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루이
Tolui
| |||||||||||||
---|---|---|---|---|---|---|---|---|---|---|---|---|---|
태어난 | c. 1191 | ||||||||||||
죽은 | 1232 | ||||||||||||
배우자. |
| ||||||||||||
쟁점. |
| ||||||||||||
| |||||||||||||
하우스. | 보르지긴 | ||||||||||||
아버지. | 칭기즈칸 | ||||||||||||
어머니. | 뵈르테 우진 |
톨루이(c.Tolui, 1191–1232)는 칭기즈 칸과 뵈르테의 막내 아들이었습니다. 몽골 정복 초기에 뛰어난 장군이었던 톨루이는 1227년 그의 아버지의 뒤를 이을 유력한 후보였으며, 결국 2년 후 그의 형 외게데이가 즉위할 때까지 몽골 제국의 섭정을 맡았습니다. 톨루이의 아내는 소르가흐타니 베키였고, 그들의 아들로는 제국의 4대, 5대 카간인 멩케와 쿠빌라이, 그리고 일카나테의 창시자 훌라구가 있었습니다.
톨루이는 아버지가 권력을 잡을 때 형인 조치, 차가타이, 외게데이보다 활동량이 적었지만, 성인이 된 후에는 네 명 중 가장 뛰어난 전사로 여겨졌습니다. 그는 진나라의 첫 번째 침략 (1211–1215) 동안 그의 아버지 아래의 군대를 지휘했고, 몽골의 화라즈미 제국의 침입 동안 그의 뛰어난 복무는 그의 명성을 얻었습니다. 1220년 트란스옥시아나의 도시들이 함락되자, 칭기즈는 다음 해 초에 몽골군을 괴롭히기 시작한 호라산 지역을 정복하기 위해 톨루이를 파견했습니다. 톨루이는 무자비한 효율로 명령을 집행하여 메르브, 니샤푸르, 헤라트의 주요 도시들을 공격하고, 수많은 다른 도시들을 토벌했습니다. 중세 연대기 편찬자들은 300만 명 이상의 죽음을 니샤푸르와 메르브에서 그가 명령한 학살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수치들은 현대 역사가들에 의해 과장된 것으로 간주되지만, 톨루이 선거운동의 비정상적인 잔혹성의 증거입니다.
몽골인들의 전통적인 상속제도가 궁극적인 상속제도의 한 형태였기 때문에, 톨루이는 항상 그의 아버지의 뒤를 이을 유력한 후보였습니다. 불법 가능성과 지나친 오만 때문에 각각 조치와 차가타이를 제거함으로써 그의 입지는 강화되었습니다. 칭기즈는 결국 톨루이를 그의 관대함으로 유명한 외게데이의 편에 섰습니다. 톨루이가 1227년 중반에 사망했을 때 아버지의 마지막 선거운동에 참여했습니다; 그는 막내아들로서 아버지의 매장과 나라의 행정을 책임지는 섭정이 되었습니다. 톨루이가 스스로 칸이 되려는 바람에 2년간의 재위 기간이 길어진 것일 수도 있지만, 그는 결국 1229년에 즉위한 외게데이에게 충성을 맹세했습니다.
톨루이는 1230년 진나라와의 전쟁이 재개된 후 외게데이와 동행했습니다. 이 캠페인은 성공적이었고 그들은 2년 후 몽골로 돌아갔습니다. 톨루이는 1232년 말에 불분명한 상황에서 사망했습니다. 그가 무속 의식 중에 사망했다는 공식 기록이 있는데, 그가 알코올 중독으로 죽었거나, 외게데이가 그를 독살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그의 사후에 톨루이의 토지와 영지를 소유한 소르가흐타니는 외게데이의 아들 귀ü이 죽은 후인 1251년에 그녀의 아들 멩케가 권력을 잡도록 보장하기 위해 충분한 부를 축적하고 지지자들을 모았습니다.
인생
칭기즈 아래의 삶 c.(1191–1227)
역사학자 Christopher Atwood는 그가 1191년 또는 1192년에 태어났다고 생각하는 반면,[2] 죄학자 Frederick W. Mote와 Paul Ratchnevsky는 그 날짜를 1180년대 후반에 정했습니다.[3] 그는 훗날 칭기즈칸이 되는 테무진과 그의 첫 번째 부인 뵈르테 사이에서 태어난 넷째 아들이었고, 그의 형들은 조치(b.1184),b. 차가타이(1185), 외게데이(1186)b.였습니다.[4] 그는 또한 다섯 명의 완전한 자매를 두었는데, 그들은 태어난 순서대로 코진, 체치예겐, 알라카, 투멜룬, 알툰이었습니다.[5] "톨루이" (몽골 문자: ᠲᠤᠯᠤᠢ, 몽골어: '거울'이라는 뜻의 олуй т)라는 이름 또한 영어로 번역되어 Toli와 Tuluy로 다른 철자법들이 있습니다. 역사학자 이센바이크 토건(Isenbike Togan)은 "톨루이(Tolui)"가 전통적으로 막내아들에게 주어진 제국 이전의 에피토프(epitotchigin)를 대체하기 위해 칭기즈가 의도한 칭호라고 추측했습니다.[7]
테무진이 타타르족을 상대로 벌인 1196년 전쟁 직후, 당시 어린 아이였던 톨루이는 두 가지 자료에서 언급된 납치 시도의 대상이었습니다: 13세기 몽골 시 몽골인들의 비밀 역사와 14세기 페르시아 역사가 라시드 알 딘의 자미 알 타와리크 역사. 비밀의 역사에 따르면, 5살의 톨루이는 다른 두 명의 몽골인이 그를 죽일 때까지 타타르 납치범을 붙잡은 보로쿨 장군의 아내인 알타니에 의해 구출되었습니다. 반면 라시드 알 딘은 톨루이가 인근 몽골 양치기 개의 도움으로 당시 어린 청소년이었던 그의 입양된 형 시지 쿠투크에 의해 구출되었다고 말합니다.[8] 1203년 케레이트 칸 토그룰이 패망하고 죽은 후, 톨루이는 토그룰의 조카인 소르가흐타니 베키와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신자인 손녀 도쿠즈 카툰을 아내로 맞이했습니다.[9] 톨루이와 소르가흐타니는 1209년에 첫 아들 뫼그케를 낳았고, 쿠빌라이와 훌라구는 각각 1215년과 1217년에 그 뒤를 이었고, 그들의 마지막 아들 아리크 뵈케는 10년 이상 후에 태어났습니다.[10]
톨루이는 1206년 쿠룰타이에서 칭기즈 칸이라는 칭호를 얻은 테무진의 아들들 중 최고의 전사로 여겨졌습니다.[11] 그는 진나라의 침략 기간 동안 군대를 지휘했고, 칭기즈가 시경(현재의 다퉁) 포위전에서 화살에 상처를 입었을 때, 톨루이는 몽골군이 철수할 때까지 포위군을 지휘하도록 임명되었습니다.[12] 1213년 가을, 형주 치구와 함께 주용 고개 습격을 준비하던 중, 덱싱 성벽을 습격했습니다.[13]
호라산 운동 (1221)
톨루이는 1219년에 시작된 흐라즈미 제국의 침략 기간 동안 아버지의 군대와 처음으로 동행했습니다. 그들은 1220년 초에 트란스옥시아나의 주요 중심지인 흐라잠샤의 수도 사마르칸트와 부하라를 공격하기 위해 계속되는 오트라르 포위전을 우회했습니다.[14] 후자는 빠른 포위 끝에 2월에 붙잡혔고, 사마르칸트는 두 달 후 함락되었습니다.[15] 칭기즈는 투르키스탄 산맥으로 남하하여 여름 동안 군대를 쉬었고, 그의 장군 제베와 수부타이는 서쪽으로 이동하고 그의 아들들은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습니다. 그는 가을에 나타나 테르메즈를 공격하고 점령했습니다.[16] 톨루이와 그의 아버지는 오늘날 타지키스탄의 바흐슈 강 상류에서 반란군들을 상대로 1220년에서 1221년 겨울을 보냈습니다. 이 무렵, 제베와 수부타이는 이란 서부로 이주했고, 호라산 지역에서 그들에게 이전에 제출했던 도시들은 더욱 대담해 졌고, 칭기즈 칸의 사위 토쿠차르는 1220년 11월 니사푸르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사망했습니다.[17] 1221년 초 발흐를 점령하고 탈리칸을 포위하는 동안 칭기즈는 넓고 부유한 지역에 반대 세력이 남아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톨루이를 호라산으로 파견했습니다. 그의 임무는 가능한 한 지역과 그 도시들을 평화롭게 하고 복속시키는 것이었고, 그는 역사가 J.A.의 말을 빌리자면, "그 지역이 결코 회복되지 않은 철저함으로" 그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보일.[18]
톨루이의 군대는 흐와라즈미인 징집병에 의해 증원된 몽골 침공군의 10분의 1로 구성되어 있었고, 역사학자 칼 스베르드루프는 그 규모를 약 7,000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20] 그는 발흐에서 무리차크까지 서쪽으로 진군하여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렀습니다.투르크메니스탄은 국경을 접하고, 마르가브 강과 그 지류인 쿠슈크 강을 건너 남쪽에서 메르브 시로 접근했습니다. 그는 2월 24일 밤에 투르크멘족의 사냥꾼들을 매복시켰고, 기습 공격으로 사냥꾼들의 허를 찔렀고, 몽골군에 의해 죽임을 당하지 않았거나 강에 익사하지 않은 사람들은 뿔뿔이 흩어졌습니다. 몽골군은 다음날 메르브에 도착했습니다.[21] 톨루이는 6일 동안 도시를 사정한 끝에 도시 요새가 오랜 포위전을 견뎌낼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7일째 되는 날 총공격을 당한 마을 사람들은 두 번이나 소탕을 시도했지만 저항의 의지를 잃고 공정하게 대하겠다고 약속한 몽골군에게 항복했습니다.[22] 그러나 톨루이는 이 보장을 어기고, 소수의 장인과 아이들을 제외한 모든 백성을 평원으로 몰아내고 칼에 넣으라고 명령했습니다. 몽골 병사 한 명당 3~4백 명의 사람을 죽였다고 하는데, 동시대의 연대기 작가 이븐 알 아티르는 사망자를 70만 명으로 추정했고, 연대기 작가 아타 말릭 주바이니는 몇 십 년 후에 쓴 글에서 한 성직자가 사망자를 세는데 13일이 걸렸고 1,300명의 숫자에 도달했다고 기록했습니다.000.[23]
한편 톨루이는 니샤푸르를 향해 남서쪽으로 진군했는데, 니샤푸르는 이미 전쟁 중에 여러 가지 사건을 목격하고 있었습니다. 1220년 4월 18일, 몽골군의 트란스옥시아나 진격을 피해 흐와라즈미 제국의 통치자 무함마드 2세가 거의 1년 전인 1220년 4월 18일에 도착했습니다. 그는 그해 5월 중순, 때마침 다음 날 도착한 제비와 수부타이의 군대를 피해 출발했습니다.[24] 그 도시는 장군들에게 그들의 성벽을 줄이고 지나가는 몽골인들을 도와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그 도시는 이러한 지시에 귀 기울이지 않았고, 대신 몽골인들에게 문제를 야기하기 시작했고, 그가 통제를 시행하려고 했을 때 토쿠차르를 죽였습니다.[25] 현재 사망한 무함마드 2세의 장남이자 후계자인 잘랄 알딘은 1221년 2월 10일 제국의 수도인 구르간즈에서 계속되는 몽골군의 포위를 피해 도시에 도착했습니다. 그는 조잔 방향으로 출발하기 전까지 불과 이틀 동안 도시에 머물렀습니다.[26]
톨루이는 4월 7일 도시에 도착했고 주민들은 그의 군대의 규모에 경외감을 느끼고 즉시 항복 조건에 동의하려고 했습니다. 칸의 사위를 살해한 것은 몽골인들에게 심각한 모욕이었기 때문에, 모든 제안은 거절당했고, 4월 9일에 성벽이 뚫리고 다음날 도시가 함락되는 등 공격은 끝이 나기 전에 시작되었습니다.[27] 유바이니에 따르면, 토쿠차르의 미망인이 400명의 장인을 제외한 도시 전체의 학살을 감독했다고 합니다. 메르브와 달리 아이들은 모두 숨졌고, 도시의 모든 고양이와 개를 포함해 174만 7천 명으로 추정되는 희생자들의 시신은 엄청난 더미로 쌓여 있었습니다.[28] 그 후 땅을 갈아엎었습니다.[29] 그 지역을 행진하는 동안, 톨루이는 아비워드, 나사, 투스, 자함과 같은 주변의 마을들에도 지원군을 보냈습니다.[30]
호라산의 마지막 도시인 헤라트의 운명에 대해 약간의 혼란이 있었습니다. 20세기 초 역사학자 바실리 바르톨드는 1400년대의 지역 역사를 인용하여 수비대를 제외하고는 주민들 중 아무도 죽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근처에서 몽골군과 싸웠던 연대기 편찬가 민하지 시라지 주자니는 8개월 동안의 포위 공격 끝에 도시가 함락되고 인구가 학살되었다고 기록했습니다.[31] 1944년 재발견된 연대기 덕분에 지금은 헤라트의 포위망이 두 개 있었다는 것이 알려졌습니다. 첫 번째는 몽골 외교관이 마을에서 처형된 것에서 시작되었고, 분노한 톨루이는 8일 동안 공격을 가했고, 그 결과 마을의 말릭(지배자)이 사망했습니다. 도시 해자 끝에서 톨루이는 주민들이 항복하면 살려주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메르브에서와는 달리 몽골군은 그들의 약속을 지켰고, 도시 수비대의 12,000명만 죽였습니다. 몽골인 감독관을 임명하여 마을을 통치한 톨루이는 1221년 중반에 탈리칸에 있는 그의 아버지와 다시 합류하기 위해 그 지역을 떠났습니다.[32] 1222년 6월 7일간의 학살로 1,600,000명에서 2,400,000명 사이의 사람들을 죽였다고 전해지는 몽골 장군 엘지기데이에 의해 그 인구는 반란을 일으켰고 수개월 동안 포위당했습니다.[33]
현대 역사학자들은 전통적으로 톨루이가 호라산에서 벌인 캠페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를 과장했다고 생각합니다. 메르브, 니샤푸르, 헤라트 시는 보고된 인구의 일부만을 지원할 수 있었고,[34] 인구는 거의 기적적으로 파괴된 도시로 돌아왔다고 보고되었습니다.칭기즈 칸의 양자 시지 쿠투쿠크는 또 다른 반란을 일으킨 후 1221년 11월 메르브에서 10만 명을 추가로 죽이라고 명령했다고 합니다.[35] 그러나 이 수치는 인구 통계학적 재앙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원주민들은 파괴를 정량화하기가 어려웠습니다.[36] 역사학자 Michal Biran은 몽골인들이 동아시아의 실용적으로 잔인한 전쟁을 덜 무자비한 이슬람 세계로 가져온 속도가 이러한 문화적 충격의 요인이었다고 제안했습니다.[37]
섭정과 계승 문제 (1227–1229)
몽골 스텝의 부족들은 고정된 후계 체계가 없었지만, 종종 막내 아들이 자신의 형들과 달리 추종자를 얻을 시간이 없었고 아버지의 유산의 도움이 필요했기 때문에 결국에는 막내 아들의 후계자로 전락했습니다.[39] 직함이 아닙니다.[40] 몽골의 관리 제도를 통해 칭기즈는 자신의 가까운 가족 구성원 한 명 한 명에게 토지와 인구를 재산으로 할당했습니다. 그의 형제 카사르와 하치운과 테무게와 벨구테이는 동쪽의 대칭간 산맥을 따라 땅을 받았고,[41] 그의 세 큰 아들의 땅은 서쪽에 있었습니다. 이르티시 강을 따라 시베리아와 킵차크 지방에 걸쳐 있는 조치와 차가타이와 튀르케스탄의 알말리를 둘러싼 옛 카라히타이 영토, 외게데이는 중가리아에,[a] 몽골의 조국인 톨루이는 알타이 산맥 근처에 있습니다.[43]
몽골 비밀사에는 그가 1219년 화라즈미인 원정을 준비하면서 아내 이스이의 명으로 후계자를 선택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라시드 알딘은 이 결정이 칸이 시아 왕조를 상대로 마지막 작전을 펼치기 전에 내려졌다고 말합니다.[44] 날짜에 상관없이 5명의 후보가 가능했습니다. 칭기즈칸의 네 아들과 그의 막내 동생 테무게는 가장 약한 주장을 가지고 있었고 심각하게 고려되지 않았습니다.[45] 뵈르테가 메르키트 부족원들에게 납치되어 강간당한 뒤 태어난 조치가 사생아일 가능성이 높았지만 칭기즈는 이에 특별히 신경 쓰지 않았지만,[46] 그와 조치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소원해졌습니다. 이는 자신의 영역이 될 부유한 도시를 파괴하는 것을 꺼리는 조치가 결국 칭기즈 칸에게 부티의 몫을 주지 못하는 상황을 초래한 구르간지 공성전 동안 조치가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고 성장시키는 것을 선호했기 때문입니다.[47] 칭기즈는 1223년에 조치가 쿠룰타이에 참석하지 않은 것에 화가 났으며, 조치가 심각한 병으로 죽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외게데이와 차가타이를 보내 그를 다시 돌아오게 할 것을 고려하고 있었습니다.[48]
차가타이의 후계자에 대한 태도는, 그의 형을 "메르키트의 나쁜 놈"이라고 부르고, 그들의 아버지 앞에서 그와 싸움을 벌였던 칭기즈가 몽골의 법률 관습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비타협적이고 오만하며 편협한 사람으로 간주하도록 이끌었습니다.[49] 그의 탈락으로 외게데이와 톨루이가 두 명의 주요 후보로 남게 되었습니다. 톨루이는 의심할 여지 없이 군사적인 면에서 월등했습니다. 호라산에서의 그의 작전은 화라즈메 제국을 무너뜨린 반면, 외게데이는 지휘관으로서 능력이 훨씬 떨어졌으며 몽골 기준으로도 과도하게 술을 마시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50] 그러나 그는 온 나라의 모든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었고 관대함, 예의, 그리고 중재와 타협의 의지로 유명했습니다. 자신의 군사적 기술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고 능력 있는 부하들에게 자신의 신뢰를 돌렸습니다. 그는 또한 톨루이보다 몽골의 전통을 보존할 가능성이 높았는데, 톨루이의 아내인 소르가흐타니는 그녀 자신이 네스토리우스 기독교 신자이며 다른 많은 종교들의 후원자였습니다.[51]
톨루이는 그의 아버지 칭기즈 칸과 동행하고 있었습니다. 그가 1227년 시아를 반대하는 운동을 하던 중 사망했습니다. 막내아들로서 톨루이는 섭정을 하고 제국을 통치했습니다. 아마도 이전의 전통을 바탕으로 칸의 사후에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한 선례를 만들었습니다. 여기에는 몽골군을 포함한 모든 공격적인 군사 행동의 중단, 섭정이 감독하는 긴 애도 기간의 설립, 후계자를 지명하고 그들을 선발하는 쿠룰타이의 개최 등이 포함되었습니다.[52] 톨루이에게 이것은 기회를 주었습니다. 그는 여전히 유력한 후계자였고 조치 가문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칭기즈가 칭기즈를 임명하고 명예롭게 한 지휘관들이 참석한 쿠룰타이 장군은 의심할 여지 없이 그들의 이전 통치자의 욕망을 관찰하고 외게데이를 통치자로 임명했습니다. 톨루이가 쿠루타이를 잡기를 꺼린 것은 그의 야망에 대한 위협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제안되었습니다.[53] 결국 톨루이는 관료인 옐루 추카이에 의해 쿠룰타이를 차지할 것을 확신해야 했습니다. 1229년, 톨루이는 새로운 통치자를 칭송한 최초의 인물로 기록된 외게데이를 칸으로 즉위시켰습니다. 톨루이를 좋아하는 연대기 작가들이 쓴 비밀의 역사는 그의 역할을 과장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54]
외게데이 치하의 삶과 죽음 (1229–1232)
산시성의 진나라의 잔당들은 1230년 통관 고개에서 몽골 장군을 무찌른 후, 외게데이의 치세 초기에 다루기가 어려웠습니다. 가을에 외게데이는 톨루이와 외게데이의 자식이 없는 세 번째 부인 앙퀴가 키웠던 아들 멩케와 함께 직접 들판으로 나갔습니다.[55] 이 캠페인의 대부분의 사건들은 연대적인 어려움과 나중에 금기시되는 정보의 억압으로 인해 출처가 혼란스럽습니다. 다음은 역사학자 Christopher Atwood의 대략적인 개요입니다. 퉁관 고개에서의 패배는 두 번 더 이어졌을 것이며, 그 중 한 번은 수부타이에 대한 패배를 포함하여, 그는 외게데이의 통치의 안정을 위협했고, 그는 가까운 가족들과 함께 개인적으로 출발했습니다.[56] 톨루이의 아들 쿠빌라이의 치세에 기록된 많은 자료들은 그 패배를 외게데이의 부족한 장군직과 그 이후의 승리에 대한 톨루이의 공, 그리고 그의 형제의 애처로운 불평을 지혜의 말로 질책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57]
진군이 확보한 퉁관 고개와 황폐해진 산시성의 기근에 시달리던 몽골군을 형제는 내몽골로 철수시켜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들은 아버지의 의견 중 하나를 채택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톨루이는 수부타이와 시기쿠투크와 함께 산시 남쪽으로 송나라를 건너 통관을 우회하고, 오게데이는 황하를 따라 진나라의 수도 카이펑을 향해 진군했습니다.[58] 이 위험한 전략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비록 톨루이의 부하들이 식인 풍습에 의존하는 그러한 박탈감을 겪었지만, 그는 훼손되지 않은 송나라에서 식량을 모으고, 허난성의 진성으로 다시 건너가 1232년 2월 9일 상풍산에서 적과 교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진나라는 톨루이의 군대보다 훨씬 많은 수를 차지하여 군대에 있는 몽골 여인들을 모두 강간하겠다고 위협했고, 톨루이의 군대가 승리를 거두자 진나라 군대 전체를 소도마화하는 것으로 보복했습니다.[59] 톨루이의 성공은 몽골 궁정에서 그의 입지를 강화시켰고, 오게데이의 평범한 군사적 성과는 그 자신의 입지를 약화시켰습니다.[60]
톨루이는 그해 말 베이징 근교에서 의문의 상황에서 사망했습니다. 그는 수부타이가 카이펑을 포위하는 동안 형과 함께 북쪽으로 이동했습니다.[61] 《밀사》의 공식 기록에 따르면, 그는 진나라의 사악한 신령들에게 저주받은 외게데이를 구하기 위해 무속 의례로 목숨을 바쳤고, 비록 무속인들이 신령들에게 부티나 가축, 평민들의 선물로 뇌물을 주려 했지만, 그들은 황실의 일원만을 기꺼이 받아들였습니다.[62] 톨루이는 아버지가 생전에 한 예언에 따라 이 운명을 자청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외게데이가 톨루이를 살해했다는 의심을 불러일으키는 특이한 이야기입니다.[63] 애트우드는 이러한 의혹들이 비밀 역사가의 의도된 목적이라고 이론을 세웠는데, 톨루이의 후손들이 외게데이드 경쟁자들의 미묘한 신용을 떨어뜨리고 싶어한다는 후원 아래 글을 썼습니다.[64] 그는 주바이니가 기록한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사망에 대한 프로사적 설명이 가장 가능성이 높았다고 제안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르가흐타니는 몽골 궁정에서 그녀의 가족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공식적인 노선을 전파했습니다.[65]
외게데이의 명령으로 톨루이가 사망한 후에 그의 재산을 상속받았으며, 몽골에 있는 그의 광대한 영지들의 후원으로 그녀는 제국에서 가장 존경받고 영향력 있는 인물들 중 한 명이 되었습니다.[66] 그녀는 1252년 톨루이 혁명, 장남 멩케의 즉위, 황실의 외게데이드와 차가타이드 분파에 대한 거의 완전한 숙청으로 절정에 이른 황금 호드에서 조치의 후손들과의 동맹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67] 톨루이족은 차남 쿠빌라이의 치하에서 원나라로 발전하여 몰락하고, 차남 훌라구는 페르시아의 일카나테를 건국한 후에도 황권을 유지했습니다.[68] 이후 13세기 말 원나라를 세운 뒤 쿠빌라이에 의해 카간으로 승격되었고, 소르가흐타니와 함께 오늘날 칭기즈칸 묘소에 본부를 둔 몽골 팔백유르트교의 주요 인물이 되었습니다.[69]
가족
몽골 제국의 카간이나 섭정들은 굵은 글씨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출처:[70]
회룬 | 예스게이 | ||||||||||||||||||||||||||||||||||||||||||||||||||||||
뵈르테 | 칭기즈칸 | 하사르 | 하치운 | 테무게 | |||||||||||||||||||||||||||||||||||||||||||||||||||
조치 | 차가타이 | 외게데이 | 톨루이 | Sorghaghtani Beki | |||||||||||||||||||||||||||||||||||||||||||||||||||
귀ü | 멍케 | 쿠빌라이 | 훌라구 | 아리크 뵈케 | |||||||||||||||||||||||||||||||||||||||||||||||||||
젠진 | |||||||||||||||||||||||||||||||||||||||||||||||||||||||
테무르 | |||||||||||||||||||||||||||||||||||||||||||||||||||||||
참고문헌
메모들
인용
- ^ a b c d Moule 1957, 102쪽.
- ^ Atwood 2004, pp. 46, 542.
- ^ Mote 1999, 428쪽; Ratchnevsky 1991, 228쪽.
- ^ Atwood 2004, p. 4; Mote 1999, p. 428.
- ^ 2018년 5월 51페이지
- ^ Atwood 2004, p. 542; Togan 2016, pp. 417–418.
- ^ 토건 2016, pp. 416–420.
- ^ Ratchnevsky 1993, 페이지 77–78; Atwood 2004, 페이지 542.
- ^ Atwood 2004, pp. 425, 542; Mote 1999, pp. 417–420; Ratchnevsky 1991, pp. 80.
- ^ Atwood 2004, pp. 21, 511–512.
- ^ Atwood 2004, p. 542; Mote 1999, p. 428; Ratchnevsky 1991, p. 89–90.
- ^ 2018년 5월 51-52쪽; Ratchnevsky 1991, 110쪽.
- ^ Atwood 2004, p. 542; Sverdrup 2017, p. 114.
- ^ Jackson 2017, pp. 77–78; Buniyatov 2015, pp. 114–117.
- ^ Biran 2012, 56-58쪽; Jackson 2017, 78쪽.
- ^ Boyle 2007, pp. 308–311.
- ^ Boyle 2007, pp. 311–314; Manz 2010, pp. 134–135.
- ^ Jackson 2017, p. 79; Manz 2010, p. 134–135; Boyle 2007, p. 312.
- ^ 리너트 2011.
- ^ Manz 2010, pp. 134–135; Jackson 2017, p. 79; Sverdrup 2017, pp. 160–161.
- ^ Boyle 2007, p. 313.
- ^ Man 2004, pp. 175–176; Boyle 2007, pp. 313.
- ^ Boyle 2007, pp. 313–314; Man 2004, pp. 176–177.
- ^ Boyle 2007, pp. 306–307.
- ^ Biran 2012, p. 60; Boyle 2007, p. 310, 314; Jackson 2017, p. 80.
- ^ Boyle 2007, 317쪽.
- ^ Boyle 2007, p. 314; Sverdrup 2017, p. 161.
- ^ Atwood 2004, p. 343; Boyle 2007, p. 314–315; Morgan 1986, p. 74.
- ^ Biran 2012, p. 60; Man 2004, p. 174.
- ^ 잭슨 2017, 80쪽.
- ^ Boyle 2007, p. 315.
- ^ Boyle 2007, pp. 315–317.
- ^ Boyle 2007, p. 316.
- ^ Atwood 2004, p. 344; Morgan 1986, pp. 74–77.
- ^ 남자 2004, 178-179쪽.
- ^ Atwood 2004, p. 344; 2018년 5월, p. 63; Morgan 1986, p. 78.
- ^ Biran 2012, 64-65쪽.
- ^ 2018년 5월 66페이지
- ^ Fitzhugh, Rossabi & Honeychurch 2009, 페이지 109.
- ^ 토건 2016, 페이지 408-409; 2018년 5월, 페이지 68.
- ^ Atwood 2004, p. 45.
- ^ Biran 2012, 69쪽.
- ^ Favereau 2021, p. 65; Atwood 2004, p. 18; Biran 2012, p. 69.
- ^ Ratchnevsky 1991, p. 125; 2018년 5월, p. 69.
- ^ 2018년 5월 69쪽
- ^ Mote 1999, 434쪽; 2018년 5월 69쪽; Favereau 2021, 65쪽.
- ^ Barthold 1992, pp. 457–458; Favereau 2021, pp. 61–62.
- ^ Ratchnevsky 1991, pp. 136–137; Atwood 2004, pp. 278–279.
- ^ Atwood 2004, 페이지 81; 2018년 5월, 페이지 69.
- ^ 2018년 5월 69-70쪽; Barthold 1992, 463쪽; Atwood 2004, 418쪽.
- ^ Ratchnevsky 1991, pp. 126–128; 2018년 5월, pp. 69–70; Boyle 2007, pp. 540–541; Barthold 1992, pp. 463.
- ^ Atwood 2004, p. 542; 2018년 5월, pp. 68-69.
- ^ Barthold 1992, p. 463; 2018년 5월, pp. 70–71, 94–95.
- ^ Barthold 1992, 페이지 463; 2018년 5월, 페이지 94–95.
- ^ Atwood 2004, 페이지 277, 362.
- ^ Atwood 2015, 264-267쪽.
- ^ Atwood 2015, 268-269쪽.
- ^ Atwood 2015, pp. 270-271; Sverdrup 2017, pp. 233-238.
- ^ Atwood 2015, pp. 271–272; Sverdrup 2017, pp. 250–252.
- ^ Atwood 2015, pp. 272–273.
- ^ 남자 2004; Atwood 2004.
- ^ de Rachewiltz 2015, §272.
- ^ Atwood 2004, p. 542; Atwood 2008, p. 193; 2018년 5월, p. 97-98.
- ^ Atwood 2008, pp. 198–202.
- ^ Atwood 2008, pp. 199–202; Atwood 2015, pp. 273–274.
- ^ Atwood 2004, 362, 512쪽.
- ^ Atwood 2004, p. 512; Biran 2012, p. 78; 2018년 5월, p. 144–151.
- ^ 모건 1986, 페이지 117; Biran 2012, 페이지 80–81.
- ^ Atwood 2004, 161-165쪽; Moule 1957, 102쪽.
- ^ Mote 1999, 415쪽.
원천
- Atwood, Christopher P. (2004).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New York: Facts on File. ISBN 978-0-8160-4671-3. Retrieved 2 March 2022.
- Atwood, Christopher P. (2008). "The Sacrificed Brother in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Mongolian Studies. 30/31: 189–206. JSTOR 43193541.
- Atwood, Christopher P. (2015). "Pu'a's Boast and Doqolqu's Death: Historiography of a Hidden Scandal in the Mongol Conquest of the Jin". Journal of Song-Yuan Studies. 45: 239–278. doi:10.1353/sys.2015.0006. JSTOR 44511263. S2CID 164390721.
- Barthold, Vasily (1992) [1900]. Bosworth, Clifford E. (ed.). Turkestan Down To The Mongol Invasion (Third ed.).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ISBN 978-8-1215-0544-4.
- Biran, Michal (2012). Genghis Khan. Makers of the Muslim World. London: Oneworld Publications. ISBN 978-1-7807-4204-5.
- Boyle, John Andrew (2007) [1968].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5: The Saljuq and Mongol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HOL9780521069366. ISBN 978-1-1390-5497-3.
- Buniyatov, Z. M. (2015) [1986]. A History of the Khorezmian State under the Anushteginids, 1097–1231 Государство Хорезмшахов-Ануштегинидов: 1097–1231. Translated by Mustafayev, Shahin; Welsford, Thomas. Moscow: Nauka. ISBN 978-9-9433-5721-1.
- Favereau, Marie (2021). The Horde: How the Mongols Changed the World.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doi:10.2307/j.ctv322v4qv. ISBN 978-0-6742-5999-7. JSTOR j.ctv322v4qv.
- Fitzhugh, William W.; Rossabi, Morris; Honeychurch, William, eds. (2009). Genghis Khan and the Mongolian Empire. Washington: Mongolian Preservation Foundation. ISBN 978-0-2959-8957-0.
- Jackson, Peter (2017). The Mongols and the Islamic World: From Conquest to Conversio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1-2533-7. JSTOR j.ctt1n2tvq0.
- Man, John (2004). Genghis Khan: Life, Death and Resurrection. London: Bantam Press. ISBN 978-0-3123-1444-6.
- Manz, Beatrice Forbes (2010). "The rule of the infidels: the Mongols and the Islamic world". In Morgan, David; Reid, Anthony (eds.).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slam Volume 3: The Eastern Islamic World, Eleventh to Eighteenth Centuries.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slam (1st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5031-5.
- May, Timothy (2018). The Mongol Empire.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ISBN 978-0-7486-4237-3. JSTOR 10.3366/j.ctv1kz4g68.
- Morgan, David (1986). The Mongols. The Peoples of Europe. Oxford: Blackwell Publishing. ISBN 978-0-6311-7563-6.
- Mote, Frederick W. (1999). Imperial China, 900–1800.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1212-7.
- Moule, Arthur C. (1957). The Rulers of China, 221 BC–AD 1949. London: Routledge. OCLC 223359908.
-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A Mongolian Epic Chronicle of the Thirteenth Century (Shorter Version; edited by John C. Street). Translated by de Rachewiltz, Igor. Bellingham: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2015. Retrieved 22 November 2022.
- Ratchnevsky, Paul (1991). Genghis Khan: His Life and Legacy. Translated by Thomas Haining. Oxford: Blackwell Publishing. ISBN 978-0-6311-6785-3.
- Ratchnevsky, Paul (1993). "Sigi Qutuqu (c. 1180–c. 1260)". In de Rachewiltz, Igor (ed.). In the Service of the Khan: Eminent Personalities of the Early Mongol-Yüan Period (1200–1300).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ISBN 978-3-4470-3339-8.
- Reinert, B. (2011). "AṬṬĀR, FARĪD-AL-DĪN". In Yarshater, Ehsan (ed.).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Encyclopædia Iranica Foundation. Retrieved 15 August 2023.
- Sverdrup, Carl (2017). The Mongol Conquests: The Military Campaigns of Genghis Khan and Sübe'etei. Solihull: Helion & Company. ISBN 978-1-9133-3605-9.
- Togan, Isenbike (2016). "Otchigin's Place in the Transformation from Family to Dynasty". In Zimonyi, Istvan; Karatay, Osman (eds.). Central Asia in the Middle Ages: Studies in Honour of Peter B. Golden. Turcologica. Vol. 104.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407–423. ISBN 978-3-4471-06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