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정신의학

Anti-psychiatry

하이픈이 없는 반정신의학([1]Anti Psychiatry)은 정신의학적 치료가 환자에게 도움이 되기보다 더 해롭다는 관점에 기반을 둔 운동으로, 정신의학에 대한 논란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반대의견으로는 정신의학적 진단의 신뢰성, 정신의학적 약물과 관련된 효과 및 위해성의 의심, 정신의학적 약물 효과에 대한 질병 치료 메커니즘의 입증 실패, 그리고 평등한 인권과 시민의 자유가 진단의 존재로 무효화되는 것에 대한 법적 우려. 정신 의학의 역사적 비판은 전기 경련 치료인슐린 쇼크 치료와 관련된 극심한 해악에 초점을 맞춘 후 밝혀졌습니다.[2] "반정신과"라는 용어는 논쟁 중이며 종종 정신 의학을 비판하는 모든 사람들을 기각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은 때때로 감정적인 고통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전문적인 조력자 역할이 적절할 수 있다는 것에 동의하고 치료 결정을 중심으로 개인적인 선택을 허용합니다.

효과에 대한 우려를 넘어 반정신의학은 심리치료정신작용의학의 철학적, 윤리적 기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마음의 자율성과 통합성보다는 사회적, 정치적 관심사에 의해 형성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들은 "정신적인 문제에 대한 판단은 철학적인 마음의 특권이 되어야 한다"고 믿고, 마음이 의학적인 관심사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일부 활동가들은 정신 질환에 대한 정신 의학적 개념을 거부합니다.[3] 반정신의학은 정신의학을 의사, 치료사, 환자나 의뢰인 간의 불평등한 권력 관계와 매우 주관적인 진단 과정으로 인한 강압적인 억압의 도구로 간주합니다. 섹션을 통해 합법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비자발적 약속은 이 운동에서 중요한 문제입니다. 분할 시, 비자발적 치료는 환자의 의사에 반하여 의료계에 의해 법적으로 강제될 수도 있습니다.

탈중앙화 운동은 두 세기 동안 다양한 형태로 활동해 왔습니다.[4][2] 1960년대에는 정신분석학과 주류 정신의학에 많은 도전이 있었습니다. 정신의학적 실천의 기본은 억압적이고 통제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졌습니다.[5] 이 운동으로 확인된 정신과 의사들은 티모시 리어리, R. D. 레잉, 프랑코 바사글리아, 시어도어 리즈, 실바노 아리에티, 데이비드 쿠퍼를 포함했습니다. 다른 선수들미셸 푸코, 질 들뢰즈, 펠릭스 과타리, 그리고 어빙 고프만이었습니다. 쿠퍼는 1967년에 "반정신의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1971년에 "정신의학과 반정신의학"이라는 책을 썼습니다.[4][2][3] Antipsychiatrie라는 단어는 이미 1904년 독일에서 사용되었습니다.[6] 토마스 스자즈(Thomas Szasz)는 "정신질환의 신화"(The Myth of Mental Disease, 1961)라는 책에서 정신질환의 정의를 신화로 소개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문헌을 읽었을 때 그는 데이비드 쿠퍼(1931-1986)가 주도한 운동에 의해 직접적으로 훼손되었으며 쿠퍼가 정신 의학을 자신의 브랜드로 대체하려고 했다고 매우 명확하게 말합니다. 심리적 고통에 대한 비정신적 접근을 주장한 조르지오 안토누치는 자신을 반정신적 운동의 일부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의 입장은 "정신의학을 과학적 내용이 결여된 이념, 즉 비지식으로 간주하는 비정신의학적 사고는 개인과 사회 모두 삶의 어려움을 이해하려는 대신 사람들을 전멸시키고, 그 다음 사람들을 방어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며 진정으로 새로운 문화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로 대표됩니다.[7] 안토누치는 I pregiudizie la conoscenza criticala alapschiatria (1986)라는 책에서 정신의학의 정의를 편견으로 소개했습니다.

이 운동은 특히 치료 제공자와 치료를 받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 측면에서 정신 의학과 심리학에 대한 생각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3][2] 현대의 문제는 자유 대 강제, 자연 대 양육, 그리고 다를 권리를 포함합니다.[8]

정신의학 내부의 반정신의학 비판자들은 정신의학 자체가 정의상 해롭다는 근본적인 원칙에 반대합니다. 대부분의 정신과 의사들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존재하지만, 정신과 폐지가 해롭다는 것을 받아들입니다.[9] 의료 전문가들은 종종 정신 질환 부정을 조장하는 반정신 운동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음모론과 비교되어 왔습니다.[10]

역사

전구물질

나렌툼(독일어로 "fool's tower")은 "미친 집"으로 특별히 설계된 초기 건물 중 하나였습니다. 그것은 1784년에 지어졌습니다.

서구 국가들의 일반적인 의료 접근 방식에 대한 첫 번째 광범위한 도전은 18세기 후반에 발생했습니다.[11] 진보적인 계몽주의 시대의 일부인 "도덕적 치료" 운동은 일반적으로 이유 없는 야생 동물로 간주되는 정신 장애가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을 위한 병원과 "미친 집"의 시스템에서 만연한 가혹하고 비관적이며 신체 기반의 접근 방식에 도전했습니다.[11] 다른 지역에서 외래 환자 직원, 경우에 따라 의사, 종교 및 평신도 자선가에 의해 주도되는 대안이 개발되었습니다.[11] 이 "도덕적 치료"는 의료 환경에서건 아니건 간에 보다 인간적인 심리적, 사회적 접근법을 개척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신체적 구속, 처벌 위협, 개인적, 사회적 통제 방법의 일부 사용도 포함되었습니다.[11] 19세기 설립 방식이 되면서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반대도 커졌습니다.[11]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에 따르면 광기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었고, 이로 인해 광기는 규칙적이고 정상적인 행동이나 의지의 장애보다 망상, 즉 진실에 대한 판단의 방해에 대한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습니다.[12] 푸코는 이에 앞서, 의사들은 종종 여행, 휴식, 걷기, 은퇴, 그리고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진리의 형태로 보이는 자연과 관계를 맺는 것을 세상의 인위적인 것(따라서 망상)과 단절하는 수단으로 처방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13] 치료의 또 다른 형태는 자연의 반대인 극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 극장에서는 환자의 광기가 망상이 환자에게 드러나는 방식으로 그 또는 그녀를 위해 작용했습니다.

따라서 가장[citation needed] 두드러진 치료 기술은 의사에 의해 이상적으로 구현된 건강한 의지와 정통적인 열정으로 환자와 맞서는 것이 되었습니다. 그 "치료"는 의사의 건강한 의지에 의한 환자의 곤란한 의지에 대한 반대, 투쟁, 지배의 과정을 수반했습니다. 그 대립은 저항함으로써 병을 대낮에 불러들일 뿐만 아니라, 건전한 의지의 승리와 방해받은 의지의 포기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는 경련을 일으키는 방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경련을 통해 경련을 깨기 위해서... 우리는 다른 환자들을 자극하고 격려해야 하는 반면, 일부 환자들의 인격을 복종시키고, 그들의 이동을 제압하고, 그들의 자존심을 무너뜨려야 합니다(Esquirol, J.E.D., 1816[14]). 푸코는 또한 "정신 질환"의 증가하는 수용(점점 더 큰 망명지의 개발)이 진단과 분류뿐만 아니라 현재 주로 유언장의 경합, 제출과 승리의 문제로 이해되는 치료의 요건이 되었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1876년 이씨의 화보 주간 예산 경찰뉴스에 실린 '큐 망명의 공포'를 정리합니다.

이때의 망명자들의 기술과 절차에는 "고립, 사적 또는 공개 심문, 냉대와 같은 처벌 기술, 도덕적 대화(권유 또는 견책), 엄격한 규율, 의무적 업무, 보상, 의사와 환자 사이의 우선적 관계, 봉신 관계, 소유, 환자와 의사 사이에 때로는 봉사하는 가정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합니다."[14] 푸코는 이를 "의사의 의지가 환자에게 발휘하는 힘을 통해 의료인을 '광기의 달인'[14]으로 만들기 위해 고안된 것"이라고 요약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효과는 환자에 대한 의사의 힘을 부풀리는 역할을 했는데, 이는 수용소(망명 및 강제 구금)의 급속한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15]

다른 분석에 따르면 망명자의 증가는 주로 전통적인 가족 구조의 붕괴를 포함한 산업화자본주의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19세기 말까지 정신과 의사들은 종종 치료적 이상이 제도적 일상이 된 시스템에서 환자를 거의 돌보지 않는 관리자 역할을 하며 과밀한 망명 시스템에서 권력이 거의 없었습니다.[16] 일반적으로 비판론자들은 이른바 "도덕적 치료"로 전환하는 부정적인 측면을 지적하며, 정신병원 반대 운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망명자, 의료 권력 및 비자발적 입원법의 동시적인 광범위한 확대를 지적합니다.[17]

욕조에서 인턴을 구속하는 것
1869년 웨스트 라이딩 파우퍼 루나틱 망명지의 구속 의자에 앉아 있는 피수용자

정신 의학의 새로운 분야에 대한 19세기의 다양한 비판들은 예를 들어 "미친"의 의학화에 대한 질문에서 20세기 반정신의학과 주제적으로 겹칩니다. 이러한 비판은 의사들이 정신의학을 통해 헤게모니를 아직 달성하지 못했던 시기에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반대할 단일한 통일된 힘이 없었습니다.[17]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대와 불법 감금에 대한 신고가 빈번하게 접수되는 등 사람들이 쉽게 감금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로빈슨 크루소작가인 다니엘 디포는 이전에 "미친 집"에 대한 정부의 감독과 비자발적인 구금에 앞서 적법한 절차를 요구했습니다.[18] 그는 이후 남편들이 정신병원을 이용해 말을 듣지 않는 아내를 감금했다고 주장했고,[19] 이후 팸플릿에서도 아내들이 남편들에게 똑같이 했다고 주장했습니다.[20] 환자에 대한 착취를 막기 위해 망명지킴이의 역할을 의사와 분리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습니다.[21] 일반적으로 의사들은 문제를 의학화하고, 혼자 판단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이 있다고 주장하고, 정신 장애가 신체적이고 유전적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인격을 훼손하고 있다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이른바 루나틱스의 친구 협회는 19세기 중반 영국에서 이 제도에 도전하고 권리와 개혁을 위한 캠페인을 벌이기 위해 생겨났습니다.[22] 미국에서 엘리자베스 패커드는 남편의 요청으로 저지른 일리노이 정신병원에서의 경험을 묘사한 일련의 책과 팜플렛을 출판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정신병원의 계급적 성격과 통제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잘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새로운 정신 의학은 교회와 법체계라는 두 개의 강력한 사회 기관에 의해 부분적으로 도전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20세기 후반의 반정신병 운동과 주제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23]

정신 의학이 19세기에 더 전문적으로 확립되고 (이 용어 자체는 1808년 독일에서 요한 크리스티안 레일에 의해 "정신병자"로 명명됨) 더 침습적인 치료법이 개발됨에 따라 반대가 증가했습니다.[24] 미국 남부에서 흑인 노예노예제 폐지론자들은 노예들이 주인에게서 도망치고 싶다는 의사과학적 진단인 드라페토마니아를 병리 현상의 증상으로 제시했습니다.[25]

1870년대 후반 신경학의 새로운 전문 분야에서 정신 의학에 대한 조직적인 도전이 있었습니다. 주로 뉴욕에 있는 주립 정신 병원의 통제에 중점을 두었습니다.[26] 개업의들은 정신병원이 과학적 연구를 수행하지 못하고 무절제 등 현대적인 치료법을 채택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신경학자들은 일반 개혁가들과 사회복지사들과 함께 전미 정신이상자 보호 및 정신이상 예방 협회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평신도 회원들이 망명 의사들이 제대로 된 치료조차 할 수 있는 능력에 의문을 제기하자 신경과 의사들은 지지를 철회했고 협회는 허둥지둥했습니다.[23]

1900년대 초

"정신 의학을 가장 끈질기게 비판하는 사람들은 항상 전직 정신 병원 환자들이었습니다"라고 언급했지만, 그들의 이야기를 공개적으로 말하거나 정신 의학계와 공개적으로 대립할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였고, 그렇게 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혐의가 너무 극단적이라고 여겨져 신뢰를 거의 얻지 못했습니다.[23] 20세기 초, 전환자인 Clifford W. Beers는 공공 정신과 치료를 받는 사람들, 특히 국가 기관에 헌신하는 사람들의 곤경을 개선하기 위해 캠페인을 벌였으며, 그의 책인 "자신을 발견한 마음"(1908)의 문제점을 발표했습니다.[27] 비어스는 처음에 정신과 의사들이 환자에 대한 학대를 용인한다고 비난하고 운동에 더 많은 환자의 참여를 상상했지만 아돌프 마이어와 정신의학계의 영향을 받았고 개혁에 대한 그들의 지지가 필요했기 때문에 적대감을 완화했습니다. 이 시기에 독일에서는 "Antipsychiatrie"라는 용어를 사용한 비슷한 노력이 있었습니다.[28]

맥주에 대한 의존도와 전문가들의 승인을 필요로 하는 그의 필요성은 그가 설립한 단체인 국가정신위생위원회를 정신과 의사들에게 넘겨주었고, 그 단체는 결국 국가정신건강협회가 되었습니다.[23] 영국에서는 1920년에 정신과에 구금된 상태에서 저지른 학대에 대해 정의를 추구하고 당국에 의해 그들의 불만이 호의적으로 무시당했다고 분노한 전환자들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의학화된 수용소의 이용 가능성을 '백지워싱'된 사법 외 관리 및 처벌 과정으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사람들입니다.[29] 1922년, 전환자 Rachel Grant-Smith는 "망명 환자의 경험"을 출판함으로써 그녀가 겪었던 방임과 학대의 체계를 개혁해야 한다는 요구를 추가했습니다.[30] 미국에서는, WANA(We Are Not Alone)가 뉴욕의 Rockland State Hospital(록랜드 주립 병원)의 환자 그룹에 의해 설립되었고, 전환자 그룹으로 계속 모임을 가졌습니다.[31]

프랑스 초현실주의자인 안토닌 아르토 역시 1925년 그의 롬빌릭 데슬림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어떤 환자도 외관 식별로서 "정신질환자"라는 라벨을 붙여서는 안 된다고 공개적으로 비판할 것이며, 프랑스에서 마약의 제한법에 반대합니다. 당대의 다다초현실주의자들의 열광에 많은 영향을 받은 그는 , 생각, 비전을 "밖의" 세계 못지 않게 실제적이라고 여겼습니다.[32] 페니실린이 발견되기 전의 이 시대에 우생학은 인기가 있었습니다. 많은[citation needed] 나라에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강제적살균법이 제정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마음의 질병이 전달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1930년대

1930년대에는 (전기충격, 인슐린 또는 다른 약물에 의한) 발작 또는 정신 수술 (엽토절제술)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하여 정신 질환에 대한 "치료"로서 몇 가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의료 행위가 소개되고 틀이 잡혔습니다. 미국에서는 1939년부터 1951년까지 정신병원에서 5만 건 이상의 로봇수술이 이루어졌는데, 이 과정은 궁극적으로 비인간적인 것으로 여겨졌습니다.[33]

홀로코스트 역사학자들은 1930년대 독일 정신기관에서 사회적 프로그램의 의료화와 체계적인 사람들의 안락사가 1940년대 대량살해의 제도적, 절차적, 교리적 기원을 제공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나치 프로그램은 액션 T4액션 14f13이라고 불렸습니다.[34][35][36] 뉘른베르크 재판은 나치 정권에서 중요한 직책을 맡았던 다수의 정신과 의사들에게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스위스의 한 정신과 의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해답하기 쉽지 않은 질문은, 그것을 가진 사람들의 표현된 요구 없이 객관적으로 '살 수 없는' 삶을 파괴하는 것을 허용해야 하는가 하는 것입니다. (...) 환각과 우울증으로 심각하게 고통 받고 있고, 행동을 할 수 없는 불치의 정신 질환자들에게도, 나는 의료 동료에게 권리와 심각한 경우에는 고통받는 사람들을 몇 년 동안 단축할 의무를 부여하고 싶습니다.(Bleuler, Eugen, 1936: "Die naturwissenschaftlic the Grundlage der Etik"). Schweizer Archiv Neurologie und Psychitiary, Band 38, Nr.2, S. 206).

1940년대와 195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십 년 동안 정신 의학은 엄청난 성장을 보였는데, 많은 미국인들은 정신 의학과 심리학, 특히 정신 분석학이 행복의 열쇠라고 확신했습니다. 한편, 대부분의 입원한 정신질환자들은 기껏해야 적절한 관리를 받고, 최악의 경우 학대와 방임을 받았습니다.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캉(Jacques Lacan)은 1940년대와 50년대에 정신분석학에 전문적으로 도전하여 개념을 재검토하고 정신증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인식한 최초의 사람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라캉에 대한 다른 영향으로는 시와 환자들의 경험에 의한 시적 힘을 포함한 초현실주의 운동이 있습니다. 비평가들은 이에 이의를 제기하고 그의 묘사가 그의 실용적인 작업과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반정신운동과 관련된 이름들은 라캉을 알고 있었고,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더라도 라캉의 공헌을 인정했습니다.[37] 정신분석학자 에리히 프롬은 또한 1950년대에 다가오는 반정신병 운동에 대한 세속적인 인본주의적 관심사를 분명히 했다고 합니다. 《사네 사회》(1955)에서, 프롬은 "건강하지 못한 사회는 상호 적대감을 만들어내는 사회이며, 이는 인간을 다른 사람들을 위한 사용과 착취의 도구로 변화시키고, 그가 다른 사람들에게 굴복하거나 자동화자가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자아의식을 빼앗는 것입니다"라고 썼습니다."하지만 많은 정신과 의사들과 심리학자들은 사회 전체가 제정신이 결여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즐기기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한 사회에서 정신 건강의 문제는 단지 '조정되지 않은' 개인들의 숫자의 문제일 뿐이며, 문화 자체의 조정 가능성의 문제는 아니라고 주장합니다."[38]

성 교회에 부속된 묘지 영국 웨스트 요크셔의 토마스, Stortes Hall Hospital의 수천 명의 인턴들이 표시되지 않은 무덤에 묻혔습니다.

1950년대에 새로운 정신 의학 약물, 특히 항정신병 약물인 클로르프로마진이 서서히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어떤 면에서는 진보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부분적으로는 지각 운동 장애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과, 부분적으로는 "화학적 스트레이트 재킷" 효과와 환자를 통제하고 위협하기 위한 사용으로 인해 반대가 있었습니다.[33] 환자들은 정신과를 반대하고 정신과적 통제를 받지 않을 때 약물 복용을 거부하거나 중단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33] 정신과 병원과 기관을 대규모로 이용하는 것에 대한 반대도 증가했고, 지역사회에서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시도도 있었습니다.[citation needed]

Royal Earlswood Asymmore for Budies는 1850년대에 Lord Palmerston, Baron Rothschild, 그리고 Lord Ashley가 이끌었던 학습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최초의 병원이었습니다.

심리치료 및 상담의 이론과 실천 백과사전에 따르면, "1950년대 미국에서 우파 반정신건강 운동이 정신의학을 자유주의, 좌파, 전복주의, 반미주의 또는 친공산주의로 보고 반대했습니다. 개인의 권리를 위협하고 도덕적 책임을 훼손한다는 우려가 팽배했습니다. 알래스카 정신 건강 법안을 둘러싼 초기 교전이 있었는데, 우파 시위자들이 새로 등장한 사이언톨로지 운동에 동참했습니다."[citation needed][39]

심리학 분야는 때때로 정신 의학과 대립했습니다. 행동주의자들은 정신 장애는 의학이 아니라 배우는 것의 문제라고 주장했습니다. 예를 들어, 한스 아이젠크는 정신 의학이 "정말로 할 역할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임상 심리학의 발전하는 분야는 정신 의학과 밀접한 접촉을 하게 되었고, 종종 그 방법, 이론 및 영역에 반대되기도 했습니다.[40]

1960년대

1960년대에 전면에 등장한 "반정신의학"(1967년 데이비드 쿠퍼가 처음 사용한 용어)은 주류 정신의학의 근본적인 주장과 관행에 목소리를 높여 도전하는 운동을 정의했습니다. 대부분의 요소는 초기 수십 년과 세기에 전례가 있었지만 1960년대에는 대중 매체에 액세스하고 풀뿌리 운동 단체와 권위 있는 전문 단체가 광범위하게 혼합되어 국가적이고 국제적인 성격을 띠었습니다.[40]

쿠퍼는 영국에서 일하는 남아프리카 정신과 의사였습니다. 훈련된 마르크스주의 혁명가인 그는 정신의학과 환자들의 정치적 맥락을 강조하고 근본적으로 도전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개별화된 치료 언어의 안개가 더 큰 사회상을 보고 도전하는 사람들의 능력을 앗아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는 반정신과 마찬가지로 "비정신과"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40]

1960년대에 새로운 목소리가 과학으로서의 정신 의학과 성공적인 인도주의 기업으로서의 정신 건강 시스템의 가식에 새로운 도전을 제기했습니다. 이러한 목소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어니스트 베커, 어빙 고프먼, R.D. 레잉, 레잉과 아론 에스터슨, 토마스 셰프, 토마스 스자즈. 그들의 글들은 "근본치료사" 저널의 기사들과 같은 다른 것들과 함께 철학의 큰 차이에도 불구하고 "항정신병"이라는 우산 라벨을 받았습니다. 이 비판적인 문헌은 운동가 운동과 함께 의학 모델 정신 의학의 헤게모니, 권위의 가짜 원천, 인간 문제의 신비화, 비자발적 입원, 약물 및 전기 충격과 같은 정신 건강 시스템의 더 억압적인 관행을 강조했습니다.[41]

정신과 의사인 R D Laing(스코틀랜드 출신), Theodore Lidz(미국 출신), Silvano Arieti(이탈리아 출신) 등은 "정신분열증"과 정신병은 이해할 수 있으며, 심리적으로 침습적인 "정신분열증" 부모 또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내면에 영향을 받은 사람들의 부상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것은 때때로 병든 사회에 대처하려는 시도를 포함하는 변혁적인 상태로 보여졌습니다. 그러나 레이는 동료 쿠퍼의 용어인 "반정신병"에서 부분적으로 떨어져 나왔습니다. 레잉은 대인관계의 실존적 맥락에서 정신적 고통을 논하는 베스트셀러(예: '분열된 자아'와 '경험정치')를 통해 이미 미디어 아이콘이 되었습니다. 레잉은 그의 동료 쿠퍼보다 더 넓은 사회 구조와 급진적인 좌파 정치에 대한 관심이 다소 낮았습니다. 더 낭만적이거나 신비로운 관점을 발전시켰습니다. (진단, 약물, 헌신의 사용을 모호하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원래 반정신병으로 묘사된 운동이 1960년대의 일반적인 반문화 운동과 연관되었지만, 리즈와 아리에티는 후자에 결코 관여하지 않았습니다. 프랑코 바사글리아는 이탈리아에서 반정신의학을 장려하고 그곳에서 정신건강법에 대한 개혁을 확보했습니다.

1965년 쿠퍼와 함께 설립한 필라델피아 협회를 통해 레이는 킹슬리 홀을 포함한 20개 이상의 치료 커뮤니티를 설립했습니다. 그곳에서 직원과 주민들은 이론적으로 동등한 지위를 차지하고 사용된 모든 약물은 자발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미국에서 시작된 비정신과적 소테리아 주택도 다양한 환자 주도 서비스와 마찬가지로[42] 개발되었습니다.

정신과 의사 토마스 스자즈(Thomas Szasz)는 "정신 질환"은 본질적으로 의학적 개념과 심리학적 개념의 일관성 없는 결합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사회적 규범이나 도덕적 행위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강제로 구금하거나 치료하거나 변명하는 데 정신의학을 이용하는 것을 반대했습니다. 자유주의자로서 Szasz는 그러한 사용이 인격권과 도덕적 책임을 훼손한다고 우려했습니다. 그의 견해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Szasz의 1961년 논란이 많은 그 이름의 책(Szasz가 1957년에 쓴 같은 이름의 논문에 기초하여 정신 의학 저널에서 반복적으로 거부된 후, 1960년에[43] 미국 심리학자에 출판됨) 이후 "정신 질환의 신화"를 언급했습니다. 비록 주요 반정신 운동의 일부로 널리 묘사되었지만, Szasz는 이 용어와 그 지지자들을 적극적으로 거부했고, 대신 1969년에 그는 사이언톨로지와 협력하여 인권 시민 위원회를 만들었습니다.[9] 나중에 정신이상이 대부분 또는 어떤 경우에도 "의료적" 실체가 아니라 도덕적 문제라는 견해가 사자스뿐만 아니라 기독교 과학자들과 일부 개신교 근본주의자들에 의해서도 유지되었다는 것에 주목했습니다.[23] Szasz 자신은 과학자가 아니었고 종교적이지 않았습니다. 그는 종교와 정신 의학 사이의 유사점에 대해 자주 언급했습니다.

어빙 고프만, 질 들뢰즈, 펠릭스 과타리 등은 "전체 기관"의 사용과 낙인찍히는 것으로 보였던 모델과 용어의 사용 등 사회에서 정신의학의 힘과 역할을 비판했습니다.[44]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철학자인 푸코는 1961년 발간한 '광란과 문명: 이성의 시대 정신이상의 역사'에서 사회적 가치의 변화로 인해 "정신이 이상하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변했는지를 분석했습니다. 그는 정신 의학이 주로 사회 통제의 도구라고 주장했는데, 역사적으로 정신 이상자와 신체적 처벌과 사슬에 대한 "대단한 구속"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나중에 도덕 치료 시대에 심리적 억압과 내면화된 구속으로 교환되었습니다. 미국의 사회학자 토마스 셰프는 1966년에 "정신질환자 되기"에서 라벨링 이론을 정신의학에 적용했습니다. 셰프는 사회가 특정 행동을 일탈로 간주하고 이러한 행동을 수용하고 이해하기 위해 종종 정신 질환이라는 꼬리표를 그 행동을 보여주는 사람들에게 붙는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 다음 이러한 사람들에게 특정한 기대를 걸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행동을 변화시켜 이를 충족시킵니다.[citation needed]

이른바 Psikhushka 병원에서 소련의 정신의학 남용을 관찰한 결과, 서구의 정신의학 관행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45] 특히 조현병을 앓고 있는 정치권 반체제 인사들이 대거 진단되면서 일각에서는 조현병이라는 꼬리표의 일반적인 진단과 징벌적 용법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이것은 조현병 라벨과 그로 인한 비자발적 정신과 치료가 가족 갈등 중 반항적인 젊은이들을 제압하기 위해 서양에서 유사하게 사용될 수 없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46][unreliable source?]

1970년부터

반정신과적 시위에 나선 과학자들
폴란드의 반정신병 운동.

정신 의학의 대안 또는 개혁주의적 보완책으로 새로운 전문적 접근법이 개발되었습니다. 1971년 노스다코타주에서 마이클 글렌, 데이비드 브라이언, 린다 브라이언, 마이클 갈란, 사라 글렌이 시작한 학술지 '라디컬 테라피스트'는 "치료는 조정이 아닌 변화를 의미한다"는 슬로건을 내걸며 심리치료계에 다양한 방식으로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대신 혁명적인 정치와 진정한 공동체 만들기를 주장하며 전문적인 중재자의 접근 방식에 도전하는 기사들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사회복지, 인문학적 또는 실존주의적 치료, 가족치료, 상담자조, 임상심리학이 발달하고 때로는 정신의학을 반대하기도 했습니다.

정신분석학은 점점 더 비과학적이거나 해롭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47] 일반적인 견해와 달리, 앨리스 밀러, 제프리 메이슨, 루이 브레거와 같은 프로이트의 비평가와 전기 작가들은 프로이트가 심리적 트라우마의 본질을 파악하지 못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비의료 협력 서비스, 예를 들어 치료 커뮤니티 또는 Soteria 하우스가 개발되었습니다.

정신분석학적으로 훈련받은 정신과 의사 스자즈는 그가 인식하는 의학화와 억압적인 혹은 핑계를 대는 "진단"과 강제적인 "치료"에 대한 근본적인 반대를 공언했지만, 정신 의학의 다른 측면(예를 들어, 그는 이것을 비의학적인 것으로 특징짓지만)에 반대하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에 의해 반정신주의로 여겨졌지만, 그는 급진좌파의 운동과 용어로부터 정치적으로 자신을 분리하려고 했습니다. 1976년에 출판된 "반정신의학: 광범위한 사람들에 대한 명백한 정치적 비난으로 묘사되어 온 약탈된 정신의 패러다임"은 라잉, 쿠퍼 그리고 모든 반 정신주의자들이 "자칭 사회주의자, 공산주의자, 무정부주의자 또는 적어도 반자본주의자집단주의자"로 구성되었다고 사자스는 주장했습니다.[need quotation to verify] Szasz는 정신 의학 체계에 대한 그들의 비판에 일부 동의한다고 말하면서, 칠레의 가난이 미국 회사들의 약탈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반자본주의적인 반식민주의자들의 그것들과 사회적 원인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비교했습니다. 사자스는 중앙정보국(CIA)이 지원하는 쿠데타로 민주적으로 선출된 칠레 대통령을 폐위시키고 피노체트로 교체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한 발언입니다. 대신 Szasz는 고통/탈락은 개인의 삶의 어려움에서 오는 결점이나 실패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48]

정신과 의료 서비스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서도 반정신 운동이 추진되고 있었습니다. 여기에는 정신과에 의해 피해를 입었다고 느끼거나, 정신과 기관에 강제로 입원(물리적 힘을 통해 포함)하고 강제 약물 또는 시술을 받는 것을 포함한 다른 접근 방식에 의해 더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포함됩니다. 1970년대에 반정신 운동은 정신 의학적 학대로 간주되는 많은 관행으로부터 자제를 촉진하는 데 관여했습니다.

동성애 권리 운동은 동성애를 정신 질환으로 분류하는 것에 계속 도전했고, 1974년 논란과 행동주의의 분위기 속에서 미국 정신 의학 협회 회원국(1973년 수탁자들의 만장일치 투표에 따라 58%의 소수의 찬성으로 DSM에서 질병 범주로 삭제했습니다. "성적 지향 장애"와 1986년에 삭제된 "ego-디스토닉 동성애"의 범주로 대체했지만, 매우 다양한 "파라필리아"가 남아 있습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의 동성애 운동가들은 Szasz의 정신 의학 체계에 반대하는 많은 주장들을 채택했지만, Szasz는 1965년에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두 번째 의미의 질병 [정신성 미성숙의 express] 그리고 아마도 때로는 더 엄격한 의미의 질병 [유전적 오류나 내분비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반적인 기질적 질병과 다소 유사한 상태]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성애를 질병으로 분류함으로써 도덕적 판단의 영역에서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고 생각한다면 우리는 오류를 범하게 됩니다."

DSM은 2013년 DSM-5출시하면서 성 정체성 장애(gender disphoria)로 재분류하기 전까지 진단 라벨 성 정체성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 GID)를 사용했습니다. 질환에 대한 의학적 이해와 더 잘 일치하고 장애라는 용어와 관련된 낙인을 제거하기 위해 진단을 재분류했습니다.[49][50] DSM-5의 발행사인 미국 정신의학협회는 성별 부적합이 성불일치와 같은 것이 아니라며 "[51]성불일치는 그 자체로 정신장애가 아닙니다. 젠더 디스포리아의 중요한 요소는 이 질환과 관련된 임상적으로 중대한 고통의 존재입니다."[52] 일부 트랜스젠더와 연구자들은 진단이 성별의 분산을 병리화하고 성별의 이진 모델을 강화한다고 말하기 때문에 이 질환의 분류를 해제하는 것을 지지합니다.[49][53][54] 스자즈는 또한 야니스 레이몬드의 트랜스미소지니스트 작품을 공개적으로 지지했습니다. 1979년 뉴욕 타임즈레이몬드의 성전환 제국에 대한 서평에서 Szasz는 정신과 진단에 대한 그의 지속적인 비판과 레이몬드의 성전환 여성에 대한 페미니스트인 비판 사이의 연관성을 그렸습니다.

법적, 전문적 보호를 강화하고 인권장애 권리 운동과 결합하여 반정신 이론과 행동을 추가했습니다.

반정신의학은 (유전학, 신경화학, 약학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정신 의학의 "생물 의학" 초점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정신과와 제약회사 사이의 연관성이 점점 강해지고 정신과 연구와 실무에 과도하고 부당하며 비밀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것에 대해서도 반대 의견이 있었습니다. 정신과적 진단을 매뉴얼로 성문화하고 오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반대 의견이 있었습니다. 특히 정신 질환 진단통계 매뉴얼을 발간하는 미국 정신 의학 협회가 이를 문서화하는 것에 대해서도 반대 의견이 있었습니다.

반정신의학은 정신질환자로 분류되는 사람들에 대한 정신의학적 비관론과 제도화된 소외에 점점 더 도전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소비자/생존자 운동은 종종 완전한 회복, 권한 부여, 자기 관리 및 심지어 완전한 해방을 주장합니다. 종종 장애의 사회적 모델에 기반하여 낙인과 차별에 도전하기 위한 계획이 개발되었습니다. 정신 건강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예를 들어, 사회적 기업을 통해) 일과 사회에 더 완전히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장려하고, 정신 건강 서비스의 전달과 평가에 서비스 사용자를 참여시키기 위한 계획이 개발되었습니다. 그러나 주류 정신 의학 관행의 근본적인 윤리와 효능에 대해 적극적이고 공개적으로 도전하는 사람들은 정신 의학 내에서 소외되었고, 더 넓은 정신 건강 커뮤니티 내에서는 그 정도가 적었습니다.

세 명의 저자가 정신과 반대 운동을 의인화하기 위해 왔고, 그 중 두 명은 정신과 의사였습니다. 그들 중 최초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은 토마스 스자즈였는데, 그는 그의 책 "정신병신화"로 명성을 날렸지만, 스자즈 자신은 반정신과 의사라고 밝히지 않았습니다. 존경 받는 R D 레이어링 씨는 '분주된 자아'를 포함한 베스트셀러 시리즈를 썼습니다. 지적 철학자 미셸 푸코는 정신의학적 실천의 기초에 도전했고, 그것을 억압적이고 통제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반정신병"이라는 용어는 1967년 데이비드 쿠퍼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4][2] 이탈리아 의사 조르지오 안토누치는 언급된 저자들의 이론적 연출과 병행하여 정신과 병원 오세르반자루이지 롤리의 해체와 그곳에 고립된 사람들의 해방과 삶의 회복을 통해 정신 의학의 기초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56]

정신의학에 대한 도전

조난의 원인으로서의 문명

최근 몇 년간 심리치료사 데이비드 스마일브루스 E. 반 정신 운동의 일부로 여겨지는 Levine은 사회, 문화, 정치, 심리가 어떻게 교차하는지에 대해 광범위하게 글을 썼습니다. 그들은 사회에서 개인의 "신체화된 본성"과 현대 서구 사회에서 권력과 재정적 관심이 수행하는 명백한 역할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치료사들에 대해 광범위하게 썼습니다. 그들은 감정과 감정이 일반적으로 가정되는 것처럼 개인의 특징이 아니라 사회에서 자신의 상황에 대한 개인의 반응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들은 심리치료조차도 가족과 친구에서 직장, 사회경제, 정치, 문화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삶에 미치는 '근위적'인 영향과 '원위적'인 영향을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만큼만 감정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57][58]

R. D. Laing은 개인이 주변 사람들에 의해 희생되는 메커니즘으로 가족의 유대관계를 강조하고, 기능 장애 사회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59][60][61]

'질병'을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임상 인터뷰의 부적절성

정신과 의사들은 크래플린 시대부터 임상 인터뷰를 바탕으로 정신질환을 감별하려고 노력해왔지만, 이제는 자신들의 진단 기준이 불완전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가토 타다후미는 "우리 정신과 의사들은 인터뷰만으로는 '질병'을 식별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지금 우리가 하는 일은 혈당을 측정하지 않고 당뇨병을 진단하려는 것과 같습니다."[62]

정상성 및 질병 판단

문명의 광기: 미국 의사 새뮤얼 A. 카트라이트는 그가 드레이페토마니아라고 부르는 것을 확인했는데, 이것은 노예들이 자유에 대한 갈망과 탈출에 대한 열망에 사로잡히게 하는 질병이었습니다.

2013년 정신과 의사 알렌 프란시스는 "정신과적 진단은 여전히 객관적인 생물학적 검사보다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주관적 판단에만 전적으로 의존한다"고 말했습니다.[63]

정신 질환의 존립 상태를 의심할 만한 이유들이 제시되었습니다.[64]: 13 정신 질환은 세 가지 수준에서 존재론적 회의를 유발합니다.

  1. 정신 장애는 거시적 또는 미시적 대상과 같이 인간의 감각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추상적인 실체입니다.
  2. 정신 장애는 가치의 부과, 즉 인간의 해석에 의해 감지가 손상되지 않는 명확하게 자연스러운 과정이 아닙니다.
  3. 그것들이 그것들을 경험하는 개별적인 사람들과는 별개로 세상에 존재하는 추상적인 으로 상정되어야 하는지, 따라서 그것들을 인스턴스화해야 하는지는 불분명합니다.[64]: 13

정신장애의 정의 또는 분류에 관한 과학 및 학술 문헌에서, 한 극단은 그것이 전적으로 가치 판단의 문제(정상적인 것을 포함)라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극단은 그것이 전적으로 객관적이거나 과학적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65]통계 규범을 참조하여 포함).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관점은 정신 장애의 개념이 객관적이지만 결코 정확하게 정의될 수 없는 "퍼지한 원형"이라고 주장하거나, 대안적으로 그것이 필연적으로 과학적 사실과 주관적 가치 판단의 혼합을 수반한다고 주장합니다.[66]

정신 의학적 진단이 문화적 편견을 강화하고 반체제를 억압하는 데 사용된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예는 드레이페토마니아 진단입니다. 미국 남북전쟁 이전의 미국에서는 사무엘 A와 같은 의사들이 있었습니다. 카트라이트는 일부 노예들이 자유에 대한 비이성적인 욕망과 탈출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는 정신 질환인 드라페토마니아를 진단했습니다.[67] 정신의학은 그러한 반체제적인 정신적 특성을 비정상과 질병으로 분류함으로써 정상, 비정상, 건강, 건강에 대한 문화적 편견을 조장했습니다. 이 예는 정신과적 진단과 정신과적 신념에서 문화적 편향뿐만 아니라 확인 편향편향 사각지대가 발생할 확률을 나타냅니다.[68]

푸코와 같은 철학자들은 "정신 질환"의 특징은 "건강한" 마음과 "아픈" 마음을 구별하는 정확하게 정의된 특성이 아니라 그들이 출현하는 사회의 계층 구조를 반영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게다가 자해의 경향을 정신질환의 기본 증상으로 본다면, 인류는 기록된 역사를 통해 자신의 환경을 파괴하고 서로 전쟁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거의 틀림없이 미친 사람입니다.[69]

정신과 라벨링

"정신병자 유로파스! 와흐렛 유레 하일릭스텐 진단!("Wahret Eure Heiligsten Diagosen") 당신의 신성화된 진단을 보호하라!")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1896년 하이델베르크, "Bierzeitung" 정신분열증 개념을 소개한 에밀 크레이플린의 만화에 새겨진 글입니다.

정신질환은 1949년 국제질병분류(ICD-6) 제6차 개정에 처음 포함되었습니다.[70] 3년 후, 미국 정신 의학 협회는 독자적인 분류 체계인 DSM-I를 만들었습니다.[70] 대부분의 정신 의학적 진단의 정의는 증상과 징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경과와 같은 현상학적 기준의 조합으로 구성됩니다.[70] 전문가 위원회들은 그것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정신 질환의 범주로 결합하고, 지난 반세기 동안 그것들을 정의하고 다시 정의했습니다.[70]

이러한 진단 범주의 대부분은 대부분의 의학적 질병이 그러하듯이 장애라고 불리며 생물학적 기준에 의해 검증되지는 않지만, 의학적 질병을 대표하고 의학적 진단의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70] 이러한 진단 범주는 실제로 하향식 분류에 포함되어 있는데, 전문가들이 어떤 분류 기준을 사용할지에 대한 선험적인 결정을 내린 17세기와 18세기의 초기 식물 분류와 유사합니다.[70] 예를 들어 잎의 모양이나 자실체가 식물을 분류하는 주요 기준인지 여부. 크레이플린 시대부터 정신과 의사들은 임상 인터뷰를 이용해 정신질환을 감별하려고 노력해 왔습니다.[62]

"건강한" 개인을 정신과 진료에 포함시키는 실험

1972년 심리학자 데이비드 로젠한은 정신의학적 진단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인 로젠한 실험을 발표했습니다.[71] 이 연구는 정신병리 병력이 없는 8명의 사람들이 정신병원에 입원을 시도하도록 주선했습니다. 개인에는 대학원생, 심리학자, 예술가, 주부, 그리고 정신과 의사 1명을 포함한 의사 2명이 포함되었습니다. 8명 모두 조현병이나 조울증 진단으로 입원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정신과 의사들은 정신과 약물을 사용하여 환자들을 치료하려고 시도했습니다. 8명 모두 7일에서 52일 이내에 퇴원했습니다. 연구의 후반부에서, 정신과 직원들은 가짜 환자들이 그들의 기관으로 보내질 수 있다는 경고를 받았지만, 실제로는 아무도 보내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명 중 총 83명의 환자가 최소 한 명의 스태프가 배우로 믿고 있었습니다. 이 연구는 정신 장애가 없는 사람들은 정신 장애가 있는 사람들과 구별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71]

로버트 스피처(Robert Spitzer)와 같은 비평가들은 이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지만, 정신 의학적 진단의 일관성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했습니다.[72] 진단 범주의 타당성 대 신뢰성의 문제는 진단 시스템을 계속 괴롭히고 있습니다. 신경과학자 가토 타다후미는 각 정신질환의 신경생물학적 특징에 기초한 새로운 질병 분류를 지지합니다.[62]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 하인즈 카칭(Heinz Katsching)은 정신과 의사들에게 "정신병"이라는 용어를 "뇌병"으로 대체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70]

주류 정신 의학 진단의 진단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해 이상적인 상황과 통제된 상황[73], 그리고 일상적인 임상 실습에서 더욱 그러하다는 인식된 문제가 있습니다(McGorry et al. 1995).[74] 주 진단 매뉴얼인 DSM과 ICD의 기준이 두 매뉴얼 간에 일치하지 않습니다.[75] 진단 기준을 비판하는 일부 정신과 의사들은 개인이 두 가지 이상의 장애에 대한 기준을 충족할 때 동반 질환이 예외가 아닌 규칙이라고 지적하며, 별개의 장애라고 주장되는 것 사이에 중복되고 모호하게 정의되거나 변경 가능한 경계가 있는 범주의 구별성에 의문을 제기합니다.[76]

다른 우려 사항으로는 다른 국가, 문화, 성별 또는 민족 그룹에서 표준 진단 기준을 사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비평가들은 서구화된 백인 남성 중심의 정신 의학 관행과 진단이 다른 집단의 사람들에게 불이익을 주고 오해를 한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여러 연구에 따르면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백인보다 정신 분열증 진단을 더 많이 받고,[77]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습니다. 반정신의학 운동 내의 일부는 그것이 비합법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생물의학 모델과 일치하기 때문에 진단의 사용에 대해 전혀 비판적입니다.

사회통제도구

Whitchchur Hospital.

프랑코 바사글리아, 조르지오 안토누치, 브루스 E에 따르면. Levine은 정신의료기관이 일탈행동과 사회문제를 통제하고 의료화하는 역할을 지적하고, 정신의학은 기존 기관에 대한 사회적 통제를 위한 과학적 지원의 제공자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일탈과 정상성의 기준은 이산 사회 집단에 대한 억압적인 관점을 가져왔습니다.[58][78][79]: 70 마이크 피츠패트릭(Mike Fitzpatrick)에 따르면 의료화에 대한 저항은 1970년대 게이 해방, 반 psychiat, 페미니스트 운동의 공통된 주제였지만, 현재는 공중 보건 측면에서 정당하다고 생각되면 생활 방식에서 정부 침입의 진전에 대한 저항이 실제로 없습니다.

Mike Fitzpatrick의 의견으로는 의료화에 대한 압박도 사회 자체에서 오는 것입니다. 한 예로, 피츠패트릭은 한 때 억압적이고 가부장적인 국가 개입에 반대했던 페미니스트들이 이제 아동학대와 가정폭력에 대처하기 위해 더 강압적이고 침해적인 조치를 요구한다고 주장합니다.[80] 리차드 고스덴(Richard Gosden)에 따르면, 다양한 정신 질환에 대한 예방 의학 프로그램에서 사회적 통제의 도구로서 정신 의학의 사용이 명백해지고 있다고 합니다.[81]: 14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행동 패턴과 사고를 가진 어린이와 젊은이들을 식별하여 그들이 추정하는 정신 질환이 발병하기 전에 치료에 보내기 위한 것입니다.[81]: 14 호주의[citation needed] 모범 사례를 위한 임상 지침에는 조현병 및 기타 정신병적 상태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 예방적 약물 치료가 필요한 젊은이들을 감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위험 요소와 징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81]: 14

정신의학과 제약산업

정신 의학 비평가들은 현대 사회의 진단과 치료의 경로가 주로 또는 압도적으로 이익 특권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는데, 이는 가장 큰 정신 의약품 생산업체들 중 다수가 기반을 두고 있는 미국의 일반적인 의료 관행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을 반영합니다.[58][82]

정신 의학 연구는 약물, 심리 치료 또는 이 둘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정신 건강 장애를 개선하거나 관리하는 데 다양한 효능을 보여주었습니다. 대표적인 정신과 약물로는 흥분제, 항우울제, 항불안제, 항정신병약(신경 렙틱) 등이 있습니다.

반면, 마인드프리덤 인터내셔널세계 사용자정신 의학 생존자 네트워크와 같은 단체들은 정신과 의사들이 약물의 증거를 과장하고 약물 부작용의 증거를 최소화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들과 다른 활동가들은 개인들에게 균형 잡힌 정보가 주어지지 않고, 현재의 정신 의학 약물은 주류 정신 의학이 주장하는 방식으로 특정 질환에 특정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믿고 있습니다.[83] 그리고 정신 의학 약물은 뇌의 측정 가능한 화학적 불균형을 바로잡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유발합니다. 예를 들어, 리탈린과 다른 정신 자극제를 복용하는 아이들이 부모와 선생님에게 더 순종적이 [84]되긴 하지만, 비평가들은 그들이 틱, 경련, 그리고 다른 비자발적인 움직임과 같은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85] 이것은 자극제의 치료적 사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신경 렙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86][87] 의무교육에 대한 무관심을 근거로 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은 아동에 대한 부당한 사회적 통제 수단으로 정신작용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비판자들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84]

제약회사의 영향력은 정신과 반대 운동의 또 다른 주요 쟁점입니다. 정신의학계 안팎의 많은 비판자들이 주장한 것처럼, 정신의학계와 규제당국, 제약회사 사이에는 재정적, 전문적인 연계가 많습니다. 제약회사들은 정신과 의사들이 수행하는 연구의 대부분에 정기적으로 자금을 지원하고, 정신과 저널과 학회에 의약품 광고를 하며, 정신과 및 의료 기관과 건강 증진 캠페인에 자금을 지원하고, 일반 의사들과 정치인들에게 로비를 하기 위해 대표들을 보냅니다. Peter Breggin, Sharkey, 그리고 다른 정신-제약 산업 조사관들은 많은 정신과 의사들이 제약이나 관련 규제 기관의 회원, 주주 또는 특별 고문이라고 주장합니다.[88][89]

결과적으로 연구 결과와 약의 처방이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2005년 제약 산업의 영향력에 대한 영국 의회의 교차 조사는 "제약 산업의 영향력은 임상 실무를 지배할 정도"[90]이며 "약물의 안전하지 않은 사용, 그리고 사회의 의료화 증가"라는 심각한 규제 실패를 초래한다고 결론지었습니다.[91] 캠페인 조직인 '무료급식'에서는 제약회사의 사은품에 대한 의료인들의 보편적인 수용과 정신과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92] 이어 존경하는 정신과 의사들이 발표하는 제약회사 관계자들의 글 대필도 부각됐습니다.[93] 체계적인 검토 결과, 의약품 자금 지원을 받아 진행되는 정신과 약물의 실험은 그러한 자금 지원을 받지 않은 연구보다 몇 배나 더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94]

정신과 약물 처방 건수는 1950년대 이후 극도로 높은 비율로 증가하고 있으며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33] 미국에서 항우울제와 신경안정제는 현재 처방약의 판매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신경성 렙틱과 다른 정신과 약물들도 판매가 증가하면서 거의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94] 명백한 이해충돌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약산업과 정신과를 분리하는 법안을 제안하는 비판자들이 있습니다.

존 리드브루스 E. Levine은 조현병과 같은 정신질환의 발병과 예방에 중요한 요소로서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생각을 발전시켜 왔으며, 산업체가 후원하는 웹사이트를 통해 제약회사가 정신질환에 대한 포괄적인 생물학적 접근이 아닌 보다 생물학적 접근을 촉진하는 것으로 주목했습니다. 심리적,[58][95] 사회적 모델

전기 경련 요법

오리지널 사진 설명에 따르면 베르고닉 의자는 "심리적 효과를 위해 일반적인 전기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제1차 세계대전.

정신과 의사들은 정신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정신 의학적 약물, 심리 치료 또는 전기 충격이나 정신 수술과 같은 보다 논란이 많은 개입을 옹호할 수 있습니다. 전기 경련 요법(ECT)은 일반적으로 심각한 정신 질환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시행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100만 명의 환자가 ECT를 받는 것으로 추정됩니다.[96] 미국에서 연간 ECT를 받는 사람의 수는 설정 및 치료의 다양성으로 인해 정확한 수를 알 수 없습니다. 연구자들의 추정치는 일반적으로 연간 10만 명에서 20만 명 사이입니다.[97][self-published source]

ECT를 받는 사람 중 일부는 시술 중 사망합니다(ECT는 일반적인 마취제 하에서 수행되며, 항상 위험을 수반합니다). Leonard Roy Frank는 ECT 관련 사망률에 대한 추정치는 매우 다양하다고 쓰고 있습니다. 아래의 추정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100,000명 중 2–4명 (1994년 Kramer의 28,4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98]
  • 10,000분의 1 (1996년 부트맨의 첫 진출)
  • 1,000분의 1 (임파스타토의 1957년 첫 진출)
  • 200명 중 1명, 60세 이상 노인(1957년 Impastato's)

더 높은 추정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102명 중 1명 (1949년 마틴 입단)
  • 95분의 1 (1996년 부트맨의 첫 진출)
  • 92분의 1 (1976년 프리맨과 켄델의 입단)
  • 89분의 1 (1961년 세이지비엘)
  • 69분의 1 (Gralnick's in 1946)
  • 집중적인 ECT를 받는 그룹 중 63명 중 1명 (Perry's in 1963-1979)
  • 38분의 1 (Ehrenberg's 1955)
  • 30분의 1 (Kurland's 1959년)
  • 집중적인 ECT를 받고 있는 그룹 중에서 9분의 1 (Weil's in 1949)
  • 4명 중 1명꼴로, 80세 이상의 노인(1974-1986년 Kroessler and Fogel's).[99][page needed]

정신의학의 정치적 남용

관타나모 만의 정신과 병동.

전 세계의 정신과 의사들은 정신 질환의 정의가 정치적 불복종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된 주들에 의한 개인의 권리 억제에 관여해 왔습니다.[100]: 6 오늘날, 많은 나라에서 정치범들은 때때로 정신 기관에 갇혀 학대를 당합니다.[101]: 3 정신 의학은 다른 의학 분야보다 더 높은 남용 능력을 내장하고 있습니다.[102]: 65 정신 질환의 진단은 사회적 반체제 인사의 지정을 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국가는 사람들을 그들의 의지에 반하여 붙잡아 둘 수 있고, 이념적 일치와 사회의 더 넓은 이익을 위해 작용하는 치료법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102]: 65 일원적인 상태에서 정신의학은 유·무죄의 성립을 위한 표준적인 법적 절차를 우회하고 그러한 정치적 재판에 일반적인 오듐이 부착되지 않고 정치적 수감을 허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102]: 65

1940년대 나치 정권 하에서 '돌봄의 의무'는 엄청난 규모로 침해당했습니다.[36] 독일에서만 30만 명이 정신질환자, 일을 꺼리거나 심신미약자로 분류돼 살균됐습니다. 추가로 20만 명이 안락사 되었습니다.[103] 이러한 관행은 나치가 점령한 영토(주로 동유럽)에서 계속되어 수천 명이 더 영향을 받았습니다.[104] 1960년대부터 1986년까지 소련에서는 정신 의학의 정치적 남용이 조직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루마니아,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등 다른 동유럽 [102]: 66 국가들과 이탈리아 등 서유럽 국가들에서도 가끔 표면화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정치 분야에서 정신의학이 활용된 사례로는 조르지오 안토누치가 자신의 저서 '일 프레지우디지오 피시치아트리코'에서 설명한 '사건 사바티니'가 있습니다. 나치의 수차를 연상시키는 '정신건강학 대량학살'은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남아프리카공화국 탄압의 역사에서 자리 잡고 있습니다.[106] 그 규율의 지속적인 유용은 후에 중화인민공화국에 귀속되었습니다.[107]

K. 풀포드, A. 스미르노프, 그리고 E. 스노우 스테이트(Snow state): "따라서 정신 의학의 남용에 대한 중요한 취약성 요소는 현재 정신 의학 진단이 의존하는 관찰의 주관적인 특성입니다."[108] 미국 정신과 의사 토마스 스자즈(Thomas Szasz)는 1994년 의학윤리학회지(Journal of Medical Ethics)가 발표한 기사에서 "특정 개인의 노예 소유자와 노예 거래자가 흑인으로 분류된 것은 과학적"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그러한 인종 분류의 '남용'을 막지는 못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말하는) 그러한 인종 분류의 남용은 사실 그것의 사용이었기 때문입니다."[109] Szasz는 서양의 정신과 의사들이 직업적 기준의 남용에 대해 소련의 동료들을 크게 비난하는 광경은 대체로 위선적인 행동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81]: 220 [109] Szasz는 K라고 말합니다. 풀포드, A. 스미르노프, 그리고 E. 정신의학적 진단의 가치적 성격과 정신의학적 분류의 주관적 성격을 올바르게 강조하는 스노우는 정신의학적 힘의 역할을 받아들이지 못합니다.[109] 그는 구소련에서 보통 관행과 관련된 사람들과 같은 정신 의학적 남용은 정신 의학적 진단의 오용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민주사회와 전체주의 사회에서 정신과 의사의 사회적 역할에 구축된 정치적 권력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습니다.[81]: 220 [109] 음악학자, 드라마 평론가, 미술사가, 그리고 많은 다른 학자들도 그들만의 주관적인 분류를 만들지만, 국가가 사람들에 대해 합법적인 권한을 갖지 못하는 그들의 분류가 누군가의 재산, 자유 또는 생명을 빼앗기는 것으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109] 예를 들어, 성형외과 의사의 미의 구분은 주관적이지만, 성형외과 의사는 환자의 동의 없이는 자신의 환자를 치료할 수 없기 때문에 성형수술에 대한 정치적 남용이 있을 수 없습니다.[109]

정치 의학의 근간은 의학적 치료를 가장한 강요입니다.[110]: 497 이 과정에서 의사는 승인되지 않은 상태를 '병'으로 진단하고 피해자에게 부과하는 개입을 '치료'로 선언하고, 입법자와 판사는 이러한 분류를 합법화합니다.[110]: 497 나치가 집권하기 훨씬 전부터 의사-천식주의자들은 사회와 환자 모두를 위한 치료의 한 형태로 특정 장애인이나 아픈 사람들을 죽이는 것을 옹호했습니다.[110]: 497 [111]

히틀러는 정치 경력을 시작할 때부터 "국가의 적"에 대항하는 투쟁을 의료 수사학에 담았습니다.[110]: 502 1934년에 그는 제국주의자들에게 연설하면서 "나는 우리 내부의 좋은 독살의 궤양을 날살로 태워 없애라고 명령했다"고 선언했습니다.[110]: 502 [112]: 494 독일 국가 전체와 독일 국가사회주의 정치인들은 그런 용어들을 생각하고 말하는 것을 배웠습니다.[110]: 502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대리인 베르너 베스트는 경찰의 임무는 "국가의 정치적 건강을 위협하는 모든 질병과 파괴의 세균을 뿌리 뽑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유대인 외에도] 대부분의 세균은 집시, 동성애자, 거지, '반사회적', '일하기 쉬운', '일하기 쉬운', 그리고 'habitual 범죄자'들.

모든 증거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나치즘의 의사 치료적 성격과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 의학적 은유의 사용의 정치적 의미를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합니다.[110]: 503 "정신의학의 남용"으로 치부되는 이 관행은 나치 독일의 정신과 의사들을 나쁘게 보이게 하기 때문이 아니라 나치즘 하에서 독일의 약리학적 통제와 자유 시장 경제 하에서 미국에서 나타난 약리학적 통제 사이의 극적인 유사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제입니다.[110]: 503 [113][page needed]

치료상태

"치료 상태"는 1963년 Szasz가 만든 말입니다.[114] 정신과와 정부의 협력은 Szasz가 말하는 "치료 상태"로 이어지는데, 이는 의사 의료 개입을 통해 승인되지 않은 행동, 생각 및 감정이 억제("치료")되는 시스템입니다.[115][116]: 17 따라서 자살,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종교적 신념, 인종적 편견, 불행, 불안, 수줍음, 성적 문란, 도둑질, 도박, 과식, 흡연, 불법 약물 복용 등은 모두 치료해야 할 증상 또는 질병으로 간주됩니다.[116]: 17 공공장소에서의 흡연, 폭음, 도박 또는 비만을 줄이기 위한 조치에 대한 요구에 직면했을 때, 장관들은 "보모적인 국가주의에 대한 비난으로부터 경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80] 보모가 상담사에게 자리를 내준 '보모 상태'가 된 겁니다.[80] 보모는 그저 사람들에게 무엇을 해야 할지를 말해주었을 뿐입니다; 상담원들은 또한 그들에게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느낄지를 말해줍니다.[80] "보모 상태"는 징벌적이고, 엄격하며, 권위주의적이었고, 치료 상태는 민감하고, 지지적이며, 심지어 더 권위주의적이었습니다.[80] 스자즈에 따르면, "신학적 상태가 신과 종교의 영역 밖에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완벽하게 합리적인 근거 위에서 인간의 모든 것을 삼켰던 것처럼, 치료적 상태는 건강과 의학의 영역 밖에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겉보기에는 합리적인 근거 위에서 인간의 모든 것을 삼킵니다."[110]: 515

"미치광"의 문제에 직면하여, 서양의 개인주의는 개인의 권리를 방어할 준비가 불충분하다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 만약 사람들이 그들이 하나의 진정한 신, 즉 선을 확인했다고 동의한다면, 현대인은 중세인보다 더 미친 사람이 될 권리가 없습니다. 그것은 거짓 신이나 물건을 숭배하려는 유혹으로부터 구성원들과 비 구성원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을 야기합니다.[110]: 496 하나님의 세속화와 선의 의학화는 계몽주의 이후의 관점을 낳았습니다. 사람들이 하나의 진정한 이유를 확인했다고 동의하면, 그들은 비합리적인 예배의 유혹, 즉 광기를 경계해야 합니다.[110]: 496

시민 자유주의자들은 국가와 정신과의 결혼이 문명에 재앙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117] 교회와 국가의 분리와 같은 맥락에서 스자즈는 정신의학과 국가 사이에 견고한 벽이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110]

"총기관"

어빙 고프만은 그의 저서 '망명'에서 정신병원과 그와 유사한 장소에서 한 사람의 삶 전체를 장악하고 가두는 '전체 기관'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습니다.[118]: 150 [119]: 9 Goffman은 정신병원을 강제수용소, 감옥, 군사조직, 고아원, 수도원과 같은 범주에 넣었습니다.[120] 망명에서 Goffman은 제도화 과정이 어떻게 사람들을 좋은 환자, 즉 '무미롭고 무해하며 눈에 띄지 않는' 사람의 역할로 사회화하는지 설명합니다. 그것은 차례로 심각한 정신 질환의 만성화에 대한 개념을 강화합니다.[121]

미국에서는 정신의학을 비판하는 사람들이 법과 정신의학의 교차점이 초법적 실체를 만들어낸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정신병원에 수감되거나 교도소에 수감되는 정신이상자 변호는 신경 렙틱을 사용한 강제 약물치료나 전기충격 치료의 위험을 수반하기 때문에 일부 비평가들에 따르면 형사 수감보다 더 나쁠 수 있습니다.[122][123][unreliable source?] 범죄자의 수감 기간은 미리 결정되고 알려진 시간이지만,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정신과 병원에 무기한 수용되는데, 이는 거의 틀림없이 근본적인 불확실성이라는 터무니없는 부과입니다.[124] 그러한 불확실성은 정신적 불안정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으며, 회복을[citation needed] 방해하는 절망과 수용으로의 이탈을 실질적으로 조장한다고 주장되어 왔습니다.

비자발적 입원

비판론자들은 비자발적 헌신에서 법적으로 제재된 힘을 사용하는 것을 자유 또는 개방 사회의 기본 원칙을 위반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치 철학자 John Stuart Mill과 다른 사람들은 사회가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한 개인을 제압하기 위해 강압을 사용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정신 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폭력적인 행동에 대한 연구 증거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직접적인 연관성을 지지하지 않습니다.[125][126] 영국 및 다른 지역에서 증가하고 있는 지역사회 돌봄 관행은 부분적으로 이러한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비자발적 입원에 대한 대안으로는 지역사회 내 비의료적 위기관리의 발전이 있습니다.

미국 소테리아 프로젝트는 정신과 의사 로렌 모셔가 정신과 증상이나 극단적인 상태를 경험하는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해 주거 환경에서 치료의 대안 모델로 개발했습니다. 소테리아 하우스는 1983년 미국에서 재정 지원 부족으로 문을 닫았습니다.[127] 스웨덴과 다른 북유럽 국가들을 포함한 유럽에서도 비슷한 프로그램들이 설립되었습니다.[128] 보다 최근에[year needed] 미국 버몬트에 Soteria House가 문을 열었습니다.

의사 조르지오 안토누치는 1979년부터 1996년까지 이탈리아 이몰라의 Ospedale Pschiatrico Osservanza의 이사로 활동하는 동안 어떤 형태의 강요와 자유의 기본 원칙에 대한 위반도 거부하고 정신 의학의 기초 자체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78][130]

의사과학과 실패한 기업으로서의 정신의학

위의 많은 문제들은 정신의학이 의사과학이라는 주장으로 이어집니다.[131] 일부 과학 철학자들에 따르면, 어떤 이론이 과학으로서의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나타낼 필요가 있습니다.

  •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이 허용하는 한, 간결함(Occam의 면도기 참조);
  • 경험적으로 시험 가능하고 반증 가능(반증 가능성 참조);
  • 변경 가능한, 즉 필요한 경우 새로운 데이터가 발견됨에 따라 이론에 변경을 가할 수 있습니다.
  • 진보적이고, 이전의 성공적인 설명을 포함하며, 더 많은 것을 설명하고 추가합니다.
  • 잠정적인, 즉 잠정적인; 이론은 그것이 최종적인 설명 또는 설명이라고 주장하려고 시도하지 않습니다.

정신과 의사 콜린 A. RossAlvin Pam은 많은 부분에서 생검술이 과학으로서의 자격을 갖추지 못했다고 주장합니다.[132]

정신의학 연구자들은 복제 위기[133] 교과서 오류를 근거로 비판을 받아왔습니다.[134] 의심스러운 연구 관행은 주요 증거 출처를 편향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35]

스튜어트 A. 커크는 2013년 미국 성인의 약 20%가 정신 질환으로 진단될 수 있을 정도로 정신 질환이 줄어들지 않고 성장했기 때문에 정신 의학은 실패한 기업이라고 주장했습니다.[136]

2014년 메타 분석에 따르면, 정신과 치료는 신체 건강 상태에 대한 다른 전문 의료인의 치료보다 치료 효과 측면에서 정신 질환에 덜 효과적입니다. 분석 결과, 정신 의학적 개입에 대한 효과 크기는 평균적으로 다른 의학 분야와 동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37]

다양한 경로

Szasz는 그 이후로 (2008년) 반정신병이라는 용어에 대한 경멸을 다시 강조하면서, 그것의 유산은 단순히 "정신과 사기와 무력에 대한 비평가들을 반정신병자라고 칭함으로써 그들을 위임하고 해고하는 데 사용되는 잡동사니의 용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 용어가 아직 "그들의 규율을 반정신과로 분류"한 적이 없는 네 명의 정신과 의사들(Cooper, Laing, Berke, Redler)의 모임에서 유래했으며, 그는 개인적인 거리두기에도 불구하고 라잉이 그것을 대중화시킨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합니다. Szasz는 고인(1989) 레이를 독설적인 용어로 묘사하며, 그가 정신 의학적 진단과 무력 사용에 대해 무책임하고 모호하다고 비난하고, 그의 과거 "공공 행동"을 "도덕적 판단에 적합한 주제"라고 상세하게 묘사하고, 그는 "나쁜 사람과 직업인으로서 사기꾼"이라고 말합니다.[138]

그러나 Daniel Burston은 Szasz와 Laing의 출판된 작품들이 Szasz가 인정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융합적이고 지적인 친족관계를 보여준다고 주장했습니다. 스자즈가 자유지상주의자이고 라잉이 실존주의자라는 것과 관련된 여러 쟁점들에 대한 의견 차이에도 불구하고; 스자즈는 라잉의 인격에 대한 비판에 상당한 과장과 왜곡을 사용하고, 라잉의 개인적인 실패와 가정적인 문제들을 부당하게 이용하여 그의 작품과 사상들을 깎아내리는 것, 그리고 스자즈의 "명확한," 결정적인 윤리적 원칙은 많은 임상의들이 작업 과정에서 자주 직면하는 고뇌와 종종 결정적이지 못한 성찰을 우리에게 남겨주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139] Szasz는 자신의 견해가 10대 때부터 자유주의 정치에서 나온 것임을 나타냈습니다. 정신 의학에 대한 경험보다는; 과거에 비자발적인 정신 질환자들과의 rare 접촉에서 그들을 퇴원시키려고 했거나 (그들이 범죄로 기소되지 않았다면), (그들이 범죄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는 것처럼 보인다면), (그들이 범죄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는 것을 검찰이 도와주었을 것입니다); 그는 그렇지 않습니다. 동의하는 정신과 의사의 진료에 반대하며 "기존 정신과 의사의 진료를 방해하지 않는다", 1948년부터 1996년까지 자발적인 진료비 지불 고객을 위한 "listening 및 talking"("psych 요법")을 제공한 것에 반대합니다. 이는 그가 비의료적이며 정신 분석적으로 훈련된 정신과 의사라는 것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습니다.

동성애 권리 또는 동성애 해방 운동은 억압과 낙인에 도전하고, 특히 미국 정신 의학 협회(APA)의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매뉴얼에서 동성애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종종 여겨집니다. 그러나 APA의 게이, 레즈비언, 양성애 문제 위원회의 한 정신과 위원은 최근 이 둘이 APA 컨벤션에서 70년대 초반에 있었던 시위에서 분리되었으며 APA의 동성애 제거 결정은 과학적이었고 정치적 압력과 일치했다고 주장하며 거리를 두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평론가들은 설립자들과 운동들이 밀접하게 일치하고 있으며, 그들은 핵심적인 글, 지지자들, 구호들을 공유하고 있으며, 다른 이들은 예를 들어 동성애 해방 비평이 "반정신병의 전통에 의해 (그리고 실제로 종종 명백하게 근거를 두고) 가능해졌다"고 말했습니다.[140][141]

임상 환경에서 정신의학적 지식에 대한 비판과 그 실천의 개혁이라는 반정신의학의 두 분야는 결코 완전히 별개의 것이 아니었습니다. 또한, 어떤 의미에서 반정신의학은 정신과 의사와 관련 전문가들이 자신의 판단, 가정 및 관행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자기 주도적인 요구이기 때문에 정신의학의 종말에 대한 요구가 아니었습니다. 정신의학의 타당성에 대한 비정신의학적 의료인의 의혹을 반정신의학적으로 묘사한 경우도 있고, '부드러운 머리' 정신의학자를 향한 '강경파' 정신의학자들의 비판도 있었습니다. 반정신의학의 대부분의 주요 인물들은 그들 자신이 정신과 의사였고, 그들이 정말로 "정신의학에 반대하는" 것인지, 아니면 그 일부인지에 대해 모호하게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정신의학 분야 밖에서, 예를 들어 사회복지사나 심리학자와 같은 활동가나 비의료 정신건강 전문가들에게 '반정신의학'은 더 급진적인 것을 의미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보다 급진적인 경향과 관련하여 "반정신의학"이라는 모호한 용어가 등장했지만, 새로운 현상인지, 누구를 가장 잘 묘사했는지, 그리고 진정한 단일 운동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었습니다.[142] 반정신의학이라는 용어에 내재된 모호함을 피하기 위해, 급진적이고 모호하지 않은 정신의학의 기초에 대한 비판으로 정의될 수 있는 사고의 흐름은 정신의학의 완전한 제거를 목표로 합니다. 정신 의학의 기초에 대한 비판의 주요 대표자는 심리적 고통에 대한 비정신적 접근법의 창시자인 이탈리아 의사인 조르지오 안토누치이며, 그는 "정신 의학의 본질은 차별의 이념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143]

1990년대에는 정신과 의사들 사이에서 반정신 운동을 과거의 일부로 규정하고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고, 그 이념적 역사를 과학적 사고와 탐구를 희생시키면서 급진적 정치의 양극화에 대한 추파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 운동이 지침과 옹호 단체에 풀뿌리 참여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고 대규모 정신 기관에서 지역 사회 서비스로 전환하는 데 기여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게다가 커뮤니티 센터들은 실제로 정신과/의료 모델과 거리를 두는 경향이 있었고, 스스로가 정신과의 권위에 대한 저항 또는 반대의 문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해 왔습니다. 전반적으로, 운동으로서의 반정신의학은 이 시기에 시대착오적인 것이 되었을 수도 있고 더 이상 저명한 정신과 의사들에 의해 주도되지는 않았지만, 그것이 정신 건강학의 주류 관행으로 통합되었다고 주장되어 왔습니다.[37] 반면에 주류 정신 의학은 생물 의학이 되면서 전문가들 사이의 격차가 커졌습니다.

헨리 나스랄라(Henry Nasrallah)는 반정신병이 한 세기 전의 사건과 원시적인 상태에 기반한 많은 역사적 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믿지만, "반정신병은 우리가 하는 일에 대해 정직하고 엄격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더 나은 진단 모델과 치료 패러다임을 끊임없이 찾도록 동기를 부여합니다. 오늘날 정신 의학은 한 세기 전보다 훨씬 더 과학적이지만 정신 의학에 대한 잘못된 인식은 과거의 남용에 의해 계속되고 있습니다. 반정신병적 의혹에 대한 최고의 해독제는 개인의 진실성, 과학적 진보, 그리고 건전한 증거 기반의 임상 치료의 조합입니다."[2]

30년 동안의 반정신의학이 정신의학에 비판적인 많은 문헌을 만들어냈다는 비판이 1990년대에 이루어졌지만, 미국 사회에서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들의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는 것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었습니다. 따라서 반정신병자 십자군은 고통받는 사람들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지 않았고, 따라서 그들이 정신과 의사들을 비난하는 것에 대해 비슷한 죄를 지었다고 기소되었습니다. 이탈리아에서 반정신의학의 부상은 단순히 "의학적 지식을 가진 사람들로부터 사회 정치적 권력을 가진 사람들에게 정신 의학적 통제를 이전하는 것"이라고 한 관찰자에 의해 설명되었습니다.[40]

그러나 이 견해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반정신의학적 관점에서 정신과 치료 자체의 산업적 측면을 "악화"라고 표현되는 이 상황의 주요 원인으로 재빨리 지적합니다. "정신질환자"라는 꼬리표가 붙은 사람들의 수는 그들의 상태의 심각성과 함께 주로 정신 건강 운동과 정신과 의사를 포함한 정신 건강 전문가들의 직접적인 노력으로 인해 증가해 왔습니다. 그들을 비난하는 사람들이 아닙니다. "정신 건강 치료"를 폭력 예방으로 상상하는 것은 특히 다른 어떤 그룹보다 훨씬 폭력적이지 않고 실제로는 많은 사람들보다 덜 폭력적인 사람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문제의 큰 부분이 되었습니다.

2016년 10월 7일, 토론토 대학의 온타리오 교육 연구소(OISE)는 반정신병 분야에서 논문을 하는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을 설립했다고 발표했습니다. "The Bonnie Burstow Scholarship in Antipsychiatry"라고 불리는, 그것은 매년 OISE 논문 학생에게 수여될 것입니다. 전례가 없는 조치로, 장학금은 사상의 자유와 학계의 사상 교류라는 대의를 더욱 발전시켜야 합니다. 이 장학금의 이름은 급진적인 페미니스트이자 반정신병 운동가인 토론토 대학의 교수인 보니 버스토우를 기리기 위해 지어졌습니다. 그녀는 정신 의학과 광기의 사업(2015)의 저자이기도 합니다.

반정신의학 이론의 일부 구성 요소는 최근 수십 년 동안 제약 산업의 영향을 많이 받은 "기업 정신 의학"에 대한 비판으로 재구성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최근의 사설은 영국 정신의학저널에 실렸으며, 현대 정신의학이 보수적인 정치적 약속의 시녀가 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데이비드 힐리(David Healy)는 정신과 의사이자 웨일즈(Wales) 카디프 대학 의과 대학의 심리 의학 교수입니다. 그는 제약 산업이 의학과 학계에 미치는 영향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144]

산업화 시대의 정신과 병원들이 쇠퇴하면서, 트래버스 시티 주립 병원이 그랜드 트래버스[145] 커먼즈의 빌리지가 되는 것과 같이, 와인 바를 포함한 집, 사무실, 그리고 사업체들로 완비된 것과 같은, 그들을 재활시키려는 노력들이 시작되었습니다.

한편, 정신과 소비자/생존자 운동의 회원들은 개혁, 권한 부여 및 대안을 위한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벌였으며, 점점 더 다양한 견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집단들은 종종 반대와 훼손을 당했는데, 특히 그들이 "반정신적"이라고 선언하거나, 그들이 "반정신적"이라고 분류될 때 그렇습니다.[146] 그러나 1990년대 현재 전환자 그룹의 60% 이상이 반정신과적 신념을 지지하며 스스로를 "정신과 생존자"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147] 반정신의학은 정신의학이나 학계에서 몇몇 유명 인사들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경우가 많지만, 소비자/생존자/전환자 개인과 집단이 이를 선행하고, 이를 몰아내고, 이를 통해 지속해 왔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148]

비평

급진적인 폐지론자들과 온건한 개혁론자들 사이에 전통적인 정신의학에 비판적인 사람들 사이에 분열이 존재합니다. 레이, 쿠퍼 등 초기 반정신운동과 관련된 사람들은 강압적인 정신의학의 폐지를 주장하는 데 그쳤습니다. 토마스 스자즈(Thomas Szasz)는 그의 경력이 시작될 무렵부터 강제 정신 의학의 폐지를 위해 투쟁했습니다. 오늘날 강압적인 정신 의학이 해롭고 통제적이며 학대적인 행위로 사람들을 소외시키고 억압한다고 믿는 많은 사람들은 비 합의적이고 강압적인 정신 의학의 완전한 폐지를 지지합니다.

정신의학 내부의 반정신의학 비판자들은 정신의학 자체가 정의상 해롭다는 근본적인 원칙에 반대합니다. 대부분의 정신과 의사들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존재하지만, 정신과 폐지가 해롭다는 것을 받아들입니다. Nimesh Desai는 "신자이자 다학제 정신 건강의 실천가가 되기 위해서는 정신 의학의 기본 중 하나로서 의학 모델을 거부할 필요가 없습니다."라고 결론짓고, "정신 의학에 대한 도전과 위험 중 일부는 약속된 반정신과 의사들로부터 오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관련 분야의 개인과 집단들이 잘못되고 잘못 이해된 것으로부터."[9]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Burstow, Bonnie (2017-06-15). "Antipsychiatry – Say What?". Mad in America. Retrieved 2023-07-16.
  2. ^ a b c d e f "The antipsychiatry movement: Who and why". MDedge Psychiatry. 2011-12-01. Retrieved 2021-02-19.
  3. ^ a b c Mervat Nasser (1995). "The rise and fall of anti-psychiatry" (PDF). Psychiatric Bulletin. 19 (12): 743–746. doi:10.1192/pb.19.12.743.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10-09.
  4. ^ a b c Tom Burns (2006). Psychiatry: A very short introduction. OUP Oxford. pp. 93–99. ISBN 978-0-19-280727-4.
  5. ^ "The Anti-Psychiatry Movement".
  6. ^ 방겐, 한스: Geschichte der Medikamentösen Therapyer 정신분열증. 베를린 1992, ISBN 3-927408-82-4, 87페이지
  7. ^ 안토누치, 조르지오: Il pregiudizio pschiatrico, Milano, 2020 [1989], ISBN 978-88-33020-76-1, 10페이지
  8. ^ Fadul, Jose (21 June 2014). Encyclopedia of Theory & Practice of Psychotherapy & Counseling. Lulu.com. ISBN 9781312078369. Retrieved 26 February 2022.
  9. ^ a b c Desai, Nimesh G. (2005). "Antipsychiatry: Meeting the challenge". Indian Journal of Psychiatry. 47 (4): 185–187. doi:10.4103/0019-5545.43048. ISSN 0019-5545. PMC 2921130. PMID 20711302.
  10. ^ Fountoulakis, Konstantinos N. (2021-06-01). "Should denialism of mental illness and its treatment be included among conspiracy theories?".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271 (4): 591–593. doi:10.1007/s00406-021-01272-w. ISSN 1433-8491. PMC 8091984. PMID 33942147.
  11. ^ a b c d e Dain, Norman (1994). "Psychiatry and anti-psychiatry in the United States". In Micale, Mark S.; Porter, Roy (eds.). Discovering the History of Psychiatry. Oxford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415–444. ISBN 978-0-19-507739-1. Retrieved 2014-01-12. ()
  12. ^ 푸코 (1997), 페이지 39-50
  13. ^ 푸코 (1997), p. 42
  14. ^ a b c 델라 폴리. 5장: traitement de la folie, 132-133쪽: 푸코에서 (1997), 43쪽.
  15. ^ 델라 폴리: 푸코에서 (1997), 44쪽.
  16. ^ Crossley, Nick (2006). "Contextualizing contention". Contesting Psychiatry: Social movements in Mental Health. New York: Routledge. ISBN 978-0-415-35417-2.
  17. ^ a b Crossley, Nick (1 October 1998). "R. D. Laing and the British anti-psychiatry movement: a socio–historical analysis". Social Science & Medicine. 47 (7): 877–889. doi:10.1016/S0277-9536(98)00147-6. PMID 9722108.
  18. ^ Diefo, Daniel (1697). 프로젝트에 관한 에세이. 런던: 코커릴
  19. ^ Diefo, Daniel (1728). 오거스타 승리자: 혹은, 런던을 우주에서 가장 번영하는 도시로 만드는 방법.
  20. ^ 데포, 다니엘(Diefo, Daniel, 1740)은 다음과 같이 인용했습니다.
  21. ^ Faulkner, B. (1789). 정신이상의 일반적이고 부적절한 치료에 대한 관찰. 런던
  22. ^ Hervey N (July 1986). "Advocacy or folly: the Alleged Lunatics' Friend Society, 1845–63". Medical History. 30 (3): 245–275. doi:10.1017/S0025727300045701. PMC 1139650. PMID 3523075.
  23. ^ a b c d e Dain, N. (1989). "Critics and dissenters: Reflections on anti-psychiatry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History of the Behavioral Sciences. 25 (1): 3–25. doi:10.1002/1520-6696(198901)25:1<3::AID-JHBS2300250102>3.0.CO;2-G. PMID 264783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05.
  24. ^ Kleinman, Arthur (1988). Rethinking Psychiatry: From Cultural Category to Personal Experience. Collier Macmillan. ISBN 978-0-02-917442-5.[페이지 필요]
  25. ^ "Question of the Month – Jim Crow Museum at Ferris State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6-14. Retrieved 2007-10-26.
  26. ^ Torrey, E. Fuller (January 1, 2002). "The Year Neurology Almost Took Over Psychiatry". Psychiatric Times. 19 (1). Retrieved 26 October 2022.
  27. ^ Beers, Clifford (1981). A Mind That Found Itself. Pittsburgh and London: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ISBN 978-0-8229-5324-1.
  28. ^ 방겐, 한스: Geschichte der Medikamentösen Therapyer 정신분열증. 베를린 1992, ISBN 3-927408-82-4 페이지 87
  29. ^ Fennell, Phil (1996). Treatment Without Consent: Law, Psychiatry and the Treatment of Mentally Disordered People Since 1845. Routledge. p. 108. ISBN 978-0-415-07787-3.
  30. ^ Grant-Smith, Rachel (1922). The Experiences of an Asylum Patient. John P. McGovern Historical Collections and Research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7-06. Retrieved 2011-08-31.
  31. ^ Reaume, G (July 2002). "Lunatic to patient to person: nomenclature in psychiatric history and the influence of patients' activism in North America". Int J Law Psychiatry. 25 (4): 405–26. doi:10.1016/S0160-2527(02)00130-9. PMID 12613052.
  32. ^ Armstrong, Lynn Shields & Leslie (2018). Social Change and the Global Environment. EDTECH. ISBN 978-1839474293.
  33. ^ a b c d Whitaker, Robert (2004). Mad in America: Bad Science, Bad Medicine, and the Enduring Mistreatment of the Mentally Ill. Basic Books. ISBN 978-0-7382-0799-5.
  34. ^ Lapon, Lenny (1986). Mass Murderers in White Coats : Psychiatric Genocide in Nazi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Psychiatric Genocide Research Inst. ISBN 978-0-9614961-9-7.
  35. ^ "The Psychiatric Holocaust – excerp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2-10. Retrieved 2006-12-24.
  36. ^ a b Strous, Rael (2007). "Psychiatry during the Nazi era: ethical lessons for the modern professional". Annals of General Psychiatry. 6 (8): 8. doi:10.1186/1744-859X-6-8. PMC 1828151. PMID 17326822.
  37. ^ a b Nasser, Mervat (1995). "The rise and fall of anti-psychiatry". Psychiatric Bulletin. 19 (12): 743–746. doi:10.1192/pb.19.12.743.
  38. ^ Levine, B. (10 September 2008). "Thinking Critically About Scientology, Psychiatry, and Their Feud". Huffington Post.
  39. ^ Fadul, Jose A., ed. (2014). "Anti-Psychiatry". Encyclopedia of Theory and Practice in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Raleigh: Lulu Press, Inc. p. 34. ISBN 978-1-312-34920-9.
  40. ^ a b c d Micale, Mark S.; Porter, Roy (1994). Discovering the History of Psychiatry. Oxford: University Press US. ISBN 978-0-19-507739-1.[페이지 필요]
  41. ^ 켄 바니, 의학모델 비평의 한계, 마음과 행동 저널, 겨울과 봄 1994. 15권. 1, 2번, 19-34쪽.
  42. ^ Calton, T; Ferriter, M; Huband, N; Spandler, H (Jan 2008). "A systematic review of the Soteria paradigm for the treatment of people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34 (1): 181–92. doi:10.1093/schbul/sbm047. PMC 2632384. PMID 17573357.
  43. ^ Szasz, T. (1960). "The Myth of Mental Illness". American Psychologist. 15 (2): 113–118. doi:10.1037/h0046535.
  44. ^ D Summerfield (March 2001). "Does psychiatry stigmatize?". J R Soc Med. 94 (3): 148–149. doi:10.1177/014107680109400316. PMC 1297937. PMID 11285802.
  45. ^ "AAAS – AAAS News Releas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46. ^ Douglas A. Smith (December 19, 1999). "Why Outpatient Commitment Laws Change (Almost) Nothing". Antipsychiatry.org.
  47. ^ 아돌프 그룬바움정신분석학의 기초: 철학 비평. 버클리(California University Press, 1984); 정신분석학 임상이론의 검증: 정신분석학의 철학에 관한 연구 (국제대학출판부, 1993).
  48. ^ Kotowicz, Zbigniew (1997). R.D. Laing and the Paths of Anti-Psychiatry. Routledge. p. 90. ISBN 978-0-415-11611-4.
  49. ^ a b Fraser, L; Karasic, D; Meyer, W; Wylie, K (2010). "Recommendations for Revision of the DSM Diagnosis of Gender Identity Disorder in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genderism. 12 (2): 80–85. doi:10.1080/15532739.2010.509202. S2CID 144409977.
  50. ^ Bryant, Karl (2018). "Gender Dysphoria".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Retrieved August 16, 2018.
  51. ^ "What Is Gender Dysphori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Retrieved November 20, 2018.
  52. ^ "Gender Dysphoria" (PDF).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10-09. Retrieved December 24, 2016.
  53. ^ Newman, L (July 1, 2002). "Sex, Gender and Culture: Issues in the Defini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of Gender Identity Disorder". Clinical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7 (3): 352–359. doi:10.1177/1359104502007003004. S2CID 145666729.
  54. ^ Wright, RH; Cummings, NA, eds. (2005). Destructive Trends in Mental Health: The Well-intentioned Path to Harm. Routledge. p. 67. ISBN 978-0-415-95086-2.
  55. ^ Szasz, Thomas (1979-06-10). "Male and Female Created He Them".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021-04-21.
  56. ^ "DACIA MARAINI INTERVIEWS GIORGIO ANTONUCCI" (in Ital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4-13. Retrieved 2014-01-13.
  57. ^ Smail, David John (2005). Power Interest and Psychology. Ross-on-Wye, UK: PCCS Books. ISBN 978-1-898059-71-4.
  58. ^ a b c d "Bruce E. Levine's columns". AlterNet에서
  59. ^ Fadul, Jose, ed. (2014). "Anti-psychiatry". Encyclopedia of Theory & Practice in Psychotherapy & Counseling. Lulu Press Inc. ISBN 978-1-312-07836-9.
  60. ^ Laing, R.D. (1960). The Divided Self: An Existential Study in Sanity and Madness. Penguin Books.
  61. ^ Laing, R.D. & Esterson, A. (1964). Sanity, Madness and the Family. London: Penguin.
  62. ^ a b c Kato, Tadafumi (October 2011). "A renovation of psychiatry is needed". World Psychiatry. 10 (3): 198–199. doi:10.1002/j.2051-5545.2011.tb00056.x. PMC 3188773. PMID 21991278.
  63. ^ Allen Frances (17 May 2013). "The New Crisis in Confidence in Psychiatric Diagnosi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9 (3): 221–2. doi:10.7326/0003-4819-159-3-201308060-00655. PMID 23685989.
  64. ^ a b Phillips, James; Frances, A; Cerullo, MA; Chardavoyne, J; Decker, HS; First, MB; Ghaemi, N; Greenberg, G; Hinderliter, AC; et al. (January 13, 2012). "The Six Most Essential Questions in Psychiatric Diagnosis: A Pluralogue. Part 1: Conceptual and Definitional Issues in Psychiatric Diagnosis". Philosophy, Ethics, and Humanities in Medicine. 7 (3): 3. doi:10.1186/1747-5341-7-3. ISSN 1747-5341. PMC 3305603. PMID 22243994.
  65. ^ Berrios G E (April 1999). "Classifications in psychiatry: a conceptual history". Aust N Z J Psychiatry. 33 (2): 145–60. doi:10.1046/j.1440-1614.1999.00555.x. PMID 10336212. S2CID 2586625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6-04.
  66. ^ Perring, C. (2005). "Mental Illnes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67. ^ Sharkey, Joe (1994). Bedlam: greed, profiteering and fraud in a mental system gone crazy. NY: St. Martin's Press. p. 182. ISBN 978-0-312-10421-4.
  68. ^ Whaley, Arthur L. (March 1997). "Ethnicity/race, paranoia, and psychiatric diagnoses: Clinician bias versus sociocultural differences".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19 (1): 1–20. doi:10.1007/bf02263226. ISSN 0882-2689.
  69. ^ Foucault, Michel (1988). Madness and Civilization: a History of Insanity in the Age of Reason. New York: Vintage Books. ISBN 978-0-394-71914-6.[페이지 필요]
  70. ^ a b c d e f g Katsching, Heinz (February 2010). "Are psychiatrists an endangered species? Observations on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to the profession". World Psychiatry. 9 (1): 21–28. doi:10.1002/j.2051-5545.2010.tb00257.x. PMC 2816922. PMID 20148149.
  71. ^ a b Rosenhan D (1973). "On being sane in insane places". Science. 179 (4070): 250–258. Bibcode:1973Sci...179..250R. doi:10.1126/science.179.4070.250. PMID 4683124. S2CID 146772269. (URL이 주어지면 학습의 초록이 됨)
  72. ^ Spitzer R.L.; Lilienfeld S.O.; Miller M.B. (2005). "Rosenhan revisited: The scientific credibility of Lauren Slater's pseudopatient diagnosis study".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3 (11): 734–739. doi:10.1097/01.nmd.0000185992.16053.5c. PMID 16260927. S2CID 3152822.
  73. ^ Williams, J.B.; Gibbon, M; First, MB; Spitzer, RL; Davies, M; Borus, J; Howes, MJ; Kane, J; Pope Jr, HG; Rounsaville, B (1992).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II-R (SCID) II: Multi-site test-retest reliabilit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9 (8): 630–36. doi:10.1001/archpsyc.1992.01820080038006. PMID 1637253.
  74. ^ McGorry, PD; Mihalopoulos, C; Henry, L; Dakis, J; Jackson, HJ; Flaum, M; Harrigan, S; McKenzie, D; Kulkarni, J; et al. (1995). "Spurious precision: procedural validity of diagnostic assessment in psychotic disorders". Am J Psychiatry. 152 (2): 220–223. CiteSeerX 10.1.1.469.3360. doi:10.1176/ajp.152.2.220. PMID 7840355.
  75. ^ van Os, J.; Gilvarry, C.; Bale, R.; Van Horn, E.; Tattan, T.; White, I.; Murray, R. (1999). "A comparison of the utility of dimensional and categorical representations of psychosis". Psychological Medicine. 29 (3): 595–606. doi:10.1017/S0033291798008162. PMID 10405080. S2CID 38854519.
  76. ^ "The Ross Institute – Trauma". The Colin A. Ross Institute for Psychological Trau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6, 2008.
  77. ^ Neighbors, HW; Jackson, JS; Campbell, L; Williams, D (1989). "The influence of racial factors on psychiatric diagnosis: a review and suggestions for research".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25 (4): 301–311. CiteSeerX 10.1.1.547.8240. doi:10.1007/BF00755677. hdl:2027.42/44303. PMID 2697490. S2CID 11079394.
  78. ^ a b Antonucci, Giorgio (1986). Coppola, Alessio (ed.). I pregiudizi e la conoscenza critica alla psichiatria (preface by Thomas Szasz) [The prejudices and critical knowledge to psychiatry] (1st ed.). Rome: Apache Cooperative Ltd.[페이지 필요]
  79. ^ Sapouna, Lydia; Herrmann, Peter (2006). Knowledge in Mental Health: Reclaiming the Social. Hauppauge: Nova Publishers. p. 70. ISBN 978-1-59454-812-3. Retrieved 2014-01-12.
  80. ^ a b c d e f Fitzpatrick, Mike (August 2004). "From 'nanny state' to 'therapeutic state'". The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54 (505): 645. PMC 1324868. PMID 15517694.
  81. ^ a b c d e Gosden, Richard (2001). Punishing the Patient: How Psychiatrists Misunderstand and Mistreat Schizophrenia. Melbourne: Scribe Publications. p. 14. ISBN 978-0-908011-52-0. (전체 책의 텍스트는 온라인으로 제공됩니다)
  82. ^ Moynihan, Ray and Alan Cassels (2006). Selling Sickness: How the World's Biggest Pharmaceutical Companies are Turning Us All Into Patients. Nation Books. ISBN 978-1-56025-697-7.
  83. ^ Moncrieff, Joanna; Cohen, David (2005). "Rethinking Models of Psychotropic Drug Action".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74 (3): 145–153. doi:10.1159/000083999. PMID 15832065. S2CID 6917144.
  84. ^ a b Breggin, Peter (2000). Reclaiming Your Children: A healing Plan for a Nation in Crisis. Perseus Publishing.
  85. ^ Peter R. Breggin. "Psychostimulants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Risks and mechanism of action"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10-09.
  86. ^ Gardiner Harris; Benedict Carey; Janet Roberts (May 10, 2007). "Psychiatrists, Children and Drug Industry's Role". The New York Times.
  87. ^ Marilyn Elias (May 2, 2006). "New antipsychotic drugs carry risks for children". USA Today. Contributing: Susan O'Brian.
  88. ^ Gosden, Richard & Beder, Sharon (Fall–Winter 2001). "Pharmaceutical Industry Agenda Setting in Mental Health Policies". Ethical Human Sciences and Services. 3 (3): 147–159. doi:10.1891/1523-150X.3.3.147 (inactive 1 August 2023). PMID 15278977.{{cite journal}}: CS1 maint: 2023년 8월 기준 DOI 비활성화 (링크)
  89. ^ Thomas Ginsberg (28 May 2006). "Donations tie drug firms and nonprofits". The Philadelphia Inquirer.
  90. ^ "House of Commons Health Committee: The Influence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Fourth Report of Session 2002–2005)" (PDF). p. 100.
  91. ^ "House of Commons Health Committee: The Influence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Fourth Report of Session 2002–2005)" (PDF). p. 101.
  92. ^ "No Free Lunch (main page)". Nofreelunch.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anuary 2014. Retrieved 2014-01-13.
  93. ^ "Revealed: how drug firms 'hoodwink' medical journals Society The Observer". The Observer.
  94. ^ a b "Prescription Drug Expenditures in 2001: A report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Care Management Research and Educational Foundation (May 2002): Another Year of Escalating Costs".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Care Management Foundation.
  95. ^ Read, John (2010). "Can Poverty Drive You Mad? 'Schizophrenia',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Case for Primary Prevention". New Zealand Journal of Psychology. 39 (2): 7–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February 2013. Retrieved 8 April 2012.
  96. ^ Prudic, J.; Olfson, M.; Sackeim, H.A. (July 2001). "Electro-convulsive therapy practices in the community". Psychological Medicine. 31 (5): 929–934. doi:10.1017/S0033291701003750. PMID 11459391. S2CID 12210381.
  97. ^ "Paper on ECT statistics at MH Stats Conference". ect.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9-25.
  98. ^ Kramer, B. A. (1999-12-01). "Use of ECT in California, revisited: 1984-1994". The Journal of ECT. 15 (4): 245–251. doi:10.1097/00124509-199912000-00002. ISSN 1095-0680. PMID 10614030.
  99. ^ Leonard Roy Frank (June 2006). "The Electroshock Quotationary" (PDF). Endofshock.com.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10-09. Retrieved 2014-01-13.
  100. ^ Semple, David; Smyth, Roger; Burns, Jonathan (2005). Oxford handbook of psychiat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6. ISBN 978-0-19-852783-1. Retrieved 2014-01-12.
  101. ^ Noll, Richard (2007). The encyclopedia of schizophrenia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Infobase Publishing. p. 3. ISBN 978-0-8160-6405-2.
  102. ^ a b c d Medicine betrayed: the participation of doctors in human rights abuses. Zed Books. 1992. p. 65. ISBN 978-1-85649-104-4. Retrieved 2014-01-12.
  103. ^ Strous, R. D. (2006). "Nazi Euthanasia of the Mentally Ill at Hadama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3 (1): 27. doi:10.1176/appi.ajp.163.1.27. PMID 16390885.
  104. ^ Birley, J. L. T. (January 2000). "Political abuse of psychiatry".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01 (399): 13–15. doi:10.1111/j.0902-4441.2000.007s020[dash]3.x. PMID 10794019. S2CID 144720199.
  105. ^ 안토누치, 조르지오: Il pregiudizio psiciatrico, Milano, 2020 [1989], ISBN 978-88-33020-76-1, 페이지 147-150
  106. ^ "Press conference exposes mental health genocide during apartheid". South African Government Information. 14 June 1997. Retrieved 16 January 2012.
  107. ^ van Voren, Robert (January 2010). "Political Abuse of Psychiatry—An Historical Overview". Schizophrenia Bulletin. 36 (1): 33–35. doi:10.1093/schbul/sbp119. PMC 2800147. PMID 19892821.
  108. ^ Fulford, K; Smirnov, A; Snow, E (1993). "Concepts of disease and the abuse of psychiatry in the USSR".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2 (6): 801–810. doi:10.1192/bjp.162.6.801. PMID 8330112. S2CID 20611990.
  109. ^ a b c d e f Szasz, Thomas (September 1994). "Psychiatric diagnosis, psychiatric power and psychiatric abuse". Journal of Medical Ethics. 20 (3): 135–138. doi:10.1136/jme.20.3.135. PMC 1376496. PMID 7996558.
  110. ^ a b c d e f g h i j k l m Szasz, Thomas (Spring 2001). "The Therapeutic State: The Tyranny of Pharmacracy" (PDF). The Independent Review. V (4): 485–521. ISSN 1086-1653.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05-03-04. Retrieved 20 January 2012.
  111. ^ Black, Edwin (2012). War Against the Weak: Eugenics and America's Campaign to Create a Master Race. Dialog Press. ISBN 978-0-914153-29-0.[페이지 필요]
  112. ^ a b Kershaw, Ian (1999). Hitler: 1889–1936. Norton: New York. ISBN 978-0-393-04671-7.
  113. ^ Klein, Naomi (29 July 2008). The Shock Doctrine: The Rise of Disaster Capitalism. Knopf Canada. ISBN 9780676978018. 정신과 치료와 재난 자본주의의 유사성을 강조합니다.
  114. ^ Baker, Robert (Winter 2003). "Psychiatry's Gentleman Abolitionist" (PDF). The Independent Review. VII (3): 455–460. ISSN 1086-1653.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10-09. Retrieved 12 February 2012.
  115. ^ "Curing the Therapeutic State: Thomas Szasz interviewed by Jacob Sullum". Reason Magazine. No. July 2000.
  116. ^ a b Costigan, Lucy (2004). Social Awareness in Counselling. iUniverse. p. 17. ISBN 978-0-595-75523-3. Retrieved 2014-01-12.
  117. ^ Sheldon Richman (March 4, 2005). "Bush's Brave New World". The Future of Freedom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5-03-06. (웹 페이지가 약간 변경되었습니다. 현재 페이지입니다.)
  118. ^ Davidson, Larry; Rakfeldt, Jaak; Strauss, John, eds. (2010). The Roots of the Recovery Movement in Psychiatry: Lessons Learned. John Wiley and Sons. pp. 150. ISBN 978-88-464-5358-7.
  119. ^ Wallace, Samuel (1971). Total Institutions. Transaction Publishers. p. 9. ISBN 978-88-464-5358-7. Retrieved 2014-01-12.
  120. ^ Weinstein R.M. (1982). "Goffman's Asylums and the Social Situation of Mental Patients" (PDF). Orthomolecular Psychiatry. 11 (4): 267–274.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10-09. Retrieved 2014-01-13.
  121. ^ Lester H.; Gask L. (May 2006). "Delivering medical care for patient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or promoting a collaborative model of recovery?".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88 (5): 401–402. doi:10.1192/bjp.bp.105.015933. PMID 16648523.
  122. ^ Szasz, Thomas (1989). Law, Liberty, and Psychiatry: An Inquiry into the Social Uses of Mental Health Practices. Syracuse University Press; Reprint edition. ISBN 978-0-8156-0242-2.
  123. ^ "Mental Illness On Trial: The Rodney Yoder Story". Stopshrink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2-10. Retrieved 2006-03-21.
  124. ^ Szasz, Thomas (2002). "Patient or Prisoner?". Ideas on Liberty. 52: 31–32.
  125. ^ "UNC study: Mental illness by itself does not predict future violent behavior". UNC Health Care. February 2,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4, 2009. Retrieved July 2, 2009.
  126. ^ Bower, B. (16 May 1998). "Study tracks violence among mentally ill". Science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99-05-06.
  127. ^ Mosher, Loren R. "Soteria-California and Its Successors: Therapeutic Ingredients". akmhcweb.org. Retrieved 2023-05-22.
  128. ^ "Dr. Loren Mosher, 1933–2004". Alliance for Human Research Protection. 13 July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2-01. Retrieved 2014-01-13.
  129. ^ Remsen, Nancy. "Dream House: Soteria Vermont Welcomes Mental Health Patients". Seven Days. Retrieved 2023-05-22.
  130. ^ Paolini, Massimo (6 December 2017), "Giorgio Antonucci: a life for the liberation of the powerless", openDemocracy
  131. ^ Warme, Gordon (2006). Daggers of the Mind: Psychiatry and the Myth of Mental Disease. Canada: House of Anansi. ISBN 978-0-88784-197-2.
  132. ^ Ross, Colin (1995). "Errors of logic in biological psychiatry" in Colin Ross and Alvin Pam Pseudoscience in Biological Psychiatry. NY: Wiley & Sons. pp. 85–128.
  133. ^ Stanley, David; Newby-Clark, Ian; Spence, Jeffrey R. "Why students are the answer to psychology's replication crisis". The Conversation. Retrieved 25 December 2018.
  134. ^ Ferguson, Christopher J; Brown, Jeffrey M; Torres, Amanda V (2016). "Education or Indoctrination? The Accuracy of Introductory Psychology Textbooks in Covering Controversial Topics and Urban Legends About Psychology". Current Psychology. 37 (3): 574–582. doi:10.1007/s12144-016-9539-7. S2CID 49184894.
  135. ^ Carl (5 May 2014). "*Reflective Disequilibrium*: What do null fields tell us about fraud risk?". Retrieved 25 December 2018.
  136. ^ Kirk, Stuart A. (2013). Mad Science: Psychiatric Coercion, Diagnosis, and Drugs. Transaction Publishers. p. 326.
  137. ^ Bret S. Stetka; Cristoph U. Correll (December 8, 2014). "Psychiatry Practice Changers 2014". Medscape.
  138. ^ a b Szasz, Thomas (June 2008). "Debunking Antipsychiatry: Laing, Law, and Largactil". Current Psychology. 27 (2): 79–101. doi:10.1007/s12144-008-9024-z. S2CID 145618728.
  139. ^ Burston, Daniel (2004). "Szasz, Laing and Existential Psychotherapy". Existential-Human Institute. Retrieved 2014-01-13.
  140. ^ McCommon B (2006). "Antipsychiatry and the Gay Rights Movement". Psychiatr Serv. 57 (12): 1809, author reply 1809–10. doi:10.1176/appi.ps.57.12.1809. PMID 17158503. S2CID 37419476.
  141. ^ Rissmiller DJ, Rissmiller J (2006). "Letter in reply". Psychiatr Serv. 57 (12): 1809–1810. doi:10.1176/appi.ps.57.12.1809-a.
  142. ^ Laffey, Paul (2003). "Antipsychiatry in Australia: Sources for a Social and Intellectual History" (PDF). Health & History. 5 (2): 17–36. doi:10.2307/40111451. JSTOR 40111451.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10-09.
  143. ^ Foot, John (2015). The Man Who Closed the Asylums: Franco Basaglia and the Revolution in Mental Health Care. New York: Verso Books. p. 105. ISBN 9781781689264.
  144. ^ Seyyed Nassir Ghaemi (2006). "Paradigms of Psychiatry: Eclecticism and Its Discontents".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등록필요)
  145. ^ 미시간 라디오 뉴스룸 "트래버스 시티 전환 정신병원 사진 전후" 미시간 라디오. 2013년 3월 19일. 2017년 2월 8일 회수
  146. ^ McLean, A. (2003). "Recovering Consumers and a Broken Mental Health System in the United States: Ongoing Challenges for Consumers/ Survivors and the New Freedom Commission on Mental Health. Part II: Impact of Managed Care and Continuing Challe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8: 58–7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1-07. Retrieved 2011-08-31.
  147. ^ Everett B (1994). "Something is happening: the contemporary consumer and psychiatric survivor movement in historical context". Journal of Mind and Behavior. 15: 55–7. CiteSeerX 10.1.1.413.358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9-28. Retrieved 2011-08-31.
  148. ^ Rissmiller, D.J.; Rissmiller, J.H. (June 2006). "Evolution of the Antipsychiatry Movement into mental health consumerism" (PDF). Psychiatric Services. 57 (6): 863–866. doi:10.1176/appi.ps.57.6.863. PMID 16754765. S2CID 1963587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2-09-19. Retrieved 2012-03-16.

인용된 작품

  • Foucault, Michel (1997). "Psychiatric Power". In Rabinow, Paul (ed.). Ethics, subjectivity and truth. Translated by Robert Hurley and others. New York: The New Press. ISBN 978-1-56584-352-3. OCLC 46638170.

더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