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MEM63A

TMEM63A
TMEM63A
식별자
에일리어스TMEM63A, KIAA0792, 막 통과단백질 63A, HLD19
외부 IDMGI: 2384789 HomoloGene: 101673 GenCard: TMEM63A
맞춤법
종.인간마우스
엔트레즈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14698

NM_144794

RefSeq(단백질)

NP_055513

NP_659043

장소(UCSC)Chr 1: 225.85 ~225.88 MbChr 1 : 180.77 ~180.8 Mb
PubMed 검색[3][4]
위키데이터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표시/편집

TMEM63A [5][6][7]유전자에 의해 인체 내에서 암호화되는 단백질이다.성숙한 인간 단백질은 약 92.1 킬로달톤(kDa)이며, 정형외과에서 [8]질량의 보존이 상대적으로 높다.단백질은 11개의 막 통과 도메인을 포함하고 리소좀[9][10]막에 삽입된다.인간의 TMEM63A에 대한 바이오GPS 분석에 따르면 이 유전자는 어디에서나 발현되며 T세포수지상세포에서 [11]가장 높은 수준의 발현을 보인다.

개요

TMEM63A염기쌍 226,033,237에서 226,070,[7]069에 걸쳐 1q42.12 위치에 있는 염색체 1의 음성 DNA 가닥에 위치한다.별칭으로는 KIAA0489와 KIAA0792가 있습니다.인간 유전자 생성물은 4,469개의 염기쌍 mRNA이며 25개의 예측 엑손이 [12]있다.유전자에는 9개의 예측 스플라이스 동형식이 있으며, 그 중 3개는 단백질 코딩이다.프로모터 분석은 Genomatix Software 페이지를 통해[13] El Dorado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예측된 프로모터 영역은 염색체 1의 음성 가닥에서 226,070,920에서 226,069,950까지의 971개의 염기쌍에 걸쳐 있다.

유전자 근방

TMEM63A는 1번 염색체 DNA의 양감사슬의 EPX1 유전자와 음감사슬의 [7]LEFTY1 유전자에 인접해 있다.염색체 1의 같은 영역에 있는 다른 유전자는 양성 가닥의 SRP9와 LEFTY3, 음성 가닥의 MIR6741과 PYCR2포함한다.

표현

TMEM63은 CD 8+ T 세포와 CD 4+ T [11][14]세포에서 가장 높은 상대적 유병률과 함께 다양한 수준에서 인체 전체에 널리 발현된다.적당한 상대적 수준의 발현 또한 뇌, 특히 후두엽, 두정엽, 그리고 [14]췌장에서 관찰된다.BioGPS를 이용한 마우스 내 TMEM63A 발현 분석 결과 보다 다양한 발현 [11]패턴이 나타났으며, 위와 대장에서 가장 높은 발현을 보였다.Genomatix의 El Dorad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사인자 조절을 예측하였으며, 이는 "TMEM63A"가 E2F 세포주기 조절제 [13]에서 발현되는 종양억제유전자라고 생각되는 EGR1에 의해 고도로 조절된다는 것을 발견했다.3' UTR은 규제 요소 miR-9/[15]9ab에 의해 결합될 것으로 예측된다.

단백질

속성 및 특성

인간 TMEM63A 단백질의 성숙한 형태는 등전점이 6.[8]925인 807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가지고 있다.이것은 맞춤법 전반에 걸쳐 상당히 보존되어 있다.BLAST 정렬 결과 단백질에는 RSN1_TM의 3개 도메인과 미지의 기능 도메인 2개(DUF4463 및 DUF221)[16]가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RSN1_TM은 골지 소포 운반과 세포외증에 관여할 것으로 예상된다.DUF4463은 세포질이며 RNA 결합 단백질과 원거리 상동성이다.이 도메인은 단백질의 N-말단리소좀 내에 있고 C-말단세포졸에 있는 상태에서 에서 단백질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번역수정은 실험 및 생체정보 분석을 모두 사용하여 결정되었다.단백질에는 글리코실화 부위가 두 개 있을 수 있습니다.N38 및 N450.[17]이들은 [18]ExPASy 및 TMEM63A 아미노산 배열의 NetNGLYC 프로그램과 막 내 단백질의 추정 배향을 사용하여 예측되었다.단백질에는 NetPh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예측된 S85,[19] S98 및 S735의 세 가지 인산화 부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단백질은 세 가지 동질 형태를 가지고 있다.성숙한 단백질은 isoform CRA로 불린다.다른 두 개의 아이소폼은 X1과 X2로 각각 630개의 아미노산 잔기와 468개의 아미노산 잔기이다.Isoform X1은 성숙한 단백질의 N-말단을 결손하고, Isoform 2는 C-말단[8]결손한다.

상호 작용

텍스트 기반 정보를 사용하여 TMEM63A는 EEF1D,[20] FAM163B, CPNE9, TMEM90A, STAC2, HEATR3, WDR67[21]6가지 다른 단백질과 잠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능.

TMEM63A의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22] 한 연구에서는 상피 항상성과 관련된 mir-200a에 의해 조절될 가능성이 있는 영역에 있었다.또 다른 연구 결과 할로페리돌 유도 [23]강직증과 관련된 정량적 특성 궤적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진화사

패럴로그

TMEM63A에는 6p21.1에 있는 TMEM63B와 C14orf171에 [24]있는 TMEM63C의 2개의 패럴로그가 있습니다.이들 사이의 얼라인먼트는 TMEM63C가 [8]TMEM63A보다 TMEM63B에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BLAST 정렬은 식물과 같은 원거리 관련 단백질에 TMEM63A와 TMEM63B의 상동성을 보여주었고, TMEM63C는 드로소필라에서 [16]상동성을 보였다.이는 TMEM63C가 무척추동물 초기에 두 가지에서 분리되었음을 나타낸다.

직교 공간

TMEM63A는 넓은 직교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식물과 같이 먼 거리에 있는 유기체에 상동체가 존재한다.

속과 종 통칭 학급 가입 아이덴티티 비율
오톨무르 가넷티 부시 베이비 젖꼭지 XP_003791028.1 91%
비쿠냐파코스 알파카 젖꼭지 XP_006198896.1 92%
근골근 마우스 젖꼭지 NP_659043.1 90%
마나투스라티로스트리스 서인도매너티 젖꼭지 XP_004375949.1 89%
루푸스 낯익은 개 젖꼭지 NP_001274088.1 89%
미오티스다비디 쥐귀박쥐 젖꼭지 XP_006761379.1 80%
시넨시스메로디스카스 중국 연갑거북 용각류 XP_006118107.1 71%
엘리게이터시넨시스 중국악어 파충류 XP_006016630.1 70%
피세둘라 알비콜리스 목줄파리잡이 아베스 XP_005043078.1 69%
담쟁이덩굴 붉은정글폴 아베스 XP_419384.3 68%
크세노푸스 트로피컬리스 서양발톱개구리 양서류 NP_001072343.1 65%
이칼루루스푼타투스 물메기 악티노프테르기 AH42519.1 54%
쿠렉스쿠인쿠에파시아투스 남부집모기 곤충류 XP_001861445.1 34%
클로노르키스시넨시스 중국간 요행 트레마토다 GAA53916.1 23%
오리자 사티바 아시아 쌀 백합목 NP_001065504.1 20%


레퍼런스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즈 89: ENSG00000196187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즈 89: ENSMUSG000026519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Nagase T, Ishikawa K, Suyama M, Kikuno R, Miyajima N, Tanaka A, Kotani H, Nomura N, Ohara O (Apr 1999). "Prediction of the coding sequences of unidentified human genes. XI. The complete sequences of 100 new cDNA clones from brain which code for large proteins in vitro". DNA Res. 5 (5): 277–86. doi:10.1093/dnares/5.5.277. PMID 9872452.
  6. ^ Seki N, Ohira M, Nagase T, Ishikawa K, Miyajima N, Nakajima D, Nomura N, Ohara O (Feb 1998). "Characterization of cDNA clones in size-fractionated cDNA libraries from human brain". DNA Res. 4 (5): 345–9. doi:10.1093/dnares/4.5.345. PMID 9455484.
  7. ^ a b c "Entrez Gene: TMEM63A transmembrane protein 63A".
  8. ^ a b c d "TMEM63A Analysis". Biology Workbench. San Diego Supercomputing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Retrieved 8 May 2014.[영구 데드링크]
  9. ^ Schroder BA, Wrocklage C, Hasilik A, Saftig P (19 October 2010). "The Proteome of Lysosomes". Proteomics. 10 (22): 4053–4076. doi:10.1002/pmic.201000196. PMID 20957757. S2CID 25869334.
  10. ^ Schroder BA, Wrocklage C, Pan C, Jager R, Kosters B, Schafer H, Elsasser HP, Mann M, Hasilik A (28 August 2007). "Integral and Associated Lysosomal Membrane Proteins". Traffic. 8 (12): 1676–1686. doi:10.1111/j.1600-0854.2007.00643.x. PMID 17897319.
  11. ^ a b c "BioGPS: TMEM63A". Retrieved 12 May 2014.
  12. ^ "Ensembl: TMEM63A". Retrieved 8 May 2014.
  13. ^ a b "El Dorado". Genomatix. Retrieved 17 April 2014.
  14. ^ a b "GDS596/214833_at/TMEM63A". NCBI.
  15. ^ "TargetScanHuman 6.2". Whitehead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Retrieved 23 April 2014.
  16. ^ a b Marchler-Bauer A, et al. (2011). "CDD: A Conserved Domain Database for the functional annotation of proteins". Nucleic Acids Res. 39 (D): 225–229. doi:10.1093/nar/gkq1189. PMC 3013737. PMID 21109532.
  17. ^ "O94886 (TM63A_HUMAN)". UniProtKB. Retrieved 5 May 2014.
  18. ^ Gupta R, Jung E, Brunak S (2004). "Prediction of N-glycosylation sites in human proteins". {{cite journal}}:Cite 저널 요구 사항 journal=(도움말)
  19. ^ Blorn N, Gammeltoft S, Brunak S (1999). "Sequence- and structure-based prediction of eukaryotic protein phosphorylation sites".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294 (5): 1351–1362. doi:10.1006/jmbi.1999.3310. PMID 10600390.
  20. ^ "GeneCards". Weizmann Institute of Science. Retrieved 16 May 2014.
  21. ^ "String Database". Retrieved 16 May 2014.
  22. ^ Bonnet E, Tatari M, Joshi A, et al. (2010). "Module network inference from a cancer gene expression data set identifies microRNA regulated modules". PLOS ONE. 5 (4): e10162. Bibcode:2010PLoSO...510162B. doi:10.1371/journal.pone.0010162. PMC 2854686. PMID 20418949.
  23. ^ Hofstetter JR, Hitzemann RJ, Belknap JK, Walter NA, McWeeney SK, Mayeda AR (2008). "Characterization of the quantitative trait locus for haloperidol-induced catalepsy on distal mouse chromosome 1". Genes, Brain and Behavior. 7 (2): 214–223. doi:10.1111/j.1601-183x.2007.00340.x. PMID 17696997.
  24. ^ Altschul SF, Gish W, Miller W, Myers EW, Lipman DJ (October 1990).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J. Mol. Biol. 215 (3): 403–10. doi:10.1016/S0022-2836(05)80360-2. PMID 2231712.

추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