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쿠아나어

Ye'kuana language
마키리타리
드와나
네이티브:베네수엘라
민족성예쿠아나
원어민
6000(2000 – 2001년 인구조사)[1]
카리반
  • 기아난 카리브
    • 마키리타리
방언
  • 와유마라
언어 코드
ISO 639-3mch
글로톨로지maqu1239
ELP예쿠아나
이 글에는 IPA 음성 기호가 수록되어 있다.적절한 렌더링 지원이 없으면 유니코드 문자 대신 물음표, 상자 또는 기타 기호를 볼 수 있다.IPA 기호에 대한 소개 가이드는 도움말을 참조하십시오.IPA.

Ye'kuana (Ye'kuana: [jeʔkwana]), also known as Maquiritari, Dekwana, Ye'kwana, Ye'cuana, Yekuana, Cunuana, Kunuhana, De'cuana, De’kwana Carib, Pawana, Maquiritai, Maquiritare, Maiongong, or Soto is the language of the Ye'kuana people of Venezuela and Brazil.그것은 카리반어다.브라질 북서부의 로라이마주와 베네수엘라의 접경지역인 약 5,900명(2001년경)이 사용하고 있으며, 베네수엘라의 대다수(약 5,500명)가 사용하고 있다.2001년 베네수엘라 인구조사 당시 베네수엘라에는 6,523 예쿠아나가 살고 있었다.[2]남미 두 나라에 걸친 예쿠아나의 불평등한 분포를 고려할 때, 에트놀로그는 예쿠아나에 대해 두 가지 다른 활력 등급을 나열한다: 베네수엘라에서는 활기찬(6a), 브라질에서는 GIDS(Graded Intergeneration Disrupt Scale)에 모리번트(8a)로 분류된다.[3]

역사

브라질에서 예쿠아나는 베네수엘라의 더 큰 인구 중심지에서 온 1세기 이상 전에 현재 그들이 점유하고 있는 땅에 정착한 것으로 여겨진다.그러나 전통 신화와 구전 역사는 아우아리 강과 우라리코에라 강 주변의 땅은 예쿠아나가 오랫동안 여행해 왔음을 말해준다.[4]

18세기 동안 예쿠아나 영토에서는 많은 선교 활동이 있었는데, 그 기간 동안 그들은 스페인인들을 위한 요새를 짓도록 강요당했고, 가톨릭으로 개종하도록 강요당했다.[5]1776년 스페인인에 대한 반란이 조직되었다.20세기는 식민주의자들이 고무의 발견을 이용하려는 형태로 새로운 착취의 물결을 가져왔다.마을 전체가 강제 노역에 시달렸고, 연쇄 폭력조직에 의해 고무 수용소로 내몰렸다.이후 1960년대 초반에 또 다른 선교사 물결이 찾아왔다.브라질 예쿠아나는 브라질 선교사들의 관심이 사누마족이 아닌 사누마족에 집중돼 있었기 때문에 그쪽에 세워진 선교에는 살지 않기로 했다.그들은 또한 그들의 베네수엘라 사촌들이 문화적으로 변화하고 그 결과 (브라질 예쿠아나의 관점에서) 약해지며 그들의 전통적인 삶의 방식의 핵심 요소들을 포기하는 것을 보고 전향하기를 더 꺼렸다.국경의 베네수엘라 쪽에서는, 이러한 선교사들의 물결이 건강 서비스, 학교, 지역 시장으로의 접근을 야기시켰고, 또한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한 몇 개의 비교적 큰 지역사회를 만들었다.[5]

1980년, 캐나다 선교사 부부가 예쿠아나족 사이에서 잠시 살려고 왔지만 그들의 생활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았고, 예쿠아나와 의견이 맞지 않아 떠나게 되었다.이후 브라질 예쿠아나는 그 인프라가 베네수엘라의 원주민 사회에 제공하는 혜택을 보고 종교를 원하지 않지만 학교를 원한다고 결정했다.그들은 아마샤나스의 복음주의 선교단의 리더와 협상한 후 하나를 얻었다.그렇게 해서 좌식이 되는 과정을 시작하게 되었는데, 예쿠아나에서는 모두 함께 더 가까워져 반정기일정을 정립하였다(아이들의 특정 시간은 학교에 배정되었다 포함).이러한 견고한 영구적 접촉의 확립은 또한 다른 토착 공동체 및 로라이마 주와의 보다 광범위한 이동과 접촉으로 이어졌다.예쿠아나는 숙련된 카누 제조업자와 마니오카 스크래퍼로 알려지게 되었고, 동시에 다른 많은 토착민들에게 피해를 입혔던 극심한 강 교통과 외부인 유입으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었다.[5]

유형학

예쿠아나 언어는 카리반어과에 유형학적으로 위치하며, 7개의 하위가족과 1개의 미분류 언어로 세분된다.예쿠아나는 기타 10개 언어와 함께 기아난 카리브 아족이다.기아난어는 대부분 기아나 실드 주변에 위치한다.예쿠아나와 와유마라는 기아난 하위 가문인 마키리타리-와유마라 하위 가문 내에서 더 작은 범주를 형성한다.

문학

19세기 예쿠아나의 첫 문서들은 Schomburk에 의한 몇 개의 단어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고,[6][7][8] 그 다음에 여러 개의 비교[9]민족학[10] 작품이 있다.20세기 초에는 카리반 언어에[13][14] 관한 작품에서 예쿠아나에 보다 구체적으로 초점을 맞춘 작품들로 옮겨 가면서 [11][12]더 많은 단어 목록을 보게 되었다.[15]에스코리아자(1959년과[16] 1960년)[17]는 문법적인 스케치를 제공했다.1960년대와 70년대는 주로 예쿠아나의 민족학, 신화,[18] 정치 구조,[19] 마을 형성 등에 관한 작업을 보았다.[20]슈스터 1976은[21] 그의 민족학 내에서 단어 목록을 발표했지만, 그 외에는 그 시기에 언어학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았다.하인엔(1983~1984)은 [22]주로 민족학 연구에서 인용한 문법 스케치를 출판했고, 구스(1986)[23]는 구술 전통에 관한 출판물에 언어에 일부 텍스트를 포함시켰으며, 홀(1988)[24]형태소신세담화 분석에 관한 2권을 출판했다.후에 홀(1991)은 [25]더 많은 민족학 연구 속에서 동사의 트랜정성을 관찰했고,[26] 샤비에(1999)는 형태학의 몇 가지 다른 측면을 연구했다.CD-ROM에 사전을 실었는데,[27] 가장 최근에는 나타리아 카세레스 MA 논문이 예쿠아나의 사회언어학적 프로파일을 간략히 개괄한 반면,[28] 그녀의 박사 논문은 보다 완전한 서술적 문법을 제시하고 있다.[2]쿠티뉴(2013년)도 유형학적 관점에서 예쿠아나의 숫자 체계를 탐구했다.[29]

음운론

자음, 카세레스에서 각색(2011년)[2]
빌라비알 치조류 포스트-
치조류의
구개체 벨라르 글로탈
콧물 m ⟨m⟩ n ⟨n⟩ ɲ nhnh
플로시브 t ⟨⟩ T t ⟨ch⟩ k ⟨k⟩ ʔ ⟨'⟩
프리커티브 S ⟨s⟩ ʃ ss, sh⟩ çj h ⟨j⟩
로코틱 ɾ̠ ,ch, d,
글라이드 w ⟨w⟩ j ⟨⟩
카세레스에서 개조한 모음(2011년)[2]
앞면 중앙 뒤로
가까운. I ː ⟨i, ii ɨ ɨː ⟨ö, öö/ü, üü⟩ ,u, u,
중앙의 E e e e e e e e e e e e e e e e e e ə əː ⟨ö, öö/ä, ää⟩ o o o o o o o o o
개방하다 a ː ⟨a, aa⟩.

/ɨ/는 맞춤법에서 üü⟩라고 쓰여 있고, / written/는 öö라고 쓰여 있다.그 대신 /ɨ/에 대해서는 /ö을, ///에 대해서는 forä을 쓴다.긴 모음은 글자를 두 배로 늘려 표시한다.

맞춤법

모음.

  • a - [a]
  • ä - [ə]
  • e - [e]
  • i - [i]
  • o - [o]
  • ö - [ɨ]
  • u - [u]
  • aa - [aː]
  • ää - [əː]
  • ee - [eː]
  • ii - [iː]
  • OO - [o []
  • öö - [ɨː]
  • uu - [uː]

자음

  • ch - [t͡ʃ/ɾ̠]
  • d - [ɾ]
  • f - [f]
  • j - [h]
  • k - [k]
  • m - [m/m]
  • n - [n]
  • nh - [nh]
  • s - [s/s]
  • sh - [ []
  • t - [t]
  • w - [w]
  • y - [j]
  • ' - [ʔ][30]

형태학

예쿠아나의 형태학은 다른 카리반 언어와 견줄 만하다.[2]: 107 예쿠아나는 다음과 같은 주요 문법적 측면을 이용한다: 과거 및 과거가 아니다.'과거'의 면은 완벽함불완전함뿐만 아니라 최근과 먼(두 가지 중에서 훨씬 더 많이 쓰임)으로 세분된다.[2]: 213–221 '비과거'는 현재, 가까운 미래, 일반적인 진리를 위해 사용된다.[2]: 222–225 또한, 개연성 있고 확실한 미래 측면은 형태학적으로 구별되며, 뚜렷한 불완전한 접미사가 있으며, 반복성, 지속성(과거), 자극성, 종말성 측면이 모두 표시되며, 후자 세 가지 측면은 다른 것과 같이 접미사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근사적으로 표시된다.[2]: 226–253

대명사

사람 단수형 복수형
1인칭 에위
두 번째 사람 아뢰데 은완노
제3인칭 투위 툰완노
첫 번째 + 두 번째 사람 콰위 귄완노
제1인 + 제3인 엔냐

The first person plural is represented by three forms in Ye'kuana: a dual inclusive form küwü, a dual exclusive form nña, and a plural inclusive form künwanno.복수 배타적 형태는 없다.

에위

에위

1SG

뷔타

w-ütö(mö)-a

1S-고-NPST

쉬나

쉬나

야데다네

야데다냐

같이NEGPL..

에우위우타수나 야데다네

ewü w-ütö(mö)-a sü'na jadö-'da-nñe

1SG 1S-Go-NPST 도그(NEG-PL 포함)

난 개들 없이 그곳에 갈 거야.

아.

아뢰데

아뢰데

2SG

아자드외네

a-jadö-:ne

2-with-INTENS

쿠나자토

쿤아자아코에

3S.DIS-COP-PDI=COLL

아아아, 아뢰드 아자데외네 ü나자토

아모드예 아야드예:네 쿤아자아코에=to

아 2SG 2-INTENS 3S.DIS-COP-PDI=COL

아, 그들과 함께 있었구나(lit.그들은 너와 함께 있었다). 알 수 없는 광택 약어(도움말);

에마자인네

ø-ema-jai-ne

3O-던지기ABILINTENS..

투위

투위

3SG

에마자인뇨투위

ø-ema-jai-:ne tüwü

3O 투척-아빌-인텐스 3SG

그는 싸울 때 살인을/던질 수 있다. 알 수 없는 광택 약어(도움말);

아뫼도

아뢰데

2SG

오와지

오와이제

2-sness

뫼도제

뫼도제

이리하여

엔냐

엔냐

1+3

야오웨

야오웨

그러므로

아메데오위지 뫼도예 은냐 야아우외

아메데 오와이제 뫼도예 냐야와외

따라서 2SG 2-의지는 1+3이므로

당신 때문에 우리는 이러하다.

녜노헤임마하

이-메뉴-자이=mma

3O-write-ABIL=도

은완노

은완노

2PL

요우

야오웨

그러므로

녜노헤이메마야 외완노 요우외

이메뇌자이=mmaja외완노야오웨

3O-write-AB따라서 IL=또한 2PL

[학교 다녀서]도 쓸 수 있다. 알 수 없는 광택 약어(도움말);

주와이제

juwai=je

마녀=ATRB

툰완노

툰완노

3PL

주와이제툰완노

주와이=제 툰완노

마녀=ATRB 3PL

그들은 마녀들이었다. 알 수 없는 광택 약어(도움말);

외지마무

ö-짐뫼-ø

RECP-가족-POS

귄완노

귄완노

1PL

외지뫼 쿤완노

öö-jimmö-Ø künwanno

RECP-패밀리-POS 1P

우리는 같은 가족 출신이다.lit.

유도 형태학

명목화, 언어화, 부사화 접미사를 포함한 광범위하고 생산적인 파생 시스템이 있다.[31]The system of nominalisation allows for adverbs to be converted, for instance judume ‘black’ becomes judum-ato ‘that which is black’, eetö ‘here’ becomes eeto-no ‘that which is here’, etc.; it also has many varieties of verbal nominalisation: intransitivisation, participlisation, agentivisation (önöö ‘eat (meat)’ becomes t-önöö-nei ‘eater of meat’), 동작의 언어적 명목화, 기악(a'deuwü 'talk'는 w-a'deuwo-tojo 'properties)' 및 분사의 명목화.verbalisation의 면에서는 그 수혜 자격‘누군가와 뭔가 '로, a'deu 'language 같은 N을 갖는 단어 N 주’ a'deu-tö 'read, 반복'이;그것의 반대, 소극적인(womü 'clothes의 ->, 'undress 누군가 i-womü-ka);일반 verbalisation 접미사 -ma. 타동사를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nö합니다;그리고 그것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ta 있다.e구토와 말하기와 같은 자동사 동사와 가끔 접미사 -dö, -wü, -'nö.마지막으로, 부사적 접미사에는 명목 소유욕, 참여성, 부정성, 운동의 목적지를 나타내는 형태, 적성을 나타내는 형태, 행동의 새롭음을 나타내는 형태, 잠재력, 디버벌 네거티브가 포함된다.

양상

미래

가능한 미래 측면은 미래 마커 -ta와 irrealis 마커 -i로 구성된 접미사 -tai로 표시된다.그것은 Caceres(2011)에서 도출된 데이터에서 자주 발생하지 않으며,[2] 발생 가능성이 확실성 없이 존재하는 사건을 나타낸다.특정한 미래도 마찬가지로 자발적인 말씨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2]문법에 제시된 개연성 있는 미래의 예로는 "예쿠아나 언어를 배우게 될 것"과 "내일은 빨갛게 될 것"으로 번역되는 구절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또 언젠가 내가 와서 너를 보게 될 것"(두 번째 동사가 표시된 곳)이라는 특정한 미래의 예와 대비된다.

Valency 마킹

언어는 주로 데트란시타이저 접두사와 여러 개의 인과관계자 접미사 등 동사의 능률을 바꾸기 위한 몇 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반대자

기본 형태 데트란시티바이저는 ö-형식을 갖는 것으로 가정되며, 8개의 알로모르프(:-, ö-, ö-, ot-, at, at, a, a, a-)가 있다.

e로 시작하는 transitive 동사 루트(표면 수준에서) öt-:

에카

'물다'

외트외카

'자신에게 물리다'

에카 외트 외카

{'물어물어물어물어물어물어물어'}

아이차

'그리다'

외트외차

'자신을 그리다'

아이차외트외차

{'그림그리기'} {자신을 그리다'}

o로 시작하는 전이적 뿌리 또는 e로 시작하는 두 번째 모음이 [+원순]인 경우 ot-:

우네자

'측량할 것'

오트오네자

'싸우다'

오오네자오트오네자

{'척도'} {싸우기'}

엔쿠토

'거짓말'

오트온쿠토

'잘못 알고 있다'

엥쿠오토오토오토

{'거짓말'} {틀림없이'}

테이크로 시작하는 전이적 루트-:

도조.

'떨어지다'

아도호에서.

'떨어지다'

아도호에서의 도호.

{'drop'} {to drop'}

아이요

'파쇄하다'

앳아이요

'자신을 망가뜨리다(자신을 망가뜨리다)'

아이요 앳아이요

{'깨어지기 위해'} {자신(자신)을 깨기 위해'}

대부분의 경우, 알로모르프들의 패터링은 음운학적으로 기초하지만, 일부 뿌리는 그들이 받는 알로모르프에 따라 약간의 의미 차이를 가진다.

아데

'이륙할 것

a-adö.

' 실려갈 것'

at adö.

'따라간다'

adö a-adö at-adö.

{'반송'} {반송'} {반송'} {반송'}

아조이

'받아들일 것'

a-셰이

'자신을 붙이다'

앳셰이

???

ajöi a-ajöi at-ajöi.

{'to take'} {'to're attach'}?

에네

'볼까'

외네

'보인다, 닮았다'

외트외네

'자신을 보기 위해'

에네 외네 외트 외네

{'보인다'} {보인다, 닮았다'} {자신을 보기 위해}

원인적

예쿠아나에 있는 동사의 모든 클래스는 원인 접미사를 받을 수 있지만, 두 종류의 자동사 동사(UP, UA)는 각각 그들이 가져가는 고유의 접미사를 가지고 있다.U형P 자동 동사는 접미사 -nüjü(알로모르프 -mjü-nü' 포함)-nöjü(알로모르프 -mjü-nö' 포함)를 취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타협적 영어 타동사 영어
üüü '잠' üöüüü '잠자리를 펴다'
씨데타 '건조' 세데나시위 '건조하다'
에덴나 '멈추다 에덴나 시 '무엇을 마무리짓다'

U형의A 타동사와 자동사 동사는 원인 접미사 -jo를 취할 수 있다.타동사의 경우, 다른 논거가 동사의 유연성에 추가되는 반면, 내성 동사는 초기 유효성을 유지한다.이 접미사는 자동사 동사와는 비교적 드물게 사용되며, 아래에 제시된 모든 예시들 중 /e/로 시작되기 때문에 이들 동사가 이 접미사를 받아들인다는 이론이 있으나, 이 이론은 증명되지 않았다.[2]

기준형식 영어 원인적 영어
에와토 '자신을 돕는 것' 에와토조 '도움을 받다'
에자카 '떠나다' 자카조 '제명될 것'
에타주 '진정하기 위해 에타위조 '자신을 진정시키기 위해'
에지 '자신을 씻는다' 이지조 '빨래할 것'

다원성

예쿠아나의 모든 미표시 명사는 단수 또는 "일반"으로 의미론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반면, 일부 명사는 단수/일반 번호 명사와 구별되는 명시적 복수 표시를 받을 수 있다.[29]예쿠아나는 일반적으로 공칭 복수형을 표시하기 위해 접미사 =코모(komo)를 사용한다.카세레스(2011년)는 이 접미사를 일반 복수형으로 취급하고, 쿠티뉴(2013년)와 같은 다른 저자들은 '전체'(즉, 집합적)와 '전체보다 낮은'(즉, 비집합적)을 구분하는 다른 카리반어에 주어진 분석에 동의하고, 따라서 이 형태소를 집단적 형태소로 취급한다.고전모음[i]과 근사모음[j] 후에는 구개화 변종 =초모도 나타난다.이 접미사는 애니메이트 명사와 무생물 명사에도 마찬가지로 사용된다.

예와나

'예쿠아나'

예과나=코모

'several 예쿠아나'

예과나 예과나=코모

{'ye'kuana'} {'ye'kuanas'}

옌와

'남자'

얀와=코모

'남자를 괴롭히다'

옌와야 옌와=코모

{'man'} {'men't men'}

외지

'의사'

외지=초모

'의약품'

외지외지=초모

{'medicine'} {'medicine's'}

nma

'집'

nma=코모

'집마다 있는 집들

nma nma=komo

{'house'} {'househouse'}

그러나 이 형태소의 분포에는 몇 가지 제약이 있는데, 예를 들어 동물의 이름은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

쉬나

'개'

*슈나=코모

쉬나 *슈나=코모

'개' {}

마도

'tiger'

*마도=코모

마도 *마도=코모

'tiger' {}

카두와이

'마코'

*kaduwai=초모

카두와이 *kaduwai=초모

'마코' {}

카세레스가 연구한 카우라 방언(2011년)에서는 일부 화자가 복수 접미사를 가지고 문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명사가 몇 개 더 존재하지만, 다른 명사는 다음과 같다.

uu

'마니오카'

(*)u=코모

uu(*)u=코모

'마니오카' {}

칸쿠두

'칼라바시'

(*)칸쿠두=코모

칸쿠두(*)칸쿠두=코모

'칼라바시' {}

그러나 아우아리스 방언에서는 쿠티뉴(2013년)가 조사한 바와 같이 이들 명사 등의 복수형식이 모두 받아들여졌다.

uu

'마니오카'

uu=komo

'마니오카스'

uu uu=komo

'마니오카' {'maniocs'}

칸쿠두

'칼라바시'

칸쿠두=코모

'불쌍한 칼라바시'

칸쿠두칸쿠두=코모

'칼라바시' {'several 칼라바시'}

나테

'yam'

나토=코모

'several yams'

나토 나토=코모

'yam' {'several yams'}

투쿠디

'jug'

투쿠디=초모

'severalseveral jugs'

투쿠디 투쿠디=초모

'jug' {'several jugs'}

아우아리스 방언에서도 과일을 나타내는 특정 명사는 다음과 같은 복수 표기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faduudu=komo '맛있는 바나나'
*속와=코모 'severalso sokwas'
*아시히차두 '옥수수 캔들'

참조

  1. ^ 에트놀로그 마키리타리(2016년 제19회 에드워드)
  2. ^ a b c d e f g h i j k Cáceres, Natalia (2011). Grammaire fonctionelle-typologique du Ye'kwana [Functional-Typological Grammar of Ye'kwana] (PDF) (PhD dissertation) (in French). Lumière University Lyon 2.
  3. ^ Lewis, Paul; Simons, Gary F.; Fennig, Charles D. (2016).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Nineteenth edition". SIL International.
  4. ^ Moreira-Lauriola, Elaine (September 2003). "Ye'kwana". Povos Indígenas no Brasil. Retrieved 1 October 2017.
  5. ^ a b c Moreira-Lauriola, Elaine (September 2003). "History of Contact". Povos Indígenas no Brasil. Retrieved 1 October 2017.
  6. ^ Schomburgk, Robert H. (1848). "Remarks to accompany a comparative vocabulary of eighteen languages and dialects of Indian Tribes inhabiting Guiana". Simmond's Colonial Magazine. No. 15. pp. 46–64.
  7. ^ Schomburgk, Robert H. (June 1849). "Remarks to accompany a comparative vocabulary of eighteen languages and dialects of Indian Tribes inhabiting Guiana". Notices and Abstracts of Communications to the British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t the Oxford Meeting. No. 18. pp. 96–99.
  8. ^ Schomburgk, Robert H. (1850). "A vocabulary of the Maiongkong language". Proceedings of the Philological Society. No. IV. pp. 217–223.
  9. ^ Latham, Robert Gordon (1862). Elements of comparative philology. London: Walton and Maberly.
  10. ^ Chaffanjon, Jean (1889). L'Orénoque et le Caura: Relation des voyages exécutés en 1886 et 1887 [The Orinoco and the Caura: Account of Voyages Undertaken in 1886 and 1887] (in French). Paris: Librairie Hachette.
  11. ^ Oramas, Luis (1912–1913). "Contribución al estudio de los dialectos Puinabe y Maquiritare" [Contribution to the studio of the Maqiritare and Puinabe dialects]. Gaceta de los Museos Nacionales. No. I. pp. 20–27.
  12. ^ Rondon, Cándido M. S.; De Faria, João Barbosa (1948). "Glossário geral das tribos silvícolas de Mato Grosso e outras da Amazônia e do Norte do Brasil: Tomo I". Publicação 76 do Conselho nacional de proteção dos Indios. Rio de Janeiro: Comissão Rondon. p. 5.
  13. ^ Koch-Grünberg, Theodor (1923). "Vom Roraima zum Orinoco". Ethnographie. III.
  14. ^ Nimuendajú, Curt (1955). "Reconhecimento dos rios Içána, Ayarí, e Uaupés, março a julho de 1927: Apontamentos linguísticos". Journal de la Société des Américanistes. 44: 149–178. doi:10.3406/jsa.1955.2598.
  15. ^ Civrieux, Marc de (1959). "Datos antropológicos de los indios Kunuhana". Antropológica. 8: 85–146.
  16. ^ Escoriaza, Damian de (1959). "Datos lingüisticos de la lengua Makiritare". Antropológica. 6: 7–46.
  17. ^ Escoriaza, Damian de (1959). "Algunos datos lingüisticos mas sobre la lengua Makiritare". Antropológica. 10: 61–70.
  18. ^ Civrieux, Marc de (1968). "Mitología Maquiritare". Revista de Cultura de la Universidad de Oriente. 3: 30–33.
  19. ^ Arvelo-Jiménez, Nelly (1971). Political relations in a tribal society: A study of the Ye'cuana Indians of Venezuela (PhD dissertation thesis). Cornell University.
  20. ^ Arvelo-Jiménez, Nelly (1977). "A study of the process of village formation in Ye'cuana society". In Basso, Ellen B. (ed.). Carib-speaking Indians: culture, society, and language. Tucson: University of Arizona Press. pp. 106–113.
  21. ^ Schuster, Meinhard (1976). Dekuana: Beiträge zur Ethnologie der Makiritare (Ergebnisse der Frobenius-Expedition 1954/55 nach Südost-Venezuela, III) (in German). Munich: Klaus Renner.
  22. ^ Heinen, H. Dieter (1983–1984). "Traditional social structure and change among the Ye'kuana Indians of the Upper Erebato, Venezuela". Antropológica. 59: 263–297.
  23. ^ Guss, David M. (1986). "Keeping it oral: a yekuana ethnology". American Ethnologist. 13 (3): 413–429. doi:10.1525/ae.1986.13.3.02a00010.
  24. ^ Hall, Katherine Lee (1988). The morphosyntax of discourse in De'kwana Carib: Volumes I and II (PhD dissertation thesis). University of Washington.
  25. ^ Hall, Katherine (1991). Degrees of transitivity in De'kuana (Carib) verb forms. Tupi-Carib Symposium, 47th ICA. New Orleans.
  26. ^ Chavier, M. (1999). Aspectos de la morfología del Yekwana (MA thesis thesis). Maracaibo: Universidad del Zulia.
  27. ^ Hall, Katherine (2000). "De'cuana". In Key, Mary Ritchie (ed.).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CD-ROM). Intercontinental Dictionary Series. Vol. 1. Irvine: University of California.
  28. ^ Cáceres, Natalia (2007). Introduction à la langue des Ye'kwana: Profil sociolinguistique et esquisse phonologique (MA thesis thesis). Université Lumière Lyon 2.
  29. ^ a b Coutinho Costa, Isabella (2013). O Número Em Ye'kuana: Uma Perspectiva Tipológica [Number in Ye'kwana: A Typological Perspective] (PDF) (in Portuguese).
  30. ^ "Ye'kuana (Maquiritari) language". Omniglot. Retrieved 20 September 2021.
  31. ^ 형태학이 명백하도록 모든 형태는 형태적으로 주어지며, 때때로 주어진 형태는 표면 형태가 아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