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혐오 유대인

Self-hating Jew
Theodor Lessing의 1930년 책 The Judische Selbsthass의 한 판 표지

자기혐오 유대인 또는 자기혐오 유대인 둘 다 자기혐오적인 것으로서 자기혐오적인 유대인은 자기혐오적 관점이 반제학적으로 인식되는 유대인을 묘사하는 용어다.[1] 이 개념은 유대인 지식인들 사이에서 인식된 성향을 설명하고자 했던 테오도르 레싱의 1930년 저서 '데르 위디스체 셀브스트하'(유대인 자기혐오)가 유대교에 대한 견해를 밝히면서 널리 통용되었다. 이 용어는 "시온주의에 대한 냉전 시대의 논쟁에서, 그리고 그 너머에서, 일종의 강박관념의 핵심 용어가 되었다"고 한다.[2]

개념 설명

'자기 혐오 유대인'이라는 표현은 종종 수사학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화자와 생활방식, 관심사 또는 정치적 입장이 다른 유대인을 의미한다.[3]

  • 자기 혐오의 사용은 또한 자신이 속한 집단의 혐오 또는 증오를 지정할 수 있다. 이 용어는 이스라엘 정부 정책에 대한 유대인 비판자들에게 불리하게 사용되는 유대인의 정체성에 대한 이스라엘의 역할에 대한 논쟁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3]
  • '자기혐오'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 학술저자인 앨빈 H. 로젠펠드이런 주장을 '유비쿼터스한 이스라엘의 비판'이라고 지칭하며 '이스라엘 정책과 행동에 대한 불쾌한 논의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4]고 일축한다.
  • 앨런 더쇼위츠는 '자기혐오'라는 용어를 특정 유대인 반자이온주의자로 한정하며, '그들의 종교에서 유대인 국가까지 모든 '이스라엘 지지자'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말한다.[5]
  • 학술사학자 제랄드 아우어바흐는 유대인 자기혐오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이스라엘의 명예를 더럽힘으로써 비뚤게 유대인의 자격증을 강화하려는 유대인"을 특징으로 삼는다.[6]
  • 문화사학자 샌더 길먼은 "유대인 자기혐오의 가장 최근의 형태 중 하나는 이스라엘 국가의 존재에 대한 맹렬한 반대"라고 썼다.[1] 그는 이 용어를 이스라엘의 정책에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쓰는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의 존재에 반대하는 유대인들에게 쓰는 것이다.
  • '유대인 자기혐오'라는 개념은 안토니우스 레르만에 의해 '전혀 가짜 개념'[7]으로 묘사되어 왔는데, 이는 '새로운 반유대주의'에 대한 논의에서 점점 인신공격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말하는 '정치적 반대자들을 소외시키고 악마화하는 것 외에는 다른 목적이 없다'[8]는 것이다.[8]
  • 벤 코헨은 "실제적인 증거는 이 중 어느 것도 뒷받침할 수 없다"[9]고 레르만을 비판한다. 레르만 자신도 이스라엘에 대한 극단적인 비방 행위가 반유대주의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논란을 인식하고, 반유대주의가 반지오니즘으로 변장할 수 있다고 말하는데,[7][10] 이는 위에서 언급한 로젠펠트와 길만의 걱정이기도 하다.
  • 사회학자 어빙 루이 호로위츠는 유대인 사회에 위험을 초래하는 유대인들을 위해 '유대인 자화자찬자'를 사용해 이른바 '법정 유대인'을 묘사하고, '주인과 통치자의 환심을 사려고 할 때 (유대인을 반대한다)'는 비방을 정당화한다.[11]
  • 역사학자 베르나르 와세르슈타인은 "유대인 반유대주의"라는 용어를 선호하는데, 그는 종종 "유대인 자기혐오"라고 불린다고 말한다.[12] 그는 "유대인이 반유대인이 될 수 있겠느냐"고 묻고, 많은 유대인들이 "테오도르 하메로가 말한 심리적 항복에 굴복해 반유대적 담론의 내면화된 요소"[vague]라고 응답한다. 와서스틴은 이어 "어떤 형태의 반유대주의에 시달린 유대인들을 증오하는 것은 다른 유대인들의 악당이라기보다는 자기 자신을 그렇게 싫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대인의 자기혐오는 유대인들이 반미주의 기본적 가정을 받아들이고 표현하며 심지어 과장하는 것에 의한 반유대주의의 영향에 대한 신경증적 반응으로도 묘사되어[by whom?] 왔다.[13]

역사

독일어로

'유대인 자기혐오'와 같은 용어의 기원은 19세기 중반 브레슬라우 신학교의 독일 정교회 유대인개혁 유대인 사이의 불화에 있다.[8] 양쪽이 서로 상대방의 정체성을 배반했다고 비난했고,[2] 정교회 유대인들은 개혁 유대인들이 유대교보다 독일 개신교와 독일 민족주의와 더 밀접하게 동일시하고 있다고 비난했다.[8]

아모스 엘론에 따르면 19세기 독일-유대인 동화 과정에서 민감하고 특권적이거나 재능 있는 젊은 유대인에 대한 상반된 압력은 "나중에 '유대인 자기혐오'로 알려진 반응"을 낳았다. 그 뿌리는 단순히 전문적이거나 정치적인 것이 아니라 감정적이었다고 말했다.[14] 엘론은 '오스트리아 반유대주의자들 중 가장 두드러진 반유대주의자들 중 하나가 '성(性)과 인격()'을 발표해 유대인과 여성을 공격한 젊은 유대인 오토 와인너였다고 지적하면서 유대인 반유대주의와 동의어인 '유대인 자기혐오'라는 표현을 쓴다. 엘론은 유대인의 반유대주의가 전체 반유대주의 성장의 원인으로 꼽는다."(웨이닝거의) 책은 반유대주의가 유대인에 의해 점령되기 전까지는 실제로 심각해지지 않았다는 전형적인 비엔나의 격언을 고무시켰다.

존 P. 잭슨 주니어에 따르면 이 개념은 19세기 후반 독일 유대인 담론에서 "주로 동유럽 유대인을 지향하는 대중적인 반유대주의에 대한 독일 유대인들의 반응"으로 발전했다. 독일 유대인들에게 동유럽 유대인은 "나쁜 유대인"[15]이 되었다. 샌더 길먼에 따르면 '자기 혐오 유대인'의 개념은 '미친 유대인'과 '자기 비판적 유대인'[2]의 이미지를 합친 데서 발전했으며, 유대인의 정신질환에 대한 고정관념이 교배 때문이라는 주장에 맞서기 위해 개발됐다. 길먼은 "개념의 논리 안에서 타인을 자기혐오라고 비난하는 자들은 자기혐오 유대인을 스스로 혐오하는 것일 수도 있다"[16]면서 "자기혐오의 유비쿼터스성은 부정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것은 아마도 그들 자신이 알고 있던 것보다 더 다른 것으로 취급되는 사람들의 자각을 형성해 주었다."[1]: 1

'자멸하는 유대인'과 '유대인 자기혐오'라는 구체적인 용어는 후에야 사용되었는데, 테오도르 헤르즐이 '유대인 출신 반세미트'라는 용어를 극적으로 사용한 것에서 발전하여, 그의 정치적 시오니즘 프로젝트 맥락에서 발전하였다.[2] "시온주의는 반유대주의, 동화, 유대인의 정체성에 대해 당시 유대인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활발한 논쟁의 중요한 부분이었기 때문에" 이 맥락에서 근본적인 개념은 공통의 통화를 얻었다.[3] 헤르츨은 정치적 시오니즘을 창시한 1896년 저서 '더 주덴스타트(유대인 국가)'에서 '유대인 출신 반세마이트'라는 문구를 소개한 것으로 보인다.[2]

그는 유대인 프롤레타리아(특히 더 가난한 동양의 유대인)의 이민을 장려함과 동시에 모국에 남아 있기를 바랄지도 모르는 유대인들을 동화시킨 "인류주의 시온주의자들"을 언급하고 있었지만, 유대인 국가를 위한 헤르츨의 정치적 프로젝트를 지지하지는 않았다.[2] 아이러니컬하게도 헤르츨은 곧 자신의 "극단적인 용어"[2]가 칼 크라우스에 의해 종종 적용되고 있다고 불평하고 있었다.[2] "감축주의자들과 반시온주의자들은 시온주의자들이 자기혐오자라고 비난했고, 시온주의자들은 반세미티즘에 가까운 수사법을 사용하는 강한 유대인들의 사상을 홍보했고, 시온주의자들은 그들의 반대자들이 자기혐오자라고 비난했고, 현대 사회에서 그의 열등한 지위를 영속시킬 유대인의 이미지를 홍보했다."[8]

The Austrian-Jewish journalist Anton Kuh argued in a 1921 book Juden und Deutsche (Jews and Germans) that the concept of "Jewish anti-semitism" was unhelpful, and should be replaced with the term "Jewish self-hatred", but it was not until the 1930 publication of the German-Jewish anti-Nazi philosopher Theodor Lessing's book Der Jüdische Selbsthass 그 용어가 널리 통용되었다고 자화자찬했다.[2] 레싱의 저서 "유대인 자화자찬에서 시오니스트로 가는 레싱의 여정을 요약한 도표"[8] 이 책에서 그는 오토 바이닝어와 아서 트레빗슈와 같은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유대교에 대한 증오를 표출한 글들을 분석한다. 레싱은 히틀러가 집권한 직후 나치 요원들에 의해 암살당했다.

영어에서

영어로 이 주제에 대한 첫 번째 주요 논의는 1930년 베를린 대학의 레싱의 동료였던 커트 르윈에 의해 1940년대에 이루어졌다.[2] 르윈은 1933년 독일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갔고, 유대인에게 초점을 맞추었지만, 미국으로의 폴란드, 이탈리아, 그리스 이민자들 사이에서도 비슷한 현상을 주장하였다.[3]르윈의 경우는 이론적인 설명으로, 이 문제가 "유대인 자신들 사이에 잘 알려져 있다"고 선언하고 일화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했다.[3] 레윈에 따르면, 자신을 증오하는 유대인은 "모든 것을 특히 유태인이 싫어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그는 그 속에서 그가 갈망하는 다수로부터 자신을 멀리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노골적으로 그렇게 말하는 유대인들을 싫어할 것이며, 자주 자기혐오에 빠져들 것이다."[17] 르윈의 선도에 따라 그 개념은 널리 통용되었다. "1940년대와 1950년대는 '자기혐오 시대'였습니다. 실제로 유대인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놓고 치열한 전쟁이 벌어졌다. 일종의 '유대인 냉전'[8]이었는데, 유대인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 만족스럽게 논의되었다. 유대인의 정체성에 대한 논쟁에서,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유대인 이웃에 통합되는 것에 대한 저항은 1970년대 말까지 사라졌고, "대부분의 심리적, 사회적, 이론적 내용들을 안정적으로 비우고, 대체로 구호가 되었다."[18]

이 용어는 1940년대 '우유한' 시온주의자에 의해 경멸적으로 사용되었으나, 1963년 한나 아렌트예루살렘 아이히만 출판이 새로운 장을 열었다.[18] 그녀가 이 재판을 ' 재판'이라고 비판한 것은 자성 비난 등 열띤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독일 유대인 동화주의를 비판하는 그녀의 초기 작품도 지나치게 부각시켰다.[18] 그 다음 해에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과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후에 "의지'이스라엘로, 재정적인 도덕적 'support 해 주신다면 역사 가는 미국인 Jewishness'의 실존적 정의라고 부른 것을 차지했다."[18]"This 그 반대의 경우도:이스라엘에 대한 비난 'Jewis의 존재 정의를 구성하기 위해 온 게 사실을 의미한다.h '자수'."[8] 이는 로젠펠드가 이스라엘에 대한 비난이 "이 나라 모든 언론과 이스라엘 내부에 걸쳐 퍼져 있기 때문에 "피해자로 가장한다" "심각하게 받아들여질 것이라고는 거의 기대할 수 없다"고 말한 것에 의해 무시된다.[4]

심지어 한때 "시온주의 프로젝트에 대한 의심스러운 약속으로 유대인들을 자학하는 장소를 고려했다"[18]고 했던 유대인 저널 코멘트는 노만 포드호레츠의 편집장으로 이스라엘을 확고히 지지했다.[18] 앨빈 로젠펠드는 2006년 에세이 '진보적 유대인 사상과 새로운 반유대주의'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정당한 비판'을 훨씬 뛰어넘는 발언을 한 '유대인 저자들을 뚫어지게 바라보고' 이스라엘의 '지속적 존립권'을 문제 삼는 수사학을 '반유주의'로 간주한다. 이스라엘에 대한 유대인 논쟁에서 자기혐오 개념을 사용하는 것은 미국과 영국에서 더욱 빈번하고 격렬해졌으며, 특히 2007년에 이 문제가 널리 논의되면서 영국 독립 유대인 목소리가 생겨나게 되었다.[8] 더 포워드는 이 단체가 "일반적으로 좌파 유대인 약 130명"[19]에 의해 결성되었다고 보도했다. 2007년 토론으로 이어진 것은 유대인 자기혐오라는 용어를 쓰지 않은 로젠펠트 에세이였다. 비평가들은 반유대주의의 고발이 이스라엘을 비판하는 사람들에게 유대인의 자기 혐오를 암시한다고 주장했다. 로젠펠드는 그러한 주장이 "실용적"이며 "일부 지적 순교자임을 입증하는 대화적 사기"[4]라고 대답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에세이가 '이스라엘에 대한 합법적인 비판은 언제 끝나며 반국가주의 성명은 언제 시작되는가'[20]라는 문제를 집중 조명했다고 보도했다.

사회심리학적 설명

이 문제는 사회 정체성에 관한 학술적 사회심리학 문헌에서 주기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한 연구들은 "레윈을 종종 사람들이 평가절하된 집단의 회원들로부터 거리를 두려고 할 수 있다는 증거로 인용하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어느 정도 다수가 보유하고 있는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들이고 이러한 사회적 정체성이 사회적 지위를 추구하는 데 장애물이 되기 때문이다."[3] 현대 사회심리학 문헌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현상을 기술하기 위해 '자기정체화', '내성화된 억압', '거짓의식'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필리스 체슬러 심리학과 여성학 교수는 여성 유대인 자기혐오를 언급하며 "팔레스타인 관점에 집착하는 진보적인 유대인 여성들을 가리킨다. 그녀는 억압, 좌절, 가부장제에 대한 그들의 분노가 "의식적으로 이스라엘로 옮겨지고 있다"[21]고 믿는다.

하버드 정신과 의사인 케네스 레빈은 유대인의 자기혐오는 두 가지 원인이 있다고 말한다. 스톡홀름 증후군은 "만성적인 포위 공격을 받고 있는 인구밀집계층이 아무리 크고 터무니없는 포위자들의 기소를 흔하게 수용한다"는 것뿐만 아니라 "학대를 받은 아동들의 정신역학"은 그들의 곤경에 대해 거의 변함없이 스스로를 "나쁜" 탓으로 돌리고, 그들이 "좋은"이 됨으로써 환상을 키운다. 그들의 학대자들을 오염시키고 고통을 끝낼 수 있다."[22] 사회과학자인 하워드 W. 폴스키에 따르면, "유대인의 빈약함에 대한 느낌은 종종 자기혐오에서 한 발짝 떨어져 있다"고 한다. 이어 그는 "유대인의 자기혐오는 어떤 사람이 어떤 식으로든 유대인을 나쁘게 여기는 젠틀맨의 정의를 채택했고 유대인이 되는 것이 그들의 성공이나 정체성을 방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23]고 말한다.

사용법

일부 학자들은 유대인 자기 혐오의 개념이 유대인 정체성의 본질화에 기초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유대인 자기혐오에 대한 설명은 종종 다른 유대인을 비난하고, 이방인 사회와 통합하는 것은 자기 자신의 유대인 출신에 대한 증오를 드러낸다는 것을 암시한다.[3] 그러나 개념이 발달한 20세기 초와 오늘날에는 모두 '계급, 문화, 종교적 전망, 교육에 기초한 정체성의 중요한 차이'를 가진 유대인 집단이 있으며, 이들 집단간의 적대감은 오직 '초과한 유대인의 정체성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가정한다면' 자기혐오라고밖에 볼 수 없다.다른 유대인 무리들을 압도하다."[3]

그러나 집단들 사이의 그러한 적대감은 때때로 "반유대주의적인 수사"라는 일부 반유대주의의 미사여구에 끌렸다. "반유대주의 미사여구를 사용한 유대인들의 하위집단에 대한 비판은 19세기와 20세기 유대인의 정체성에 대한 논쟁에서 흔했다."[3] 한 학문에 따르면, 실제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의 유대인 작가들은 유대인이라는 어떤 측면도 중요시하지 않고 독살적인 반미적 수사학을 꾸준히 사용해왔지만, 너무 자주 "다른 사람들이 자기 혐오자라고 비난하는 사람들은 그들이 유대인이나 유대교를 비판했을 때의 예를 찾는다. 그러나 그들이 비판한 사람들이 유대인이 되는 것을 가치있게 여기는 것을 보여주었을 때의 예는 무시하라.[3] 그는 유대인의 반유대주의가 반드시 자기혐오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반유대인 유대인'이 더 정확한 용어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다른 작가들도 '자기혐오'[4][12]보다는 '반유대주의'를 선호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용어는 유대인 주간(뉴욕)과 예루살렘 포스트(예루살렘)와 같은 유대인 출판물에서 사용되며, 종종 반제 유대인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그것은 "유대인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행위자나 예술가를 비판하고, 허구적 인물들의 심리적 갈등을 속기하고, 전통의 침식에 관한 기사(예: 혼인과 할례 등)에서, 그리고 이스라엘 정책이나 특정 유대인의 관행을 비판하는 유대인을 헐뜯는 데 이용된다.[3] 그러나 이 용어의 가장 넓은 용어는 현재 이스라엘에 대한 논쟁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논쟁에서 이 비난은 우파 시온주의자들이 시온주의나 이스라엘에 대한 지지가 유대인 정체성의 핵심 요소라고 주장하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이스라엘 정책에 대한 유대인의 비판은 유대인의 정체성 자체를 외면하는 것으로 간주된다."[3]

따라서 "자멸적인 유대인"이라는 비난을 받아온 사람들 중 일부는 이 용어를 "반유대주의[그]가 붙지 않을 [24]것이라는 혐의"의 대체물 또는 "병리화"로 규정했다.[3][25] 이 용어를 사용하는 일부 사람들은 이 용어를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반유대주의'[26][27] 또는 '뒤돌아가는' 종교를 행하는 사람들과 자신을 연관시키기를 거부하는 소위 '조명화된' 유대인들과 동일시했다.[28] 그의 소설에 1969년의 포트노이의 Complaint[18]— 같은 유대인 캐릭터들의 특성 때문에 자주 되는"유대인 자기 혐오의."의 비난을 받고 있— 어느 소설가, 필립 로스, 모든 소설 인간의 딜레마와(모든 지역 사회에 존재한다)다는 것, 그것은 긍정적인 J.에 대해 쓰는 것에 의해 self-censor에 처리한다고 주장한다ewish 문자는 반유대주의에 대한 복종일 것이다.[3]

용어 논란과 비판

(현대 용어로) 그 용어의 정당성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유대교 신자학술(My Jewish Learning)에 따르면 "일부 학자들은 다른 유대인을 자기혐오라고 규정함으로써 자신의 유대교를 규범주의로 주장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으며, 고발자 자신의 입장, 종교적 신념, 또는 정치적 견해의 척도에 근거해 피고의 유대주의가 결함이 있거나 부정확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견해가 있는 의견 그렇다면 피고는 그 꼬리표와 논쟁을 벌임으로써 규범적 유대교로 규정되어온 것을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 혐오"라는 용어는 그 사람이나 사물을 담론의 경계 바깥, 그리고 공동체의 경계 바깥에 배치한다.[29] 하레츠는 이 용어가 오늘날 거의 유태인 좌파에 대항하여 유대인 우파가 독점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좌익과 자유주의 사회 내에서는 "보통 농담으로 간주된다"[30]고 쓰고 있다. 허핑턴 포스트에 기고하고 있는 리처드 포러는 용어가 흔히 쓰이는 용어의 정당성을 거부하며, 그들이 관용과 협력을 불가능하게 만들 정도로 분열을 일으키며 진정한 이해의 가능성을 뿌리뽑는다. 포러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모든 사람들을 위해 정의를 위해 헌신하는 유대인은 자기혐오를 범한다는 개념은 상식에 어긋난다. 맹렬한 비난 속에서 정의를 표방하기 위해 필요한 자부심을 감안할 때 보다 정확한 평가는 이들이 자애로운 유대인이라는 것이다.[31]

데일리 쇼의 전 진행자 존 스튜어트는 그가 "파시즘적"[32]이라고 표현한 사람들에 의해 "자기 혐오 유대인"으로 거듭 불렸다. 유대인 대학살 때 서로 등을 돌린 유대인과 동일시하는 용어라는 점을 고려해 그는 "나는 홀로코스트에서 잃은 사람들이 있는데 그냥 꺼져버려"라고 말했다. 어떻게 감히?" Stewart는 그의 비평가들이 이 용어를 사용한 방법, 즉 누가 유대인이며 그렇지 않은지를 정의하는 방법은 전에는 항상 유대인이 아닌 사람들에 의해 행해졌다고 평했다. 그는 이것을 "국가주의 이상의 것"으로 보았다. 스튜어트는 또 우파 유대인들이 유대인이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결정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임을 시사한 것에 대해 "그리고 당신은 관찰하고 싶은 방식으로 [유다주의]를 관찰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리고 나는 그것이 형제들로부터 올 것이라고는 결코 생각하지 못했다. 그들이 감히? 그들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만을 알고 그것을 전파할 수 있는 사람들이다. 옳지 않아."[33] 그는 할리우드 리포터에게 "내가 나 자신을 싫어하는 데는 많은 이유가 있다. 유태인이 되는 것은 그 중 하나가 아니다."[34]라고 말했다.

2014년 노암 촘스키는 시온주의자들이 이스라엘 정책에 대한 비판자들을 반제민적 비유대인과 신경증적 자기혐오 유대인의 두 집단으로 나누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실, 이것의 가장 훌륭한 공식인 로쿠스 클래식은 유엔 주재 대사인 압바 에반, 유엔 주재 이스라엘 대사가 한 것이다. 그는 미국 유대인 사회에 그들이 수행해야 할 두 가지 과제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 가지 과제는 정책에 대한 비판, 즉 실제로 이스라엘 국가의 정책에 대한 비판을 의미하는 반자이온주의라고 불리는 것이 반유대유대주의에 대한 비판은 반유대주의적인 것이다. 그것이 첫 번째 과제다. 두 번째 과제는, 만약 유대인들이 그 비판을 했다면, 그들의 임무는 그것이 신경질적인 자기혐오이며 정신과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리고 후자의 범주에 대한 두 가지 예를 들어 주었다. 하나는 I. F. 스톤이었습니다. 다른 하나는 나였다. 그래서 우리는 정신 질환으로 치료를 받아야 하고, 비유대주의자들이 이스라엘 국가에 비판적이라면 반유대주의로 비난받아야 한다. 이스라엘 선전이 왜 이런 입장을 취했는지는 이해할 만하다. 나는 대사들이 가끔 해야 할 일을 한 것에 대해 특별히 아바 에반을 비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합리적인 혐의가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합리적인 요금 없음. 대응할 게 아무것도 없다. 그것은 반유대주의의 형태가 아니다. 단순히 국가의 범죄 행위에 대한 비판일 뿐이다.[35]

2016년 미국 대선에 출마한 민주당 후보 중 한 명인 버니 샌더스가 코미디언 재키 메이슨에게 "자멸하는 유대인"이라는 비난을 받았다.[36][37] 그의 형인 래리 샌더스는 이스라엘 타임스오브이스라엘에 "이것은 그의 형이 베냐민 네타냐후의 외교정책에 동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베르나드는 자학하는 유태인이 아니오. 우리 삶에서 자기혐오에 빠질 이유가 있는 순간은 한 번도 없었다. 정치에 대해 네타냐후와 동의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그를 자학하는 유대인으로 만들지는 않는다고 말했다.[38] 샌더스 대변인은 2016년 3월 기자가 "의도적으로 유대교를 배후에서 지키고 있느냐"고 묻자 "유대인이라는 것이 매우 자랑스럽고, 유대인이라는 것은 내가 가진 것"이라고 말했다. 봐, 우리 아버지 가족은 히틀러에 의해 홀로코스트에서 전멸되었어. 나는 급진적인 미친 짓에 대해,과 극단주의 정치 말인지 알겠어요."[39]맥스 버거 하아 레츠에서 언급"While 일부 유대인 미국의 설치에 노력하고 이스라엘에 대해 신경 쓰지 않아 우린self-hating 유대인들을 시사함으로써 버니와 그의 운동 무시하려는, 얼마나 심하게 터치 우리 사회의 미래와 함께는 보여 주기 위해,는 간다그는 우리의 전통을 소중히 여긴다.[40] 이와 유사한 분쟁은 유대인 고문인 시모네 짐머만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는데, 시모네 짐머만은 자기 혐오 유대인이라고 비난을 받았다. 더 타임즈는 이 고발을 "스랜딩"이라고 표현하며 강하게 비판했다.[41]

유사 용어

'자기혐오 유대인'은 '자기혐오 유대인'과 동의어로 쓰이고, '안티세미티 유대인'도 동의어로 쓸 수 있다. '자멸하는 유대인'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에서 사용되는 ' 삼촌'이라는 용어와도 비교되어 왔다.[42][43] '자동항체주의'(Hebre : אוטואנטטי,,,,,,,,, autoantishemiut)라는 용어도 히브리어에서 동의어로 쓰인다.[44][45][46] 하아레츠의 한 칼럼에서 우지 질베르(Uzi Zilber)는 유대인 자기 혐오의 동의어로 '유독감'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47]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샌더 길먼 "유대인 자기혐오: 반유대주의와 유대인의 숨겨진 언어" 볼티모어: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부 1986 페이지 361.
  2. ^ a b c d e f g h i j 폴 라이터(2008) "지오니즘과 유대인 자기혐오의 수사", 게르만 평론 83(4)
  3.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W. M. L. Finlay "Pathologizing Invossible: 아이덴티티 정치, 시오니즘과 '자멸하는 유대인', 영국 사회심리학 저널, 제44권 제2호, 2005년 6월, 페이지 201-2222.
  4. ^ a b c d 2007년 2월 27일, 앨빈 로젠펠드, "유대인 폭력과 유대인" , 신 공화국.
  5. ^ Alan Dershowitz, "The Case for 이스라엘", John Wiley & Sons, Inc., 2004, 페이지 220.
  6. ^ 2015년 8월 17일 알제르마이너 '에드워드 알렉산더(Review)'의 제랄드 아우어바흐.
  7. ^ a b 안토니우스 레르만, "유대인을 공격하는 유대인" 하아레츠, 2008년 9월 12일, 2008년 9월 13일에 접속.
  8. ^ a b c d e f g h i 안토니 레르만, 유대계 계간지 "유대인 자기혐오: 신화나 현실?", 2008년 여름
  9. ^ 2008년 9월 12일, "안토니 르르만은 반유대주의와 정치를 한다."
  10. ^ "반지오니즘과 반독재주의: 벤 코헨은 2008년 6월 18일 '선전주의자 안토니우스 레르만'에 대해 토론했다.
  11. ^ 2005년 11월, 어빙 루이 호로위츠, "새로운 경향과 오래된 증오", 스프링거 뉴욕 소사이어티 (저널), 제43권 제1호, 제1호, 제1호, 제1호, 제1호, 제1호, 제1호, 제1호, 제1호, 제1호, 제1호, 제1호, 제1호, ISSN0147-2011(인쇄) 1936-4725(온라인).
  12. ^ a b Bernard Wasserstein, "On the Eve," Simon and Schuster 2012, 페이지 211.
  13. ^ 버나드 루이스, "세미티와 반세미티", W. W. Norton & Company 1999, 페이지 255-256.
  14. ^ 아모스 엘론."그것 모두의 연민 : 독일의 유대인 역사, 1743-1933," 메트로폴리탄 도서 2002 페이지 231-237.
  15. ^ Jackson, John P, Jr; Jackson, John P (2001). Social Scientists for Social Justice: Making the Case Against Segregation. NYU Press. pp. 121–122. ISBN 978-0-8147-4266-2. Retrieved 2009-02-14. Social Scientists for Social Justice.
  16. ^ 길만 1986, 핀레이(2005:208)가 기술한 바와 같다. 길만, S. (1986) 유대인의 자기혐오: 반유대주의와 유대인들의 숨겨진 언어. 볼티모어: 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부.
  17. ^ 커트 르윈, 뉴욕 사회과학 분야의 사회적 갈등과 현장 이론 해결: 하퍼, 1948, 페이지 164.
  18. ^ a b c d e f g 글렌, 수잔 A. (2006),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에서의 유대인 자기혐오의 보그", 유대인 사회학, 제12권, 제3권, 2006년 봄/여름(뉴시리즈), 페이지 95-136
  19. ^ 레베카 스펜스, 2007년 2월 9일 유대 일간지 포워드 "이스라엘 좌파 비평가, 협박에 맞서기 위한 블로그 개설"
  20. ^ 패트리샤 코헨, "자유주의 유대인과 반유대주의를 연결한 이세이" 2007년 1월 31일 뉴욕 타임즈
  21. ^ 필리스 체슬러, "새로운 반유대주의", Josse-Bass Wiley Impint 2005, 187-188페이지.
  22. ^ 케네스 레빈 "만성적 포위하에 있는 인구의 심리", 후기 홀로코스트와 반유대주의, 2006년 7월 2일, 예루살렘 공공문제센터. 2010년 2월 액세스
  23. ^ 하워드 W. 폴스키 "내가 어떻게 유대인이며, 나의 유대인 미국인 정체성에 대한 모험" 2002페이지 16-17.
  24. ^ Gibson, Martin (2009-01-23). "No choice but to speak out – Israeli musician 'a proud self-hating Jew'". The Gisborne Hera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3, 2009. Retrieved 2009-02-14.
  25. ^ Marqusee, Mike (4 Mar 2008). "The first time I was called a self-hating Jew". extract from If I Am Not for Myself: Journey of an Anti-Zionist Jew. The Guardian. Retrieved 2009-01-17.
  26. ^ 허핑턴 포스트, 자기 혐오 유대인: 자기반성을 피하기 위한 전략. 2012년 8월 10일.
  27. ^ 유대인 분기별: 유대인 자기혐오: 신화인가 현실인가? 2008년 여름, 210번.
  28. ^ Brackman, Rabbi Levi (September 1, 2006). "Confronting the self hating Jew". Israel Jewish Scene. ynetnews. Retrieved 2009-01-17.
  29. ^ 자기 혐오 유대인: 자기혐오의 유산, MyJewishLearning
  30. ^ 자기혐오하는 유대인이 꼭 좌익인 것은 아니다, 하레츠
  31. ^ 자기혐오 유대인: 자기반성을 피하기 위한 전략, 허핑턴 포스트
  32. ^ 존 스튜어트는 자신을 자기혐오하는 유대인, 이넷이라고 부르는 비평가들을 맹렬히 비난한다.
  33. ^ 존 스튜어트는 이스라엘에 대한 자신의 보도에 대한 비판에 대해 canada.com
  34. ^ 감독 데뷔작 '로즈워터'의 존 스튜어트, 그의 '데일리 쇼'의 미래, 그리고 이스라엘-가자 논평, 할리우드 리포터
  35. ^ Chomsky, Noam (27 November 2014). "Noam Chomsky at United Nations: It Would Be Nice if the United States Lived Up to International Law". Democracy Now! (Interview). Interviewed by Amy Goodman. Retrieved 1 July 2016.
  36. ^ Balofsky, Ahuva (2 May 2016). "Jewish Comedy Legend Jackie Mason: Bernie Sanders is a Self-Hating Anti-Semite". Breaking Israel News – Latest News. Biblical Perspective.
  37. ^ Rozsa, Matthew. "Bernie Sanders is pushing mainstream Democrats to the left on Israel". Quartz.
  38. ^ 샌더스 형: 네타냐후와 충돌하는 것은 유대인, 타임즈 오브 이스라엘증오하는 징후가 아니다.
  39. ^ 버니 샌더스='아버지의 가족은 홀로코스트에서 히틀러에 의해 전멸됐다'고 CNN방송이 전했다.
  40. ^ 버니 샌더스 vs. 하레츠 미국 유대인 정착촌
  41. ^ Daalder, Marc (15 April 2016). "Bernie Sanders Must Defy the Pro-Israel Lobby and Reinstate His Anti-Occupation Jewish Advisor" – via In These Times.
  42. ^ 2002년 12월 10일 밀워키 저널 Sentinel, "Wayback Machine에 2007-04-11의 시대오고문구"인 유진 케인.
  43. ^ Alan Snitow and Debora Kaufman, BLACKS & 유태인: 촉진자 가이드, 1998.
  44. ^ Hendelsaltz, Michael. "Letting the animals live". Haaretz (in Hebrew). Retrieved 2008-08-17.
  45. ^ Dahan, Alon (2006-12-07). "The history of self-hatred". nfc (in Hebrew). Retrieved 2008-08-17.
  46. ^ Dahan, Alon (2006-12-13). "Holocaust denial in Israel". nfc (in Hebrew). Retrieved 2008-08-17.
  47. ^ Zilber, Uzi (25 December 2009). "The Jew Flu: The strange illness of Jewish anti-Semitism". Haaretz. Retrieved 25 December 2009.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