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징 방언
Nanjing dialect본 기사는 해당 기사에서 중국어로 번역된 텍스트로 확장될 수 있다.(2012년 1월) 중요한 번역 지침을 보려면 [표시]를 클릭하십시오.
|
난징 방언 | |
---|---|
난키네스 | |
南京話 난젠후아 | |
네이티브: | 중화인민공화국 |
지역 | 장쑤성 난징시 |
민족성 | 난징족(한족) |
언어 코드 | |
ISO 639-3 | – |
글로톨로지 | nanj1234 |
난징 방언, 즉 난징 만다린으로도 알려져 있는 난징 방언은 중국 난징에서 사용되는 만다린 중국어의 방언이다.중국 품종의 장후이 그룹에 속한다.[1]
음운론
많은 특징들이 난징 사투리와 다른 만다린 사투리를 구별한다.북 만다린이나 서남부 만다린도 최근까지 갖고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글로탈 스톱 파이널과 엔딩톤을 유지하고 있다.북 만다린어와 마찬가지로 중한자의 복고체 이니셜을 보존해 왔다.다른 장후이 중국 방언과 마찬가지로 난징 방언도 음절 초기의 /n/을 잃었는데, 모두 /l/가 되었다./l/가 /n/로 바뀐 서남부 만다린어에서는 그 반대 현상이 일어났다.반면 북방 만다린어는 /l/와 /n/ 이니셜이 구별된다.
만다린 방언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비강 기말(/n/ 및 / //)을 특징으로 하는 반면, 이것들은 장와이 만다린 방언에서 하나로 합쳐졌다.[2]
팽창
난징의 초기 방언은 동진 때의 고대 우 방언이었다.우후 항쟁 이후 진제(秦帝)와 많은 북중국인들이 남쪽으로 도망쳐, 현대판 난징(南京)에 신수도 지안캉(地安ang)을 세웠다.난징의 고대 우가 장후이 만다린으로 대체된 것은 이 시기였다.이후 양나라 때 후징의 반란, 지앙캉의 멸망을 초래한 수나라 천왕조 침입, 양쯔 이하에서 새로 세운 수도 난징으로 남부인들을 이주시킨 명타이즈, 그리고 그 기간 동안 난징을 타이핑 왕국의 수도로 세운 등의 사건이 일어났다.e 타이핑 반란은 그 도시 인구의 현저한 감소를 초래했다.이러한 사건들은 모두 오늘날의 난징 사투리를 형성하는 데 역할을 했다.[3]
두각을 나타남
일부 언어학자들은 난징 장후이 만다린이 명나라가 중국어를 기반으로 한 코이네에 끼친 영향을 연구했다.[4]난징 방언에 바탕을 두었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있었고 코이네는 장화이가 아닌 특징을 보였다.17세기에 살고 있는 도미니카 수도인 프란시스코 바로는 난징을 엘리트들의 언어와 유사한 몇몇 장소 중 하나로 지목했다.[4]
19세기에는 난징 방언의 위신이 약해지는 듯하여 서양 외교관과 번역가의 난징 방언이나 베이징 방언을 선호해야 하는지를 두고 논쟁이 일어났다.[5]베이징 사투리가 두각을 나타낸 것이 분명할 때에도 많은 신학자들과 선교사들은 난징 사투리에 대한 선호를 유지했다.라이프치히에 기반을 둔 교수 게오르크 폰 데르 가벨렌츠는 난징 방언이 동음이의어가 적기 때문에 과학 문헌에 선호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6]
근대에 들어서야 수도 꽹호아에서 [말하는] 형태의 북방 사투리인 꽹호아가 일반 수용을 위해 노력하기 시작했으며, 투쟁은 그것에 유리하게 결정되는 것 같다.관리들이 선호하고 유럽 외교관들이 연구한다.장학금은 이 관행을 따라서는 안 된다.북경 방언은 음운론적으로 모든 방언 중에서 가장 가난하며 따라서 동음이의어가 가장 많다.이것이 과학적인 목적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이유다.
원래 일본 책 만다린 나침반( (話指南)은 난징 사투리의 음색으로 수정되어 장난에 본부를 둔 프랑스 선교사 앙리 바우처가 프랑스어 해설과 함께 출판되었다.[7]캘빈 W. 마테르는 1892년에 출판된 자신의 책 "중국어 수업의 과정"에서 북중국어와 남중국어 사이에서 타협을 시도했다.[6]
난징 방언 연구
난징 방언에 쓰여진 중요한 작품으로는 프란츠 쾨네르트의 트레다바르 데스 난징 다이얼로그 오데르 데르 더 코레케 아우스프라체 샘트 보카불라, K의 다이 난징 콴화 등이 있다.헤멜링.[8][9][10]
새뮤얼 웰스 윌리엄스의 궁중 방언에 나오는 영어와 중국어 어휘는 베이징 방언이 아닌 난징 방언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윌리엄스는 또 같은 책에서 난징(南京)과 베이징(北京) 만다린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앞모음 전 벨라의 경구화 등 북경 사투리와 북경 사투리가 어떻게 다른지 주목했다.윌리엄스는 또한 발음 간 전환이 어렵지 않도록 변화가 일관된다고 지적했다.[11]
로마자 표기법
19세기와 20세기 초, 만다린어의 로마자 표기는 북경과 난징 발음으로 구성되었다.중국 기록기와 선교지는 난징 방언과 베이징 방언 모두에 로마자 표기를 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제안했다.이 저널은 예를 들어 and과 西은 베이징(피닌:xī)에서 동일하게 발음되지만 난징(후자 si)에서는 다르게 발음되기 때문에 표준체계가 두 철자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 제도는 베이징에서도 官(피니인:관)과 between(피니인:관)의 차이와 같이 난징에서 누락된 대조를 유지하고 있다.[12]
참조
인용구
- ^ 채플(2002년), 페이지 244.
- ^ 노먼(1988), 페이지 193.
- ^ 쿠르파스카(2010), 페이지 161.
- ^ a b 호(2003년), 페이지 129.
- ^ 카스케(2008), 페이지 67–68.
- ^ a b 카스케(2008), 페이지 70~71.
- ^ 카스케(2008), 페이지 71–72.
- ^ 딩, 유앤리(2000), 74페이지.
- ^ 코블린(2000b), 페이지 54.
- ^ 코블린(2000a), 페이지 271.
- ^ 윌리엄스 (1844년), 페이지 xxvi–xxvii.
- ^ 중국 기록기와 선교지(1905), 페이지 144–145.
참고 문헌 목록
- Chappell, Hilary (2002), "The universal syntax of semantic primes in Mandarin Chinese", in Goddard, Cliff; Wierzbicka, Anna (eds.), Meaning and Universal Grammar: Theory and Empirical Findings, vol. 1,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pp. 243–322, ISBN 90-272-3063-3.
- Coblin, W. South (2000a), "A diachronic study of Míng Guānhuá phonology", Monumenta Serica, 48: 267–335, doi:10.1080/02549948.2000.11731346, JSTOR 40727264, S2CID 192485681.
- ——— (2000b), "Late Apicalization in Nankingese", Journal of Chinese Linguistics, 28 (1): 52–66, JSTOR 23754004.
- Ding, Bangxin; Yu, Aiqin; Li, Fanggui (2000), Yu yan bian hua yu Han yu fang yan: Li Fanggui xian sheng ji nian lun wen ji, Zhong yang yan jiu yuan yu yan xue yan jiu suo chou bei chu.
- Hé, Dà'ān (2002), 第三屆國際漢學會議論文集: 語言組. 南北是非 : 漢語方言的差異與變化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nology: North-South non-language groups: Differences and changes in Chinese Dialects), vol. 7 of 第三屆國際漢學會議論文集: 語言組., 中央硏究院語言學硏究所, ISBN 957-671-936-4.
- Ho, Dah-an (2003), "The characteristics of Mandarin dialects", in Thurgood, Graham; LaPolla, Randy J. (eds.), The Sino-Tibetan languages, Routledge, pp. 126–130, ISBN 978-0-7007-1129-1.
- Kaske, Elisabeth (2008), The politics of language in Chinese education, 1895-1919, vol. 82 of Sinica Leidensia, BRILL, ISBN 978-90-04-16367-6.
- Kurpaska, Maria (2010), Chinese Language(s): A Look Through the Prism of "The Great Dictionary of Modern Chinese Dialects", Walter de Gruyter, ISBN 978-3-11-021914-2.
- Norman, Jerry (1988), Chine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9653-3.
- "Romanized Mandarin", The Chinese Recorder and Missionary Journal, 36 (3): 144–145, 1905.
- Williams, Samuel Wells (1844), English & Chinese vocabulary in the Court Dialect, Office of the Chinese Repository.
추가 읽기
- Hemeling, Karl Ernst Georg (1907). Die Nanking Kuanhua. Göttingen: Druck der Dieterich'schen Univ.-Buchdruckerei (W. Fr. Kaestner).
- Meigs, F. E. (1904). The Standard System of Mandarin Romanization. Shanghai: Educational Association of China. (변수지수)
- Williams, Samuel Wells (1844). English and Chinese vocabulary in the court dialect. Macao: Office of the Chinese Reposi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