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수해군

Green-water navy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052형 구축함 칭다오(113) 인근에서 수색구조훈련 중인 하얼빈 Z-9 여객기

그린워터 해군(green-water navy)은 미국의 해안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고 주변 한계 해상에서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된 해양군입니다.[1] 이 용어는 비교적 새로운 용어이며, 블루워터 네이비(광해)와 브라운워터 네이비(내륙과 얕은 연안)라는 오랜 용어를 더 잘 구별하고 뉘앙스를 더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구체적인 법적, 정치적 정의가 없는 비법조적 용어로서 여러 가지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연안 해역에서 공격 작전을 전문으로 하는 함대의 일부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미국 해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오늘날 이러한 선박은 해안 포대나 육상 항공기에 의한 파괴를 피하기 위해 스텔스나 속도에 의존합니다.

미국 해군은 이 용어를 중국 해군이 완전한 청해 해군으로 확장되는 첫 단계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다른 저자들은 전력을 현지에서 투사할 수 있지만 다른 국가의 도움 없이는 사정거리에서 운영을 지속할 수 없는 다른 국가 해군에 적용했습니다. 그러한 해군은 일반적으로 수륙양용 선박과 때로는 소형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구축함과 호위함은 유조선 및 기타 보조함의 물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의들

해양 지리학의 요소들은 느슨하게 정의되어 있고 그 의미들은 역사를 통해 변화해 왔습니다. 미국의 2010년 해군 작전 개념은 블루워터를 "오픈오션", 그린워터를 "연안 해역, 항구 및 항구", 브라운워터를 "항행 가능한 강 및 그 하구"로 정의하고 있습니다.[2] 미국 해군 전쟁 대학의 로버트 루벨(Robert Rubel)은 갈색 물에 대한 자신의 정의에 만을 포함하고 있으며,[3] 과거 미군 해설가들은 갈색 물을 해안에서 100해리(190km)까지 확장했습니다.[4]

냉전 시대에 녹색 물은 해군이 육상 항공기와 마주칠 수 있는 해양 지역을 가리켰습니다.[3] 대함 미사일을 탑재한 장거리 폭격기가 개발되면서 대부분의 바다가 '녹색'으로 바뀌었고, 이 용어는 거의 사라졌습니다.[3] 냉전 이후 미국의 수륙양용 기동부대는 청해전단과 달리 청해전단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5] 이러한 구분은 해안 해역에서 점점 더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헬리콥터와 틸트로터가 수평선 너머에서 공격을 전달하면서 수륙양용 선박을 더 먼 해상으로 내몰았습니다. 이는 줌왈트급 구축함연안 전투함 등과 같은 해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선박의 개발을 촉발했습니다. 모델링에 따르면 현재 NATO 호위함은 녹색 물에 있는 4-8개의 작은 보트 무리에 취약합니다.[6] 루벨은 그린워터를 고부가가치 부대가 사용하기에는 너무 위험한 해양 지역으로 재정의하고, 생존을 위해 스텔스와 다른 특성을 사용할 수 있는 잠수함과 같은 더 작은 선박에 공격력을 분산시켜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3] 그의 계획에 따르면, 갈색 물은 강, 광산, 해협 및 기타 초크 포인트를 포함하여 해양을 이동하는 장치가 전혀 작동할 수 없는 지역이 될 것입니다.[3]

미국 해군은 21세기 초 청해군으로서, 물류에 제약을 받지 않고 적국의 본국 해역에서 공격적인 행동을 하는 측면에서 해상 지리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다른 해군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습니다. 그들의 공급망과 항공망은 일반적으로 본국 영토에서 수백 킬로미터 이내의 전력 투사로 제한됩니다. 많은 국가들이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른 저자들은 원양 선박을 보유하고 있지만 청수 해군에 필요한 병참 지원이 부족한 모든 국가 해군에 "녹수 해군"이라는 용어를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일관성이나 정밀성이 없는 용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이 의미하는 바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린워터 해군은 함대의 개별 함정이 해안이나 외해에서 활동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대신 물류상의 이유로 장기간 배치할 수 없으며 장기간 배치를 유지하기 위해 다른 국가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또한 진정한 녹색 해군을 보유하지 않은 수많은 국가들이 녹색 해군을 보유한 것으로 인정되는 국가들과 동등한 수준의 해군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녹색-물 해군"이라는 용어는 주관적입니다. 예를 들어, 독일 해군캐나다 해군과 거의 같은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진정한 녹수 해군으로 인정받지는 못합니다. 다른 예로는 포르투갈 해군이 보통 소규모 해군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그린워터 해군의 전형적인 먼 지역에서 여러 차례 지속적인 작전을 수행했습니다. 그러나 블루워터 해군과 브라운 또는 그린워터 해군 간의 차이는 보통 상당히 두드러지는데, 예를 들어 수색 지역이 인도양을 덮었음에도 불구하고 미 해군은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비교적 쉽게 이 지역에서 작전을 계속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반해 2005년 당시 청수대였던 러시아 해군은 AS-28 구조차량이 해저 케이블에 엉켜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청수대인 영국 해군에 제때 대응해 구조를 진행했습니다.[7]

국가가 해군력을 키우듯이 일부는 해군력을 잃습니다. 예를 들어,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은 당시의 현대적인 녹색 수군이었지만, 1차 세계 대전 동안 국가들이 해안을 잃으면서, 그들의 해군은 몰수되었고, 그들의 항구는 이탈리아유고슬라비아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추축국들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후 해군력을 잃었고, 일본 제국 해군과 독일 해군의 대부분은 무장 해제되었고, 그들의 병력과 배 번호는 연합군에 의해 제한되고 감시되었습니다. 소련의 붕괴는 또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해군력과 세계에서 가장 큰 잠수함력의 붕괴를 가져왔습니다. 러시아 연방소련 해군의 병참 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구형 모델을 후계국에 넘겨주면서 가장 능력 있는 선박을 확실히 계승했지만, 더 이상 러시아 해안에서 장기간 떨어져 작전을 수행할 수 없었습니다. 게다가 예산 삭감으로 태풍급 잠수함 퇴역 등 잠수함 전력이 대폭 감축됐습니다. 소련 해군이 주로 잠수함 전쟁을 중심으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잠수함 능력의 손실은 새로 구성된 러시아 해군의 능력에도 악영향을 미쳤습니다.

청해군

호주.

HMAS 캔버라

호주 왕립 해군은 녹수 해군으로 잘 자리 잡고 있습니다.[8][9] 해군은 중동에서 태평양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해상 작전을 수행하며, 종종 국제 연합 또는 연합의 일부로 활동합니다.[10] RAN은 구축함, 프리깃함, 재래식 잠수함, 그리고 HMAS Choules와 캔버라급 상륙기동헬기 부두 두 곳의 취역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수륙양용 및 전력투영 능력으로 구성된 현대적인 함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11]

브라질

브라질 항공모함 아틀란티코

브라질 해군은 전문가들에 의해 종종 "녹색 물"군으로 불렸습니다.[12] 해군은 주로 자국의 영유권과 배타적 경제수역(EEZ)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지만, 더 넓은 남대서양에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부터 브라질 해군은 여러 평화 유지인도주의적 임무에 기여해 왔습니다.

캐나다

HMCS 핼리팩스

2001년 간행물에 요약된 기준에 따르면, "리드마크: 2020년 해군 전략", 캐나다 왕립 해군은 더 강력한 해상 동맹국(예: 영국, 프랑스, 미국)의 지원을 받아 전 세계에 전력을 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제3급 "중대 글로벌 전력 투사 해군"에 대한 설명을 충족했습니다.[9] 이런 맥락에서 캐나다 왕립 해군은 호주와 네덜란드 해군과 함께 순위를 매겼습니다.[9]

  • 보충 능력: MV 아스테릭스, 이중 민군 승조원 보충 오일러. 이 선박은 2023~2025년경 신규 AOR 2척(Protector급 보조 선박)이 완성될 때까지 해상 보충을 제공하는 중간 선박입니다.

일본

JS 이즈모

일본 해상자위대는 청해군으로 여겨집니다.[8] 해외 JMSDF 배치에는 연합 태스크포스 150에 참여하고,[13][14] 소말리아 해적 퇴치를 위해 2009년부터 인도양에 추가 태스크포스가 배치됩니다. 전후 일본 최초의 해외 해군 항공 시설은 지부티 암불리 국제공항 옆에 설립되었습니다.[15]

네덜란드

ë 호위함 HNLMS De Ruyter (F804)

네덜란드 왕립 해군은 공식적으로 "중대 글로벌 포스 프로젝션 해군" (Medium Global Force Projection Navy) 또는 더 강력한 해양 동맹국(예: 영국, 프랑스 및 미국)의 도움을 받아 전 세계에 병력을 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청수 해군으로 설명되었습니다.[9] 이런 맥락에서 네덜란드 왕립해군은 호주와 캐나다 해군과 함께 순위를 매기는 반면, USN은 1군, 영국과 프랑스는 2군 블루워터 해군입니다.[9] 냉전 종식 이후 수년간 네덜란드 왕립 해군은 국방에서 해외 개입으로 역할을 바꿔 왔습니다.[16]

  • 수륙양용 능력 – 12,750톤 HNLMS 로테르담과 16,800톤 HNLMS 요한비트.
  • 보충 능력 – 27,800톤 카렐 도어만 (수륙양용 능력도 보유), 그리고 전투 지원함 Den Holder (건조; 예상 서비스 진입 2024).

스페인

후안 카를로스 1세

스페인 해군은 녹수 해군으로, 나토 및 전 세계 유럽 동맹국들과의 공동 작전에 참여하고 있습니다.[17] 이 함대에는 수륙양용 강습상륙함 1척(항모로도 사용), 수륙양용 수송 부두 2척, 이지스 구축함 5척(추가 건조 중인 5척), 호위함 6척, 코르벳 7척(추가 건조 중인 2척), 재래식 잠수함 3척 등 54척의 취역함이 있습니다. (추가 건조 중인 4척)

대한민국.

ROKS 독도

대한민국 해군은 녹수 해군으로 여겨집니다.[8] 정부는 2011년 신형 독도 강습상륙함을 지원하기 위해 제주도에 해군기지 건설을 허가했고, 이 기지는 해군과의 합동 전력도 지원할 수 있게 됩니다. 독도급 2함은 V/STOL 제트 전투기 운용을 위한 스키 jump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잉여 해리어가 VTOL 항공기를 운용하기로 결정할 경우 F-35 라이트닝 II의 중간기종으로 매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20] 2021년 12월 3일, 국회는 F35B를 운용할 수 있는 잠정적인 이름의 CVX급 항공모함에 대한 예산을 통과시켰는데, 이는 이르면 2033년에 작전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한민국청해부대함께 연합 태스크포스 151에 참가합니다.

  • 헬리콥터 운반 능력 – 18,800톤급 독도급 강습상륙함 2척
  • 수륙양용능력 – 7,300톤급 천왕봉급 LST 4척, 4,300톤급 고준봉급 LST 4척
  • 보충능력 – 23,000톤 소양급 보충선 1척, 천지급 보충선 3척

튀르키예

TCG 아나돌루이스탄불 투즐라 세데프 조선소에서 현재 건조 중인 STOVL 항공모함에 탑재할 수 있는 수륙양용돌격함(LHD)으로 2022년 터키군에 입항할 예정입니다.

하이파 대학의 보고서에 따르면 튀르키예해군력은 최근 몇 년 동안 해양력을 크게 현대화하면서 중동발칸 반도에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터키 해군을 이 지역(중동)에서 가장 강력한 해군으로 평가하고, 터키 해군을 "녹색-물 해군"이라고 설명합니다. 보고서의 저자 중 한 명인 이스라엘의 Shlomo Guetta 대령에 따르면, 튀르키예지역적인 힘을 특징짓고 장거리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해군을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게타 장관은 또 터키 해군의 공격력과 개입 능력을 강조했습니다. 대표적인 프로젝트가 경항공모함 역할을 할 수 있는 수륙양용 강습상륙함 TCG 아나돌루 건조입니다. 보고서는 미군 전문가 리처드 팰리의 추정치를 인용해 새 군함이 흑해지중해 동부에서 투르크 튀르키예의 전례 없는 타격 능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2021년 현재 터키 해군은 총 156척의 해군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튀르키예는 2023년 공화국이 건국 100주년에 도달하기 전까지 프리깃함 4척을 포함해 총 24척을 새로 추가할 계획입니다.

이란

아이리스 자마란

최근 이란은 모우즈급 호위함과 같은 새로운 토착 군함을 건조함으로써 자국 영해 밖으로 해군의 존재를 확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란은 또한 러시아, 중국, 인도와 같은 나라들과 합동 해군 훈련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이란 해군은 대부분 페르시아만, 오만만, 인도양, 홍해, 카스피해, 지중해에서 활동하며 프리깃함 9척(2척 건조 중), 초계함 17척, 재래식 잠수함 35척(2척 건조 중)을 보유하고 있습니다.[23]

또한 이란에는 두 번째 해군 지부인 IRGC-N 해군 지부가 있습니다. IRGC의 해군 지부는 대부분 대함 미사일부터 어뢰, 심지어 로켓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무기를 탑재한 육상 순항 미사일과 쾌속정을 운영합니다. 이것은 페르시아만, 오만만, 카스피해의 지역 해역을 보호하는 이 부대의 임무에 적합합니다. 이 부대는 미사일 요람전진기지함을 건조하여 무기고를 확장했지만, 이란 현지 해역보다 훨씬 더 멀리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샤히드 솔레이마니급 2척(2척 건조 중)과 같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Bratton, Patrick C (2012). Sea Power and the Asia-Pacific. London, United Kingdom: Routledge. ISBN 978-1-136-62724-8.
  2. ^ "Naval Operations Concept 2010 – Implementing the Maritime Strategy" (PDF). US Naval Service. p. 16. Retrieved 7 May 2012.
  3. ^ a b c d e Rubel, Robert C. (Autumn 2010), "Talking About Sea Control" (PDF), Naval War College Review, 63 (4): 44–46,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9, 2013
  4. ^ Burkitt, Laurie; Scobell, Andrew; Wortzel, Larry M. (July 2003). "The Lessons of History : The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at 75" (PDF). Strategic Studies Institute, U.S. Army War College. p. 18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5 February 2012. Retrieved 7 May 2012.
  5. ^ Gillespie, T.C.; Lesher, S.M.; Miner, P.D.; Cyr, B.P. (23 March 1992), Composite Warfare and The Amphibians (PDF), Marine Corps University, pp. 9–24,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9, 2013, retrieved 7 May 2012
  6. ^ Abel, Heiko (September 2009). "Frigate Defense Effectiveness in Asymmetrical Green Water Engagements" (PDF). Naval Postgraduate Schoo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8, 2013. Retrieved 7 May 2012.
  7. ^ "Russian submarine surfaces with entire crew alive". USAToday.com. Associated Press. 6 August 2005. Retrieved 17 March 2015.
  8. ^ a b c Till, Geoffrey (15 August 2013). Naval Modernisation in South-East Asia: Nature, Causes and Consequences. London: Routledge. p. 267. ISBN 978-1-135-95394-2.
  9. ^ a b c d e 리드마크: 해군의 2020년 전략, 국방부 해양전략국장
  10. ^ "Operations". Royal Australian Navy. Retrieved 31 August 2014.
  11. ^ "Canberra commissioning marks new era in ADF amphibious warfare". Australian Aviation. 28 November 2014. Retrieved 16 March 2015.
  12. ^ Pryce, Paul (19 January 2015). "The Brazilian Navy: Green Water or Blue?". Offiziere.ch. Retrieved 17 March 2015.
  13. ^ Japan Ministry of Defense. "Activities based on Anti-Terrorism Special Measures Law (December 2001 – October 2007) – Replenishment Operations". Retrieved 2013-05-06.
  14. ^ Asahi Shimbun. "Japan's New Blue Water Navy: A Four-year Indian Ocean mission recasts the Constitution and the US-Japan alliance". Retrieved 2013-05-06.
  15. ^ Japan Ministry of Defense. "MOD/JSDF ANSWERS – Anti-Piracy Effor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08. Retrieved 2012-11-16.
  16. ^ 군함 2006, Conways Maritime Press – World Navies in Review 2006)
  17. ^ "Rayo Joins EU Naval Force Operation Atalanta". eunavfor.eu. 10 December 2014. Retrieved 17 March 2015.
  18. ^ Sang-Hun, Choe (18 August 2011). "South Korean Navy Base Divides Jeju Island Resident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7 March 2015.
  19. ^ Sung Ki, Jung (26 October 2013). "S. Korea Envisions Light Aircraft Carrier". defensenew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October 2013. Retrieved 17 March 2015.
  20. ^ "Dokdo Class Landing Platform Helicopter (LPH)". naval-technology.com. Retrieved 17 March 2015.
  21. ^ "Israeli study: Turkey is strongest maritime force in the region TRT World".
  22. ^ "How Turkey became a strong naval power in recent years".
  23. ^ "Gulf III: Iran's Power in the Sea Lanes". The Iran Primer. 2013-03-12. Retrieved 2022-10-08.
  24. ^ "H I Sutton - Covert Shores". www.hisutton.com. Retrieved 2023-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