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신화
Egyptian mythology시리즈의 일부 |
고대 이집트 종교 |
---|
고대 이집트의 문 |
신화 |
---|
이집트 신화는 이집트 신들의 행동을 그들 주변의 세계를 이해하는 수단으로 묘사하는 고대 이집트의 신화의 집합체이다.이 신화들이 표현하는 믿음은 고대 이집트 종교의 중요한 부분이다.신화는 이집트의 글과 예술, 특히 단편소설과 찬송가, 의식문, 장례문, 사원 장식과 같은 종교적 소재에서 자주 나타난다.이러한 출처는 신화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포함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짧은 단편만을 기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연의 순환에 영감을 받아 이집트인들은 현재의 시간을 반복적인 패턴의 연속이라고 보았고, 반면 가장 이른 시기는 직선적이었다.신화는 이 초기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신화는 현재의 순환에 대한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현재의 사건들은 신화의 사건들을 반복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우주의 기본 질서인 마트를 새롭게 한다.신화적인 과거에서 가장 중요한 에피소드들 중에는 신들이 원시적인 혼돈에서 우주를 형성한다는 창조 신화들, 지구상의 태양신 라의 통치 이야기들, 그리고 파괴적인 신 세트에 대한 오시리스, 이시스, 그리고 호루스의 투쟁에 관한 오시리스 신화들이 있다.신화로 여겨질 수 있는 현재로부터의 사건에는 라의 매일의 세계 여행과 다른 세계의 상대인 두아트가 포함된다.이러한 신화적인 에피소드에서 반복되는 주제는 마트를 지지하는 사람들과 무질서한 세력들 사이의 갈등, 마트를 유지하는 데 있어 파라오의 중요성, 그리고 신들의 지속적인 죽음과 재생을 포함한다.
이 신성한 사건들의 세부 사항들은 텍스트마다 크게 다르며 종종 모순적으로 보인다.이집트 신화는 주로 은유적이며, 신들의 본질과 행동을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번역한다.신화의 각 변형은 신과 세계에 대한 이집트인들의 이해를 풍부하게 하면서 다른 상징적인 관점을 나타낸다.
신화는 이집트 문화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그것은 많은 종교적 의식에 영감을 주거나 영향을 미쳤고 왕위에 대한 이념적 기초를 제공했다.신화의 장면과 상징은 무덤, 사원, 부적에 예술로 나타났다.문학에서, 이집트인들이 다양한 목적을 위해 신화를 적응시켰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신화나 그 요소들이 유머에서 우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야기에서 사용되었다.
오리진스
이집트 신화의 발전은 추적하기 어렵다.이집트학자들은 훨씬 [1]후에 나타난 문서화된 출처를 바탕으로 그것의 초기 단계에 대해 교육적인 추측을 해야 한다.신화에 대한 분명한 영향 중 하나는 이집트인들의 자연 환경이다.매일 해가 뜨고 지면서 대지에 빛을 가져오고 인간의 활동을 통제했다; 매년 나일강이 범람하여 토양의 비옥함을 새롭게 하고 이집트 문명을 지탱하는 매우 생산적인 농사를 가능하게 했다.따라서 이집트인들은 물과 태양을 생명의 상징으로 보고 시간을 자연의 순환으로 생각했다.이 질서정연한 패턴은 지속적인 혼란의 위험에 처해 있었다: 비정상적으로 낮은 홍수는 기근을 초래했고, 높은 홍수는 농작물과 [2]건물을 파괴했다.쾌적했던 나일 계곡은 이집트인들이 [3]질서의 미개한 적으로 간주하는 민족들이 사는 거친 사막으로 둘러싸여 있었다.이러한 이유들로, 이집트인들은 그들의 땅을 혼란에 둘러싸여 위험에 처한 고립된 안정의 장소, 즉 마트로 보았다.질서, 혼돈, 갱신과 같은 이러한 주제는 이집트 종교 [4]사상에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신화의 또 다른 가능한 원천은 의식이다.많은 의식은 신화를 언급하고 때로는 [5]신화에 직접적으로 기초한다.그러나 한 문화의 신화가 의식보다 먼저 발달했는지,[6] 아니면 그 반대로 발전했는지 판단하기는 어렵다.신화와 의식의 관계에 대한 질문은 이집트학자들과 비교 종교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고대 이집트에서 종교적 관습의 가장 오래된 증거는 쓰여진 [5]신화보다 앞선다.이집트 역사의 초기 의식에는 신화의 모티브가 몇 가지 포함되어 있을 뿐이다.이러한 이유로, 일부 학자들은 이집트에서 [6]의식은 신화보다 먼저 나타났다고 주장해왔다.그러나 초기 증거가 매우 희박하기 때문에,[5] 그 문제는 결코 확실히 해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종종 "마법"이라고 불리는 사적인 의식에서, 신화와 의식은 특히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의식의 본문에 등장하는 신화 같은 이야기는 다른 자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독살된 아들 호루스를 구출하는 이시스 여신의 모티브도 이런 글에서만 나온다.이집트학자 데이비드 프랭크푸르터는 이러한 의식은 기본적인 신화적 전통을 특정한 의식에 맞게 적응시켜 [7]신화에 바탕을 둔 정교한 새로운 이야기들을 만들어 낸다고 주장한다.이와는 대조적으로 J. F. Borghouts는 마법의 텍스트에 대해 "특정 종류의 '비정통적인' 신화가 만들어졌다는 증거는 조금도 없다"고 말한다.이 [8]장르를 위해서.
이집트 신화의 대부분은 기원 신화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간의 제도와 자연 현상을 포함한 세계의 다양한 요소들의 시작을 설명한다.왕권은 태초에 신들 사이에서 생겨났고 후에 인간 파라오에게 넘어갔다; 전쟁은 태양신이 [9]하늘로 물러난 후 인간이 서로 싸우기 시작할 때 시작되었다.신화는 또한 덜 근본적인 전통의 시작을 묘사한다.작은 신화에서 호루스는 어머니 이시스에게 화가 나서 그녀의 목을 베어버린다.Isis는 그녀의 잃어버린 머리를 소의 머리로 대체한다.이 사건은 왜 Isis가 때때로 소의 뿔을 머리 [10]장식의 일부로 묘사되었는지 설명해준다.
어떤 신화들은 역사적 사건에서 영감을 얻었을지도 모른다.기원전 3100년 전근대 말기 파라오 치하의 이집트 통일은 왕을 이집트 종교의 초점으로 만들었고, 따라서 왕위 이데올로기는 [11]신화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통일의 여파로, 한때 지역의 수호신이었던 신들이 국가적 중요성을 갖게 되었고, 지역 신들을 통일된 민족 전통으로 연결시키는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였다.제랄딘 핀치는 초기 신화가 이러한 [12]관계로부터 형성되었을지도 모른다고 암시한다.이집트 자료들은 호루스와 세트 신들 사이의 신화적인 분쟁을 이집트 상부와 하부의 지역들 간의 갈등과 연관짓고 있는데, 이것은 프리디나스틱 시대 후반이나 왕조 [13][Note 1]시대 초기에 일어났을 수도 있다.
이러한 초기 시대 이후,[14] 신화에 대한 대부분의 변화는 예외는 있었지만, 새로운 개념을 창조하기 보다는 기존의 개념을 발전시키고 적응시켰다.많은 학자들은 태양신이 하늘로 물러나고 인간끼리 싸우게 된다는 신화는 고왕국 말기의 왕권과 국가 통합의 붕괴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주장해 왔다.[15]신왕국 (기원전 1550년경–1070년경)에서는 가나안 종교에서 입양된 얌과 아나트와 같은 신들을 중심으로 작은 신화가 발달했다.대조적으로 그리스와 로마 시대 (기원전 332년–641년) 동안 그리스-로마 문화는 이집트 [16]신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정의 및 범위
학자들은 어떤 고대 이집트의 믿음이 신화인지 정의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이집트학자 존 베인스가 제시한 신화의 기본 정의는 "성스러운 혹은 문화적으로 중심적인 이야기"이다.이집트에서 문화와 종교의 중심인 이야기는 거의 [17]신들 사이의 사건에 관한 것이다.신들의 행동에 대한 실제 서사는 이집트 문헌, 특히 초기부터 드물고, 그러한 사건들에 대한 언급은 대부분 언급이나 암시일 뿐이다.베인스와 같은 일부 이집트학자들은 "신화"라고 불릴 만큼 완전한 서술이 모든 시대에 존재했지만, 이집트 전통은 그것들을 적는 것을 선호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얀 아스만과 같은 다른 사람들은 이집트에서는 진정한 신화가 드물었고 최초의 [18]글에서 나타난 내레이션의 조각에서 발전하면서 이집트 역사 도중에만 나타났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최근 빈센트 아리 토빈과[19] 수잔네 비켈은 이집트 신화의 복잡하고 유연한 성격 [20]때문에 긴 내레이션이 필요하지 않다고 제안했다.토빈은 내러티브는 그들이 묘사하는 사건들에 대해 단순하고 고정된 관점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내러티브는 신화와도 동떨어진다고 주장한다.만약 신화에 내레이션이 필요하지 않다면, 신의 본질이나 행동에 대한 생각을 전달하는 어떤 진술도 "신화"[19]라고 불릴 수 있다.
내용과 의미
많은 다른 문화권의 신화들처럼 이집트 신화들은 인간의 전통을 정당화하고 무질서의 본질과 우주의 [20]궁극적인 운명과 같은 [21]세계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이집트인들은 [20]신들에 대한 진술을 통해 이러한 심오한 문제들을 설명했다.
이집트의 신들은 지구나 태양과 같은 물리적 물체에서 지식과 창조성과 같은 추상적인 힘까지 자연 현상을 상징한다.이집트인들은 신들의 행동과 상호작용이 이 모든 힘과 [22]요소들의 행동을 지배한다고 믿었다.대부분의 경우, 이집트인들은 이러한 신비로운 과정을 명시적인 신학적인 글로 묘사하지 않았다.대신, 신들의 관계와 상호작용은 [23]암묵적으로 그러한 과정을 보여준다.
많은 주요 신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이집트 신들은 신화적인 [24]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지만, 그들의 본성과 다른 신들과의 관계는 종종 [25]내레이션 없이 목록이나 노골적인 진술로 확립된다.내러티브에 깊이 관여하는 신들에게 신화적인 사건은 우주에서의 그들의 역할에 대한 매우 중요한 표현이다.그러므로, 만약 이야기만이 신화라면, 신화는 이집트 종교 이해의 주요 요소이지만, 다른 많은 [26]문화에서처럼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신들의 진정한 영역은 신비롭고 인간이 접근할 수 없다.신화 이야기들은 이 영역의 사건들을 이해하기 위해 [28]상징성을 사용한다.신화적인 설명의 모든 세부사항이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일부 이미지와 사건들은, 심지어 종교 교재에서도, 더 넓고 의미 있는 [29][30]신화의 시각적 또는 극적인 장식처럼 단순하게 의미 있다.
이집트 신화 자료에는 완전한 이야기가 거의 없다.이러한 출처들은 종종 그들이 관련된 사건에 대한 암시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실제 내러티브를 포함하는 텍스트는 더 큰 이야기의 일부만을 말해준다.따라서 이집트인들은 특정한 사건을 묘사하는 단편들을 [24]끌어낸 이야기의 일반적인 윤곽만을 가지고 있었을지도 모른다.게다가, 신들은 명확한 성격도 아니고, 때때로 일관성이 없는 행동을 하는 동기도 거의 [31]주어지지 않는다.그러므로 이집트 신화는 완전히 발전된 이야기는 아니다.그들의 중요성은 이야기로서의 특성이 아니라 근본적인 의미에 있다.그들은 장황하고 고정된 이야기로 결합하는 대신 매우 유연하고 [28]독단적이지 않은 태도를 유지했다.
이집트 신화는 너무 유연해서 겉으로 보기에 서로 충돌할 수 있었다.세계의 창조와 태양의 움직임에 대한 많은 기술들이 이집트 문헌에서 발생하는데,[32] 어떤 것들은 서로 매우 다르다.신들 사이의 관계는 유동적이어서, 예를 들어, [33]하토르 여신은 태양신 라의 어머니, 아내 또는 딸이라고 불릴 수 있었다.개별의 신들은 단일의 존재로서 혼합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다.그래서 창조신 아툼이 라와 합쳐져 라아툼이 [34]탄생했다.
신화에서 모순되는 한 가지 흔한 이유는 종교 사상이 시간에 따라 그리고 [35]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다양한 신들의 지역 컬트들은 그들 자신의 [36]수호신들을 중심으로 신학을 발전시켰다.다른 컬트들의 영향력이 이동하면서, 몇몇 신화 체계들은 국가적 지배력을 얻었다.구왕국 (기원전 2686년–2181년)에서 이 체제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헬리오폴리스에 집중된 라와 아툼의 종교였다.그들은 세상을 창조했다고 전해지는 신화적인 가족인 Ennead를 형성했다.그것은 그 시대의 가장 중요한 신들을 포함했지만 아툼과 [37]라에게 우월감을 주었다.이집트인들은 또한 오래된 종교 사상과 새로운 종교 사상을 겹쳐썼다.예를 들어 멤피스를 중심으로 한 종교신 Ptah도 세계를 창조했다고 한다.Ptah의 창조신화는 Ptah의 창조적 [38]명령을 수행하는 것은 Ennead라고 말하면서 오래된 신화를 통합한다.그러므로, 신화는 Ptah를 Ennead보다 더 오래되고 위대하게 만든다.많은 학자들은 이 신화를 헬리오폴리스의 [39]신들보다 멤피스 신의 우월성을 주장하려는 정치적 시도로 보아왔다.이런 식으로 개념을 결합함으로써 이집트인들은 엄청나게 복잡한 신화와 [40]신화를 만들어냈다.
20세기 초의 이집트학자들은 이와 같은 정치적 동기의 변화가 이집트 신화에서 모순된 이미지의 주된 이유라고 생각했다.그러나 1940년대 앙리 프랑크푸르는 이집트 신화의 상징성을 깨달은 듯 모순된 생각이 이집트인들이 신의 영역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했던 "다중접근"의 일부라고 주장했다.프랭크포트의 주장은 이집트 [41]신앙에 대한 최근의 분석의 근거가 된다.정치적 변화는 이집트의 믿음에 영향을 미쳤지만, 이러한 변화를 통해 나타난 사상 또한 더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같은 신화의 여러 버전은 같은 현상의 다른 측면을 표현한다; 비슷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다른 신들은 자연의 힘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반영한다.이집트 신화의 다양한 상징들은 하나의 [28]렌즈로 보기엔 너무 복잡한 생각들을 표현한다.
원천
엄숙한 찬송가부터 재미있는 이야기까지 다양한 소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어떤 신화의 단 하나의 정식 버전도 없이 이집트인들은 그들의 글의 [42]다양한 목적에 맞게 신화의 광범위한 전통을 적용했다.대부분의 이집트인들은 문맹이었고, 따라서 구전으로 신화를 전해주는 정교한 구전 전통을 가지고 있었을지도 모른다.수잔네 비켈은 이 전통이 왜 신화와 관련된 많은 문서들이 세부사항을 거의 제공하지 않는지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 신화는 이미 모든 [43]이집트인들에게 알려져 있었다.이러한 구전 전통에 대한 증거는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이집트 신화에 대한 현대 지식은 문서와 그림 자료에서 도출된다.이 자료들 중 극히 일부만이 오늘날까지 살아남았고, 그래서 한 때 기록되었던 신화적 정보의 [25]많은 부분이 사라졌다.이 정보는 모든 시기에 균등하게 풍부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집트인들이 역사의 어떤 시대에 가졌던 믿음은 문서화된 [44]시대의 믿음보다 더 잘 이해되지 않는다.
종교적 출처
많은 신들이 이집트 역사의 초기 왕조 시대 (기원전 3100–2686년)의 예술품에 등장하지만, 신들의 행동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글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자료에서 거의 수집될 수 없다.이집트인들은 이집트 신화의 첫 번째 주요 원천인 피라미드 텍스트가 등장한 고왕국에서 더 광범위하게 글을 사용하기 시작했다.이 문서들은 기원전 24세기부터 피라미드 내부에 새겨진 수백 개의 마법을 모은 것이다.피라미드에 묻힌 왕들이 사후 세계를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최초의 이집트 장례 문서였다.마법의 대부분은 창조신화와 오시리스의 신화를 포함하여 사후세계와 관련된 신화를 암시한다.많은 문서들은 처음 알려진 사본들보다 훨씬 더 오래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그것들은 이집트 종교적 [45]믿음의 초기 단계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제1중간기(기원전 2181년–2055년) 동안 피라미드 본문은 관본본으로 발전했는데, 관본본은 유사한 자료를 포함하고 있어 비왕조인들이 이용할 수 있었다.신왕국의 죽은 자의 책과 후기(기원전 664–323년)의 숨쉬는 책과 같은 후속 장례 문서들은 이러한 초기 컬렉션에서 발전했다.신왕국은 또한 태양신의 야행 여행에 대한 상세하고 응집력 있는 묘사를 담은 또 다른 형태의 장례문서의 발전을 목격했다.이런 종류의 문헌에는 암두아트, 문장, [42]동굴서 등이 있다.
남아 있는 사원은 대부분 신왕국 시대 이후의 것으로 신화의 또 다른 중요한 원천이다.많은 사원들은 의식이나 다른 용도로 파피리를 보관하는 안크당, 즉 사찰 도서관을 가지고 있었다.이 파피리의 일부는 찬송가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것은 신의 행동을 찬양할 때 종종 그러한 행동을 정의하는 신화를 언급한다.다른 사원 파피리는 의식을 묘사하는데, 그 중 많은 것들이 부분적으로 [46]신화에 바탕을 두고 있다.이 파피루스 수집품들의 산재들은 현재까지 남아 있다.수집품들이 신화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기록을 포함했을 가능성은 있지만, 그러한 문서들에 대한 증거는 [25]아직 남아있지 않다.사찰 건물 장식에는 파피리와 비슷한 신화적인 글과 삽화가 등장한다.프톨레마이오스와 로마 시대의 정교하게 장식되고 잘 보존된 신전들(기원전 305년-)AD 380)은 특히 [47]신화의 풍부한 원천이다.
이집트인들은 또한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치유하는 것과 같은 개인적인 목표를 위한 의식을 행했다.이러한 의식들은 종종 종교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마법적인" 것으로 불리지만,[48] 그것들은 신화의식의 기초가 되는 사건들을 불러일으키면서, 사찰 의식과 같은 원리로 작동한다고 믿어졌다.
종교적 출처로부터의 정보는 그들이 묘사하고 묘사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전통적인 제한 시스템에 의해 제한된다.예를 들어, 오시리스 신의 살인은 이집트 [25]글에서 명확하게 묘사된 적이 없다.이집트인들은 단어와 이미지가 현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었고, 그래서 그들은 그러한 부정적인 사건들을 [49]현실로 만드는 위험을 피했다.이집트 미술의 관습은 또한 전체 내러티브를 묘사하는 데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신화 관련 예술작품은 희박한 개별 [25]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타 소스
신화에 대한 언급은 중왕국에서 시작된 비종교적인 이집트 문학에서도 나타난다.이러한 언급의 대부분은 신화적 모티브에 대한 암시일 뿐이지만, 몇 가지 이야기는 전적으로 신화적 내러티브에 바탕을 두고 있다.하이케 스턴버그와 같은 학자들에 따르면 이집트 신화가 가장 발달한 [50]상태에 도달한 후기 및 그리스 로마 시대에 이러한 보다 직접적인 신화 묘사는 특히 흔하다.
비종교적인 이집트 문헌에서 신화에 대한 태도는 매우 다양하다.어떤 이야기들은 마법의 텍스트에서 나오는 이야기들과 비슷한 반면, 다른 이야기들은 더 명확하게 오락으로 의도되고 심지어 유머러스한 [50]에피소드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집트 신화의 마지막 출처는 헤로도토스와 디오도로스 시쿨루스와 같은 그리스와 로마 작가들의 글이다. 그는 이집트 신화의 마지막 세기 동안 이집트 종교를 묘사했다.이 작가들 사이에서 두드러진 것은 플루타르크인데, 그의 작품은 무엇보다도 오시리스의 [51]신화에 대한 가장 긴 고대 기록을 담고 있다.이 작가들의 이집트 종교에 대한 지식은 그들이 많은 종교적 관행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제한되었고, 이집트 믿음에 대한 그들의 진술은 이집트 [25]문화에 대한 그들의 편견에 영향을 받는다.
우주론
마트
종종 maat 또는 ma'at로 표현되는 m3tt라는 이집트어는 이집트 신앙에서 우주의 기본 질서를 가리킨다.세상을 창조하면서 만들어진 마트는 세상을 앞서고 둘러싼 혼돈으로부터 구분합니다.마트는 인간의 올바른 행동과 자연의 힘의 정상적인 기능 모두를 포함하며, 둘 다 삶과 행복을 가능하게 한다.신들의 행동은 자연의 힘을 지배하고 신화는 그러한 행동을 표현하기 때문에 이집트 신화는 세계의 적절한 기능과 삶의 지속을 상징한다.[52]
이집트인들에게 마트를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사람은 파라오이다.신화에서 파라오는 다양한 신의 아들이다.이와 같이, 그는 그들의 지명된 대표자이며, 그들이 자연에서 하는 것과 같이 인간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그들과 [53]그들의 활동을 지탱하는 의식을 지속할 의무가 있습니다.
세계의 모양
이집트 신앙에서 질서 있는 세계보다 앞선 무질서는 신의 의인화된 형체가 없는 물의 무한 확장으로 세계 너머에 존재한다.Geb신이 의인화한 지구는 하늘을 아치형으로 감싸고 있는 평평한 땅이며, 보통 넛 여신이 대표한다.둘은 공기의 의인화 슈에 의해 분리된다.태양의 신 라는 하늘을 가로질러 넛의 몸을 가로질러 다니며 그의 빛으로 세상을 밝게 한다고 한다.라는 밤이 되면 서쪽 지평선을 넘어 눈의 형체가 없는 신비로운 지역인 두아트로 들어간다.새벽에 그는 동쪽 [54]지평선의 두아트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하늘의 본질과 두아트의 위치는 불확실하다.이집트 문헌은 밤 태양이 땅 밑과 견과류의 몸 속을 이동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묘사하고 있다.이집트학자 제임스 P. 앨런은 태양의 움직임에 대한 이러한 설명은 다르지만 공존하고 있는 생각이라고 믿는다.앨런이 보기에, 견과류는 눈의 물의 눈에 보이는 표면을 나타내며, 이 표면에 별이 떠 있습니다.따라서 태양은 원을 그리며 물을 건너고, 매일 밤 수평선을 넘어 두아트의 [55]뒤집힌 땅 아래 아치형 하늘에 닿는다.그러나 레너드 H. 레스코는 이집트인들이 하늘을 단단한 덮개로 보고 태양이 밤 [56]동안 서쪽에서 동쪽으로 하늘 표면 위의 두아트를 통과하는 것으로 묘사했다고 믿는다.레스코의 모델을 수정한 조앤 콘만은 이 단단한 하늘이 깊이 볼록한 지구를 덮고 있는 움직이는 오목한 돔이라고 주장한다.태양과 별들은 이 돔을 따라 움직인다. 그리고 수평선 아래를 지나는 것은 단순히 이집트인들이 볼 수 없었던 지구 상에서의 움직임이다.이 지역들은 두아트가 [57]될 것이다.
이집트 우주론에서 나일 계곡과 델타(하위 이집트)의 비옥한 땅은 세계의 중심에 있다.그 밖에는 불모의 사막이 있는데,[58] 그것은 세상을 초월한 혼란과 연관되어 있다.그 너머 어딘가에 수평선, 아케트가 있다.그곳에서는 동쪽과 서쪽의 두 산이 태양이 [59]두아트로 들어오고 나가는 곳을 표시한다.
이집트 이념에서 외국은 적대적인 사막과 연관되어 있다.마찬가지로 외국인들은 이집트와 동맹을 맺거나 종속된 민족들을 더 긍정적으로 [60]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9개의 활, 즉 파라오 지배와 마트의 안정을 위협하는 사람들과 함께 묶인다.이러한 이유로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사건들은 외국 땅에서 일어나는 일이 거의 없다.어떤 이야기들은 하늘이나 두아트에 관한 것이지만, 이집트 자체는 보통 신들의 행동을 위한 장소이다.종종, 이집트를 배경으로 한 신화들조차도 다른 이야기에서는 인간과 신이 상호작용을 하지만, 살아있는 인간이 사는 것과 분리된 존재의 평면에서 일어나는 것처럼 보인다.어느 경우든 이집트 신들은 고향에 깊이 [58]얽매여 있다.
시간을
이집트인들의 시간에 대한 시각은 그들의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매일 해가 뜨고 지면서 대지에 빛을 가져오고 인간의 활동을 통제했다; 매년 나일강이 범람하여 토양의 비옥함을 새롭게 하고 이집트 문명을 지탱하는 매우 생산적인 농업을 가능하게 했다.이러한 주기적인 사건들은 이집트인들에게 시간을 신들과 [2]우주를 새롭게 하는 마트에 의해 조절되는 일련의 반복적인 패턴으로 보도록 영감을 주었다.이집트인들은 역사 시대마다 세부 사항이 다르다는 것을 인식했지만, 신화적 패턴이 이집트인들의 [61]역사 인식을 지배하고 있다.
신들에 대한 많은 이집트 이야기들은 신들이 지구에 나타나 지배하던 원시 시대에 일어난 것으로 특징지어진다.이 시간 이후 이집트인들은 지구상의 권위가 인간 [62]파라오에게 넘어갔다고 믿었다.이 원시시대는 태양 여행의 시작과 현세상의 반복되는 패턴보다 앞선 것으로 보인다.시간의 다른 끝에는 순환의 끝과 세계의 해체가 있다.존 베인스는 이러한 먼 기간이 현재의 주기보다 선형적인 서술에 더 잘 어울리기 때문에 진정한 신화가 [63]일어나는 유일한 시기로 본다.그러나 시간의 순환적 측면은 신화적 과거에도 어느 정도 존재했다.이집트인들은 그 당시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조차도 항상 사실이라고 보았다.그 신화들은 관련된 사건들이 일어날 때마다 현실화 되었다.이 행사들은 종종 [64]신화를 불러일으키는 의식과 함께 기념되었다.의식은 주기적으로 신화적인 과거로 돌아가 우주의 [65]삶을 새롭게 하는 시간을 허락했다.
주요 신화
신화의 가장 중요한 범주는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이집트 신화의 단편적인 특성 때문에, 이집트 출처에는 신화적 [66]사건의 연대순에 대한 징후가 거의 없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범주는 매우 느슨한 연대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창조.
가장 중요한 신화들 중에는 세계의 창조를 묘사하는 신화들이 있었다.이집트인들은 창조에 대한 많은 설명들을 개발했는데, 그들이 묘사한 사건들은 크게 다르다.특히, 세상을 창조한 것으로 여겨지는 신들은 각각의 설명에 따라 다르다.이러한 차이는 부분적으로는 이집트의 도시들과 성직자들이 창조를 그들의 탓으로 돌림으로써 그들 자신의 수호신들을 높이려는 욕구를 반영한다.그러나 다른 설명들은 모순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대신에 이집트인들은 창조 과정이 많은 측면을 가지고 있고 많은 신의 [67]힘을 수반한다고 보았다.
신화의 공통적인 특징 중 하나는 세계를 둘러싼 혼돈의 물속에서 출현하는 것이다.이 사건은 마트의 설립과 생명의 기원을 나타낸다.한 단편적인 전통은 원시수 자체의 특성을 대표하는 오그도아드의 여덟 신을 중심으로 한다.그들의 행동은 어두운 [68]물 속에서 빛과 건조함의 공간을 형성하는 태양(특히 라에 의해 창조 신화에서 표현됨)을 낳는다.태양은 나일강의 홍수가 줄어들면서 나타나는 흙무더기 광경에 영감을 받은 창조 신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또 다른 모티브인 마른 땅의 첫 번째 언덕에서 떠오른다.마트의 창시자인 태양신의 출현으로 세계는 최초의 [69]통치자를 갖게 되었다.기원전 1천년의 기록들은 새롭게 질서가 잡힌 [14]세계를 위협하는 혼돈의 세력을 제압하는 창조주 신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태양과 원시 언덕과 밀접하게 연결된 신 아툼은 적어도 고왕국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창조신화의 초점이다.세계의 모든 요소를 통합한 아툼은 잠재적인 존재로서 물 속에 존재한다.창조될 때 그는 다른 신들을 생산하기 위해 등장하며, 그 결과 겟, 너트, 그리고 세계의 다른 주요 요소들을 포함한 9개의 신들의 집합인 에네아드가 탄생했다.Ennead는 모든 신들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그 창조물은 Atum의 통일된 잠재력이 [70]이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요소들로 구분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집트인들은 창조 과정에 대해 더 추상적인 관점을 발전시켰다.관의 본문 무렵, 그들은 세계의 형성을 창조주 신의 마음 속에서 최초로 발전된 개념의 실현이라고 묘사했다.신성한 영역과 물리적 세계를 연결하는 마법의 힘, 즉 헤카는 창조자의 본래 개념과 물리적 실현을 연결하는 힘이다.헤카 그 자체는 신으로 의인화될 수 있지만, 이러한 지적 창조 과정은 신과만 관련되지 않습니다.제3중간기(기원전 1070년–664년)의 비문은 그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장인과 가까운 관계가 그를 원래의 창조적 비전에 신체적인 형태를 부여하는 데 적합한 신 Ptah에 기인한다.신왕국의 찬송가들은 다른 신들 뒤에 있는 신비로운 힘인 아문 신을 이 창조적인 [71]비전의 궁극적인 원천으로 묘사한다.
인간의 기원은 이집트 창조 이야기의 주요 특징이 아니다.몇몇 문헌에서 최초의 인간은 라아툼이나 그의 여성적인 면인 라의 눈이 나약함과 고통의 순간에 흘리는 눈물로 인해 생겨나며, 인간의 결점 있는 본성과 슬픈 삶을 암시한다.다른 사람들은 인간이 Khnum 신에 의해 점토로 만들어졌다고 말한다.그러나 전반적으로 창조신화의 초점은 [72]인간의 특별한 공간보다는 우주질서의 확립이다.
태양신의 지배
창조 후 신화 속 과거 시대에 라는 신과 인간의 왕으로 지구에 산다.이 시기는 이집트 전통에서 황금기에 가장 가까운 시기, 이집트인들이 끊임없이 떠올리고 모방하려고 했던 안정기에 가장 가까운 시기이다.그러나 라의 통치에 대한 이야기는 [73]마트의 집행자로서 이집트 이데올로기에서 왕의 역할을 반영하면서 그와 그의 통치를 방해하는 세력 사이의 갈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원의 텍스트와는 다른 버전으로 알려진 에피소드에서, 몇몇 신들은 라의 권위에 도전하고, 그는 소스와 [74][Note 2]대왕 호루스와 같은 다른 신들의 도움과 조언으로 그들을 파괴한다.어느 순간 그는 여신의 형태로 자신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라의 눈'이라는 자신의 확장으로부터조차 반대에 직면하게 된다.눈의 여신은 라에게 화가 나 그에게서 도망쳐 이집트 바깥의 땅에서 거칠고 위험한 길을 헤매게 된다.그녀의 부재로 인해 약해진 라는 다른 신들 중 하나인 슈, 토트 또는 안후르를 다른 계좌로 보내 그녀를 강제로 또는 설득하여 되찾게 한다.라의 눈은 나일강의 홍수의 시작을 알리는 태양빛의 솟아오른 별 소티스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눈의 여신의 이집트로의 귀환은 생명을 주는 홍수와 일치한다.그녀가 돌아오면, 여신은 라 또는 그녀를 되찾은 신의 동반자가 된다.그녀의 평정은 질서를 회복하고 [76]삶을 새롭게 한다.
라가 늙고 약해질수록 인간성도 그에게 등을 돌리게 된다.'천우기'에 나오는 '인류의 멸망'이라는 에피소드에서 라는 인류가 자신에게 반항할 음모를 꾸미고 있음을 깨닫고 그들을 벌하기 위해 '눈'을 보낸다.그녀는 많은 사람들을 죽이지만, 라는 그녀가 모든 인류를 파괴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결심한 것 같다.그는 맥주를 피처럼 빨갛게 물들인 뒤 밭에 뿌린다.눈의 여신은 맥주를 마시고 술에 취해 난동을 멈춘다.그리고 나서 라는 지긋지긋하게 하늘로 물러나서 하늘과 두아트를 통해 매일의 여행을 시작한다.살아남은 인간들은 당황하여, 그들 중 라를 모함한 사람들을 공격한다.이 사건은 전쟁, 죽음, 그리고 다른 [77]사람들의 파괴적인 행동으로부터 마트를 보호하기 위한 인간의 끊임없는 투쟁의 기원이다.
<천우기>에서 인류의 멸망의 결과는 신들의 직접 통치와 신화의 직선적 시대의 종말을 알리는 것으로 보인다.라의 여정의 시작은 현재의 [63]순환 시간의 시작이다.그러나 다른 정보원에서는 이러한 변화 이후에도 신화적인 시간이 계속된다.이집트에서는 태양신을 대신해 수천 [78]년 동안 통치한 신통치자들의 서열을 보여주고 있다.어떤 신이 어떤 순서로 군림했는지에 대한 설명은 다르지만, 라아툼에서 그의 후손인 슈와 게브로의 왕위 계승은 에네아드의 각 세대에서 남성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두 사람 모두 태양신 시대의 반란과 맞먹는 반란을 겪지만 이집트 자료에서 가장 주목받는 반란은 게브의 후계자 오시리스 [79]시대의 반란이다.
오시리스 신화
오시리스의 죽음과 왕위를 둘러싼 에피소드 모음은 이집트 신화 중 가장 정교하고 이집트 [80]문화에 가장 널리 영향을 미쳤다.신화의 첫 부분에서는 다산과 왕위에 관련된 오시리스가 살해되고 그의 지위는 그의 형제 세트에 의해 빼앗긴다.신화의 일부 버전에서는 오시리스가 실제로 토막나고 그의 시체 조각들이 이집트 전역에 흩어져 있다.오시리스의 여동생이자 아내인 이시스는 남편의 시신을 발견하여 완전히 [81]복원한다.그녀는 네프티스와 아누비스와 같은 장례신들의 도움을 받고 있으며, 오시리스의 복원 과정은 방부 처리와 매장이라는 이집트의 전통을 반영한다.그리고 나서 이시스는 오시리스가 그와 함께 후계자를 임신하도록 잠시 부활시킨다: 호루스 [82]신.
신화의 다음 부분은 호루스의 출생과 어린 시절에 관한 것이다.이시스는 세트의 위협으로부터 숨겨져 있는 외딴 곳에서 아들을 낳고 키운다.이 신화에서 에피소드는 세트나 다른 적대적인 존재로부터 아들을 보호하거나 병이나 부상으로부터 아들을 치료하려는 이시스의 노력에 관한 것이다.이 에피소드들에서 Isis는 모성애의 전형이며 치료 [83]마술의 강력한 실천자이다.
이야기의 세 번째 단계에서 호러스는 세트와의 왕위 다툼을 벌인다.그들의 투쟁은 수많은 개별적인 에피소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폭력적인 갈등에서부터 모인 [84]신들에 의한 법적 심판까지 성격적으로 다양하다.한 중요한 에피소드에서, 세트는 나중에 Thoth 또는 Hathor의 치유 노력에 의해 복원된 Horus의 눈 중 하나 또는 양쪽을 찢는다.이러한 이유로 호루스의 눈은 이집트 도상학에서 생명과 행복의 두드러진 상징이다.호루스는 한 쪽 눈은 태양과 같고 다른 쪽 눈은 달과 같은 하늘의 신이기 때문에, 왜 달이 [85]태양보다 덜 밝은지 한 쪽 눈의 파괴와 복구가 설명해준다.
본문들은 신성한 경쟁을 위한 두 가지 다른 결심을 제시한다: 하나는 이집트가 두 가지 주장자들 사이에서 나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호루스가 단독 통치자가 되는 것이다.후자에서, 오시리스의 정당한 후계자인 호루스의 승진은 세트의 부당한 통치 이후 마트의 재건을 상징한다.질서 회복으로 호루스는 아들과 후계자로서의 의무인 아버지의 장례식을 치를 수 있게 된다.이 봉사를 통해 오시리스는 두아트에서 새로운 삶을 얻게 되고, 두아트의 통치자가 된다.죽은 자의 왕으로서의 오시리스와 산 자의 왕으로서의 호루스 사이의 관계는 모든 왕과 그의 죽은 선인들의 관계를 상징한다.한편, 오시리스는 생명의 재생을 상징한다.지구상에서 그는 매년 농작물을 재배하고 있으며, 두아트에서 그는 태양과 죽은 인간의 [86]영혼의 부활에 관여하고 있다.
호루스는 어느 정도 살아있는 파라오를 상징하지만 지배신들의 혈통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그는 먼저 신들에 의해 계승되고 그 다음에는 이집트의 프리디너스트 통치자들, 네켄과 페의 영혼에 대한 희미한 기억을 나타내는 영혼들에 의해 계승된다.그들은 완전히 신화적인 통치자들을 이집트의 역사적 [62]왕들의 혈통인 순서의 마지막 부분과 연결시킨다.
왕실의 자녀 탄생
이집트의 여러 이질적인 문서들은 비슷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왕위 계승자인 신성하게 아버지 된 아이의 탄생.이러한 이야기의 가장 초기의 알려진 출현은 신화가 아니라 이집트 제5왕조의 첫 세 왕의 탄생에 관한 중왕국 웨스트카 파피루스(Westcar Papyrus)에서 발견된 재미있는 설화로 보인다.그 이야기에서 세 왕은 라와 인간 여성의 자손이다.신왕국의 확고한 종교적 맥락에서 같은 주제가 나타나는데, 신왕국에서는 지배자 하텝수트, 아멘호텝 3세, 람세스 2세가 신전에 묘사된 그들의 개념과 탄생을 부조하고, 아문은 아버지이고 역사적 여왕이다.왕이 신들 사이에서 생겨났고 그 시대의 가장 중요한 신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창조되었다고 진술함으로써, 이야기는 탄생 이야기와 함께 등장하는 왕의 대관식에 신화적인 배경을 제공한다.신의 연결은 왕의 통치를 정당화하고 신과 [87]인간 사이의 중재자로서의 그의 역할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
신왕국 이후의 사찰에서도 비슷한 장면이 많이 등장하지만, 이번에는 신들만이 등장하는 사건들이다.이 시기에, 대부분의 사원은 신화 속 신들의 가족, 보통 아버지, 어머니, 아들에게 바쳐졌다.이 이야기에서, 출생은 각 [88]삼합회에 나오는 아들의 출생이다.이 각각의 어린 신들은 국가의 안정을 회복할 왕위 계승자들이다.인간 왕에서 그와 연관된 신들로의 이러한 초점 이동은 이집트 [87]역사 말기에 파라오의 지위의 하락을 반영한다.
태양의 여행
비록 암두아트, 성문책, 동굴책과 같은 장례문헌들이 여행의 밤 절반을 [90]vignette의 순서로 다루고 있지만, 하늘을 가로지르는 라의 움직임과 두아트의 움직임은 이집트 [89]자료에서 완전히 서술되어 있지 않다.이 여정은 라의 본성과 모든 [30]생명을 유지하는데 핵심이다.
하늘을 가로지르는 여행에서, 라는 지구에 빛을 가져와 그곳에 사는 모든 것들을 지탱한다.그는 정오에 그의 힘의 정점에 도달한 후 해가 질 무렵에 늙고 약해진다.저녁에 라는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창조신 아툼의 모습을 취한다.초기 이집트 문헌에 따르면, 그는 하루가 끝날 때 일출에 삼켰던 다른 모든 신들을 뱉어낸다.여기서 그것들은 별들을 나타내며, 이 이야기는 왜 별들이 밤에 보이고 [91]낮에는 없어 보이는지 설명해준다.
해가 질 때 라는 서쪽의 지평선인 아케트를 지나간다.때때로 수평선은 Duat로 통하는 문 또는 문으로 묘사된다.어떤 사람들은 하늘의 여신 넛이 태양신을 삼킨다고 하는데, 그래서 그의 두아트를 통한 여행은 그녀의 [92]몸을 통한 여행에 비유된다.장례 문서에서 두아트와 그 안의 신들은 정교하고 상세하며 매우 다양한 이미지로 묘사된다.이 이미지들은 신들과 죽은 자들 모두가 창조의 원래 힘과 접촉함으로써 새롭게 만들어지는 두아트의 놀랍고 불가사의한 본질을 상징한다.사실, 이집트 문서들은 그것을 분명히 말하는 것을 피하지만, 라의 두아트 입성은 그의 죽음으로 [93]여겨진다.
여행의 묘사에 특정 주제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라 선수는 자신의 코스에서 수많은 장애물을 극복하고 마트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노력의 대표적이다.가장 큰 도전은 무질서의 파괴적 측면을 대변하는 뱀신 아펩의 반대이며 태양신을 파괴하고 창조를 [95]혼란에 빠뜨리겠다고 위협한다.많은 문헌에서, 라는 그와 함께 여행하는 다른 신들의 도움으로 이러한 장애를 극복한다; 라의 [96]권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힘을 상징한다.라는 또한 그의 구절에서 두아트에 빛을 가져다주며, 그곳에 사는 축복받은 죽은 자들에게 활기를 불어넣는다.반대로, 그의 적들, 즉 마트를 훼손한 사람들은 고통받고 어두운 구덩이나 [97]불바다에 던져집니다.
여정의 주요 이벤트는 Ra와 Osiris의 만남이다.신왕국에서 이 사건은 이집트의 삶과 시간 개념의 복잡한 상징으로 발전했다.두아트로 좌천된 오시리스는 무덤 안에서 미라로 변한 시신과 같다.끊임없이 움직이는 라는 죽은 인간의 영혼인 바(ba)와 같다. 낮에는 여행할지 모르지만 매일 밤 그의 몸으로 돌아와야 한다.Ra와 Osiris가 만났을 때, 그들은 하나의 존재로 합쳐진다.그들의 짝짓기는 연속적인 반복 패턴으로서의 시간에 대한 이집트의 시각을 반영하며, 한 멤버(오시리스)는 항상 정적이고 다른 멤버(라)는 일정한 사이클로 살고 있습니다.오시리스의 재생력과 하나가 된 라는 다시 활기를 [65]띠며 여행을 계속한다.이 갱신은 넛이 라를 삼킨 후 라를 낳는 은유로 표현된 태양의 부활로 보이는 새벽의 라의 출현과 창조의 순간 첫 일출의 반복을 가능하게 한다.이때 떠오르는 태양신은 다시 한 번 별을 삼키며 그들의 힘을 [91]흡수한다.이 부활된 상태에서 라는 어린 시절 또는 풍뎅이 신 케프리로 묘사되는데, 두 신 모두 이집트 도상학에서 [98]부활을 상징한다.
우주의 종말
이집트 문헌은 일반적으로 세계의 해체를 피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그것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지 않다.하지만, 많은 문헌들은 세계가, 무수한 갱신 주기 후에, 종말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을 암시한다.이 결말은 관의 본문과 죽음의 서의 한 구절에서 묘사되고 있는데, 아툼은 언젠가 질서 있는 세계를 해체하고 혼돈의 물 속에서 본래의 불활성 상태로 돌아갈 것이라고 말한다.창조자 이외의 모든 것은 사라질 것이다.[99] 다만 그와 함께 살아남을 오시리스는 제외한다.이 [100]종말론적 전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오시리스와 관련된 사망자들의 운명을 포함하여 불분명하다.그러나 질서 있는 세상을 만든 물 속에 창조주 신과 갱신의 신이 함께 있으면 [101]옛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새로운 창조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집트 문화에 미치는 영향
종교에서
이집트인들은 거의 신학적 사상을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았기 때문에, 신화의 암묵적인 사상은 이집트 종교의 많은 기초를 형성했다.이집트 종교의 목적은 마트의 유지였고, 신화가 표현하는 개념은 마트에 필수적이라고 믿었다.이집트 종교의 의식은 신화적인 사건들과 그들이 대표하는 개념들을 다시 한번 현실로 만들어 [64]마트를 새롭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그 의식은 최초의 [103]창조를 가능하게 한 물리적 영역과 신성한 영역 사이의 연결인 헤카의 힘을 통해 이러한 효과를 얻는다고 믿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집트 의식은 종종 신화적인 [64]사건을 상징하는 행동을 포함했다.사원 의식에는 세트나 아포피스와 같은 사악한 신들을 상징하는 모델들의 파괴, [104]호루스를 위해 병든 사람들을 치료하기 위해 이시스를 부르는 사적인 마법 주문, 그리고 입의식이나[105] 죽은 사람들에게 바치는 제물과 같은 장례 의식은 오시리스의 [106]부활의 신화를 불러일으켰다.그러나 의식은 신화의 극적인 재현을 수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두 여성이 이시스와 네프티스의 역할을 맡았다는 오시리스 신화를 암시하는 의식처럼 경계적인 사례도 있지만, 학자들은 이 공연들이 일련의 [107]사건들을 형성했는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이집트 의식의 대부분은 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것과 같은 보다 기본적인 활동에 초점을 맞췄고, 신화적인 주제는 [108]의식의 초점이라기 보다는 이념적 배경이 되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화와 의식은 서로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신화는 이시스나 네프티스와 같은 의식에 영감을 줄 수 있고, 원래 신화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았던 의식은 신이나 죽은 사람에게 주어진 음식과 다른 물건들이 호루스의 [109]눈과 동일시 되는 의식의 예처럼 의식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왕권은 인류와 신 사이의 연결고리로서의 왕의 역할을 통해 이집트 종교의 핵심 요소였다.신화는 왕족과 신성의 연관성에 대한 배경을 설명한다.에네아드에 대한 신화는 왕을 창조주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통치자들의 혈통의 후계자로 설정한다; 신성한 탄생의 신화는 왕이 신의 아들이자 상속자라고 말한다; 그리고 오시리스와 호루스에 대한 신화는 왕위 계승이 마아트의 유지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그러므로, 신화는 이집트 [110]정부의 본질에 대한 근거를 제공했다.
인 아트
신들의 삽화와 신화적인 사건들은 무덤, 사원,[42] 장례문서에 종교적인 글과 함께 광범위하게 나타난다.이집트 미술 작품에서 신화적인 장면들은 좀처럼 서사적으로 배열되지 않지만, 특히 오시리스의 부활을 묘사하는 개별 장면들은 때때로 종교 예술 [111]작품에서 나타난다.
신화에 대한 암시는 이집트 예술과 건축에 매우 널리 퍼져 있었다.사찰 디자인에서, 사원 축의 중심 경로는 하늘을 가로지르는 태양 신의 길과 비슷했고, 그 길 끝에 있는 성역은 그가 일어선 창조의 장소를 상징했다.사원 장식은 이러한 관계를 강조하는 태양 문양으로 채워졌다.마찬가지로, 무덤의 복도는 두아트를 통한 신의 여행과 연결되었고, 오시리스의 [112]무덤이 있는 묘실도 연결되었다.이집트 건축 양식 중 가장 잘 알려진 피라미드는 신화적인 상징성에서 영감을 얻었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피라미드는 [113]사후에 주인의 재탄생을 보장하기 위한 기념물로 적합하기 때문이다.이집트 전통에서 상징은 자주 재해석되어 신화적 [114]상징의 의미가 신화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고 증식할 수 있게 되었다.
더 평범한 예술 작품들은 또한 이집트인들이 신의 힘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착용했던 부적과 같은 신화적인 주제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고안되었다.예를 들어, 호루스의 눈은 잃어버린 [115]눈을 회복한 후 호루스의 건강을 나타냈기 때문에 부적을 보호하는 데 매우 흔한 모양이었다.스칼라 모양의 부적은 태양신이 [116]새벽에 나타난다는 케프리 신을 지칭하며 생명의 재생을 상징했다.
문학에서
신화의 주제와 모티브는 종교문헌 밖에서도 이집트 문학에 자주 등장한다.초기 지침서인 중왕국의 "메리카라 왕을 위한 가르침"은 인류의 멸망과 같은 일종의 신화에 대한 짧은 언급을 포함하고 있다; 가장 먼저 알려진 이집트 단편 소설인 "난파된 선원 이야기"는 신들에 대한 생각과 세계의 궁극적인 해체에 대한 이야기를 통합한다.아스트. 이후의 몇몇 이야기들은 신화적인 사건들로부터 많은 줄거리를 가져간다: "두 형제의 이야기"는 오시리스 신화의 일부를 평범한 사람들에 대한 환상적인 이야기로 각색하고, "거짓에 의한 진실의 맹신"은 호루스와 세트 사이의 갈등을 [117]우화로 바꾼다.
호루스와 세트의 행동에 관한 문서의 조각은 신들에 대한 이야기가 그 시대에 생겨났다는 것을 암시하는 중왕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이런 종류의 문헌은 신왕국 시대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더 많은 문헌이 후기 및 그리스-로마 시대에 쓰여졌다.비록 이 문서들이 위에 언급된 것들보다 더 명확하게 신화에서 파생되었지만, 그들은 여전히 신화를 비종교적인 목적으로 개작한다.신왕국의 호루스와 세스의 대결은 종종 유머러스하고 겉보기에는 불손한 어조로 두 신 사이의 갈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로마 시대의 "태양의 눈의 신화"는 신화에서 따온 프레임 스토리에 우화를 통합한다.소설의 목표는 마법의 목적과 관련이 없는 도덕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신왕국 이야기 "이시스, 부유한 여자의 아들, 그리고 어부의 아내"처럼 마법의 텍스트에 있는 서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이 이야기들이 신화를 다루는 다양한 방법들은 신화가 이집트 [118]문화에서 사용될 수 있는 광범위한 목적을 보여준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메모들
인용문
- ^ Anthes 1961, 페이지 29-30
- ^ a b 데이비드 2002, 페이지 1-2
- ^ 오코너 2003, 페이지 155, 178~179.
- ^ 토빈 1989, 페이지 10-11
- ^ a b c 모렌츠 1973, 페이지 81-84
- ^ a b Baines 1991, 페이지 83
- ^ 프랑크푸르트 1995, 472~474페이지.
- ^ 2002년 핀치, 페이지 17
- ^ 아스만 2001, 페이지 113, 115, 119–122.
- ^ 그리피스 2001, 188-190페이지.
- ^ Anthes 1961, 페이지 33-36
- ^ 2002년 핀치, 페이지 6-7
- ^ a b 멜처 2001, 119–122페이지.
- ^ a b Bickel 2004, 페이지 580
- ^ 아스만 2001, 페이지 116
- ^ Meeks & Favard-Meeks 1996, 페이지 49-51.
- ^ 베인즈 1996, 페이지 361
- ^ Baines 1991, 페이지 81-85, 104.
- ^ a b 토빈 2001, 페이지 464-468.
- ^ a b c Bickel 2004, 578페이지
- ^ 2002년 핀치, 페이지 1-2
- ^ 아스만 2001, 페이지 80-81.
- ^ 아스만 2001, 페이지 107~112.
- ^ a b 토빈 1989, 페이지 38-39
- ^ a b c d e f Baines 1991, 페이지 100–104.
- ^ Baines 1991, 페이지 104–105.
- ^ Anthes 1961, 페이지 18-20.
- ^ a b c 토빈 1989, 페이지 18, 23~26
- ^ 아스만 2001, 페이지 117
- ^ a b 토빈 1989, 페이지 48-49
- ^ 아스만 2001, 페이지 112
- ^ Hornung 1992, 페이지 41-45, 96.
- ^ Vischak 2001, 페이지 82-85.
- ^ Anthes 1961, 페이지 24-25
- ^ 앨런 1988, 페이지 62~63.
- ^ Trauncker 2001, 페이지 101~103.
- ^ 데이비드 2002, 페이지 28, 84-85
- ^ Anthes 1961, 페이지 62~63
- ^ 앨런 1988, 페이지 45-46.
- ^ 토빈 1989, 16-17페이지
- ^ Trauncker 2001, 페이지 10-11.
- ^ a b c Trauncker 2001, 1-5페이지.
- ^ Bickel 2004, 페이지 379
- ^ Baines 1991, 페이지 84, 90.
- ^ 핀치 2002, 페이지 6-11.
- ^ 모렌츠 1973, 페이지 218–219.
- ^ 핀치 2002, 페이지 37-38
- ^ 리트너 1993, 페이지 243–249.
- ^ 2002년 핀치, 페이지 6
- ^ a b Baines 1996, 페이지 365–376.
- ^ 핀치 2002, 페이지 35, 39~42
- ^ 토빈 1989, 페이지 79-82, 197-199
- ^ 2002년 핀치, 페이지 156
- ^ 알렌 1988, 3-7페이지
- ^ 앨런 2003, 페이지 25-29
- ^ 레스코 1991, 페이지 117-120
- ^ Conman 2003, 페이지 33-37.
- ^ a b Meeks & Favard-Meeks 1996, 페이지 82-88, 91.
- ^ 루커 1980, 페이지 64-65, 82.
- ^ 오코너 2003, 페이지 155~156, 169~171.
- ^ Hornung 1992, 페이지 151~154.
- ^ a b 2002년 핀치, 페이지 85
- ^ a b Baines 1996, 364–365페이지.
- ^ a b c 토빈 1989, 27-31페이지
- ^ a b 아스만 2001, 77-80페이지
- ^ 2002년 핀치, 페이지 57
- ^ 데이비드 2002, 페이지 81, 89
- ^ Dunand & Zivie-Coche 2004, 페이지 45-50.
- ^ Meeks & Favard-Meeks 1996, 19-21페이지.
- ^ 알렌 1988, 8-11페이지.
- ^ 알렌 1988, 페이지 36-42, 60.
- ^ 2002년 핀치, 페이지 66~68
- ^ 2002년 핀치, 페이지 69
- ^ Meeks & Favard-Meeks 1996, 페이지 22-25.
- ^ 2002년 핀치, 페이지 143
- ^ 핀치 2002, 페이지 71-74
- ^ 아스만 2001, 페이지 113–116.
- ^ 오르막 2003, 페이지 17-26.
- ^ 핀치 2002, 페이지 76-78.
- ^ 아스만 2001, 페이지 124
- ^ 하트 1990, 페이지 30-33
- ^ 핀치 2002, 페이지 79-80.
- ^ 아스만 2001, 페이지 131-134.
- ^ 하트 1990, 페이지 36-38
- ^ 케이퍼 2001, 페이지 480-482.
- ^ 아스만 2001, 페이지 129, 141–145.
- ^ a b 아스만 2001, 페이지 116–119.
- ^ Feutht 2001, 193페이지
- ^ 베인즈 1996, 페이지 364
- ^ Hornung 1992, 페이지 96
- ^ a b 핀치 2002, 페이지 91~92
- ^ Hornung 1992, 96~97페이지, 113.
- ^ 토빈 1989, 페이지 49, 136~138.
- ^ 핀치 2002, 페이지 183-184.
- ^ 하트 1990, 페이지 52~54
- ^ Quirke 2001, 페이지 45-46.
- ^ Hornung 1992, 95페이지, 99~101.
- ^ 하트 1990, 페이지 57, 61
- ^ Hornung 1982, 페이지 162~165.
- ^ Dunand & Zivie-Coche 2004, 67-68페이지.
- ^ Meeks & Favard-Meeks 1996, 18-19페이지.
- ^ te Velde 2001, 페이지 269–270.
- ^ 리트너 1993, 페이지 246–249.
- ^ 리트너 1993, 150페이지
- ^ Roth 2001, 605-608페이지.
- ^ 아스만 2001, 페이지 49-51.
- ^ O'Rourke 2001, 페이지 407-409.
- ^ Baines 1991, 페이지 101
- ^ 모렌츠 1973, 84페이지 84
- ^ 토빈 1989, 90-95페이지
- ^ Baines 1991, 페이지 103
- ^ 윌킨슨 1993, 페이지 27-29, 69-70
- ^ Quirke 2001, 115페이지
- ^ 윌킨슨 1993, 페이지 11~12
- ^ 앤드루스 2001, 75-82페이지.
- ^ 루커 1980, 페이지 74, 104–105.
- ^ Baines 1996, 367-369페이지, 373-374.
- ^ Baines 1996, 페이지 366, 371–373, 377.
인용된 작품
- Allen, James P. (1988). Genesis in Egypt: The Philosophy of Ancient Egyptian Creation Accounts. Yale Egyptological Seminar. ISBN 0-912532-14-9.
- Allen, James P. (2003). "The Egyptian Concept of the World". In O'Connor, David; Quirke, Stephen (eds.). Mysterious Lands. UCL Press. pp. 23–30. ISBN 1-84472-004-7.
- Andrews, Carol A. R. (2001). "Amulets". In Redford, Donald B. (ed.).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Vol. 1. Oxford University Press. pp. 75–82. ISBN 978-0-19-510234-5.
- Anthes, Rudolf (1961). "Mythology in Ancient Egypt". In Kramer, Samuel Noah (ed.). Mythologies of the Ancient World. Anchor Books. pp. 16–92.
- Assmann, Jan (2001) [German edition 1984]. The Search for God in Ancient Egypt. Translated by David Lorton.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0-8014-3786-5.
- Baines, John (April 1991). "Egyptian Myth and Discourse: Myth, Gods, and the Early Written and Iconographic Record".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50 (2): 81–105. doi:10.1086/373483. JSTOR 545669. S2CID 162233011.
- Baines, John (1996). "Myth and Literature". In Loprieno, Antonio (ed.). Ancient Egyptian Literature: History and Forms. Cornell University Press. pp. 361–377. ISBN 90-04-09925-5.
- Bickel, Susanne (2004). "Myth and Sacred Narratives: Egypt". In Johnston, Sarah Iles (ed.). Religions of the Ancient World: A Guid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p. 578–580. ISBN 0-674-01517-7.
- Conman, Joanne (2003). "It's About Time: Ancient Egyptian Cosmology". Studien zur Altägyptischen Kultur. 31.
- David, Rosalie (2002). Religion and Magic in Ancient Egypt. Penguin. ISBN 0-14-026252-0.
- Dunand, Françoise; Zivie-Coche, Christiane (2004) [French edition 1991]. Gods and Men in Egypt: 3000 BCE to 395 CE. Translated by David Lorton.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0-8014-8853-2.
- Feucht, Erika (2001). "Birth". In Redford, Donald B. (ed.).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Vol. 1. Oxford University Press. pp. 192–193. ISBN 978-0-19-510234-5.
- Frankfurter, David (1995). "Narrating Power: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Magical Historiola in Ritual Spells". In Meyer, Marvin; Mirecki, Paul (eds.). Ancient Magic and Ritual Power. E. J. Brill. pp. 457–476. ISBN 0-8014-2550-6.
- Griffiths, J. Gwyn (2001). "Isis". In Redford, Donald B. (ed.).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Vol. 2. Oxford University Press. pp. 188–191. ISBN 978-0-19-510234-5.
- Hart, George (1990). Egyptian Myths. University of Texas Press. ISBN 0-292-72076-9.
- Hornung, Erik (1982) [German edition 1971]. Conceptions of God in Egypt: The One and the Many. Translated by John Baines.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0-8014-1223-4.
- Hornung, Erik (1992). Idea into Image: Essays on Ancient Egyptian Thought. Translated by Elizabeth Bredeck. Timken. ISBN 0-943221-11-0.
- Kaper, Olaf E. (2001). "Myths: Lunar Cycle". In Redford, Donald B. (ed.).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Vol. 2. Oxford University Press. pp. 480–482. ISBN 978-0-19-510234-5.
- Lesko, Leonard H. (1991). "Ancient Egyptian Cosmogonies and Cosmology". In Shafer, Byron E. (ed.). Religion in Ancient Egypt: Gods, Myths, and Personal Practice. Cornell University Press. pp. 89–122. ISBN 0-8014-2550-6.
- Lurker, Manfred (1980) [German edition 1972]. An Illustrated Dictionary of the Gods and Symbols of Ancient Egypt. Translated by Barbara Cummings. Thames & Hudson. ISBN 0-500-27253-0.
- Meeks, Dimitri; Favard-Meeks, Christine (1996) [French edition 1993]. Daily Life of the Egyptian Gods. Translated by G. M. Goshgarian.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0-8014-8248-8.
- Meltzer, Edmund S. (2001). "Horus". In Redford, Donald B. (ed.).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Vol. 2. Oxford University Press. pp. 119–122. ISBN 978-0-19-510234-5.
- Morenz, Siegfried (1973) [German edition 1960]. Egyptian Religion. Translated by Ann E. Keep. Methuen. ISBN 0-8014-8029-9.
- O'Connor, David (2003). "Egypt's View of 'Others'". In Tait, John (ed.). 'Never Had the Like Occurred': Egypt's View of Its Past. UCL Press. pp. 155–185. ISBN 978-1-84472-007-1.
- O'Rourke, Paul F. (2001). "Drama". In Redford, Donald B. (ed.).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Vol. 1. Oxford University Press. pp. 407–410. ISBN 978-0-19-510234-5.
- Pinch, Geraldine (2002).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7024-5.
- Quirke, Stephen (2001). The Cult of Ra: Sun Worship in Ancient Egypt. Thames and Hudson. ISBN 0-500-05107-0.
- Ritner, Robert Kriech (1993). The Mechanics of Ancient Egyptian Magical Practice.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ISBN 0-918986-75-3.
- Roth, Ann Macy (2001). "Opening of the Mouth". In Redford, Donald B. (ed.).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Vol. 2. Oxford University Press. pp. 605–609. ISBN 978-0-19-510234-5.
- te Velde, Herman (2001). "Seth". In Redford, Donald B. (ed.).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Vol. 3. Oxford University Press. pp. 269–271. ISBN 978-0-19-510234-5.
- Tobin, Vincent Arieh (1989). Theological Principles of Egyptian Religion. P. Lang. ISBN 0-8204-1082-9.
- Tobin, Vincent Arieh (2001). "Myths: An Overview". In Redford, Donald B. (ed.).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Vol. 2. Oxford University Press. pp. 464–469. ISBN 978-0-19-510234-5.
- Traunecker, Claude (2001) [French edition 1992]. The Gods of Egypt. Translated by David Lorton.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0-8014-3834-9.
- Uphill, E. P. (2003). "The Ancient Egyptian View of World History". In Tait, John (ed.). 'Never Had the Like Occurred': Egypt's View of Its Past. UCL Press. pp. 15–29. ISBN 978-1-84472-007-1.
- Vischak, Deborah (2001). "Hathor". In Redford, Donald B. (ed.).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Vol. 2. Oxford University Press. pp. 82–85. ISBN 978-0-19-510234-5.
- Wilkinson, Richard H. (1993). Symbol and Magic in Egyptian Art. Thames & Hudson. ISBN 0-500-23663-1.
추가 정보
- Armour, Robert A (2001) [1986]. Gods and Myths of Ancient Egypt.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ISBN 977-424-669-1.
- Ions, Veronica (1982) [1968]. Egyptian Mythology. Peter Bedrick Books. ISBN 0-911745-07-6.
- James, T. G. H (1971). Myths and Legends of Ancient Egypt. Grosset & Dunlap. ISBN 0-448-00866-1.
- Shaw, Garry J. (2014). The Egyptian Myths: A Guide to the Ancient Gods and Legends. Thames & Hudson. ISBN 978-0-500-25198-0.
- Sternberg, Heike (1985). Mythische Motive and Mythenbildung in den agyptischen Tempeln und Papyri der Griechisch-Romischen Zeit (in German). Harrassowitz. ISBN 3-447-02497-6.
- Tyldesley, Joyce (2010). Myths and Legends of Ancient Egypt. Allen Lanes. ISBN 978-1-84614-3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