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다양성

Neurodiversity
인간 정신의 자연적 다양성을 묘사한 자폐증 예술.

신경다양성, ND는 를 들어 사회성, 학습, 주의력, 기분 그리고 다른 정신 [1]기능에서 인간와 인식의 변화를 말한다.1998년 사회학자 주디 싱어(Judy Singer)가 만든 말로, 그는 언론인 하비 블룸(Harvey [1]Blume)과 함께 이 개념을 대중화하는데 일조했으며, 인간의 인지적 변화를 생물다양성소수집단[2][3]정치라는 맥락에 두고 있다.이 견해는 현재 신경 발달 장애로 분류되는 특정한 것들이 본질적으로 병적인 것이라는 일반적인 견해에 대한 도전으로 자폐증 권리 운동에서 생겨났다.장애의 사회적 모델을 기반으로 합니다.장애는 단순히 장애의 결과로 장애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차이와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장벽에서 발생합니다.일부 신경다양성 옹호자들과 연구자들, 특히 주디 싱어와 패트릭 드와이어는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이 강한 의학적 모델과 강한 사회적 [4][5][6]모델 사이의 중간이라고 주장한다.이후의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은 일부 장애와 관련된 고통을 경시할 위험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장애 옹호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어 왔고,[7][8][9][10][11] 일부 사람들이 치료받기를 원하는 것들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신경다양성 운동의 주요 지지자 중 한 명인 자폐증 자기 조언자이자 연구자인 Ari Neeman은 특성 기반 접근법을 제안했는데, 이는 의학(또는 병리학) 모델의 요소가 본질적으로 해로운 특정 특성, 행동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예: 자해 행동, 언어 손상).신경다양성 접근방식은 동일한 [12][13]개인의 비장애적 또는 적응적 자폐적 특성(: 자극적, 강한 관심사)에 적용될 수 있다.게다가 최근에는 신경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개입과 일부 [14][15]개입의 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역사

신경다양성이라는 단어는 사회과학자인 주디 싱어가 자신을 "아마 자폐증 [16]영역 어딘가에 있을 것"이라고 묘사했기 때문이다.그녀는 1999년 [17][16]발행된 사회학 우등 논문에 이 용어를 사용했으며, 1998년 9월 30일자 대서양의 기사에서 [19]이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미국인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인 하비 [18]블룸을 포함한 다른 사람들과 InLv 메일링 리스트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냈다.이 용어는 [20]자폐증의 원인에 대한 이전의 "엄마 비난" 이론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을 나타낸다.

몇몇[21][22] 작가들은 또한 자폐증 옹호자인 짐 싱클레어의 초기 연구가 신경다양성의 개념을 발전시켰다고 믿는다.싱클레어는 국제 온라인 자폐증 커뮤니티의 초기 주요 조직자였다.싱클레어의 1993년 연설 "우리를 위해 슬퍼하지 마세요"는 존재 방식으로서 자폐증을 강조했다: "사람과 [23]자폐증을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1997년 6월 30일 Blume가 쓴 뉴욕 타임즈 기사에서 Blume는 "신경학적 다원론"[24]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신경다양성의 기초를 묘사했다.Blume는 인터넷이 국제적인 신경다양성 [25]운동을 촉진하는 데 있어 어떤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측한 초기 지지자였다.

최근 몇 년 동안 신경다양성의 개념은 [26][27]과학자들에 의해 점점 더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자폐증 연구자들이 차이를 [28][29]결손이라고 해석할 준비가 되어 있고, 윤리적 위험이 있으며, 개입에서 자폐증 특성을 줄이거나 억제하는 데 실질적인 위험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일부 연구자들은 높은 수준의 위장이 일반적으로 수많은 최근 연구에서 자폐증 환자의 정신 건강 결과 불량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부 개입이 과도한 위장을 촉진할 수 있는 불확실하고 가능한 위험에 대해 우려한다.어쩌면 자살일 [30][31][32][15][33]수도 있죠또한, 일부 지지자들과 연구원들은 의학적인 접근은 오명을 씌우는[34] 데 기여할 수 있고 자폐증에 대한 생물학적[35] 연구에 지속적으로 집중하는 [36][37]것은 자폐증 사회에 있는 사람들의 우선순위와 상충된다고 주장한다.

장애 권리 운동 내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은 자폐증 환자들에 [38][39]의해 먼저 개발되고 수용되었다.그 후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발달성 언어장애, 난독증, 조영장애, 난독증, 난독증, 난독증,[40] 난독증, 지적장애, 투레트 [39][41]증후군과 같은 다른 신경 발달 및/또는 신경정신 질환에 적용되었다. 넓은 개념화에는 정신분열증,[6][42] 양극성 장애,[43][44] 정신분열 장애와 같은 정신질환과 반사회적 인격장애가 포함된다.신경다양성 옹호론자들은 신경발달 장애의 골격을 치료하거나 고치기 위해 의학적인 개입을 필요로 한다고 비난하고, 대신 포함 중심의 서비스, 숙박, 통신 및 보조 기술, 직업 훈련, 독립적인 생활 [14][45]지원과 같은 지원 시스템을 촉진합니다.그 의도는 개인이 정상성에 대한 규범적 생각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거나 강요하는 치료나 임상적 [46][better source needed]이상을 따르도록 하는 치료보다는 인간의 다양성, 자기 표현, 그리고 존재의 진정한 형태를 존중하는 지원을 받는 것이다.

신경다양성 지지자들은 다음과 같은 척도에 의해 자폐증과 사회의 관련 조건들을 다시 인식하기 위해 노력한다: 신경다양성이 치료제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함; 현재의 "상태, 질병, 무질서 또는 질병"에 기초한 명칭에서 언어를 변경함; "건강하거나 독립적인 삶에 대한 이해를 넓힘;새로운 유형의 자율성을 알고, 유형, 시기 및 치료의 [22][6]필요성 여부를 포함하여 일반적이지 않은 개인에게 치료에 대한 더 많은 통제권을 부여한다.

2009년에 나온 한 study[47]27명의 학생, self-view의 두가지 범주로(자폐증, 난독증, 발달 협조 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등 스트로크로):"한 'difference의 view—where 심신을 쇠약하게 차이가 불리한 나로 보였다 강점과 취약점을 세트 또는 'medical/deficit의view—where 심신을 통합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헤어졌다.dica조건입니다.그들은 모든 학생들이 배제, 학대, 괴롭힘을 포함한 한결같이 어려운 학교 경력을 보고했지만, 다른 관점에서 자신을 본 사람들은 (연구 코호트의 41%), "자신의 능력에 대한 더 높은 학업적 자부심과 자신감을 나타냈고, 많은 학생들(73%)은 긍정적인 직업 야망을 나타냈다.명확한 [47]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이 학생들 중 많은 수가 온라인 지원 [47]단체에서 신경다양성 옹호자들과의 접촉을 통해 그들 자신에 대한 이러한 관점을 얻었다고 보고했다.

자폐증과 신경다양성의 개념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2013년 온라인 조사는 "자폐증의 차이로서의 결핍 개념은 차이를 축하하는 것과 [48]결함을 개선하는 것 사이의 잘못된 이분법을 넘어 발달적으로 유익한 방식으로 자폐적 특성을 활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논란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은 자폐증 [38]옹호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지배적인 패러다임은 전형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뇌와 다른 인간의 뇌를 병리학적으로 구분하는 것이다.이러한 관점에서, 이 뇌들은 [49]치료되어야 할 의학적인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비판은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이 너무 광범위하고 그 개념이 기능이 더 심각하게 [38][50]손상된 사람들을 배제해야 한다는 것이다.자폐증 옹호자이자 학제 간 교육자인 닉 워커는 [6]간질과 같은 의학적 조건과는 대조적으로 신경 이원화가 "자신의 형성과 구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신경 인지적 차이"를 구체적으로 언급한다는 구별을 제공한다.

신경다양성 옹호론자인 존 엘더 로비슨은 신경학적 차이로 인한 장애와 강점은 서로 분리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99명의 신경학적으로 동일한 사람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그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은 보통 1%의 다른 사람이 됩니다.하지만 그 사람은 대부분의 경우 또는 항상 장애인이거나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신경다양성 지지자들에게 사람들은 병들거나 [51]망가져서가 아니라 종곡선의 가장자리에 있기 때문에 장애인이 됩니다."

2020년 리뷰인 "신경다양성 운동의 비판"은 두 가지 기본적인 관찰을 주장했다.

  • 자폐증 진단을 받지 않은 많은 사람들은 자폐증 특성을 가지고 있다.이것은 연구자들에 의해 "광범위한 자폐증 표현형"으로 알려져 있다.그래서 자폐증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구분하는 명확한 두 가지 형태의 분포는 없었다.실제로는 "신경적"과 "신경적"[52]이라는 두 개의 뚜렷한 집단이 없었다.
  • "뉴로타이프"는 정말 전형적인 신경이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기 때문에 의심스러운 구성이었다.인간의 [52]뇌에는 그런 기준이 없었다.

또한 신경전형이라는 용어는 발달장애가 없는 것을 의미하므로 신경발달장애가 없는 상태에서 태어났을 때 신경분열증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대부분의 정신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발달장애 없이 태어나기 때문에, 그들은 태어날 때부터 주로 신경전형으로 여겨진다.발달장애는 태어날 때 존재하며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반면 정신질환은 일생 동안 환경적인 원인이나 트라우마적인 사건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미디어에서

미디어에서의 신경다양성 운동의 표현 증가는 미디어 플랫폼 자체의 [53]기술 변화와 함께 일어났다.최근 다양한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텍스트 기반 옵션이 추가됨에 따라 장애가 있는 사용자는 보다 접근하기 [53]쉬운 속도로 통신하고, 즐기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소셜 미디어는 신경다양한 커뮤니티에 두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다.그것은 인식을 확산시키고 신경다양성 운동을 개척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또한 지역사회의 구성원들 스스로도 연결될 [54][55]수 있게 해줄 수 있습니다.

접속 플랫폼으로서의 소셜 미디어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비슷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54]지원 커뮤니티를 찾을 수 있습니다.온라인 네트워킹 및 연결을 통해 사용자는 대화에 대한 편안함의 수준을 결정하고 다른 사용자와의 관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신경다양한 커뮤니티에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관계를 만드는 것은 사회적 [56]상황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유용한 도구임이 입증되었습니다.미디어 플랫폼은 신경다양한 사용자를 연결함으로써 관계 [56]형성에 도움이 되는 '안전한 공간'을 제공한다.디브얀카 카푸어와 같은 일부 미디어 개발자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신경다양한 사용자와 [57]가족을 연결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블로섬"과 같은 플랫폼을 만들었다.Blossum과 같은 플랫폼은 일반적인 신경 사용자들의 외압을 없애고 신경다양한 커뮤니티가 이들을 위해 특별히 구축된 플랫폼 내에서 보안과 친밀함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추진력으로서의 소셜 미디어

미디어가 신경다양성 커뮤니티에 이익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사용자(특히 인기 있는 영향력 행사자)가 신경다양성 [58]운동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는 것입니다.장애, 특히 신경다양성과 같은 비전문가들에 의해 종종 논의되는 장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사실 정보의 [58]확산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소셜 미디어 노출을 통한 정보의 확산은 신경다양성 운동이 자폐증과 같은 장애를 이해하고 잘못된 [55]정보를 걸러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직접적인 관점에서 신경다양한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미디어 인플루언서들은 대중을 교육하고 특정 [58]장애를 파괴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신경다양성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가 커뮤니티 구성원들에게 방해가 되기 때문에, 소셜 미디어 노출을 통해 이야기를 바꾸는 것은 ND 커뮤니티가 채택하고 [59]있는 도구입니다.

미디어 내의 과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도움으로 신경다양한 커뮤니티의 대표성이 커졌지만, 그러한 사용자들은 종종 비판과 [60]오해를 받는다.소셜 미디어는 신경다양한 사람들의 포함을 제한하는 사회적 장벽을 제거하지 못했다.소셜 미디어의 지속적인 장벽은 접근성의 문제보다 더 깊습니다.신경다양한 사용자는 자신의 장애를 "진정한"[60] 사용자로 간주하는 주류 관점에 부합하기 위해 자신의 플랫폼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인터넷상의 「진짜」사용자에 대한 요구는, 소셜 미디어 자체의 사용으로 확대되고 있다.인제뉴인 사용자를 선별한다는 전제는 ND 커뮤니티에 대한 브로치는 아니었지만, 간접적으로 신경다양한 사용자의 플랫폼 [61][60]확장이 더 어려워졌다.고정관념에 근거해 신경다양성 이용자의 진정성을 평가하는 비장애 이용자들의 이번 이슈는 신경다양성 운동이 [60]포용이라는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투쟁을 보여준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Armstrong, Thomas (2011). The power of neurodiversity: unleashing the advantages of your differently wired brain (1st Da Capo Press paperback ed.). Cambridge, MA: Da Capo Lifelong. ISBN 9780738215242. OCLC 760085215.
  2. ^ "Reflections on the Neurodiversity Paradigm: What is Neurodiversity?". Reflections on the Neurodiversity Paradigm. Retrieved April 12, 2022.
  3. ^ Singer, Judy (July 3, 2016). NeuroDiversity: The Birth of an Idea (2nd ed.). Judy Singer. ASIN B01HY0QTEE.[자체 인식 소스?]
  4. ^ Patrick Dwyer (2022). "The Neurodiversity Approach(es): What Are They and What Do They Mean for Researchers?" (PDF). Human Development. 66 (2): 73–92. doi:10.1159/000523723. S2CID 247062174. Retrieved July 24, 2022.
  5. ^ Oliver, Michael (2006). Social work with disabled people. Sapey, Bob. (3rd ed.). Basingstoke, Hampshire: Palgrave Macmillan. ISBN 1403918384. OCLC 62326930.
  6. ^ a b c d Chapman, Robert (January 10, 2019). "Neurodiversity Theory and Its Discontents: Autism, Schizophrenia, and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In Tekin, Serife; Bluhm, Robyn (eds.). The Bloomsbury Companion to Philosophy of Psychiatry. Bloomsbury. pp. 371–387. ISBN 9781350024069.
  7. ^ Opar, Alisa (May 6, 2019). "A medical condition or just a difference? The question roils autism community".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May 12, 2019.
  8. ^ Robison, John E. "The Controversy Around Autism and Neurodiversity". Psychology Today. Retrieved May 14, 2019.
  9. ^ McGee, Micki (August 2012). "Neurodiversity". Contexts. 11 (3): 12–13. doi:10.1177/1536504212456175. S2CID 220720495.
  10. ^ Sarrett, Jennifer (April 2016). "Biocertification and Neurodiversity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Self-Diagnosis in Autistic Communities". www.researchgate.net. Retrieved March 6, 2022.
  11. ^ Bailin, Aiyana. "Clearing Up Some Misconceptions about Neurodiversity". Scientific American Blog Network. Retrieved April 12, 2022.
  12. ^ Ari Ne’emana; Elizabeth Pellicano (2022). "Neurodiversity as Politics". Human Development. 66 (2): 149–157. doi:10.1159/000524277. S2CID 247829768. Retrieved July 24, 2022.
  13. ^ Charlton, Rebecca A.; Entecott, Timothy; Belova, Evelina; Nwaordu, Gabrielle (2021). ""It feels like holding back something you need to say": Autistic and Non-Autistic Adults accounts of sensory experiences and stimming".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89: 101864. doi:10.1016/j.rasd.2021.101864. S2CID 240532683.
  14. ^ a b Leadbitter, Kathy; Buckle, Karen Leneh; Ellis, Ceri; Dekker, Martijn (2021). "Autistic Self-Advocac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Implications for Autism Early Intervention Research and Practice". Frontiers in Psychology. 12: 635690. doi:10.3389/fpsyg.2021.635690. PMC 8075160. PMID 33912110.
  15. ^ a b Schuck, Rachel K.; Tagavi, Daina M.; Baiden, Kaitlynn M. P.; Dwyer, Patrick; Williams, Zachary J.; Osuna, Anthony; Ferguson, Emily F.; Jimenez Muñoz, Maria; Poyser, Samantha K.; Johnson, Joy F.; Vernon, Ty W. (2021). "Neurodiversity and Autism Intervention: Reconciling Perspectives Through a Naturalistic Developmental Behavioral Intervention Framework".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doi:10.1007/s10803-021-05316-x. PMID 34643863. S2CID 238744698.
  16. ^ a b "Meet Judy Singer Neurodiversity Pioneer". My Spectrum Suite. Retrieved May 14, 2019.
  17. ^ Singer, Judy (February 1, 1999). "'Why can't you be normal for once in your life?' From a 'problem with no name' to the emergence of a new category of difference". In Corker, Mairian; French, Sally (eds.). Disability Discourse. McGraw-Hill Education (UK). pp. 59–67. ISBN 9780335202225. For me, the key significance of the 'autism spectrum' lies in its call for and anticipation of a politics of neurological diversity, or neurodiversity.
  18. ^ Dekker, Martijn (November 8, 2019). "From Exclusion to Acceptance: Independent Living on the Autistic Spectrum".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Singapore: Springer Singapore. pp. 41–49. doi:10.1007/978-981-13-8437-0_3. ISBN 978-981-13-8436-3.
  19. ^ Blume, Harvey (September 30, 1998). "Neurodiversity". The Atlant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5, 2022. Retrieved November 7, 2007. Neurodiversity may be every bit as crucial for the human race as biodiversity is for life in general. Who can say what form of wiring will prove best at any given moment? Cybernetics and computer culture, for example, may favor a somewhat autistic cast of mind.
  20. ^ Bumiller, Kristin (2009). "The Geneticization of Autism: From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to the Conception of Genetic Normalcy". Signs. 34 (4): 875–899. doi:10.1086/597130. ISSN 0097-9740. JSTOR 10.1086/597130. S2CID 146225580.
  21. ^ Solomon, Andrew (May 25, 2008). "The autism rights movement". New Y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7, 2008. Retrieved May 27, 2008.
  22. ^ a b 펜튼, 앤드류, 팀 크라운.'자율주의, 신경다양성, 평등을 초월한 평등'(PDF).정신건강 윤리 저널 2.2 (2007) : 2009년 11월 10일 1~6일
  23. ^ 싱클레어, 짐우리를 위해 슬퍼하지 마세요.국제 자폐증 네트워크, N.D...2013년 5월 7일 취득.
  24. ^ Blume, Harvey (June 30, 1997). "Autistics, freed from face-to-face encounters, are communicating in cyberspace".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November 8, 2007. Yet, in trying to come to terms with [a neurotypical-dominated] world, autistics are neither willing nor able to give up their own customs. Instead, they are proposing a new social compact, one emphasizing neurological pluralism. [...] The consensus emerging from the Internet forums and Web sites where autistics congregate [...] is that NT is only one of many neurological configurations -- the dominant one certainly, but not necessarily the best.
  25. ^ Blume, Harvey (July 1, 1997). ""Autism & The Internet" or "It's The Wiring, Stupid"". Media In Transitio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Retrieved November 8, 2007. A project called CyberSpace 2000 is devoted to getting as many people as possible in the autistic spectrum hooked up by the year 2000, the reason being that "the Internet is an essential means for autistic people to improve their lives because it is often the only way they can communicate effectively."
  26. ^ Happé, Francesca; Frith, Uta (March 2020). "Annual Research Review: Looking back to look forward - changes in the concept of autism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61 (3): 218–232. doi:10.1111/jcpp.13176. ISSN 1469-7610. PMID 31994188. S2CID 210948288.
  27. ^ Pellicano, Elizabeth; Houting, Jacquiline (April 2022). "Annual Research Review: Shifting from 'normal science' to neurodiversity in autism scien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63 (4): 381–396. doi:10.1111/jcpp.13534. ISSN 0021-9630. PMID 34730840. S2CID 241118562.
  28. ^ Dinishak, Janette (December 2, 2016). "The Deficit View and Its Critics". Disability Studies Quarterly. 36 (4). doi:10.18061/dsq.v36i4.5236. ISSN 2159-8371.
  29. ^ Mottron, Laurent (November 2, 2011). "Changing perceptions: The power of autism". Nature. 479 (7371): 33–35. Bibcode:2011Natur.479...33M. doi:10.1038/479033a. ISSN 1476-4687. PMID 22051659. S2CID 4431484.
  30. ^ McGill, O.; Robinson, A. "Recalling hidden harms: autistic experiences of childhood" (PDF). Strathprints.strath.ac.uk. Retrieved July 24, 2022. Applied Behavioural Analysis (ABA). Advances in Autism
  31. ^ Cook, Julia; Hull, Laura; Crane, Laura; Mandy, William (2021). "Camouflaging in autism: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89: 102080. doi:10.1016/j.cpr.2021.102080. PMID 34563942. S2CID 237942158.
  32. ^ Ai, Wei; Cunningham, William A.; Lai, Meng-Chuan (2022). "Reconsidering autistic 'camouflaging' as transactional impression management".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26 (8): 631–645. doi:10.1016/j.tics.2022.05.002. PMID 35641372. S2CID 249134232.
  33. ^ Ne'eman, Ari (July 1, 2021). "When Disability Is Defined by Behavior, Outcome Measures Should Not Promote "Passing"". AMA Journal of Ethics. 23 (7): E569–575. doi:10.1001/amajethics.2021.569. ISSN 2376-6980. PMC 8957386. PMID 34351268.
  34. ^ Bottema-Beutel, Kristen; Kapp, Steven K.; Lester, Jessica Nina; Sasson, Noah J.; Hand, Brittany N. (March 1, 2021). "Avoiding Ableist Language: Suggestions for Autism Researchers". Autism in Adulthood. 3 (1): 18–29. doi:10.1089/aut.2020.0014. ISSN 2573-9581. S2CID 221764244.
  35. ^ den Houting, Jacquiline; Pellicano, Elizabeth (November 2019). "A Portfolio Analysis of Autism Research Funding in Australia, 2008-2017".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9 (11): 4400–4408. doi:10.1007/s10803-019-04155-1. ISSN 1573-3432. PMID 31375971. S2CID 199388927.
  36. ^ Frazier, Thomas W.; Dawson, Geraldine; Murray, Donna; Shih, Andy; Sachs, Jessica Snyder; Geiger, Angela (November 2018). "Brief Report: A Survey of Autism Research Priorities Across a Diverse Community of Stakehol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8 (11): 3965–3971. doi:10.1007/s10803-018-3642-6. ISSN 1573-3432. PMID 29948533. S2CID 49429912.
  37. ^ Jose, Caroline; George-Zwicker, Patricia; Tardif, Louise; Bouma, Aaron; Pugsley, Darlene; Pugsley, Luke; Bélanger, Mathieu; Gaudet, Jeffrey; Robichaud, Marc (2020). ""We are the stakeholders with the most at stake": scientific and autism community co-researchers reflect on their collaborative experience in the CONNECT project". Research Involvement and Engagement. 6: 58. doi:10.1186/s40900-020-00233-2. ISSN 2056-7529. PMC 7520966. PMID 33005439.
  38. ^ a b c Jaarsma P, Welin S (February 2011). "Autism as a Natural Human Variation: Reflections on the Cl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PDF). Health Care Anal. 20 (1): 20–30. doi:10.1007/s10728-011-0169-9. PMID 21311979. S2CID 1861888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November 1, 2013.
  39. ^ a b 우드포드, 길리안We Don't Need to Cleared(우리는 치유될 필요가 없습니다)' 자동 통계 정보: 2016년 3월 3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되었습니다.National Review of Medicine.제3권제8호 2006년 4월 30일2008년 2월 23일 취득.
  40. ^ Arnold, Larry (2020). "Autonomy, the Critical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Autism Studies". In Kapp, Steven K. (ed.).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Stories from the Frontline. Singapore: Springer. pp. 211–220. doi:10.1007/978-981-13-8437-0_15. ISBN 978-981-13-8437-0. S2CID 210551456.
  41. ^ Mackenzie, Robin; John Watts (January 31, 2011). "Is our legal, health care and social support infrastructure neurodiverse enough? How far are the 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fulfilled for those diagnosed with cognitive disability and learning disability?". Tizard Learning Disability Review. 16 (1): 30–37. doi:10.5042/tldr.2011.0005. We recommend, therefore, that the term neurodiverse include the conditions ASD, ADHD, OCD, language disorder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yslexia and Tourette's syndrome.
  42. ^ Morrice, Polly (2006년 1월 29일) "Otherise Mind" 뉴욕 타임스, A Mind Apart 리뷰: 신경다양한 세계 여행
  43. ^ Antonetta, Susanne (2005). A mind apart: travels in a neurodiverse world. New York: Jeremy P. Tarcher/Penguin. ISBN 1-58542-382-3. OCLC 60671914.
  44. ^ Anton, Audrey L. (2013). "The Virtue of Sociopaths: how to appreciate the neurodiversity of sociopathy without becoming a victim". Ethics and Neurodiversity. Retrieved August 2, 2015.
  45. ^ "Position Statements". Autistic Self Advocacy Network. May 28, 2011. Retrieved April 21, 2013.
  46. ^ "What is Neurodiversity?". National Symposium on Neurodiversity at Syracuse University. 2011. Retrieved October 2, 2012.
  47. ^ a b c Griffin, Edward; Pollak, David (January 2009). "Student experiences of neuro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Insights from the BRAINHE project". Dyslexia. 15 (1): 23–41. doi:10.1002/dys.383. PMID 19140120.
  48. ^ Kapp, Steven K.; Gillespie-Lynch, Kristen; Sherman, Lauren E.; Hutman, Ted (January 2013). "Deficit, difference, or both? Autism and neurodiversity". Developmental Psychology. 49 (1): 59–71. doi:10.1037/a0028353. PMID 22545843.
  49. ^ Feinstein, Adam (December 11, 2017). "Neurodiversity: The cases for and against" (PDF).
  50. ^ Frith, Uta (October 23, 2008). Aut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UP Oxford. ISBN 9780191578656.
  51. ^ "What Is Neurodiversity?". Psychology Today. Retrieved September 17, 2020.
  52. ^ a b Russell, Ginny (2020). "Critique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PDF). In Kapp, Steven (ed.).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stories from the frontline. Singapore: Palgrave Macmillan. pp. 287–303. doi:10.1007/978-981-13-8437-0_21. ISBN 978-981-13-8437-0. OCLC 1127055276. S2CID 210483688.
  53. ^ a b Leadbitter, Kathy; Buckle, Karen Leneh; Ellis, Ceri; Dekker, Martijn (2021). "Autistic Self-Advocac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Implications for Autism Early Intervention Research and Practice". Frontiers in Psychology. 12: 635690. doi:10.3389/fpsyg.2021.635690. ISSN 1664-1078. PMC 8075160. PMID 33912110.
  54. ^ a b Wang, Tao; Garfield, Monica; Wisniewski, Pamela; Page, Xinru (October 17, 2020). "Conference Companion Publication of the 2020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and Social Computing". Conference Companion Publication of the 2020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and Social Computing. New York: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pp. 419–424. doi:10.1145/3406865.3418322. ISBN 978-1-4503-8059-1.
  55. ^ a b Gabarron, Elia; Dechsling, Anders; Skafle, Ingjerd; Nordahl-Hansen, Anders (March 7, 2022). "Discussions of Asperger Syndrome on Social Media: Content and Sentiment Analysis on Twitter". JMIR Formative Research. 6 (3): e32752. doi:10.2196/32752. ISSN 2561-326X. PMC 8938830. PMID 35254265.
  56. ^ a b Brownlow, Charlotte; Rosqvist, Hanna Bertilsdotter; O'Dell, Lindsay (November 2, 2015). "Exploring the potential for social networking among people with autism: challenging dominant ideas of 'friendship'". Scandinavian Journal of Disability Research. 17 (2): 188–193. doi:10.1080/15017419.2013.859174. ISSN 1745-3011.
  57. ^ "Blossom: An App for the Neurodiverse Community • The Lakshmi Mittal and Family South Asia Institute". The Lakshmi Mittal and Family South Asia Institute. January 26, 2022. Retrieved April 11, 2022.
  58. ^ a b c Calhoun, Amanda J.; Gold, Jessica A. (April 1, 2020). ""I Feel Like I Know Them": the Positive Effect of Celebrity Self-disclosure of Mental Illness". Academic Psychiatry. 44 (2): 237–241. doi:10.1007/s40596-020-01200-5. ISSN 1545-7230. PMID 32100256. S2CID 211479198.
  59. ^ Stuart, Heather (February 1, 2006). "Media Portrayal of Mental Illness and its Treatments". CNS Drugs. 20 (2): 99–106. doi:10.2165/00023210-200620020-00002. ISSN 1179-1934. PMID 16478286. S2CID 21633246.
  60. ^ a b c d Bitman, Nomy (February 11, 2022). ""Authentic" digital inclusion? Dis/ability performances on social media by users with concealable communicative disabilities". New Media and Society. 24 (2): 401–419. doi:10.1177/14614448211063183. ISSN 1461-4448. S2CID 246777065 – via Sage Journals.
  61. ^ Pooley, Jefferson (January 2017). "The #nofilter Self: The Contest for Authenticity among Social Networking Sites, 2002–2016". ResearchGate. Retrieved April 11, 2022.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