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대량학살

Genocides in history

대량학살은 민족적, 인종적, 종교적 또는 국가적 집단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파괴입니다.이 용어는 1944년 라파엘 렘킨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그것은 1948년 대량학살의 예방과 처벌에 관한 협약(CPPCG) 제2조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국가적, 민족적, 인종적 또는 종교적 집단을 파괴하려는 의도로 행해진 다음의 모든 행위: 그 집단의 구성원을 살해하고 그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심각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해를 가함.그룹;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물리적 파괴를 초래하도록 계산된 그룹의 삶의 조건에 의도적으로 영향을 주는 그룹; 그룹 내에서 출생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부과하는 그룹; 그리고 그룹의 아이들을 다른 그룹으로 강제적으로 이전하는 그룹."[1]

CPPCG 전문은 "대학살은 유엔의 정신과 목표에 반하는 국제법에 의한 범죄이며 문명 세계에 의해 비난을 받는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또한 "역사의 모든 시기에 대학살은 인류에 큰 손실을 입혔다"[1]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대체 정의

무엇이 법적으로 대량학살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한 가지 정의는 국제형사재판소가 지정한 충돌입니다.Mohammed Hassan Kakar는 그 정의가 정치적 집단이나 가해자에 의해 정의된 어떤 집단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2]그는 대량학살을 "국가나 다른 권위자가 가해자에 의해 정의된 집단을 파괴하려고 의도하는 일방적인 대량 학살의 형태"로 정의하는 프랭크 초크와 커트 조나손의 정의를 선호합니다.[3]

문학에서, 몇몇 학자들은 1948년의 대량학살 협약에 포함되어 있는 대량학살의 국제적인 정의에서 정치적인 집단들을 배제하는데 있어서 소비에트 연방이 수행했던 역할을 대중적으로 강조해왔고,[4] 특히 그들은 조셉 스탈린이 정치적인 살인에 대한 더 큰 국제적인 정밀 조사를 두려워했을지도 모른다고 썼습니다.대숙청과 같은 국내에서 발생한 gs.[5] 그러나 이 주장은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습니다.소련의 견해는 여러 다양한 나라들이 공유하고 지지했으며 라파엘 렘킨의 원래 구상과도 일치하며 원래는 세계유대인대회가 추진했습니다.[a][7]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의 대량 학살

제1차 세계대전 이전의 대량학살에 대한 분석은 객관성과 사실을 적용한 현대 연구의 결과인 반면 대량학살에 대한 이전의 설명은 대부분 자신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Frank Chalk, Helen Fein, 그리고 Kurt Jonassohn에 따르면, 지배적인 집단이 소외된 집단과 거의 공통점이 없다면, 지배적인 집단은 소외된 집단을 인간 이하의 집단으로 정의하는 것이 쉬웠습니다; 소외된 집단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할 위협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8]

대량학살의 개념이 20세기 중반에 Lemkin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영국과 스페인 제국과 같은 다양한 유럽 식민지 권력의 확장과 그에 따른 토착 영토에서의 식민지 설립은 아메리카, 호주, 아프리카의 토착 집단에 대한 대량학살 폭력 행위를 자주 수반했습니다.ca, 그리고 아시아.[9]렘킨에 따르면 식민지화는 그 자체로 "본질적으로 대량학살"이었고, 그는 이 대량학살을 두 단계의 과정으로 보았고, 첫 번째는 토착민의 삶의 방식을 파괴하는 것입니다.두 번째 단계에서, 새로운 사람들은 그들의 삶의 방식을 토착 집단에게 강요합니다.[10][11]David Maybury-Lewis에 의하면, 제국주의적인 형태와 식민지적인 형태의 대량학살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제정되는데, 이는 그들이 자원의 추출이나 식민지 정착을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들의 원래 거주자들의 영토를 의도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통해서입니다.혹은 식민주의 혹은 제국주의 자원 추출 프로젝트에서 원주민을 강제 노동자로 징집함으로써.[12]특정 사건을 대량 학살로 지정하는 것은 종종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13]

제1차 세계 대전부터 제2차 세계 대전까지의 대량 학살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년 후인 1915년, 제1차 세계대전의 연합국들오스만 제국 정부에 편지를 보내 그 안에서 일어나고 있던 후기 오스만 제국의 대량학살에 대해 항의했을 때, 반인도적 범죄의 개념이 국제 관계에 처음으로 도입되었습니다.그 가운데 아르메니아인 집단 학살, 아시리아인 집단 학살, 그리스인 집단 학살, 레바논 산의 대기근 등이 있습니다.[14]제2차 세계대전 당시 6백만 명의 유럽 유대인들대한 나치의 대량학살인 홀로코스트는 가장 많이 연구된 대량학살이며,[15] 대량학살의 원형이기도 합니다.[16] 비교학자들 사이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질문 중 하나는 1980년대 서독의 역사학자 거리를 이끌었던 홀로코스트의 독특성에 대한 질문과 [17]그에 대한 여부입니다.역사적 유사성이 존재하고 비평가들은 그것을 하찮은 것으로 생각합니다.[18]

집단학살 연구홀로코스트 연구부학문으로 시작되었는데, 연구자들은 집단학살을 홀로코스트와 연관짓고 라파엘 렘킨집단학살에 대한 정의가 너무 광범위하다고 생각했습니다.[16]1985년 유엔(UN) 휘태커 리포트(Whitaker Report)는 러시아 내전화이트 테러의 일환으로 발생한 2,000개 이상의 포그롬에서 10만~25만 명의 유대인 학살을 집단 학살 행위로 꼽고, 또한 생태학살, 민족살, 문화학살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19]

1946년에서 1999년 사이의 대량 학살

대량학살 협약은 1948년 12월 9일 유엔 총회에서 채택되어 1951년 1월 12일에 발효되었습니다.필요한 20개국이 협약의 당사국이 된 후, 1951년 1월 12일 국제법으로 발효되었지만,[20]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5개 상임이사국 중 단 2개국만이 조약의 당사국이었고, 이로 인해 협약은 40년이 넘도록 효력을 잃게 되었습니다.[21]냉전 시대반공/자본주의 정권뿐만 [22][23]아니라 공산주의 정권들에 의해서도 대량 잔혹 행위가 자행되었는데,[24] 그 중에는 1965년부터 66년까지 있었던 인도네시아 대량 학살, 1971년 방글라데시 대량 학살, 캄보디아 대량 학살, 동티모르 대량 학살 등이 있었습니다.[25]

르완다 대학살은 1990년대 대량학살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했습니다.[26]

2000년 이후 대량학살

르완다 대학살 희생자들의 두개골

데이비드 알튼, 헬렌 클라크, 마이클 랩슬리는 가디언에 르완다 대학살의 원인과 유고슬라비아 전쟁보스니아 집단학살 등의 범죄를 심층적으로 분석했으며, 집단학살 방지에 대해서도 광범위하게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그들은 이 분석이 "과거를 분석하고 경고 신호에 귀를 기울이고 대량학살을 방지하기로 맹세하는 데 전념한" 논문들을 만들어 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27]

34개의 비정부기구와 31명의 개인들로 구성된 아프리카 시민이라고 불리는 단체는 르완다를 언급했습니다. 나중에 아프리카 연합이 된 아프리카 통일 기구를 위해 전 보츠와나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한 위원회가 작성한 예방 가능한 대량학살 보고서.[28]아프리카 시민들은 판결문을 강조하며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우리의 조사에서 드러난 가장 중요한 진실은 르완다 대학살을 막을 수 있는 지위와 수단을 가진 국제 사회 사람들에 의해 예방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르완다는 세상이 실패했습니다.[유엔] 르완다가 적절히 개입할 만큼 신경 쓰지 않았을 뿐입니다."[29]아프리카 시민들과 관련된 사람들 중에는 전 나이지리아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인 치디 오딘칼루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30]

현재 진행 중인 암하라 대량학살은 1990년대 초 TPLF 주도의 판결에 따라 인종 연방주의가 시행되면서 시작되었고, 2020년 이후 북부 에티오피아 전쟁(티그레이 분쟁)의 사건들이 암하라와 아파르 지역 모두에서 티그레이 세력이 저지른 전쟁 범죄로 폭력을 더욱 심화시켰습니다.2021년 11월 20일, 집단학살 감시단은 티그레이에서의 전쟁과 오로미아 전역의 폭력, 2018년 이후 악화된 베니샨굴-구무즈(메텔) 지역의 상황에서 예측된 에티오피아의 집단학살을 촉구했습니다.[31]11월 21일, 오딘칼루는 대량학살 방지를 촉구하며 "우리는 에티오피아 NOW에 대한 대량학살 방지 옹호의 긴급한 프로그램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2주 후면 너무 늦을지도 몰라요, 여러분."[30]11월 26일, 아프리카 시민들과 알톤, 클라크, 랩슬리 또한 예측된 대량학살을 막을 것을 요구했습니다.[27][29]

로힝야족 집단 학살은 버마군에 의한 방화, 강간, 인종청소, 영아살해 등으로 구성된 무슬림 로힝야족에 대한 지속적인 대량학살입니다.대량학살은 지금까지 두 단계로 이루어져 왔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2016년 10월부터 2017년 1월까지 발생한 군사적 진압이었고, 두 번째 단계는 2017년 8월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32][33]

위구르족 집단 학살은 중국 정부신장의 위구르족과 다른 소수 민족과 종교를 상대로 자행하고 있는 일련의 인권 유린 사건입니다.[34]캐나다,[35] 영국,[36] 프랑스 등 여러 나라의 입법부는 중국의 행동을 대량학살로 규정하는 구속력 없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37]미국은 공식적으로 중국의 위구르인에 대한 대우를 대량학살이라고 비난했습니다.[38]

국제소추

특별재판소

1951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SC)의 5개 상임이사국 중 프랑스와 중화민국 두 곳만이 이 협약의 당사국이었습니다.이 조약은 1954년 소련, 1970년 영국, 1983년 중화인민공화국(1971년 안보리에서 타이완에 근거지를 둔 중화민국을 대체함), 1988년 미국에 의해 비준되었습니다.[39]1990년대에 대량학살의 범죄관한 국제법이 시행되기 시작했습니다.[2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07년 스레브레니차 대학살 희생자들의 집단 묘역 발굴

1995년 7월, 세르비아군은 보스니아 전쟁 동안 스레브레니차 마을과 그 주변에서 주로 남성과 소년을 포함한 8,000명[40][41][42] 이상의 보스니아인(보스니아 무슬림)을 살해했습니다.[43][44]살해는 라트코 믈라디치 장군이 지휘하는 스릅스카 공화국 육군(VRS) 부대에 의해 자행되었습니다.유엔 사무총장은 이번 집단 살인 사건을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 지역에서 일어난 최악의 범죄라고 설명했습니다.[45][46]1991년까지 공식적으로 세르비아 내무부 소속이었던 세르비아 출신 준군사조직 스콜피온스[47][48]수백 명의 러시아 및 그리스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학살에 참여했습니다.[49][50]

2001년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51]크르스티치 장군을 상대로 1995년 스레브레니차 대학살에 가담한 혐의로 집단학살죄에 대한 첫 번째 유죄 판결을 내렸습니다.

2007년 2월 국제사법재판소(ICJ)는 보스니아 집단학살 사건의 판결을 파기환송했습니다.ICTY는 스레브레니차 주변에서 대량학살이 자행되었다는 조사 결과를 확인했지만, 전쟁 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더 넓은 영토에서 대량학살이 자행되었다는 사실은 확인하지 못했습니다.ICJ는 또한 세르비아가 대량학살을 막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었고 세르비아가 가해자들을 처벌하는 데 실패했다고 판결했지만, 세르비아는 대량학살에 대한 책임도 없고 "도움을 주고 방조"할 책임도 없다고 판결했습니다.[52]이 판결 이전에, 보스니아 집단 학살이라는 용어는 일부 학자들과[53][54][55] 인권 관리들에 의해 사용되었습니다.[56]

2010년 보스니아 세르비아군의 드리나 군단의 중령이자 보안 책임자인 부자딘 포포비치와 같은 군대의 대령이자 보안 책임자인 류비샤 베아라는 스레브레니차 학살에 가담한 혐의로 ICTY에 의해 대량학살, 몰살, 살인, 박해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각각 종신형을 선고받았습니다.[57][58][59][60]2016년과 2017년 라도반 카라드 ž비치와 라트코 믈라디치가 집단 학살 혐의로 형을 선고받았습니다.

독일 법원은 보스니아 전쟁 중 대량 학살에 대해 유죄 판결을 내렸습니다.노비슬라프 자이치는 대량학살에 가담한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고등지방법원은 대량학살에 대한 형사적 유죄판결에 대한 충분한 확실성을 찾지 못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Djajic은 14개의 살인 혐의와 1개의 살인 미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63]1997년 5월 23일 Djajic의 항소로, 바이에른 항소 회의소는 1992년 6월 포카 행정 구역 내에서 집단 학살 행위가 자행되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64]1997년 9월 뒤셀도르프 고등지방법원(Oberlandesgericht)은 도보즈 지역의 준군사조직의 지도자였던 도보즈 지역 출신의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니콜라 요르기치에 대한 집단학살 유죄 판결을 선고했습니다.그는 스레브레니차 이외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에서 일어난 대량학살 행위에 연루되어 4번의 종신형을 선고받았습니다.[65]1999년 11월 29일 뒤셀도르프 고등지방법원(Oberlandesgericht)은 막심 소콜로비치에게 대량학살죄를 방조하고 제네바 협약을 중대하게 위반한 혐의로 징역 9년을 선고했습니다.[66]

르완다

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 ICTR)는 1994년 4월부터 5월까지 르완다 대학살 사건을 기소하기 위해 유엔의 지원을 받는 법원입니다.ICTR은 1994년 1월 1일에서 12월 31일 사이에 르완다 또는 인근 국가의 르완다 시민들의 청구를 해결하기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의해 1994년 11월 8일에 만들어졌습니다.지난 4월 6일 주베날 하브야리마나 대통령이 암살된 지 7월 중순까지 약 100일 동안,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의 추산에 따르면 최소 80만 명이 사망했습니다.[67][68][69]

2011년 중반 현재 ICTR은 57명에게 유죄를 선고하고 8명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또 다른 10명은 아직 재판을 받고 있고, 1명(베르나르 무냐기샤리)은 재판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9명은 아직 남아 있습니다.[70]장 폴 아카예수에 대한 첫 번째 재판은 1998년 대량학살과 반인륜적 범죄에 대한 유죄판결로 끝났습니다.[71]대량학살 당시 임시 총리였던 장 캄반다는 유죄를 인정했습니다.이것은 1948년 협약에 의해 규정된 대량학살에 대한 세계 최초의 유죄판결이었습니다.[72]

캄보디아

캄보디아 차웅에크 기념관에 있는 해골들

Pol Pot, Ta Mok 등이 이끄는 크메르 루즈는 이념적으로 의심되는 집단, 베트남계, 중국계 또는 중-크메르계, 참스, 태국계 등 소수 민족, 전직 공무원, 전직 정부 군인, 불교 승려, 세속 지식인 및 전문직 종사자, 전직 도시 거주자 등을 집단 학살했습니다.파벌 싸움에서 패배한 크메르 루즈 간부들도 숙청으로 청산됐습니다.인간이 만든 기근과 노예 노동으로 수십만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73]크레이그 에체슨(Craig Ethcheson)은 사망자 수가 2백50만 명에서 2백50만 명 사이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22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그는 5년간 2만여 개의 묘역을 발굴한 끝에 "이들 집단 묘역에는 138만6734명의 처형 희생자 유해가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74]스티븐 로즈필드는 크메르 루즈가 소수민족을 말살할 의도가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인종차별주의자가 아니라고 주장했고, 크메르 루즈가 캄보디아 국민 전체를 말살할 의도가 없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그가 보기에 크메르 루즈의 잔혹성은 극단적인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의 산물이었습니다.[75]

2003년 6월 6일, 캄보디아 정부와 유엔은 1975년부터 1979년까지 캄보디아 크메르루주 통치 기간 동안 크메르루주 고위 관리들이 저지른 범죄에 집중하는 특별재판소를 캄보디아 법원에 설치하기로 합의했습니다.[76]판사들은 2006년 7월 초에 선서를 했습니다.[77][78][79]

2007년 7월 18일 검찰은 수사 판사들에게 용의자 5명의 이름을 제시했습니다.[80]

2009년 7월 3일 공판 전 캄보디아 재판소 앞에서 열린 공청회에서 Khieu Samphan.
  • 캉커큐는 2007년 7월 31일 전쟁범죄와 인도에 반한 죄로 정식 기소되어 재판부에 의해 구금되었습니다.그는 2008년 8월 12일 전쟁범죄와 반인도적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81]그의 항소는 2012년 2월 3일 기각되었고, 그는 무기징역을 계속 복역했습니다.[82]
  • 누온 체 전 총리는 2010년 9월 15일 대량학살, 전쟁범죄, 반인도적 범죄 등의 혐의로 캄보디아 법에 따라 기소되었습니다.그는 2007년 9월 19일 ECCC의 관리로 옮겨졌습니다.그의 재판은 2011년 6월 27일에 시작되었습니다.[83][84]2018년 11월 16일, 그는 대량학살 혐의로 종신형을 선고받았습니다.[85]
  • 키외 삼판 전 국가원수는 2010년 9월 15일 대량학살, 전쟁범죄, 반인도적 범죄 등의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그는 2007년 9월 19일 ECCC의 관리로 옮겨졌습니다.그의 재판은 2011년 6월 27일에 시작되었습니다.[83][84]2018년 11월 16일, 그는 대량학살 혐의로 종신형을 선고받았습니다.[85]
  • Ieng Sary 전 외무장관은 2010년 9월 15일 대량학살, 전쟁범죄, 반인도적 범죄 등의 혐의로 캄보디아 법에 따라 기소되었습니다.그는 2007년 11월 12일 ECCC의 관리로 옮겨졌습니다.그의 재판은 2011년 6월 27일에 시작되었습니다.[83][84]그는 2013년 3월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 2010년 9월 15일, 이엥 사리의 아내이자 전 사회부 장관인 이엥 티리스는 캄보디아 법에 따라 대량 학살, 전쟁 범죄, 반인도 범죄 및 기타 여러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그녀는 2007년 11월 12일에 ECCC의 관리로 옮겨졌습니다.그녀에 대한 소송은 건강 진단이 내려질 때까지 중지된 상태입니다.[84][86]

일부 국제 법학자들과 캄보디아 정부는 재판소가 다른 사람들을 재판해야 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엇갈렸습니다.[80]

국제형사재판소

ICC는 2002년 7월 1일 이후에 저지른 범죄에 대해서만 기소할 수 있습니다.[87][88]

다르푸르, 수단

ICC 수배 중인 오마르바시르 수단 대통령

2003년에 [92]시작된 수단 다르푸르에서의 현재 진행중인 인종[89][90][91] 분쟁은 2004년 9월 9일 콜린 파월 국무장관의해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증언을 통해 대량학살로 선언되었습니다.[93][94][95][96]하지만 그 이후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다른 상임이사국들은 이를 따르지 않고 있습니다.2005년 1월, 2004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564호에 의해 인가된 다르푸르 국제조사위원회는 "수단 정부는 대량학살 정책을 추구하지 않았다"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97]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원회는 "정부 당국이 직접 또는 그들의 통제하에 있는 민병대를 통해 다르푸르에서 어떤 대량학살 정책도 추구하고 시행하지 않았다는 결론은 그 지역에서 자행된 범죄의 중대성을 훼손하는 것으로 어떤 식으로든 받아들여져서는 안 됩니다.다르푸르에서 자행된 반인륜 범죄나 전쟁 범죄와 같은 국제 범죄도 대량 학살 못지않게 심각하고 극악무도한 것일 수 있습니다."[97]

2005년 3월, 안보리는 위원회 보고서를 고려하여 다르푸르의 상황을 ICC에 공식적으로 회부했지만, 구체적인 범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98]안보리 상임이사국 2개국인 미국과 중국은 회부 결의안 표결에서 기권했습니다.[99]검사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한 네 번째 보고서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593호에서] 확인된 개인들이 반인륜적 범죄와 전쟁범죄를 저질렀다고 믿을 만한 합리적인 근거"를 찾았지만 대량학살 혐의로 기소할 충분한 증거를 찾지 못했습니다.[100]

2007년 4월, ICC는 전 내무부 장관 아흐마드 하룬잔자위드 민병대 지도자 알리 쿠세이브에 대해 반인도적 범죄와 전쟁 범죄 혐의로 체포 영장을 발부했습니다.[101]2008년 7월 14일, ICC는 수단의 대통령 오마르바시르를 상대로 10건의 전쟁범죄 혐의, 3건의 대량학살 혐의, 5건의 반인도적 범죄, 2건의 살인 혐의를 제기했습니다.검찰은 알-바시르가 민족성을 이유로 다르푸르의 세 부족 집단을 "실질적으로 파괴하려는 계획을 주도하고 실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102]2009년 3월 4일, ICC는 알-바시르의 반인도적 범죄와 전쟁 범죄에 대한 체포 영장을 발부했지만 대량 학살에 대해서는 발부하지 않았습니다.이것은 ICC가 현직 국가 원수에 대해 발부한 첫 번째 영장입니다.[103]

국제사법재판소

우크라이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지 이틀 뒤인 2월 26일, 우크라이나ICJ대량학살 범죄 예방 처벌에 관한 협약에 따른 대량학살 혐의 사건을 제기했습니다.이 사건은 돈바스에서 일어난 대량학살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거짓된 비난에 이어 일어난 것으로, 대량학살 학자들은 이 사건을 대량학살 선동 운동의 일환으로 거울에 비친 비난이라고 설명했습니다.[104]법원은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한 대량학살의 모든 혐의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2년 11월 우크라이나 검찰총장 안드리 코스틴은 법 집행에 의한 대량학살에 대한 다섯 번의 소송 과정에서 수사관들이 "대량학살의 정의에 정확히 속하는 300개 이상의 사실"을 기록했다고 말했습니다.[105]

로힝야

2019년 11월 11일 감비아미얀마를 상대로 ICJ에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미얀마가 2016년 10월경부터 라카인 주의 로힝야족 집단을 상대로 집단 살해, 강간, 공동체 파괴 등을 자행했으며 이는 대량학살협약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참고 항목

메모들

  1. ^ 1951년, 렘킨은 소련이 대량학살로 기소될 수 있는 유일한 국가라고 말하고 있었습니다. 의 대량학살에 대한 개념은 점령된 유럽의 추축 규칙에 요약되어 있듯이 스탈린주의자들의 추방을 기본적인 대량학살로 다루고 있으며, 채택된 대량학살 협약과 많은 면에서 다릅니다.21세기 관점에서 보면, 그것의 적용 범위는 매우 넓었고, 그 결과, 그것은 어떤 심각한 인권 침해도 대량학살로 분류할 것이고, 렘킨에 의해 대량학살로 간주되었던 많은 사건들은 대량학살에 해당하지 않았습니다.냉전이 시작되자, 이러한 변화는 렘킨이 미국을 설득하여 대량학살협약을 비준하려는 시도로 반공주의로 선회한 결과였습니다.[6]

참고문헌

  1. ^ a b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and Punishment of the Crime of Genocide".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12 January 195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December 2005. 참고: "윤리적"은 특이하지만 여러 사전에서 발견됩니다.
  2. ^ Kakar, Mohammed Hassan (1995). Afghanistan: The Soviet Invasion and the Afghan Response, 1979–198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213–214. ISBN 978-0-5209-1914-3 – via Google Books.
  3. ^ Chalk & Jonassohn 1990.
  4. ^ 스타우브 1989, 페이지 8.
  5. ^ Gelllate & Keernan 2003, 페이지 267.
  6. ^ 바이스-웬트 2005.
  7. ^ 샤바스 2009, p. 160: "트라보에 대한 엄격한 검토는 정치적 대량학살을 포함하는 것에 대한 반대가 소련의 어떤 계략이었다는 문헌의 대중적인 인상을 확인하지 못합니다.소련의 견해는 또한 레바논, 스웨덴, 브라질, 페루, 베네수엘라, 필리핀, 도미니카 공화국, 이란, 이집트, 벨기에, 우루과이와 같이 지리적 또는 사회적 공통분모를 설정하기 어려운 많은 다른 국가들에 의해 공유되었습니다.정치적 집단 배제는 원래 비정부기구인 세계유대인대회에 의해 추진된 것으로, 대량학살 범죄의 본질에 대한 라파엘 렘킨의 비전에 부합합니다."
  8. ^ Jones 2006, p. 3: "Frank Chalk과 Kurt Jonassohn이 그들의 초기 연구에서 지적했듯이, 어려움은 존재하는 그러한 역사적 기록이 모호하고 믿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오늘날 역사는 일반적으로 '객관적인' 사실에 약간의 충성심을 가지고 쓰여지지만, 대부분의 이전 기록들은 오히려 작가의 수호자(보통 지도자)를 칭송하고 자신의 신과 종교적 신념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9. ^ 존스 2010, 페이지 139.
  10. ^ 모세 2004, 페이지 27.
  11. ^ 포지 2012, 페이지 77.
  12. ^ 메이버리-루이스 2002, 페이지 48.
  13. ^ Hitchcock & Koperski 2008, 페이지 577–582.
  14. ^ 샤바스 2000, 페이지 16-17.
  15. ^ 종만 1996.
  16. ^ a b 모세 2010, p. 21.
  17. ^ Stone 2010, 페이지 206-207.
  18. ^ Rosenbaum 2001, "서문"
  19. ^ 바트롭 & 제이콥스 2014, 페이지 1106.
  20. ^ Akande et al. 2018, 페이지 64
  21. ^ a b 호프만 2010, 페이지 260.
  22. ^ 패리드 2005.
  23. ^ 벨라미 2012, "냉전투쟁 (1): 자본주의 만행"
  24. ^ 벨라미 2012, "냉전투쟁 (2): 공산주의 만행"
  25. ^ 1993년 Fe.
  26. ^ Bloxham & Moses 2010, p. 2.
  27. ^ a b Clark, Helen; Lapsley, Michael; Alton, David (26 November 2021). "The warning signs are there for genocide in Ethiopia – the world must act to prevent it".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November 2021. Retrieved 27 November 2021.
  28. ^ International panel of eminent personalities (21 January 2004). "Rwanda: The Preventable Genocide" (PDF). African Union.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5 April 2021. Retrieved 27 November 2021.
  29. ^ a b Mustapha, Ogunsakin (26 November 2021). "Group warns UN over imminent genocide in Ethiopia". Citizens' Gave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November 2021. Retrieved 27 November 2021.
  30. ^ a b Odinkalu, Chidi (21 November 2021). "Lessons from Rwanda: dangers of an Ethiopian genocide increase as rebels threaten Addis". Eritrea Hu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21. Retrieved 27 November 2021.
  31. ^ Ross, Eric; Hill, Nat (20 November 2021). "Genocide Emergency: Ethiopia". Genocide Wat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November 2021. Retrieved 23 November 2021.
  32. ^ "World Court Rules Against Myanmar on Rohingya". Human Rights Watch. 23 January 2020. Retrieved 21 February 2023.
  33. ^ "Myanmar's Rohingya Crisis Enters a Dangerous New Phase". www.crisisgroup.org. 7 December 2017. Retrieved 21 February 2023.
  34. ^ "Uighurs: 'Credible case' China carrying out genocide". BBC News. 8 February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February 2021.
  35. ^ Ryan Patrick Jones (22 February 2021). "MPs vote to label China's persecution of Uighurs a genocide".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A substantial majority of MPs — including most Liberals who participated — voted in favour of a Conservative motion that says China's actions in its western Xinjiang region meet the definition of genocide set out in the 1948 United Nations Genocide Convention. ... The final tally was 266 in favour and zero opposed. Two MPs formally abstained.
  36. ^ Hefffer, Greg (22 April 2021). "House of Commons declares Uighurs are being subjected to genocide in China". Sky News.
  37. ^ "French Parliament Denounces China's Uyghur 'Genocide'". AFP News. 20 January 2022.
  38. ^ Gordon, Michael R. (19 January 2021). "U.S. Says China Is Committing 'Genocide' Against Uighur Muslims". The Wall Street Journal.
  39. ^ 바흐만 2017: "그러나 미국은 1988년 11월 25일까지 조약을 비준하지 못했습니다."
  40. ^ Bookmiller, Kirsten Nakjavani (2008). The United Nations. Infobase Publishing. p. 81. ISBN 978-1438102993. Retrieved 4 August 2013 – via Google Books.
  41. ^ Paul, Christopher; Clarke, Colin P.; Grill, Beth (2010). Victory Has a Thousand Fathers: Sources of Success in Counterinsurgency. Rand Corporation. p. 25. ISBN 978-0833050786. Retrieved 4 August 2013 – via Google Books.
  42. ^ Simons, Marlise (31 May 2011). "Mladic Arrives in The Hague". The New York Times.
  43. ^ "Srebrenica-Potočari: spomen obilježje i mezarje za žrtve genocida iz 1995 godine. Liste žrtava prema prezimenu" [Srebrenica-Potocari: Memorial and Cemetery for the victims of the genocide of 1995. Lists of victims by surname] (in Bosnian). 199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pril 2014.
  44. ^ "ICTY: The Conflicts".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Retrieved 5 August 2013.
  45. ^ UN 공보 SG/SM/9993UN, 11/07/2005 "포토카리-스레브레니차 대학살 10주년 기념식에 대한 코피 아난 사무총장의 메시지"2010년 8월 9일 회수.
  46. ^ Institute for War and Peace Reporting, Tribunal Update: Briefly Noted (TU No 398, 18 March 2005). "Institute for War & Peace Reporting - IWPR".{{cite web}}: CS1 유지 : 여러 이름 : 저자 목록 (링크)
  47. ^ Williams, Daniel. "Srebrenica Video Vindicates Long Pursuit by Serb Activist".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26 May 2011.
  48. ^ "ICTY – Kordic and Cerkez Judgement – 3. After the Conflict" (PDF). Retrieved 11 July 2012.
  49. ^ Naimark, Norman M. (2011). Memories of Mass Repression: Narrating Life Stories in the Aftermath of Atrocity. Transaction Publishers. p. 3. ISBN 978-1412812047. Retrieved 4 August 2013 – via Google Books.
  50. ^ "Greece faces shame of role in Serb massacre". The Guardian. 5 January 2013.
  51. ^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검사 v. Radislav Krstic 재판소 I – 판결 – IT-98-33 (2001) ICTY8 (2001년 8월 2일)에서 대량학살이 자행되었다고 판결했습니다.(대량학살이 자행된 집단의 이름은 560항 참조). 판결은 검사 v. Radislav Krstic 항소 법원 판결 IT-98-33 (2004) ICTY 7 (2004년 4월 19일)에서 확정되었습니다.
  52. ^ Max, Arthur (26 February 2007). "Court: Serbia failed to prevent genocide". The San Francisco Chronicle. Associated 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August 2007.
  53. ^ "HNPG 036P (or 033T) History: Bosnian Genocide In the Historical Perspective".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y 2007.
  54. ^ "Winter 2007 Honors Courses".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August 2007.
  55. ^ "Winter 2008 Honors Courses".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October 2007.
  56. ^ "Milosevic to Face Bosnian Genocide Charges". Human Rights Watch. 11 December 2001. Retrieved 10 April 2016.
  57. ^ "Seven convicted over 1995 Srebrenica massacre". CNN. 10 June 2010.
  58. ^ "Life for Bosnian Serbs over genocide at Srebrenica". BBC News. 10 June 2010.
  59. ^ Charter, David (10 June 2010). "Hague court sentences Bosnian Serbs to life for Srebrenica genocide". Times Online. London.
  60. ^ Waterfield, Bruno (10 June 2010). "Bosnian Serbs convicted of genocide over Srebrenica massacre". The Telegraph.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anuary 2022.
  61. ^ "Radovan Karadzic sentenced to 40-year imprisonment for Srebrenica genocide, war crimes". The Hindu. 24 March 2016.
  62. ^ "UN hails conviction of Mladic, the 'epitome of evil,' a momentous victory for justice". UN News Centre. 22 November 2017. Retrieved 23 November 2017.
  63. ^ "Novislav Djajic". Trial Watch. 19 June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February 2016. Retrieved 15 February 2016.
  64. ^ 검사 v. Radislav Krstic 재판소 I 판결 IT-98-33 (2001) ICTY8 (2001년 8월 2일),구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 589항. 바이에른 항소법원, Novislav Djajic 사건 인용, 1997년 5월 23일, 3 St 20/96, 섹션 VI, p. 24 영어 번역.
  65. ^ Oberlandesgericht Düseldorf, "검사 v Jorgic", 1997년 9월 26일 (재판 감시) Nikola Jorgic 2014년 2월 24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됨
  66. ^ 시범 시청 Maksim Sokolovic 2015년 7월 6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Maksim Sokolovic
  67. ^ Des Forges, Alison (1999). "'Leave None to Tell the Story'" (PDF). Human Rights Watch. Retrieved 6 November 2022.
  68. ^ "Joseph Sebarenzi Shares his Perspective on the Genocide in Rwanda in Two Lectures". BYU Humanities. BYU College of Humanities. 20 November 2014. Retrieved 6 November 2022.
  69. ^ Maron, Jeremy (2022). "What led to the genocide against the Tutsi in Rwanda?". Canadian Museum for Human Rights. Retrieved 6 November 2022.
  70. ^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Rwanda: Status of Cases". ICT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August 2011.
  71. ^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Rwanda: Status of Cases". IC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December 2012.
  72. ^ "Rwanda: The First Conviction for Genocide". Holocaust Encycloped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5 April 2021. Retrieved 6 November 2022.
  73. ^ Sliwinski, Marek (1995). Le génocide khmer rouge: une analyze démographique [The Khmer Rouge Genocide: A Demographic Analysis] (in French). Harmattan. p. 82. ISBN 978-2-7384-3525-5 – via Google Books.
  74. ^ Sharp, Bruce (1 April 2005). "Counting Hell: The Death Toll of the Khmer Rouge Regime in Cambodia". Mekong.Net. Mekong Network. Retrieved 13 January 2013.
  75. ^ Rosefielde, Steven (2009). Red Holocaust. Routledge. p. 119. ISBN 978-0-415-77757-5.
  76. ^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57/228 Khmer Rouge trials B1" (PDF).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22 May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 July 2007. Retrieved 11 December 2010.
  77. ^ Doyle, Kevin (26 July 2007). "Putting the Khmer Rouge on Trial". Time. Retrieved 13 February 2016.
  78. ^ MacKinnon, Ian (7 March 2007). "Crisis talks to save Khmer Rouge trial".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November 2007.
  79. ^ "The Khmer Rouge Trial Task Force". Royal Cambodian Gover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April 2005.
  80. ^ a b Buncombe, Andrew (11 October 2011). "Judge quits Cambodia genocide tribunal". The Independent. London.
  81. ^ Munthit, Ker (12 August 2008). "Cambodian tribunal indicts Khmer Rouge jailer". USA Today. Associated Press. Retrieved 5 February 2017.
  82. ^ "Kaing Guek Eav alias Duch Sentenced to Life Imprisonment by the Supreme Court Chamber". Extraordinary Chambers in the Courts of Cambodia. 3 February 2012. Retrieved 5 February 2017.
  83. ^ a b c "Case 002". Extraordinary Chambers in the Courts of Cambo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y 2011. Retrieved 5 February 2017.
  84. ^ a b c d "002/19-09-2007: Closing Order" (PDF). Extraordinary Chambers in the Courts of Cambodia. 15 September 2010. Retrieved 5 February 2017.
  85. ^ a b "UN genocide adviser welcomes historic conviction of former Khmer Rouge leaders". UN News. 16 November 2018. Retrieved 18 November 2018.
  86. ^ "002/19-09-2007: Decision on immediate appeal against Trial Chamber's order to release the accused Ieng Thirith" (PDF). Extraordinary Chambers in the Courts of Cambodia. 13 December 2011. Retrieved 5 February 2017.
  87. ^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rticle 11". United Nations Office of Legal Affairs. 17 July 1999. Retrieved 4 June 2017.
  88. ^ "ICC: About the court". IC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March 2010. Retrieved 6 February 2009.
  89. ^ "Humanitarian Intervention in Darfur: A Viable Option?". Turkishweekly.net. 7 November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anuary 2016. Retrieved 9 September 2013.
  90. ^ "Al-Bashir Arrest Warrant Issued By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Huffington Post. 4 March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February 2010.
  91. ^ "Sudan country profile". BBC News. 27 April 2010. Retrieved 3 May 2010.
  92. ^ "The Online NewsHour: Crisis in Sudan Janjaweed Militia PBS". PBS. 28 January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anuary 2007.
  93. ^ "Racism at root of Sudan's Darfur crisis" – via Christian Science Monitor.
  94. ^ "Darfur's Sorrow: A History of Destruction and Genocide.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8 December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December 2009.
  95. ^ 파월, 다르푸르 살인 '대학살' 선언 2004년 9월 9일 레러와 함께한 뉴스아워
  96. ^ "Witnessing Genocide in Sudan". CBS News. 8 October 2004. Retrieved 10 April 2016.
  97. ^ a b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f Inquiry on Darfur to the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PDF). United Nations. 25 January 2005. p. 4. Retrieved 5 February 2017.
  98. ^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593 (2005)" (PDF).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31 March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9 May 2005.
  99. ^ 2005년 3월 31일, UN 공보 SC/8351, 수단 다르푸르의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 검사에게 보고함
  100. ^ "Fourth Report of the Prosecutor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to the Security Council pursuant to UNSC 1593 (2005)" (PDF).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14 Decem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4 June 2007.
  101. ^ "Statement by Mr. Luis Moreno Ocampo, Prosecutor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to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pursuant to UNSCR 1593 (2005)" (PDF).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5 June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3 August 2008.
  102. ^ Walker, Peter (14 July 2008). "Darfur genocide charges for Sudanese president Omar al-Bashir". The Guardian. London. Retrieved 15 July 2008.
  103. ^ 직원. 2009년 3월 4일, 수단의 지도자 BBC에 대한 영장이 발부되었습니다.
  104. ^ "Independent Legal Analysis of the Russian Federation's Breaches of the Genocide Convention in Ukraine and the Duty to Prevent" (PDF). New Lines Institute for Strategy and Policy; Raoul Wallenberg Centre for Human Rights. 27 May 2022.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6 June 2022. Retrieved 22 July 2022.
  105. ^ "Ukrainian law enforcement officers record more than 300 cases of genocide – top prosecutor". Ukrinform. Retrieved 21 February 2023.
  106. ^ "Factbox: Myanmar on trial for Rohingya genocide – the legal cases". Reuters. 1 November 2019. Retrieved 22 February 2023.

서지학

추가열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