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기성절제술
Gingivectomy칭기성절제술 | |
---|---|
메슈 | D005890 |
징검다리는 치과의사나 구강외과의사가 입안(긴기바)의 잇몸 일부를 잘라내는 치과 시술이다.[1]
치주요법에서[2] 가장 오래된 외과적 접근법이며, 보통 치아의 미학적 개선이나 예후를 위해 행해진다.
깅그리브레이션은 포켓벽을 제거함으로써 완벽한 미적분 제거와 철저한 뿌리의 평활을 위한 가시성과 접근성을 제공함으로써 깅기벌 치유와 생리학적 깅기벌 윤곽의 복원을 위한 유리한 환경을 조성한다.서브깅 캐리 또는 크라운 여유도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도록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2]Gingevivecty에 대한 일반적인 미적 이유는 Gingival 과성장에 의한 Gummy 미소 때문이다.[3]
적응증
초신성 섬유 및 견고한 포켓 제거
Gingivectomy는 치주염과 치주머니를 가진 환자의 주머니 깊이를 줄이는 데 이용 가능한 1차 치료법이다.[4][5]초기 및 최종 진기벌 건강에 기초한 치주염 관리에 대한 다른 치료 접근법 간의 소급 비교에서, 기존의 진기절제술은 3mm 이상 측정된 주머니의 비수술적 치료법에 비해 주머니 깊이와 염증 감소에 더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6]초자연적인 깊은 주머니를 제거하면 미적분 제거를 위한 더 나은 가시성과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그 결과, 이것은 회복될 긴기바의 치유와 생리적 윤곽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5]
징기벌 확대의 제거
약물에 의해 유발된 징기벌 확대의 경우, 대부분의 환자가 1년 후 임상적 재발 징후를 보이지 않는 등 징기절제술을 통한 수술적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7]가장 빈번한 치료방법임에도 과성장이 심할 때만 나타난다.[8]
Gingival 확대의 또 다른 원인은 Gingival fibromatosis라고 알려진 유전적 조건일 것이다.깅기발 조직의 광범위한 과성장은 좋은 미학적 결과를 낳기 때문에 보통 깅기절제술로 처리된다.[9]그러나 이런 경우 재발은 예측하기 어렵다.[9]이것은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 반복적인 절차를 거칠 가능성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9]
임상 크라운 높이 증가
하위 Gingival 여백
치아의 임상 왕관 높이를 높이기 위해 정강절제술도 할 수 있다.이는 부조화상 가변성 병변 또는 관상골절의 결과로 보철물 보존에 부적합한 조직을 가진 치아의 치료 계획에 적합하다.[10]외과적 치료는 생물학적 폭과 임상적 애착을 유지하면서 여백을 재설정한다.[10]
거미가 웃는다.
웃을 때 최대 3mm의 징기발 디스플레이가 미용적으로 허용되는 것으로 설명된다.게미 미소는 종종 임상적으로 3mm 이상의 징기발 조직이 있고 대개 개인에게 미각이 없는 것으로 여겨지는 미소를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11]서브징발전의 틈새 여백과 유사하게, 왕관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깅그리브레이션은 더 나은 미학과 정상적인 깅기벌 아키텍처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5]
콘트라인커뮤니케이션
뼈수술의 필요
주머니 바닥이 무코깅갈림과 유사할 때
심미적 고려사항, 특히 Maxilla의 전방 지역에서의 고려사항
치과/진강 형태적 특성과 심-구강 변수는 환자의 미소 프레임에 영향을 미친다.그들은 환자의 미소의 예측 가능한 성공적인 재활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이다.[12]
수컷과 암컷의 경우, 최대 중심 근막의 평균 수직 높이는 각각 10.6mm와 9.8mm이다.[13]입술선이 정지된 상태에서 평균 맥시관 디스플레이는 남성은 1.91mm, 여성은 3.40mm(약 2배)이다.[13]최근 더 많은 연구가 눈에 보이는 맥세관(maxary incisor crown)의 높이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적 이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행해졌다.[14]또한 한 연구에서 얻은 데이터는 여성들 사이에서 더 높은 미소선이 더 흔하고 남성 환자들 사이에서 더 낮은 미소 패턴이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14]하이 스마일 라인은 치아의 왕관 전체와 풍부한 양의 깅기바를 보여준다.따라서, 일부 사람들은 이 절차를 주관적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어느 정도의 징기벌 표시는 미적으로 만족스럽고 젊다고 여겨질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그 외에도 앞부분과 뒷부분의 깅기벌 윤곽의 조화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12]어떤 사람들은 미소지으면서 한쪽의 2차 전극에서 다른 쪽 전극으로 양치질을 노출하는 경향이 더 많다.[15]따라서 일부 경우에는 특히 수술용 크라운 길이에 첫 번째 어금니 사이의 모든 치아를 포함시켜 최대 앞니와 뒷니의 징기벌 윤곽이 조화롭게 혼합되는 미학적으로 보기 좋은 징기벌 구조를 달성하는 논의가 있었다.[12]그것과는 별개로, 「검은 삼각형」은, 근위 또는 근위 연조직 불경기가 있는 지역에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이것은 바람직한 결과로 이어진다.[12][16]
기술 및 수술 후 관리/치료
진절제술은 다양한 기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1]
외과적 정강절제술
수술 후 환자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수술은 외과의사가 할 수 있는 만큼 외상을 입어야 한다.시술이 주의 깊게 진행되었다면 수술 후 환자의 통증이 최소화된다.고통은 시술 후 처음 경험할 수 있지만 며칠 안에 가라앉아야 하며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약물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초기 치료 단계에서 씹을 때 수술을 한 부위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적절한 플라그 조절은 시술 후 장기간 결과를 보장하는데 중요하며, 수술 후 감염관리 수준을 유지한다면 환자는 건강한 치주검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그러나 시술 결과는 환자의 전신 상태와 같은 다른 일반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환자가 적절한 구강위생 수준과 수술 후 관리를 유지하지 못하면 질병이 다시 찾아올 수밖에 없다.환자는 시술 후 통증 및 불편함으로 인해 자가 구강위생 수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전문치료를 위해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것이 좋다.수술 직후에는 적절한 플라크 방지제로 헹구는 것이 좋다.봉합 후 부위는 관개하고 이를 닦아야 한다.기계식 칫솔질을 다시 시작할 준비가 된 경우 온수에서 부드러워진 칫솔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부드러운 칫솔질을 시연한다.시술 후 초기에는 수술부위의 치간조직의 손상 가능성이 있으므로 치간칫솔의 사용을 강력히 권고하고, 대안으로 이쑤시개를 추천한다.환자는 2주마다 한 번씩 치석 수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방문하도록 요청 받는다.환자의 플라그 조절이 표준에 맞으면 방문 간 시간이 점차 늘어난다.[17]
전기수술에 의한 깅그리브레이션
전기수술은 제어 가능한 수술 효과를 얻기 위해 고주파 파형 또는 전류를 신체의 조직을 통해 의도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정의된다.[18]치과에서 60년 이상 사용되어 왔다.[19]
기기와 접촉하는 뼈가 없고 구강 위생이 양호한 경우 무혈 환경이 필요한 경우 전기수술로 사용할 수 있다.[20]이 기술은 비용과 주제에 대한 정보 부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요인 때문에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19]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수술 장치에 회로가 있어야 한다.이 전류 활성화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연조직의 절단 또는 응고에 전기수술이 사용될 수 있다.전기수술 기술의 기본 유형은 응고, 탈색, 충만, 전기절개(절단)이다.대부분의 임상 수술은 전기 절개로 이루어진다.[21]
전기수술기에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독점형과 양극성이다.[22][23]
독점 장치에서는 별도의 전극이 필요하며, 대개 환자의 등뒤에 있는 무심한 판 형태의 전극이 필요하다.전류는 전기수술 장치에서 시작하여 와이어를 통해 경구 부위로 흐른 다음 2차 전극으로 흐른다.열은 구강조직과 접촉하여 절삭결과에 따라 생성된다.양극성 기기는 커팅 팁에 두 개의 전극이 있고 전류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무심한 플레이트가 필요하지 않다.양극성 기기는 더 넓은 절단을 만든다.[19]
메스 상처에 비해 전기수술 상처의 치유를 살펴본 연구 결과는 매우 다양하지만 전기수술기구는 출혈을 최소화하고 대부분의 환자는 시술 후 수술 후 통증을 거의 경험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메스 기술보다 인접한 조직에 더 많은 손상, 더 느린 상처 치유, 그리고 더 많은 염증 반응이 있을 수 있다.[19][24]
레이저 깅그리브레이션
레이저(방사선 방출 자극에 의한 빛 증폭).
레이저 유형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레이저로 액티노바코빌루스 액티노미켐코미탄(Aa)과 같은 박테리아를 상당히 감소시켜 염증을 줄이고 치유를 촉진할 수 있다는 제안이 나왔다.[25][26]레이저 치료도 환자가 최소한의 통증만 보고해 환자 수용도가 좋은 것으로 보인다.Nd:YAG 레이저로 주머니 상피의 경화에 사용되어 기저 조직에 거의 또는 전혀 손상을 주지 않는다.[27]
치주 건강 및 이전에 감염된 뿌리 표면에 진기질 조직을 다시 부착하는 것이 치주 치료의 목표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스케일링, 뿌리 표면 계측 및 초음파 계측에 의해 전통적인 치료를 통해 달성된다.[28]그러나 기존의 치료로는 플라그와 미적분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며 레이저가 치주 치료의 효과적인 도구로 제안되었다.[29]
- 감염된 뿌리 표면과 치주 주머니 마이크로플로라를 효율적으로 살균
- 인접한 주머니 상피를 치료한다.
- 얼룩 층 제거
- 미적분 제거 능력 향상
레이저 치료는 수술 후 붓기, 출혈, 흉터 조직 형성 또는 통증을 최소화하거나 전혀 유발하지 않는 것이 제안되었다.[30]
상처 치유와 관련하여 동물 연구는 Nd:메스 절개를 따르는 것보다 YAG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이는 에너지 및 주파수 파라미터가 낮고 높은 수준의 에너지가 흉터 형성과 상처 치유를 지연시킬 때에만 유효하다.[31][32]
정강절제술을 위한 레이저의 임상적 사용은 습한 거즈로 조직 잔해를 반복적으로 래싱하고 닦아내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혈액이 없는 수술장을 생성하여 운영자가 더 잘 볼 수 있고 더 쉽게 볼 수 있게 한다.레이저를 절제하고 응고하는 것 외에도, 레이저를 살균하고 수술 후 드레싱을 할 필요가 없다.[33]한 연구에서는 약물 유발 깅기벌 과성장 재발을 가진 환자의 경우 레이저 깅기브절제술을 메스 깅기브절제술과 비교했을 때 미미하거나 제거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34]
참고 항목
참조
- ^ a b Newman MGm Takei HH, Klokkevold PR, Carranza FA, eds. (2006). Carranza's Clinical Periodontology (10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mpany. pp. 912–916.
- ^ a b Zafiropoulos GG, Flores-de-Jacoby L, Tsalikis L, Zimmermann A (1991). "[Gingivectomy]". Deutsche Zahn-, Mund-, und Kieferheilkunde mit Zentralblatt. 79 (7): 571–81. PMID 1756220.
- ^ "Gummy Smile Correction Using Botulinum Toxin With Respective Gingival Surger". www.unboundmedicine.com. Retrieved 2018-11-06.
- ^ Newman MG, Takei H, Klokkevold PR, Carranza FA (2018). Newman and Carranza's clinical periodontology (Thirteenth ed.). Philadelphia, PA: Elsevier - Health Sciences Division. p. 615. ISBN 978-0-323-53323-2. OCLC 1043758752.
- ^ a b c Kohale BR, Agrawal AA, Raut CP (2018). "Effect of low-level laser therapy on wound healing and patients' response after scalpel gingivectomy: A randomized clinical split-mouth study". Journal of Indian Society of Periodontology. 22 (5): 419–426. doi:10.4103/jisp.jisp_239_18. PMC 6128133. PMID 30210191.
- ^ Waite IM (August 1976). "A comparison between conventional gingivectomy and a non-surgical regime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3 (3): 173–85. doi:10.1111/j.1600-051x.1976.tb01865.x. PMID 787013.
- ^ Keglevich T, Benedek E, Gera I (December 1999). "[Clinical experience with the treatment of gingival hyperplasia induced by calcium channel blocking agents]". Fogorvosi Szemle. 92 (12): 363–72. PMID 10641419.
- ^ Mavrogiannis M, Ellis JS, Thomason JM, Seymour RA (June 2006). "The management of drug-induced gingival overgrowth".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33 (6): 434–9. doi:10.1111/j.1600-051x.2006.00930.x. PMID 16677333.
- ^ a b c Shetty AK, Shah HJ, Patil MA, Jhota KN (October 2010). "Idiopathic gingival enlargement and its management". Journal of Indian Society of Periodontology. 14 (4): 263–5. doi:10.4103/0972-124X.76935. PMC 3118079. PMID 21731254.
- ^ a b Padbury A, Eber R, Wang HL (May 2003). "Interactions between the gingiva and the margin of restorations".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30 (5): 379–85. doi:10.1034/j.1600-051X.2003.01277.x. PMID 12716328.
- ^ a b Narayan S, Narayan TV, Jacob PC (October 2011). "Correction of gummy smile: A report of two cases". Journal of Indian Society of Periodontology. 15 (4): 421–4. doi:10.4103/0972-124x.92585. PMC 3283946. PMID 22368373.
- ^ a b c d Majzoub, Zeina A.K.; Romanos, Alain; Cordioli, Giampiero (2014-09-01). "Crown lengthening procedures: A literature review". Seminars in Orthodontics. 20 (3): 188–207. doi:10.1053/j.sodo.2014.06.008. ISSN 1073-8746.
- ^ a b Vig, Robert G.; Brundo, Gerald C. (1978-05-01). "The kinetics of anterior tooth display".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39 (5): 502–504. doi:10.1016/S0022-3913(78)80179-6. ISSN 0022-3913. PMID 349139.
- ^ a b Miron, Hagai; Calderon, Shlomo; Allon, Dror (2012-01-01). "Upper lip changes and gingival exposure on smiling: Vertical dimension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141 (1): 87–93. doi:10.1016/j.ajodo.2011.07.017. ISSN 0889-5406. PMID 22196189.
- ^ Tjan, Anthony H.L.; Miller, Gary D.; The, Josephine G.P. (1984-01-01). "Some esthetic factors in a smile".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51 (1): 24–28. doi:10.1016/S0022-3913(84)80097-9. ISSN 0022-3913. PMID 6583388.
- ^ Tarnow, Dennis P.; Magner, Anne W.; Fletcher, Paul (1992). "The Effect of the Distance From the Contact Point to the Crest of Bone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terproximal Dental Papilla". Journal of Periodontology. 63 (12): 995–996. doi:10.1902/jop.1992.63.12.995. ISSN 0022-3492. PMID 1474471. S2CID 8637161.
- ^ Lindhe J, Lang NP, Berglundh T, Giannobile WV, Sanz M (2015-06-15). Clinical periodontology and implant dentistry. ISBN 978-0-470-67248-8. OCLC 901104508.
- ^ Davies BR, Millar BJ, Louca C (October 2007). "Going interactive: six strategies to meet the challenge of teaching electrosurgery to general dental practitioners". British Dental Journal. 203 (8): 473–7. doi:10.1038/bdj.2007.949. PMID 17965691.
- ^ a b c d Bashetty K, Nadig G, Kapoor S (October 2009). "Electrosurgery in aesthetic and restorative dentistry: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reports". Journal of Conservative Dentistry. 12 (4): 139–44. doi:10.4103/0972-0707.58332. PMC 2879725. PMID 20543922.
- ^ Waite IM (1975). "The present status of the gingivectomy procedure".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2 (4): 241–9. doi:10.1111/j.1600-051X.1975.tb01748.x. PMID 1061722.
- ^ Babaji P, Singh V, Chawrasia V, Jawale MR (2014). "Electro surgery in dentistry: Report of cases". Journal of Pediatric Dentistry. 2 (1): 20. doi:10.4103/2321-6646.130379.
- ^ Lepsevich BD (1986-01-01). "Book Reviews : Report Writing for Business and Industry. Steven Golen, Glenn Pearce, and Ross Figgins. New York: John Wiley & Sons, 1985".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23 (1): 76–79. doi:10.1177/002194368602300111. ISSN 0021-9436.
- ^ Waxman B (September 1995). "Practical electrosurgery. S. Duffy and G. V. Cobb (eds). 240 × 158 mm. Pp. 124. Illustrated. 1994. London: Chapman and Hall. £35". British Journal of Surgery. 82 (9): 1292–1293. doi:10.1002/bjs.1800820965.
- ^ Manivannan N, Ahathya RS, Rajaram PC (July 2013). "Scalpel versus electrosurgery: Comparison of gingival perfusion status using ultrasound Doppler flowmetry". Journal of Pharmacy & Bioallied Sciences. 5 (Suppl 2): S154–9. doi:10.4103/0975-7406.114317. PMC 3740665. PMID 23956596.
- ^ Moritz A, Schoop U, Goharkhay K, Schauer P, Doertbudak O, Wernisch J, Sperr W (1998). "Treatment of periodontal pockets with a diode laser". Lasers in Surgery and Medicine. 22 (5): 302–11. doi:10.1002/(SICI)1096-9101(1998)22:5<302::AID-LSM7>3.0.CO;2-T. PMID 9671997.
- ^ Moritz A, Gutknecht N, Doertbudak O, Goharkhay K, Schoop U, Schauer P, Sperr W (February 1997). "Bacterial reduction in periodontal pockets through irradiation with a diode laser: a pilot study". Journal of Clinical Laser Medicine & Surgery. 15 (1): 33–7. doi:10.1089/clm.1997.15.33. PMID 9467340.
- ^ Gold SI, Vilardi MA (July 1994). "Pulsed laser beam effects on gingiva".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21 (6): 391–6. doi:10.1111/j.1600-051X.1994.tb00735.x. PMID 8089240.
- ^ O'Leary TJ (February 1986). "The impact of research on scaling and root planing". Journal of Periodontology. 57 (2): 69–75. doi:10.1902/jop.1986.57.2.69. PMID 3514839.
- ^ Kerns DG, Scheidt MJ, Pashley DH, Horner JA, Strong SL, Van Dyke TE (July 1991). "Dentinal tubule occlusion and root hypersensitivity". Journal of Periodontology. 62 (7): 421–8. doi:10.1902/jop.1991.62.7.421. PMID 1920008.
- ^ Romanos GE (2012-12-01). "The state of the science of lasers in dentistry". Journal of Dental Hygiene. 86 (1): 9–10. PMID 22309921.
- ^ Romanos GE, Pelekanos S, Strub JR (1995). "Effects of Nd:YAG laser on wound healing processes: clinical and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in rat skin". Lasers in Surgery and Medicine. 16 (4): 368–79. doi:10.1002/lsm.1900160408. PMID 7651058.
- ^ Romanos GE, Pelekanos S, Strub JR (February 1995). "A comparative histological study of wound healing following Nd:YAG laser with different energy parameters and conventional surgical incision in rat skin". Journal of Clinical Laser Medicine & Surgery. 13 (1): 11–6. doi:10.1089/clm.1995.13.11. PMID 10150568.
- ^ Elavarasu S, Naveen D, Thangavelu A (August 2012). "Lasers in periodontics". Journal of Pharmacy & Bioallied Sciences. 4 (Suppl 2): S260–3. doi:10.4103/0975-7406.100245. PMC 3467892. PMID 23066266.
- ^ Mavrogiannis M, Ellis JS, Seymour RA, Thomason JM (September 2006). "The efficacy of three different surgical techniques in the management of drug-induced gingival overgrowth".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33 (9): 677–82. doi:10.1111/j.1600-051X.2006.00968.x. PMID 16856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