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사시알로메타플라시아

Necrotizing sialometaplasia
괴사시알로메타플라시아
Sialometaplasia.jpg
전문이비인후과 수술

괴사성 시알로타플라시아(NS)는 양성 궤양성 병변으로, 보통 경구개 뒤쪽에 위치한다.트라우마에 대응하여 경미한 침샘허혈성 괴사(혈액 공급 부족으로 조직이 사망)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통증이 없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 질환은 스스로 제한적이어서 6-10주 후에 치유될 것이다.

완전히 양성적이고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구강암과 비슷한 외관상 악성으로 오진되기도 한다.따라서 희귀함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조건으로 여겨진다.

징후 및 증상

그 조건은 가장 흔히 단단하고 부드러운 미각의 접합부에 위치한다.[1]그러나 경미한 침샘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이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nb 1]그것은 또한 때때로 주요 침샘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었다.[2][3]한쪽에만 존재할 수도 있고, 양쪽 모두에 존재할 수도 있다.[1]병변의 지름은 일반적으로 1~4cm이다.[4]

초기에는 병변이 연하고 홍반성(빨간색) 부종이다.이후 궤양 단계에서 위로 돌출된 점막이 분해되어 색이 황회색이고, 염좌가 있는 깊고 동그라미가 잘 된 궤양을 남긴다.[1]

보통 가벼운 통증만 있을 뿐,[1] 그 상태는 완전히 고통이 없는 경우가 많다.병변이 나타나기 전에 독감과 비슷한 프로드롬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4]

원인들

그 병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4][5] 질환의 메커니즘으로 혈관경색과 침샘엽의 허혈성 괴사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가장 많다.[6]실험적으로 국소 마취주사동맥의 결합은 실험용 랫드에서 NS와 유사한 조직변화의 발달을 촉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이러한 허혈의 원인이 된다고 생각되는 요인은 아래에 열거되어 있지만, 명백한 소인 요인이나 시작 사건이 없는 경우도 있다.[6]

진단

이것과 SCC 사이의 차이점은 그 지역의 최근 외상이나 치과 치료의 이력에 기초할 것이다.

면역항진화학은 진단을 도울 수 있다.병변이 NS인 경우 p53에 대한 면역반응 부재, MIB1에 대한 면역행동 부족(Ki-67), 4A4/p63- 및 칼포닌 양성 근위축 세포 유무에 초점이 맞춰진다.[2]

치료

수술은 필요 없다.[4]

예후

치유가 길어지며 보통 6-10주 정도 걸린다.[1]궤양은 2차적 의도에 의해 치유된다.[7]

역학

병세가 드물다.[8][9]이 질환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연령 범위는 약 23-66세 입니다.[4]그것은 보통 흡연자들에게서 발생한다.[9]남성 대 여성 비율은 1.95:1과 [5]2.31:1로 보고되었다.[10]

역사

NS는 1973년 에이브럼스 연구진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11][6]

메모들

  1. ^ 경미한 침샘은 경구개 앞쪽 1/3, 혀 등쪽 표면의 앞 1/3, 그리고 부착된 gingiva를 제외하고 입안의 대부분의 점막 표면에서 발견된다. (Hupp et al. 2013, p.395 참조)

참조

  1. ^ a b c d e Regezi JA; Scuibba JJ; Jordan RCK (2012). Oral pathology : clinical pathologic correlations (6th ed.). St. Louis, Mo.: Elsevier/Saunders. p. 191. ISBN 978-1-4557-0262-6.
  2. ^ a b c Carlson, DL (May 2009). "Necrotizing sialometaplasia: a practical approach to the diagnosis". Archives of Pathology & Laboratory Medicine. 133 (5): 692–8. doi:10.1043/1543-2165-133.5.692. PMID 19415943.
  3. ^ Tsuji, T; Nishide, Y; Nakano, H; Kida, K; Satoh, K (2014). "Imaging findings of necrotizing sialometaplasia of the parotid gland: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Dentomaxillofacial Radiology. 43 (6): 20140127. doi:10.1259/dmfr.20140127. PMC 4141672. PMID 24850145.
  4. ^ a b c d e f g h i j k Hupp JR; Tucker MR; Ellis E (19 March 2013). Contemporary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6th ed.). Elsevier Health Sciences. pp. 412–414. ISBN 978-0-323-22687-5.
  5. ^ a b c d Schmidt-Westhausen, A; Philipsen, HP; Reichart, PA (1991). "[Necrotizing sialometaplasia of the palate. Literature report of 3 new cases]". Deutsche Zeitschrift für Mund-, Kiefer- und Gesichts-Chirurgie. 15 (1): 30–4. PMID 1814663.
  6. ^ a b c d e f g h i Barnes L (2008). Surgical pathology of the head and neck (3rd ed.). New York: Informa Healthcare. pp. 491–493. ISBN 9780849390234.
  7. ^ Imbery, TA; Edwards, PA (July 1996). "Necrotizing sialometaplasia: literature review and case reports".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127 (7): 1087–92. doi:10.14219/jada.archive.1996.0334. PMID 8754467.
  8. ^ Janner, SF; Suter, VG; Altermatt, HJ; Reichart, PA; Bornstein, MM (May 2014). "Bilateral necrotizing sialometaplasia of the hard palate in a patient with bulimia: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Quintessence International. 45 (5): 431–7. doi:10.3290/j.qi.a31543. PMID 24634907.
  9. ^ a b Scully C (2013). Oral and maxillofacial medicine: the basis of diagnosis and treatment (3rd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p. 405. ISBN 9780702049484.
  10. ^ Jainkittivong, A; Sookasam, M; Philipsen, HP (1989). "Necrotizing sialometaplasia: review of 127 cases". The Journal of the Dental Association of Thailand. 39 (1): 11–6. PMID 2699611.
  11. ^ Abrams, AM; Melrose, RJ; Howell, FV (July 1973). "Necrotizing sialometaplasia. A disease simulating malignancy". Cancer. 32 (1): 130–5. doi:10.1002/1097-0142(197307)32:1<130::aid-cncr2820320118>3.0.co;2-8. PMID 471676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