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XGR1
OXGR1OXGR1 | |||||||||||||||||||||||||
---|---|---|---|---|---|---|---|---|---|---|---|---|---|---|---|---|---|---|---|---|---|---|---|---|---|
식별자 | |||||||||||||||||||||||||
별칭 | OXGR1, GPR80, GPR99, P2RY15, P2Y15, aKGR, 옥소글루타레이트 수용체 1 | ||||||||||||||||||||||||
외부 ID | OMIM: 606922 MGI: 2685145 HomoloGene: 25878 GeneCard: OXGR1 | ||||||||||||||||||||||||
| |||||||||||||||||||||||||
| |||||||||||||||||||||||||
| |||||||||||||||||||||||||
| |||||||||||||||||||||||||
직교체 | |||||||||||||||||||||||||
종 | 인간 | 마우스 | |||||||||||||||||||||||
엔트레스 | |||||||||||||||||||||||||
앙상블 | |||||||||||||||||||||||||
유니프로트 | |||||||||||||||||||||||||
RefSeq(mRNA) | |||||||||||||||||||||||||
RefSeq(단백질) | |||||||||||||||||||||||||
위치(UCSC) | Chr 13: 96.99 – 96.99Mb | Chr 14: 120.26 – 120.28Mb | |||||||||||||||||||||||
PubMed 검색 | [3] | [4] | |||||||||||||||||||||||
위키다타 | |||||||||||||||||||||||||
|
2-옥소글루타레이트 수용체 1(OXGR1)은 시스테비닐 백혈구 수용체 E(Cys)로도 알려져 있다.LTE)와 GPR99는 인간에서 OXGR1(GPR99)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이다.[5][6][7][8]진은 최근 2-oxglutrate(알파-케토글루타산 참조)뿐만 아니라 3개의 사이스테비닐 백혈구아렌(CysLTs), 특히 백혈구 E4(LTE4)와 훨씬 적은 범위의 LTC4와 LTE4에 대한 수용체로 지명되었다.[5]최근의 연구는 GPR99를 LTE4에 의해 활성화되는 세포 수용체로서 포함시켜, 이 세포들이 다양한 알레르기 반응과 과민성 반응을 매개하는 데 기여하도록 한다.
역사
2001년에 G 단백질과 유사한 수용체 단백질을 위해 코딩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전자가 보고되었다; 이 유전자의 겉보기 단백질 제품은 고아 수용체(즉, 활성 리간드와 기능을 알 수 없는 수용체)로 분류되었고 GPR80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GPR80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된 단백질의 투영 아미노산 염기서열은 퓨린성 수용체 P2Y1과 유사하므로 P2Y1과 마찬가지로 퓨린 화합물의 수용체일 수 있다.[9]그 직후, 두 번째 보고서에서는 이 동일한 유전자를 발견했는데, 이 유전자가 청색 수용체 GPR91과 P2Y1에 가장 가까운 아미노산 염기서열 유사성을 가진 G 단백질 수용체에 대해 코딩되었다고 밝히고, 이 유전자와 그 단백질 이름을 각각 GPR99와 GPR99로 명명했다.[7]후자 보고서는 이들 화합물의 대규모 일련의 퓨리네르그 뉴클레오티드, 기타 뉴클레오티드 및 파생물이 GPR99 베어링 세포를 활성화시키지 못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지만, 2004년 세 번째 보고서에서는 GPR99 베어링 세포를 결합하여 아데노신과 아데노신 단인산염 두 개의 퓨리네르그 수용체로서 GPR99를 지명하였다.GPR99를 P2Y15로 개칭했다.[10]그러나 P2Y 수용체 명명 및 분류를 위한 국제약학연맹(IUPHAR) 소위원회의 회원들이 같은 해 이들 연구를 검토한 결과 GPR80/GPR99는 아데노신, AMP 또는 기타 뉴클레오티드에 대한 P2Y 수용체가 아니라고 결정했다.[11]2004년에 다시 한번, 또 다른 보고서는 GPR99를 가진 세포가 알파-케토글루타레이트에게 반응했다는 것을 발견했다.[6]이 보고서는 IUPHAR에 의해 받아들여졌다.[11][12]이 유전자와 그 단백질은 OXGR1과 OXGR1로 개칭되었으며, 마침내 2013년 GPR99를 가진 세포가 Cys에 결합하여 반응하는 것이 발견되었다.LTs.[5] 후자의 발견은 추가적인 연구와 잠재적인 임상적 중요성을 끌어들이면서도 GPR99나 그 단백질 제품의 이름을 바꾸지는 못했다.
유전자와 제품
GPR99(OXGR1)는 위치 13q32.2에서 인간 염색체 13으로 국부화되어 있으며, 주로 Gq 하위 단위를 포함하는 G 단백질 헤테로트레이머에 연결된 세포 G 단백질 결합 수용체를 코드화하고, 활성 리간드 중 하나에 바인딩되면 GPR99 단백질이 세포 경로를 자극한다(Gq 알파 하위 단위# 참조).기능) 셀 기능으로 이어지는 기능.[13][14]
리간즈 활성화
GPR99는 AKG([6]Alpha-ketoglutarate)와 CysLTs의 수용체로 보인다.CyslTs와 AKG는 GPR99 베어링 셀, LTE4>>>LTC4=LTD4>AKG>AKG와의 결합에 있어 다음과 같은 상대적 효력이 있다. LTE4는 피코몰/리터 정도의 농도에서 이들 셀의 반응을 자극할 수 있다.[5]
억제 리간즈
GPR99는 시스틸비닐 백혈구 수용체 1(CysLTR1)의 잘 알려져 있고 임상적으로 유용한 억제제인 몬텔루카스트에 의해 억제되며, 이 약은 Cys에 결합된다.따라서 LTR1은 LTD4, LTC4, LTE4의 결합과 작용을 차단한다.GPR99에 있는 이들 세포질 백혈구 세포의 액틴을 차단하는 것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며,[5] 다른 CysLTR1 억제제(사이스티닐 백혈구 수용체 1#클리닉 유의성 참조)가 GPR99 차단에서 몬텔루카스트를 모방할 수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표현
GPR99 mRNA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GPR99 인간 신장, 태반 태아 뇌에서 조직의 폐 기관지, 침샘, 산호성 백혈구, 마스트 세포 제대혈로부터 유래된 것과 비강 점막을, 후자는 조직에서 특히 혈관 근육 같은 과민 반응 알레르기 반응에 연루된 표현된다.[5][15][16]생쥐에서 Gpr99 mRNA는 신장, 고환, 부드러운 근육으로 표현된다.[5]
함수
GPR99는 다른 주요 Cys보다 훨씬 낮은 농도에서 LTE4에 의해 활성화된 대로 바인딩된다.LT 수용체, CysLTR1 수용체 1 (CysLTR1) 및 CysLTR2 수용체 2 (CysLTR2) 두 수용체 모두 LT4와 LTC4용 생리학적 수용체로 보이지만 LTF4에는 나타나지 않는다(Cystei닐 백혈구 수용체 1#Function 참조).이는 LTE4의 작용이 적어도 GPR99에 의해 상당 부분 매개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a) 기니피그 기관과 인간 기관지 매끄러운 근육을 LTE4로 사전 처리하되 LTC4나 LTD4는 히스타민에 대한 수축 반응을 강화시킨다. b) LTE4는 혈관 누출을 유도하는 데 있어 LTC4와 LT4만큼 강력하다.e 기니피그와 인간의 피부에 주사했을 때; c) 천식 환자에 의한 LTE4 그러나 LT4의 흡입으로 기관지 점막에 어시노필과 기저포필이 축적되었다; d) Cysltr1 수용체와 Cysltr2 수용체가 부족하도록 설계된 생쥐는 LTC4, LTD4 및 LTE4의 피부 간 주입에 부종 반응을 보였으나 LTE4는 없었다.re prent (64배 인수로)는 야생형 마우스에서보다 이러한 생쥐에서 더 강력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e) Cysltr1, Cysltr2, Gpr99 수용체 3개가 모두 부족하도록 설계된 생쥐는 LTC4, LTD4 또는 LTE4의 주입에 대해 피부부종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5]
Gpr99(즉, Oxgr1-/- 유전자 녹아웃 마우스)가 결핍된 생쥐는 인체 질환의 많은 특성을 가진 자발적 오티즘 매체를 개발(82% 침투성)하고, 이러한 발병의 근본적인 원인인 Oxgr1-/- 생쥐는 인간의 귀 병리학을 연구하고 관련시키는 좋은 모델이 될 것으로 제안된다.[17]
GPR99 also appears to be involved in the adaptive regulation of bicarbonate (HCO(3)(-)) secretion and salt (NaCl) reabsorption in the mouse kidneys undergoing acid-base stress: the kidneys of GPR99 gene knockout mice did not respond to alpha-Ketoglutaric acid by upregulating bicarbonate/NaCl exchange and exhibited a reduced ability to maintain acid-베이스 밸런스.[18]
임상적 유의성
몬텔루카스트는 천식, 운동으로 인한 기관지 폐쇄, 알레르기 비염, 일차 이상질병(즉, 알려진 원인과 관련이 없는 이상질병, 이상질병#Causes 참조), 두드러기 등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이 약물이 이들 질환에서 유익하게 작용하는 것은 시스틸비닐리코트리엔 수용체 1(CysLTR1)의 수용체 길항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능력, 즉 이 수용체를 결합하지만 활성화하지 않아 Cys에 대한 결합을 차단하여 LTD4, LTC4, LTE4의 자극적인 작용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LTR1(이 약물은 시스테비닐 백혈구 수용체2를 차단하지 않는다) (시스테비닐 백혈구 수용체 1#클리닉 유의성 참조).보다 최근에 발견된 이 약물의 GPR99 내 GPR99를 자극하는 LTE4와 LTD4의 능력을 차단하는 능력은 이러한 조건에 대한 몬텔루카스트의 유익한 효과를 CysLTR1뿐만 아니라 GPR99도 차단하는 능력을 반영할 수 있다.
참조
-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스 89: ENSG00000165621 - 앙상블, 2017년 5월
-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스 89: ENSMUSG000044819 - 앙상블, 2017년 5월
-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 a b c d e f g h i Kanaoka Y, Maekawa A, Austen KF (Apr 2013). "Identification of GPR99 protein as a potential third cysteinyl leukotriene receptor with a preference for leukotriene E4 ligand".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8 (16): 10967–72. doi:10.1074/jbc.C113.453704. PMC 3630866. PMID 23504326.
- ^ a b c He W, Miao FJ, Lin DC, Schwandner RT, Wang Z, Gao J, Chen JL, Tian H, Ling L (May 2004). "Citric acid cycle intermediates as ligands for orphan G-protein-coupled receptors". Nature. 429 (6988): 188–93. Bibcode:2004Natur.429..188H. doi:10.1038/nature02488. PMID 15141213.
- ^ a b Wittenberger T, Hellebrand S, Munck A, Kreienkamp HJ, Schaller HC, Hampe W (Jul 2002). "GPR99, a new G protein-coupled receptor with homology to a new subgroup of nucleotide receptors". BMC Genomics. 3: 17. doi:10.1186/1471-2164-3-17. PMC 117779. PMID 12098360.
- ^ "Entrez Gene: - OXGR1 oxoglutarate (alpha-ketoglutarate) receptor 1".
- ^ Lee DK, Nguyen T, Lynch KR, Cheng R, Vanti WB, Arkhitko O, Lewis T, Evans JF, George SR, O'Dowd BF (2001). "Discovery and mapping of ten novel G protein-coupled receptor genes". Gene. 275 (1): 83–91. doi:10.1016/s0378-1119(01)00651-5. PMID 11574155.
- ^ Inbe H, Watanabe S, Miyawaki M, Tanabe E, Encinas JA (2004).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ell-surface receptor, P2Y15, for AMP and adenosine".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9 (19): 19790–9. doi:10.1074/jbc.M400360200. PMID 15001573.
- ^ a b Abbracchio MP, Burnstock G, Boeynaems JM, Barnard EA, Boyer JL, Kennedy C, Miras-Portugal MT, King BF, Gachet C, Jacobson KA, Weisman GA (2005). "The recently deorphanized GPR80 (GPR99) proposed to be the P2Y15 receptor is not a genuine P2Y receptor".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26 (1): 8–9. doi:10.1016/j.tips.2004.10.010. PMC 6905457. PMID 15629198.
- ^ Davenport AP, Alexander SP, Sharman JL, Pawson AJ, Benson HE, Monaghan AE, Liew WC, Mpamhanga CP, Bonner TI, Neubig RR, Pin JP, Spedding M, Harmar AJ (2013).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LXXXVIII. G protein-coupled receptor list: recommendations for new pairings with cognate ligands". Pharmacological Reviews. 65 (3): 967–86. doi:10.1124/pr.112.007179. PMC 3698937. PMID 23686350.
- ^ "Oxoglutarate receptor Oxoglutarate receptor IUPHAR/BPS Guide to PHARMACOLOGY".
- ^ Bäck M, Powell WS, Dahlén SE, Drazen JM, Evans JF, Serhan CN, Shimizu T, Yokomizo T, Rovati GE (2014). "Update on leukotriene, lipoxin and oxoeicosanoid receptors: IUPHAR Review 7".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71 (15): 3551–74. doi:10.1111/bph.12665. PMC 4128057. PMID 24588652.
- ^ Steinke JW, Negri J, Payne SC, Borish L (2014). "Biological effects of leukotriene E4 on eosinophils". Prostaglandins, Leukotrienes, and Essential Fatty Acids. 91 (3): 105–10. doi:10.1016/j.plefa.2014.02.006. PMC 4127125. PMID 24768603.
- ^ Shirasaki H, Kanaizumi E, Himi T (2016).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GPR99 in human nasal mucosa". Auris, Nasus, Larynx. 44 (2): 162–167. doi:10.1016/j.anl.2016.05.010. PMID 27324180.
- ^ Kerschner JE, Hong W, Taylor SR, Kerschner JA, Khampang P, Wrege KC, North PE (2013). "A novel model of spontaneous otitis media with effusion (OME) in the Oxgr1 knock-out mouse".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77 (1): 79–84. doi:10.1016/j.ijporl.2012.09.037. PMC 3535456. PMID 23200873.
- ^ Tokonami N, Morla L, Centeno G, Mordasini D, Ramakrishnan SK, Nikolaeva S, Wagner CA, Bonny O, Houillier P, Doucet A, Firsov D (2013). "α-Ketoglutarate regulates acid-base balance through an intrarenal paracrine mechanism".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23 (7): 3166–71. doi:10.1172/JCI67562. PMC 3696567. PMID 23934124.
추가 읽기
- Lee DK, Nguyen T, Lynch KR, Cheng R, Vanti WB, Arkhitko O, Lewis T, Evans JF, George SR, O'Dowd BF (Sep 2001). "Discovery and mapping of ten novel G protein-coupled receptor genes". Gene. 275 (1): 83–91. doi:10.1016/S0378-1119(01)00651-5. PMID 11574155.
- Takeda S, Kadowaki S, Haga T, Takaesu H, Mitaku S (Jun 2002). "Identification of G protein-coupled receptor genes from the human genome sequence". FEBS Letters. 520 (1–3): 97–101. doi:10.1016/S0014-5793(02)02775-8. PMID 12044878.
- Inbe H, Watanabe S, Miyawaki M, Tanabe E, Encinas JA (May 2004).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ell-surface receptor, P2Y15, for AMP and adenosine".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9 (19): 19790–9. doi:10.1074/jbc.M400360200. PMID 15001573.
이 기사는 공공영역에 있는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의 텍스트를 통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