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하어

Shilha language
태셀히트
실하, 수시언
타클라잇 - ⵜⴰⵛⵃ - - - تشلتتت - -
네이티브:모로코
지역하이 아틀라스, 안티 아틀라스, 수스, 드라
민족성아이클린
원어민
7,200,000 (2016)[1]
아프로아시아어
아랍어, 라틴어, 티피나어
언어 코드
ISO 639-3shi
글로톨로지tach1250
Tachelhit.png
태셀히트어군
이 글에는 IPA 음성 기호가 수록되어 있다. 적절한 렌더링 지원이 없으면 유니코드 문자 대신 물음표, 상자 또는 기타 기호를 볼 수 있다. IPA 기호에 대한 소개 가이드는 도움말을 참조하십시오.IPA.
사람아클레시(남성)
타클루시트 (여)
사람아이클린 (남성)
티클지인 (여)
언어타클라이트
쿠바에서 녹음된 타헬히트를 말하는 젊은 남자.

타셀히트는 실하 /ˈʃɪlh//로도 알려져 있으며 베르베르어이다. 그것은 모로코 남서부의 8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사용한다. 내칭타클itit /taʜlijijt/이며, 최근 영어 출판물에서는 그 언어가 종종 Tashelhiyt 또는 Tasshelhit로 표기된다. 모로코 아랍어에서는 이 언어를 쉴라(Schlḥa)라고 부르는데, 이 언어에서 대체 영어 이름 실하가 유래되었다.[2] 프랑스어 출처에서는 이 언어를 타헬히트, 첼하 또는 첼루어라고 부른다.

태셀히트는 하이 아틀라스 산맥의 서쪽 부분과 드라 강까지의 남쪽 지역으로 구성된 10만 평방 킬로미터에 달하는 지역에서 쓰이고,[3] 안티 아틀라스 산맥과 수스 강의 충적분지를 포함한다. 이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 중심지는 해안 도시 아가디르(인구 40만 명 이상)와 구엘밈, 타루단트, 울라드 테이마, 티즈닛, 와르자자테의 마을이다.

북쪽과 남쪽에서는 태셀히트가 아랍어를 사용하는 지역들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북동쪽에는 대략 마라케시-자고라 선을 따라 센트럴 아틀라스 타마지트와 함께 방언 연속체가 있다. 타셀히트어권 지역 내에는 아랍어를 사용하는 몇몇 거주지가 있는데, 특히 타루단트 시와 그 주변이 두드러진다. 타셀히트어를 사용하는 실질적인 이주 공동체들은 북부 모로코와 벨기에, 프랑스, 독일, 캐나다, 미국, 이스라엘의 모로코 외곽의 대부분의 대도시와 도시에서 발견된다.

타셀히트는 식민지 시대 이전의 수 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뚜렷하고 실질적인 문학 전통을 가지고 있다. 아랍어 대본으로 쓰여지고 16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연대를 거친 많은 텍스트들이 원고에 보존되어 있다. 태셀히트의 현대 인쇄 문학은 1970년대 이후 발전해 왔다.

이름 지정

태셀히트 화자들은 보통 그들의 언어를 타클루짓[4](Tifinagh 스크립트: Taclḥit)이라고 부른다. ⵜⴰⵍⵍⵃ;;[5] 그리고 더 오래된 철자법에서는 [6]Tashlḥiyt). 이 이름은 형태학적으로 여성 명사로서 남성적인 아클레시 '실하의 남성 화자'[7]에서 유래되었다. 다른 언어의 태셀히트 명칭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아ɛ랍 '아랍어', 타ɛ랍어 '아랍어' 등이 그것이다.[8]

아클레시나 실하라는 이름의 유래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역사책에서 이 이름이 처음 등장한 것은 17세기였고, 모로코와 제국의 모든 지방에서, 그리고 서구를 향해 나아가는 누미디아인과 게툴레스 사이에서 순수한 아프리카어를 구사하는데, 이를 실하와 타마제트, 아주 오래된 이름이라고 부른다.[9] 현재 실하어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내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명목 줄기가 아랍 명사 쉴ḥ '반디트'(plural 슐루ḥ)로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일부 사람과 소식통에 의하면 유래가 외유명이라고 한다.[10] 그러나 이 의미는 아랍어의 동쪽 방언에만 존재한다. 마그레브 방언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것이 이 논문의 약점이다. 또한 단어의 어원을 찾으려 했던 대다수의 사람들은 오히려 외국어 사전을 사용했고, 오히려 관련 언어를 먼저 검색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는 주로 이 가설의 지지자가 태셀히트 화자가 아니라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 의미는 최근 들어 아마이족들을 하나의 이름, 즉 아마이족으로 단결시킬 목적으로 이 이름의 의미를 왜곡하고 실하족 사이에 금기시하려 했던 아마이 운동 때문에 확산되었다.[11]

타헬히트의 언어를 바탕으로 이 이름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많다. 그 중 가장 논리적인 것은 작가 모하메드 악딤에 의한 것인데, 그는 그의 기고 중 하나에서 슐루라는 이름은 사실 모로코의 원래 주민들인 하이 아틀라스의 마스무다와 마라케시, 수스, 그리고 안티아틀라스 온의 소유물에 의해 붙여진 원래의 이름이라고 강조했다. 타셀히트에서 동사 이스르(Ishlh)는 '침착, 거주, 생활'을 의미하는데, 슐루(Shluh)라는 이름은 '침착, 정착 주민 또는 정착 주민'[12]을 의미한다. 그는 또 다른 언어에서 슐러라는 말의 의미를 찾는 데 의지해봤자 아무런 의미도, 아무런 소용이 없다고 덧붙였다. 아랍어로 그것의 해석과 설명으로 가는 것에 대해 말하자면, 이것이 아마이족의 오른쪽에 있는 언어적 편견의 극치다.[13]

Alcsiy의 초기 A-는 Tasshelhit 명목 접두사(§ 익선명사 참조)이다. 엔딩 -iy(아랍어 접미사 -iy에서 차용)는 명사와 형용사를 형성한다. 또한 선행 자음 의 영향을 받아 -iy 대신 -ay를 갖는 AclḥayTaclḥayt의 변종 형태도 있다.[14] Acl pluraliy의 복수형은 Iclḥiyn이고, 단일 여성 화자는 Taclḥiyt(언어의 이름을 가진 동음이의어), 복수 Ticlḥiyin이다.

모로코어 구어 아랍어로 남성 화자는 슐루, 복수형은 슐루아, 언어는 슐루아(Sshlḥa)로,[15] 타슬리히트(Tahlḥit)에서 정해지는 여성적 파생어인 슐루아(Schlḥa)이다. 모로코 아랍어 이름은 , 슐루어, 실하로, 프랑스어로는 운슐루어, 레슐루어, 첼하로, 또는 더 흔히 르슐루어로 차용되었다.

Taclḥiyt과 Aclḥiy 지금 기억에서 모로코에서 둘 다 Berbers과 Arabs,[16] 하지만 한스는 Stumme(1899년:3)중을 잃는 이름의exonymic, 무례한 기원는 동안 완전히 학대의 그것은 한학기 잘 알고 있다는 것은 Tashelhit를 구사한 Aclḥiy 아랍의 izikr'노끈' 자세한 내용은을 참조하여를 호출하여 그의 복수를 하기 자신을 부를 것이라고 말했다. 잘-알려진 베두인 헤드기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타클루시이트아이클루진이라는 명칭은 19세기와 20세기의 필사본에서만 증명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최근에 우위를 점한 것으로 보인다. 오래된 문헌에서는, 이 언어를 여전히 Tamaziɣt 또는 Tamazixt 'Tamazight'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작가 아왈(Awzal, 18세기 초)은 nnaḍm n Tmazixtifulkin '그 아름다운 타마자이트의 작곡'[17]을 말한다.

수스는 언어영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부분이기 때문에, 현재 타수시이트(Tasusiyt, '수스의 언어')라는 명칭은 전체 언어의 파스 프로토토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18] Tasusiyt의 연사는 Asusiy, 복수형 Isusiyn, 여성형 Tasusiyt, 복수형 Tisusiyin이다.

화자수

2004년 인구조사에[19] 따른 지역당 실하 스피커 비율
모로코에서 타헬히트가 다수인 코뮌 또는 자치체(2014년)

모로코의 베르베로폰 수에 대한 완전히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에트놀로그는 제17차-20호(2014~2017년)에서 2004년 모로코 인구조사에서 산출된 수치를 인용했는데, 그 결과 타셀히트 화자는 약 4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3%를 차지했다. Ethnologue는 21번째 판(2018년)에서 2016년(출처는 언급되지 않음), 인구의 20%인 약 700만 명의 연사를 인용하고 있다. 에트놀로그의 2016년 수치가 맞다고 가정하면, 2004년 인구조사에서 모로코에서 타셀히트 스피커의 비율이 실제로 2004년에서 2016년 사이에 7% 포인트 상승했을 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2004년 인구조사에서는 스피커 수를 심각하게 과소 보고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저자들은 훨씬 더 많은 수의 실하 연사를 언급한다. 스트로머(2001a)는 '약 600만~800만'의 스피커가 있다고 추정했고, 이후(2008)는 '약 800만~900만'으로 숫자를 올렸다.[20] Stroomer는 그의 추정을 뒷받침하는 어떤 발표된 출처도 언급하지 않았는데, 이것은 확실히 너무 높다.

비록 실하의 많은 연사들, 특히 남성들이 모로코 아랍어로 2개 국어를 구사하지만, 실하의 살아있는 언어로서의 생존이 가까운 미래에 심각한 위협을 받을 것이라는 징후는 아직 없다. 지난 수십년간 모로코 인구의 급격한 증가(1961년 1200만 명에서 2014년 3300만 명 이상)로 인해, 이제 실하는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 의해 말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방언

실하 내부의 방언적 분화는 그렇듯이 어떤 표적연구의 대상이 되지는 않았지만, 몇몇 학자들은 실하의 모든 품종이 상호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첫 번째는 스툼므였는데, 그는 "그들의 언어의 개별적인 방언들이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모든 화자들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21] 이는 모로코 언어학자이자 실하의 모국어인 아흐메드 부쿠스(Ahmed Boukouus)에 의해 나중에 확인되었는데, 실하는 실루어가 서북부의 이한에서 서남부의 아흐투켄에서 동부의 이즈나겐까지 문제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심오한 단결을 부여받았다. 마라케시 평원의 타사우트로 가는 사막의 아크카."[22]

실하 방언과 센트럴 아틀라스 타마지트(CAT) 방언 사이에는 날카롭게 정의된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구분선은 일반적으로 마라케시-자고라 선 어딘가에 놓이게 되는데, 실하 소속의 이구우다멘족[23], 이그리우아족, 아흐트 오와우즈구이트족, 그리고 이웃한 인울탄족, 인페두악족, 이메그란족족의 연설이 CAT로 계산된다.

글쓰기 시스템

실하는 여러 개의 다른 알파벳으로 쓰여졌다. 역사적으로 아랍어 대본이 지배적이었다. 라틴어 문자의 용법은 19세기 후반에 나타났다. 더 최근에 티피나흐에서 실하를 쓰려는 발의가 있었다.

티피나흐

티피나흐(또는 네오 티피나흐)는 1990년대 후반에 도입되었으며, 현재 모로코 당국의 지원을 받아 로얄 드 라 컬처 아마시게 연구소(IRCAM, Rabat)가 공포한 표준화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티피나흐에서 온전히 인쇄된 출판물은 여전히 드물게 남아 있으며, 실하 화자의 극히 일부만이 새 대본을 자신 있게 다룰 수 있다. 그것의 주요 역할은 문화적 아이콘의 상징이다. 이처럼 티피나는 공공장소에 들어서면서 이제 마을 간판이 아랍어와 라틴어 문자뿐만 아니라 티피나그에도 그 이름이 표시되고 있다.

라틴 문자

구전 전통의 많은 실하 문자는 19세기 이후 라틴어 문자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초기의 출판물은 다양한 필사 체계를 보여준다. 스툼메(1899년)와 데스타잉(1920년, 1940년)은 정교한 음성 필사법을 사용하며, 저스티나드(1914년)와 로스트(1936년)는 프랑스식 맞춤법에 근거한 필사법을 사용한다. 단순하지만 정확한 음소 전사를 하이픈으로 사용하는 아스피니온(1953)이 새로운 표준을 정했다.

최근 수십 년간의 대부분의 학술 간행물은 라틴어 문자로 상당히 획일적인 표기법인 베르베르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이 글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24] 이 맞춤법에서 가장 특이한 특징은 기호 ((그리스어 엡실론)을 /ʢ/(음향 후각 마찰음)을 나타내기 위한 고용(예: taɛmamt /taʢmamt/ '터번')이다. (= IPA /ʜ/)를 제외하고 첨자 점은 인두화(pharyngealization)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rrurur /adrdrdurur/'deaf person'이다. 보석과 긴 자음은 이중 기호(예: tassmi 'needle', aggnrn 'flour')로 표기된다. 낱말 구획은 일반적으로 분리형이며, 진부한 표현은 별개의 낱말(하이픈이 아님)으로 쓰여 있다.

아라비아 문자

실하는 아랍어로 쓰여졌다: Mḥmd Awzal이 쓴 알- manuscriptawḍ의 18세기 원고.
전통 맞춤법

전통적인 실하 필사본은 마그히비 아랍어 문자로 관습화된 맞춤법으로 쓰여져 있다.[25] 이 맞춤법은 적어도 16세기 말 이후 사실상 변하지 않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전통적인 이슬람 학자들( (ṭlba)의 동그라미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맞춤법의 주요 특징은 2개의 여분의 문자(g는 3개의 점을 가진 카프, 은 3개의 점을 가진 ād)와 완전한 발성(fatḥah, kasra, ḍamah로 쓰여진 vowels)이다. 정치 요소들은 명사나 동사 형태에 연결되어 쓰여진다.[26]

현대 맞춤법

1970년대 이후 모로코 내에서는 실하에서의 상당한 수의 책이 출판되었는데, 아랍어 대본으로 새롭게 고안된 실용적인 맞춤법으로 쓰여졌다. 이 맞춤법의 주요 특징은 모음 a, i, ualif, yaʼ, waw로 표현하고, (자음의 보석을 나타내기 위해)와 ḍama 이외의 발성 부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자음 g는 گ으로 쓰고, 은 ز로 쓰거나(아래 점으로 된 zay) z와 구별하지 않는다. 단어 분리는 대부분 불연관적이다.

문학

실하는 다양한 장르(동화, 동물 이야기, 설화 이야기, 시, 수수께끼, 혀 트위스터)로 이루어진 구전 문학의 폭넓은 신체를 가지고 있다. 관습과 전통에 관한 구술문서와 민족문서는 19세기 말부터 유럽언어학자들이 주로 기록·발표하고 있다(§ 참조서추가 낭독 참조).

실하는 식민지 이전의 문학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 아랍어로 쓰여진 수많은 텍스트들이 지난 4세기 동안의 필사본에 보존되어 있다. 가장 초기의 데이타블 텍스트는 브라힘 우 b드델라 아ah나그(Ibraham ibn ʿAbd al-Al-Ananhaj,, 1597년 사망)의 운율 구절로 구성된 "종교과학"(lulumulum n ddin)에 대한 강의집이다. The best known writer in this tradition is Mḥmmd u Ɛli Awzal (Muḥammad ibn ʿAlī al-Hawzālī, died 1749), author of al-Ḥawḍ 'The Cistern' (a handbook of Maliki law in verse), Baḥr al-Dumūʿ 'The Ocean of Tears' (an adhortation, with a description of Judgment Day, in verse) and other texts.[27]

1970년대 이후 실하의 현대 문학이 발전하고 있다.

선행연구

모로코의 타헬히트 스피커 비율(2016년)

실하를 문법적으로 묘사한 첫 시도는 독일의 언어학자 한스 스툼메(1864–1936)의 작품으로, 1899년 《핸드부치 쉴리스첸타제르왈트》를 출판하였다. 스툼메의 문법은 반세기 동안 실하에 관한 문법 정보의 가장 풍부한 원천으로 남아 있었다. 이 작품의 문제점은 과대 발광, 음성 전사의 사용으로, 정확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일반적으로 구어체의 투명한 표현은 제공하지 못한다. 스툼메는 실하 동화집(1895년, 스톰러머 2002년 재편집)도 출간했다.

실하와 씨름할 다음 작가는 알제리 출신의 카빌의 토착어인 사르트 시드 카우이(Saʿd Cid Kaoui, 1859-1910)이다. 투아레그(1894년)의 사전을 펴낸 그는 이후 모로코의 베르베르어로 관심을 돌렸다. 그의 어법 프랑수아즈-타마히트타마지르트(1907)는 약 20페이지의 유용한 구절 외에 실하와 중앙 아틀라스 타마지트 모두에 광범위한 어휘를 수록하고 있다. 그 일은 좀 서둘러서 한 것 같으니 신중히 상의해야 한다.

제1차 세계대전 전야에 레오폴드-빅토르 저스티너드 (1878–1959) 대위 (Léopold-Victor Justinard)가 작성한 작고 실용적인 책자가 등장했는데, 제목은 마누엘베르베르 마라케인 (대변인)이다. 그것은 짧은 문법 스케치, 이야기, 시, 노래의 모음집, 그리고 몇몇 흥미로운 대화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모두 번역된 것이다. 이 작품은 프랑스 보호령 부과(1912년) 직후 저자가 페스 지역의 군사작전을 감독하면서 쓴 것이다. 저스티나드도 수족의 역사에 관한 여러 작품을 썼다.

베르베르어에 관한 책과 기사를 많이 쓴 에밀 라우스트(1876~1952)는 1921년 그의 Cours de Berbér marocain (1936년 2차 확대판), 등급이 매겨진 레슨과 주제 어휘가 있는 교수 문법, 몇몇 좋은 민족지문, 그리고 단어 목록을 출판했다.

에드몽 데스타잉 (1872년–1940년)은 그의 에뛰드 수르 타헬슈트 소스로 실하 어휘에 대한 지식을 크게 발전시켰다. 보카불라레 프랑수아 베르베레(1920)와 그의 Textes berbéres en parler des Chleuhs du Sous (Maroc)(1940, 풍부한 어휘 노트 포함) 데스타잉은 또한 3부작을 완성하기 위한 문법을 계획했지만, 이것은 결코 출판되지 않았다.

로버트 아스피니온 중위는 앱레논스 베르베르의 저자로, 입문 보조 사투리 샤를루어(1953)는 유익하지만 다소 체계적이지 않은 교수 문법이다. 아스피니온의 단순하지만 정확한 필사본은 이전의 음성 및 프랑스 기반 시스템을 없앴다.

첫 번째 시도된 영어 서술은 미국의 언어학자 조셉 애플게게이트(1925~2003)의 실하 구조 개요(1958)이다. 이프니 출신의 원어민과의 작품을 바탕으로, 작품은 단 한 번의 명료하게 제시된 패러다임도 없이 밀도 있고 접근하기 어려운 문체로 쓰여져 있다. 전통적인 방식과는 별개로, 녹취록은 전체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

현대 언어 틀에서 쓸 수 있는 유일한 문법 스케치는 프랑스 언어학자 겸 언어학자 리오넬 갈랜드(1920~2017)의 '르 베르베레'(1988)뿐이다. 스케치는 주로 반아틀라스(Ati-Attlas)의 이그찬(Iececcan) 민족의 연설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알제리의 카빌레니제르의 투아레그에 대한 비교 주석을 가지고 있다.

보다 최근의 서적 연구로는 Jouad(1995년, 지표에 관한 연구), Dell과 Elmedlaui(2002년과 2008년, 음절과 지표에 관한 연구), El Mountassir(2009년, 교수 문법), Roettger(2017년, 스트레스와 억양에 관한 연구), Stroomer의 많은 텍스트 판이 있다(§ Reference추가 참조).

음운론

스트레스와 억양

실하에서의 스트레스와 억양은 기악시험을 이용한 로에트거(2017년)의 모노그래프의 대상이다. 그는 앞서 스텀메(1899:14)와 갈랜드(1988, 2.16)가 지적한 바와 같이 실하가 어휘적 스트레스(Roetger 2017:59)가 없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모음.

실하는 음소모음이 세 개 있는데 길이는 특유하지 않다.[28] 모음은 상당히 넓은 범위의 알로폰들을 보여준다.[29] 모음 /a/는 [a] 또는 [æ]로 가장 많이 실현되며 /u/는 w에 인접한 경우를 제외하고 뚜렷한 반올림 없이 발음된다. 위음자음의 존재는 kraḍ[krɐdˤ] '3', kkuẓ[kkkɤzˤ] '4', sḍis[sdˤs] '6'(비교 [jnn] '1', [신] '2', semmus[smsms] '5')에서와 같이 모음의 보다 중앙집중화된 실현을 불러온다.

앞면 중앙 뒤로
가까운. i u
개방하다 a

추가적인 음소모음은 최근의 외래어에서는 산발적으로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o/는 rristora 'restaurant'(프랑스어로부터)와 같다.

과도 모음 및 "슈와"

세 개의 음소모음 외에 비음소모형 과도모음이 있는데, 흔히 집합적으로 "schwa"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옆글자리의 자음 중 하나 또는 둘 다 음성을 내는 경우,[30] 예를 들어, 티젬미[tigĭmi] 'house', ameḥḍḍar[amɐʜdˤr] 'schoolboy'와 같이 서약성 음절 CC 또는 CCC의 시작 후에 경과 모음음이 들린다. 스툼메(1899년)와 데스타잉(1920년, 1940년)의 음역에는 그러한 과도기 모음들이 많이 표기되어 있다.

아스피니온(1953)과 같은 후기 저자들은 그 질에 관계없이 과도기 모음의 소리가 들릴 수 있는 장소를 표시하기 위해 ⟨e⟩ 기호를 사용하며, 실제로는 아무리 짧아도 모음이 들리지 않는 ⟨e⟩을 쓰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akessab⟩[악ssæb] '축산의 주인', ⟨ar iʃta[ar iʃta] '먹는다. 기호 ⟨e⟩은 흔히 schwa라고 불리며 아스피니온 등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따라서 앞의 자음이 음절의 시작인 [a.k⟨s.sab], [a.ri]임을 나타내기 위해 채택된 순수 그래픽 장치가 된다.쉬셰트타.[31] 갈란드가 관찰한 바와 같이, 와의 표기법은 사실 "실하에게 이질적인 거주지"[32]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리두아인(2008)에 의해 결정적으로 보여지듯이, 과도기 모음이나 "내성적인 보컬"은 인식 모음의 상태조차 일치시킬 수 없다. 따라서 과도 모음이나 "슈와"는 쓰지 않는 것이 좋으며, 갈란드(1988)와 최근의 모든 텍스트 판에서처럼 엄격히 음소적 방식으로 모음을 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3]

공백기 치료

형태소 에서는 공백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형태소는 간섭음 없이 두 개의 모음 순서를 절대 포함하지 않는다. 형태소-최종 모음과 형태소-초기 모음의 맥락을 같이할 때 공백이 생긴다면 이를 다루는 몇 가지 전략이 있다.[34] 두 모음 중 첫 번째 모음을 생략하거나, 또는 모음을 분리하기 위해 세미보울 y를 삽입할 수 있다.

/tumẓin ula asngar/ → tumẓin ulasngar 또는 tumẓin ula y asngar 'maize뿐만 아니라 maize'
/fukku anɣ/ → ukkan or 또는 ukku y anɣ ' 우리를 자유롭게 해!'

덜 일반적으로 /i/ 및 /u/ 모음은 yw로 변경될 수 있다: /ddu-at/ 'go ye!'(상호 복수 남성)는 dduyat(y 삽입) 또는 ddwat으로 실현된다.

자음

실하(첼하)에서의 음성 샘플.

실하는 33개의 음소 자음을 가지고 있다. 다른 베르베르어와 아랍어처럼 인어화("황색")와 일반 치과 자음을 모두 가지고 있다. 또한 미생물과 평이한 등나무 산부인과도 구별된다. 자음 보석이나 길이는 대조적이다.

아래 도표는 표준 라틴어 표기법에서 자음을 나타낸다. 전사가 IPA 맞춤법과 다른 경우, 라틴어 전사는 괄호 안에 있다.

라비알 치과의 치경 후 구개체 벨라르 구개체 인두/
에피글롯탈
글로탈
평이한 인두의 평이한 미제의 평이한 미제의
콧물 m n
멈추다 무성음의 t ⟨⟩⟩ k q
목소리 있는 b d ⟨⟩⟩ g
프리커티브 무성음의 f s ⟨⟩⟩ ʃ ⟨š⟩ χ xx⟩ χʷ xxʷ⟩ ʜ ⟨ḥ⟩
목소리 있는 z ⟨⟩⟩ ʒ ⟨ž⟩ ʁ ⟨ɣ⟩ ʁʷ ⟨ɣʷ⟩ ʢ ⟨ɛ⟩ ɦh
근사치 l ⟨⟩⟩ j ⟨⟩ w
트릴 r ⟨⟩⟩
재래식
전사
음운학
가치(IPA)
설명
m m 유성 양변 비음
n 유성 치과 비음
t t 무성 치과 정류장
Tˤˤ 무성 인두염 치과 정류장
k k 무성 프리벨라 정지
무성 미사용 프리벨라 정지
q q 무성 경막 정지
무성 미립자성 경막 정지
b b 유성 양면 정지
d 유성 치과 정지
D̪ˤ 유성 인두염 치과 정류장
g ɡ 음성 프리벨라 정지
ɡʷ 음성이 래비얼라이징된 프리벨라 중지
f f 무성 치환 마찰음
s 무성 치과 마찰음
S̪ˤ 무성 인두염 치 마찰음
š ʃ 무성 우편물 마찰음
x χ 무성 경구 마찰음
χʷ 무성 생동감 있는 경구 마찰음
ʜ 무성 경구 마찰음
z 유성 치과 마찰음
Z̪ˤ 유성 인두염 치 마찰음
ž ʒ 유성 우편 마찰음
ɣ ʁ 유성 경구 마찰음
ɣʷ ʁʷ 유성 미발성 경구 마찰음
ɛ ʢ 유성 후두 마찰음 또는 근사음
h ɦ 유성 광택 마찰음 또는 근사음
l 유성 치측 근사치
L̪ˤ 유성 인두염 치측 근사치
y j 유성 구개 근사치
w w 유성 근사치
r r 유성 치조
유성 인두염 치석조

최근 외래어에는 음소성 자음이 산발적으로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bb 'a '(나의) 아버지' (모로코 아랍어), /p/는 laplaž 'beach'(프랑스어)이다.

세미보울스

세미보울 /w/와 /y/는 자음(C_C)과 자음(C_#과 #_C) 사이에 음성 알로폰 ui가 있다. 마찬가지로 /u/와 /i/의 고모음은 공백기를 피하기 위해 자음 알로폰 wy를 가질 수 있다. 대부분의 방언에서,[35] 세미보울은 따라서 시작 또는 코다로 발생하며, 높은 모음은 음절에서 핵으로 발생하며, 높은 모음은 높은 모음과 상호보완적인 분포에 있다. 이러한 세미보울과 고모음의 표면 분포는 4개의 뚜렷한 음소로서 그들의 지위를 모호하게 하는 경향이 있어 일부 언어학자들은 /w/와 /y/[36]에 대한 음소 상태를 부정한다.

세미보울과 고모음이 순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 예를 들어 tazdwit 'bee', tahruyt 'ewe'( *tazduyt, *tahrwit이 아님, *tahrwit)와 같이 4개의 구별되는 음소를 상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자음과 마찬가지로 세미보울 /w/와 /y/도 길게 발생하는데, 이는 afawwu 'wrap', tayyu 'camel's hump'[37]에서와 같다. 4개의 음소를 가정하면 형태학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설명도 얻을 수 있다.[38]

아래 예에서 /w/와 /y/는 일부 인용 형식에서 음성으로 표기되지만, 항상 음성으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ysti- '의 자매들'과 같은 맥락에서 dars snat은 '그에게 두 명의 자매가 있다'이다.

보석 및 길이

단일 자음과 비단일 자음(게메인 또는 긴 자음) 사이에는 음소 대조가 있다.

가 'grass' vs. 가 'testimony'
tamda '풀' vs. tamda ' 'hawk'

명사와 동사의 형태학에는 보석을 달고 길이를 늘이는 것이 역할을 한다.

agllid 'king', igldan ' ''(ll be l)
imgr 'he harvested', ar imggr 'he is harvesting'(g gg가 gg가 됨)

음소성 xxʷṛṛ은 증명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모든 자음은 원칙적으로 보석 또는 길게 발생할 수 있다. 경구 정지는 보석 또는 긴 (q, qqqʷ)에서만 발생한다.[39]

네 개의 자음은 각각 두 개의 해당하는 보석이나 긴 자음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음운학적으로 동일하고 하나는 다르다.

: ḍḍṭṭ
w : wwggʷ
ɣ : ɣɣqq
ɣʷ : ɣɣʷqqʷ

형태학의 가장 오래된 층에서 , w, ɣ, ɣ는 항상 ṭṭ, ggʷ, qqqʷ을 보석 또는 긴 상대로서 가지고 있다.

ɣrs 'slaughter', ar iqrs 'he is daking'( is krz 'plough', ar ikkrz 'he is progling')
izwiɣ 'be red', izggʷaɣ 'it is red'(comparegin 'be black', isggan 'it is black)')

단음이 아닌 자음이 보석으로 실현되는지 아니면 길어지는지는 음절의 맥락에 따라 다르다. 보석성 자음은 tamda [ta.md.da.] 'sparrowhawk'에서와 같이 두 개의 동일한 자음 /CC/의 순서로, 미터법으로 두 개의 세그먼트로 계산하며 항상 음절 분할로 구분된다. 긴 자음은 연대기 /C:/ 뒤에 나오는 자음이며, 단일 세그먼트로 미터법으로 계산하며, 가 [tu.g:a] '테스토몬'에서와 같이 한 음절에 속한다. 형태소가 비단일 자음을 포함할 경우, 문맥에 따라 보석을 만들거나 길어질 수 있다.

/azzl-ø/azzl! [az.zl.] "달려!"(게미네이트)
/azzl-at/ azzlat! [az:.lat.] "달려!" (긴 길이)

또한 두 개의 동일한 자음이 순서에 따라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며, 두 자음이 각각 분리되어 발표되고 서약성 음절의 시작과 핵을 구성한다. 이러한 시퀀스는 중간 아포스트로피와 함께 기록된다.

우샤난 [u.sh:a.n] '자칼'
ixmm는 [i.xm.m] "그는 곰곰이 생각했다."
Fr'ṭṭu [fr.ṭ'ṭ.ṭu.] 'bat'

음절구조

실하 음절 구조는 음운학자들의 자세하고 고도의 기술적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 문제는 실하가 서약 없는 음절을 가지고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이었다. 존 콜먼에 따르면 음소 수준에 서약하지 않은 음절에는 "schwa"가 음소 수준에서 발성핵 역할을 한다고 한다. 반면 라키드 리두안에 따르면 실하의 명백한 맹세를 하지 않는 음절은 모든 음소, 모음, 자음과 함께 핵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진정한 맹세를 하지 못한다. 토론은 리두안(2008년, 관련 간행물 목록과 함께)으로 요약된다. 여기서 그는 tkkst stt '당신이 가져갔다'와 같은 지극히 평범한 실하 구절이 실제로 세 개의 서약 없는 음절[tk.ks.tst:]으로 구성되며 각각 무성 자음만으로 구성되며, 무성 자음("schwa가 아닌)으로 구성되었음을 결정적으로 증명한다.핵으로서 제시된 음절에 대한 많은 정의는 실하의 음절을 다루지 않는다.[40]

음절 유형

실하의 음절 구조는 최초로 델과 엘메들라우이가 세미날 기사(1985년)에서 조사하였다. 그들은 그들이 "핵심적 음절"이라고 부르는 것을 통해 음절 경계선이 어떻게 설정될 수 있는지를 기술한다. 이것은 핵을 시작과 연관시켜 핵심 음절인 CV나 CC를 형성함으로써 작용한다. 소수점 이하에서 더 높은 세그먼트는 핵심 음절로 핵을 형성하는 저울보다 우선하며, 모음과 세미보울이 저울에서 가장 높고, 액체와 나사가 그 뒤를 이으며, 유성 프리스틱스, 무성 프리스틱스, 음성 스톱 및 무성 스톱이 그 뒤를 잇는다. 더 이상의 세그먼트를 온셋으로 사용할 수 없을 때는 앞의 핵심 음절에 나머지 단음절을 코다로 할당하지만, 나머지 자음이 다음 음절의 시작인 자음과 동일하면 그것과 합쳐져 긴 자음이 된다. 형태소 경계는 반드시 음절 경계를 구성하지는 않는다. 예:

Ddan s yaw wurti ksmn iss ad sshin tazart dwaḍil.
'그들은 정원에 가서 무화과와 포도를 먹기 위해 그 안으로 들어갔다.'

핵심 음절:

d (da) (ns) w (wu) r (ti) k (sm) (ni) s (sa) (sa) n (ta) (za) r (vi) (wa) l

코다 할당:

(d:a) (ns) (ya) (w:ur) (tik) (s:a) (ni) (s:a) (dsh) (ta) (zar) (wa) (ḍil))

핵심 음절의 적용은 다음과 같은 실하 음절 유형을 생성한다.

CV C: V
C V C C: V C C V C: C: V C:
CC C: C C: C: C:
C C C C: C C C C: C: C:

실하 음절 구조는 CX(C)라는 공식으로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는데, C는 어떤 자음(단/긴 자음), X는 어떤 자음(단음)이나 자음(단음)이며, CXC에서는 자음일 경우 공진 눈금이 [tsk a]와 같은 음절보다 높을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d [wrz.]는 가능하지만 *[tks.]와 *[wzr.]은 가능하지 않다.

X형(vowel 또는 단일/긴 자음)과 V(C)형(vowel + 단일/긴 자음)의 예외적인 음절은 발성 초기 위치에서 발생한다.

rgl t [r.glt] "닫아!" (기호 C)
ffɣat [f:.ɣat.] "나가!" (기호 C:)
awi t id [a.wi.tid.] "이리로 가져오너라!"(기호 V)
ashki d [ash.kid]. "이리 와!" (기호 있는 VC)

Dell과 Elmedlaui가 기술한 또 다른 예외적인 음절 유형은 발성-최종 위치에서 발생하는데, CC 또는 CC: 형식의 음절이 CV 또는 C:V 형식의 선행 음절에 "음소거하라!"와 같은 경우, 예를 들어, fxamt '침묵하라!'는 *[fs.sa.mt]가 아니다.

어떤 음절 형식도 다른 형식보다 앞서거나 따를 수 있고, 어떤 자음도 음절초기 또는 최종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음 순서에는 음운법적 제약이 없다. 이것은 또한 실하 음운학에서는 자음 군집의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자음의 개수가 순서대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frḥɣs lmɛrft nnk
[fr.ḥɣs.lm.ɛrf.tn.nk] (6음절, 14음절, 모음 없음)
'알게 되어 기쁘다.'

측정지표

전통적인 실하 시의 지표는 떠돌이 바드(inḍḍamn)가 작곡하고 읊은 것으로 하산 주아드에 의해 처음 설명되고 분석되었다(합성 1983, 책 1995; 델과 엘메드라우이 2008 참조). 전통적인 계량체계는 실하에서의 서약성 음절의 존재를 확인시켜 주었고, 주아드의 데이터는 델과 엘메드라우이, 그리고 리두아네가 그들의 결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사용했다.

계량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제한을 가한다.

  • 시의 각 행은 다른 모든 행과 같은 수의 음절을 포함한다.
  • 한 줄에 있는 각 음절은 다른 줄에 있는 것과 동일한 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 각 행은 유성 자음으로 시작하거나 끝나야 하는 하나의 특정한 음절을 포함한다.
  • 각 행은 발로 나뉘며, 각 발의 마지막 음절은 암송에서 강조된다("lifted").

이러한 제약 속에서 시인은 자유롭게 자신의 운율 형식을 구상할 수 있다. 이것은 음절의 숫자와 길이, 그리고 의무 음성 자음의 위치를 보여주는 탈달레이트라는 무의미한 공식으로 기록될 수 있다(Jouad는 그러한 공식 수백 개를 나열한다).

이 제도는 반(反)전설 실하 시인 시디 ḥ무(18세기 경)에 기인하고 아마리르(1987:64)에 의해 간행된 퀘이트레인(Quatrain)으로 여기에 묘사되어 있다.

티트비린. 똘마니. 팀그레이.
Ab bahra wr takkamt I lxla hannlbaz.
Igan bu tassrwalt ig lxatm uḍaḍ.
Ak Kʷnt utukan Iɣli dignwan Izug

"하얀 비둘기, 애완동물아!
광야에 너무 자주 뛰어들지 말아라. 매가 있으니,
작은 바지를 입고 손가락에 반지를 끼고
너를 때리기 위해 단 한 번 — 그러면 그는 하늘로 올라가서 사라진다!"

델과 엘메드라우이의 핵심 음절의 적용은 음절의 규칙적인 모자이크를 보여준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호선 a ti t b i r i a에 tu m I I I I a에 ii m g 라 r
2호선 a b:아하 r a w r t a k:아름 t i lx 라의 아하 n: l b 아 z
3호선 i g án bu t a s: r wa l t i g l x a t ḿ u u ḍ á ḍ
4호선 a kʷ: ń t yu u t u k a 니 n I I d i g n n i z 우 g

이 시는 주아드(1995:283)가 열거한 1미터로 구성되며, 라아, 라라, 라라, 리라드(마지막 음절의 d는 강제 유성음 자음의 위치를 나타낸다)라는 공식으로 예증된다.

문법

명사들

그들의 형태학에 기초하여 실하 명사의 세 가지 유형, 두 가지 토착 유형, 그리고 한 가지 외부 기원을 구별할 수 있다.

  • 함축 명사
  • 미선택 명사
  • 무법인 차관

관련 형태-합성적 범주는 성별, 숫자 및 주이다.[41]

함축 명사

불순명사는 단연코 가장 많은 유형이다. 이러한 명사는 외형에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그들은 (t)V- 형식을 가진 명목 접두사로 시작한다.

aggu 'smoke'
'orphan'라고 발음하다.
우오케이 'hound'
올챙이 'evening'
tibinṣrt 'marsh mallow(식물)'
tufitfit 'ant

불순명사는 남성성과 여성성을 구분한다. 단수성과 복수성, 그리고 두 개의 상태를 프랑스 이름으로 통칭하여 etat libre('자유 상태')와 etat d'annexion('자유 상태')[42]으로 지칭하며 ELEA로 호칭된다. 성별과 수는 모두 명시적으로 표시되지만, 역사적이고 동기적인 소리 변화는 EL과 EA의 차이를 중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 경우도 있다.

명목 접두사에는 의미론적 내용이 없다.[43] 성 접두사와 성 접두사라는 두 가지 요소 중 하나 또는 둘 다로 구성된다. 단수 여성 명사에도 성별 접미사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즈드윗 '비'라는 명사는 명목 스템 zdwi에 여성 접두사 t-, 보컬 접두사 a- 및 여성 단수 접미사 -t가 추가되었다. 여성 불순명사는 항상 여성적인 접두사를 가지고 있지만, 남성 명사는 자유상태(EL)에서 성별 접두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아바우ɣ '폭스'는 성별 접두사가 없고 명목 줄기에 가미된 발성 접두사 a-만 있다.

성별은 비대칭적이긴 하지만 모호하지 않게 표시된다. 단지 몇 개의 명사에서 형태학적 성별은 문법적 성별(및 수)에 부합하지 않는다: ulli '씨앗과 염소'는 형태학적으로 남성적인 단수형이지만 여성적인 복수형을 취하고, aln 'yes'는 형태학적으로 남성적인 복수형이지만 여성적인 복수형을 취하고, tarwa '(누군) 자녀, 자손'은 형태학적이다.여성적 단수성을 지지하지만 남성적 복수 일치성을 갖는다.

부속국(EA)은 성조 접두사를 0으로 줄이고 남성 명사와 함께 남성 성별 접두사를 w-:[44]

EL t-a-zdwi-t 'bee' → EA t-zdwi-t
EL a-baɣuɣ 'fox' → EA w-baɣuɣ

일부 명사와 함께, 원래의 발성 접두사는 줄기초기 모음과 융합되어 분리할 수 없는(그리고 불가해한) 모음:

EL ayur 'moon, month' → EA w-ayur (*w-yur가 아님)
EL t-afuk-t 'sun' → EA t-afuk-t (*t-fuk-t 아님)

불가분의 음성 접두사를 가진 여성 명사와 함께 EL과 EA의 차이는 이렇게 중화된다.

대부분의 번체 명사는 발성 접두사 a-를 가지고 있지만, 어떤 명사는 i-(어떤 경우에는 분리할 수 없는), 어떤 명사는 u-(항상 분리할 수 없는)을 가지고 있다. 남성 명사가 발성 접두사 i-(분리할 수 있거나 분리할 수 없는)를 가질 경우 남성 성별 접두사가 y-로 변경된다. 아래 표는 개요를 제시한다(모든 예는 단수형이다. 풀은 또한 EL과 EA를 구별한다).

남성적인 여성스러운
EL EA EL EA
'donkey' a-형율 w-율 '선' t-afuk-t t-afuk-t
'egg' 티-아-글레이-트 티글레이-트
'강' 마치 w-asif 'thigh' 티아마 티아마
'cave' 아이-아이-아이-아이-아이-아이-아이즈 y-beats
'bread' a-트롬 a-트롬 'meat' 티파이 티파이
'ash' 이디드 y-iɣd. 'salt' t-is-not t-is-not
'무플론' 우다드 w-우다드 '빛' t-ufaw-t. t-ufaw-t.

EA는 명사의 모양에서 예측할 수 없다. 비교:

afus 'hand' → EA wfus
'knee' → EA wafud

/w/ 및 /y/의 실현에 관한 음운론적 규칙은 EA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a-marar 'chief'의 EA는 /w-marar/로, 모음 후 wmɣar로, 자음 후 umɣar로 실현된다.

ifka t imɣar 'he given it to chief'
이문 d umɣar '그는 추장과 동행했다'

함축 명사는 다음 공정 중 하나 이상을 적용하면서 매우 다양한 복수형식을 보여준다.

  • 접미사(masculine -n, 여성 -in)
  • 모음 변경(모음, 엘리비전 또는 애블라우트)
  • 자음 보석 또는 탈정
  • 스템 확장(+aw, +t, +t, +w, 항상 접미사와 함께)

또한 불규칙하고 융통성 있는 플루랄도 있다. 여성적인 단수 접미사 -t는 당연히 복수형에서 상실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와는 별개로 분리 가능한 발성 접두사 a-는 항상 i-로 대체된다. 분리할 수 없는 음성 접두사는 변경되지 않거나 모음 변경의 일부로 변경된다(단, 단수에서 음성 접두사가 분리할 수 없는 경우, 아두즈 '둔'과 같이 복수형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aydi 'dog'와 마찬가지로 아래 표 참조).

아래는 다양한 복수형식을 나타내는 명사의 표본이다.

단수형 복수형 프로세스
'mountain' 드라르 아이드라앤 접미사
'덤불' 아두즈 아이-앤 모음 변경, 보석, 접미사
'머리' a-gayyu. 아이-시야 모음 변화
'귀' a-mẓẓɣ I-mzga-n (최대 복수형)
'물구멍' anu una 모음 변화
'document' 아라의 arra+t-n 줄기 확장, 접미사
'날' 엉덩이 ussa-n 모음 변경, 접미사
'개' a-ydi ia-n (최대 복수형)
'forehead' 이그지 i-gnzi+t-n 줄기 확장, 접미사
'forearm' 아이-빌 아이-올-앤 모음 변경, 보석, 접미사
'scorpion' 아이시르드름 ɣardm+iw-n 모음 변경, 줄기 확장, 접미사
'목격자' 아이-아이디 아이-아-앤 모음 변경, 접미사
'slave' i-smg i-smga-n 모음 변경, 접미사
'얼굴' udm udm+a-n 줄기 확장, 접미사
'노래' 귀퉁이를 치다 요람을 켜다 접미사
'재칼' 우쉰 우샨앤 모음 변경, 접미사
'egg' 티-아-글레이-트 티-아이-글레이 (최대 복수형)
'무엇인가' 타-아-아-와사 t-i-saws+in 줄기 확장, 접미사
'mouse' T-a-a-r-day-t. t-i-i-day-in 접미사
'통' 티아그술트 티-이-게슬-인 모음 변경, 접미사, 수정
'fireplace' 티-카-트 티카+티인 줄기 확장, 접미사
'여자' t-a-marar-t. t-u-mar-in[45] 접미사
'포큐파인' 티아루시-트 티우라시 모음 변화
'키' t-a-saru-t. 티아이수라 모음 변화
'집' 티-아이-그미 t-i-gʷma 모음 변화
'ewe' 티아이리 t-att-n (공급 복수형)
'식사' t-irm-t 티람 모음 변화
'눈' t-iṭṭ 올앤 (공급 복수형)
'입장권' 티아이지 티아자 모음 변경, 보석
'불쌍함' t-izm-t t-izm+aw-in 접미사, 줄기 확장
'빛' t-ifaw-t 티파우인 접미사

일반적으로 복수형은 단수형에서 예측할 수 없다. 비교:

a-duku 'shoe', 복수형 i-duka-n
a-루쿠 'utensil', 복수형 i-루쿠+t-n

많은 명사는 둘 이상의 복수형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a-žnwiy 'knife', 복수 i-waynway (vowel change) 또는 i-žnwi-n (suffixation)이다.

많은 실하 지명들은 형태학적으로 변형된 명사들이다.

아남미르 '아남무르'
I-118-n '이호레세네'
T-a-rudan-t '타루단트'
T-i-zgzaw-in 'Tizegzaouine'

실하족명도 마찬가지다.

Amml-n '암멜른'(가수 Imml)
아슈투엔 '아흐투켄'(가수 아슈투크)
I-lall-n 'Ilallen'(가수 I-lillu)
I-skʷta-n '이수크탄'(가수 A-sktu)

불분명한 명사들 중에서 많은 통합된 대출이 발견된다. 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대출 용어 참조):

t-a-kira 'wax'(라틴어)
동물 '자유'(Punic으로부터)
urti 'garden'(로맨스 초기부터)
a-muslm '무슬림'(아랍어)
t-a-bra-t 'letter, missive'(아랍어)

선택되지 않은 명사

이것은 가장 흔하지 않은 유형으로, 일부 대출도 포함한다. 예:

디꾸크 'cuckoo'
유행시키다
gmz 'thumb'
kḍran 'tar'(아랍어)
lagar 'station'(프랑스어)
laẓ 'hunger'
타마샤슈트 'tomatoes'
mllindex '인덱스 핑거'
sksu 'skous'
와즈드윗 '빛나는 오후 식사'
wiẓugn 'cricket'
시즈 'carrots'

모든 미선택 명사는 원래 남성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재 여성적인 합의를 취하는 소수는 예를 들어 ttdmni '거미의 종류'(초기 여성 접두사로 보이는 것), hlima 'bat'(아랍어 차용어가 아니라 아랍어 여성적 결말로 분석된 것)과 같이 여성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재분석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많은 미선택 명사는 별도의 복수형이 없는 집합명사 또는 무계수 명사들이다. 복수형을 가진 사람들은 다모나이저 아이디(예: id lagar 'station')를 미리 입력하여 이를 만든다.

선택되지 않은 명사 mddn 또는 middn '사람, 인간'은 형태학적으로 남성적인 단수지만 남성적인 복수합의를 취한다.

사람의 이름과 외국 지명은 미선택 명사의 하위 유형으로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사(남자 이름), 무나(여자 이름), 파스 '페스', 브르드키즈 '포르투갈'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이름에는 성별이 투명하게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인간을 지칭하는 사람들은 참조자(남성/마스쿨린, 여성/페미니네)의 자연적인 성별에 따라 성합의를 취한다.

무법인대출

이들은 아랍어 출신 명사(프랑스어와 스페인어를 통한 아랍어를 통한 대출 포함)로 아랍어 형태론을 주로 유지해왔다. 그들은 두 개의 성별(항상 모호하지 않게 표시되지는 않음)과 두 개의 숫자(명확하게 표시됨)를 구별한다. 이들 명사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실하에서 의미론적으로 중립화된 아랍어 확정기사로 빌렸다는 점이다.

모로코 아랍어 l-frash '침대' → 실하 lfrash '침대, 침대'
모로코 아랍어 샤리슈 '분지' → 실하 샤리슈 '분지, 분지'

아랍어 여성적 엔딩 -a는 종종 실하 여성적 단수 접미사 t로 대체된다.

모로코 아랍어 l-faki-a → 실하 lfaki-t '과일'
모로코 아랍어 ṛ-ṛuḍ-a → 실하 ṛuu-ṭṭ-ṭ'tomb of a saint's.

아랍어 대출은 대개 실하에서 성별을 유지한다. 예외는 t로 끝나는 아랍어 남성 명사들이다; 이것들은 실하에서는 성별을 여성으로 바꾸고, 마지막 t는 실하 여성 단수 접미사 -t:

모로코 아랍어 l-ḥadit '예언적 전통'(masculine) → 실하 lḥadi-t (페미니네)
모로코 아랍어 l-mut '죽음'(masculine) → 실하 lmu-t (페미니네)

아랍어는 보통 단수형을 차용한다. 차용된 복수형이 성별을 명시적으로 표시하지 않은 경우(아랍어 형태학에 따라) 단수와 동일한 성별을 갖는다.

lbhim-t 'behavious animal' (198), 복수 lbhaym (1983)
lbzim 'buckle'( (), 복수 lbzaym( ()

단수형이 남성적인 외래어는 여성적인 복수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 arabiclam 'flag'(masculine), 복수 lɛlum-at (feminine)과 같이 표시된다.

부속국가의 사용

함축 명사의 부속 상태(EA)는 다음과 같이 명확하게 정의된 여러 구문 문맥에서 사용된다.[46]

  • 명사가 언어 후 위치에서 주체로 발생할 경우:
tfulki tmazirt nnun (it.is.beautiful EA-country of.you) '너의 나라는 아름답다'
비교:
타마지르트 은툰 툴키(EL-country of.yöu it.is.beautiful) '[your country, it's beautiful'
tiskrt d uẓalim 'EA-ons (및) EA-onion을 포함한 EL-garlic' (EL aẓalim)
Tangult n uɣrum 'EA-bread의 EL loaf' (EL a arum)
  • 숫자 1부터 10까지 및 무한정 숫자 뒤에 (§ 숫자 참조:
kraṭṭ tmkilin '3개의 EA-dises' (EL timkilin)
mnnaw wussan '많은 EA-days'(EL ussan)
  • 다음과 같은 명사 구를 필요로 하는 강하와 기원을 나타내는 일부 요소 뒤에 (§ 보유 명사 참조)
앳 우가디르 '아가디르 민족'
bu tɣanimt 'EA-reed: 플루트 연주자'(EL taɣanimt)

이러한 맥락 밖에서 EL이 사용된다. 상태를 구분하지 않는 미선택 명사와 비법인 대출은 이런 맥락에서 변함이 없다.

여성명사의 의미론

남성 명사에서 여성 명사가 형성되는 것은 생산적인 과정이다. 여성 명사는 남성 명사에 여성 명목 접두사 t-(그리고 필요하면 성대 접두사)와 여성 단수 접미사 -t를 모두 더함으로써 형성된다. 여성적 파생의 의미적 가치는 가변적이다.

남성과 여성 인간 또는 동물(주로 더 큰 포유류)을 지칭하는 많은 명사에 대해, 참조자의 성별을 반영하여 동일한 명목 줄기를 가진 남성적 형태와 여성적인 형태가 존재한다.

adgal 'widower' → 올드갈트 'widow'
amuslm '무슬림' → tamuslmt '무슬림아'
ikni 'twin boy' → tiknit 'twin girl'
, 수탉 → 태불스트 ' ''
izm 'lion' → tizm ' ''
우다드 '위장론' → 튜다트 '여성위장론'

몇 가지 경우에 다음과 같은 융통성 있는 형태가 있다.

아르가즈 '남자, 남편' - 타미아트 '여자, 아내'
앙쿠르 '벅' - 타오차 ' ''

참조가 무생물인 남성 명사에서 파생된 여성 명사는 다음과 같은 축소 의미를 갖는다.

aẓru '돌' → taẓrut '작은 돌'
ifri 'cave' → tifrit 'hole, lair'
lbit '방' → talbitt '작은 방'
ṣṣnduq '박스' → taṣṣnduqt '리틀박스'
urti 'garden' → 터틀 '작은 정원'

반대로 여성명사에서 파생된 남성명사는 다음과 같은 증보적 의미를 갖는다.

tamda 'lake' → amda '큰 호수'
tigmmi '집' → igmmi '큰집'
티즈니르트 '팬 팜' → 이즈니르 '대형 팬 팜'

남성 집단 명사에서 파생된 여성 명사는 다음과 같은 단칭적 의미를 갖는다.

asngar 'maize' → tasngart 'a cob'
iffl ' '' → tiflt '후추'
biṭlžan 'aubergines' → tabiṭlžant 'an aubergine'
luqid 'matches' → taluqitt '일치'

여성의 파생어는 언어, 직업 및 활동의 명칭으로도 사용된다.

아훌란디 '더치맨' → 타훌란디트 '네덜란드어'
프란시스 '프랑스어' → 타프란시스트 '프랑스어'
암질 '직업' → 탐질 '직업'
inmmtri 'beggar' → tinmmtrit 'begging'
옴식 'miser' → 탈름식 'av'
gʷma '(내)형' → tag tagmat ' ''

여기에 여성을 나타내는 여성 명사와 겹치는 부분이 있다.

타프란시스트 '프랑스 여성'과 '프랑스어'
틴엠트리트 'womanwoman'과 '''

명목상의 탈핵적 진부한 진부함

명사를 따를 수 있는 세 가지 뎁틱 클리틱이 있다: 근위 a-d '이것, 이것들', 원위 a-n '저것, 저것들'(비교 § 언어적 클리틱스) 및 아나포닉 릴리 '상기된'이다.

tamnt ad our tɣʷli '[ 꿀에 대해서는] 비싸지 않다.'
yaɣ uṣmmiḍ taɣaṭṭ Ann bahra '추위가 저 염소를 몹시 괴롭혔다'
ifk ir lli i tazzanin ar sRS ttlɛabn '그리고 나서 그는 그 를 몇몇 아이들에게 주고 함께 놀았다.'

인칭 대명사

개인 대명사의 세 가지 기본 집합이 있다.

  • 무소속의
  • 직접 목적어 진부한 진부한 말.
  • 접미사

또한 접미사가 붙은 대명사를 포함하는 두 개의 파생 집합이 있다(첫 번째 단수에서는 제외).

  • 간접 목적어 진부한 말.
  • 소유권 보완물

성별은 두 번째 단수, 두 번째와 세 번째 복수형에 일관되게 표시된다. 성별은 3번째 단수와 1번째 복수형에 일관되게 표시되어 있지 않다. 첫 번째 단수에는 성별이 표시되지 않는다.

독립적
직접 객체
진부한 말
접미사
간접목적어
진부한 말
소유욕
보완물
1 sg nkki(n) 이이 V-ø / C-i 이이 V nw / C inw
2 sg.m. 키이(n) k -k a-k nn-k
sg.f. kmmi(n) km -m a-m n-m
3 sg.m. ntta(n) t -s a-s nn-s
sg.f. NTT tt/stt
1 pl.m. nkkʷni(n) a ɣ -nɣ a-11 nnɣ
pl.f. nkkʷnti(n)
2 pl.m. kʷni(n) V-wn / C-un a-wn nn-un
pl.f. kʷnimti(n) 쿤트 V-wnt / C-unt a-wnt n-unt
3 pl.m. ntpni(n) tn -sn a-sn nn-sn
pl.f. NTTnti(n) tnt -snt a-snt. nn-snt
∅ = 제로 형태소

독립("반전") 대명사는 주제나 대상을 국부화하는데 사용된다.

nkkʷni wr nlssa turẓyin n waggʷri '[우리]로서는 알파로 만든 샌들을 신지 않는다.'
tumɣarin NTTntin a ybnun andaru nifullusn '여성에 대해서는 그들이 닭장을 짓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또한 zund 'like', abla 'exception'과 같은 특정한 사이비 사전에도 사용된다.

ɛlah, nkki, giɣ aɣul zund kyyi? '왜, 나도 너 같은 얼간이야?'
ur iqqadda y yakʷr abla kʷni '너 말고는 아무도 [it]를 훔칠 수 없었을 것이다.'

직접 객체 클리틱스는 타동사와 함께 사용된다.

kyuzn tn ttmzgida '그는 그들을 koranic school에 보냈다.'
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아르트왈츠 '그가 나를 때리면 나는 도망간다'

세 번째 여성용 변종 stt는 치과용 정지 후에 사용된다. 비교:

'그녀를 여기로 데려와!' (오히려 특이하게도)
아야트 stt 아이디 '그녀를 여기로 데려와!' (역대 복수 남성)

직접 목적어 클리틱스는 또한 피사체를 사이비 버브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47] 현재 입자 ha '여기, 보이시'와 함께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와우두 이이(혼자 나) '나 혼자'
Kullu tn (모두들) '모두들, 모두'
laḥ t (the at him) '그는 그곳에 없어, 사라졌다.'
manza tt (그녀는 어디있니) '그녀는 어디있니?'
하이이(here.is me) '여기 내가 있다'

표준 접미사는 물체를 나타내는 전치사와 (§ 전치사 참조) 소유를 나타내는 필수 보유 친족 용어들의 폐쇄적인 집합과 함께 사용된다(§ 홀딩 명사 참조). 복수형식은 친족 용어와 접미사 앞에 infix -t-를 추가한다. 예를 들어 baba-t-nɣ '우리 아버지'(절대 *baba-nɣ); 이 infix는 -t-가 없는 형태의 자유형 또는 변증법적 변종으로서 일부 전치사와 함께 발생하기도 한다.

fella-sn 또는 fella-t-sn 'on them'
dar-sn 'with them'(절대 *dar-t-sn)

간접 목적의 진부한 표현은 유익성과 해로운 의미를 모두 전달한다.

allii는 너를 d ifil walu처럼 담근다. (그가 하지 않을 때)그녀의 딸인 him.weet anything) '그가 죽었을 때 그는 아무것도 그녀에게 남겨주지 않았다'
tamurɣi tssha y as tibḥirt nns (EL-locust she.ate to.her.her EL-begetable.garden) '메뚜기들이 그녀의 채소밭을 먹었다.'

소유권 보완물은 명사를 따른다(§ 소유권 참조).

전치사

전치사는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최대 세 가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 명사 또는 지시 대명사 앞에
  • 대명사 접미사로
  • 관계 조항에 독립된.

명사와 지시대명사 앞의 형태와 독립된 형태는 대부분의 전치사에 대해 동일하며, 예외는 데이터 전치사 i(독립된 mi, mu)이다.

명사 이전 또는
과시적
대명사
독립적

표준 접미사 포함

번역 등가물

ar '한까지'
d d id-, did- 혜성: '과 함께, 와 함께; 그리고'
똥을 싸다 똥을 싸다 다아- 'at, by, chez'
ddu. 땡땡땡땡이 땡땡이 땡이 똘똘이. 'beneath, under'
f f 프롤라 'on; because'
gr 자갈- '사이에'
(i)ngr (i)ngra- 'among'
ɣ ɣ gi(g)- 위치: 'in, at'
i mi, mu. (객체적 진부함) dative: 'for, to'
n (완벽한 보완물) 소유욕: '의'
nnig nniga- '위'
s s is- 기악: 'with, betters of'
s s sr- 유인: 'to, too'
zgi(g)- Ablative: 'from'
— 존재하지 않는
…의 매력이 없고, 아마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대부분의 전치사는 다음과 같은 변곡 명사가 부속된 상태(EA)에 있어야 한다(§ 부속된 상태의 사용 참조). 예외는 'will' ar, s 'toward'(일부 현대 방언에서, 전근대 텍스트에서) 및 b bd 'after' 및 qbl 'before'와 같은 아랍어(표에는 없음)에서 빌려온 전치사(전치사)이다.

악기 및 모든 전치사의 'by method of'(EA 포함)과 s 'toward'(EL 포함)는 여전히 현대 이전의 원고 본문에서 일관적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대부분의 현대 방언에서 그것들은 합쳐졌고, 이제 양쪽 모두 EA를 요구했고, 사전 분류 형태와 함께 각각 sr-s 'toward it'(지금은 'toward it'(지금은 'toward it')와 is-s 'toward it'(지금은 'toward it')라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다양한 형태의 사용은 전치사 ɣ 'in'과 함께 여기에 설명된다.

Iḍr unẓar izwarn ɣ ukshum n ktubr '10월 에 첫 비가 내렸다'(명사 포함)
ggawrn gisn ar ssan lqhwa '그들은 그 안에 앉아 커피를 마신다'(공칭 접미사 포함)
urti ɣlan llan llan lli stɣlanin ar ittyiswa '열매를 맺는 나무가 있는 정원은 대개 관개된다'(독립)

두 가지 전치사를 결합할 수 있다.

일라 이글기즈 릴리 이츠다엔 ɣ ddu tsbnit '똥 아래에 사는 딱정벌레의 종류가 있다'(ɣdu, 점등). 'in under'
ar ttdan s dar uḥžam ɣ Tfrawt '그들은 항상 Tafraout에 있는 이발사에게 간다' (s dar, light) 'to at')

공간관계는 또한 "위쪽" 유형의 구절로 표현된다.

ɣ 아이기엔 엄두즈 '똥 더미 위에'
ɣ 타마우하라 '길을 가다'
ɣ tuẓẓumt n wasif '강 한가운데'

자유형 및 변증형 변형을 모두 포함하는 pronominal 접미사와 함께 전치사 gi(g)- 'in'이 아래에 제시되어 있다.[48] 다른 전치사는 훨씬 덜 다양하다.

기- -t-로 비정형성
1 sg. 기가 Gi-ø 기티
오전 2시. 꽹과리 치다 기-크
2 sg.f. 긱-m gi-m
3 sg. gi-스 giz, gid, git
1 pl. 기가 막히다 기-(n)n 지-트-네
오후 2시 긱-un Gi-wn 기툰
평면2길 킥킥거리다 Gi-wnt 지툰트
오후 3시 기스네 지-트-스네 Gizn, Gidsn
평방3길 기스넷 지-트-스-스-트 Giznt, gidsnt

숫자

상속된 추기경 숫자 체계는 '텐섬', '백', '천'의 경우 10자리 숫자(현재는 사용되지 않음)와 3자리 명사(현재는 사용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1에서 10까지의 숫자로 형태학적으로 그리고 구문론적으로 패턴이 있는 '수, 수' 또는 '수'를 의미하는 무한 숫자가 있다. 20개 이상의 숫자에 대해서는 아라비아 숫자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숫자 1 ~ 10, 무한수

이것들은 아래에 열거되어 있다.[49] 여성적인 '하나'와 '둘'의 형성은 불규칙하다.

남성적인 여성스러운
'하나' 야앤 야-트
'투' 죄를 짓다 새치기하다
'3' 크레이지 크래이빙을 하다
'4' kkuẓ kkuẓ-t.
'5' 스머스 smmus-t
'6' 시시스 ssi-t
'7' sa sa-t
'8' 탐, 탐 tam-tt, tam-tt
'나인' 짜, 짜, ttaa 땡땡땡땡땡땡땡땡땡땡땡땡땡땡땡이
'10' 갈기갈기 찢다 갈기갈기 찢다
무기한의 음나우 mnnaw-t.

숫자 1부터 10까지의 숫자는 명사(EA의 불문사)로 구성되며, 숫자 성별은 명사와 일치한다.

얀 와그마르 '하나의 EA 말'
Yat tfunast '하나의 EA-cow'
죄악마 '두개의 EA-hores'
'두 마리의 EA-cows'[50]라는 스내트 티푸나신

무한정 숫자에서도 동일한 값을 얻는다.

mnnaw wagʷmarn '몇 마리/많은 EA-hors, 몇 마리의 말?'
mnnawt tfunasin 'several/많은 EA-cows, 몇 마리의 소?'

숫자 yan, yat 'one'은 또한 무기한 기사로서, 예를 들어 yan urumy 'one westernner, a westernner'와 같이, 'anyone'(yan), 'anything'(yat)이라는 뜻과 함께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ur iẓri ḥta yan '그는 아무도 보지 못했다'
ur ksuḍɣ yat '나는 아무것도 두렵지 않아'

남성적 'one'과 죄 'two'의 마지막 n은 흔히 다음과 같은 w, y 또는 l에 동화되거나 융합된다.

/yan w-ass/ → yaw는 '하나의 EA-day'이었다.
/yan w-sggʷas/ → ya wsggʷas '하나의 EA-년'
/yan lmakan/ → yal lmakan '한 곳'
/sin y-sggʷas-n/ → si ysgʷasn '2 EA-년'
/sin y-ir-n/ → siy yirn '2 EA-months'

10대

10대들은 전치사 d 'with'로 숫자 1에서 9까지의 숫자를 숫자 10에 연결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전근대어에서는 두 숫자 모두 계수된 명사의 성별을 취했고, 복수(EA)에는 다음과 같은 명사가 있었다.

sin d mraw wagʷmarn (2마리에 EA-hors 10마) '12마마'
snat d mrawt tfunasin (2마리에 EA-cow 10마리) '12마리의 소'

현대 언어에서 융합된 형태는 첫 번째 숫자가 항상 남성적인 반면,[51] 다음 명사는 단수 안에 있는 반면, 전치 n 'of'와 연결되는 형태로 발전했다.[52]

신드롬 나와그마르(EA 말 12마리) '12마리의 말'
sindmrawt n tfunast(EA-cow 12마리) '소 12마리'

수만, 수십, 수천

'텐썸', '백', '천'을 나타내는 세 개의 유전 명사가 있다. 이것들은 이제 구식인 것 같지만, 전근대 필사본에서는 잘 증명되어 있다.[53] 형태학적으로 그들은 평범한 번체 명사들이다.

단수형 복수형
EL EA EL EA
'텐썸' t-a-mraw-t. t-mraw-t 티-i-mraw-in t-mraw-in
'백' 티아이미지 티미지 티아이마 t-maḍ
'천' 이프스 y-ifḍ afpa-n w-afḍa-n

1부터 10까지의 숫자와 숫자 명사를 합쳐서 수만, 수십, 천을 이루었다.

snat tmrawin (2개의 EA-tensome) '20'
snat tmaḍ (2 EA-100s) '2백'
sin wafanan (2 EA-000) '2천'

숫자 명사는 명사와 전치사 n 'of'와 연결되는데, 단수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timiḍi n wagʷmar (EL-100 EA-hors) '백 마리의 말'
스내트 타마 와그마르(EA-100마어 두 필) '이백마'
ifḍ n tfunast (EL 천 마리의 EA-cow) '천 마리의 젖소'
sin wafḍn tfunast (2 EA-천 마리의 EA-cow) '2천 마리의 소'

현대 언어에서는 아랍어 10이 사용되는데, 이 10은 별도의 여성적인 형태를 발달시켰다.

ɛ슈린 나그와그마르(EA 말 20마리) '말 20마리'
ɛ슈린트 n 티푸나스트(EA-cow 20마리) '소 20마리'

10 사이의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 1에서 10까지의 숫자로 가장 많이 만들어진다.

xmsa w ɛ슈린 n 와게드마르(EA 말의 5마리와 20마) '25마'
xmsa w ɛ슈린트 n tfunast(EA-cow 중 5마리와 20마리) '25마리의 젖소'

아라비아어 수백, 수천은 현대 언어에서 사용되며, 원래의 구문은 유지되는 동안 원래의 숫자 명사의 자리를 차지한다.

miya nwag (mar(EA-hors 수백마) '백마'
snat id miya n wagʷmar(EA 말 두 PL 100) '이백마'
alf n tfunast (수천 마리의 EA-cow) '수천 마리의 소'
sin walfiwn n tfunast (2 EA-천 마리의 EA-천 마리의 소) '2천 마리의 소'

아라비아 숫자 num슈린 '20, 점수'에 구축된 생체시스템도 있는데,[54] 예를 들어 sin id ɛ슈린트 n tfunast(EA-cow의 PL 점수 2개) 'forty bows'이다.

순서형 숫자

번째와 마지막은 보통 동사의 상대적인 형태와 함께 표현된다. 첫째와 마지막이다:

Tawriqt izwarn (which.is.first 페이지) '첫 번째 페이지'
ussan ggʷranin (.are.last) '마지막 날'

또한 이러한 동사에서 파생된 에이전트 명사가 명사에 붙거나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aḍrf 암즈와루(첫 번째.one을 더미) '첫 번째 이랑'
tushka d tamgarut (she.parent hither the.last.one) '그녀는 맨 마지막에 도착했다.'

다른 서수들은 마스코트. wis-, fem. tis-를 기본 숫자에 접두사하여 형성되며,[55] 그 다음 일반적인 방식으로 복수 명사로 구성된다.

wis-krahwussan (ORD-3 EA-days) '세 번째 날'
tis-kraṭṭ twal (ORD-3 EA-times) '제3회'

서수 접두사는 아라비아 숫자와 무제한 숫자로도 사용된다.

wis-xmsa w- wshrinn dulqqiɛda '[월] 25일] dh'l-qaʽda'
wis-mnnwt twal 'how-manth time?'

1부터 10까지의 숫자 중 4개가 s로 시작되기 때문에 wis-, tis-(위신, 위스무스 등에서와 같이)의 접두사에서 비롯되는 보석 ss다른 숫자로 일반화되는 경우가 많다.

동사들

실하 동사 형태는 기본적으로 사람-숫자-성(PNG) 부착물과 기분-기대-거부(MAN) 줄기의 조합이다.

샘플 동사

이 시스템의 작용은 동사 fk 'to give'의 완전한 결합과 함께 여기에 설명되어 있다. 완벽한 부정은 부정 wr 'not'과 어울린다. 불완전성은 전언적 입자 ar(일반적으로 명령적, 상대적 형태는 제외)와 함께 간다.

아오리스트
퍼펙티브
퍼펙티브
부정의
불완전함
MAN 스템 → fk(i) 전경련/a 전경련의 악카
1 sg. fk-flash 전경련의 당신의 전경련을 지지하다. 아르크 마름모
2 sg. t-fk-t t-fic-t. 당신의 t-fic-t. ar t-akka-t.
오전 3시. i-fk i-fka 당신의 i-fic. ar y-akka
3 sg.f. t-fk t-fka 당신의 t-folic. 아르 티아카
1 pl. n-fk n-fka 전국적인 ar n-akka.
오후 2시 t-fic-m t-fka-m 당신의 t-frency-m. ar t-akka-m.
평면2길 t-fic-mt. t-fka-mt 당신의 T-Fic-mt. 아르 티아카-mt.
오후 3시 전경련의 fka-n 당신의 전경련의 ar aka-n.n.
평방3길 전경련의 fka-nt 당신의 전경련. ar aka-nt.
명령적
2 sg. fk 악카
오후 2시 fk-at 악카야트
평면2길 fk-flash 아카야끼
상대적
sg I-fka-n 당신의 i-fic-n y-akka-n
텀블링하다 프카앤인 당신의 전경련 회원. 악카앤인

동사 give는 4개의 서로 다른 MAN 줄기의 완전한 보완을 가지고 있다.

Aorist fk(i) - 1차, 2차, 3차 단수, 1차 복수, 필수, 2차 복수에서는 fk이지만 2차, 3차 복수에서는 전경련.
퍼펙티브 전경련/a - 1, 2단수 전경련, 다른 형태의 fka
완벽한 네거티브 전경련 - 모든 형태
불완전한 아크카(불규칙한 형성) - 모든 형태

Person-number-gender 첨부파일

PNG 첨부파일의 기본 세트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일반적인 동사형식의 주제를 표시하는 세트와 또 다른 하나는 필수형 주제를 표시하는 세트다.

i-fka-n 'who gives', fka-n-in 'who gives'[56]에서처럼 두 개의 접미사(송어 -n, 복수 -in)를 각각 3번째 단수 및 남성 3번째 복수 남성 동사 형태("participles"라고도 한다)에 추가하여 상대적 형태를 만든다.

1 sg.
2 sg. t- -t
오전 3시. y-
3 sg.f. t-
1 pl. n-
오후 2시 t- -m
평면2길 t- -mt
오후 3시 -n
평방3길 -nt
명령적
2 sg.
오후 2시 -at
평면2길 -sness
상대적
3 sg. y- -n
3 pl. -n-in

무드-아스펙트-부

몇몇 동사들은 단지 하나의 MAN 줄기를 가지고 있다. 대다수의 동사들은 두 개, 세 개 또는 네 개의 서로 다른 MAN 줄기를 가지고 있다.[57] 아오리스트 줄기는 동사의 인용문 역할을 한다. 아래 목록은 MAN 줄기 패러다임의 개요를 제공한다. 퍼펙티브(Perfective)와 퍼펙티브(Perfective) 네거티브(Perfective)의 형성에 기초해 약 15개의 파생되지 않은 동사의 패러다임을 인식할 수 있다. 불완전성의 형성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세분화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목록의 모든 섹션에는 전체 목록을 포함하는 섹션 12, 14, 15를 제외한 동사의 선택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아오리스트
퍼펙티브
퍼펙티브
부정의
불완전함
1 '웃음' ḍ사 ḍ사 ḍ사 ḍ사
'bark' 땡땡이 땡땡이 땡땡이 땡땡이
2 'accompany' mun mun mun 돗문
'앉다' 스키우즈 스키우즈 스키우즈 skiwis, tt-skiwis
'미치다' 뉴플레 뉴플레 뉴플레 tt-nuful
3 '입력' ksm ksm 크심 크슈름
'회색' frd frd 프리드 FFRD
'mention' bdr bdr 이디르 addr, tt-bdar
'출발, 상승' ɣly ɣly ɣ리 aqqqlay
'열려라, 열려라' rẓm rẓm 라짐 tt-nurum
4 '낙하' rr rr 쉬르 샤르
'때리다' wt wt 재치 있는
5 'break, be break' rẓ(i) rẓi/a ri aa
'먹다' 슈(i) 쉬/a 시이 슈타
'주다' fk(i) 전경련/a 전경련의 악카
'쇼, 설명하라' ml(i) mli/a 멜리 mmal의
'술' sw(i) swi/a swi ssa
'콜' ɣr(i) ɣ리/a ri리 아크라
'be; put' g(i) gi/a 기를 쓰다 tt-gga
6 'sew' 그누 gni/a 그니 gnna, gnnu, tt-gnu
'가' ftu fti/a fti fttu, tt-ftu
'가' ddu. ddi/a ddi tt-dda, tt-ddu, tt-udu
'divide' bḍi/a bḍi aṭṭa
7 '좋아지다' 후방의 uf uf tt-afa
'날다' Ayll uyll uyll tt-aylal
'돌아오다' 노를 젓다 호통을 치다 호통을 치다 tt-rara
'inherit' 까스 꽹과리 꽹과리 tt-kasa
8 '테이크' amẓ ummus umiẓ tt-amẓ
'steal' Ak akr. 우크르 우키르 tt-akʷr
'도와줘' 송곳들 iws iiis tt-aws
'달린다' 아즐을 맞추다 으슬으슬 웃질하다 땡아살
9 '찾다' 후방의 ufi/a 유피 tt-afa
'오너라' ashk(i) 우슈키/a 우슈키 tt-아슈카
10 '플라이' 아즈 우지/a 우지 tt-azu
'contain' 아무 우미/a 음, 나. tt-amu
11 '보유, 보유' ṭṭf, ṭṭaf ṭṭf, ṭṭaf ṭṭ tt-ṭṭf, tt-ṭṭaf
' 빼앗다' kks, kkis kks, kkis 낄낄거리다 tt-kks, tt-kkis
'나가다' ffɣ, ffuɣ ffɣ, ffuɣ ffiɣ tt-ffɣ, tt-ffuɣ
12 'die' 음트 mmut mmut tt-mtat
13 '두려워하다' 익수이크, k ksaḍ ksaḍ tt-iksuḍ, tt-ksuḍ
'우선이다, 선행하다' 이즈워, 즈워 즈워 즈워 tt-izwur, zggurur
14 'possess' 일리 li/a I I tt-ili
'want' 이리 리/a r i tt-iri
15 '존재하다' 일리 릴리/a 릴리 tt-ili
'말하라' 이니 nni/a nni tt-ini

MAN 줄기의 사용

아래 표는 Kossmann(2012:40, 표 2.12 Figuig Berber에서 MAN 줄기의 사용)을 각색한 것이다.

MAN 줄기 MAN 스템이 사용되는 주요 컨텍스트 번역
아오리스트 명령적
연달아
amẓ
y-amẓ
'받아!'
'(그리고 나서) 그가 가져갔다.'
광고 + 아오리스트 무통행의 ay y-amẓ '그가 가져가는 것'
rad + 아오리스트 미래의 레이 y-amẓ '그가 가져갈 것이다'
ur + aorist 연속 부정의 y-amẓ '(그리고 나서) 그는 받지 않았다.'
ad + our + aorist 부정 명령 ad your t-amẓ-t. '받지 마!'
ur + rad + aorist 부정된 미래 ur ray y-amẓ '그는 가져가지 않을 것이다'
퍼펙티브 과거의 행동
상태(결과 상태 포함)
y-umẓ
이-리라
'그가 가져갔다'
'더웠다, 더웠다'
ur + 퍼펙터블 네거티브 부정된 과거의 행동
부정 국가
y-u-miẓ
ur ir-rɣi.
'그는 가져가지 않았다'
'덥지도, 덥지도 않았다'
불완전함 습관적인/반복적인 명령 tt-amẓ '항상 가져간다!'
광고 + 불완전함 습관적인/반복적인 명령 tt-amẓ-t에서[58]. '항상 가져가야 한다'
ad + ur + 불완전 부정된 습관/반복적인 명령 ad our tt-amẓ-t. '절대 받아서는 안 된다'
ar + 불완전함 동시 동작(동시 동작)
습관성, 반복성, 지속성
ar i-tt-amẓ '그는 항상 가져간다'
ur + ar + 불완전함 부정 동시 작용
부정된 습관, 반복성, 지속성
y-tt-amẓ, y-t-amẓ, u-a-t-amẓ[59]. '그는 가져가지 않는다, 결코 가져가지 않는다.'

Stative 동사

실하에는 기본적인 형용사의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가 20여 개 있다. 이러한 "stative" 동사는 여전히 그들의 MAN 줄기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별도의 그룹으로 인식된다. 언어의 초기 단계에서는, 그들은 그들만의 별도의 PNG 표식기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은 현대 이전의 필사본에서 산발적으로 발견된다.[60]

iḍ ɣzif '밤, 길다'(cf. modern iḍ i-ɣzif)
rẓag-t isafarn 'sweet is sweet'(cf. modern rẓag-n isafarn)

현대 언어에서, 이 동사들은 규칙적인 PNG 표지를 사용한다. y- 접두사가 없는 원래의 단일한 상대적 형식만 여전히 만날 수 있다. 예를 들어 adrar mqur-n 또는 adrar i-mqur-n (which.is.big) 'big mountain'이다. Stative 동사는 별도의 Perfective 음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 않다. 이 표에는 static 동사의 선정이 나와 있다.

아오리스트 퍼펙티브 불완전함
'적게 적다' 이드루스 취기가 돌다 tt-idrus
'많다' 이구트 gg굿 tt-igut
'소소하다, 젊다' 이매이 미스티 tt-imziy.
'크다, 늙다' 이무르 mqur tt-imɣur.
'노랗다' 이와리히 포장된 tt-iwriɣ.
'빨갛다' 이즈위스 즈그자 tt-izwiɣ

언어적 강박관념

참조점을 향해 또는 멀어져 가는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해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두 가지 독단적 진부함이 있다: 구심 d '히터'와 원심 nn '둘 다'이다.

ur issin man ass drrrrin '그는 그들이 어느 날 돌아올지 알지 못했다(the know what day they will return
nɣiɣ a babatun luḥɣnn ixf nns your wanu '내가 네 아버지를 죽이고 (내 몸에서 떨어져) 그의 머리를 물웅덩이에 던져버렸다.'

이러한 진부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특정 동사와 함께 필수(직관적)이다. 를 들어, 동사는 항상 구심 입자와 함께 가고 원심 클라이트로 찾아낸다.

유슈카 다르신우르카스 지 li리 우마우시 '알리 오움하우치에서 전령이 그들의 집으로 왔다.'
igggzz s wanu yaf n ixf nizimr '그는 물구멍으로 내려갔고 숫양의 머리를 발견했다.

사물 대명사 뒤에 언어적 진부함이 생기면 id여관으로 바뀐다.

Iga tn id ɣ yan uqrab 'he put in pouch'
ar tn 여관 nttga ɣ txuba '우리는 항상 그것들을 항아리에 넣는다'

소유

명사구문 안

명사구절 내의 소유구조는 Posessee n Hostor로 가장 많이 표현된다. 전치사 n 'of'는 다음과 같은 변성명사가 부속된 상태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소유권 구조는 이국적이거나 양도할 수 없는 소유권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관계를 포괄하며, 이들 대부분은 실제 소유권을 포함하지 않는다.

anu n Dawd 'Daoud's water hole'
imi n tsraft '곡물 사일로의 입구'
타르와 은 브라힘 '브라힘의 아이들'
igʷdar n idqki '흙으로 만든 것'
imikkn't isn't not a little salt.
atig n usngar 'maize의 가격'
tiɣʷrdinn imkli '점심 후'
lmdint n Ssnbul '이스탄불의 도시'
aɣllay n tafukt '태양의 상승'
aɣaras n ssksila '학교 가는 길'
Ddinn Wudayn '유대인의 종교'
lqqiṣt n Yusf '요셉의 이야기'

그러한 소유구조는 복합체로서, 그 의미는 명사의 일반적인 의미로부터 추론할 수 없다.

aɣaras n walim '짚의 길: 은하수'
imi n wushn 'jackal의 입: 길이 측정(엄지와 새끼 손가락의 뻗은 끝 사이의 거리)'
talat n 틸킨 '이빨의 라빈:나페, 목 뒤'
타스미 n ifrgan '위험회피처: 새 종류'

소유주 자체는 다음과 같은 소유권 구조에서 보유자가 될 수 있다.

ludda n tgldit n Mulay Lḥasan 'moulay lahcen의 통치 기간'
luqt n warraw n Wulli '양과 염소의 출산 시기'

일반적으로 전치사 n다음 w, y, l 또는 m과 동화되거나 융합된다.[61]

/awal n w-aɛrab-n/ → awal waɛrabn '아랍어의 언어'
/a-ḍbib n y-isa-n/ → aibbib yisan '말의사'
/luq-t n w-nẓar/ → luqt unẓar '비의 계절'
/a-gllid n y-muslm-n/ → agllid imuslmn '무슬림의 왕'
/a-sngar n miṣr/ → asngar m Miṣr '이집트의 maize'

소유자는 또한 평형 소유권 보완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것은 전치사에 추가된 평형 접미사로 구성되며, 이 접미사는 nn- 형태를 취한다(§ 대명사 참조). 첫 번째 단수 소유 보완물의 형태는 변칙적이다: 모음 뒤에 nw, 자음 뒤에 inw:

아가유 누 '내 머리'
ifassn'u 'my hands'.
a legarn new 'my leg'
aqrab nnk 'your (m.m.) 파우치'
루무르 nnm '당신의(당신의) 일'
timlsa nns '그녀의 옷'
Rriy nns '그의 의견'
aḍu nns '그들의 냄새'
'우리 이웃들'이라는 격언.
타우우리 은눈 '당신의 (플.m.) 직업'
timddukkal nunt 'your (pl.f.) friends'
lmɛisht nnsn 'their (m.
tikʷyaḍnt ' ' (f.) 머리 자물쇠'

조항 내에서

한 조항 안에 소유권을 표현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존재하는"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다.

tella dars yat txsayt (그녀.exists with.he one EA-pumpkin) '그는 호박을 가지고 있다'
ur dari yli wmya ma nn lssaɣ (with.me it.propert EA-thaty that I.do.wears) '나는 입을 옷이 없어'

동사가 존재하는 경우는 대개 생략하고, 동사 없는 절은 다음과 같이 남겨둔다.

아르간 아르간 아르 잉크크르 ɣ 타간트(with.us EL-argan it.is. EA 숲에서 자라는 아르간 나무가 있다) '우리는 숲에서 자라는 아르간 나무를 가지고 있다'
너 다크 크래야닌이니? (질문 없음)너 다른 거) '다른 거 없어?'

또는 동사 ṭṭf, ṭafaf 'hold, have'를 사용할 수 있다.

Iṭṭaf yan uɣu imuddu srs(He. he.proble one EA-donkey he.proble with.it) '그는 함께 여행하는 당나귀를 가지고 있다.'
nkki wr ṭṭifɣ luraq inu (I.substance papers of.me) '[nkki wr ṭṭifɣ luraq inu] '[nki] 나는 내 서류를 받지 못했다.'

또한 동사 ili '소유'가 있는데, 이 동사의 용도는 (불가득할 수 없는 부분적 관계와 친족 관계로 제한된다.

liɣ alln ɛdlnin (I.have eyes who.are.good) '눈이 좋다'
lan ssiis tarwa (그들은 6명의 EA-자녀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6명의 아이를 가지고 있다'

사용 ili는 ṭṭaf 또는 '존재하는' 구조로 대체될 수 있지만, 그 반대는 아니다.

azrg Ila yan uskti, 또는 azrg iṭṭaf yan uskti(EL-hand-mill it.EL-handle 1개 보유) '핸드밀은 손잡이가 한 개'
ṭṭafɣ snat tgʷmema, *li snsnat tgmmamama (I.liposss snat tgʷma, EA-house 두 집 보유) '나는 두 집이 있다'

보유명사

이것들은 미선택 명사의 하위 유형이다. 고유명사와 마찬가지로 참조자의 자연성에 따라 성합의를 취하는 보유명사에 성별이 투명하게 표기되지 않는다. 플러랄은 유연하거나 앞에 놓인 다모나이저 ID로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보유 명사는 소유성 접미사를 필요로 하는 동의어 친족 용어다(표에는 선택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단수형 복수형 언급
'의 어머니' ma- id ma-
'의 아버지' 바바- id baba-
'의 딸' 이엘리- 이스티-
'의 아들' 이위, 유위, 유위, 유위- (t-arwa) 복수형은 p.m. 변성명사 'sons, 자손'이다.
'의 자매' wlt-ma- yst-ma- 복합, 조명 '어머니의 딸'
'의 형제' 고-마- 아-마- 복합, 조명 '어머니의 아들'
'grandmother: 의 어머니의 어머니' žda- 아랍어 대출
'할아버지: 의 어머니의 아버지' 티-마-ma- 화합시키다
'grandmother: 의 아버지의 어머니' tabt-ti-ti- 화합시키다
'할아버지: 의 아버지의 아버지' ž디- 아랍어 대출

이러한 친족 용어는 평형 접미사가 없으면 발생할 수 없다. 예:

울트마외 '누나'
울트마스크 '당신의 (새벽)'
울트마-m '네 누나'
울트마족 '그녀의 여동생, 그의 여동생'
잇트마-트-nɣ '우리의 자매들'
이츠마툰 '당신(플렘) 자매들'
이스트마툰트 '당신의 (플리프) 자매들'
잇트마-트-스네 '여동생들'
잇트마-트-snt '여동생들'

이러한 명사가 NP 내부 소유구조의 일부인 경우 소유는 다음 두 번 표시되어야 한다.

baba-s n tslit (EA-bride의 아버지-her) '신부의 아버지'
위-s n gʷma-ø(형제의 아들-내) '형제의 아들'
Ili-n wasif (EA-river의 딸-EA-river) '강의 딸:열' (복합)

소유권이 조항으로 표현되는 경우에도 접미사를 추가해야 한다.

ur iṭṭif abla yat Ultma-s (하나의 여동생을 제외하고는 h.s가 아니다.) '그는 오직 한 명의 여동생만 있다.'

일부 친족 용어는 보유 명사가 아닌 소유적 보완을 취하는 불순명사(위 예시 참조)이다.

또 다른 보유 명사군에는 NP 내부 보유 구에서만 발생하는 다음과 같은 명사 구문이 필요하다. EA에는 다음과 같은 변성명사가 있어야 한다.

단수형 복수형
'의 아들, 토박이' w Ayt
'의 여성 원주민' wlt. yst

이 네 가지 보유 명사는 복합 친족 용어의 첫 번째 요소로 발생한다(위 참조; w는 g g-ma- '의 형제'로 이 된다). 그들은 또한 후손, 기원, 민족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ḥmad u 무사 '무사의 아들 아흐메드'(유명한 성인의 이름)[62]
우브라임 '아흐트브라임족'의 일원
u bṛṛa '외부: 외국인'
우 트루단트 '타루단트 출신'
앳 우그르시프 '아구르시프의 원주민'
울트 우글루 '아글루의 원주민 여성'
ist Tfrawt 'Tafraout의 여자들'

w에 이어 다른 w(포니컬)에 도달하면 ggʷ:

/w w wižžan/ → Ggʷižan 'uijane의 고향'(또한 성: 구이제네)
/a-rgaz w-rgazz w- araz/ → argaz gg 'rgaz '사람, 사람의 아들: 덕이 있는 사람'

Ayt는 많은 실하 인종에서 발생한다.

Ayt Bubkr 'Bubker의 아들들'(Aht Bubker), 단수 U Bubkr
Ayt Wafqka '와프카의 아들들'(Aht Ouafka), 단수 /wafqa/ → Ggʷafqka

소유적 요소 및 추근 요소

자기성분 마스코트. bu 'he with, hhe of'와 fem. mm 'her with, she with'는 아랍어(원래 뜻은 'father of', 'mother of')에서 차용한 것이다. 그것들은 별명을 만들기 위해 다용도 조형 요소로 사용되며, 부속된 상태에 있으려면 다음과 같은 변형 명사를 필요로 한다. 복수형은 다모나이저 ID로 구성된다.

bu saiwalyn (7개의 EA 단어 중 그) '거짓말쟁이'
bu tagant (EA 숲의 그) '야생 멧돼지'
bu tbratin (EA-letters가 있는 사람) '우편인'
id buwaga(PL he with EA-bucket) '프랑스 식민지 군인들(케피 입고)'

대부분의 경우 다음과 같은 공칭 접두사를 가진 퓨즈:

/bu w-marg/(EA-poetry와 함께) → 범어 '시인'
/bu y-gʷra/(EA-froges와 함께) → Bigʷra 'Biougra'(장소명)

여성적인 mm는 덜 자주 접하게 된다.

mmm 이그랄(EA-mats와 함께 있는 그녀) '사원의 기도실'
id mm ifalan(PL she with EA-threads) '니들'

추밀원소 masc. war 'he without'과 fem. tar 'she without'은 성별 접두사(masculine w-, 여성 t-)와 부정원소 wr not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요소 ar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부속된 상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아마도 다음과 같은 명사 구절을 대상으로 하여 '없는 자'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전리품(EL 파트너 없는 자) '신'
id war tawwuri (PL hhe without EL-job) '실직자들'
타르 아잘(EL 데이라이트 없는 그녀) '넓은 브림 모자'
타르 라만(확실하지 않은 그녀) '세상, 세속적인 존재'

렉시콘

실하는 화자들이 접촉한 언어로부터 차용한 것으로 보충된 많은 토착어(비차용)

원천

현대 언어에 사용할 수 있는 주요 사전적 출처는 스툼메 1899(실하-독일어 단어 목록 포함, 페이지 155–246); 데스타잉 1920(프랑스-실하), 시드 카우이 1907(프랑스-실하,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음), 요르단 1934(라우스트 1921에서 추출한 실하-프랑스어)이다. 데스타잉 1940(다양한 사전적 주석과 실하 색인을 포함한 텍스트 모음) 이바녜스 1954년(스페인어-실라어); 부말크와 바우포 2001년(실라어-프랑스어) 전근대 언어의 토착적인 원천은 밴 덴 부거트(1998년)에 있다. 이러한 출처는 Stroomer's Accenturer tachelhit-franscaes(도망)에서 많은 추가 데이터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것이다. 실하와 영어로 된 신뢰할 수 있는 단어 목록이 인쇄물로 제공되지 않는다.[63]

외래어

가장 먼저 식별 가능한 대출금은 tiyni 'dates'(cf)이다. Tamasheq teahyne, Ghadamés aβēna), 이집트-캅틱(cf. 콥틱 bnne, beni, benni '데이트 팜트리; 데이트').[64]

북서부-세미아어인 페니키아-푸니치는 북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 특히 현재 튀니지인 CE 5세기까지 사용되었다. 포니컬 대출은 몇몇 베르베르어에서 발견되는데, 그 중 실하어에서는 찾아볼 수 있다. 예(etyon은 페니키아-푸니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훨씬 더 잘 증명된 또 다른 북서부-세미트어인 히브리어에서 인용된다):

agadir 'fortress'(cf. 히브리 가디르 '벽')
aẓalim 'onions' (cf. 히브리어 발람e)
동물 'reeds' (cf. 히브리어 콰넴)
tifst 'flax, 리넨(premoder Silha, cf 히브리어 피슈트-)

동사 lmd 'to learn'도 아마 포에닉 대출(cf)일 것이다. 히브리어 라마드.

Uday 'Jew'라는 명사는 아마도 북아프리카의 초기 유대인 이민자들이 사용하는 아라마어(cf)에서 베르베르어로 왔을 것이다. 아람-시리아크 유다-아 vs. 히브리어 yhûdîe, 아랍어 야후드ī; 아라마어 명사는 그리스어 ἰουδδδδ,, 라틴어 iuaeus)의 출처이기도 하다.

숫자 5부터 9까지 셈어음 대출로 보인다는 지적이[65] 나왔다. 페니키아-푸니치어(Punician-Punic)와 역사적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아랍어(Aright numbers)의 해당 숫자가 원천이 아닌 것 같다. 비교:

실하 티그리냐 페니키아 사람 아랍어
'5' 셈무스 ḥ무슈- ḥ시 샴스-
'6' 시시스 슈드슈시- šš sitt- (일반 사디스)
'7' sa 쇼브하트- 슈비 사브르-
'8' 탐, 탐 쇼몬- SMN θam-
'나인' 짜, 짜, ttaa 티샤트- 티슈 티시-

이슬람이 출현하기 직전까지 모로코 북부 일부 지역에서 다양한 라틴어/로맨스가 사용되었다. 라틴어 및 초기 로맨스로부터의 대출은 다음과 같다.

, 수탉(라틴 풀러스 '젊은 동물, 병아리')
afurnu 'oven' (cf. 라틴어 fornus)
asnus 'ass's poal'(라틴어 asinus 'ass')
플리유 'pennyroyual'(식물, cf) 라틴 풀리튬)
Ikikr 'chickpeas' (라틴 키커)
타팔라 '펠, 스페이드'(라틴 파라)
talima 'file'(라틴어 līma)
타유가 '요크, 페어'(초기 로맨스 단수 *iuga, cf) 라틴 복수형 iuga, 단수형 iugum '요크')
urti 'garden'(초기 로맨스, cf) 라틴 호르투스)
타와사 '무엇인가'(라틴어 인과)
타키라 '왁스'(라틴 cēra)
tibitas 'beets'(초기 로맨스 베타스, cf) 라틴 단수 bēta)
tifiras 'pears'(초기 로맨스 *piras, cf. 라틴 복수형 피라, 단수 피룸)

후기 로맨스 대출은 이전의 대출과 같이 원본 s가 s가 아닌 s가 된다는 사실로 구별할 수 있다. 아마도 나중에 차입한 것은 이베로-로망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 때 베르베르 연사들이 알-안달루스(이슬람 스페인)에서 접촉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caqur 'axe'(cf. 전근대 스페인어 세구르, 라틴어 증권)
cf(cemrir 'hat') 스페인어 솜브레로)
acenti '례'(cf. 스페인어 센테노; 중세 실하 슈엔틴에서는 여성 복수형 티센틴으로 자연적으로 발달한 형태로서, 남성적인 단수형 아슈엔티가 역성형되었다.)

로망스어로부터 또 다른 가능성 있는 대출은 타바샤 '담배'[66]이다.

또한 로망스에서 차용한 것은 줄리안 달력의 달 이름이다.[67]

실하 카탈루냐 주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예나이어 생식하다 에네로 너네로
살벌한 열사의 2차로 페페로로
마를 마르세우스 마조 마르소
이브릴, 이브리르 악의적인 악의적인 악의적인
마유(h) 마이그 마요네즈 마이오
윤유(h) 고니 주니오 준호
율류(z) 줄리올 줄리오 줄호
슈트 아지스트 아고스토 아고스토
슈탐비르 세템브레 세티엠브레 셉템브로
ktubeṛ 팔분의 일 팔분의 일 아웃큐브로
누암비르 중편소설 노비엠브레 중편소설
뒤잠비르 데젬브레 디시엠브레 데젬브로

식민지 시대 이후 빌려온 대부분의 스페인 명사와 프랑스 명사는 아랍어를 통해 들어왔는데, 이는 아랍어 확정기사의 존재에서 알 수 있다.

lficta 'feast'(스페인어 fiesta)
스스킬라 '학교'(스페인 에스쿠엘라)
lbakit 'package'(프랑스 파케)
ṭumumubil 'car'(프랑스 자동차)

명사 atay [atæj] 'tea'는 네덜란드어 ete[tej][68]로부터 온 독특한 대출이다.

지금까지 가장 많은 대출 집단은 아랍어다. 이슬람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언어와 마찬가지로 실하는 아랍어로부터 수백 개의 단어를 채택했는데, 이 단어는 현재 어휘 전체(신체 부분과 다른 기본 어휘 제외)에 스며들고 있다. 대출에는 동사와 명사는 물론 숫자, 전치사, 접속사, 부사 등이 포함된다. 차용된 동사는 실하어법에 완전히 흡수된다. 차용된 명사들 중 많은 수가 명목 형태론적 시스템에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따라서 그들 자신의 하위그룹으로 구성되었다(위 § Unincorporated 명사 참조).

예를 들어 비록 몇몇 명사timzgida 'mosque'taẓallit'ritual 기도'과 같은 꼭 아랍어 loans,[69]의 매우 오래 된 계층 일반적으로 이슬람 개념, uẓum''fasting, 나타내Shilha 형태학으로,는, 많은 동등하게 중앙 이슬람 개념 비법인 명사로 표현된다 통합된(lislam 'Islam',.lḥajyj '메카로 가는 순례', zzka 'alms 세금' ) 이슬람화의 초기 단계에서는 그러한 개념들이 원어민 어휘나 이전의 비아랍어 대출로 표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까지 살아남은 그러한 용어 중 하나는 타파스카 'ewe'이다. (이슬람어) 임몰레이션의 축제'[70]파스카에서 유대인 축제인 유월절(페사ḥ)의 라틴어 이름 또는 더 구체적으로 축제 기간 동안 희생되는 유월절 양(Qorbann Pesaḥ)의 이름이다.[71] 또 다른 예로는 현대 언어에서는 구식이지만 현대어에서는 구식인 ibkkaḍan 'sins'가 전근대적인 필사본 텍스트로 증명되고 있는데,[72] 그의 유일한 압카ḍu는 로망스(cf)에서 차용된다. 스페인어 페카도, 라틴어 페카툼; 현대 실하는 아랍어에서 온 ddnub 'sins'를 사용한다.

비밀어

데스타잉은[73] '수스의 일부 사람들, 특히 시디 에마드 우 무사'의 후손들이 말하는 인만 또는 태두비트라고 불리는 비밀어(어뢰)를 언급하고 있다. 그는 한 예를 인용한다: 너구리 인맨인가? '비밀어를 할 줄 아십니까?'

실하여성이 사용하는 두 가지 비밀어는 라호우치와 세게랄(2009)이 기술하고 있다. 그들은 tagnawt (cf)라고 불린다. 실하 agnaw 'deaf-mute person')과 taɛžmiyt(cf. 모로코 아랍어 ɛəmimiya '외국어') 또는 taqžmiyt. 그들은 평범한 언어를 위장하기 위해 축소법 등 다양한 과정을 사용한다.

샘플 텍스트

자유번역

(1) 수크에서 꿀을 팔았던 남자의 이야기 (2) 한 남자가 수크에 꿀이 든 가죽 봉지를 여러 개 채웠다 (3) 그에게 꿀을 사려는 다른 남자가 왔다. 그는 "그 꿀을 얼마에 파느냐?"(4) 판매자가 그에게 "그냥 맛보고, 마음에 들면 값을 매길 수 있다."(5) 남자는 가방을 들고, 꿀을 조금 부어 맛을 본 뒤 주인에게 돌려주었다. 그는 "내가 다른 것을 시도할 때까지 잡아라"고 했다.(6) [판매자는] 그의 손에 들고, 구매자는 다른 가방을 들고, 조금 부어 꿀을 맛본 후 주인에게 돌려주었다.(7) 그는 다른 손에 들고 있다가, 구매자는 꿀 한 봉지를 들고 도망쳤다. 꿀장수는 들고 있는 가방 때문에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8) 그는 자신을 해방시켜 달라고 사람들에게 소리치기 시작했다.

텍스트[74]

(1) Lqqqiṣt n yan urgaz lli yznzzan tammnt ssuq. (2) Yan urgaz iɛmmr mnnnw yilmawn nammawn n ssuq. (3) Yashk nn dars yan orguars, irdars tamnt. Inna y as: "Mnšk at tzznzt tammnt ann?" (4) Inna y as: "Mḍi tt, iɣ ak tɛžb ar gis tsawalt." (5) Yasy urgaz ann yan yilm, ifsi t, imḍi tammnt, ifk t i bab nns, inna as: "Amẓ, ar kiɣ gussɣ wayyaḍ." (6) Yamẓ t s ufus nns, yasi daɣ umsaɣ lli wayyaḍ, ifsi t, imḍi tammnt, ifk t daɣ i bab nns. (7) Yamẓ t s ufus nns yaḍnin, yasy umsaɣ yan yilm n tammnt, iur. Iggammi bu tamnt mad a yskar iilmawn lli yymẓ. (8) tukkun에서 Ar yaqra y mdn.

낱말 번역

(1) 시장에서 꿀을 파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 (2) 그가 시장에서 꿀을 몇 가죽으로 채운 남자 (3) 그와 함께.그와 함께.그와 함께.그와 함께.그와 함께.그에게 그가 말한 꿀을 어떻게. how is.it.에게 당신이 말한 꿀을 팔았는지.그에게 만약 있다면 맛이 난다.about.it your.can.talk (5) he.can.talk he.up man that rother.bag he.cab.그는 또 다른 사람을 괴롭힐 때까지 그것을 주인 of.it에게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그 밖에 her.com honey도 소유주 of.it(7)의 손에 들고 있었다. him other.ho.up 구매자 한 가죽.hone honey honey honey him.was.hoen honey honey he.can.do의 honey honey him.hoss.honey.hoholder.househat him.hat him to him.hold to him.hat him.hat him.hat honey.hat him.hold.hold.hold it honey.hold.

글로스

(1)lqqiṣ-t)여성 명사, 'story의(아랍어 대출)nx전치사 'of의 ya-n)남성적인 숫자, 하나였으며, 'who'(원인이 되는<>nz(나는)'be 판매를 팔고 있는 'u-rgaz)남성적인 명사, 동안 부속 상태,'인간'의lli 단위 관게 대명사, 'who의(아랍어 대출)y-zz-nza-n)특이한 상대 동사 형태의)t-ammn-t)여성 명사, 자유 국가, 'honey'. ɣ) preposition, 'in' ssuqq = masculine noun, 'market' (Arabic loan) (2) ya-n = masculine numeral, 'one, a' u-rgaz = masculine noun, annexed state, 'man' i-ɛmmr = 3sg.m. perfective, 'he filled' (Arabic loan) mnnaw = masculine indefinite numeral, 'several, many' y-ilmaw-n = masculine plural noun, annexed state, 'skins, leather bags' n = preposition, 'of' t-ammn-t = feminine noun, annexed state, 'honey' ɣ = preposition, 'in' ssuqq = masculine noun, 'market' (Arabic loan) (3) y-ašk = 3sg.m. aorist (consecutive), 'he came' nn = directional particle, centripetal, 'thither' dar-s = preposition + 3sg. 접미사, '그와 함께' ya-n = 남성적인 숫자, '하나, a' u- =az = 남성적인 명사, 부속된 상태, 'man' i-ra = 3m.m. perfective, 'he wanted' addo = 전진 전치사 + 3sg. 접미사, '그와 함께' i-sɣ = 3sg.m. aorist, 'he buy' t-ammn-t = 여성 명사, 자유 상태, 'honey' i-na = 3sg.m.완벽, 'he said' y = 삽입 자음( ( breaker breaker breaker) a-s = 3sg. 간접 목적어 clitic, '그에게' mnshk = 질문 단어 /ad/ = 'is-it-t' t-z-t = 2 2. aorist, 'you sell'(시제 <nz 'be sell') t-ammn-t, 여성 명사, 자유 상태, 'honey' a-n = 실증적 입자, 원위, 저(4) i-na = 3m.완벽성, 'he said' = 삽입된 자음(breaker) a-s = 3sg. indirect object clitic, 'to him' mḍi = imperative singular, 'taste!' tt = 3sg.f. object clitic, 'it' iɣ = conjunction, 'if' a-k = 2sg.m. indirect object clitic, 'to you' t-ɛžb = 3sg.f. perfective, 'it pleased' (Arabic loan) ar = imperfective preverbal gi-s = preposition + 3sg. 접미사, '그 안에, 대략' t-sawal-t = 2 2. imperfective, 'you talk, you can talk' (5) y-asy = 3sg.m. aorist (consecutive), 'he picked up' u-rgaz = masculine noun, annexed state, 'man' a-nn = demonstrative particle, distal, 'that' ya-n = masculine numeral, 'one, a' y-ilm = masculine noun, annexed state, 'skin, leather bag' i-fsi = 3sg.m. aorist (consecutive), 'he poured out' t = 3sg.m. object clitic, 'it' i-mḍi = 3sg.m. aorist (consecutive), 'he tasted' t-ammn-t = feminine noun, free state, 'honey' i-fk = 3sg.m. aorist (consecutive), 'he gave' t = 3sg.m. object clitic, 'it' i = preposition, 'to' bab = masculine noun, 'owner' nn-s = 3sg. 소유권 보완, '그것의' i-nna = 3㎛. perfective, 'he saided' a-s = 3㎛. indirect object clitic, 'to him' amẓ = imperative singular, 'hold!' ar = preposition, 'until' kiɣ = conjunction, 'when' guss-ɣ = 1sg. perfective, 'I tasted' wayyaḍ = masculine singular, 'another one' (6) y-amẓ = 3sg.m. aorist (consecutive), 'he held' t = 3sg.m. object clitic, 'it' s = preposition, 'with' u-fus = masculine noun, annexceed state, 'hand' nn-s = 3㎛. possessive complement, 'of him' y-asi = 3sg.m. aorist (consecutive), 'he picked up' daɣ = adverb, 'also' u-m-saɣ = masculine noun, annexed state, 'buyer' (agent noun < sɣ 'buy') lli = demonstrative particle, anaphoric, 'the aforementioned' wayyaḍ = masculine singular, 'another one' i-fsi = 3sg.m. aorist (consecutive), 'he poured out' t = 3sg.m. object clitic, 'it' i-mḍi = 3sg.m. aorist (consecutive), 'he tasted' t-ammn-t = feminine noun, free state, 'honey' i-fk = 3sg.m. aorist (consecutive), 'he gave' t = 3sg.m. object clitic, 'it' daɣ = adverb, 'also' i = preposition, 'to' bab = masculine noun, 'owner' nn-s = 3sg. 소유보완물, '그것' (7) y-am = = 3sg.m. aorist (consecutive) t = his holded t = 3sg.m. object clitic, 'it' s = 전치사, 'with' u-dist = 남성명사, 부속 상태, 'hand' nn-s = 3sg. possessive complement, 'of him' yaḍnin = 'other' y-asy = 3sg.m. aorist (consecutive), 'he picked up' u-m-saɣ = masculine agent noun, annexed state, 'buyer' ya-n = masculine numeral, 'one, a' y-ilm = masculine noun, annexed state, 'skin, leather bag' n = preposition, 'of' tammnt = feminine noun, annex state, 'honey' i-rur = 3sg.m. aorist (consecutive), 'he fled' i-ggammi = 3sg.m. aorist (consecutive), 'he was incapable of' bu = masculine proprietive element, 'he of' (Arabic loan) t-ammn-t = feminine noun, annexed state, 'honey' mad /ma + ad/ = 'what it-is-that' a = imperfective preverbal particle y-skar = 3sg.m. imperfective, 'he is doing, he can do' i = preposition, to' y-ilmaw-n = 남성 복수명사, 부속 상태, 'skins, 가죽 가방' lli = 상대 대명사, 'which' (아랍어 대여) y-umum = 3sg.m. perfective, 'he hold' (8) ar = 불완전한 사전 언어 y-aqra = 3sg.m.m. '그는 부르고 있다, 그는 부르기 시작한다' y /i/ = 전치사, 'to' mdn = 남성 복수명사, /ad/ = 전진 전입자 t = 3sg.m. 객체 clitic, 'he' 후쿠쿠-n = 3pl. aorist, '그들이 해방한다'(아랍어 대출)

메모들

  1. ^ 에트놀로그태셀히트 (23회 에드, 2020년)
  2. ^ 이 언어를 언급할 때 인류학자와 역사학자들은 옥스포드 영어사전(OED)에 수록된 실하라는 이름을 선호한다. 영어로 글을 쓰는 언어학자들은 "타셀히트"를 선호한다.
  3. ^ 태셀릿어구는 대략 아이슬란드, 즉 미국 켄터키 주의 크기 입니다.
  4. ^ 엘 마운트사시르(2017:167)
  5. ^ "Dictionnaire Général de la Langue Amazighe Informatisé". tal.ircam.ma. Royal Institute of Amazigh Culture. Retrieved 2020-12-28.
  6. ^ 저스틴ard(1914:2), 데스타잉(1920:166), 갈란드(1988, 1.14).
  7. ^ 대부분의 사용에서, 아클레시는 단순히 "실하의 연설자"를 의미한다. 이 언어에 대한 적극적인 지식을 습득하지 못한 이주자 커뮤니티의 타셀히트 스피커의 아이들이 아직도 스스로를 아클레이로 동일시하고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용어에는 민족적(인종적) 차원이 있다: 태셀히트의 백인 원어민 화자는 일반적으로 아랍어 suq "시장"(노예가 매매된 곳)에서 유래한 경멸적인 용어인 asuqiy라는 용어를 가진 흑인 원어민(해방 노예의 현대적 후손)을 가리킨다. 그 문헌은 흑인 화자의 자기 지정에 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
  8. ^ 데스타잉(1920:20, 166). 여성 명사의 의미론도 참조한다.
  9. ^ 페로트 다블랑쿠르 1667 : 92-93
  10. ^ 스텀메(1899:3); 도지, R.(1881) 서플레 보조어 아랍어, 레이드: 브릴, p를 참조한다. I:781, sil shil, 복수 슐루ū "voleur, brigand"
  11. ^ (ar) 마그레브보이스 - 모로코의 베르베르인들은 왜 그들을 '슐루'라고 부르기를 거부하는가?
  12. ^ (ar) Febrayer.com - 슐루, 태셀히트, 마스무다, 마사미다."
  13. ^ (ar) 마그레브보이스 - 모로코의 베르베르인들은 왜 그들을 '슐루'라고 부르기를 거부하는가?
  14. ^ 스텀메(1899:3); 로스트(1936:v).
  15. ^ 폭스&아부탈리브(1966:155), 콜린(1993:976).
  16. ^ 적어도 모로코 아랍어와 타셀히트의 기존 사전적 출처는 경멸적인 의미를 기록하지 않는다.
  17. ^ 아우잘, 바흐르 알두무슈, v. 5 (반 데른 부게르트 1997년 편집)
  18. ^ 저스틴ard(1914:2), 로스트(1936:vi).
  19. ^ 여기에서 찾은 데이터 기준
  20. ^ Stroomer(2001a:183n1), Stroomer(2008:289n1).
  21. ^ 스텀메(1899:4)
  22. ^ 부쿠스(1977:126)
  23. ^ 실하 민족 명칭은 언어학 문헌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이곳에서는 전통적인 프랑스식 맞춤법에서 인용된다. 이 이름들은 또한 종종 아랍어 형태로 주어지는데, 예를 들면 구우즈다마, 글라우아, 페투아카 등이 그것이다.
  24. ^ 이 글에서는 표준 cj 대신 shž이라는 그래프를 사용하여 번역된 예시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25. ^ 마그히비 문자 및 맞춤법의 특성은 판덴 부게르트(1989년)를 참조한다.
  26. ^ 전통적인 맞춤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밴 덴 부거트(1997:61–67)와 베르베르 맞춤법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27. ^ 반덴 부게르트(1997)는 아우잘의 작품 바흐르 알두무의 판본과 번역본을 포함한 실하 필사본 문학의 첫 탐사를 제공한다. 이 작품의 구판은 아랍어 원문인 스트릭커(1960년)에 있다.
  28. ^ 갤런드(1988년, 2.4년).
  29. ^ 갤런드(1988, 2.13).
  30. ^ 갤런드(1988, 2.1).
  31. ^ 모로코 아랍어 필사본에서 같은 관행을 관찰하는 cf. 델과 엘메드라우이(2002:232). 그 관행이 완전히 일관성 있게 적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예를 들어, idrimn ""이라는 명사는 theidrimen⟩으로 쓰여 있는데, ⟨e⟩은 m이 마지막 음절의 시작임을 나타낸다. [id.ri.m⟨e⟨n]. 그러나 "내 돈"에서와 같이 모음 뒤에 있을 때, ⟨e⟩은 쓰이지 말아야 하는데, 이는 음절 구조가 [id.rim.ni.nu]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한 경우 아스피니언 등은 일상적으로 superidrimen inu⟩를 쓰고, 불필요한 ⟨e⟩을 쓴다.
  32. ^ Galand(1988, 2.1), "le plus souvant les nombues de [ə] cue l'on see chez les berbérisants résultent d'habitudes étrangéres auch".
  33. ^ 아랍어로 된 현대 맞춤법에서 출판된 텍스트도 과도기 모음이나 "schwa"를 나타내지 않는다.
  34. ^ 이러한 전략의 효과는 종종 기록에서 정확하게 표현되지 않는다.
  35. ^ 이그찬의 연설, 그리고 아마도 다른 실하 변종들의 연설은 종종 원래의 반미보엘(Galand 1988, 2.9)을 간직하고 있으며, 이는 현대 전 원고지(van den Boogert 1997:249)에서도 볼 수 있다.
  36. ^ Applegate(1958), Dell & Elmedlaui(1985, 2002), Ridouane(2008)이 그것이다.
  37. ^ 이 문제는 딕슨(2010:284)이 다른 언어와 관련하여 논의한다.
  38. ^ 예를 들어 Van den Boogert(1997:247–8)가 있다.
  39. ^ Van den Boogert(1997:244–245)를 참조하십시오.
  40. ^ 예를 들어, "Syllable: 모음 또는 다른 단위로 구성되는 음운론 단위로서,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소리 단위를 동반할 수 있다."(P.H. Matthews, 옥스포드 간결한 언어 사전, Second Edition, 옥스포드: OUP, 2007). 서약 없는 음절을 가진 다른 언어에 대한 참조가 포함된 "음절"도 참조하십시오.
  41. ^ 갤런드(1988, 4.9–12).
  42. ^ 갈란드(1988.4.11)와 코스만(2012년:67n7)모두 베르베르의 병합된 주가 셈어족의 구성 상태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올바르게 지적하고 있다.
  43. ^ 즉, 원산지는 증명될 수 있지만, 일종의 확정적인 기사는 아니다.
  44. ^ 갤런드(1988, 4.11).
  45. ^ 몇 개의 여성 명사에서는 t-u-marar-in "woman"과 t-u-m--in "barley"(cf)에서처럼 복수 성대 접두사 i가 다음 m의 영향을 받아 u가 되었다. Central Atlas Tamazight t-i-mɣar-in, t-i-mẓ-in).
  46. ^ 갤런드(1988, 4.11).
  47. ^ Cf. Kossmann(2012:86–7)
  48. ^ 출판된 본문에서 수집된 것.
  49. ^ 갤런드(1988, 4.11).
  50. ^ 말과 소가 있는 숫자의 모든 예는 입증된 구조로부터 추론된다.
  51. ^ 데스타잉(1920) 하위 "온제, 더제" 등의 예
  52. ^ 갤런드(1988, 4.15).
  53. ^ 밴 덴 부거트(1997:286–7)를 참조하십시오.
  54. ^ 질식(1953:254).
  55. ^ 갤런드(1988, 4.18).
  56. ^ 각각의 상대적 형태는 현재 양쪽 성별에 사용된다. 구식 여성적 단일한 상대적 형태인 t-…-t는 일부 원고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tikki t-mm-t(which.is.t) "영예로운 선물"(현대 tikkki y-ɛḍm-n)이다.
  57. ^ 다섯 번째 MAN 줄기인 불완전 음극은 원고 본문에서 산발적으로 발견된다(Van den Boogert 1997:270 참조).
  58. ^ 불완전한 2sg. /t-tt-amẓ-t/는 보통 tt-amẓ-t로 실현된다.
  59. ^ 불완전한 사전 언어 입자 ar는 부정 후에 a 또는 (사투리에 따라)로 바뀐다.
  60. ^ 밴 덴 부거트(1997:271–272)를 참조하십시오.
  61. ^ 투명성을 위해 이 글의 예에서 전치사 "의"는 일관되게 n으로 표기된다. 의도적인 말에서 무의식적인 실현이 일어난다.
  62. ^ w의 여성적 상대인 보유명사 wlt는 족보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무사(Fadma wlt Musa)의 딸 Fadma는 *Faḍma wlt Musa(cf)가 아니라 Faḍma Mussa이다. Aspinion 1953:30).
  63. ^ Applegate(1958: 45–71)의 단어 목록은 일반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기록 때문에 무용지물이다.
  64. ^ 크럼, W.E. (1939년) 콥트어 사전. 옥스퍼드: Clarendon, 페이지 40b; Coptic ⟨b⟩은 /β/ 또는 /v/를 나타낸다.
  65. ^ 반 덴 부거트(1997:221)
  66. ^ 타바하 에티몬은 타바코보다는 타바카인 것 같다.
  67. ^ 이달의 오리지널 베르베르(Silha) 이름은 원고로 증명된다. 밴 덴 부게르트(2002)를 참조하라.
  68. ^ 차는 18세기 말(Bellakhdar 1997:230) 국제 항구 아가디르를 통해 네덜란드와 영국 무역상들에 의해 모로코에 소개되었다.
  69. ^ 반 덴 부거트와 코스만(1997년).
  70. ^ 임몰레이션의 잔치 그 자체는 실하에서는 l nid n tfaska "제사 에우의 잔치"로 알려져 있다.
  71. ^ 고전 시대에 [파스카h] 또는 [파스카]로 발음한다.
  72. ^ A centurynag (16세기 후반) Lɛqaydn ddin ingaẓn n tarwa...da ssiridn ibkaḍan "출산의 고통은 죄를 씻어버리고 있다"는 구절.
  73. ^ 데스타잉(1920:21).
  74. ^ Podeur(1995:140–141)의 텍스트.

참조 및 추가 판독

  • Amard, P. (1997). Textes berbères des Aït Ouaouzguite. Edités et annotés par Harry Stroomer. Aix-en-Provence: Edisud. ISBN 2-85744-960-7.
  • Amarīr, ʿU. (1987). al-Shiʿr al-āmāzīghī al-mansūb ilā Sīdī Ḥammū al-Ṭālib. Casablanca: Maktabat Provence (in Arabic and Shilha).
  • Applegate, J.R. (1958). An outline of the structure of Shilḥa. New York: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 Aspinion, R. (1953). Apprenons le berbère. Initiation aux dialectes chleuhs. Rabat: Moncho.
  • Bellakhdar, J. (1997). La pharmacopée marocaine traditionnelle. N.p.: Ibis Press. ISBN 2-910728-03-X.
  • Boogert, N. van den (1989). "Some notes on Maghribi script" (PDF). Manuscripts of the Middle East. 4: 30–43.
  • Boogert, N. van den (1997). The Berber literary tradition of the Sous. De Goeje Fund, Vol. XXVII. Leiden: NINO. ISBN 90-6258-971-5.
  • Boogert, N. van den (1998). La révélation des énigmes. Lexiques arabo-berbères des xviie et xviiie siècles. Travaux et documents de l'Irémam, no. 19. Aix-en-Provence: Irémam. ISBN 2-906809-18-7.
  • Boogert, N. van den (2000). "Medieval Berber orthography". In Chaker, S.; Zaborski, A. (eds.). Etudes berères et chamito-sémitiques, Mélanges offerts à Karl-G. Prasse. Paris and Louvain: Peeters (pp. 357–377). ISBN 978-90-429-0826-0.
  • Boogert, N. van den (2002). "The names of the months in medieval Berber". In Naït-Zerrad, K. (ed.). Articles de linguistique berbère. Mémorial Werner Vycichl. Paris: L'Harmattan (pp. 137–152). ISBN 2747527069.
  • Boogert, N. van den & Kossmann, M. (1997). "Les premiers emprunts arabes en berbère" (PDF). Arabica. 44 (2): 317–322. doi:10.1163/1570058972582506. hdl:1887/4151.
  • Boukous, A. (1977). Langage et culture populaires au Maroc. Essai de sociolinguistique. Casablanca: Dar El Kitab (the bland title hides a book on Shilha containing, among others, nine narrative texts with translations, pp. 152–289).
  • Boumalk, A. (2004). Manuel de conjugaison du tachelhit. Paris: L'Harmattan. ISBN 2747555275.
  • Boumalk, A. & Bounfour, A. (2001). Vocabulaire usuel du tachelhit (tachelhit-français). Rabat: Centre Tarik Ibn Zyad. ISBN 9954022899.
  • Cid Kaoui, S. (1907). Dictionnaire français-tachelh'it et tamazir't (dialectes berbères du Maroc). Paris: Leroux.
  • Colin, G.S. (1993). Le dictionnaire Colin d'arabe dialectal marocain. Vol. 1–8. Edited by Z.I. Sinaceur. Rabat: Al Manahil, Ministère des affaires culturelles. ISBN 9981-832-03-0.CS1 maint: 위치(링크)
  • Dell, F. & Elmedlaoui, M. (1985). "Syllabic consonants and syllabification in Imdlawn Tashlhiyt Berber". Journal of African Languages and Linguistics. 7 (2): 105–130. doi:10.1515/jall.1985.7.2.105.
  • Dell, F. & Elmedlaoui, M. (2002). Syllables in Tashlhiyt Berber and in Moroccan Arabic. Dordecht, Boston, London: Kluwer. ISBN 978-1-4020-1077-4.
  • Dell, F. & Elmedlaoui, M. (2008). Poetic metre and musical form in Tashelhiyt Berber songs. Köln: Köppe. ISBN 978-3-89645-398-3.
  • Destaing, E. (1920). Etude sur la tachelḥît du Soûs. Vocabulaire français-berbère (PDF). Paris: Leroux (reprinted 1938).
  • Destaing, E. (1937). Textes arabes en parler des Chleuḥs du Sous (Maroc). Paris: Geuthner.
  • Destaing, E. (1940). Textes berbères en parler des Chleuhs du Sous (Maroc). Paris: Geuthner (contains the same texts as Destaing 1937, which see for the translations).
  • Dixon, R.M.W. (2010). Basic linguistic theory. Volume 1, Methodolo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57106-2.
  • Fox, M. & Abu-Talib, M. (1966). A dictionary of Moroccan Arabic. Washington: Georgetown University Press. ISBN 0-87840-007-9.
  • Galand, L. (1988). "Le berbère". In D. Cohen (ed.). Les langues dans le monde ancien et moderne. Troisième partie, Les langues chamito-sémitiques. Paris: CNRS (pp. 207–242). ISBN 2-222-04057-4.
  • Galand-Pernet, P. (1972). Recueil de poèmes chleuhs. Paris: Klincksieck. ISBN 2-252-01415-6.
  • Ggʷižžan, Lḥusin bn Iḥya (2002). Amarg n Faṭima Tabaɛmrant. Rabat: al-Jamʿīyah al-maghribīyah li-l-baḥth wa-l-tabādul al-thaqāfī (in Shilha).
  • Ibáñez, E. (1954). Diccionario Español-Baamarani (dialecto Bereber de Ifni). Madrid: Instituto de Estudios Africanos.
  • Jordan, A. (1934). Dictionnaire berbère-français (dialectes tašelhait). Rabat: Omnia.
  • Jordan, A. (1935). Textes berbères, dialecte tachelhait. Rabat: Omnia.
  • Jouad, H. (1983). Les éléments de la versification en berbère marocain, tamazight et tachlhit. Paris: Thèse en vue du Doctorat de 3ème cycle.
  • Jouad, H. (1995). Le calcul inconscient de l'improvisation. Poésie berbère. Rythme, nombre et sens. Paris, Louvain: Peeters. ISBN 9789068317503.
  • Justinard, L. (1914). Manuel de berbère marocain (dialecte chleuh). Paris: Librairie orientale & américaine.
  • Justinard, L. (1954). Un petit royaume berbère: le Tazeroualt. Paris: Librairie orientale & américaine.
  • Kossmann, M. (2012). "Berber". In Frajzyngier, Z.; Shay, E. (eds.). The Afroasiatic languag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8–101). ISBN 978-0-521-86533-3.
  • Kossmann, M. (2013). The Arabic influence on Northern Berber. Leiden: Brill. ISBN 978-90-04-25308-7.
  • Kossmann, M.G. & Stroomer, H.J. (1997). "Berber phonology". In Kaye, A.S. (ed.). Phonologies of Asia and Africa. Vol. 1. Winona Lake, Indiana: Eisenbrauns (pp. 461–475). ISBN 1-57506-017-5.CS1 maint: 위치(링크)
  • Lahrouchi, Mohamed & Ségéral, Philippe (July 2009). "Morphologie gabaritique et apophonie dans un langage secret féminin (taqjmit) en berbère tachelhit". Canadian Journal of Linguistics. 54 (2): 291–316. doi:10.1017/S0008413100001262. ISSN 0008-4131.
  • Lamzoudi, M. (1999). Guide d'initiation au dialecte berbère Tachelḥit. Casablanca: Najah El Jadida.
  • Laoust, E. (1920). Mots et choses berbères. Notes de linguistique et d'ethnography, dialectes du Maroc. Paris: Challamel.
  • Laoust, E. (1936). Cours de berbère marocain. Dialectes du Sous du Haut et de l'Anti-Atlas. Deuxième édition revue et corrigée. Paris: Société d'éditions géographiques, maritimes et coloniales (first ed. Paris: Challamel, 1921).
  • El Mountassir, Abdallah (2003). Dictionnaire des verbes tachelhit-français. Paris: L'Harmattan. ISBN 2747535770.
  • El Mountassir, Abdallah (2009). Méthode de tachelhit, langue amazighe (berbère) du sud du Maroc. Paris: L'Asiathèque. ISBN 978-2915255843.
  • El Mountassir, Abdallah (2017). Metodo di tachelhit : lingua amazigh (berbera) del Sud del Marocco : asselmd n-tchelhit. Di Tolla, Anna Maria. Napoli: Unior. ISBN 978-88-6719-148-2. OCLC 1141568167.
  • Peace Corps Morocco (2011). Tashlheet textbook.
  • Podeur, J. (1995). Textes berbères des Aït Souab, Anti-Atlas, Maroc. Edités et annotés par N. van den Boogert, M. Scheltus, H. Stroomer. Aix-en-Provence: Edisud. ISBN 2-85744-826-0.
  • Ridouane, R. (2008). "Syllables without vowels. Phonetic and phonological evidence from Tashelhiyt Berber". Phonology. 25 (2): 321–359. doi:10.1017/s0952675708001498.[영구적 데드링크]
  • Roettger, T.B. (2017). Tonal placement in Tashlhiyt. How an intonation system accommodates to adverse phonological environments. Berlin: Language Science Press (open access publication). ISBN 978-3-944675-99-2.
  • Roux, A. (2009). La vie berbère par les textes, parlers du sud-ouest marocain (tachelhit). Ethnographic texts re-edited, translated into English by John Cooper. Köln: Köppe. ISBN 978-3-89645-923-7.
  • Stricker, B.H. (1960). L'Océan des pleurs. Poème berbère de Muḥammad al-Awzalî. Leyde: E.J. Brill (Shilha text in Arabic script).
  • Stroomer, H. (1998). "Dialect differentiation in Tachelhiyt Berber (Morocco)". Actes du 1er Congrès Chamito-Sémitique de Fès. pp. 37–49. ISBN 998187812X.
  • Stroomer, H. (2001a). "A Tashelhiyt Berber tale from the Goundafa region (High Atlas, Morocco)". In Zaborski, A. (ed.). New Data and New Methods in Afroasiatic Linguistics: Robert Hetzron in Memoriam. Wiesbaden: Harrassowitz (pp. 183–193). ISBN 978-3-447-04420-2.
  • Stroomer, H. (ed.) (2001b). Textes berbères des Guedmioua et Goundafa (Haut Atlas, Maroc). Basés sur les documents de F. Corjon, J.-M. Franchi et J. Eugène. Aix-en-Provence: Edisud. ISBN 2-7449-0263-2.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
  • Stroomer, H. (2001c). An anthology of Tashelhiyt Berber folk tales (South Morocco). Köln: Köppe. ISBN 3-89645-381-5.
  • Stroomer, H (2002). Tashelhiyt Berber folktales from Tazerwalt (South Morocco). A linguistic reanalysis of Hans Stumme's Tazerwalt texts with an English translation. Köln: Köppe. ISBN 3-89645-383-1.
  • Stroomer, H. (2003). Tashelhiyt Berber texts from the Ayt Brayyim, Lakhsas and Guedmioua region (south Morocco). Köln: Köppe. ISBN 3-89645-384-X.
  • Stroomer, H. (2004). Tashelhiyt Berber texts from the Ida u Tanan (south Morocco). Köln: Köppe. ISBN 3-89645-388-2.
  • Stroomer, H. (2008). "Three Tashelhiyt Berber texts from the Arsène Roux archives". In Lubitzky, A.; et al. (eds.). Evidence and Counter-Evidence. Essays in Honour of Frederik Kortlandt. Vol. 2. Amsterdam: Rodopi (pp. 389–397). ISBN 978-90-420-2471-7.
  • Stroomer, H. (forthcoming). Dictionnaire tachelhit-français.
  • Stumme, H. (1894). "Elf Stücke im Šílḥa-Dialekt von Tázĕrwalt".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ändischen Gesellschaft. 48: 381–406.
  • Stumme, H. (1895). Märchen der Schlūḥ von Tázerwalt. Leipzig: Hinrichs.
  • Stumme, H. (1899). Handbuch des Schilḥischen von Tazerwalt. Leipzig: Hinrichs.
  • Stumme, H. (1907). "Mitteilungen eines Shilḥ über seine marokkanische Heimat".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ändischen Gesellschaft. 61: 503–541.

다양한 온라인 기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