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레스(독일어)
Seeress (Germanic)게르만 이교에서 시녀는 미래의 일을 예언하고 마법을 부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여성이다.그들은 또한 "선교자", "지휘자", "현명한 여인" 그리고 "소녀"라는 뜻의 많은 다른 이름들과 함께 언급되고 있으며, 초기 자료와 현대 학계 모두에서 종종 마녀 또는 여사제로 불린다.
그것들은 기독교 이전 유럽의 무속 전통을 표현한 것으로, 게르만 사회에서 권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게르만족 시녀에 대한 언급은 로마 시대 초기에 일어났는데, 예를 들어, 그들은 때때로 로마 통치에 맞서 무장 저항을 이끌었고 로마에 사절로 활동했습니다.로마시대 이후 북게르만족 사이에서 시녀는 기록에서 나타나며, 북게르만족에서는 시녀를 모티브로 한 북유럽 신화에서 시녀는 북유럽 신화에서 다시 나타난다.고전과 북유럽의 기록 모두 그들이 지팡이를 사용했다는 것을 암시하며, 무대 위에 앉아 춤을 추는 것으로 묘사한다.
고대 로마와 그리스 문헌에는 알브루나, 벨레다, 간나, 그리고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발루부르크 등 몇몇 게르만족 시녀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노르웨이 신화에서는 여러 명의 시녀를 언급하는데, 그 중 일부는 하임라우그 볼바, 토르비외르그 리틸볼바, 토르디스 스파코나, 그리고 우리드르 순다필리르를 포함한다.북게르만 종교에서 프레이야 여신은 시녀와 특별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바이킹 공주와 러시아의 성인 키예프의 올가가 기독교로 개종하기 전 키예프 루스의 스칸디나비아 엘리트들 사이에서 프레이야의 사제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자들은 스칸디나비아의 시녀들의 유적으로 보이는 몇몇 무덤을 확인했다.이 무덤에는 지팡이, 환각제, 최음제 등의 성질을 가진 종자, 그리고 높은 지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물건들이 있다.
시녀들의 관습과 능력에 대한 사회적 믿음은 유럽의 "마녀들" 개념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의 관습은 기독교화에서 살아남았지만, 비록 소외되었고, 북유럽 중세의 마법으로 발전했기 때문이다.게르만족 시녀는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맥락에서 언급된다.게르만 이교도 종교의 현대 관습인 게르만 이교도에서는 다시 한 번 시녀들이 역할을 한다.
명칭 및 용어
개인의 이름 외에도, 로마 시대의 기록은 초기 게르만 민족들이 어떻게 그들을 지칭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지만, 6세기 고트 학자인 조르다네스는 게티카에서 초기 고트인들이 그들의 시녀를 [1]할리우룬네라고 불렀다고 보고했다.이 단어는 또한 고대 영어(OE), 헬루네(Hellerune) 및 고대 독일어(OHG)에서 헬리르나(hellir ("na)와 헬리루나리(hellirunari)[2][3]로 나타나며, 이들 형태에서 *alalja-runo(n)가 최초로 재구성되었다.[4]헬은 죽은 자의 [5]집이고, 두 번째는 루노( hel野)[6]다.이때 *runo라는 단어는 여전히 문자(rune)[3]가 아닌 구호를 의미하며, "주술"이라는 의미에서는 "시"[7]를 뜻하는 독일어 원어에서 핀란드어로 차용된 것으로 보인다.
OE에서 헬루네(helerune)는 고대 네덜란드어, 하게티스(haghetis) 및 OHG 하가즈사,[9] 하지사([11]hagzussa),[10] 하지사(hagzissa)에서 발견되는 용어인 hégtese를 [8]가지고 있다.이 서게르만어 형태는 아마도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 *χaazaz라는 독일어 원어에서 유래했을 것이며, 이 단어들 또한 고대 노르드어(ON) 하그르(Skillful)와 중세 하이트 독일어(MHG) 베하크(쾌락의)[9]에서 유래했다.그러나, 때때로 첫 번째 요소는 "펜스"[12]의 의미에서의 스웨덴 헤지("나무 방목장")에 대응하는 용어, 즉 PGmc *χaōon("목장", "봉쇄")의 출처도 영어 헤지(*aajjaz를 [13]통해)로 제안된다.이 경우, 이는 어원적으로 ON tunrida 및 OHG z ("nrite("펜스 라이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툰/z doesn은 인클로저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인클로저를 [12]둘러싼 울타리를 의미하게 된다.웨스트로고딕 법에 따르면, [14]트롤의 외모를 한 여성이 울타리 문을 탔다고 비난하는 것은 처벌할 수 있는 범죄였다.Kluge는 PGmc 형식을 *haga-tusjo로 재구성합니다. 여기서 마지막 요소 *tusjo는 PIE *dwes-에서h [11]"정신"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북게르만 문헌의 다양한 이름들은 두 종류의 마법사, 지팡이 운반자 또는 시녀(v (lva)와 마법을 부린 것으로 이름 붙여진 여자(seidkona)가 있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하지만, 그러한 차이가 존재한다면, 학자가 그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고, 두 종류의 이름은 종종 동의어로 그리고 같은 [15]여성들에 대해 사용된다.
völva라는 용어는 "스탭 나르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 게르만족 시레스 간나, 감바라, 발루부르크의 이름과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점괘와 투시력에 지팡이를 사용한 것은 고전 시대부터 바이킹 시대까지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vǫlva라는 이름과 이름의 유래는 출처에 23번 등장하고, seidkona ("seidr woman/wife")는 8번 등장하며, 이 두 용어는 종종 서로 [15]바꿔서 사용된다.두 번째로 흔한 용어는 스파코나(prophey woman/wife)로, 같은 [16]여성을 가리키는 völva 및 seidkona와 22번 번갈아 나타난다.비센다코나(Visendakona, 현명한 여자 또는 아는 여자)라는 이름도 있는데, 이 이름은 출처에서 8번 나온다.아일릭스의 전설 라우다에서 오르비오르그는 비센다코나, 볼바, 스파코나로 불린다.한때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현대 대중 언어에서 마법사와 마녀라는 단어가 서로 교환되는 것처럼, 이 사가의 구성 당시에는 더 이상 의미가 구분되지 않았다.또한 갈드라코누르(galdrakonur), 갈드라커링(old galdr woman), 갈드라스노트(galdrady)라는 이름을 가진 희귀한 이름들의 5가지 사례도 있다.또한 부정적인 의미를 [17]지닌 galdrakind ("galdr creature")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또한 *vitka라는 재구성된 단어가 있는데, 이것은 Gesta Danorum, 3권에 나오는 Wecha와 관련이 있을 수 있고 일종의 마법사를 지칭합니다.그것은 여성스러운 형태의 비티키인 것으로 보이며, 로키는 오딘이 "비티카의 [17]길잡이"로 세계를 여행했다고 비난한 로카세나24에서만 증명된다.
헤이드라는 개인 이름은 산문 자료에서 마법사를 뜻하는 단어로 66번 등장한다.그것은 시 에다, 힌들요드, 그리고 뵐루파에서 두 번 나오는데, 굴베이그가 신들의 전쟁과 관련하여 가정한 이름이다.북유럽 사가들과 랜드나바보크의 맥키넬의 연구에 따르면, 여성 시녀 역할을 하지 않는 헤이드라는 여성의 사례는 단 한 가지뿐입니다.이 이름은 'heath'와 'theather'로 연결돼 있지만 'Radience and Golden Light, Honor and Pay'[18]를 의미하는 의미로도 설명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sorceress"만을 의미하는 fjolkyngiskona와 많은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마녀"에 해당하는 많은 경멸적인 이름들이 있는데, 이러한 용어들은 스카스("Ogress"),[19] 플래그드("kona"), 게그르("Ogress"),[20][21] 팔라("Giantess"),[22] 할라(hara), 포데블("déda")[23][18]을 포함한다.
샤머니즘이라는 용어
시녀들의 관행이 샤머니즘으로 간주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학계의 논쟁이 오랫동안 있어왔다.그러나, 이것은 넓은 정의에서의 샤머니즘의 개념(예: OED의 정의 참조)에 관계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제한적인 의미에서 고대 노르드 문학에 보존되어 있는 것과 북부 유라시아의 샤머니즘 사이에 어느 정도의 유사성이 발견될 수 있는가.대다수의 학자들은 "샤만적 해석과 황홀한 의식의 존재"를 지지하며(예: 엘리스 데이비슨, 올마크, 팔손, 메울렌그라흐트 쇠렌센, 투르빌-페트르, 드 브리스) 소수파는 회의론자이다(예: 부게, 딜만, 뒤메 질).회의론자 중 한 명인 클라이브 톨리는 만약 샤머니즘이 스칸디나비아의 사미로 대표되고 에드워드 바지다가 정의하는 "툰드라 샤머니즘"으로 정의된다면, 그 차이는 너무 크다고 쓰고 있다.그는 사미의 관습과 비슷한 점을 발견한 다그 스트롬베크와의 토론에서 광범위한 샤머니즘에 익숙하고 1939년 이를 거부한 올마크의 입장에 동조했다.하지만 톨리는 만약 무속주의가 Oke Hultkrantz(1993)의 말과 일치한다면, 의식적인 환경에서 무속인이 연기하는 중재적 역할과 함께 영적 존재와 수호 영혼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정의된다면, 무속인 동안 수호 영혼의 존재와 그에 따른 무속 행동[...]을 인정한다.그럼 그들의 관행을 '무속한 무속인'이라고 정의하는 것이 옳다.하지만, 그는 이 경우 샤머니즘은 중세 유럽의 마법과 고대 [25]그리스의 관습과 같은 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온 전통적인 관습도 포함한다고 생각한다.극지 샤머니즘을 연구한 닐 프라이스는 북게르만족 시녀를 엄격한 의미에서 [26]무당이라고 규정하기에 충분한 유사점을 발견했다고 주장한다.
사회에서의 역할
운명은 게르만 문학과 신화에서 중심이고, 남성의 운명은 초자연적인 여성과 여성들과 불가해하게 연결되어 있다.모리스는 운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시녀는 신과 인간 모두에게 두려움과 존경을 받았다고 말한다.심지어 오딘 신도 그들과 상의했다.노르족은 여성과 운명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게르만 사회에서 높아졌으며, 그 연관성은 [27]시녀들에 의해 구체화되었다.
로마인들이 게르만족을 상대할 때 시녀들이 한 정치적 역할은 항상 존재했고, 로마인들은 [28]그들의 의견을 고려해야 했다.간나의 정치적 영향력이 너무 커서 그녀는 부족의 왕인 마시오스와 함께 로마로 끌려갔고, 그곳에서 그들은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를 접견하고 예우를 받은 후 [29][30]집으로 돌아왔다.로마의 역사학자 타키투스는 간나를 만났고 초기 게르만 [31]종교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것을 그녀로부터 알게 된 것으로 보이는 다음과 같이 썼다.
그들은 여성에게 신성함과 [27]예언의 재능이 있다고 믿는다
타키투스가 그들의 힘에 대해 말한 또 다른 설명은 바타비아 부족이 로마인들에게 한 성명이다.
...만약 우리가 주인들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27] 우리는 독일 여성들보다 로마의 황제들을 더 명예롭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시녀는 여느 여성이 아닌 특별한 [32]관직을 차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Mogk와 Sundqvist 둘 다 비록 로마인들이 시녀들을 "사제"라고 불렀지만, 엄격한 의미에서 [33]그렇게 낙인찍어서는 안 된다고 언급했습니다.후기 북게르만어 판에 대해서, Nésström은 Völva가 어떠한 희생도 행하지 않았지만, 예언가로서의 그리고 마법사로서의 그녀의 역할은 여전히 [34]그녀 사회의 정신적인 삶의 중요한 측면이었다고 쓰고 있다.Katherine Morris가 이 여성들을 유용하게 정의했다는 Price 코멘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마술은 조작적이고, 실용적이며, 즉시 달성되었습니다.그 마법사는 날씨를 바꾸거나, 주문을 걸거나,[35][36] 자신의 바깥에 있는 것들을 통제했다.
증명서
게르만족 시녀는 게르만 사회에서 시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로마인에 의해 처음 묘사되었다.역사 기록의 공백은 1천 년 후 북유럽 사가들이 북게르만 민족들 사이에서 시녀를 자주 언급할 때 북게르만 기록이 시작될 때까지 발생한다.주목할 점은 1세기에 높은 탑에서 예언을 했던 벨레다가 13세기 에리크스 사가 라우다에서 [37]높은 단상에서 예언을 한 에오르브요르그 리틸볼바의 이야기에서 반향을 발견했다는 것이다.시멕은 토르브요르크의 높은 강령과 지팡이에 대한 이 전설의 서술은 게르만 [38]이교에서 비롯된 진정한 관행을 전달한다고 말한다.
로마 시대
고대 게르만족 게르마니아에 대한 그의 민족지학에서 타키투스는 이 점들 중 몇 가지를 설명한다.제8장에서 그는 당시 게르만 사회의 여성과 시녀의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보고한다.
- A. R. Birley 번역 (1999년):
- 이미 흔들리고 쓰러질 것 같던 일부 군대들은 여성들에 의해 결집되어 가슴을 드러낸 채 자신들의 길을 막고 남자들에게 포로가 될 뻔했음을 상기시켰다고 기록되고 있다.그들은 훨씬 더 자기 자신보다 자기 여성에 대해 필사적으로 두려워한다.사실, 인질 중에 귀족 가문의 소녀들을 포함시키라는 명령을 받은 사람들은 더 효과적인 구속 하에 놓이게 된다.그들은 심지어 여성들에게 신성한 무언가가 있고 예언자의 요소가 있다고 믿기 때문에, 그들은 그들의 충고를 무시하지도 않고 그들의 예언을 무시하지도 않는다.신격화된 베스파시아누스 밑에서 우리는 벨레다가 오랫동안 신적인 존재로 여겨졌음을 목격했다.그리고 옛날에도 그들은 알브루나와 다른 많은 여성들을 숭배했다.비굴한 아첨을 통해서도 그들을 [39]여신으로 만들려는 것처럼도 아니었다.
서기 1세기에 그리스의 지리학자이자 역사가인 스트라보는 그의 백과사전 지리학의 제7권 2.3장에 게르만족인 킴브리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Horace Leonard Jones 번역본 (1924):
- 작가들은 다음과 같은 취지의 Cimbri의 풍습을 보고한다.그들의 아내들은, 그들의 탐험에 동행하는, 선견자 여사제들이었다.이들은 흰 머리에 아마색 망토를 입고, 아마색 망토를 걸치고, 청동 띠를 두르고, 맨발을 하고 있었다.이들 여사제들은 검을 들고, 야영지 전체에서 전쟁포로를 만나, 최초의 까마귀를 잡았다.화환으로 장식하면 20암포레 정도의 뻔뻔한 그릇으로 인도할 수 있고, 여사제가 올라간 뒤 주전자 위로 몸을 숙여 죄수의 목을 베고, 여사제 중 몇 명은 용기로 쏟아지는 피로 예언을 이끌어낼 수 있었습니다.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시체를 쪼개어 내장을 검사하면 자기 민족이 승리할 것이라는 예언을 하고, 전투 중에는 마차의 고리버들 너머로 늘어져 있는 가죽을 두들겨 패면서 이상한 [40]소리를 내곤 했다.
서기 2세기에 쓴 로마 역사학자 카시우스 디오는 그의 로마 역사 50장에서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와 게르만 민족인 체루시족 사이에서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여성의 만남을 묘사한다.디올리테스 카시우스에 따르면, 이 여성은 드루수스의 죽음을 예견하고, 그는 곧 죽는다.
- Herbert Baldwin Foster 및 Erest Cary 번역(1917):
- 관련된 사건들은 율루스 안토니우스와 파비우스 막시무스의 집정관에서 일어났다.이듬해 드루수스는 티투스 크리스피누스와 함께 집정관이 되었고, 그에게 전혀 좋지 않은 징조들이 일어났다.많은 건물들이 폭풍과 벼락에 의해 파괴되었고, 그 중 어떤 사원도 파괴되었다; 심지어 주피터 카피톨리누스와 그와 함께 숭배하던 신들의 신들도 부상을 입었다.그러나 드루수스는 이런 일에는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샤티까지 쳐들어왔고, 수비까지 진격하여, 국경을 넘나드는 영토를 간신히 정복하고 상당한 유혈사태를 겪은 후에야 그를 공격한 군대를 물리쳤다.그곳에서 그는 체루시라는 나라로 가서 비수르기를 건너 알비스까지 진격하여 가는 길에 있는 모든 것을 약탈했다.
- 알비스는 반달릭 산맥에서 발원하여 강력한 강물을 북쪽 바다로 흘려보낸다.드루수스는 이 강을 건너기로 약속했지만 실패했고 전리품을 설치하고 철수했다.초인적인 몸집의 여자가 그를 만나 말했다. "어디로 가서 기도해, 너는 만족할 줄 모르는 드루수스냐?네가 이 모든 땅을 볼 운명은 없다.그러나 떠나라. 당신의 수고와 삶의 끝이 이미 눈앞에 있으니.
- 이런 목소리가 신으로부터 누구에게나 전해진다는 것은 정말 놀라운 일이지만, 나는 그 이야기를 믿을 수 없다. 드루수스는 즉시 떠났고, 서둘러 돌아오다가 어떤 질병으로 라인강에 도착하기 전에 죽었기 때문이다.그리고 나는 이 사건들에서 그 이야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가 죽기 직전에 늑대들이 캠프를 배회하며 울부짖고 있었다; 두 명의 젊은이가 캠프의 한가운데를 말을 타고 지나가는 것이 목격되었다; 여자들이 탄식하는 소리가 들렸다; 그리고 하늘에는 별똥별들이 있었다.이런 [41]행사는 이제 끝이야.
알브루나
벨레다
서기 1세기와 2세기에, 그리스 역사가 스트라보, 로마의 원로원 타키투스, 로마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와 같은 그리스와 로마의 작가들은 고대 게르만 민족에 대해 썼고 게르만 사회에서 시녀들의 역할에 주목했다.타키투스는 서기 1세기 역사책 4권에서 게르만족 시녀를 언급한다.
간나
간나라는 이름의 시녀는 기원전 3세기 초에 로마의 역사학자 카시우스 디오에 의해 언급되었다.전후는 서기 1세기 80년대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라인 강 동쪽에서 벌인 작전이다.간나는 엘베 강 동쪽에 정착한 셈노네스 부족에 속했고 벨레다 [29]시대 이후인 기원전 1세기 후반에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간나의 정치적 영향력은 그녀가 부족의 왕인 마시오스와 함께 로마로 끌려갔을 정도로 컸고, 그곳에서 그들은 로마 황제와 접견하고 예우를 받은 후 집으로 [29][30]돌아왔다.이것은 아마도 그가 베저강과 [29]엘베강 사이에 정착한 체루시족과 조약을 맺은 86년에 일어났을 것이다.
로마에 머무는 동안, 간나와 마시오스는 로마의 역사학자 타키투스와 만난 것으로 보이며, 타키투스는 그들이 수비족 중 가장 고귀하다고 여겼던 그 부족의 정보원들과 셈노니 종교 관행에 대해 논의했다고 보고한다.브루스 링컨(1986)은 타키투스가 간나와 만난 것과 로마 역사가가 초기 게르만 부족의 신화적 전통에 대해 무엇을 배웠는지, 그리고 투이스토의 아들인 잉그(Yngvi), 이스트(Ist)와 이르민(Odin)으로부터 셈노니의 조상 관계에 대해 논의한다.셈노니는 인간의 제물로 그들 국가의 "공포한 기원"을 재연했는데, 각각의 희생자들은 투이스토를 대표하고 "창조의 행위"[43]를 반복하기 위해 잘려나갔는데, 이것은 오딘과 그의 형제들이 노르웨이 [44]신화에서 원시 거인 위미르의 몸을 잘라 세계를 형성한 것과 비교할 수 있다.루돌프 시메크는 타키투스가 셈노니 부족이 탄생한 요람인 성스러운 숲에서 그들의 의식을 행하고, 그들이 속박당했을 때만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고 지적한다.숭배받는 신은 아마도 오딘이었을 것이고, 속박당하는 것은 오딘의 자기희생을 모방한 것일 수도 있다.이 숲은 오랫동안 족쇄의 숲과 동일시 되어 왔습니다.그곳에서 에딕의 시 '헬각비이다 훈딩스바나 2세'[45]에서 영웅이 오딘에게 제물로 바쳐졌습니다.
간나는 시빌라가 아니라 그리스어로 "누군가 예언을 하는"[29] 것을 의미하는 테아주사라고 언급된다는 것이 눈에 띈다.그녀의 이름은 보통 고대 게르만어 간노로 해석되며 고대 노르드어 간드르에 비유된다(간나 간드르의 의미는 마법 지팡이를 운반하는 사람 또는 마법 지팡이 등을 조종하는 그녀).그래서 그녀의 이름은 감바라(Wand-bearer)나 발루부르크(Walu-, "staff"(On völr)[46]와 같이 직원 이름을 가진 다른 시녀들과 함께 묶이고, 같은 단어는 북게르만 시녀들의 이름인 völur에서도 발견된다.시메크는 간드르를 "마법의 지팡이"와 "그녀의 소명의 상징"으로 분석하지만, 그는 "마법의 물체 또는 존재"를 의미하며, 지팡이를 그녀의 도구나 휘장으로 언급하는 대신 그녀의 이름은 벨레다의 [29]이름처럼 게르만 부족들 사이에서 그녀의 기능을 언급했을지도 모른다.Sundqvist는 그 이름이 대신 그녀의 능력을 [47]언급했을 수도 있다고 주장합니다.예를 들어, 그녀의 이름을 바로 애블러 그레이드 ginn-("마법의 능력")[48]과 연결시켜주는 de Vries처럼, 마법의 투영에 관한 섹션에서도 다루어졌습니다.
발루부르크
기원후 2세기부터 거슬러 올라가며, 발루부르크라고 쓰여진 그리스어 비문이 새겨진 오스트라콘입니다. 세[m]노니 시빌라는 20세기 초에 이집트 섬인 엘리펀틴에서 발견되었다.이 이름은 로마와 그라에코-이집트 군인의 이름 목록 중에 나타나며,[49] 아마도 급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요소 *Walu-는 아마도 게르만조어 *waluz '스태프'로, 이것은 시녀들의 휘장, 마법 지팡이를 언급할 수 있으며, 의미론적으로 그녀의 이름을 그녀의 동료 부족 여성인 시녀 [28]간나의 이름과 연결시켜 줄 수 있다. 그녀는 아마도 그녀에게 기술을[50] 가르쳤고 [29][30]로마에서 도미티아누스 황제와 접견했을 것이다.같은 방법으로, 그녀의 이름은 또 다른 게르만족 시녀의 이름인 감바라(Gambara)와 연관될 수도 있다. 감바라(Gand-bera[47] 또는 *gand-bara[51])는 "간드르"를 참조한다.지팡이는 또한 북게르만어로 seeress, völva 'stafferer'[52][46][36]를 의미한다.북게르만족에 따르면, 시녀들은 항상 같은 게르만조어 뿌리 *waluz에서 [54]온 지팡이 völr를 [53]가지고 있었다.
슈바트는 그녀가 첫 번째 백내장 [55]때 로마 군인을 이집트에 배치하게 한 그의 경력에서 로마 군인과 함께 전쟁 포로였을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시멕은 그녀가 로마 당국에 의해 추방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는 그녀가 어떻게 엘리펀티네에 도착했는지는 불확실하지만, 게르만족 시녀들이 정치적으로 [56]휘두른 중요하고 명백한 영향력을 고려하면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쓰고 있다.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그리스의 이집트에 Waluburg과 같은 시기에 살았었다,서 좀 더 일찍 플루타르크, 그 소용돌이들, 빙빙과 currents,[53]의 튀는 액체는 독일 seeresses 또한 미래를 예측할 수 있고 Schubart 왜 Waluburg은 제1차 C의 소용돌이 치는 물에 도착했다는 이것이가 언급했다ata나일강 [55]유역
중세 초기
감바라
7세기 라틴어 기록인 Origo Gentis Langobardorum(롬바르드/랑고바르드족의 기원)과 8세기 경의 Historia Langobardum(롬바르드/랑고바르드의 역사)은 당시 스칸디나비아인이 이끌었던 랑고바르드족이 이주하기 전 또는 이후에 전해지는 전설에 대해 이야기한다.이웃인 반달 부부는 조공을 바치라고 요구했지만 어머니 감바라는 그러지 말라고 충고했다.전투 전, 반달은 그들에게 승리를 주기 위해 오딘(고단[57])을 불렀지만, 감바라는 오딘의 아내 프리그(프레아)를 대신 [58]불렀다.프리그는 그들에게 오딘을 속이라고 충고했다. 위닐리 여인들이 수염을 기르고 오딘이 [59]지구를 내려다보는 창문 앞에 서도록 그들의 머리칼을 얼굴 앞에 펼치게 했다.오딘은 당황하여 "긴 수염"(롱고바르배[57])이 누구냐고 물었고, 그래서 그는 그들의 대부가 되었고 그들에게 [60]승리를 허락해야만 했다.
감바라는 라틴어로 "사제" 또는 "소녀"를 뜻하는 피토니사라고 불리며, 고타넘 연대기에서 그녀는 시빌라, 즉 "시녀"[60]라고도 불린다.폴은 감바라가 예언이 중요한 시대에 살았고 벨레다처럼 처녀로 사는 것이 아니라 사제, 현명한 여성, 어머니, [61]여왕의 역할을 겸비했다고 말한다.그녀의 이름은 고대 노르드어 v,[60][51]lva와 같은 의미의 "수배자" (gand-bera[47] 또는 *gand-bara[51])를 의미할 수 있고, 그녀의 아들 이보르의 이름은 "수아"를 의미하며, 북유럽의 풍요의 신 프레이에게 신성하고 신들의 [60]바니르 일족의 주요 신이다.호크는 초기 롬바르드족이 스칸디나비아 바니르 [62][63]숭배의 일환으로 어머니 여신 프레이야를 주로 숭배했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하면서, 그는 웁살라의 롬바르드족이 오늘날의 체코 [64]브르노 근처 주라시에서 발견되었다고 덧붙인다.
롬바르드어에서는 오딘과 프리그를 고단, 프레아라고 불렀고, 고대 고지 독일어에서는 우오단과 프리아, 고대 [65]영어로는 보든과 프리그라고 불렀습니다.오딘이 지상에서 내려다본 창은 노르드 [60]신화의 흘리스크얄프, 그가 모든 것을 [66]볼 수 있는 곳, 그리고 프리그가 롬바르드 [67][68][69]신화와 평행하게 시 그림니스말에서 오딘에 대항하는 음모를 꾸민 곳을 떠올리게 한다.프리그의 불륜과 예언과의 연관성은 보통 프레이야에게 있고, 마법과의 연관성은 프레이야에게 있지만,[70] 그들 사이에는 많은 유사점이 있으며, 프레이야와 프릭은 원래 같은 [70][71]여신이었을 수도 있다.학자들은 Frea를 Frigg/[72][73]Freyja 또는 단순히 Freyja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
할리우루나스
고트족 역사에 관한 6세기 작품인 게티카는 초기 고트족들이 그들의 시레스를 할리우루나(또는 할리우루나 등)[1]라고 불렀다고 보고한다.그들은 울프람의 말에서 "죽음의 세계와 마법에 걸린 여자들"이었고, 그들은 아말 왕조 이전 고트족의 [74]마지막 왕이었던 필리머에 의해 그들의 부족에서 추방되었다.그들은 스텝에서 온 더러운 영혼에 의해 스며든 황야에서 피난처를 찾았고, 훈족을 탄생시켰는데, 폴은 헤로도토스가 [75]제시한 사르마티아인의 기원과 비교된다.그 설명은 [76]훈족의 기원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이 설명은 필리머가 [77]패배의 희생양으로 자신의 시녀를 추방한 역사적 사건에 근거할 수도 있고, 그들은 또한 보수파를 대표하여 변화에 저항했을 수도 있다.이러한 변화는 아말 일족의 부상과 그들의 조상들의 주장일 수 있다.초기 롬바르드족의 경우처럼, 이것은 적들로부터 존재 위협을 받았던 부족들을 구한 결정적인 승리 후에 일어났을 것이다.오딘은 여전히 새로운 신이었고, 고트족은 대신 새로운 지배 [78]씨족의 창시자인 아말의 스칸디나비아의 증조부가 된 "옛" 신 고트를 숭배했다.
바그너는 여성과 훈족의 악마화는 그 설명이 기독교적 맥락에서 [79]쓰여졌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Morris(1991)는 이것이 미래의 기독교 전통에 대한 선례라고 언급하며, 이 전통에서는 악마와 악마가 관계를 맺거나 악마와 관계를 맺게 된다.10세기 앵글로색슨족 리치북에는 '악마가 성관계를 가진 여자'에 대한 연약 처방이 있고, 11세기에는 마녀와 이단자가 [80]밤에 만나는 자리에서 성관계를 가졌다는 설이 나온다.
북게르만어 말뭉치
게르만족들 사이에서 현대에 남아있는 신화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다.북게르만 기록은 예외이며, 게르만 민족의 신화에 관해 남아있는 대부분의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이러한 자료들은 북게르만 민족들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수많은 시녀들을 언급하고 있다.
시레스 이름(고대 노르드어) | 증명서 | 메모들 |
---|---|---|
하임라우그 볼바 | 걸-토리스 사가 | 굴-토리스 사가에서 하임라우그는 예언을 통해 사가의 주인공을 돕는다. |
헤이드 | 흐롤프스의 사가 크라카, 란트나마보크, 외르바르오즈의 사가 | 헤이드라는 이름의 다양한 시녀는 고대 노르드어 말뭉치에 나타나는데, 그 중에는 굴베이그도 포함되어 있는데, 학자들이 일반적으로 프레이야 여신의 다른 이름으로 간주한다. |
§오르브요르그 리틸볼바 | 에이릭스의 전설 라우다 | Eiriks saga rauda에서, þ르브요르그 리틸볼바는 그린란드의 스칸디나비아 농장을 여행하며 미래를 예언한다. |
②오르디스 스파코나 | 바텐델라 사가, 코르막스 사가 | 10세기 아이슬란드 시녀이자 지역 지도자[81] |
오리드 스파코나 | 랜드나마보크 | |
우리드 순다필리르 | 랜드나마보크 | |
이름 없는 시리스 | 볼루스파, 볼루스파 힌스카마 | 이름 없는 시녀는 고대 노르드어 말뭉치의 다양한 맥락에서 나타난다.예를 들어, 그 이름이 암시하듯이, 시 볼루파(Völuspa, 시녀의 예언)는 과거와 미래에 대한 정보를 오딘 [82]신에게 암송하는 죽지 않은 시녀로 구성되어 있다. |
에이릭스의 사가 라우다는 특히 시녀의 외모와 활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한다.예를 들어 시레스 þOrbjörg Létilvölva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녀를 위해 높은 자리에 쿠션이 완비되어 있었다.이것은 닭털로 채워질 예정이었다.
어느 날 저녁, 그녀가 그녀를 데리러 보내진 남자와 함께 도착했을 때, 그녀는 검은 맨틀에 끈을 매고 있었고, 그 끈은 바로 밑단까지 보석으로 장식되어 있었다.그녀의 목 주위에는 유리구슬이 달린 끈을 두르고 머리에는 흰 캣츠킨이 달린 검은 양가죽 두건을 쓰고 있었다.그녀는 맨 위에 손잡이가 달린 지팡이를 메고, 맨 위에 돌멩이가 달린 놋쇠 세트로 장식했다.그녀의 허리에는 커다란 지갑이 달린 고리 모양의 벨트가 달려 있었다.그 안에 그녀는 자신의 예언에 필요한 매력을 간직하고 있었다.그녀는 길고 튼튼한 끈과 끝부분이 커다란 퍼터 노브와 함께 털로 된 칼프스킨 부츠를 신고 있었다.그녀의 손에는 흰색의 캣스킨 장갑과 모피 안감을 착용하고 있었다.
그녀가 들어왔을 때, 모두가 정중하게 인사를 해야 했고, 그녀는 그 사람이 그녀에게 어필하는 방법에 따라 대답을 했습니다.농부 Thorkel은 그 현명한 여자의 손을 잡고 그녀를 위해 준비된 자리로 그녀를 이끌었다.그리고 나서 그는 그녀에게 자신의 양떼, 하인, 건물들을 조사하라고 부탁했다.그녀는 그 모든 것에 대해 거의 할 말이 없었다.
그날 저녁 식탁이 차려지고 시녀를 위한 음식이 준비되었다.그녀를 위해 우유죽이 만들어졌고 고기로서 그녀는 그곳에 있는 모든 동물들의 심장을 받았다.그녀는 놋쇠 숟가락과 상아로 된 칼이 있었고, 그 두 개의 반쪽은 청동 띠로 채워져 있었고, 그 끝은 [83]부러져 있었다.
키예프의 올가
바이킹 공주와 키예프의 러시아 성인 올가는 기독교로 [72]개종하기 전에 뵐바와 "프레이야의 사제"로 활동했을 것이라는 징후가 있다.프라이머리 크로니클에서 그녀는 귀족들에 의해 "모든 여성 중 가장 현명한 여성"으로 묘사되고 있는데, 지혜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고 지혜롭다는 그녀의 명성은 전향 이전 [84]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그녀의 지혜는 또한 올랍스의 전설 트리에그바소나르에서도 보고되고 있는데, 그녀는 알로지아라고 불리고 블라디미르 대왕의 할머니였지만 그녀의 노모로 오인되었다.그곳에서 그녀는 "매우 현명하다"고 묘사되었고 궁정에서 그녀의 주된 역할은 예언이 들어맞았던 예언가로서였다.키반 루스의 왕이 율레를 축하할 때, 그는 그녀에게 미래를 예언해 달라고 부탁했고, 그녀는 시녀들의 높은 연단을 떠올리게 하는 의자에 앉아 그에게 옮겨졌다.비록 그가 역사적인 사건을 전하지는 않았을지 모르지만, 12세기에 이 사가를 쓴 오드르 스노라손은 올가를 [85]뵐바라고 분명히 식별했다.
올가는 [86]근원에 있는 새들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이것은 마법의 여신인 프레이야 여신에게도 해당되었다.[87]그 여신은 스칸디나비아 여성들, 특히 권위와 권력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귀족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옛 학계에서는 귀족적인 노르웨이 여성들이 집에서 남편을 수동적으로 기다렸다고 믿었지만, 현대의 관점은 그들이 노르웨이 시 다라달요드에 [88][72]반영되어 있는 마법인 세이드와 함께 집에서 전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것이다.그 결과 올가는 프레이야의 대제사제로 여겨졌을지도 모른다.그 지위는 스칸디나비아의 친척들뿐만 아니라 프레이야를 [89]키예프에서 키예프에서 키예프 6대 우상 중 유일한 여신으로 대표되는 슬라브 여신 모코쉬와 동일시하는 슬라브 신민들에게도 어필했을 것이다.
2008년 올가가 태어난 프스코프에서는 N°6이라는 스칸디나비아의 무덤이 발굴됐다.그것은 노르웨이 이교와 기독교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혼합된 무덤이었다; 그것은 960년 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그것은 스칸디나비아의 왕들과 루스의 통치자들이 관리들에게 준 징표인 야르테그라고 불리는 물건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묻힌 사람이 정치적 [90]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앞면에는 바이던트가 있는데, 이 바이던트는 나중에 트라이던트로 발전하여 루리크 왕조의 상징이 되었다.바이던트 위에는 열쇠가 있고, 열쇠는 스칸디나비아의 주인의 상징이었다. 스칸디나비아의 여성들이 홈스테드의 열쇠를 들고 다녔기 때문이다; 코발레프(2012)는 그 열쇠도 [91]프레이야의 상징이었다고 주장한다.코발레프에 따르면, 스비아토슬라프 1세가 성년이 되기 전에, 올가는 키예프 루스의 통치자의 인장에 열쇠를 추가하는 것을 선택했을지도 모른다.그 열쇠는 북유럽 전역에서, 권위를 가진 여성의 상징일 뿐만 아니라,[92] 후견인의 상징으로서도 이해되었을 것이다.뒷면에는 스웨덴과 루스의 바이킹 시대 엘리트뿐만 아니라 특히 매로 변신할 수 있는 프레이야 여신과 연관된 매의 이미지가 있다.[93]매는 또한 스칸디나비아 여성들이 [94]입는 종류의 망토를 입은 것으로 보인다.매 위에는 십자가가 있다; 매와 십자가가 새겨진 동전은 950년대와 960년대의 [95]올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새 머리를 가진 여성의 모습도 노르웨이 9세기에서 발견되었다.오세버그 태피스트리 조각들,[96] 그리고 여성들은 새 가면을 [97]쓴 프레이야의 여사제들로 밝혀졌다.몇몇 학자들은 태피스트리와 함께 묻힌 여성을 [98]뵐바라고 생각한다.
고고학적 기록
바이킹 시대 사회에 대한 고고학적 기록은 북 게르만족 시녀들의 무덤으로 확인되는 다양한 무덤을 특징으로 한다.덴마크 북부 유틀란드 지역의 Fyrkat에서 주목할 만한 예가 있습니다.Fyrkat는 바이킹 시대의 반지 요새가 있던 장소입니다; 그 장소의 묘지 부분에는 다른 30여 개의 말 끄는 마차 안에 묻히고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수놓인 드레스를 입은 여성의 무덤이 있는데, 이 모든 것은 높은 신분의 표시입니다.이 무덤에는 바이킹 시대의 여성 무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위나 방추돌기 같은 물건들이 들어있지만, 그 밖에도 희귀하고 이국적인 물건들이 많이 들어있다.예를 들어, 이 여성은 은색 발가락 반지(스칸디나비아 기록에 알려지지 않은 것)를 착용했고 그녀의 매장에는 중앙아시아에서 [99]유래한 두 개의 청동 그릇이 들어 있었다.
무덤 안에는 독성이 있는 식물인 헨베인의 씨앗이 담긴 작은 주머니와 고대 노르웨이 기록에서 시녀들이 사용했던 부분 분해된 금속 지팡이가 들어 있었다.덴마크 국립박물관에 따르면:
- 이 씨앗들을 불 위에 던지면 약간의 환각성 연기가 발생한다.적절한 양을 섭취하면 환각과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헨베인은 후기의 마녀들에 의해 자주 사용되었다.마술사들이 피부에 문지르면 사이키델릭 효과를 낼 수 있는 "마녀의 연약"으로 사용될 수 있다.Fyrkat에서 온 여자가 한 짓인가요?벨트 버클에는 하얀 납이 들어있었고, 이것은 때때로 피부 [99]연고의 성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헨베인의 최음제 특성은 시녀에 의한 [100]사용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시체의 발밑에는 박스 브로치라고 불리는 작은 상자가 있었고 스웨덴 고틀란드섬에서 유래했으며 부엉이 알갱이와 새의 뼈가 들어 있었다.무덤에는 의자처럼 생긴 부적도 들어있었는데, 이는 잠재적으로 (서기 1세기 스트라보의 지리학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99] 오랜 시녀와 의자의 연관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스웨덴 쾰란드섬에 위치한 쾨핑스비크의 무덤을 파는 배에도 시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이 여성은 곰털에 싸인 채 묻혔는데, 무덤에는 청동색 지팡이와 그 위에 작은 집이 놓여져 있었고, 중앙아시아에서 만들어진 항아리, 서유럽에서 깨진 청동 가마솥이 있었다.무덤에는 희생된 [100]동물들과 인간들이 있었다.
오세버그호의 수장에도 시녀가 있었을지도 모른다.그 배에는 두 사람의 유해가 들어있었는데, 하나는 신분 높은 여자이고 다른 하나는 노예일 가능성이 있었다.무덤에는 다른 물건들과 함께 대마초 씨앗과 나무 [100]지팡이가 든 주머니가 들어 있었다.
스웨덴 외스테르예틀란드에 있는 하게비호가에서 시녀의 유적으로 확인된 또 다른 주목할 만한 무덤이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굴되었다.무덤에는 쇠막대나 지팡이, 마차, 말, 아랍 청동 항아리가 묻힌 여성 유해가 안치되었다.무덤에는 또한 커다란 목걸이를 한 여성의 작은 은 조각상이 들어있었는데, 고고학자들은 이 조각상이 세이드, 죽음, 그리고 [100]섹스와 강하게 연관된 신인 프레이야 여신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해 왔다.
활동.
스칸디나비아의 자료에서, 시녀들은 샤머니즘과 연관된 seidhhhallr (아래 참조)라고 불리는 의식 강단에서 seidr라고 불리는 관행을 사용하여 제자로 일한다.그들은 다른 활동에도 참여하지만 희생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다.그들은 정착지에서 정착지로 이동하는 의식 전문가로 묘사되며, 때때로 추종자들과 함께 이동하며,[101] 늦은 소식통들은 그들이 그들의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받았다고 말한다.
외박중
구호를 외치다
로마 시대에, 찬송의 게르만 말 후일 고대 노르드어 galdr("노래, 매력, 마법, sorcery"), OHG galtar("주문, charm")과 고대 영어 ʒealdor에 동일한 meaning,[102]또한galdor("소리, 노래, 주문, 맞춤법, enchantment")로 설득으로 진화했다는, 재건축된 게르만 조어. 형태 *ʒalđran, 비슷했다.[103]이것은 ON gala ('울다', '노래하다', 'OHG 갈란', '노래하다',[104] 'OE 알란')에서 유래했다.그것은 영국 나이팅게일이나 고함소리와 관련이 있으며, 라틴 갈루스("닭")와 관련이 있으며, ON gylfra("마녀")[103]에 등장한다.갈드라보크(마법의 서), 갈드라스미자(마법에 사용되는 물체), 갈드라벨(마법의 장치), 갈드라흐리드(마법의 폭풍), 갈드라스타피르(마법의 문자), 발랄드르(오딘의 [105]일종) 등 구호의 많은 용도는 갈드라에서 나타난다.현대 스웨덴어 galen(crazy, 말 그대로 "구호를 받았다"는 뜻)은 이 [106]관행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이 노래의 다른 이름은 vardlok(k)ur와 seidléti이며, 여기서 seidléti는 단순히 "seidr songs"를 의미한다.전자의 용어는 더 복잡하며, 클리어스비와 비그푸손, 톨리, 스트롬베크, 프라이스 등의 학자들이 vördr(보호자, 수호자)[107][108][109][110]로부터 유래했다.몇몇 학자들은 또한 그것을 스코팅 방언 [110]워록과 비교했고, 클리어스비, 비그푸손, 스트롬벡과 같은 학자들은 이것이 스코틀랜드 [111][108]단어의 기원이라고 생각한다.Katherine Morris는 그 단어를 "마법사 노래"[112]로 번역한다.
에리크스의 전설 라우다에서는, 이 노래들은 시녀들의 추종자들이 부르거나 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동시에 그것을 알고 부르는 여성은 단 한 명뿐입니다.프라이스는 이 이름이 (원고에 따라) 두 개의 철자로 나타나기 때문에, 로카(loka) 또는 로카(lure)를 지칭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그는 vardlokkur의 철자를 "정령을 유혹한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vardlokur는 "시녀의 힘 아래 영혼을 가둔다"는 의미로 해석한다.이와 같이 이 용어는 영혼을 끌어당겨 소환사의 힘 아래에 가두는 동시에 적대적인 실체에 대한 보호로도 해석될 수 있다.그로갈드르라는 시에서 우르드의 운명의 노른자 우르달로쿠르는 모든 면에서 한 사람을 보호한다고 말하고 있으며, 그들은 또한 그 [110]개인에게 묶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톨리는 이러한 보호 주문에 대한 urdarlok(k)ur 형식은 아마도 오래된 vördlokur("보여지는 주문")를 재해석한 것일 수도 있고, 같은 의미의 다른 가능한 형태인 vördlokur("wording")[113]일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그 구호는 높은 음조로 부른 것으로 보이며, 듣기에 즐거웠다고 한다.락스델라 전설에서, 구호의 달콤함(세이들레티)은 의도한 대로 소년을 죽음으로 유혹하고, 즐거운 소리는 소환사에게 영혼을 유혹하는 것으로도 이해되었을 것이다.Price는 이러한 고음과 즐거운 구호에 가장 가까운 것은 전통적인 스웨덴식 목축음(lockrop,[110] 현대 스웨덴어로 lokk-라는 언어적 요소를 여전히 포함하고 있음)임을 시사한다.
투영
위에서 언급한 바들록(k)ur는 마법사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보호령을 끌어모은 반면, 그녀를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다른 [114]일을 수행하기 위해 보내진 동물 정령들이 있었다.결과적으로, 마법사의 임무는 [115]영혼을 통제하는 것이었고, 이러한 영혼과 마법의 다른 몇 가지 측면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이름은 간디르이다; 간드르의 확장된 의미 사이의 관계는 복잡하고 [116][117]학자들 사이에서 논의의 문제이다.본래의 의미는 "마법사의 영혼과 연결되고 잠든 상태나 외향적인 상태에서도 마술사로부터 보내질 수 있는 것"[117]으로 보인다.
휘호 더 프리스에 따르면 gandr의 기원은 한마디 gan- 의미"마술", 이것은 태고의 균열 Ginnungagap[118]("공간 마법의 능력을로 가득 차")[119]의 이름과 공기 놀이에서 발견될 수 있는ablaut학년 gin-(영어에는 여전히ablaut 성적에서 빙빙 도는 수영 사이의 의미 관계와 앉아 앉)다.배급 나이비외르케토프와 스텐트는 종종 룬스톤으로, 노르세 긴나루나조어('힘있는 룬')[120]에서 "마법의 힘"이라는 의미로 나타난다.그것은 또한 긴네긴(Ginnregin, 즉 신들)과 긴헤일라그(Ginnheilagr) 화합물의 [119]강화제로 사용되었다.명사로서 그것은 "거짓말"과 "기만"[119]을 의미했고, 동사 ginna는 "누군가를 [121]속이거나 속이다"를 의미했다.
gan-ablaut 등급은 gala에서와 같은 접미사 -dra-와 결합되어 "chant"가 되었다. (위의 구호에 대한 섹션 참조)톨리는 본래의 의미는 "스태프"를 포함할 수 없으며, 오히려 "소령자 정신"을 의미했을 것이며, "완드", "늑대", "서펜트"(요르문간드르)라는 부가적인 의미로부터 파생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소령자의 영혼" (gandr)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소환되거나 보내질 수 있다; 이 영혼은 동물의 형태이지만,[118] 아마도 항상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늑대"와 "서펜트"의 의미가 확장된 것은 영혼들이 동물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 때문이고, 간드레이드라는 용어는 원래 늑대와 같은 동물 형태의 영혼에 마법사가 타는 것을 의미했다.초자연적인 생물들은 늑대를 말로서도 사용할 수 있었다; 나중에 그 용어는 [122]지팡이에 탄 마법사를 가리키는 것으로 바뀌었다.
고대 노르웨이 자료에서, 명사 gandreid와 동사 renna gand (또는 renna gǫdum)는 비실체적인 의미에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나가는 것을 의미할 수 있지만, 그것은 또한 육체적인 [123]의미에서 지팡이에 마술처럼 날아다니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프라이스는 "스태프"가 간드르의 원래 의미의 일부가 아니라는 톨리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으며, 간드르/완드 (간드르 또는 간들)는 투명성이나 예언을 목적으로 간디르 (정령들)를 소환하고 풀어주는 의식의 일부이며, 때로는 사람들을 해치는 의식의 일부였다는 것을 암시한다.지팡이의 사용은 사용 중 성적 마법과 성적 행위를 암시했을 수 있으며,[124] 지팡이도 적을 다치게 하기 위해 탔을 가능성이 있다.
"나인 허브의 매력", "난쟁이에 대항하는" 그리고 "위드 페르스티스"와 같은 공격적인 투사의 예는 고대 영시에도 보존되어 있다.특히 마지막 시는 마법사(헤게테산), 엘프(일파), 에시르 신(에사), 대장장이의 마술, 발키리와 [125]같은 여성의 존재 등 고대 노르드어 자료에서도 볼 수 있는 많은 게르만 이교적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1세기의 8번째 10년 동안, 셈노교인 시녀 간나는 브룩테리아인 시녀 벨레다가 로마에 의해 잡혀 추방되었을 때 게르만 부족 동맹의 리더로서 뒤를 이었다.그녀의 이름 "간나"는 보통 그녀의 도구나 휘장으로 지팡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녀의 이름은 벨레다의 [29]이름처럼 게르만 부족들 사이에서 그녀의 기능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는 간드르 – 시메크의 논평과 관련이 있다.Sundqvist는 또한 그녀의 이름을 grade gin(n)-(위 [48]참조)에 직접 연결하는 de Vries처럼 그 이름이 그녀의 [47]능력을 대신 언급했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예언
시녀가 취득한 정보를 청중에게 전달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그 중 하나는 무아지경 중에 발작을 일으켜 크게 벌린 입으로 숨을 헐떡이는 것이다(Hrolfs saga kraka and Hawks áttr harbrokar).그녀는 무아지경 동안 예언을 전하는데, 그녀의 입속에서는 다른 곳에서 노래가 나온다고 말할 수 있다(히르바르-오즈 사가, 흐롤프스의 사가 [126]크라카).흐롤프스의 사가 크라카에서 그녀가 숨을 쉬는 것은 무아지경의 시작이며, 톨리는 이것이 그녀의 [127]영혼을 내보내는 것보다 영혼의 숨을 쉬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가격 코멘트는 텍스트 비평에 관한 한, 가장 가까운 실무자는 [128]유라시아 반대편에 있는 유카기르족이기 때문에 이 세부 사항은 이웃 페노우그릭족으로부터 차용될 수 없다고 말한다.
또 다른 상황은 시녀가 그녀의 무아지경에서 돌아와 깨어있는 동안 그것에 대해 이야기 할 때 발생한다(에릭스의 전설 라우다와 바텐스델라의 [126]전설).
특성
지팡이
플랫폼
스칸디나비아의 [129]자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1세기 브룩테리안 시리스 벨레다의 탑과 세이드할러와 같은 요소들 사이에는 연속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seidhhhhallr라는 단어는 [103]마법을 부리기 위한 "주술용 발판"을 의미합니다.
환각제
북유럽 이교도 종교의 맥락에서 취객의 사용에 의해 유발되거나 보완되는 황홀한 경험의 개념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그러한 관행을 재구성하려는 몇 가지 시도가 있었다.바이킹 시대의 실로시빈 버섯이나 다른 엔테오겐과 같은 환각제 섭취를 확인할 수 있는 증거는 두 가지 고고학적 [130]발견을 제외하고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수백 개의 헨베인의 씨앗이 Fyrkat의 무덤 4에서 발견되었다.무덤에서 그들의 존재는 의미심장하고, 그 약초의 정신착란적인 특성은 그것과 함께 수행되었을지도 모르는 의식의 양상을 암시한다.중세에는 마녀의 연고 성분으로 헨베인이 사용되었다고 기술하는 많은 기록들이 있는데, 이는 마법사가 신체 형태를 바꾸기를 원할 때 사용되었습니다.헨베인은 정신작용성 약물인 스코폴라민을 함유하고 있으며, 차로 섭취하거나, 주스를 국소용 연액으로 만들어 피부, 특히 겨드랑이와 가슴 주위에 문지르면 환각을 경험할 수 있다.비행감이 강하게 느껴져 몇 [130]시간 동안 선명하게 남아 있다.헨베인의 독일어 이름인 빌센크라우트는 인도-유럽어 bhelena에서 유래했다; 몇몇 자료에 따르면, 그것은 원래 "광기의 식물"을 의미했다.초기 게르만 빌은 "시력, 환각" 또는 "마법의 힘"[131]을 의미했던 것으로 보인다.
오세버그호의 수장에서는 무덤을 털었을 때 뱃머리에 던져진 베개 더미 가운데 마음을 돌리게 하는 식물인 대마초 씨앗 4개 발견됐다.부패한 가죽 덩어리에 대마초 씨앗이 한 개씩 박혀 있었고, 얇은 모직 끈으로 묶인 것으로 보이는 끈이 달린 작은 가죽 주머니의 잔해였다. 모든 씨앗이 원래 이 가방에 들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이 주머니는 씨앗을 심기에 충분한 씨앗을 담기에는 너무 작았고, 이것은 그것들이 상징적인 의미를 [130]가졌을 수도 있고, 더 높은 지위의 여성의 종교적 [132]기능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고양이
전 세계의 고양이들은 종종 마법의 수행과 연관되어 있으며, 마법을 부린 최초의 신이었던 프레이야 여신은 [133]고양이와 연관되어 있었다.고양이와 캣스킨은 시녀들에게 중요한 상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에리크스의 전설 라우다에서, 토르브요르그 리틸볼바의 이야기는 그녀의 의복에 하얀 캣츠킨으로 된 검은 양가죽 두건이 있었고 그녀의 손에는 캣츠킨 장갑을 [134][135][136]꼈다고 말한다.Ellis Davidson은 캣스킨이 시레스가 동물 정령을 돕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하며,[137] Price는 이러한 고양이 정령을 Freyja의 [138]마차를 끄는 고양이와 연결시킨다.
바이킹 시대의 가장 호화로운 여성 무덤은 두 명의 여성이 묻힌 기원전 9세기 전반의 매우 부유한 오세버그 선박 매장이다.이전에는 여왕의 무덤으로 여겨졌지만, Stine Ingstad, Neil Price, Leszek Gardewa와 같은 몇몇 학자들은 그 발견이 대신 시녀의 무덤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한다.지팡이와 대마초 외에도, 그것은 고양이 [139][98]가죽이 달린 상자, 그리고 [140]프레이야에게 신성한 동물인 9마리의 고양이로 장식된 마차를 포함하고 있었는데, 길파긴닝과 스카르스카파르말에 [141]따르면, 이것은 마차가 고양이에 의해 끌리는 여신에 대한 언급이었다고 한다.대부분 부유한 여성들의 무덤으로 확인된 메델패드, 말라렌 계곡, 고틀랜드의 약 50개의 무덤에는 스라소니 가죽이 들어있다. 이 강력한 여성들은 프레이야 [142]여신과 특별한 연관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기독교
룬스톤이나 스칼딕 시와 같은 최초의 스칸디나비아 문자 자료에는 거의 등장하지 않으며, 사회에서 한계적 위치를 시사하는 지명에는 등장하지 않습니다. 오래된 연구는 그것들을 부정적인 [143]시각으로 표현했습니다.시멕은 게르만족 시녀에 대한 우리의 모든 자료가 로마와 기독교 해석의 필터를 통과했다고 말한다.로마인들은 그들을 그들의 징조와 비슷하다고 해석한 반면 기독교 작가들은 그들을 "더욱 혹은 덜 마녀"[129]라고 여겼다.기독교 시대의 자료에서, 그들의 의식은 의심스럽고 때로는 악하다고 묘사된다.이러한 태도는 일부 에드딕의 거짓말에서도 볼 수 있고, 잉글링가의 전설에서 스노리 스털루손은 그들의 관습이 너무 사악해서 "남자가 그것을 행하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겼고, 그래서 그것은 여사제에게 가르쳐졌다"[144]고 쓰고 있다.기독교의 서기관들이 그들과 그들의 의식을 최소화하고 비방하며 [143]기이한 것으로 만들고 싶어했을 가능성이 있다.프레이야 신과 바니르 신과의 연관성은 중세 기독교 스칸디나비아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었지만 바이킹 시대의 관점은 여성의 성에 대한 기독교적 태도에 영향을 받은 부정적인 관점으로 대체되었다.이것은 나중에 마법의 히스테리를 일으킨 것과 같은 두려움과 관련이 있었고, 엘리스 데이비슨이 "기독교 시대의 이야기꾼들에게 [프레이야의] 컬트를 돌았던 불길한 빛"[145][138]이라고 말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현대의 고고학적 발견물들은 북게르만 시녀들이 오래된 학식과 기독교 자료에서 묘사된 것처럼 사회의 밑바닥에서 한계적 위치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해주지 않지만,[143] 대신 그들은 그 반대임을 시사한다.최근 란드나마보크, 이슬렌딩가소구르, 이슬렌딩가소티르의 상세한 분석에 의해 시어리스는 새로운 시각으로 비춰졌습니다.이들은 마술사들이 존경받고 사회에 잘 통합되었다고 지적합니다.그들은 종종 사회의 최고층 인사들과 연결되어 있었고, 그들은 자유로웠고 땅을 소유했다.노르웨이에서는 보통 노르웨이 가족에 속하며 아이슬란드에서는 동굴이나 섬에 살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정착지에 살고 있다.또한 그들은 변태적이거나 성적인 [143]일탈자로 묘사되지 않는다.게다가, 오세버그 매장지와 같은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고고학 연구는 그들이 최고 엘리트 계층에 속했고 귀족 [146]사회의 일부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세 후기
시녀들의 전통은 적어도 중세 시대에는 사라지지 않았다.미첼은 그의 책 "북유럽 중세의 마법과 마법" (2011년)에서 가장 승리주의적인 기독교인이나 심지어 가장 회의적인 학자조차도 이 여성들의 관습의 지속적 생존을 부정할 수 없다고 쓰고 있다.하지만, 수세기 동안, 그들의 관습이 외부의 영향을 통해 변화하고 발전했다는 [147]것 또한 분명하다.중세 시대에는 태도가 바뀌어 마법이 마법으로 여겨졌고, 15세기 무렵에는 사회는 조산사와 현명한 여성과 같은 술꾼과 치료사를 더 이상 구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마녀는 원래 사악했고 안식일에 날아다니며 악마와 교제할 수 있었고 그녀는 아기를 [148]먹었다.
마녀사냥
Malleus Maleficarum은 "마녀"의 개념을 더 많은 여성들에게 확장했고, 분리된 개념 – 민속과 마법 – 이단 개념과 결합했습니다.모리스는 이 책이 없었다면 마녀사냥은 없었을 것이며, 인쇄술이 사악한 마법의 개념을 교회 엘리트로부터 인구의 대부분으로 확산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주장한다.르네상스 시대 하이마술이 부활한 시기이기도 하지만 교회는 둘을 분리하지 않고 로우마술과 하이마술을 이단으로 박해했다.마법으로 기소된 사람들 중 약 80%가 여성이었고, 고발에는 악마 숭배, 악마와의 성관계, 구강 및 항문 성관계, 근친상간 및 유아 식인행위가 포함되어 있었다.모리스는 그 혐의들이 기소된 여성들보다 조사관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드러낸다고 말한다.그 비난은 여성의 성에 대한 교회적 태도로 특징지어졌으며, 그들이 비난받은 관습이 출산을 방해했다는 것이 눈에 띈다.모리스는 마녀사냥을 하는 동안 게르만 이교도의 시녀에서 마녀로 진화한 것은 마술에 대한 태도가 [148]종교의 변화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 연구라고 주장한다.
현대의 영향
게르만족 시녀의 개념은 대중문화의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끼쳤다.예를 들어, 1965년 아이슬란드 학자 시구르두르 노르달은 탈라(숫자)와 뵐바([149]Völva)라는 단어를 혼합하여 컴퓨터를 뜻하는 아이슬란드어 용어를 만들었다.
시녀 벨레다는 독일 작가 프리드리히 드 라 모트 푸케의 1818년 소설 웰레다 und 간나, 프랑스 조각가 히폴리테 마인드론의 1844년 대리석 조각상, 삽화, 벨레다, 예언자 디에트 데르 브루크테러의 작품 등 많은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시그리스트, 폴란드계 미국인 작곡가 에두아르트 소볼레프스키의 1836년 오페라 벨레다.[150]
게르만 이교도의 현대적 부활인 게르만 이교의 실천자들은 게르만족 [151]시녀의 개념을 되살리려고 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 귄둘이라는 이름은 고대 노르드어 말뭉치에서 발키리에 적용되어 나중에 노르웨이 마법 재판에서 증거로 사용된 14세기 마법에 등장하는 '전투자'라는 뜻이다.
- 북게르만족의 우주론인 노르드 우주론
- 북게르만족에 속하는 주술사를 일컫는 용어인 비트키
메모들
- ^ a b MacLeod & Mees 2006, 5페이지
- ^ De Vries 1970, 322f페이지
- ^ a b 다우든 2000, 페이지 253
- ^ Orel 2003, 페이지 155
- ^ Orel 2003, 페이지 155f
- ^ Orel 2003, 페이지 155, 310.
- ^ 코흐 2020, 137페이지
- ^ 다미코 1984, 페이지 212
- ^ a b Orel 2003, 페이지 149f
- ^ 미첼 2011, 페이지 250
- ^ a b Kluge 2011, 페이지 414f
- ^ a b Strömbeck 2000, 페이지 234
- ^ Orel 2003, 페이지 150
- ^ Strömbeck 2000, 페이지 234f.
- ^ a b 가격 2019, 페이지 72ff.
- ^ 가격 2019, 페이지 75f.
- ^ a b 가격 2019, 페이지 76
- ^ a b 가격 2019, 페이지 76f.
- ^ 클리어스비 & 비그푸손 1874, 페이지 539f
- ^ 클리어스비 & 비그푸손 1874, 페이지 159
- ^ 클리어스비 & 비그푸손 1874, 페이지 222
- ^ 클리어스비 & 비그푸손 1874, 페이지 146
- ^ 클리어스비 & 비그푸손 1874, 페이지 164
- ^ 가격 2019, 페이지 260
- ^ 톨리 2009, 페이지 588
- ^ 가격 2019.
- ^ a b c 모리스 1991, 30페이지
- ^ a b Simek 2020, 페이지 280
- ^ a b c d e f g h Simek 2020, 페이지 279
- ^ a b c Simek 1996, 페이지 99
- ^ 링컨 1986, 페이지 45-50
- ^ 1996년 210쪽
- ^ Sundqvist 2002, 페이지 82
- ^ Nésström 2002, 페이지 106
- ^ 모리스 1991, 페이지 173
- ^ a b 가격 2019, 페이지 72
- ^ 과수원(1997년: 174년).
- ^ Simek 2007 [ 1993 ] : 326)
- ^ Birley(1999년: 41년).
- ^ Jones(1924: 169-172).
- ^ 캐리(1917:378-381)
- ^ 웰즐리(1964년[1972년] : 247년).
- ^ De Vries 2000, 페이지 678
- ^ 링컨 1986, 페이지 45-50
- ^ Simek 1996, 페이지 280
- ^ a b 1996년, 페이지 186f
- ^ a b c d Sundqvist 2020, 페이지 747
- ^ a b De Vries 1970, 페이지 321
- ^ Simek 1996, 페이지 370f
- ^ Reinach & Julian 1920, 105f.
- ^ a b c 1996년, 187쪽
- ^ 모리스 1991, 페이지 31f
- ^ a b 모리스 1991, 32페이지
- ^ Orel 2003, 페이지 445
- ^ a b 슈바트 1917, 페이지 9f
- ^ Simek 2020, 페이지 279f.
- ^ a b Janson 2018, 페이지 16
- ^ Samplonius 2013, 87페이지
- ^ Samplonius 2013, 87f.
- ^ a b c d e Samplonius 2013, 페이지 88
- ^ 2006년도, 페이지 149
- ^ 자넛 1998년
- ^ Hauck 1955, 페이지 186-223
- ^ 1955년, 187쪽
- ^ McKinnell 2005, 13페이지
- ^ 헤르만 2020, 페이지 61
- ^ Grundy 1996, 페이지 65
- ^ 마조 2016, 페이지 243
- ^ 린도우 2001, 페이지 129, 176
- ^ a b 린도우 2001, 페이지 129
- ^ Grundy 1996, 페이지 65f
- ^ a b c 코발레프 2012, 페이지 506
- ^ 파울크 1974, 페이지 16
- ^ 울프램 2006, 59페이지
- ^ 2006년도, 페이지 142
- ^ Hultgörd 2005.
- ^ 1996년, 페이지 65f
- ^ 울프램 2006, 페이지 60
- ^ 바그너 1999, 페이지 138
- ^ 모리스 1991, 페이지 148f
- ^ "Þórdís spákona (Þjóðsagnasafn Jóns Árnasonar)". Háskóli Íslands (in Icelandic). July 1998. Retrieved 2021-05-08.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Samplonius 2001, 페이지 185
- ^ 쿤즈 2000, 653~674페이지.
- ^ 코발레프 2012, 페이지 503f
- ^ 코발레프 2012, 페이지 504f
- ^ 코발레프 2012, 페이지 508f
- ^ 코발레프 2012, 페이지 510f
- ^ Harrison & Svenson (2007년: 69년).
- ^ 코발레프 2012, 페이지 510f, 513.
- ^ 코발레프 2012, 페이지 461f
- ^ 코발레프 2012, 페이지 478ff
- ^ 코발레프 2012, 페이지 483
- ^ 코발레프 2012, 페이지 489-491ff.
- ^ 코발레프 2012, 페이지 467
- ^ 코발레프 2012, 페이지 469
- ^ 가격 2019, 페이지 280
- ^ Nésström 2009, 페이지 181
- ^ a b 가격 2019, 페이지 115ff.
- ^ a b c 덴마크 국립박물관 웹사이트.날짜가 없다."Fyrkat에서 온 시녀?"온라인.최종 접속은 2019년 8월 21일.
- ^ a b c d 덴마크 국립박물관 웹사이트.날짜가 없다."바이킹 시녀의 마법 지팡이?"온라인.최종 접속은 2019년 8월 21일.
- ^ Sundqvist 2020, 774페이지
- ^ Orel 2003, 페이지 124
- ^ a b c 미첼 2020, 페이지 655
- ^ Orel 2003, 페이지 123f
- ^ 미첼 2020, 페이지 655f
- ^ 미첼 2020, 페이지 657
- ^ Strömbeck 2000, 페이지 124f.
- ^ a b 클리어스비 & 비그푸손 1874, 679f페이지
- ^ 톨리 1995, 페이지 61
- ^ a b c d 가격 2019, 페이지 170
- ^ Strömbeck 2000, 페이지 125
- ^ 모리스 1991, 페이지 43
- ^ 톨리 1995, 페이지 61, 주 10
- ^ 톨리 1995, 페이지 72
- ^ McKinnell 2005, 97페이지
- ^ 가격 2019, 페이지 133
- ^ a b Strömbeck 2000, 페이지 221.
- ^ a b 톨리 1995, 67페이지
- ^ a b c 린도우 2001, 페이지 141
- ^ Jansson 1987, 페이지 24
- ^ 클리어스비 & 비그푸손 1874, 페이지 200
- ^ 톨리 1995, 67f페이지
- ^ 미첼 2011, 페이지 132
- ^ 가격 2019, 페이지 136
- ^ 가격 2019, 페이지 293f.
- ^ a b McKinnell 2005, 페이지 97f.
- ^ 톨리 1995, 58페이지
- ^ 가격 2019, 페이지 172
- ^ a b Simek 1996, 페이지 279
- ^ a b c 가격 2019, 페이지 168-169.
- ^ Metzner, Ralph (2001). The Well of Remembrance: Rediscovering the Earth Wisdom Myths of Northern Europe. Shambhala Publications. p. 249. ISBN 978-0-8348-2931-2.
- ^ Clarke & Merlin 2016, 페이지 259–260.
- ^ Schjödt 2020, 790페이지, 8.
- ^ Schjödt 2020, 페이지 788
- ^ Sundqvist 2020, 페이지 774f, 778f.
- ^ 가격 2019, 페이지 41, 127
- ^ 엘리스 데이비슨 1964, 120페이지
- ^ a b 가격 2019, 페이지 69
- ^ Sundqvist 2020, 778페이지
- ^ 가격 2019, 페이지 115
- ^ 아스디사르도티르 2020, 페이지 1278f, 1283, 1287, 1294.
- ^ 아스디사르도티르 2020, 페이지 1294f.
- ^ a b c d Sundqvist 2020 페이지 777
- ^ Sundqvist 2020, 페이지 775f
- ^ 엘리스 데이비슨 1964, 123페이지
- ^ Sundqvist 2020, 페이지 778f.
- ^ 미첼 2011, 페이지 10f
- ^ a b 모리스 1991, 페이지 174ff
- ^ 장(2015).
- ^ Simek (2007년 [1993년] : 357).
- ^ 게르만 이교에서 현대의 시레스의 예에 대한 논의는 Blain 2002의 예를 참조하십시오.
원천
- Ásdísardóttir, Ingunn (2020). "Freyja". In Schjødt, J.P.; Lindow, J.; Andrén, A. (eds.). The Pre-Christian Religions of the North, History and Structures. Vol. III. Brepols. pp. 1273–1302. ISBN 978-2-503-57491-2.
- 벌리, A. R. 1999년타키투스, 아그리콜라 독일옥스포드 월드 클래식.
- 캐리, 어니스트 1917년옮김. 디오의 로마사, 제6권. 하버드 대학 출판부.Archive.org 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 캐리, 어니스트 1927년옮김. 디오의 로마사, 제8권. 하버드 대학 출판부.
- Clarke, Robert; Merlin, Mark (2016). Cannabis: Evolution and Ethnobotany. Univ of California Press. pp. 259–260. ISBN 978-0-520-29248-2.
- Cleasby, R.; Vigfússon, G. (1874). An Icelandic-English dictionary. Oxford Clarendon Press.
- Damico, Helen (1984). Beowulf's Wealhtheow and the Valkyrie Traditi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ISBN 0-299-09500-2.
- Dowden, Ken (2000). European Paganism. The realities of cult from antiquity to the Middle Ages.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ISBN 0-415-12034-9.
- Ellis Davidson, H.R. (1964). Gods and Myths of Northern Europe. Penguin Books.
- Enright, M.J. (1996). Lady with a Mead Cup. Four Courts Press. ISBN 1-85182-188-0.
- Grundy, Stephan (1996). "Freyja and Frigg". In Billington, Sandra; Green, Miranda (eds.). The Concept of the Goddess.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pp. 56–67. ISBN 0-203-76462-5.
- 해리슨, 딕, 스벤슨 크리스티나.(2007).바이킹알리브.Natur Och Kultur.
- Hauck, K. (1955). "Lebensnormen und Kultmythen in germ. Stammes-und Herrschergenealogien". Saeculum. 6 (JG): 186–223. doi:10.7788/saeculum.1955.6.jg.186. S2CID 170200000.
- Hermann, Pernille (2020). "Memory, Oral Tradition, and Sources". In Schjødt, J.P; Lindow, J.; Andrén, A. (eds.). The Pre-Christian Religions of the North, History and Structures. Vol. I. Brepols. pp. 41–62. ISBN 978-2-503-57491-2.
- Hultgård, Anders (2005). "Seherinnen". In Beck, Heinrich; Geuenich, Dieter; Steuer, Heiko (eds.).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Vol. 28 (2010 ed.). De Gruyter. doi:10.1515/gao. ISBN 978-3-11-045562-5.
- Janson, Henrik (2018). "Pictured by the Other: Classical and Early Medieval Perspectives on Religions in the North". In Clunies Ross, Margaret (ed.). The Pre-Christian Religions of the North, Research and Reception, From the Middle Ages to c. 1830. Vol. I. Brepols. pp. 7–40. ISBN 978-2-503-56881-2.
- Jansson, Sven B.F. (1987). Runes in Sweden. Translated by Foote, Peter. Förlag Kungliga Vitterhetsakademien. ISBN 9789178440672.
- Jarnut, Jörg (1998). "Gambara". In Beck, Heinrich; Geuenich, Dieter; Steuer, Heiko (eds.).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Vol. 10 (2010 ed.). De Gruyter. doi:10.1515/gao. ISBN 978-3-11-045562-5.
- 존스, 호레이스 레너드 1924년트랜스, 스트라보의 지리, 제3권하버드 대학 출판부Archive.org 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 Kluge, Friedrich (2011). Seebold, Elmar (ed.).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r deutschen Sprache (25 ed.). De Gruyter. ISBN 978-3-11-022364-4.
- Koch, John T. (2020). Celto-Germanic, Later Prehistory and Post-Proto-Indo-European vocabulary in the North and West (PDF). Aberystwyth Canolfan Uwchefrydiau Cymreig a Cheltaidd Prifysgol Cymru, University of Wales Centre for Advanced Welsh and Celtic Studies. ISBN 9781907029325.
- Kovalev, Roman K. (2012). "Grand Princess Olga of Rus' Shows the Bird: Her 'Christian Falcon' Emblem". Russian History. 39 (4): 460–517. doi:10.1163/48763316-03904002.
- Kunz, Keneva (2000). "Eirik the Red's Saga". In Thorsson, Orndélfur; Scudder, Bernard (eds.). The Sagas of Icelanders. Viking. pp. 653–674. ISBN 978-0-14-100003-9.
- Lindow, John (2001). Handbook of Norse Mythology. Handbooks of World Mythology. ABC-CLIO, Inc., Santa Barbara, California; Denver, Colorado; Oxford, England. ISBN 1-57607-217-7.
- Lincoln, Bruce (1986). Myth, Cosmos, and Society; Indo-European Themes of Creation and Destru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and London. ISBN 0-674-59775-3.
- MacLeod, Mindy; Mees, Bernard (2006). Runic Amulets and Magic Objects. The Boydell Press, Woodbridge. ISBN 1-84383-205-4.
- Mazo, Jeffrey A. (2016). "Grímnismál". In Pulsiano, Philip; Wolf, Kirsten (eds.). Medieval Scandinavia: An Encyclopedia. Routledge. p. 243. ISBN 978-1-315-16132-7.
- McKinnell, John (2005). Meeting the Other in Norse Myth and Legend. D.S. Brewer, Cambridge. ISBN 1843840421.
- Mitchell, Stephen A. (2011). Witchcraft and Magic in the Nordic Middle Ag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hiladelphia & Oxford. ISBN 978-0-8122-4290-4.
- Mitchell, Stephen A. (2020). "Magic and Religion". In Schjødt, J.P; Lindow, J.; Andrén, A. (eds.). The Pre-Christian Religions of the North, History and Structures. Vol. II. Brepols. pp. 643–670. ISBN 978-2-503-57491-2.
- Morris, Katherine (1991). Sorceress Or Witch?: The Image of Gender in Medieval Iceland and Northern Europ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SBN 9780819182579.
- Näsström, B.M. (1994). Freyja ― the Great Goddess of the North. Lund Studies in History of Religion. Vol. 5. Department of History of Religions, Lund.
- Näsström, B.M. (2002). Blot, tro och offer i det förkristna Norden. Norstedts. ISBN 91-7297-033-2.
- Näsström, B.M. (2009). Nordiska gudinnor : nytolkningar av den förkristna mytologin. Albert Bonniers Förlag. ISBN 9789100122379.
- Orchard, Andy (1997). Dictionary of Norse Myth and Legend. Cassel, London. ISBN 0-304-34520-2.
- Orel, Vladimir E. (2003). A Handbook of Germanic Etymology. Brill. ISBN 978-90-04-12875-0.
- Peters, Edward, ed. (1974). Paul the Deacon, History of the Lombards. Translated by Foulke, William Dudle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hiladelphia, Pennsylvania. ISBN 0-8122-1079-4.
- Pohl, Walter (2006). "Gender and ethnicity in the early middle ages". In Noble, Thomas F. X. (ed.). From Roman Provinces to Medieval Kingdoms. Psychology Press. pp. 139―156. ISBN 978-0-415-32742-8.
- Pohl, Walter (2018). "Narratives of Origin and Migration in Early Medieval Europe: Problems of Interpretation". The Medieval History Journal. 21 (2): 192–221. doi:10.1177/0971945818775460. S2CID 158374863.
- Price, Neil (2019). The Viking Way, Magic and Mind in Late Iron Age Scandinavia (2 ed.). Oxbow Books, Oxford and Philadelphia. ISBN 9781842172605.
- Reinach, Théodore; Jullian, C. (1920). "Une sorcière germaine aux bords du Nil". Revue des Études Anciennes. 22 (2): 104–106.
- Samplonius, Kees (2001). "Sibylla borealis: Notes on the Structure of Vǫluspá". In Olsen, Karin E.; Harbus, Antonina; Hofstra, Tette (eds.). Germanic Texts and Latin Models: Medieval Reconstructions. Peeters Publishers. ISBN 978-90-429-0985-4.
- Samplonius, Kees (2013) [1995]. "From Veleda to the Völva". In Mulder-Bakker, Anneke (ed.). Sanctity and Motherhood: Essays on Holy Mothers in the Middle Ages. Routledge. ISBN 978-1-134-81949-2.
- Schjødt, Jens Peter (2020). "Crisis Rituals". In Schjødt, J.P; Lindow, J.; Andrén, A. (eds.). The Pre-Christian Religions of the North, History and Structures. Vol. II. Brepols. pp. 781–796. ISBN 978-2-503-57491-2.
- Schubart, W. (1917). "Ägyptische Abteilung (Papyrussammlung)". Amtliche Berichte aus den Königlichen Kunstsammlungen. Staatliche Museen zu Berlin -- Preußischer Kulturbesitz. 38 (12): 7–12. JSTOR 4235200.
- Simek, Rudolf (1996).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Translated by Angela Hall. Boydell & Brewer Ltd. ISBN 9780859915137.
- Simek, Rudolf (2020). "Encounters: Roman". In Schjødt, J.P; Lindow, J.; Andrén, A. (eds.). The Pre-Christian Religions of the North, History and Structures. Vol. I. Brepols. pp. 269–288. ISBN 978-2-503-57491-2.
- Strömbäck, Dag (2000). Gidlund, G. (ed.). Sejd och andra studier i nordisk själsuppfattning. Gidlunds förlag. ISBN 9178443180.
- Sundqvist, Olof (2002). Freyr's offspring, Rulers and religion in ancient Svea society. Uppsala universitet. ISBN 91-554-5263-9.
- Sundqvist, Olof (2020). "Cultic Leaders and Religious Specialists". In Schjødt, J.P.; Lindow, J.; Andrén, A. (eds.). The Pre-Christian Religions of the North, History and Structures. Vol. II. Brepols. pp. 739–780. ISBN 978-2-503-57491-2.
- Tolley, Clive (1995). "Vǫrðr and Gandr: Helping Spirits in Norse Magic". Arkiv för nordisk filologi. 110: 57–75.
- Tolley, Clive (2009). Shamanism in Norse myth and magic. FF communications, no. 296; 297. Vol. 1.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Helsinki. ISBN 978-9514110283.
- de Vries, Jan (1970). Altgermanische Religionsgeschichte. Vol. I. Berlin: de Gruyter. doi:10.1515/9783110865486. ISBN 978-3-11-002678-8.
- de Vries, Jan (1962). Altnordisches Etymologisches Worterbuch (2000 ed.). Brill. ISBN 90 04 05436 7.
- Wagner, Norbert (1999). Beck, Heinrich (ed.). Germanenprobleme in heutiger Sicht.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 Ergänzungsbände. Vol. 1. De Gruyter. ISBN 9783110108064.
- 웰즐리, 케네스 1972년 [1964년]트랜스, 타키투스, 역사서펭귄 클래식.
- Wolfram, Herwig (2006). "Gothic history as historical ethnography". In Noble, Thomas F. X. (ed.). From Roman Provinces to Medieval Kingdoms. Psychology Press. p. 57―74. ISBN 978-0-415-32742-8.
- 장, 사라. 2019년."아이슬란드에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최고의 단어가 있다"기즈모도, 2015년 7월 5일.온라인.최종 접속은 2019년 8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