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브루나
Albruna알브루나, 오리니아 또는 알브리니아는 기원전 1세기 말이나 서기 1세기 초에 살았던 게르만족 시녀로 추정되는 이름의 일부 형태이다.그녀는 게르마니아의 타키투스에 의해 시녀 벨레다의 이름을 따서 언급되었고, 그는 여신으로 조작된 로마 여성들과는 대조적으로 게르만 민족에 의해 진정한 신성한 영감 때문에 두 사람이 존경받았다고 암시했다.또한 그녀가 로마 장군 드루수스에게 자신의 언어로 말을 걸어 엘베 강으로 돌아오게 한 무서운 거인 여성이라는 설도 있지만, 이것은 로마의 집정관이 왜 돌아갔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발명품일 수도 있다.게다가, 그녀에 대한 증거가 너무 적어서 모든 학자들이 그녀가 시녀였다는 것 또는 그녀에 대한 논의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지는 않는다.그녀는 또한 작은 여신, 수양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녀의 이름은 19세기부터 그녀의 이름이 등장하는 필사본의 다양한 형태에 근거해 논의되어 왔으며, 알브루나가 가장 받아들여지던 여러 이론들이 제시되었다.수정 알브루나는 '엘프 영혼에 대한 비밀지식을 가지고 있다', '엘프들의 신적인 마법의 힘을 가진 자'와 같은 정의로 설명되어 왔다.그러나 2002년 스웨덴의 한 학자가 알브루나를 "유령 이름"(spöknamn)이라고 부르면서 심각하게 의문을 제기했고, 그 이후로 더 많은 학자들이 그 형태가 맞는지 의심하기 시작했고, 오리니아와 알브리니아라는 형식을 더 선호할 수도 있다.다른 제안들은 이것이 '물', '모래', '광택'을 뜻하는 게르만어 *auraz에서 유래했거나, 금을 뜻하는 라틴어 aurum을 포함한 잡종어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게다가 수정 알브루나는 그 가능한 의미에 주목할 만하고, 또 다른 초기 게르만족 여사제의 이름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다.
증명
그녀의 이름은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에 나온다.작품에서 게르만 민족에 대한 광범위한 대우에도 불구하고, 오직 4명만이 이름을 언급하고 있으며, 그녀는 시녀 벨레다와 마로보두우스, 투드루스 [1]왕 옆에 있는 그들 중 한 명이다.그 배경은 그가 게르만 [2]부족들 사이에서 여성들이 가지고 있던 신성함의 위치를 언급하는 그의 작품의 한 부분이다.
sed et albrunam et confuris alias venerati sunt, non adamule nec tamquam facialent deas.[3][4]
그러나 고대에는 알브루나와 다른 많은 여성들도 아첨의 정신이나 여신의 창조를 위해 숭배하지 않았다.(허튼과 피터슨의 번역).[5]
그리고 예전에도 그들은 알브루나와 다른 많은 여자들을 숭배했지만, 비굴한 아첨을 통해서도, 여신으로 만들 필요도 없었다(벌리 번역).[6]
"여신으로 여신 만들기"에 대한 언급은 그들의 시녀에 대한 게르만인들의 숭배와 드루실라, 포페아 [7]같은 황실 가문의 여성 구성원을 신격화하는 로마의 관습과 대조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타키투스에 따르면, 독일인들은 그것을 보고 신성한 영감을 확인했고, 반면 로마인들은 그것을 [9]지어냈기 때문에, 이것은 로마의 [8]관습에 대한 비꼬는 말이다.
시멕은 그녀가 벨레다와 같은 시녀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2] 그녀가 수녀가 되었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오카드는 그녀가 시녀였을 가능성이 높지만, 그녀가 "지금은 이름뿐"이고 500개 이상의 비문으로 증명된 [10]알브루나와 같은 수녀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동의한다.
드루수스
그녀가 살았을 시기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어떤 학자들은 그녀를 게르마니쿠스의 원정 시기 (서기 11-16)로 보고 있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그녀를 드루수스와 티베리우스 [11]시대로 보고 있다.
많은 (1967년)과 키나스트는 그녀를 드루수스에게 자신의 언어로 연설하고 그녀의 예언으로 그를 너무 놀라게 한 키가 크지만 이름을 알 수 없는 게르만 계집애와 동일시하고 있으며, 그는 기원전 9년에 그의 군대와 함께 엘베 강을 건널 엄두를 내지 못하고 그가 [12]죽은 후 돌아왔다.그 설명은 카시우스 디오와 [12][13]수에토니우스 둘 다에 의해 언급되었다.
드루수스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의붓아들이자 집정관이었고, 그는 수베족의 영토에서 군사 작전을 지휘하고 있었다.그는 초인적인 크기의 야만인 여성(바바라 멀리에)에 의해 저지당했는데, 그는 그에게 그의 군대를 더 이상 계속하지 말라고 경고했다.그러나 그는 경고를 듣지 않고 엘베 강에 도착할 때까지 행군을 계속했다.그는 그 건너는 것을 포기하고 자신을 위해 기념비를 세웠다.엘베 강에서 돌아오는 길에 [14]그는 부상을 입고 로마로 돌아오기도 전에 여름 캠프에서 죽었다.
Cassius Dio(북 LV):
그곳에서 그는 체루시라는 나라로 가서 비수르기를 건너 알비스까지 진격하여 가는 길에 있는 모든 것을 약탈했다.알비스는 반달릭 산맥에서 발원하여 강력한 강물을 북쪽 바다로 흘려보낸다.드루수스는 이 강을 건너기로 약속했지만 실패했고 전리품을 설치하고 철수했다.초인적인 몸집의 여자가 그를 만나 말했다. "어디로 가, 기도하라, 그대는 만족할 줄 모르는 드루수스인가?네가 이 모든 땅을 볼 운명은 없다.그러나 떠나거라. 네 수고와 네 생명이 이미 눈앞에 있으니.이런 목소리가 신으로부터 누구에게나 전해진다는 것은 정말 놀라운 일이지만, 나는 그 이야기를 믿을 수 없다. 드루수스가 바로 떠났고, 그가 급히 돌아오던 중 라인강에 도착하기 전에 어떤 질병으로 죽었다.[15]
수에토니우스:
그는 또한 많은 적을 죽이고 내륙의 가장 외진 곳으로 그들을 몰아넣었다. 야만적인 여성의 형태지만 인간보다 큰 유령이 라틴어로 승리자가 더 이상 압박하지 말라고 경고할 때까지 그의 추적을 멈추지 않았다.[16]
그녀는 드루수스 당시 엘베 지역에 살았을지도 모르고 드루수스와 [17]마주친 사람이었을지도 모른다.그러나 오카무라의 코멘트대로 드루수스와의 만남은 기원전 9세기 로마의 여론에 의해 왜 그들의 군대가 후퇴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일지도 모른다.그들은 북부 게르만족 여자들과 어느 정도 친해졌을 것이기 때문에, 그들은 이 마법사들의 초자연적인 힘만이 로마 군단의 전진을 방해할 수 있다고 상상할 수 있었다.또한 드루수스의 친구들이 왜 그가 퇴각하고 곧 의문스럽게 죽었는지에 대해 명예롭게 설명하기 위해 이 만남을 조작했을 수도 있고, 그래서 이 설명은 게르만 부족의 [17]시녀에 대한 것이 아니라 대중의 로마 상상력에 대한 통찰력을 줄 수도 있다.
이름 토론
그녀의 이름의 수정은 확실하지 않지만, 오리니암,[7] 오리남, 오리남, 아우리남, 오리남, 오리남, 알브리남, 알브리남, 알브리남, 알브리남, 알브리남, 알브리남,[18] 알브리남, 알브리니아에서 유추된다.루크만(1949)은 카시오도루스가 오리니아(aurinia)의 영향을 받아 게티카의 [19]할리우나스에 대한 설명을 쓸 때 사용했을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할리우루나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진짜 [20]고딕어로 여겨진다.
알브루나
알브루남과 알브루나를 처음 제안하고 뮐렌호프와 [21]드 [22]브리에스에 의해 받아들여진 것은 바커나겔이었다.그것은 그 이후로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23]형태가 되었다.OHG에서는 Albrun, OE에서는 Alfrun, [24]ON에서는 Alfrun으로 다른 여성들에게도 독립적으로 이름이 증명된다.Much, Kienast, Bruder와 같은 몇몇 학자들은 벨레다와 [11]같은 고유 이름이 아닌 부명으로 간주한다.
Alb-라는 형태는 게르만조어 *albaz에서 유래한 것으로 기원은 불분명하다.It may be related to Sanskrit ṛbhú- 'clever, skillful' or be derived from Proto-Indo-European *albh- 'white'.[25]엘프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 초자연적인 크기의 인간들이었다.스칸디나비아의 자료에는 아우스트라파르비수르의 요정들에게 제물을 바쳤다는 증거가 있는데, 아우스트라파르비수르는 사람들이 제물을 바친다는 이유로 스웨덴 서부에서 숙박을 거부당했고, 코르막스의 [26]전설에서도 마찬가지였다.전설의 왕 올라프르 게레스타달프는 "매우 아름답고 큰 남자"였기 때문에 "엘프"라고 불렸을지도 모르고, 사가들은 알프하임 사람들과 그들의 후손들의 [27]아름다움과 엘프한 피를 말해준다.서게르만어 이름에서는 기독교화 이후 allf-와 alb-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프랑시아에서는 5세기 후반(칠데릭 1세의 딸 알보프레디스)에 알보인, 딸 알수이다와 함께 6세기에 롬바르드족에 등장했고, 영국에서는 600년 이후에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이 엘프 이름들은 그리스 요소인 아겔로스 '천사'를 가진 이름들과 같은 시기에 나타났고, 그래서 엘프는 '잠재적으로 온화한 초자연적 존재'[28]에 해당하는 게르만어로 여겨졌던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타키투스의 98년 작품에서 알브루나의 출현 가능성은 이러한 이름들이 훨씬 더 오래된 명명 [29]전통을 반영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름 요소 -run은 고대 게르만 [30]이름에서 희귀한 요소입니다.여섯째세기 고스 학자 Jordanes 그의 Getica에 일찍 일어나는 고트족들의 seeresses haliuru(n)nae고는 그 단어 또한 고대 영어,hellerune('seeress'또는 'witch의)과 OHG에서hellirûna('necromancy의)과hellirunari('necromancer의)[31일][32]과 이전Proto-Germanic 형태 *χalja-rūnō(n)이 형태의로 확인되라고 불리었다고 보도했다. re구성되었으며, [33]첫 번째 요소는 *nothaljo입니다.헬은 망자의 [34]집이고, 두 번째는 루노입니다.[35]룬이 도입되기 전, 원독일어 시대에 *runo라는 단어는 아직 문자(rune)를 지칭하지 않았지만 [32]구호를 지칭한 것으로 보이며, 이 의미와 함께 룬어가 '시'[36]를 의미하는 핀란드어로 차용된 것으로 보인다.딸 언어에서는 룬 문자 외에도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고딕어로 그것은 'secret'과 'decision'을 의미했고, 고대 하이 독일어로는 'secret'과 'wisper'를 의미했고, 고대 영어로는 'secret'과 'secret 조언'을 의미했고, 고대 노르드어로는 'secret knowledge'[30]를 의미했다.
Rudolf Much는 그 이름을 '엘프 영혼에 대한 비밀 지식을 가지고 있다' 또는 '엘프들의 [22]신봉자'로 번역했다.슈바이저 시들러와 슈바이저는 바케르나겔을 따라다니며 그녀의 이름을 '[11]엘프들의 신성하고 마법적인 힘(루나)을 타고난 사람'이라고 설명하고, 시메크는 알브루나를 '엘프들의 믿을 수 있는 친구' 혹은 '엘프들의 비밀 지식을 가진 사람'[2]으로 해석한다.오차드는 대부분의 원고가 Aurinia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경고했지만, 그는 알브루나가 "매우 적절하다"고 생각했고 'elf-confidante'[10]라는 번역에 동의했다.모리스는 그녀의 이름을 '엘프 같은 힘을 가진 마법사'라고 번역하고, '노래의 도움을 받는 마법사'와 '지옥의 힘을 가진 마법사'를 뜻하는 고대 영어 '리오드루나'와 비교한다.[12]
Simek는 Albrinia와 Aurinia가 더 가능성이 높은 형태라고 생각하지만 Albruna의 어원적 해석은 [37]매우 유혹적이라고 말한다.그 이름이 맞다면 그녀는 정말로 [2]시녀였을 것이다.
오리니아
슈람은 2002년에 알브루나의 해석은 중세시대에는 유일하게 남아있던 허스펠트 원고에 대해 조사하던 레나 피터슨이 "카드의 집"처럼 무너졌다고 쓰고 있다.그녀는 오리니아가 유일한 해석이라고 밝히고 알브루나를 '유령 이름'[38]이라고 불렀다.슈람은 오리니아가 알비니아라는 마을의 이름을 가진 이탈리아 카피스트에 의해 혼란스러웠으며, 이것이 알브루나 독서의 기초가 된 알브리니아라는 형태를 만들어냈다고 주장한다.알브루나가 원래 이름이었다면 1세기에는 여전히 *알비루나[sic]라는 독일어 원어 형태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고, 두 번째 모음은 그 이름에 증명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지만, 19세기 학자들은 여전히 아르미니우스를 [39]헤르만으로 해석했다.
이미 쇤펠트(1910년)는 수정안 알브루나에 반대하여 오리니아가 게르만족에 의해 차용된 켈트족 이름일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그러나, 슈람은 접미사 -ia를 가진 켈트어 이름이 접미사 -jo-로 게르만조어에 의해 동화되었고, 이것은 짧은 음절을 가진 줄기가 있는 이질라브어 이름으로 제한되었고, 이것은 *Aurinī을 [40]생성했을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거부한다.슈람은 원형이 게르만어를 기반으로 한 *아우린어이고, 여기서 첫 번째 요소는 '물', '모래', '광택'[41]을 뜻하는 원어인 *아우라즈에서 나온 aur-이며, 두 번째 요소는 게르만어 여성 접미사 [42]-inī이라고 주장한다.두 번째 요소의 현재 형태는 *Amis ((Ems)[40]가 Amisia로 라틴화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41]라틴화되었기 때문입니다.훌트고드는 오리니아가 게르만족 이름으로 분석될 수 있다는 것에 동의하고 알브루나가 설득력이 없다고 생각한다.그는 그녀에 대한 증거가 너무 적기 때문에 그녀가 게르만족 [43]시녀에 대한 논의에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인다.
슈만은 벨레다가 켈트족 이름이고 아다마티니아, 블랜디니아, 엘루이니아처럼 켈트족 이름에는 접미사 -inios와 -inia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그는 또한 Aurus와 Auritus로 시작하는 켈트족 이름이 있지만, 어원은 켈트족이 아니라 라틴어였을 것이라고 말한다.결과적으로, 그는 오리니아를 게르만족 이름이 아니라 라틴어 '황금'[44]에 기초한 잡종 이름으로 간주한다.그러나 네도마는 슈만과 슈람의 제안을 [30]설득력이 없다고 거부한다.
라이헤르트는 북아프리카 히포레지우스의 게르만족 반달족 가운데 기독교 여성 사제의 이름으로 나타나는 '귀레우나'라는 이름을 연구해 알브루나를 무시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그는 여사제가 게르만조어 루노에서 두 번째 요소인 루나를 가진 이름을 가진 것은 우연의 일치일 수 없으며, 아마도 그녀가 태어났을 때 붙여진 이름이 아니라 '사제'를 의미하는 별명일 것이라고 말한다.첫 글자 Gu-는 게르만어 w-의 일반적인 표현이다.우리에게 내려온 시녀에 대한 게르만족 초기 전문가용 호칭이 세 개 있는 것 같다.벨레다는 아마도 게르만어일 수도 있는 별칭을 가지고 있었는데, 켈트어 단어와 관련이 있는데, 두 번째는 발루부르크 '마법의 지팡이'이고 세 번째는 아마 알브루나일 것입니다.Guieluna는 기독교 전통에서 '시녀'라는 의미의 이름을 얻었을 수 없으며, 그래서 그것은 게르만인의 전승에 근거해야 하며, 기독교 용어에 영향을 준 게르만 이교에서 나온 요소들의 다른 사례들이 있다.그는 레나 피터슨이 알브루나를 "유령 이름"이라고 부르는 것이 옳을지도 모른다고 결론짓고 있지만, 귀리누나의 존재는 그렇게 [45]하지 않는다.
메모들
- ^ Birley 1999, 페이지 xx7
- ^ a b c d Simek 1996, 7페이지
- ^ Fuhrmann 2007, 페이지 14
- ^ 허튼 & 피터슨 1914, 페이지 276
- ^ 허튼 & 피터슨 1914, 페이지 277
- ^ Birley 1999, 페이지 41
- ^ a b Birley 1999, 페이지 106, 주 8
- ^ Fuhrmann 2007, 페이지 73
- ^ Hutton & Peterson 1914, 페이지 276, 주 1.
- ^ a b 1997년 과수원, 3페이지
- ^ a b c 오카무라 1995년, 293쪽, 주 2
- ^ a b c 모리스 1991, 페이지 31
- ^ 오카무라 1995, 페이지 287f, 293, 주 2
- ^ 오카무라 1995, 287f페이지
- ^ 캐리 1917, 페이지 381
- ^ Edwards 2000, 페이지 168
- ^ a b 오카무라 1995년 288쪽
- ^ Schuhmann 2006, 페이지 271
- ^ Söby Christensen 2002, 페이지 241, 주 43.
- ^ Söby Christensen 2002, 페이지 242
- ^ Schuhmann 2006, 페이지 271f
- ^ a b Schramm 2004, 577페이지
- ^ De Vries 1970, 페이지 321, 주 3.
- ^ Förstemann 1900, 페이지 72
- ^ Orel 2003, 13페이지
- ^ Simek 2017, 페이지 199f.
- ^ Simek 2017, 페이지 201-204.
- ^ Simek 2017, 페이지 197f.
- ^ Simek 2017, 198페이지
- ^ a b c Nedoma 2004, 페이지 170
- ^ De Vries 1970, 322f페이지
- ^ a b 다우든 2000, 페이지 253
- ^ Orel 2003, 페이지 155
- ^ Orel 2003, 페이지 155f
- ^ Orel 2003, 페이지 155, 310.
- ^ 코흐 2020, 137페이지
- ^ Simek 2020, 페이지 278
- ^ Schramm 2004, 페이지 577f
- ^ Schramm 2004, 578페이지
- ^ a b Schramm 2004, 579페이지
- ^ a b Schramm 2004, 페이지 581
- ^ Schramm 2004, 페이지 580
- ^ Hultgörd 2005.
- ^ Schuhmann 2006, 페이지 272
- ^ Reichhert 2009, 73페이지
원천
- Cassius Dio, L. (1917). Dio's Roman History. Vol. VI. Translated by Cary, E. Oxford University Press.
- Cornelius Tacitus, P. (1999). Agricola and Germany. Translated by Birley, A.R.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283300-6.
- Cornelius Tacitus, P. (2007). Germania. Translated by Fuhrmann, Manfred. Philipp Reclam jun. Stuttgart. ISBN 978-3-15-009391-7.
- Cornelius Tacitus, P. (1914). Ogilvie, R.M.; Warmington, E.H.; Winterbottom, Michael (eds.). Agricola. Germania. Dialogue on Oratory. Loeb Classical Library 35. Vol. 1. Translated by Hutton, M.; Peterson, W.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99039-5.
- Dowden, Ken (2000). European Paganism. The realities of cult from antiquity to the Middle Ages.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ISBN 0-415-12034-9.
- Förstemann, Ernst (1900). Altdeutsches Namenbuch, Band 1: Personennamen (2 ed.). Bonn.
- Hultgård, Anders (2005). "Seherinnen". In Beck, Heinrich; Geuenich, Dieter; Steuer, Heiko (eds.).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Vol. 28 (2010 ed.). De Gruyter. doi:10.1515/gao. ISBN 978-3-11-045562-5.
- Koch, John T. (2020). Celto-Germanic, Later Prehistory and Post-Proto-Indo-European vocabulary in the North and West (PDF). Aberystwyth Canolfan Uwchefrydiau Cymreig a Cheltaidd Prifysgol Cymru, University of Wales Centre for Advanced Welsh and Celtic Studies. ISBN 978-1-907029-32-5.
- Morris, Katherine (1991). Sorceress Or Witch?: The Image of Gender in Medieval Iceland and Northern Europ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SBN 978-0-8191-8257-9.
- Nedoma, Roberg (2004). Personennamen in südgermanischen Runeninschriften. Studien zur altgermanischen Namenkunde I,1,1. Universitätsverlag Winter, Heidelberg. ISBN 3-8253-1646-7.
- Okamura, Lawrence (1995). "Germanic seeresses through Roman eyes". Classica - Revista Brasileira de Estudos Clássicos. 7: 285–299. doi:10.24277/classica.v7i0.678.
- Orchard, Andy (1997). Dictionary of Norse Myth and Legend. Cassel, London. ISBN 0-304-34520-2.
- Orel, Vladimir E. (2003). A Handbook of Germanic Etymology. Brill. ISBN 978-90-04-12875-0.
- Reichert, Hermann (2009). "Sprache und Namen der Wandalen in Afrika". In Beck, Heinrich; Geuenich, Dieter; Steuer, Heiko (eds.). Namen des Frühmittelalters als sprachliche Zeugnisse und als Geschichtsquellen. Ergänzungsbände zum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Vol. 66. Walter de Gruyter. pp. 43―120. ISBN 978-3-11-020815-3.
- Schramm, Gottfried (2004). "Die germanische Seherin Aurinia bei Tacitus". In Beck, Heinrich; Geuenich, Dieter; Steuer, Heiko (eds.). Namenwelten, Orts- und Personennamen in historischer Sicht. Ergänzungsbände zum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Vol. 44. Walter de Gruyter. pp. 577―582. ISBN 3-11-018108-8.
- Schuhmann, R. (2006). Geographischer Raum und Lebensform der Germanen : Kommentar zu Tacitus' Germania, c. 1–20 (PDF) (Thesis). Jena.
- Simek, Rudolf (1996).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Translated by Angela Hall. Boydell & Brewer Ltd. ISBN 978-0-85991-513-7.
- Simek, Rudolf (2017). "On Elves". In Brink, Stefan; Collinson, Lisa (eds.). Theorizing Old Norse Myths. Brepols. pp. 195–224. ISBN 978-2-503-55303-0.
- Simek, Rudolf (2020). "Encounters: Roman". In Schjødt, J.P; Lindow, J.; Andrén, A. (eds.). The Pre-Christian Religions of the North, History and Structures. Vol. I. Brepols. pp. 269–288. ISBN 978-2-503-57491-2.
- Søby Christensen, Arne (2002). Cassiodorus, Jordanes and the History of the Goths. Museum Tusculanun Press. ISBN 87-7289-710-4.
- Suetonius Tranquillus, G. (2000). Lives of the Caesars. Translated by Edwards, C.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53756-3.
- de Vries, Jan (1970). Altgermanische Religionsgeschichte. Vol. I. Berlin: de Gruyter. doi:10.1515/9783110865486. ISBN 978-3-11-0026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