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사시알로메타플라시아
Necrotizing sialometaplasia괴사시알로메타플라시아 | |
---|---|
전문 | 이비인후과 수술 |
괴사성 시알로타플라시아(NS)는 양성 궤양성 병변으로, 보통 경구개 뒤쪽에 위치한다.트라우마에 대응하여 경미한 침샘의 허혈성 괴사(혈액 공급 부족으로 조직이 사망)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통증이 없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 질환은 스스로 제한적이어서 6-10주 후에 치유될 것이다.
완전히 양성적이고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구강암과 비슷한 외관상 악성으로 오진되기도 한다.따라서 희귀함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조건으로 여겨진다.
징후 및 증상
그 조건은 가장 흔히 단단하고 부드러운 미각의 접합부에 위치한다.[1]그러나 경미한 침샘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이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nb 1]그것은 또한 때때로 주요 침샘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었다.[2][3]한쪽에만 존재할 수도 있고, 양쪽 모두에 존재할 수도 있다.[1]병변의 지름은 일반적으로 1~4cm이다.[4]
초기에는 병변이 연하고 홍반성(빨간색) 부종이다.이후 궤양 단계에서 위로 돌출된 점막이 분해되어 색이 황회색이고, 염좌가 있는 깊고 동그라미가 잘 된 궤양을 남긴다.[1]
보통 가벼운 통증만 있을 뿐,[1] 그 상태는 완전히 고통이 없는 경우가 많다.병변이 나타나기 전에 독감과 비슷한 프로드롬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4]
원인들
그 병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4][5]이 질환의 메커니즘으로 혈관경색과 침샘엽의 허혈성 괴사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가장 많다.[6]실험적으로 국소 마취주사와 동맥의 결합은 실험용 랫드에서 NS와 유사한 조직변화의 발달을 촉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이러한 허혈의 원인이 된다고 생각되는 요인은 아래에 열거되어 있지만, 명백한 소인 요인이나 시작 사건이 없는 경우도 있다.[6]
- 예를[4] 들어 삽관 [6]중 외상 또는 수술 절차[6]
- 국소마취주사[4]
- 흡연석을 부탁해요.[4]
- 알코올[6]
- 당뇨병[4]
- 혈관질환([4]동맥경화증 등)[5]
- 치과 보형물로부터의[4] 압력
- 알레르기[5]
- 불리미아[2]
- 감염[6]
- 전리방사선[6]
진단
이것과 SCC 사이의 차이점은 그 지역의 최근 외상이나 치과 치료의 이력에 기초할 것이다.
면역항진화학은 진단을 도울 수 있다.병변이 NS인 경우 p53에 대한 면역반응 부재, MIB1에 대한 면역행동 부족(Ki-67), 4A4/p63- 및 칼포닌 양성 근위축 세포 유무에 초점이 맞춰진다.[2]
치료
수술은 필요 없다.[4]
예후
치유가 길어지며 보통 6-10주 정도 걸린다.[1]궤양은 2차적 의도에 의해 치유된다.[7]
역학
병세가 드물다.[8][9]이 질환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연령 범위는 약 23-66세 입니다.[4]그것은 보통 흡연자들에게서 발생한다.[9]남성 대 여성 비율은 1.95:1과 [5]2.31:1로 보고되었다.[10]
역사
NS는 1973년 에이브럼스 외 연구진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11][6]
메모들
- ^ 경미한 침샘은 경구개 앞쪽 1/3, 혀 등쪽 표면의 앞 1/3, 그리고 부착된 gingiva를 제외하고 입안의 대부분의 점막 표면에서 발견된다. (Hupp et al. 2013, p.395 참조)
참조
- ^ a b c d e Regezi JA; Scuibba JJ; Jordan RCK (2012). Oral pathology : clinical pathologic correlations (6th ed.). St. Louis, Mo.: Elsevier/Saunders. p. 191. ISBN 978-1-4557-0262-6.
- ^ a b c Carlson, DL (May 2009). "Necrotizing sialometaplasia: a practical approach to the diagnosis". Archives of Pathology & Laboratory Medicine. 133 (5): 692–8. doi:10.1043/1543-2165-133.5.692. PMID 19415943.
- ^ Tsuji, T; Nishide, Y; Nakano, H; Kida, K; Satoh, K (2014). "Imaging findings of necrotizing sialometaplasia of the parotid gland: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Dentomaxillofacial Radiology. 43 (6): 20140127. doi:10.1259/dmfr.20140127. PMC 4141672. PMID 24850145.
- ^ a b c d e f g h i j k Hupp JR; Tucker MR; Ellis E (19 March 2013). Contemporary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6th ed.). Elsevier Health Sciences. pp. 412–414. ISBN 978-0-323-22687-5.
- ^ a b c d Schmidt-Westhausen, A; Philipsen, HP; Reichart, PA (1991). "[Necrotizing sialometaplasia of the palate. Literature report of 3 new cases]". Deutsche Zeitschrift für Mund-, Kiefer- und Gesichts-Chirurgie. 15 (1): 30–4. PMID 1814663.
- ^ a b c d e f g h i Barnes L (2008). Surgical pathology of the head and neck (3rd ed.). New York: Informa Healthcare. pp. 491–493. ISBN 9780849390234.
- ^ Imbery, TA; Edwards, PA (July 1996). "Necrotizing sialometaplasia: literature review and case reports".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127 (7): 1087–92. doi:10.14219/jada.archive.1996.0334. PMID 8754467.
- ^ Janner, SF; Suter, VG; Altermatt, HJ; Reichart, PA; Bornstein, MM (May 2014). "Bilateral necrotizing sialometaplasia of the hard palate in a patient with bulimia: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Quintessence International. 45 (5): 431–7. doi:10.3290/j.qi.a31543. PMID 24634907.
- ^ a b Scully C (2013). Oral and maxillofacial medicine: the basis of diagnosis and treatment (3rd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p. 405. ISBN 9780702049484.
- ^ Jainkittivong, A; Sookasam, M; Philipsen, HP (1989). "Necrotizing sialometaplasia: review of 127 cases". The Journal of the Dental Association of Thailand. 39 (1): 11–6. PMID 2699611.
- ^ Abrams, AM; Melrose, RJ; Howell, FV (July 1973). "Necrotizing sialometaplasia. A disease simulating malignancy". Cancer. 32 (1): 130–5. doi:10.1002/1097-0142(197307)32:1<130::aid-cncr2820320118>3.0.co;2-8. PMID 47167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