24. doi:10.1096/fj.09-145219. PMC 2879946. PMID 20040519.
- ^ a b McCrossan ZA, Lewis A, Panaghie G, Jordan PN, Christini DJ, Lerner DJ, Abbott GW (Sep 2003). "MinK-related peptide 2 modulates Kv2.1 and Kv3.1 potassium channels in mammalian brain".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3 (22): 8077–91. doi:10.1523/JNEUROSCI.23-22-08077.2003. PMC 6740484. PMID 12954870.
- ^ a b McCrossan ZA, Roepke TK, Lewis A, Panaghie G, Abbott GW (Mar 2009). "Regulation of the Kv2.1 potassium channel by MinK and MiRP1". The Journal of Membrane Biology. 228 (1): 1–14. doi:10.1007/s00232-009-9154-8. PMC 2849987. PMID 19219384.
- ^ Lewis A, McCrossan ZA, Abbott GW (Feb 2004). "MinK, MiRP1, and MiRP2 diversify Kv3.1 and Kv3.2 potassium channel gating".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9 (9): 7884–92. doi:10.1074/jbc.M310501200. PMID 14679187.
- ^ a b c Abbott GW, Butler MH, Bendahhou S, Dalakas MC, Ptacek LJ, Goldstein SA (Jan 2001). "MiRP2 forms potassium channels in skeletal muscle with Kv3.4 and is associated with periodic paralysis". Cell. 104 (2): 217–31. doi:10.1016/s0092-8674(01)00207-0. PMID 11207363. S2CID 16809594.
- ^ Lundby A, Olesen SP (Aug 2006). "KCNE3 is an inhibitory subunit of the Kv4.3 potassium channel".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46 (3): 958–67. doi:10.1016/j.bbrc.2006.06.004. PMID 16782062.
- ^ a b Wang W, Kim HJ, Lee JH, Wong V, Sihn CR, Lv P, Perez Flores MC, Mousavi-Nik A, Doyle KJ, Xu Y, Yamoah EN (Jun 2014). "Functional significance of K+ channel β-subunit KCNE3 in auditory neuron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9 (24): 16802–13. doi:10.1074/jbc.M113.545236. PMC 4059123. PMID 24727472.
- ^ Clancy SM, Chen B, Bertaso F, Mamet J, Jegla T (22 July 2009). "KCNE1 and KCNE3 beta-subunits regulate membrane surface expression of Kv12.2 K(+) channels in vitro and form a tripartite complex in vivo". PLOS ONE. 4 (7): e6330. Bibcode:2009PLoSO...4.6330C. doi:10.1371/journal.pone.0006330. PMC 2710002. PMID 19623261.
- ^ Anantharam A, Lewis A, Panaghie G, Gordon E, McCrossan ZA, Lerner DJ, Abbott GW (Apr 2003). "RNA interference reveals that endogenous Xenopus MinK-related peptides govern mammalian K+ channel function in oocyte expression studie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8 (14): 11739–45. doi:10.1074/jbc.M212751200. PMID 12529362.
- ^ Gordon E, Roepke TK, Abbott GW (Feb 2006). "Endogenous KCNE subunits govern Kv2.1 K+ channel activation kinetics in Xenopus oocyte studies". Biophysical Journal. 90 (4): 1223–31. Bibcode:2006BpJ....90.1223G. doi:10.1529/biophysj.105.072504. PMC 1367273. PMID 16326911.
- ^ Abbott GW, Sesti F, Splawski I, Buck ME, Lehmann MH, Timothy KW, Keating MT, Goldstein SA (Apr 1999). "MiRP1 forms IKr potassium channels with HERG and is associated with cardiac arrhythmia". Cell. 97 (2): 175–87. doi:10.1016/s0092-8674(00)80728-x. PMID 10219239. S2CID 8507168.
- ^ Kang C, Vanoye CG, Welch RC, Van Horn WD, Sanders CR (Feb 2010). "Functional delivery of a membrane protein into oocyte membranes using bicelles". Biochemistry. 49 (4): 653–5. doi:10.1021/bi902155t. PMC 2811756. PMID 20044833.
- ^ Grahammer F, Warth R, Barhanin J, Bleich M, Hug MJ (Nov 2001). "The small conductance K+ channel, KCNQ1: expression, function, and subunit composition in murine trachea".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6 (45): 42268–75. doi:10.1074/jbc.M105014200. PMID 11527966.
- ^ Finley MR, Li Y, Hua F, Lillich J, Mitchell KE, Ganta S, Gilmour RF, Freeman LC (Jul 2002). "Expression and coassociation of ERG1, KCNQ1, and KCNE1 potassium channel proteins in horse heart".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Heart and Circulatory Physiology. 283 (1): H126–38. doi:10.1152/ajpheart.00622.2001. PMID 12063283.
- ^ Delpón E, Cordeiro JM, Núñez L, Thomsen PE, Guerchicoff A, Pollevick GD, Wu Y, Kanters JK, Larsen CT, Hofman-Bang J, Burashnikov E, Christiansen M, Antzelevitch C (Aug 2008). "Functional effects of KCNE3 mutation and its role in the development of Brugada syndrome". Circulation: Arrhythmia and Electrophysiology. 1 (3): 209–18. doi:10.1161/CIRCEP.107.748103. PMC 2585750. PMID 19122847.
- ^ Hu Z, Crump SM, Anand M, Kant R, Levi R, Abbott GW (Feb 2014). "Kcne3 deletion initiates extracardiac arrhythmogenesis in mice". FASEB Journal. 28 (2): 935–45. doi:10.1096/fj.13-241828. PMC 3898654. PMID 24225147.
- ^ Pannaccione A, Boscia F, Scorziello A, Adornetto A, Castaldo P, Sirabella R, Taglialatela M, Di Renzo GF, Annunziato L (Sep 2007). "Up-regulation and increased activity of KV3.4 channels and their accessory subunit MinK-related peptide 2 induced by amyloid peptide are involved in apoptotic neuronal death". Molecular Pharmacology. 72 (3): 665–73. doi:10.1124/mol.107.034868. PMID 17495071. S2CID 7159171.
- ^ Delpón E, Cordeiro JM, Núñez L, Thomsen PE, Guerchicoff A, Pollevick GD, Wu Y, Kanters JK, Larsen CT, Hofman-Bang J, Burashnikov E, Christiansen M, Antzelevitch C (Aug 2008). "Functional effects of KCNE3 mutation and its role in the development of Brugada syndrome". Circulation: Arrhythmia and Electrophysiology. 1 (3): 209–18. doi:10.1161/CIRCEP.107.748103. PMC 2585750. PMID 19122847.
- ^ Sternberg D, Tabti N, Fournier E, Hainque B, Fontaine B (Sep 2003). "Lack of association of the potassium channel-associated peptide MiRP2-R83H variant with periodic paralysis". Neurology. 61 (6): 857–9. doi:10.1212/01.wnl.0000082392.66713.e3. PMID 14504341. S2CID 15449273.
- ^ Abbott GW, Butler MH, Goldstein SA (Feb 2006). "Phosphorylation and protonation of neighboring MiRP2 sites: function and pathophysiology of MiRP2-Kv3.4 potassium channels in periodic paralysis". FASEB Journal. 20 (2): 293–301. doi:10.1096/fj.05-5070com. PMID 16449802. S2CID 21538479.
- ^ Doi K, Sato T, Kuramasu T, Hibino H, Kitahara T, Horii A, Matsushiro N, Fuse Y, Kubo T (2005). "Ménière's disease is associated with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 the human potassium channel genes, KCNE1 and KCNE3". ORL; Journal for Oto-Rhino-Laryngology and Its Related Specialties. 67 (5): 289–93. doi:10.1159/000089410. PMID 16374062. S2CID 11258678.
- ^ Campbell CA, Della Santina CC, Meyer NC, Smith NB, Myrie OA, Stone EM, Fukushima K, Califano J, Carey JP, Hansen MR, Gantz BJ, Minor LB, Smith RJ (Jan 2010). "Polymorphisms in KCNE1 or KCNE3 are not associated with Ménière disease in the Caucasian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Part A. 152A (1): 67–74. doi:10.1002/ajmg.a.33114. PMID 20034061. S2CID 25363712.
- ^ Sand PG, Langguth B, Kleinjung T (7 September 2011). "Deep resequencing of the voltage-gated potassium channel subunit KCNE3 gene in chronic tinnitus". Behavioral and Brain Functions. 7: 39. doi:10.1186/1744-9081-7-39. PMC 3180252. PMID 21899751.
추가 정보
- Bonaldo MF, Lennon G, Soares MB (Sep 1996). "Normalization and subtraction: two approaches to facilitate gene discovery". Genome Research. 6 (9): 791–806. doi:10.1101/gr.6.9.791. PMID 8889548.
- Melman YF, Domènech A, de la Luna S, McDonald TV (Mar 2001). "Structural determinants of KvLQT1 control by the KCNE family of protein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6 (9): 6439–44. doi:10.1074/jbc.M010713200. PMID 11104781.
- Dedek K, Waldegger S (Sep 2001). "Colocalization of KCNQ1/KCNE channel subunits in the mouse gastrointestinal tract". Pflügers Archiv. 442 (6): 896–902. doi:10.1007/s004240100609. PMID 11680623. S2CID 25496942.
- Abbott GW, Goldstein SA (Mar 2002). "Disease-associated mutations in KCNE potassium channel subunits (MiRPs) reveal promiscuous disruption of multiple currents and conservation of mechanism". FASEB Journal. 16 (3): 390–400. doi:10.1096/fj.01-0520hyp. PMID 11874988. S2CID 26205057.
- Mazhari R, Nuss HB, Armoundas AA, Winslow RL, Marbán E (Apr 2002). "Ectopic expression of KCNE3 accelerates cardiac repolarization and abbreviates the QT interval".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09 (8): 1083–90. doi:10.1172/JCI15062. PMC 150950. PMID 11956246.
- Dias Da Silva MR, Cerutti JM, Arnaldi LA, Maciel RM (Nov 2002). "A mutation in the KCNE3 potassium channel gene is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thyrotoxic hypokalemic periodic paralysi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87 (11): 4881–4. doi:10.1210/jc.2002-020698. PMID 12414843.
- Jurkat-Rott K, Lehmann-Horn F (Mar 2004). "Periodic paralysis mutation MiRP2-R83H in controls: Interpretations and general recommendation". Neurology. 62 (6): 1012–5. doi:10.1212/01.wnl.0000119392.29624.88. PMID 15037716. S2CID 16831070.
- Lundquist AL, Turner CL, Ballester LY, George AL (Jan 2006). "Expression and transcriptional control of human KCNE genes". Genomics. 87 (1): 119–28. doi:10.1016/j.ygeno.2005.09.004. PMID 16303284.
- Panaghie G, Tai KK, Abbott GW (Feb 2006). "Interaction of KCNE subunits with the KCNQ1 K+ channel pore". The Journal of Physiology. 570 (Pt 3): 455–67. doi:10.1113/jphysiol.2005.100644. PMC 1479883. PMID 16308347.
- Oh JH, Yang JO, Hahn Y, Kim MR, Byun SS, Jeon YJ, Kim JM, Song KS, Noh SM, Kim S, Yoo HS, Kim YS, Kim NS (Dec 2005). "Transcriptome analysis of human gastric cancer". Mammalian Genome. 16 (12): 942–54. doi:10.1007/s00335-005-0075-2. PMID 16341674. S2CID 69278.
외부 링크
- 브루가다 증후군에 대한 GeneReviews/NIH/NCBI/UW 엔트리
- KCNE3+단백질+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의 의학 주제 제목(MeSH)
- UCSC Genome Browser의 KCNE3 인간 유전자 위치.
- UCSC Genome Browser에서 KCNE3 인간 유전자 상세 정보.
- PDB for UniProt: Q9Y6H6(칼륨 전압 게이트 채널 서브 패밀리 E 멤버 3)에서 PDBe-KB에 제공되는 모든 구조 정보의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