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아티아의 역사학
Croatian historiography크로아티아 역사학은 크로아티아 역사학자들이 개발하고 적용한 역사학의 방법론을 말합니다.
20세기 초까지의 기원과 발전
15, 16세기 남슬라브 인문주의 지식인들, 특히 아드리아 해안 근처의 지식인들은 그들의 글을 통해 크로아티아의 과거를 확립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지만, 그들 중 학술적인 역사적 저술에 참여한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1532년 빈코 프리보예비치(Vinko Pribojevich)는 Da origine successibusque Slavorum(슬라브족의 기원과 사건에 대하여)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부정확하고 가끔 조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부터 현대까지의 달마티아 역사에 대한 최초의 출처 기반 조사였습니다. 비판적인 학문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 최초의 근대 크로아티아 역사 작품은 요하네스 루시우스(코로디언: 이반 루치치(Ivan Luchi)는 1666년에 데레뇨 달마티아에 크로아티아(De regno Dalmatiae et Croatiae)라는 제목을 붙였습니다.[1] 루치치는 자료, 문서 및 연대기, 비문 및 증언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사용한 최초의 크로아티아 역사학자이며 때때로 "크로아티아 역사학의 아버지"라고 불립니다.[2][3]
16세기 크로아티아 정치에서 과학으로서의 역사가 등장했습니다. 19세기 전반에는 국가 부흥의 기반으로 사용되었습니다.[4] 이 기간 동안 낭만주의와 애국심에서 이탈한 크로아티아 역사가는 거의 없었습니다. 정치에 영향을 받은 이 오래된 역사학은 그 이후로 새로운 역사학에 의해 거부되거나 대폭 수정된 가설을 형성했습니다.[4]
19세기에 정치인들은 그들의 견해를 발전시키기 위해 역사를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반합스부르크 정치인이자 작가인 안테 스타체비치는 일반적으로 니콜라 4세 즈린스키와 요시프 옐라치치와 같은 크로아티아의 국가 영웅으로 여겨지는 남자들을 오스트리아 통치에 복종하는 상징으로 묘사했고, 페타르 즈린스키와 프란 크르를 프랑코판에게 선전했습니다. 왕국을 전복하려는 음모로 비엔나에 의해 처형된 사람들입니다. 반대로 로마 가톨릭 사제 요시프 쥐라이 스트로스마이어는 19세기 후반에 선교사 형제인 키릴과 메토디우스를 근거로 정교회-가톨릭과 유고슬라비아의 통일에 대한 생각을 발전시켰습니다.[5]
근대 크로아티아 역사학은 유럽의 민족주의 부상과 맞물려 19세기 후반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6] 현대 크로아티아 역사학 발전의 주요 인물은 중세 자료집을 출판한 스트로스메이어의 동료인 프란조 라치키(Franjo Rachki)였습니다.[7] 그의 주요 자료집 Documenta historiae Chroaticae periodum antiquam ilstrantia는 남슬라브인의 공동 역사를 추적하는 더 큰 이야기의 일부로 초기 크로아티아 역사의 연대기에 대한 구조를 개발했습니다. 라치키는 남슬라브 민족에게 사상적으로 일관된 역사적 서술을 제공함으로써 중세 초기 크로아티아인들의 미래 역사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8]
타디자 스미치클라스(Tadija Smicchiklas)는 크로아티아 역사에 대한 첫 번째 작품을 2권(1879-1882)으로 출판했는데, 이 작품은 그의 다른 작품들과 함께 크로아티아 학술 역사학의 기초를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크로아티아 국가와 독립의 연속성에 대한 생각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9] 이후 페르도 시시치는 1906년부터 1913년까지 3권으로 구성된 흐르바츠카포비제스트(크로아티아의 역사)를 출판했습니다.[7] 시치치는 1925년 크로아티아 통치자 시대의 크로아티아 역사에 라치키의 사상을 접목하여 이후의 역사학의 토대를 마련하고 "대대로의 재인식된 학문적 지식"이 되었습니다.[8]
1918년 제1차 유고슬라비아가 수립되는 동안 일부 크로아티아 중심의 역사학자들은 세르비아와의 통일이 크로아티아 독립국가의 천년 발전과 모순된다며 반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유고슬라비아 역사학자들은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자연스러운 길로 통일을 주장하며, 역사적인 연관 사례를 지적했습니다.[5]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시절 (1945-1990)
공산주의 주도의 유고슬라비아에서 전후 초기 역사학은 사회주의 이념과 마르크스주의적 해석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그러나 새 정부의 영향력 범위는 19세기 중반 이후로 확대되었습니다. 역사학자들은 노동운동, 공산주의, 제2차 세계대전의 역사를 다룰 때 이러한 제약을 준수해야 했습니다.[6][10] 그러나 중세, 초기 근세 및 19세기 역사의 일부에 대한 연구와 방법론은 대부분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10][11]
반파시즘 투쟁과 "형제애와 단결"이라는 개념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기초의 주요 구성 요소였습니다. 이에 따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대량살해와 협력에 대한 죄책감을 부과받은 유고슬라비아의 특정 집단은 없었으며, 각 유고슬라비아 공화국은 동등한 책임을 공유했습니다.[12] 이러한 이야기는 유고슬라비아 역사학이 전쟁에서 각 민족의 역할에 대한 세르비아 역사가와 크로아티아 역사가 간의 논쟁으로 전환되면서 1960년대에 전환되었습니다.[13] 이 시기를 기점으로 크로아티아 역사학은 두 가지 새로운 경향과 상충되는 경향으로 특징지어졌습니다. 한편으로는 역사학에 대한 서구적 접근을 지향하는 중세주의자들을 포함한 진지하고 저명한 역사학자들과 다른 한편으로는 세르비아의 역사학자들과 다투었던 동시대의 민족주의 역사학자들.[14]
성장하는 민족주의 영역은 역사가이자 미래의 크로아티아 대통령인 프란조 투지만에 의해 대표되었고 1991년 크로아티아의 독립 이후 최고가 되었습니다.[14] 투지만은 세르비아 역사학자들이 70만 명이라고 주장했던 야세노박 수용소의 부풀려진 사상자들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지만, 그는 결국 너무 낮은 수치를 제시했습니다.[13] 그는 우스타셰족을 배제한 채 세르비아 체트니크족의 추축국 협력을 강조했고, 크로아티아 파르티잔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세르비아 파르티잔의 역할을 축소시켰으며, 자신들이 파르티잔과 싸울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하는 도모브라니족을 옹호했습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역사 교과서는 여전히 통일 유고슬라비아의 관점을 반영했지만, 1970년대 연방화 과정에서 그 내용이 더 다양해졌습니다.[16]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국제 학자들과의 접촉이 개방되어 역사 탐구에 다양한 도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70년대에 역사학자 미르자나 그로스(Mirjana Gross)는 아날레스 학파의 방법론을 전파하고 "비도그마르크스주의와 브라우델식의 시간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결합한 접근법을 대중화했습니다.[10] 또한 사회사, 정신사, 미시사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이전에는 정치사에만 집중했던 중세와 근대 초기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그러했습니다.[17] 1980년대에는 한스-울리히 벨러, 로타르 갈 및 위르겐 코카와 같은 독일 사회사학자들의 빌레펠트 학파 접근법에 영향을 받아 사회사 연구가 문화사에 의해 확장되고 보완되었습니다. 여성사는 서양 페미니스트 문학에 정통한 리디아 스크레비키의 작품에 주로 표현되었지만, 특히 나탈리 제몬 데이비스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포스트 공산주의 크로아티아 역사학 (1990년대)
1990년대 투지만과 그의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의 통치는 크로아티아의 전문 역사가들이 대거 참여하면서 역사 수정주의 시대를 열었습니다.[19] 언론은 투지만과 HDZ의 통제하에 들어갔고, 소수의 독립 신문과 주간지는 억압받고 소외되었습니다.[20] 자그레브 대학교에서는 크로아티아어 학과가 신설되었고, 그 안에서 민족주의적인 역사 개정으로부터 거리를 두려는 철학과 정치학과에 대항하기 위한 경쟁적인 역사학과가 탄생했습니다.[21] 역사학자들은 국가적 열정과 행복감의 사회적 풍토 속에서 새로운 국가 의식과 국가 지위의 촉진자가 될 것으로 기대되었습니다. 역사학은 크로아티아 국가와 국가가 어떻게 과거에 확고하고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임무를 맡았습니다.[22]
연구는 학문적 분석의 주요 단위로서 국가에 초점을 두었고, 그 결과 크로아티아 중심의 관점에서 연구가 작성되었고, 지역, 유럽 또는 지구 역사에 대한 연구는 없었습니다.[23] 1990년대에 수행된 연구는 크로아티아의 민족 형성, 시간에 따른 크로아티아 영토 및 국경의 형성, 가톨릭 교회의 역할 또는 크로아티아 역사의 핵심 출처 출판과 같은 국가 및 국가 정체성과 관련된 크로아티아 역사의 "대담"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크로아티아 국가의 천년 연속"이나 오스만 제국 정복 당시 크로아티아가 "안테무랄 크리스티아니타티스"였던 것과 같은 오래된 신화와 고정관념이 일부 역사가들의 작품에 다시 나타났습니다.[24] 다른 나라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은 학교 책에서 가장 명백하고 해로웠습니다.[25]
공식적인 정치적 담론은 강력하게 중앙집권적이었습니다. 슬라보니아는 "동크로아티아", 달마티아는 "남크로아티아"로 불리며, 이스트리아의 지역적 특수성에 대한 오해와 폄하를 받았습니다. 크로아티아주의는 크로아티아와 가톨릭을 동일시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크로아티아인으로 동화시키려는 시도와 종종 결합되었습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크로아티아를 부정적으로만 이해하는 개념과 연결시키지 않으려는 발칸 공포증이 만연했습니다. 발칸 반도에서의 탈출은 크로아티아의 서유럽 문명으로의 통합을 강조하는 것과 연결되었고, 19세기와 관련되어 중앙 유럽 차원을 강조했습니다.[26]
Annales 학파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인구통계학적 방법론의 발전뿐만 아니라 역사 인류학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미르자나 그로스는 19세기에 사회 발전에 관한 중요한 저작물을 출판했고 1996년에는 현대 역사학에 대한 영향력 있는 책인 수프레메나 역사학: 코리제니, 포스티누차, 트라간자를 출판했습니다.[27]
21세기
2000년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이 주도하는 새로운 연정이 구성되면서 크로아티아 역사학에 대한 전망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직업이 다양해지고 다중심적이 되어 더 많은 현장 연구가 구체화 될 수 있었습니다. 역사학자들이 역사 인류학, 인구 통계학, 문학 이론 및 이미지학에 이르기까지 학제 간 접근 방식을 점점 더 많이 채택하고 있는 가운데 환경 연구가 등장하고 특히 기억 연구의 인기가 높아졌습니다.[27]
근대 초기와 중세에 대한 연구는 근현대사에 대한 연구보다 더 많은 주제와 방법론적 혁신을 낳았습니다.[28] 2001년 정부의 결정으로 크로아티아에서 국토전쟁으로 알려진 크로아티아 독립전쟁에 대한 연구가 HIP 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2004년 크로아티아 역사 연구소(HIP)는 크로아티아 국토 전쟁 기념 문서 센터를 설립했습니다. '주제의 민감성과 정치성'으로 인해 다른 역사학자 2명이 고사한 후, 사업의 주임 조사관을 맡으면서 객관성과 역사학자와 정치성의 관계에 대한 우려가 대두되었습니다. 그러나 통일된 서술을 주장하는 역사학자들과 전쟁에 대한 비판적이고 대안적인 관점을 주장하는 역사학자들 사이의 정당한 논쟁은 학교 교육과정과 역사 교과서에서만 발생했습니다.[29]
테마 및 포지션
19세기
19세기에 대한 역사적 제작의 대부분은 1848년 이후의 시기를 현대 크로아티아 시민 사회의 형성 시기로 보아 논의하고 있습니다. 공산주의 시대에 역사학은 1848년 혁명을 봉건주의를 거부하는 진보적인 운동으로 강조했습니다. 크로아티아 독립 후에는 크로아티아의 국가적 요소도 강조되었습니다. 19세기와 관련하여 크로아티아의 국가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안테 스타체비치는 독립 크로아티아를 일관되게 지지했기 때문에 국가의 설립자로 여겨집니다. 슈테판 라디치는 스타체비치 외에도 쥐라즈 하울릭, 요시프 슈타들러, 알로지 스테피낙과 같은 보수적인 교회 고위 인사들과 함께 가장 공이 많은 크로아티아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집니다.[30] 라디치는 그의 정치적 활동과 이념을 보여주지만 그의 학교 교육이나 교육학적 관점을 다루는 수많은 작품이 헌정된 크로아티아의 핵심 지지자로 여겨집니다. 비록 진지한 작업들이 그가 처음에는 합스부르크를, 그 다음에는 유고슬라비아 국가 체제를 고수하는 것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크로아티아의 요소는 전경입니다.[31] 크로아티아 역사학에서 크로아티아인이 아닌 사람들의 표현은 종종 단순화되고 심지어 부정적입니다. 특히 후기 이중주의 시대에 크로아티아의 억압자로서 헝가리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연합주의(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무조건적인 연합에 대한 정치적 선택)와 특히 자유주의적 결정에 대한 연구는 무시되어 왔으며, 카롤리 쿠엔-헤데르바리(Karoly Khuen-Hédervari)는 크로아티아의 모든 악의 근원이라는 다소 단순화된 평가를 받았습니다.[32]
제1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왕국(1918-1941) 동안의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한 역사학은 전후 국가의 창설과 그 정당성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주제를 "국가의 감옥"이라고 불렀고, 특히 유고슬라비아 위원회에 주목하여 친유고슬라프와 반합스부르크 크로아티아를 강조했습니다. 사회주의 시대(1945-1990) 동안 반제국주의가 지배적이었고 크로아티아인들의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 참여는 간과되었습니다. 그러나 1991년 이후에 출판된 작품들은 지역 및 지역 미시 역사가 중심이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 및 크로아티아 부대의 저명한 친합스부르크 성향의 개인, 군 지휘관에 상당한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여전히 이 주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합니다.[33] 크로아티아 교과서에서 세르비아는 전쟁 발발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34]
제2차 세계 대전
옛 크로아티아계 파르티잔인들과 우스타셰인들을 화해시키려는 시도로, 투지만은 우스타셰의 유산을 크로아티아인들의 국가 지위에 대한 열망을 보여주는 것으로 재평가하고 크로아티아 독립국(NDH)을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정치적 열망의 표현"이라고 선언했습니다.[35] 따라서 파르티잔과 우스타셰는 그들 나름대로 "크로아티아의 대의"를 위해 역할을 했습니다.[14] 전자의 선언은 1990년대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역사학에서 널리 퍼지게 될 NDH의 후속적인 긍정적인 재구성을 위한 주요 촉매제였습니다.[24] 자세노박은 집단살해가 일어나지 않는 '노동캠프'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이 현상은 NDH의 손실 수에 대한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파악하고자 시도한 연구와 동시에 발생했습니다.[27]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크로아티아 이민자들의 관점은 반파시즘의 지배적인 서사와 달랐습니다. 그들은 몇 가지 신화를 채택했는데, 그 중심 주제는 "위대한 세르비아 이데올로기"가 파르티잔이나 체트니크를 통해 크로아티아 국가와 NDH에 맞서 싸웠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NDH 당국이 사용한 전술은 정당한 정당방위 행위로 제시되었습니다.[36] 우스타셰의 만행은 최소화되었고, 반대로 블리부르크 송환은 크로아티아인들의 고통과 동일시되었으며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군대에 의해 수십만 명의 민간인이 살해되었다는 주장으로 신화화되었습니다.[37] 공산주의 통치 기간 동안, 블리부르크는 금기의 주제였지만,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이후, 일반적으로 제 2차 세계 대전 동안의 인간 손실과 함께 블리부르크에 대한 연구가 두드러졌습니다.[24] 1990-1991년에 시작된 유고슬라비아의 정치적 위기는 이러한 해외 크로아티아 작가들의 견해가 크로아티아로 이식되도록 했고 현재의 경험은 NDH에 대한 수정주의적 해석과 일치했습니다.[19] Jasenovac은 크로아티아 학교 교과서에서 더 이상 언급되지 않았으며, Bleiburg와 공산주의자들의 죽음 행진에 대한 이야기로 대체되었습니다.[38] 블리부르크와 체트니크가 저지른 범죄는 섬뜩한 그림으로 광범위하게 묘사되고 삽화가 그려졌지만 NDH 정권의 만행은 거의 언급되지 않았습니다.[39]
2000년대 초반부터 부분적으로 1990년대의 역사 수정주의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하여, 세르비아인들의 대량 학살에 대해서는 훨씬 덜하지만 홀로코스트와 포라모스에 대한 연구가 증가했습니다. NDH의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은 주로 외국인 역사가들에 의해 수행된 비교 파시즘 연구의 결과로 나타났습니다. 크로아티아 역사연구소(HIP)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크로아티아의 인명피해 수를 조사하는 여러 프로젝트를 구성했으며, 전쟁 이후 유고슬라비아 공산정권이 NDH 군인과 독일계를 상대로 저지른 잔혹행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28]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과 크로아티아-세르브 관계
크로아티아 역사가들이 세르비아 역사에 집중하게 된 것은 1991년과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이후입니다. 1991년 이전까지 민족주의 분야에서는 공산주의와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주를 이뤘습니다.[40] 크로아티아-세르비아 관계는 최근 발전의 틀 안에서 재맥락화되었고 세르비아 역사는 확장과 억압의 프리즘을 통해 표현되었습니다.[41] 크로아티아인을 희생자로, 세르비아 민족주의로 묘사하고 대세르비아의 개념을 대량학살과 동일시하여 크로아티아 민족주의를 동일하게 연결한 세르비아 역사가들의 분석을 반영했습니다.[42] 크로아티아의 새로운 역사서는 세르비아를 전쟁 같은 나라로 묘사했는데, 세르비아의 국가 원수들은 일찍이 1840년대에 이웃 나라들을 상대로 대량학살을 계획하고 있었습니다.[43] 세르비아인들은 19세기 문서와 20세기까지의 역사적 사건 분석을 통해 "피투성이, 배반적, 냉정, 계산적, 무자비, 탐욕, 팽창주의자"로 제시되었고, 전쟁은 세르비아인들의 오랜 행동 패턴의 결과로 설명되었습니다.[44] 세르비아 정교회는 그러한 쇼비니즘의 주요한 촉매제로 묘사됩니다.[32] 크로아티아 가톨릭교회가 후원하는 학술 심포지엄에서는 세르비아인과 세르비아인 성직자를 전쟁의 선동자로 선언하면서 크로아티아인에 대한 대량학살이라고 표현했습니다.[43] 세르비아인들이 공산주의 하에서 블리부르크 본국으로 송환되는 동안 크로아티아인들에 대한 대량학살을 시작했고, 국가안보국(UDBA)과 계속하여 1991-95년 전쟁으로 끝내려고 시도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43]
대 세르비아는 또한 19세기부터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까지 크로아티아 교과서에서 반복되는 주제입니다.[34] 일부 크로아티아 역사가들은 1054년 가톨릭과 정교회 기독교인을 갈라놓은 대분열을 통해 세르비아-크로아티아의 적대감을 묘사하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크로아트는 서구적이고 더 문명적인 것으로, 세르비아인은 동방적이고 열등한 것으로 제시되었고, 두 민족은 서로 양립할 수 없었습니다.[45]
그러나 최근에는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인의 역사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맥락이 점점 더 많이 탐구되고 있는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인의 이념과 정치적 활동에 대한 관심도 눈에 띕니다.[25]
유고슬라비아
1990년대에는 유고슬라비아를 부정하거나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모든 요소와 시기에 크로아티아 국가에 재앙적인 선택이었습니다.[26] 제1차 유고슬라비아를 세르비아의 지배와 크로아티아인에 대한 박해의 한 형태로 설명한 전간기에 관한 많은 작품들이 출판되었습니다.[24][46]
참고문헌
- ^ Petrovich, Michael B. (1978). "Croatian Humanists and the Writing of History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Slavic Review. 37 (4): 624–627, 636–639. doi:10.2307/2496129.
- ^ "Illyricum Hodiernum Quod Scriptores communiter Sclavoniam, Itali Schiavoniam, nuncupare Solent, in Dalmatiam, Croatium, Bosnam, et Slavoniam distinguitur..." stanford.edu. Barry Lawrence Ruderman Map Collection; Stanford University Libraries.
- ^ Gal, Judit (2018). "Iohannes Lucius és hagyatéka". Belvedere Meridionale. 30 (1): 114. doi:10.14232/belv.2018.1.7.
- ^ a b Goldstein 1994, p. 85.
- ^ a b Goldstein 1994, p. 86.
- ^ a b 코렌 앤 아지치치 2023, 페이지 1.
- ^ a b Jelavich, Charles; Jelavich, Barbara (2012). The Establishment of the Balkan National States, 1804-1920.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p. 277. ISBN 9780295803609.
- ^ a b Dzino, Danijel (2010). Becoming Slav, Becoming Croat: Identity Transformations in Post-Roman and Early Medieval Dalmatia. BRILL. pp. 18–19. ISBN 9789004189386.
- ^ Kurelac, Miroslav (2000). "Tadija Smičiklas as Historian and his Scholarly Conceptions". Zbornik Odsjeka za povijesne znanosti Zavoda za povijesne i društvene znanosti Hrvatske akademije znanosti i umjetnosti. 18: 54.
- ^ a b c 라돈디치 2017, 페이지 34-35.
- ^ 코렌 앤 아지치치 2023, 페이지 1-2.
- ^ 라돈치 2017, p. 33, 37.
- ^ a b 라도니치 2017, 페이지 39.
- ^ a b c 라도니치 2017, 페이지 33.
- ^ 라돈치 2017, 페이지 39-40.
- ^ 라돈치 2017, 페이지 40-41.
- ^ 코렌 앤 아지치치 2023, 페이지 2.
- ^ 이벨지치 2004, 페이지 31.
- ^ a b Biondich 2004, 페이지 70-72.
- ^ 라도니치 2017, 페이지 41.
- ^ 라도니치 2017, 41-42쪽.
- ^ 이벨지치 2004, 페이지 31-32.
- ^ 코렌 앤 아지치치 2023, 페이지 3.
- ^ a b c d 코렌 앤 아지치치 2023, 페이지 4.
- ^ a b 이벨지치 2004, 페이지 38.
- ^ a b 이벨지치 2004, 페이지 33.
- ^ a b c 코렌 앤 아지치치 2023, 페이지 5.
- ^ a b 코렌 앤 아지치치 2023, 페이지 6.
- ^ 코렌 앤 아지치치 2023, 페이지 7-8.
- ^ 이벨지치 2004, 페이지 33-36.
- ^ 이벨지치 2004, 페이지 36.
- ^ a b 이벨지치 2004, 페이지 37.
- ^ Hrstic, Ivan (2016). Egry, Gábor (ed.). "Croatian Historiography of World War I – How to win a war by losing it?". Múltunk Journal of Political History: Memory and Memorialization Memorialization of WWI of WWI in Eastern and in Eastern and Southeastern Southeastern Europe Europe: 62–72. ISSN 0864-960X.
- ^ a b Becherelli, Alberto (2015). Biagini, Antonello (ed.). The First World Wa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Volume 1, Volume 1.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p. 25. ISBN 9781443881869.
- ^ Biondich 2004, 페이지 70.
- ^ Biondich 2004, 페이지 64-68.
- ^ Biondich 2004, 페이지 68.
- ^ Biondich 2004, p. 71.
- ^ 라돈치 2017, 페이지 44-45.
- ^ 맥도날드 2003, 페이지 125.
- ^ 맥도날드 2003, p. 105.
- ^ 맥도날드 2003, 106-107쪽.
- ^ a b c Perica, Vjekoslav (2002). Balkan Idols: Religion and Nationalism in Yugoslav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pp. 167–168. ISBN 9780195174298.
- ^ 맥도날드 2003, 106-110 페이지.
- ^ 맥도날드 2003, 페이지 116-119.
- ^ 맥도날드 2003, 111-113쪽.
원천
- 책들
- Radonić, Ljiljana (2017). "Equalizing Jesus's, Jewish and Croat Suffering— Post-Socialist Politics of History in Croatia". In Luthar, Oto (ed.). Of Red Dragons and Evil Spirits: Post-Communist Historiography between Democratization and the New Politics of History.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ISBN 978-9-63386-151-6.
- MacDonald, David Bruce (2003). Balkan Holocausts?: Serbian and Croatian victim centred propaganda and the war in Yugoslavia. Manchester University Press. ISBN 978-0-7190-6467-8.
- Biondich, Mark (2004). "We Were Defending the State": Nationalism, Myth, and Memory in Twentieth-Century Croatia". In Lampe, John R.; Mazower, Mark (eds.). Ideologies and National Identities: The Case of Twentieth-Century Southeastern Europ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ISBN 978-6-1550-5385-6.
- 저널
- Koren, Snježana; Agičić, Damir (2023). "Between Political Constraints and Professional Historical Writing: Three Decades of Croatian Historiography (1990–2021)". Contemporary Europe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doi:10.1017/S0960777323000486.
- Goldstein, Ivo (January 1994). "The Use of History: Croatian Historiography and Politics". Helsinki Monitor. 5: 85–97.
- Iveljić, Iskra (2004). "Hrvatska historiografija o 19. stoljeću nakon raspada Jugoslavije" [Croat Historiography of the Nineteenth Century after the Disintegration of Yugoslavia]. Prispevki za novejšo zgodovino (in Slovenian). 44 (2): 2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