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초 루데랄리스

Cannabis ruderalis
대마초 루데랄리스
Cannabis Ruderalis.JPG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플랜태
클래드: 기관지동물
클래드: 안기오스페름스
클래드: 에우디코츠
클래드: 로시즈
순서: 로잘레스
패밀리: 카나바과
속: 대마초
종:
루데랄리스
이항식 이름
대마초 루데랄리스

대마초 루데랄리스(C. sativa sativa var. expectanea)는 중유럽러시아원산지대마초의 낮은 THC 품종 또는 아종이다. 많은 학자들이 대마초 루데랄리스가 대마초 인디카대마초 사티바와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과 표현형 때문에 마리화나 루데랄리스가 자신의 종으로 인정하지만, 루데랄리스대마초 사티바의 아종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많은 다른 학자들로부터 논란이 되고 있다.[1]

어원

대마초 루데랄리스는 러시아의 식물학자 D에 의해 처음 묘사되었다. E. Janischewsky 1924년.[2] 루데라(Ruderalis)라는 용어는 라틴어 루데라(Rudus)의 복수형인 루데라(Rudus)에서 유래한 말로 돌무더기, 덩어리, 또는 거친 청동 조각을 뜻한다. 식물성 라틴어에서 '루데랄리스'는 '거미' 또는 '폐기물 사이에서 성장'을 의미한다.[3] 원시종이란 경쟁을 없애는 소동이 있은 후 처음으로 토지를 식민지로 만든 식물을 말한다.

유전적 기원

식물학계에서는 C. 사티바의 아종이 아니라 C. 루데랄리스가 자신의 종이라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1924년에 D에 의해 분류되었다. E. Janischewsky는 종자, 모양, 크기 등에서 이전에 분류된 대마초 사티바와 가시적인 차이점을 지적했다. C. 루데랄리스는 CBD 수치가 더 높은 경향이 있는 야생 마리화나 종류를 나타내며, 꽃 피우기 과정을 시작하기 위해 계절 빛의 변화에 의존하지 않는다.

C. 루데랄리스는 위도의 북쪽 더 먼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2] 화학적 분석 결과 C. 루데랄리스가 C. 사티바의 야생 및 가정화된 유전자형에 비해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수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학

대마초 루데랄리스는 다른 종의 대마초보다 작다. C. 루데랄리스는 키가 2피트 이상 자라는 경우는 드물다. 식물은 가지 모양의 것이 거의 없는 "마르고 약간 섬유질이 있는 줄기"를 가지고 있다.[4] 잎은 일반적으로 큰 잎으로 열리며,[4] C. 루데랄리스는 다른 종의 대마초보다 훨씬 빨리 성숙하는데, 종자로부터 5-7주 정도 걸린다.[5]

대마초 루데랄리스는 다른 종의 대마초와 달리 광주기가 아닌 식물의 성숙도를 바탕으로 꽃이 피는 단계에 들어선다.[6] C. 사티바C. 인디카 품종으로는 오랜 일조 주기를 유지함으로써 식물을 식물인간 상태로 무한정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C. 루데랄리스는 일광 지속시간과 관계없이 개화기에 접어들게 된다. 오늘날 대마초 유전학자들은 이 특징을 "자동 흐름"이라고 부른다. [7]

다른 대마초 종에 비해 수지 THC가 적다.[5] 하지만, 그것은 종종 CBD가 많이 들어있다.[8]

원점 및 범위

대마초 루데랄리스는 러시아의 다른 지역에서도 야생으로 자랄 수 있지만 1924년 남부 시베리아에서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확인되었다.[5] 러시아의 식물학자 야니스체프스키(Janischewski)는 볼가 강 계통에서 야생 대마초를 연구하던 중 자신이 제3의 종을 접하게 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9] C. 루데랄리스(C. ruderalis)는 구소련의 히말라야 북부와 남부 주(州)에서 재배되는 더욱 단단한 품종으로, 보다 희박하고 '잡잡한' 성장이 특징이다.[8]

유사한 C. 루데랄리스 개체수는 삼베 재배가 성행했던 대부분의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 북미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지역은 미국 중서부 지역이지만 미국과 캐나다 전역에서 인구가 산발적으로 발생한다.[10] 대규모 야생 C. 루데랄리스 개체군은 중부유럽과 동유럽에서도 발견되며, 이들 대부분은 우크라이나, 리투아니아, 벨라루스,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및 인접 국가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식물들은 인간의 선택 없이 원래 선택되었던 많은 특성들을 잃었고 환경에 순응했다.[8]

재배

씨드뱅크의 번식 프로그램을 강화하기 위해 1980년대 초 C. 루데랄리스의 씨앗이 암스테르담으로 옮겨졌다.[10]

대마초 루데랄리스C. 사티바나 C. 인디카보다 THC 함량이 낮기 때문에 레크리에이션용으로 재배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C. 루데랄리스의 짧은 신장은 대마 생산에 대한 적용을 제한한다. 대마초 루데랄리스 변종은 CBD(Cannabiid Cannabiidol)에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부 의료용 마리화나 사용자들에 의해 재배된다.[citation needed]

그러나 C. 루데랄리스의 초기 식물 연령은 곤충과 질병 압력에 대한 내성이라는 평판과 더불어 "자동 저하는" 특성(광생기 꽃 품종에 비해 농업적인 이점을 일부 제공한다)을 촉발시켰기 때문에 식물 사육자들에게 매력적이다.[11] C. 인디카 변종은 높은 THC 함량, 개선된 견고성 및 낮은 높이를 가진 자동 저하 식물을 생산하기 위해 C. 루데랄리스와 교배되는 경우가 많다.[12] 1960년에 확인된 한 변종은 C. 사티바C. 루데랄리스의 교차점인 대마초 x intersita Sojak이다.[4] 성장기가 짧아진 대마초 균주를 생산하려는 시도는 C. 루데랄리스 경작의 또 다른 응용이다.[8] 사티바인디카 변종과 교차하면 루데랄리스가 자동으로 꽃을 피우고 10주 안에 완전히 성숙한다.[13]

대마초 자동유출 균주에 사용

C. 루데랄리스가 식물성 단계에서 나이가 들면서 꽃이 피는 단계로 전환되기 때문에, 포토페라 균주에 필요한 광주기와는 달리 다른 가정용 사티바, 인디카계 대마초 변종과 교배하여 '자동으로 꽃이 피는 대마초 균주'[14]를 만든다. 이러한 변종은 사티바인디카 변종의 약효를 유지하면서 루데랄리스 식물의 단단함을 보여주기 때문에 경작에 유리하다.[15] 경운기 역시 생산 시간이 단축돼 루데랄리스 공장을 선호하는데, 통상 6~8개월보다는 3~4개월 만에 생산된다. 자동흐름 특성은 광주기 변종의 다중 수확에 필요한 광감소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도 한 번의 옥외 재배기에 다중 수확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익하다. 루데랄리스 유전학의 결과, 자동 꽃피는 식물은 일반적으로 광주기 대마초보다 훨씬 높은 CBD 수치를 가지고 있다.

공통 용법

대마초 루데랄리스는 전통적으로 러시아와 몽골 민간 의학에서 사용되며, 특히 우울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4] C. 루데랄리스대마초의 생물형을 생산하는 가장 낮은 THC에 속하기 때문에, C. 루데랄리스는 오락 목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10]

현대 사용에서 C. 루데랄리스는 베드로칸 변종과 교차되어 의학적 처방을 받은 환자들을 위해 변형된 베디올을 생산해 왔다.[16] 루데랄리스 식물을 재배한 C. 사티바C. 인디카 변종은 전형적으로 C. 루데랄리스 혈통이 보여주는 "자동하향" 표현형을 보여주는데, 이는 식물이 매일의 빛 스케줄에 따라 꽃이 피는 것과 반대로 일정한 성숙(보통 씨앗에서 10주)이 되면 꽃을 피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외에도, 전형적으로 더 높은 카나비디올(CBD)의 농도로 인해 루데랄리스 식물은 불안이나 간질을 치료하려는 환자에게 가치가 있다.[17] C. 루데랄리스도 암 치료의 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 경화증이나 식욕 감퇴도 나타나고 있다.

참고 항목

참조

  1. ^ Resin, Harry (9 May 2014). "5 Differences Between Sativa and Indica". High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ly 2015. Retrieved 15 July 2015.
  2. ^ a b Hillig, Karl W.; Mahlberg, Paul G. (2004-06-01). "A chemotaxonomic analysis of cannabinoid variation in Cannabis (Cannab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91 (6): 966–975. doi:10.3732/ajb.91.6.966. ISSN 0002-9122. PMID 21653452.
  3. ^ Stearn, William (2004). Botanical Latin. Timber Press. p. 485. ISBN 9780881926279.
  4. ^ a b c d Ratsch, Christian (1998). Marijuana Medicine: A World Tour of the Healing and Visionary Powers of Cannabis. Translated by John Baker. Switzerland: AT Verlag Aarau. pp. 59–60. ISBN 9780892819331.
  5. ^ a b c Stafford, Peter (1992). Psychedelics Encyclopedia. Berkeley, California: Ronin Publishing, Inc. p. 159. ISBN 9781579511692.
  6. ^ Rosenthal, Ed. "Flowering Ruderalis". Cannabis Culture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anuary 2012. Retrieved 16 February 2012.
  7. ^ Green, Greg (2005). The Cannabis Breeder's Bible: The Definitive Guide to Marijuana Genetics, Cannabis Botany and Creating Strains for the Seed Market. Green Candy Press. p. 14. ISBN 978-1931160278.
  8. ^ a b c d Clarke, Robert Connell (1981). Marijuana Botany: An Advanced Study. Berkeley, California: Ronin Publishing, Inc. pp. 115, 157. ISBN 9780914171782.
  9. ^ Booth, Martin (2005). Cannabis: A History. Picador. pp. 2–3. ISBN 9781250082190.
  10. ^ a b c Cervantes, Jorge (2006). Marijuana Horticulture: The Indoor/Outdoor Medical Grower's Bible (5th ed.). Van Patten Publishing. pp. 12. ISBN 9781878823236.
  11. ^ "Euro Grow". High Times. 12 February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ly 2015. Retrieved 15 July 2015.
  12. ^ DMT. "The Return of Ruderalis". Cannabis Culture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February 2012. Retrieved 16 February 2012.
  13. ^ "Cannabis Ruderalis". Dutch Passion Seed Company. Retrieved 15 July 2015.
  14. ^ "What Is Cannabis Ruderalis? Leafly". Leafly. 2015-06-04. Retrieved 2017-04-21.
  15. ^ "Cannabis Ruderalis - Seedsman Blog". Seedsman Blog. 2015-01-15. Retrieved 2017-04-21.
  16. ^ Bienenstock, David (1 March 2011). "Prescription Strength". High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15 July 2015.{{cite news}}: CS1 maint : bot : 원본 URL 상태 미상(링크)
  17. ^ "Cannabis Ruderalis". Seedsman Blog. 2015-01-15. Retrieved 2017-04-0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