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 메모리
Procedural memory절차적 기억은 암묵적 기억(무의식, 장기 기억)의 한 종류로, 이러한 이전의 경험을 의식하지 않고 특정 유형의 작업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절차 기억은 우리가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안내하며, 가장 많은 경우 의식 수준 아래에 있습니다.필요할 때, 절차 기억은 신발 묶기, 독서, 비행기 조종 등 인지 및 운동 기술과 관련된 통합 절차 실행에 자동으로 검색되어 활용됩니다.절차 메모리는 의식적인 제어나 주의 없이 접근 및 사용됩니다.
절차적 기억은 절차적 학습을 통해 생성되거나 모든 관련 신경계가 자동으로 활동을 생성하기 위해 함께 작동할 때까지 복잡한 활동을 반복해서 반복한다.암묵적인 절차적 학습은 운동 기술이나 인지 활동의 발달에 필수적이다.
역사
절차적 기억 시스템과 선언적 기억 시스템의 차이는 간단한 의미론에서 먼저 탐색되고 이해되었습니다.심리학자들과 철학자들은 2세기 전에 기억에 대해 쓰기 시작했다."기계적 기억"은 1804년 메인 드 비란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습니다.윌리엄 제임스는 그의 유명한 책 안에 있다.심리학의 원리 (1890년)는 기억력과 습관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 제안했다.인지심리학은 초기 몇 년 동안 학습이 기억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했고, 이것은 [1]20세기까지 절차적 학습에서 행해진 연구를 크게 제한했다.세기가 바뀌면서 절차적 기억 획득, 저장 및 검색 프로세스에 관련된 기능과 구조에 대한 이해가 더욱 명확해졌습니다.
McDougall[who?](1923)은 처음으로 명시적 기억과 암묵적 기억을 구별했다.1970년대에 인공지능에 관한 문헌에서는 절차적 지식과 선언적 지식이 구별되었다.1970년대 연구는 두 가지 분야로 나뉘어 진행되었습니다. 하나는 동물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다른 하나는 기억상실증 환자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선언적 기억("무엇을 알고 있는")과 비선언적 또는 절차적 기억("방법을 알고 있는") 사이의 해리에 대한 첫 번째 설득력 있는 실험 증거는 밀너(1962)에서 얻은 것으로, 이전에 환자 H.M.으로 알려진 심각한 기억 상실증 환자 헨리 몰리슨이 손-눈 조정 기술(거울 그리기)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였다.e 이전에 작업을 연습한 기억이 없다.비록 이 발견이 기억력이 뇌의 한 곳에 위치한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그 당시 다른 사람들은 운동 기술이 기억의 덜 인지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특별한 경우일 수 있다고 동의했다.그러나 실험적인 조치의 개선과 개선을 통해 다양한 위치와 구조적 손상 정도를 가진 기억상실증 환자를 이용한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기억상실증 환자에 대한 작업 증가는 그들이 운동 기술 이외의 작업을 유지하고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했다.그러나, 이러한 발견들은 그들이 기억상실증 환자로 인식되는 방식에 단점이 있었고, 때때로 정상적인 수행 수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기억상실증은 엄격히 검색결손으로 간주되었다.기억상실증 환자에 대한 추가 연구에서 기술 능력에 대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기억의 더 큰 영역을 발견했습니다.예를 들어, 거울 읽기 과제를 사용했을 때, 기억상실증 환자들은 그들이 읽던 단어 중 일부를 기억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속도로 성능을 보였다.1980년대에 절차 기억과 관련된 메커니즘의 해부학적 생리학에 대해 많은 것이 발견되었다.소뇌, 해마, 네오스트리아툼, 기저신경절은 기억력 획득 [2]작업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작업 메모리
오버라우어가 선언적 기억과 절차적 기억은 작업 [3]기억에서 다르게 처리될 수 있다고 제안하기 전까지 작업 기억의 모델들은 주로 선언적인 것에 초점을 맞췄다.작업 메모리 모델은 두 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나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나는 선언을 담당하는 반면 다른 하나는 절차 [4][5]메모리를 나타냅니다.이 두 하위 섹션은 [6]서로 거의 독립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또, 작업 [7]기억의 어느쪽인가를 고려할 때, 선택 프로세스는 본질적으로 매우 유사할 수 있다고 판단되고 있습니다.
스킬 습득
기술을 습득하려면 연습이 필요하다.그러나 단순히 작업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스킬 습득은 경험이나 연습으로 인해 관찰된 행동이 변화했을 때 달성됩니다.이를 학습이라고 하며 직접 관찰할 [8]수 없습니다.이러한 경험의 개념을 통합한 정보처리 모델은 정보처리의 [8]핵심 요소인 4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에서 기술이 발전하는 것을 제안한다.이러한 컴포넌트에는 처리속도, 처리시스템에서 정보가 처리되는 속도, 선언적 지식의 폭, 개인의 사실정보 저장소의 크기, 절차적 스킬의 폭, 실제 스킬을 수행하는 능력, 작업 메모리와 같은 처리능력이 포함됩니다.절차화 과정을 통해 개인이 절차 메모리를 저장하기 때문에 처리 능력은 절차 메모리에 중요합니다.이를 통해 환경 신호를 적절한 응답과 연결함으로써 스킬 사용률이 향상됩니다.
기능 습득을 이해하기 위한 한 가지 모델은 Fitts(1954)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제안되었다.이 모델은 다양한 단계의 완료를 통해 학습이 가능하다는 생각을 제안했다.관련된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지 단계
Fitts의 기술 습득 모델(1954)에서 개인은 관찰된 기술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이해하게 된다.프로세스에서 이 시점에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스킬 습득에 중요합니다.이 과정에는 학습하고자 하는 기술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고, 이러한 부분이 전체적으로 어떻게 결합되어 작업을 올바르게 수행하는지 이해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개인이 이러한 부분을 구성하는 방식을 스키마라고 합니다.스키마는 취득 프로세스를 지시하는 데 중요하며 개인이 스키마를 선택하는 방법은 메타인식에 의해 [9][10]설명됩니다.
연상 단계
Fits(1954) 모델의 연관 단계는 반응 패턴이 나타날 때까지 개인이 반복 연습하는 것을 포함한다.모델의 이 부분에서는 스킬의 동작이 학습(또는 자동화)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동작이 폐기됩니다.개인의 감각 시스템은 스킬의 완성에 필요한 정확한 공간적 및 상징적 데이터를 취득한다.중요한 자극과 중요하지 않은 자극을 구별하는 능력은 모델의 이 단계에서 중요하다.과제와 관련된 중요한 자극의 양이 많을수록 모델의 [9][10]이 단계를 완료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자율 단계
이것은 Fitts(1954) 모델의 마지막 단계로, 스킬 습득을 완성하는 것을 포함한다.중요한 자극과 중요하지 않은 자극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은 더 빨리 만들어지고 기술이 자동화되었기 때문에 덜 필요한 사고 과정이다.모델의 이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관찰된 [9][10]기술에 대한 경험과 사실적 지식 저장소입니다.
다른 견해: "예측 사이클"
Tadlock(2005)[11]은 절차적 기억을 통한 기술 습득을 이해하기 위한 또 다른 모델을 제안했다.이 모델은 기술의 구성요소를 의식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Fitts의 1954년 견해와 상당히 다르다.오히려 학습자는 원하는 결과의 개념을 의식적으로만 유지하면 됩니다.Tadlock은 이 관점을 판독 교정조치에 성공적으로 적용했다(Scott 등, 2010[12]).관련된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도
- 실패하다
- 암묵적으로 결과를 분석하다
- 성공을 거두기 위해 다음 시도를 어떻게 바꿀지 암묵적으로 결정한다.
학습자가 의식하지 않고 활동을 적절하고 정확하게 이끌기 위해 신경망을 구축하거나 개조할 때까지 단계를 반복한다.이러한 관점의 맥락은 물리치료가 뇌손상 환자가 잃어버린 기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과 유사하다.환자는 손을 움직이는 데 필요한 신경 활동을 의식하지 않고 반복적으로 시도하는 동안 원하는 결과(예: 손 움직임에 대한 제어)를 유지합니다.환자는 움직일 때까지 계속 시도합니다.뇌손상의 경우, 얼마나 많은 진전이 일어나느냐는 부상의 정도와 개인이 가하는 "정신력" 또는 "의지력"에 달려 있다.읽기 문제를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뇌 손상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뇌를 가지고 있지만, 읽기 분야의 조기 학습에 대한 정의되지 않은 문제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그렇지 않으면 뇌가 건강하기 때문에, 태드록은 경증에서 [citation needed]심각한 읽기 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성공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예측 주기와 관련된 고도로 구조화된 방법을 사용해 왔다.
실천과 학습의 멱법칙
일반적으로 피드백으로 알려진 결과에 대한 지식이 [13][14]포함된다면 연습은 새로운 기술을 배울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학습의 멱법칙으로 알려진 관찰된 현상이 있는데, 이것은 연습 시간에 따른 기술 습득 속도를 예측합니다.학습의 멱법칙은 학습이 초기에 가장 빠른 속도로 일어나다가 급격히 줄어든다고 말한다.연습이 실행력을 향상시키는 능력을 잃는 속도는 연습 중인 기술과 기술을 배우는 동물의 유형과 독립적입니다.예를 들어, 읽기 속도 연구의 참가자들은 실험 첫 날에 가장 큰 도약을 한 반면, 추가 연습 일수는 약간의 [15]개선만 보였다.
학습의 멱법칙은 과목을 더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면 극복할 수 있다.한 연구 대상자에게 가능한 한 빨리 표적을 차는 그의 작업 수행과 킥 시간을 최소화하는 알려진 방법을 비교한 영화가 상영되었습니다.학습의 힘의 법칙이 예측한 대로 실천을 통해 향상할 수 있는 능력의 한계에 다다랐지만, 영화를 보는 것은 학습의 힘의 법칙을 거스르는 그의 능력의 돌파구로 이어졌다.영화를 보는 것은 관찰 학습의 한 예이며, 이것은 보는 사람이 자신의 미래 [16]업무 수행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새로운 기억을 준다.
테스트
추적 로터 작업
참가자가 커서를 사용하여[17]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가거나 스타일러스를 사용하여 컴퓨터 화면 또는 [18]턴테이블의 대상을 따라가도록 함으로써 시각-운동 추적 기술과 손-눈 조정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컴퓨터 화면 버전에서는 [19]참가자는 다음과 같은 원형 경로상의 점을 따라갑니다.
추적 로터 작업은 연령 [20]그룹 내에서 일관된 결과를 갖는 단순한 순수 시각-운동 추적 테스트입니다.이 화면에는 절차 메모리의 측정값과 참가자의 미세 운동 기술이 표시됩니다.추적 로터 과제는 아래의 녹색 섹션에 표시된 운동 피질에 의해 제어되는 미세 운동 기술을 테스트합니다.
[21] 그런 다음 참가자가 개체를 켜고 끄는 시간에 따라 결과가 계산됩니다.기억상실증 참가자들은 이후의 시험에서 이 운동 과제에서 손상을 보이지 않는다.그러나 수면 부족과 약물 [22]사용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직렬 응답 시간 작업
이 과제는 참가자들이 절차 운동 [23]기술에 대한 특정 기억을 평가하는 절차 기술을 유지하고 배우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이러한 스킬은 참가자가 새로운 스킬을 보유 및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의 속도와 정확성을 관찰함으로써 측정됩니다.반응 시간은 참가자가 [24]지정된 큐에 응답하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알츠하이머병과 기억상실증에 걸린 참가자는 오랜 체류시간을 보여주며, 이는 그들이 기술을 유지할 수 있고 나중에 [24]그 일의 효과적인 수행을 보여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미러 트레이스 태스크
이 과제는 참가자들이 손-눈 조정과 [21]관련된 새로운 운동 기술을 배우는 시각 운동 테스트이기 때문에 감각의 통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기억상실증 참가자들은 이 과제를 배우고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절차 기억의 증거가 제시된다.이미지를 그리는 것은 절차 기억의 작업입니다.미러에 이미지를 그리는 방법을 알게 되면 두 번째에 거의 문제가 없습니다.알츠하이머 환자는 거울 추적 작업에서 습득한 기술을 기억할 수 없지만,[24]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술 수행 능력을 습득합니다.
일기예측과제
특히, 이 작업은 일기예보의 실험적인 분석을 사용합니다.확률 학습 과제로서 참가자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야 합니다.그것은 절차적인 [24]방법으로 학습되는 인지 지향적인 작업이다.이것은 다차원 자극을 사용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모양이 있는 카드 세트를 받고 결과를 예측하도록 요구받습니다.예측이 이루어진 후 참가자들은 피드백을 받고 [25]그 피드백을 바탕으로 분류합니다.예를 들어, 참가자에게 하나의 패턴을 보여주고 그 패턴이 좋은 날씨인지 나쁜 날씨인지를 예측하도록 요청할 수 있습니다.실제 날씨 결과는 각 개별 카드에 기초한 확률론적 규칙에 의해 결정된다.기억상실증 참가자들은 훈련 중에 이 과제를 배우지만 이후의 훈련 [25]통제에는 장애가 있다.
선택 반응 태스크
작업 메모리를 평가하기 위해 [26]선택 반응 태스크가 사용되었습니다.참가자들에게 자극-반응 [27]규칙을 따르도록 요청함으로써 절차적 작업 기억력을 측정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결정되었다.
전문 지식
주의 분산
기술의 탁월한 수행에 기여하는 몇 가지 요소들이 있다: 기억 능력,[28][29] 지식 구조,[30] 문제 해결 능력,[31] 그리고 주의력.[32]이들은 모두 필요한 절차와 스킬, 컨텍스트 및 퍼포먼스의 의도된 목표에 따라 각각의 중요도를 갖는 주요 역할을 수행합니다.이러한 개인화된 능력을 사용하여 인지 능력과 감각 운동 능력 양쪽에 대해 전문가와 초보자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는 것은 전문가를 훌륭하게 만드는 것과 반대로 초보자에게는 어떤 종류의 메커니즘이 부족한지에 대한 풍부한 통찰력을 제공했습니다.증거에 따르면 스킬의 우수성에 대해 간과되기 쉬운 조건은 스킬의 실시간 실행 중 절차 메모리의 효과적인 활용과 도입에 관련된 주의 메커니즘입니다.연구에 따르면 스킬 러닝의 초기 단계에서 실행은 작업 메모리에 유지되고 단계별로 하나씩 [33][34][35]처리되는 일련의 통합되지 않은 절차 단계에 의해 제어됩니다.이것의 문제는 주의력이 제한된 자원이라는 것이다.따라서, 이러한 단계별 작업 수행 제어 프로세스는 주의 능력을 차지하게 되며, 이는 다시 의사 결정, 미세 모터 스킬, 에너지 레벨의 자기 모니터링 및 "현장 또는 얼음 또는 코트 보기"와 같은 수행의 다른 측면에 집중하는 수행자의 능력을 감소시킵니다.그러나 연습을 통해 절차 지식이 발달하고, 이는 주로 작업 기억 밖에서 작동하며, 따라서 기술을 [34][36]더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물론, 이것은 [32]다른 프로세스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보다 기본적인 기계적인 기술을 면밀히 감시하고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어짐으로써 전체적인 성과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압력으로 질식하다
고도로 연습되고 과도하게 학습된 스킬은 자동으로 수행되며, 실시간으로 제어되고 절차 메모리에 의해 지원되며, 주의가 거의 필요하지 않으며, 주로 [37]작업 메모리 밖에서 작동합니다.그러나 때로는 경험이 많고 숙련된 연주자들조차 스트레스에 시달려 비틀거릴 때가 있다.이 현상은 일반적으로 질식이라고 불리며, 잘 배운 기술이 견고하고 광범위한 조건에서 [38]열화에 저항한다는 일반적인 규칙에 대한 매우 흥미로운 예외로 작용합니다.잘 이해되지는 않지만, 질식의 근본 원인은 특정 [38]상황에서 매우 잘 수행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정의되는 성능 압박이라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질식사하는 것은 운동 기술과 가장 자주 연관되어 있고, 가장 흔한 실생활의 예는 스포츠입니다.고도의 훈련을 받은 프로 선수들이 순간적으로 질식해 성적이 떨어지는 것은 흔한 일이다.그러나 질식사는 복잡한 인지, 언어 또는 운동 기술을 수반하는 높은 수준의 수행 능력을 필요로 하는 영역 내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셀프 포커스" 이론은 압력이 올바른 수행에 대한 불안과 자의식을 증가시키고,[38] 이는 다시 기술의 실행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과정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암시한다.이렇게 단계별 절차에 주의를 기울이면 제대로 학습된 자동(절차화된) 성능이 중단됩니다.한때 절차적 기억의 무심하고 무의식적인 검색 실행이었던 것이 느리고 신중해진다.[36][39][40][41]증거는 스킬이 자동화될수록 주의 산만함, 성능 압박 및 후속 질식에도 더 강해진다는 것을 보여줍니다.이는 일시적 메모리에 대한 절차 메모리의 상대적 내구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의도적인 연습과 기술의 자동화와 더불어,[38] 자의식 훈련은 압박 시 질식하는 효과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임기응변
스킬 베이스의 작업이나 코디네이션 지향의 작업으로 인해, 상황의 압박으로 인해 연주자의 수행 프로세스에 대한 의식적인 주의가 증가한다면, 그 반대도 사실일 수 있습니다.과학 연구의 비교적 미개척 분야는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라는 개념이다.한 가지 일반적인 오해는 사람이 압박감 속에서 일관된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반대로 암묵적 지식은 전문지식과 [42]성과 사이의 관계를 부분적으로만 중재하는 것으로 가정되어 왔다.이는 작업에 대한 인식된 제어와 밀접하게 작동하며, 수행자가 도메인 내에서 절차상의 편안함을 구현하면 전문지식을 능가할 수 있습니다.종래, 「상황에의 대처」나 「클러치」는, 이벤트의 규모를 생각하면, 스포츠의 업적에 대해 사용되어 왔지만, 일상생활의 현상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반드시 즉각적이거나 중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익숙하지 않거나 불편한 환경에서 공연하기 위해 의식적인 메커니즘에 적극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상황에서 공연하는 방법은 다양한 분야와 [43]활동에 걸쳐 교육적으로 유익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개념이다.
질식의 유명한 예
- 1996년 마스터스 골프 토너먼트 그렉 노먼이 닉 팔도에 패함
- 1993년 윔블던 여자 결승에서 야나 노보트나가 스테피 그라프에게 패했다
- 2011 마스터스 골프 토너먼트 마지막 날 로리 매킬로이가 먼저 출발했지만 턴에서 3홀 동안 8타를 떨어뜨렸다.
- NHL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8번 시드의 콜럼버스 블루재킷에 휩쓸린 2019년 탬파베이 라이트닝 우승 트로피.
전문지식에 의한 기억상실
이러한 현상은 부호화 및 저장되는 소재에 대한 주의의 양을 줄이거나 전환하면 명시적이고 보고 가능한 형태로 해당 소재의 향후 검색 품질과 양이 감소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따라서 잘 배운 기술을 절차적 기억으로 저장하고, 그 검색과 이후의 수행이 대부분 무의식적이고 자동적인 것이라면, 수행 중에 일어난 일에 대한 명시적 기억이 [38]줄어들 것이라는 증거가 있다.최근의 예는 이 개념을 잘 보여줍니다.2010년 캐나다 올림픽 남자 아이스하키에서 금메달을 딴 시드니 크로스비의 연장골 직후 TSN 기자는 크로스비와의 온 아이스 인터뷰를 했다. "Sid, 할 수 있다면 그 골이 어떻게 들어갔는지 보여줄 수 있나요?"크로스비는 대답했다.실제로 기억나지 않는다.그냥 촬영했을 뿐이다.여기서 본 것 같아요.그게 내가 정말 기억하는 전부야.5홀이었던 것 같은데 솔직히 [44]못 봤어요.
유전적 영향
유전자 구성은 기술 학습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따라서 전문 지식을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추적 회전자 과제를 사용하여, 한 연구는 개별 가정에서 자란 일란성 및 이란성 쌍둥이의 연습 효과를 조사했다.일란성 쌍둥이는 유전자의 100%를 공유하고 이란성 쌍둥이는 50%를 공유하기 때문에 유전자 구성이 기술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수 있다.추적 로터 과제 테스트의 결과는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습과 더 일치한 반면 이란성 쌍둥이의 경우 연습과 더 이질적인 결과가 되었다.즉, 일란성 쌍둥이의 기술 성능은 100% 일치한 반면 이란성 쌍둥이의 기술 성능은 덜 동일해져서 유전자 구성의 차이가 50%의 기술 성능 차이가 원인임을 시사한다.이 연구는 더 많은 연습이 재능으로도 알려진 한 개인의 타고난 능력을 더 가깝게 표현하도록 이끈다는 것을 보여준다.그러므로, 장기간의 연습 후에 사람들이 보여주는 몇몇 차이점들은 점점 더 그들의 유전학을 반영한다.이 연구는 또한 연습이 같은 집단과 형제 집단 모두에서 주어진 [45][46]기술의 실행을 개선하기 위해 비효율적인 성향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되는 더 많은 연습을 보여줌으로써 기술 학습을 향상시킨다는 생각을 확인시켜 주었다.현재 학습과 유전학의 연관성은 단순한 업무 학습에만 국한된 반면 인지 능력의 학습과 같은 더 복잡한 형태의 학습과의 연관성은 [47]확인되지 않았다.
해부학적 구조
선조체와 기저신경절
배측 선조체는 습관의 획득과 관련이 있으며 절차 기억과 연결된 주요 신경 세포핵이다.흥분성 구심성 신경섬유를 연결하면 기저 신경절 회로의 활동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기본적으로 두 개의 병렬 정보처리 경로가 선조체에서 분리된다.움직임의 제어에서 서로 반대되는 작용을 하는 두 경로는 다른 필요한 기능 구조와의[48] 연관성을 허용합니다. 하나는 직접 경로이고 다른 하나는 간접 경로이고 모든 경로는 기능적 신경 피드백 루프를 허용하기 위해 함께 작동합니다.많은 루프 회로는 감정-중추 연결 변연 피질, 보상-중추 연결 복부 선조체 및 [49]움직임과 관련된 다른 중요한 운동 영역으로부터 선조체로 다시 연결됩니다.절차기억의 운동기능 부분과 관련된 주요 루프회로는 보통 피질 기저부 신경절 시상피질 [50]루프라고 불립니다.
선조체는 뇌의 대부분에서 발견되는 글루탐산염 관련 뉴런이 부족하기 때문에 독특하다.대신, 그것은 중가시 [51]뉴런으로 알려진 특별한 유형의 GABA 관련 억제 세포의 고농도로 분류된다.앞서 언급한 두 개의 평행한 경로는 선조체 사이를 오가고 이 특별한 매체 가시가 있는 뉴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이들 뉴런은 모두 다른 신경전달물질에 민감하며 도파민 수용체(DRD1, DRD2), 무스카린 수용체(M4) 및 아데노신 수용체(A2A)를 포함한 다양한 대응 수용체를 포함하고 있다.분리된 인터뉴론은 체세포 신경계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52]존재 하에서 선조체 가시 뉴런과 소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 해부학과 생리학에 대한 현재 이해는 선조체 신경 가소성이 구조 간 기본적인 신경절 회로가 소통하고 [53]절차적 기억 처리에서 기능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시사한다.
소뇌
소뇌는 그림, 악기 연주 등 시술 기술과 골프 등 스포츠에서 볼 수 있는 운동 민첩성을 교정하고 미세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 부위가 손상되면 운동 기술의 적절한 재학습이 방해될 수 있으며, 관련 연구를 통해 최근에는 절차 기술을 [54]학습할 때 사용되는 무의식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역할과 관련이 있습니다.과학계의 새로운 생각은 소뇌 피질이 기억의 성배, 즉 연구자들에게 "엔그램"으로 알려진 것 또는 기억이 사는 생물학적 장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초기 기억의 흔적은 여기에서 평행 섬유와 푸르키네 세포 사이에 형성되고 [55]그 후 통합을 위해 다른 소뇌 핵으로 바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변연계
변연계는 감정, 동기 부여, 학습 그리고 기억과 관련된 많은 상호 연관된 과정에서 함께 일하는 독특한 뇌 영역의 그룹입니다.현재의 사고방식은 변연계가 이미 절차기억을 제어하는 주요 임무에 공로를 인정받은 신우신경의 구성요소와 해부학을 공유한다는 것을 나타낸다.한때는 기능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생각되었던 선조체의 등 테두리에서 발견된 뇌의 이 중요한 부분은 최근에야 기억과 연결되었고 지금은 한계 분할 구역으로 불리고 있다.[56]변연계에 관련된 특수한 막단백질은 관련된 구조에 집중되어 기저핵을 향해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간단히 말해서, 이 변연계와 관련된 막 단백질과 분자 및 면역 조직 화학 [57]연구에 대한 응용 때문에 절차 기억 중에 함께 작동하는 뇌 영역의 활성화가 뒤따를 수 있습니다.
생리학
도파민
도파민은 시술 기억과 관련된 신경조절제 중 가장 잘 알려진 것 중 하나이다.증거는 환경이 변화하고 개인이 행동적인 선택이나 일련의 신속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 뇌 처리를 적응시킴으로써 기억 시스템의 신경 가소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많은 미지의 자극과 [58]특징을 가진 새로운 상황에서 서로 다른 뇌 영역이 함께 반응하도록 돕는 "적응 항법"의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도파민 경로는 뇌 전체에 분산되어 있고 이것은 동시에 많은 구조에서 병렬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현재 대부분의 연구는 보상 학습과 심리적 [59]조건과 가장 관련이 있는 시스템으로 중상피질성 도파민 경로를 지적한다.
시냅스에서
최근의 연구결과는 분자 수준에서 절차 기억, 학습 및 시냅스 가소성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한 연구는 다양한 작업 동안 선조체의 정보 처리를 보기 위해 정상적인 수준의 CREB 가족 전사 인자가 없는 작은 동물들을 이용했다.결과는 잘 이해되지 않지만 [60]시냅스에서 절차 메모리의 획득과 저장을 연결하기 위해 CREB 기능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장애
장애는 기억 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다양한 질병을 가진 환자들의 기억 능력과 억제력은 장기 기억이 다른 유형의 기억, 더 구체적으로 선언적 기억과 절차적 기억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구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게다가, 그것들은 절차적 기억의 신경망을 구성하는 뇌의 구조를 밝히는 데 중요했습니다.
알츠하이머와 치매
Current Research는 알츠하이머의 절차적 기억력 문제가 해마와 같은 기억력을 통합시키는 뇌 영역의 효소 활성의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이러한 변화와 연관된 특정 효소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라고 불리며, 히스타민 H1 수용체라고 불리는 면역 체계 뇌 수용체의 유전적 소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현재와 같은 과학적 정보는 또한 이 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소뇌에서 도파민, 세로토닌, 아세틸콜린 신경전달물질의 수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한다.현대의 발견은 히스타민 시스템이 알츠하이머에서 발견되는 인지적 결손과 정신병리학의 결과로 발생할 [61]수 있는 잠재적 절차적 기억 문제에 책임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발전시킨다.
투레트 증후군
중추신경계의 이 질병은 다른 많은 절차 기억 관련 장애와 마찬가지로 선조체로 알려진 관련 피질하 뇌 영역의 변화를 수반합니다.이 부위와 기저신경절에서 그것과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는 뇌 회로는 구조적으로 그리고 투레트 증후군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에게서 더 기능적인 수준으로 영향을 받는다.이 주제에 대한 최신 문헌은 많은 독특한 형태의 절차기억이 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절차 기억과 가장 관련이 깊고 투렛에서 가장 흔한 것은 [62]절차 기억의 학습 부분 동안 자극을 반응과 연결하는 기술 습득 과정과 관련이 있다.
한 연구는 투레트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이 절차 학습을 강화한다는 것을 발견했다.투레트 증후군이 있는 피험자는 전형적으로 발달된 피험자보다 시술 지식을 더 빨리 처리하고 더 정확하게 학습한 시술 기술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또 다른 연구는 투레트 증후군이 있는 피험자가 전형적으로 발달된 피험자보다 규칙 기반의 문법을 더 빨리 처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는 두 가지 가능한 설명이 있습니다.한 가지 설명은 투레트 증후군이 있는 사람이 일단 절차를 배우면, 더 빠른 처리를 지원하는 메커니즘이 있다는 것이다.둘째, 절차기억은 시퀀싱을 하위화하고 문법은 시퀀싱을 요구하기 때문에 절차기억력이 [63]향상되어 투레트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문법처리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절차 기억에 의해 사용되는 신경계는 일반적으로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의 표적이 됩니다; 선조체는 가장 [64]큰 영향을 받는 구조입니다.MRI 연구는 심지어 수술 기억력과 운동 [65]능력 모두에 필요한 이러한 중요한 영역에서 백질 불규칙과 기저핵 피질하 위축을 보여주었다.로터리 추적, 미러 별 추적, 날씨 예측 작업 등 다양한 절차 기억 작업을 사용한 응용 연구는 HIV 양성자가 HIV 음성 참가자보다 더 나쁜 성과를 보인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HIV 양성자가 HIV 음성 참가자보다 나쁜 성과를 보인 것은 이 [66]질병으로 인한 뇌의 특정한 변화 때문이라고 시사합니다.
헌팅턴병
수술기억에 사용되는 뇌의 선조체 영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장애임에도 불구하고, 헌팅턴병을 앓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선조체와 관련된 뇌 [67]질환을 가진 다른 사람들과 같은 기억 장애를 보이지 않는다.그러나 질병의 더 진행된 단계에서, 절차적 기억은 뇌의 피질하 및 전전두피질 내부의 의사소통을 [68]돕는 중요한 뇌 경로의 손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강박장애
신경 영상 연구에 따르면 OCD 환자는 선조체 뇌구조, 특히 전골회로의 현저한 과잉 활성화로 인해 절차적 기억 작업에서 상당히 더 나은 성과를 보인다.이러한 연구는 OCD 환자의 절차 기억력이 절차 [69]기억의 초기 학습 단계에서 비정상적으로 향상된다는 것을 시사한다.OCD에 걸린 사람은 절차적 작업 기억 작업에서 정상 대조군과 크게 [27]다르지 않습니다.
파킨슨병
파킨슨병은 뇌의 전두엽 영역의 일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현재 과학 정보에 따르면 환자에게서 특히 나타나는 기억 성능 문제는 비정상적인 전방 전방 산부 [70]회로에 의해 제어됩니다.파킨슨병 환자는 절차 [71]기억의 획득 단계에서 필요한 시퀀스별 지식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추가적인 증거는 전두엽 네트워크가 이그제큐티브 기능과 관련되며 특정 작업이 환자에게 제시될 때만 작동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이것은 전두엽 회로가 독립적이지만 주의력이나 [72]집중력 같은 여러 가지 일을 돕기 위해 뇌의 다른 영역과 협력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정신분열증
MRI 연구는 현재 관련 약을 복용하지 않은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수술 [73]기억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선조체의 일부인 더 작은 창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정신분열증 환자는 운동계통 및 [74]운동협조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주변 추체외부 시스템과 부적절한 기저신경절 교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가장 최근의 믿음은 정신분열증 환자의 선조체의 기능적 문제가 절차적 학습을 심각하게 해칠 만큼 충분히 크지 않다는 것이지만, 연구는 그 장애가 연습 [75]간격 사이의 과제에서 성과를 향상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만큼 충분히 심각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약품
전반적으로, 절차 기억력에 대한 약물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제한적이다.이러한 제한은 관찰된 약물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더 뚜렷하고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선언적 기억과 달리 절차적 기억은 암묵적이며 따라서 테스트하기가 더 어렵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알코올
알코올이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많이 연구되었지만, 알코올이 시술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연구는 제한적입니다.Pitel A. L. 등에 의해 수행된 연구는 알코올 중독이 의미 개념을 획득하는 능력을 손상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이 연구에서 의미론적 개념은 이해되었지만 절차적 기억은 자동화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이러한 발견의 잠재적 이유는 비알코올 [76]중독자에 비해 알코올 중독자가 학습 전략을 잘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코카인
장기적인 코카인 남용이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는 것은 명백하다.연구에 따르면 장기 코카인 남용에 의해 즉시 영향을 받는 뇌구조에는 전두엽, 방실 주변 및 측두엽의 [77]뇌저혈류가 포함된다.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메모리 시스템에서 역할을 합니다.또한 선조체 내의 DRD1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함으로써 바람직한 효과를 이끌어냄으로써 뇌의 [77]도파민 수치를 증가시킨다.이 수용체들은 절차 기억의 통합에 중요하다.코카인 사용으로 인한 뇌의 도파민 수치 증가는 정신 분열증 [78]환자들에게서 발견되는 뇌의 도파민 수치 증가와 유사하다.연구들은 절차적 기억의 신경망을 더 이해하기 위해 두 경우에 의해 야기되는 일반적인 기억력 결손을 비교했다.도파민의 영향과 정신분열증에 대한 도파민의 역할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려면 정신분열증의 도파민 가설을 참조하십시오.쥐를 사용한 연구는 쥐에게 미량의 코카인을 투여하면 그들의 절차 기억 시스템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특히, 쥐들은 운동 기술 [79]학습을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없다.코카인 남용은 열악한 절차적 학습과 관련이 있으며, 코카인 금주는 운동 기술 학습의 지속적인 향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났다(윌프레드 외).
정신 자극제
대부분의 정신 자극제는 집중력이나 즐거움을 증가시키는 도파민 수용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작용한다.ADHD와 같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정신 자극제의 사용이 의학계에서 더 널리 퍼지고 있다.정신 자극제는 오늘날 학생들과 다른 사회 인구 통계학자들 사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공부하기 위한 수단으로 더 자주 사용되거나 그들의 즐거운 [80]부작용으로 남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에 따르면 정신자극제는 남용되지 않을 경우 절차적 학습 습득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연구에 따르면 d-암페타민과 같은 정신 자극제는 항정신병 약물인 할로페리돌을 절차 학습 [81]과제로 투여한 참가자들에 비해 반응 시간이 낮고 절차 학습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심리 자극제의 흔적을 투여했을 때 시술 기억력의 향상이 두드러졌지만, 많은 연구자들이 심리 자극제를 [82]남용했을 때 시술 기억력이 저하된다는 것을 발견했다.이것은 최적의 절차적 학습을 위해서는 도파민 수치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생각을 도입한다.
수면.
연습은 분명히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완성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40년 이상의 연구로 인간과 동물 모두에서 모든 형태의 기억의 형성이 수면의 뇌 상태에서 크게 향상된다는 것이 잘 입증되었다.게다가, 인간의 경우, 수면은 지속적인 기억 통합 과정에 의해 절차적 지식의 발달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일관되게 보여졌으며, 특히 수면이 기억 [83][84][85][86][87]획득의 초기 단계 이후에 곧 나타날 때 더욱 그러하다.메모리 통합은 새로운 기억을 비교적 취약한 상태에서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상태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오랜 시간 동안 절차적 기억의 통합은 [88][89]오직 시간의 함수로서만 이루어졌다고 믿었지만, 보다 최근의 연구는 특정 형태의 학습의 경우 통합 과정이 [90]수면 기간 동안만 강화된다는 것을 시사한다.단, 모든 유형의 수면이 절차 기억력과 후속 절차 작업에 대한 성과를 향상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실제로 운동 기술의 영역 내에서 [91]낮잠과 같은 짧은 비급속 안구 운동(NREM; 2-4단계) 수면 후에 작업에 대한 개선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증거가 있다.느린 파도 수면 기간(SWS; 결합된 3단계와 4단계 그리고 가장 깊은 형태의 NREM 수면) 후 렘 수면은 절차적 기억력 향상에 가장 유익한 수면 유형으로, 특히 기술을 처음 습득한 직후에 일어나는 수면이다.따라서 기본적으로 기술을 습득한 후 바로 하룻밤(또는 낮) 동안 중단 없이 잠을 자면 가능한 한 많은 기억력을 통합할 수 있습니다.또한 REM sleep이 중단될 경우 [92]절차 수행에 아무런 이득이 없습니다.그러나 SWS에 이어 REM 수면이 뒤따르는 한 연습 후 수면이 야간이든 낮이든 동일하게 개선됩니다.또한 기억력 향상은 학습된 자극에 특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즉, 달리기 기술을 배우는 것은 자전거 [93]성능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Wff'n Proof Task,[94][95][96] [97]Honoyo 타워 및 Mirror Tracing[98] Task의 대상 퍼포먼스는 REM sleep 기간 후에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스킬을 명시적으로(주의 깊게) 학습하든 암묵적으로 학습하든 각 스킬은 오프라인 통합 효과에서 역할을 합니다.연구에 따르면 습득 과정에서 습득하는 기술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이해는 수면 [99]중 절차 기억의 통합을 크게 개선합니다.학습 시 의도와 인식이 대부분의 기억 형태의 습득을 촉진한다는 것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에 이 발견은 놀라운 것이 아니다.
언어
언어는 기억으로부터 정보를 얻어내고 그 정보를 문맥에 따라 더 크고 복잡한 단위로 결합하는 뇌의 능력 때문에 작동한다.이 과정의 후반부를 [100]통일이라고 한다.여러 연구의 결과는 절차적 기억이 순차적 통일뿐만 아니라 통사적 프라이밍과 문법적 처리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한 연구는 Korsakoff 증후군 환자를 사용하여 절차적 기억이 통사적 프라이밍을 수행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Korsakoff의 환자들은 선언적 기억력에 결함이 있지만, 그들의 비타협적 기억력은 보존되어 연구처럼 구문적 프라이밍 작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이 결과는 구문 프라이밍이 비압축 기억 함수임을 증명합니다.이 환자들은 또한 적절한 문법적 문장을 형성할 수 있었고, 이는 절차적 기억이 구문적 [101]프라이밍과 더불어 문법적 처리를 담당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 다른 연구 결과는 절차적 기억이 문법을 보조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이 연구는 두 그룹에 대한 일련의 테스트를 포함했다. 하나는 전형적으로 발달하는 그룹이고 다른 하나는 발달 언어 장애 그룹이다.DLD를 가진 사람들은 절차적 기억 기능의 결함으로 인해 올바른 문법 사용에 어려움을 겪습니다.전체적으로 기술 대표 그룹은 DLD 그룹보다 각 과제를 더 잘 수행했으며 문법 처리 속도도 더 우수했습니다.따라서, 이 연구는 문법적 처리가 절차적 [102]기억의 함수라는 것을 보여준다.
Dalhousie University의 연구원들이 2010년에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주어-객체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단어 순서보다는 도움이 되는 단어나 접미사를 사용해야 하는 구어는 절차적 기억력에 의존한다.워드순서에 의존하는 언어는 동등한 [103]작업을 위해 단기 메모리에 의존합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 자동 – 필요한 낮은 수준의 세부 사항으로 마음을 빼앗기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Dreyfus 기술 습득 모델
- 명시적 기억 – 장기간의 인간 기억 유형
- 카타 - 무술의 동작 패턴 상세화
- 운동 학습 – 신경계의 구조/기능 변화를 반영하는 유기체의 움직임
- 근육 기억 – 반복을 통해 운동 태스크를 메모리에 통합
- 신경가소성 – 뇌의 지속적인 변화 능력
- 절차 지식 – 무언가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수면과 기억 – 수면과 기억의 관계
- 작업 메모리 – 정보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인지 시스템
각주
- ^ Bullemer, P.; Nissen, MJ.; Willingham, D.B. (1989). "On the Development of Procedural Knowledg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5 (6): 1047–1060. doi:10.1037/0278-7393.15.6.1047. PMID 2530305.
- ^ Squire, L.R. (2004). "Memory systems of the brain: A brief history and current perspective". Neurobiology of Learning and Memory. 82 (3): 171–177. CiteSeerX 10.1.1.319.8326. doi:10.1016/j.nlm.2004.06.005. PMID 15464402. S2CID 9008932.
- ^ Oberauer, Klaus (2009). "Chapter 2 Design for a Working Memory".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PDF). Vol. 51. pp. 45–100. doi:10.1016/s0079-7421(09)51002-x. ISBN 9780123744890.
- ^ Oberauer, Klaus; Souza, Alessandra S.; Druey, Michel D.; Gade, Miriam (2013). "Analogous mechanisms of selection and updating in declarative and procedural working memory: Experiments and a computational model". Cognitive Psychology. 66 (2): 157–211. doi:10.1016/j.cogpsych.2012.11.001. PMID 23276689. S2CID 20150745.
- ^ Souza, Alessandra da Silva; Oberauer, Klaus; Gade, Miriam; Druey, Michel D. (1 May 2012). "Processing of representations in declarative and procedural working memory".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65 (5): 1006–1033. doi:10.1080/17470218.2011.640403. ISSN 1747-0218. PMID 22332900. S2CID 27824663.
- ^ Gade, Miriam; Druey, Michel D.; Souza, Alessandra S.; Oberauer, Klaus (2014). "Interference within and between declarative and procedural representations in working memory".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76: 174–194. doi:10.1016/j.jml.2014.07.002.
- ^ Gade, Miriam; Souza, Alessandra S.; Druey, Michel D.; Oberauer, Klaus (1 January 2017). "Analogous selection processes in declarative and procedural working memory: N-2 list-repetition and task-repetition costs". Memory & Cognition. 45 (1): 26–39. doi:10.3758/s13421-016-0645-4. ISSN 0090-502X. PMID 27517876.
- ^ a b P. G. Zimbardo와 R. J. G.(1999년).심리학과 인생. (15일자)뉴욕: 롱맨.
- ^ a b c d e f Fitts, P. M. (1954). "The information capacity of the human motor system in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movement".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47 (6): 381–391. doi:10.1037/h0055392. PMID 13174710. S2CID 501599.
- ^ a b c d e f 핏츠, P.M., 포즈너, M.I. (1967년)휴먼 퍼포먼스벨몬트, 캘리포니아: 브룩스/콜
- ^ Tadlock, D: 오른쪽 읽기!Dee Tadlock 박사님의 자녀에게 탁월한 읽기 능력을 지도합니다.뉴욕: McGraw-Hill, 2005년
- ^ Scott, C. 등:2009~2010년 오마하 중·고등학교의 독서권 평가.스캇, K넬스튜엔, E오토오, T도센, M. 하니타
- ^ Council, National Research (23 August 1999).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Expanded Edition. p. 177. doi:10.17226/9853. ISBN 9780309070362.
- ^ Eduardo., Mercado; E., Myers, Catherine (1 January 2014). Learning and memory : from brain to behavior. Worth Publishers. p. 311. ISBN 9781429240147. OCLC 900627172.
- ^ Eduardo., Mercado; E., Myers, Catherine (2014). Learning and memory : from brain to behavior. pp. 311–312. ISBN 9781429240147. OCLC 961181739.
- ^ Eduardo., Mercado; E., Myers, Catherine (2014). Learning and memory : from brain to behavior. p. 312. ISBN 9781429240147. OCLC 961181739.
- ^ "Cognitive Atlas".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13. Retrieved 27 February 2012.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PEBL Blog: The Pursuit Rotor Task". 24 April 2010.
- ^ Lang, Rudie J. (1981). "Learning and reminiscence in the pursuit rotor performance of normal and depressed subjec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 (3): 207–213. doi:10.1016/0191-8869(81)90025-8.
- ^ a b Allen, J.S.; Anderson, S.W.; Castro-Caldas, A.; Cavaco, S.; Damasio, H. (2004). "The scope of preserved procedural memory in amnesia". Brain. 127 (8): 1853–67. doi:10.1093/brain/awh208. PMID 15215216.
- ^ Dotto, L (1996). "Sleep Stages, Memory and Learning".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154 (8): 1193–6. PMC 1487644. PMID 8612256.
- ^ Balota, D.A.; Connor, L.T.; Ferraro, F.R. (1993). "Implicit Memory and the Formation of New Associations in Nondemented Parkinson's Disease Individuals and Individuals with Senile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A Serial Reaction Time (SRT) Investigation". Brain and Cognition. 21 (2): 163–180. doi:10.1006/brcg.1993.1013. PMID 8442933. S2CID 36405765.
- ^ a b c d Corkin, S.; Gabrieli, J. D. E.; Growdon, J. H.; Mickel, S. F. (1993). "Intact Acquisition and Long-Term Retention of Mirror-Tracing Skill in Alzheimer's Disease and in Global Amnesia". Behavioral Neuroscience. 107 (6): 899–910. doi:10.1037/0735-7044.107.6.899. PMID 8136066. S2CID 18015440.
- ^ a b Packard, M.G.; Poldrack, R.A. (2003). "Competition among multiple memory systems: converging evidence from animal and human brain studies". Neuropsychologia. 41 (3): 245–251. doi:10.1016/s0028-3932(02)00157-4. PMID 12457750. S2CID 1054952.
- ^ Shahar, Nitzan; Teodorescu, Andrei R.; Usher, Marius; Pereg, Maayan; Meiran, Nachshon (2014). "Selective influence of working memory load on exceptionally slow reaction time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43 (5): 1837–1860. doi:10.1037/a0037190. PMID 25000446.
- ^ a b Shahar, Nitzan; Teodorescu, Andrei R.; Anholt, Gideon E.; Karmon-Presser, Anat; Meiran, Nachshon (2017). "Examining procedural working memory processing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sychiatry Research. 253: 197–204. doi:10.1016/j.psychres.2017.03.048. PMID 28390295. S2CID 13070999.
- ^ Chase, W. G.; Simon, H. A. (1973). "Perception in chess". Cognitive Psychology. 4: 55–81. doi:10.1016/0010-0285(73)90004-2.
- ^ Starkes, J. L., & Deakin, J. (1984년).스포츠에서의 인식: 숙련된 경기력에 대한 인지적 접근.W. F. Straub & J. M. Williams (Eds.)에서 인지 스포츠 심리학 (p. 115–128).랜싱, 미: 스포츠 과학 협회.
- ^ Chi, M. T.; Feltovich, P. J.; Glaser, R. (1981). "Categorization and representation of physics problems by experts and novices". Cognitive Science. 5 (2): 121–152. doi:10.1207/s15516709cog0502_2.
- ^ 테네바움, G. & Bar-Eli, M. (1993)스포츠에서의 의사결정: 인지적 관점.R. N. Singer, M. Murphey & L. K.에서.테넌트(Eds), 스포츠 심리학 연구 핸드북(171–192페이지)뉴욕: 맥밀런.
- ^ a b Beilock, S.L.; Carr, T.H.; MacMahon, C.; Starkes, J.L. (2002). "When Paying Attention Becomes Counterproductive: Impact of Divided Versus Skill-Focused Attention on Novice and Experienced Performance of Sensorimotor Skill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Applied. 8 (1): 6–16. doi:10.1037/1076-898x.8.1.6. PMID 12009178. S2CID 15358285.
- ^ 앤더슨, J. R. (1983)인식의 구조입니다.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하버드 대학 출판부.
- ^ a b 앤더슨, J. R. (1993)마음의 규칙.힐스데일, 뉴저지 주: 얼바움.
- ^ 프록터, R. W., & Dutta, A.(1995).스킬 습득과 인간 퍼포먼스.사우전드 오크스, CA: 세이지.
- ^ a b Langer, E.; Imber, G. (1979). "When practice makes imperfect: Debilitating effects of overlear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11): 2014–2024. doi:10.1037/0022-3514.37.11.2014. PMID 521900.
- ^ Anderson, J. R. (1982). "Acquisition of a cognitive skill". Psychological Review. 89 (4): 369–406. doi:10.1037/0033-295x.89.4.369. S2CID 18877678.
- ^ a b c d e Beilock, S.L.; Carr, T. (2001). "On the Fragility of Skilled Performance: What Governs Choking Under Pressur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30 (4): 701–725. CiteSeerX 10.1.1.172.5140. doi:10.1037/e501882009-391.
- ^ Lewis, B.; Linder, D. (1997). "Thinking about choking? Attentional processes and paradoxical performan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3 (9): 937–944. doi:10.1177/0146167297239003. PMID 29506446. S2CID 3702775.
- ^ Kimble, G. A.; Perlmuter, L. C. (1970). "The problem of volition". Psychological Review. 77 (5): 361–384. doi:10.1037/h0029782. PMID 4319166.
- ^ Masters, R. S. (1992). "Knowledge, knerves and know-how: The role of explicit versus implicit knowledge in the breakdown of a complex motor skill under pressure".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3 (3): 343–358. doi:10.1111/j.2044-8295.1992.tb02446.x.
- ^ Otten, M (2009). "Choking vs. Clutch Performance: A Study of Sport Performance Under Pressur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31 (5): 583–601. doi:10.1123/jsep.31.5.583. PMID 20016110. S2CID 17296824.
- ^ Baumeister, Roy F (1984). "Choking under pressure: Self-consciousness and paradoxical effects of incentives on skillful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3): 610–620. doi:10.1037/0022-3514.46.3.610. PMID 6707866. S2CID 43839986.
- ^ "Sports News, Opinion, Scores, Schedules".
- ^ Fox, Paul W.; Hershberger, Scott L.; Bouchard, Thomas J. (28 November 1996).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tributions to the acquisition of a motor skill". Nature. 384 (6607): 356–358. Bibcode:1996Natur.384..356F. doi:10.1038/384356a0. PMID 8934520. S2CID 4354381.
- ^ Eduardo., Mercado; E., Myers, Catherine (1 January 2014). Learning and memory : from brain to behavior. Worth Publishers. pp. 307–308. ISBN 9781429240147. OCLC 900627172.
- ^ Wulf, Gabriele; Shea, Charles H. (1 June 2002). "Principles derived from the study of simple skills do not generalize to complex skill learning".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9 (2): 185–211. doi:10.3758/BF03196276. ISSN 1069-9384. PMID 12120783.
- ^ Alexander, GE; Crutcher, MD (1990). "Functional architecture of basal ganglia circuits; neural substrates of parallel processing". Trends Neurosci. 13 (7): 266–271. doi:10.1016/0166-2236(90)90107-l. PMID 1695401. S2CID 3990601.
- ^ Haber, SN; Fudge, JL; McFarland, NR (2000). "Striatonigrostriatal pathways in primates form an ascending spiral from the shell to the dorsolateral striatum". J. Neurosci. 20 (6): 2369–2382. doi:10.1523/JNEUROSCI.20-06-02369.2000. PMC 6772499. PMID 10704511.
- ^ Parent, A (1990). "Extrinsic connections of the basal ganglia". Trends Neurosci. 13 (7): 254–258. doi:10.1016/0166-2236(90)90105-j. PMID 1695399. S2CID 3995498.
- ^ Smith, Y.; Raju, D. V.; Pare, J. F.; Sidibe, M. (2004). "The thalamostriatal system: a highly specific network of the basal ganglia circuitry". Trends Neurosci. 27 (9): 520–527. doi:10.1016/j.tins.2004.07.004. PMID 15331233. S2CID 22202019.
- ^ Zhou, FM; Wilson, CJ; Dani, JA (2002). "Cholinergic Interneuron characteristics and nicotinic properties in the striatum". J. Neurobiol. 53 (4): 590–605. doi:10.1002/neu.10150. PMID 12436423.
- ^ Kreitzer, AC (2009). "Physiology and pharmacology of striatal neurons".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32: 127–47. doi:10.1146/annurev.neuro.051508.135422. PMID 19400717.
- ^ Saywell, N; Taylor, D (October 2008). "The role of the cerebellum in procedural learning – are there implications for physiotherapists' clinical practice?".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 24 (5): 321–8. doi:10.1080/09593980701884832. PMID 18821439. S2CID 205654506.
- ^ Nagao, S; Kitazawa, H (2008). "Role of the cerebellum in the acquisition and consolidation of motor memory". Brain Nerve. 60 (7): 783–90. PMID 18646618.
- ^ Shu, S.Y.; Bao, X.M.; Li, S.X.; Chan, W.Y.; Yew, D. (2000). "A New Subdivision, Marginal Division, in the Neostriatum of the Monkey Brain". Biomedical and Life Sciences. 25 (2): 231–7. doi:10.1023/a:1007523520251. PMID 10786707. S2CID 11876741.
- ^ Yun Shu, Si; Min Bao, Xin; Ning, Qun; Ming Wu, Yong; Wang, Jun; Leonard, Brian E. (2003). "New component of the limbic system; Marginal division of the neostriatum that links the limbic system to the basal nucleus of Meynert".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71 (5): 751–757. doi:10.1002/jnr.10518. PMID 12584733. S2CID 21343863.
- ^ Mizumori, SJ; Puryear, CB; Martig, AK (April 2009). "Basal ganglia contributions to adaptive navigation". Behav. Brain Res. 199 (1): 32–42. doi:10.1016/j.bbr.2008.11.014. PMID 19056429. S2CID 2934467.
- ^ Zellner, MR; Rinaldi, R (2009). "How conditioned stimuli acquire the ability to activate VTA dopamine cells; A proposed neurobiological component of reward-related learning". Neurosci. Biobehav. Rev. 34 (5): 769–780. doi:10.1016/j.neubiorev.2009.11.011. PMID 19914285. S2CID 23468580.
- ^ Pittenger, C; Fasano, S; Mazzocchi-Jones, D; Dunnett, SB; Kandel, ER; Brambilla, R (2006). "Impaired bidirectional synaptic plasticity and procedural memory formation in striatum-specific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deficient mice". J Neurosci. 26 (10): 2808–13. doi:10.1523/jneurosci.5406-05.2006. PMC 6675171. PMID 16525060.
- ^ Dere, E.; Zlomuzica, A.; Viggiano, D.; Ruocco, L.A.; Watanabe, T.; Sadile, A.G.; Huston, J.P.; Souza-Silva, M.A. De (2008). "Episodic-like and procedural memory impairments in histamine H1 Receptor knockout mice coincide with changes in acetylcholine esterase activity in the hippocampus and dopamine turnover in the cerebellum". Neuroscience. 157 (3): 532–541. doi:10.1016/j.neuroscience.2008.09.025. PMID 18926883. S2CID 25761772.
- ^ Marsh, R; Alexander, GM; Packard, MG; Zhu, H; Peterson, BS (2005). "Perceptual-motor skill learning in Gilles de la Tourette syndrome. Evidence for multiple procedural learning and memory systems". Neuropsychologia. 43 (10): 1456–65. doi:10.1016/j.neuropsychologia.2004.12.012. PMID 15989936. S2CID 43393976.
- ^ Takács, A; et, al. (2017). "Is procedural memory enhanced in Tourette syndrome? Evidence from a sequence learning task" (PDF). Cortex. 100: 84–94. doi:10.1016/j.cortex.2017.08.037. PMID 28964503. S2CID 3634434.
- ^ Reger, M; Welsh, R; Razani, J; Martin, DJ; Boone, KB (2002). "A meta-analysis of the neuropsychological sequelae of HIV infection".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8 (3): 410–424. doi:10.1017/s1355617702813212. PMID 11939699. S2CID 30520253.
- ^ Chang, L; Lee, PL; Yiannoutsos, CT; Ernst, T; Marra, CM; Richards, T; et al. (2004). "A multicenter in vivo proton-MRS study of HIV-associated dementia and its relationship to age". NeuroImage. 23 (4): 1336–1347. doi:10.1016/j.neuroimage.2004.07.067. PMID 15589098. S2CID 2664814.
- ^ Gonzalez, R; Jacobus, J; Amatya, AK; Quartana, PJ; Vassileva, J; Martin, EM (2008). "Deficits in complex motor functions, despite no evidence of procedural learning deficits, among HIV+ individuals with history of substance dependence". Neuropsychology. 22 (6): 776–86. doi:10.1037/a0013404. PMC 2630709. PMID 18999351.
- ^ Sprengelmeyer, R; Canavan, AG; Lange, HW; Hömberg, V (January 1995). "Associative learning in degenerative neostriatal disorders: contrasts in explicit and implicit remembering between Parkinson's and Huntington's diseases". Mov Disord. 10 (1): 51–65. doi:10.1002/mds.870100110. PMID 7885356. S2CID 38578307.
- ^ Saint-Cyr JA, Taylor AE, Lang AE. (1988) "인간의 절차적 학습과 신생 기능 장애" Brain 1988 8월 111일 (4페이지):941-59.
- ^ Roth, RM; Baribeau, J; Milovan, D; O'Connor, K; Todorov, C (September 2004). "Procedural and declarative memory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J Int Neuropsychol Soc. 10 (5): 647–54. doi:10.1017/s1355617704105018. PMID 15327712. S2CID 29064519.
- ^ Sarazin, M; Deweer, B; Pillon, B; Merkl, A; Dubois, B (December 2001). "Procedural learning and Parkinson disease: implication of striato-frontal loops". Rev Neurol. 157 (12): 1513–8. PMID 11924447.
- ^ Muslimovic, D; Post, B; Speelman, JD; Schmand, B (November 2007). "Motor procedural learning in Parkinson's disease". Brain. 130 (11): 2887–97. doi:10.1093/brain/awm211. PMID 17855374.
- ^ Sarazin, M; Deweer, B; Merkl, A; Von Poser, N; Pillon, B; Dubois, B (March 2002). "Procedural learning and striatofrontal dys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Mov Disord. 17 (2): 265–73. doi:10.1002/mds.10018. PMID 11921111. S2CID 32165795.
- ^ Lang, DJ; Kopala; Smith, GN; et al. (1999). "MRI study of basal ganglia volumes in drug-naive first-episod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chizophr Res. 36: 202.
- ^ A Chatterjee, M Chakos, A Koreen, S Geisler, B Shheitman, M Woerner, JM Kane J Alvir 및 Ja(1995)."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정신분열증 환자의 추체 외 징후와 자발적 운동장애의 선결과 임상적 상관관계" Am J Psychology 1995년 12월, 152(12); 1724-9.
- ^ Schérer, H; Stip, E; Paquet, F; Bédard, MA (Winter 2003). "Mild procedural learning disturbances in neuroleptic-naiv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Journal of Neuropsychiatry. 15 (1): 58–63. doi:10.1176/appi.neuropsych.15.1.58. PMID 12556572.
- ^ Pitel, A. L.; Witkowski, T.; Vabret, F.; Guillery-Girard, B.; Desgranges, B.; Eustache, F.; Beaunieux, H. (2007). "Effect of episodic and working memory impairments on semantic and cognitive procedural learning at alcohol treatment entry" (PDF). Alcohol Clin Exp Res. 31 (2): 238–48. doi:10.1111/j.1530-0277.2006.00301.x. PMID 17250615.
- ^ a b Strickland, T. L.; Mena, I.; Villanueva-Meyer, J.; Miller, B. L.; Cummings, J.; Mehringer, C. M.; Satz, P.; Myers, H. (1993). "Cerebral perfusion and neuro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chronic cocaine use". Th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5 (4): 419–427. doi:10.1176/jnp.5.4.419. PMID 8286941.
- ^ Serper, M. R.; Bermanc, A.; Copersinoa, M. L.; Choub, J. C. Y.; Richarmea, D.; Cancrob, R. (2000).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in cocaine-dependent and comorbid schizophrenic patients". Psychiatry Research. 93 (1): 21–32. doi:10.1016/s0165-1781(99)00122-5. PMID 10699225. S2CID 44527373.
- ^ Willuhn I, Steiner H. (2008) 새로운 러닝휠 과제에서의 운동 기술 학습은 선조체의 D1 도파민 수용체에 의존한다.신경과학, 4월 22일; 153 (1); 249-58.2008년 2월 6일
- ^ McCabe, S. E., Knight, J. R., Teter, C. J., Wechsler, H. (2004)미국 대학생들 사이에서 처방된 자극제의 비의료적 사용: 유행률과 국가별 조사와의 상관관계.조사 보고서
- ^ Kumari, V., Gray, J.A., Corr, P.J., 멀리건, O.F., Cotter, P.A., Checkley, S.A.(1997).d-암페타민과 할로페리돌의 급성 투여가 인간의 절차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정신약리학 저널 129(3); 271~276
- ^ Toomey, R.; Lyons, M. J.; Eisen, S. A.; Xian, Hong; Chantarujikapong, Sunanta; Seidman, L. J.; Faraone, S.; Tsuang, M. T. (2003). "A Twin Study of the Neuro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Stimulant Abuse". Arch Gen Psychiatry. 60 (3): 303–310. doi:10.1001/archpsyc.60.3.303. PMID 12622664.
- ^ Karni, A.; Tanne, D.; Rubenstein, B.S.; Askenasy, J.J.; Sagi, D. (1994). "Dependence on REM sleep of overnight improvement of a perceptual skill". Science. 265 (5172): 679–682. Bibcode:1994Sci...265..679K. doi:10.1126/science.8036518. PMID 8036518.
- ^ Gais, S.; Plihal, W.; Wagner, U.; Born, J. (2000). "Early sleep triggers memory for early visual discrimination skills". Nat. Neurosci. 3 (12): 1335–1339. doi:10.1038/81881. PMID 11100156. S2CID 2075857.
- ^ Stickgold, R.; James, L.; Hobson, J.A. (2000a). "Visual discrimination learning requires sleep after training". Nat. Neurosci. 3 (12): 1237–1238. doi:10.1038/81756. PMID 11100141.
- ^ Stickgold, R.; Whidbee, D.; Schirmer, B.; Patel, V.; Hobson, J.A. (2000b). "Visual discrimination task improvement: A multi-step process occurring during sleep". J. Cogn. Neurosci. 12 (2): 246–254. doi:10.1162/089892900562075. PMID 10771409. S2CID 37714158.
- ^ Walker, M.P.; Brakefield, T.; Morgan, A.; Hobson, J.A.; Stickgold, R. (2002). "Practice with sleep makes perfect: Sleep dependent motor skill learning". Neuron. 35 (1): 205–211. doi:10.1016/s0896-6273(02)00746-8. PMID 12123620. S2CID 7025533.
- ^ Brashers-Krug, T.; Shadmehr, R.; Bizzi, E. (1996). "Consolidation in human motor memory". Nature. 382 (6588): 252–255. Bibcode:1996Natur.382..252B. CiteSeerX 10.1.1.39.3383. doi:10.1038/382252a0. PMID 8717039. S2CID 4316225.
- ^ McGaugh, J.L. (2000). "Memory—A century of consolidation". Science. 287 (5451): 248–251. Bibcode:2000Sci...287..248M. doi:10.1126/science.287.5451.248. PMID 10634773. S2CID 40693856.
- ^ Fischer, S.; Hallschmid, M.; Elsner, A.L.; Born, J. (2002). "Sleep forms memory for finger skills". Proc. Natl. Acad. Sci. USA. 99 (18): 11987–11991. Bibcode:2002PNAS...9911987F. doi:10.1073/pnas.182178199. PMC 129381. PMID 12193650.
- ^ Siegel, J. M. (2001). "The REM sleep-memory consolidation hypothesis". Science. 294 (5544): 1058–1063. Bibcode:2001Sci...294.1058S. doi:10.1126/science.1063049. PMC 8760621. PMID 11691984. S2CID 2214566.
- ^ Karni, A.; Meyer, G.; Rey-Hipolito, C.; Jezzard, P.; Adams, M.M.; Turner, R.; Ungerleider, L.G. (1998). "The acquisition of skilled motor performance: Fast and slow experience-driven changes in primarymotor cortex". Proc. Natl. Acad. Sci. USA. 95 (3): 861–868. Bibcode:1998PNAS...95..861K. doi:10.1073/pnas.95.3.861. PMC 33809. PMID 9448252.
- ^ Mednick, S.C.; et al. (2003). "Sleep-dependent learning: a nap is as good as a night". Nat. Neurosci. 6 (7): 697–698. doi:10.1038/nn1078. PMID 12819785. S2CID 16348039.
- ^ Smith C. REM 수면 및 학습: 최근 발견.입력: Moffit A, Kramer M, Hoffman H, 편집자.꿈의 기능.올버니:SUNY; 1993년
- ^ Smith, C; Fazekas, A (1997). "Amount of REM sleep and Stage 2 sleep required for efficient learning". Sleep Res. 26: 690.
- ^ Smith, C; Weeden, K (1990). "Post training REMs coincident auditory stimulation enhances memory in humans". Psychiatr J Univ Ott. 15 (2): 85–90. PMID 2374793.
- ^ Smith, CT; Nixon, MR; Nader, RS (2004). "Post training increases in REM sleep intensity implicate REM sleep in memory processing and provide a biological marker of learning potential". Learn Mem. 11 (6): 714–9. doi:10.1101/lm.74904. PMC 534700. PMID 15576889.
- ^ Conway J, Smith C. REM의 인간 수면 및 학습: 특정 유형의 학습 태스크에 대한 민감성.인: 유럽수면연구회 제12차 총회 진행.1994.
- ^ Robertson, E.M.; et al. (2004). "Awareness modifies skill-learning benefits of sleep". Curr. Biol. 14 (3): 208–212. doi:10.1016/s0960-9822(04)00039-9. PMID 14761652.
- ^ Hagoort, Peter (2013). "MUC (Memory, Unification, Control) and beyond". Frontiers in Psychology. 4: 416. doi:10.3389/fpsyg.2013.00416. PMC 3709422. PMID 23874313.
- ^ Heyselaar, Evelien; Segaert, Katrien; Walvoort, Serge J.W.; Kessels, Roy P.C.; Hagoort, Peter (2017). "The role of nondeclarative memory in the skill for language: Evidence from syntactic priming in patients with amnesia" (PDF). Neuropsychologia. 101: 97–105. doi:10.1016/j.neuropsychologia.2017.04.033. hdl:11858/00-001M-0000-002D-4D0D-1. PMID 28465069. S2CID 4109634.
- ^ Clark, Gillian M.; Lum, Jarrad A.G. (2017). "Procedural memory and speed of grammatical processing: Comparison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language impaired children".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71: 237–247. doi:10.1016/j.ridd.2017.10.015. PMID 29073489.
- ^ 언어는 뇌의 다른 부분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