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

Abfraction
왼쪽 상부와 전극의 경추 여백에 있는 굴절 비반경 치조직 병변의 임상적 표현

굴절충치에 의한 것이 아닌 치아 구조의 상실을 설명하는 이론적 개념이다.이러한 병변은 물리고, 먹고, 씹고, 갈 때 치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이 제안되며, 에나멜은 특히 시멘토에나멜 접합부(CEJ)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아 미세 골절과 치아 조직 손실을 일으킨다.굴절은 일반적으로 다른 요인에 의해 야기되는 고고학적 기록에서 비충돌성 경추 병변의 예와 함께 현대적인 상태로 보인다.[1]

정의

굴절

굴절(Abraction)은 치골 여백을 따라 발생하는 비충격성 치아 조직 손실의 일종이다.[2]즉, 굴절은 잇몸선을 따라 위치한 충치에 의해 야기되지 않는 치아의 기계적 손실이다.굴절의 개념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증거가 있지만 실험적인 증거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3]

굴절이란 용어는 1991년 병변을 구분하는 전문지 기사에 처음 실렸다.이 글의 제목은 존 그리포(John O. Grippo)가 쓴 "수축: 치아의 단단한 조직 병변에 대한 새로운 분류"이다.[4]본 기사는 '생물학적 기계적 하중력에 의한 경질 조직 치아 물질의 병리학적 손실'이라는 굴절의 정의를 소개했다. 글은 마모, 소모, 침식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병변으로 축소를 확립한 최초의 기사였다.[2]

치아 조직은 점차 약해져 골절과 치핑을 통해 조직 손실을 일으키거나 잇몸이 닳아 치아 표면에 비탄성 병변이 남는다.이러한 병변은 치아의 덴틴에나멜 양쪽에서 발생한다.이러한 병변은 일반적으로 틀니의 경추 부위 주변에서 발생한다.[5]

징후 및 증상

그림 1

굴절 병변은 일반적으로 가장 큰 인장응력이 있는 치아의 부위에서 발생한다.이와 같은 진술에서 병변이 CEJ 위 또는 아래에서 발생하는지에 대한 언급은 없다.한 이론은 수축 병변이 CEJ 위에서만 형성된다는 것을 암시한다.[6][7][8][9]단, 굴절 병변은 영향을 받은 치아의 경추 부위에서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것으로 가정한다.이러한 굴절 병변의 구성을 지원하는 연구는 또한 치아에 비정상적으로 큰 두 개 이상의 굴절 병변이 한 표면에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시한다.[3]

굴절 병변을 볼 때 일반적으로 세 가지 형태가 나타나는데, 쐐기, 받침 또는 혼합된 패턴으로 나타난다.[6]쐐기형 병변과 받침형 병변이 가장 흔한 반면 혼합 병변은 구강에서 덜 식별된다.[6]그림 1과 관련하여, 쐐기 모양의 병변은 가장 날카로운 내부 선 각도를 가지며, 접시/혼합된 형태의 병변은 내부적으로 매끈하거나 다양하다.

임상적으로 굴절 병변을 가진 사람들은 또한 관련 부위에서 치아 민감성을 가지고 나타날 수 있다.이것은 압류 병변이 나타나면서 덴틴/시멘텀이 노출되기 때문에 발생한다.[10]덴틴과 시멘텀은 치아 에나멜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열/기계원에서 오는 감각에 더 민감하다.[10]

원인들

굴절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는 이론이기 때문에 무엇이 병변을 일으키는지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이 있다.이 논쟁 때문에 진정한 축소의 원인도 논쟁의 여지가 있다.[11]연구자들은 절제가 씹고 삼킬 때 치아가 서로 닿아 생기는 힘, 즉 밀폐력에 의해 발생한다고 제안했다.[4][12]이는 에나멜과 시멘텀이 만나는 부위(CEJ)에서 스트레스와 굴곡의 집중을 유도한다.[3][5]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이론적인 응력 집중과[13] 굴곡은 치아의 에나멜에 있는 결합을 분해하여 부러뜨리거나 침식이나 마모 같은 다른 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마모되게 한다.[3][5][11][12]처음에 압제 이론을 제안한 사람들은 칫솔이나 페이스트나 침식 같은 연마성 성분이 첨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합력만으로 병변을[13] 일으킨다고 믿는다.[13]

만약 치아가 이상적이지 않은 물림에서 함께 나온다면, 연구원들은 이것이 치아의 부위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유발할 것이라고 말한다.[12]치아가 너무 빨리 결합되거나 그들이 설계한 것보다 더 많은 하중을 받는 치아는 굴절 병변으로 이어질 수 있다.[12]잘못된 높이로 치아의 씹는 표면에 대한 회복의 영향도 CEJ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또 다른 요인으로 제기되었다.[11]

추가 연구에서는 씹고 삼킬 때 발생하는 정상적인 밀폐력이 굴절 병변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스트레스와 굴곡을 일으키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이를 가는 사람(브룩시즘)에게 그 힘이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여러 연구는 힘이 더 크고 지속시간이 길기 때문에 이를 갈는 사람들에게 더 흔하다는 것을 시사했다.[11][13]그러나 추가 연구는 이러한 병변이 항상 브루스증을 가진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브루스증이 없는 다른 사람들은 이러한 병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

밀폐력이 CEJ의 병변과는 무관하며, 이러한 병변을 일으키는 치약으로 칫솔을 마멸시킨 결과라고 진술할 다른 연구자들도 있다.[3][5][11]

자연에서 이론적인 것은 절제술이 어떻게 임상적으로 입안에서 나타나는가에 대한 한 가지 이상의 생각이 있다.그것의 임상적 특징에 대한 한 이론은 병변이 오직 시멘토에노나멜 접합 부분(CEJ) 위에서만 형성된다는 것을 암시한다.[6][7][8][9]이를 염두에 두면 칫솔 마모와 같은 다른 비침습성 병변과 구별되는 발판 역할을 한다.

치료

많은 가능한 원인으로 인해 수축 병변의 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최상의 치료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치과 의사는 활동 수준을 결정하고 가능한 병변 진행을 예측해야 한다.[3][13]12번 메스는 치과의사가 병변에 작은 움푹 들어간 부분을 만들기 위해 조심스럽게 사용하며, 그 다음 변화를 위해 면밀히 관찰한다.스크래치 마크를 상실한 것은 병변이 활발하고 진행 중임을 의미한다.

굴절 병변이 1밀리미터 미만일 때 보통 권고하는데,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충분한 치료 선택사항이다.의치과 과민증 등 미학이나 임상적 결과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경우 치과복원(흰색 충진)이 적절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병변을 복원하는 것 외에, 가능한 다른 원인 요인을 제거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2]치아의 무는 표면을 조정하면 상부와 하부가 함께 오는 방법이 변경되며, 이는 밀폐 하중을 재연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이를 위한 목적은 하중의 힘을 치아의 긴 축으로 돌려 병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제거하는 것이다.이것은 또한 쿠스팔 경사와 같은 치아 표면을 바꾸고, 무거운 접촉면을 줄이고, 이른 접촉면을 제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2]브루크시즘이 원인이 되는 요인으로 간주되는 경우, 오목한 부목은 치아에 가해지는 불규칙한 힘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다.[3][13]

논란

Abfraction은 1991년 창간 이래 논란이 되고 있는 주제였다.[11]이는 종종 마모나 침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나타나는 치아 상실의 임상적 표시 때문이다.논란의 주요 근거는 다른 비가해성 병변과의 축소 유사성과 병변을 잠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다중 이론의 보급이다.폐색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치아 굴곡이 시멘토에노나멜 접합부 주변의 취약부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설이 가장 널리 퍼진 이론 중 하나는 '비충돌성 경추 병변론'이라고 불린다.[11]이 이론은 유일한 요인이 폐합이라는 것을 시사하기 때문에 전문계에서는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많은 연구자들은 굴절 병변이 마모나 침식 같은 다른 요소들과 함께 다원적(인자가 많다) 병변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이것이 부정확하다고 주장한다.[5]병변 분류의 유예와 함께 인과적 요인을 둘러싼 이러한 논쟁은 많은 치과 의사들이 병변을 어느 정도 회의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몇 가지 이유들이다.굴절 병변을 둘러싼 논란을 완전히 정리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 항목

참조

  1. ^ "Root grooves on two adjacent anterior teeth of Australopithecus africanus". ResearchGate. Retrieved 2019-01-09.
  2. ^ a b c d e Bartlett, D.W.; Shah, P (April 2006). "A Critical Review of Non-carious Cervical (Wear) Lesions and the Role of Abfraction, Erosion, and Abrasion". Journal of Dental Research. 85 (4): 306–312. doi:10.1177/154405910608500405. PMID 16567549. S2CID 41159919.
  3. ^ a b c d e f g h i Michael, JA; Townsend, GC; Greenwood, LF; Kaidonis, JA (March 2009). "Abfraction: separating fact from fiction". Australian Dental Journal. 54 (1): 2–8. doi:10.1111/j.1834-7819.2008.01080.x. PMID 19228125.
  4. ^ a b Grippo, John O (January–February 1991). "Abfractions: A New Classification of Hard Tissue Lesions of Teeth". Journal of Esthetic and Restorative Dentistry. 3 (1): 14–19. doi:10.1111/j.1708-8240.1991.tb00799.x. PMID 1873064.
  5. ^ a b c d e f Sarode, Gargi S; Sarode, Sachin C (May 2013). "Abfraction: A review".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17 (2): 222–227. doi:10.4103/0973-029X.119788. PMC 3830231. PMID 24250083.
  6. ^ a b c d Hur, B; Kim, HC; Park, JK; Versluis, A (2011). "Characteristics of non-carious cervical lesions – an ex vivo study using micro computed tomography".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38 (6): 469–74. doi:10.1111/j.1365-2842.2010.02172.x. PMID 20955394.
  7. ^ a b Lee, HE; Lin, CL; Wang, CH; Cheng, CH; Chang, CH (2002). "Stresses at the cervical lesion of maxillary premolar—a finite element investigation". Journal of Dentistry. 30 (7): 283–90. doi:10.1016/s0300-5712(02)00020-9. PMID 12554108.
  8. ^ a b Dejak, B; Młotkowski, A; Romanowicz, M (2003).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es in molars during clenching and mastication".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90 (6): 591–7. doi:10.1016/j.prosdent.2003.08.009. PMID 14668761.
  9. ^ a b Borcic, J; Anic, I; Smojver, I; Catic, A; Miletic, I; Ribaric, SP (2005). "3D finite element model and cervical lesion formation in normal occlusion and in malocclusion".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32 (7): 504–10. doi:10.1111/j.1365-2842.2005.01455.x. PMID 15975130.
  10. ^ a b Bamise, Cornelius T.; Olusile, Adeyemi O.; Oginni, Adeleke O. (2008). "An Analysis of the Etiological and Predisposing Factors Related to Dentin Hypersensitivity". The Journal of Contemporary Dental Practice. 9 (5): 9.
  11. ^ a b c d e f g 안토넬리 JR, 핫텔 TL, 가르시아-고도이 F.굴절 병변 – 병변은 어디에서 오는가?문학평론.J Tenn Dent Association. 2013; 93(1):14-19
  12. ^ a b c d Grippo, JO; Simring, M; Coleman, TA (2012). "Abfraction, Abrasion, Biocorrosion, and the Enigma of Noncarious Cervical Lesions: A 20-Year Perspective". Journal of Esthetic and Restorative Dentistry. 24 (1): 10–23. doi:10.1111/j.1708-8240.2011.00487.x. PMID 22296690.
  13. ^ a b c d e f Shetty, SM; Shetty, RG; Mattigatti, S; Managoli, NA; Rairam, SG; Patil, AM (2013). "No Carious Cervical Lesions". J Int Oral Health. 5 (5): 142–145.
  • 서밋, 제임스 B, J. 윌리엄 로빈스, 리처드 S.슈워츠.수술적 치의학의 기초: 현대적 접근법. 제2판.일리노이 주 캐롤 스트림, 2001년 퀸테센스 출판사ISBN 0-86715-382-2.
  • Lee, WC.; Eakle, WS. (1984). "Possible role of tensile stress in the etiology of cervical erosive lesions of teeth".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52 (3): 374–380. doi:10.1016/0022-3913(84)90448-7. PMID 6592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