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강수량

Precipitation
전지구 고해상도 기후 데이터(CHELSA)[1]에 근거한 평균 강수량
연평균 강수량 기준 국가.주의: 한 나라의 일부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훨씬 더 습할 수 있기 때문에 지구상에서 가장 습하고 건조한 지역을 정확하게 묘사할 수 없습니다.

기상학에서 강수량은 구름의 [2]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대기수증기응축의 산물이다.강수량의 주요 형태로는 이슬비, 비, 진눈깨비, 눈, 얼음 알갱이, 그루펠, 우박있다.강수량은 대기의 일부가 수증기로 포화되면서(상대습도 100%에 도달) 물이 응축되고 "침전"되거나 떨어질 때 발생한다.따라서 안개와 안개는 강수량이 아니라 콜로이드로 수증기가 침전할 정도로 응축되지 않기 때문이다.두 가지 과정이 함께 작용하면 공기가 포화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즉, 공기를 냉각하거나 공기에 수증기를 추가하는 것입니다.강수량은 작은 물방울이 구름 속의 다른 빗방울이나 얼음 결정과 충돌하여 합쳐지면서 형성됩니다.산재한 곳에 짧고 강한 비가 내리는 것을 [3]소나기라고 한다.

표면의 아냉동 공기 층 위로 상승하거나 강제로 상승하는 습기는 구름과 비로 응축될 수 있습니다.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얼어붙은 비가 발생할 때 활성화됩니다.정지 전선은 종종 얼어붙은 비가 내리는 지역 근처에 존재하며, 공기를 강제하고 상승시키는 초점 역할을 한다.대기 중 수분 함량이 충분할 경우 상승 공기 중의 수분이 구름으로 응축됩니다. 즉, 많은 양의 강수량이 수반되면 난간적란운입니다.결국, 구름 방울들은 빗방울을 형성할 정도로 충분히 커질 것이고 노출된 물체와 접촉하면 얼어붙게 될 지구 쪽으로 내려갈 것이다.호수에서 물이 증발하는 등 비교적 따뜻한 수역이 존재하는 경우, 온대성 사이클론 후면의 차가운 사이클론 흐름 내에서 따뜻한 호수의 바람 아래쪽에 호수 효과 적설은 우려 사항이 된다.호수에 의한 폭설은 국지적으로 심할 수 있다.천둥사이클론의 콤마 헤드와 호수 영향 강수 대역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산악지역에서는 고도에서 풍향측에서 상승흐름이 극대화되는 많은 비가 내릴 수 있다.산의 바람 부는 쪽에서는 압축 가열로 인한 건조한 공기로 인해 사막 기후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대부분의 강수량은 열대지방에서[4] 발생하며 대류에 의해 발생한다.열대간 수렴대인 몬순 기압골의 이동은 사바나 지역장마철을 가져온다.

강수량은 의 순환의 주요 요소이며, 지구에 민물을 축적하는 역할을 한다.매년 약 505,000 입방 킬로미터(121,000 cumi)의 물이 강우량으로서 내린다: 바다 위 398,000 입방 킬로미터(95,000 cumi),[5] 육지 위 107,000 입방 킬로미터(26,000 cumi).지구 표면적을 고려할 때, 이는 전 세계 연평균 강수량이 990mm(39인치)이지만 육지에서는 715mm(28.1인치)에 불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쾨펜 기후 분류 시스템과 같은 기후 분류 시스템은 다른 기후 시스템을 구별하기 위해 평균 연간 강우량을 사용한다.지구 온난화는 이미 날씨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고, 일부 지역에서는 강수량을 증가시키고 있고, 다른 지역에서는 강수량을 감소시켜, 추가적인 극단적[6]날씨를 초래하고 있다.

강수량은 다른 천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토성의 가장 위성인 타이탄은 천천히 내리는 [7]가랑비로 메탄 강우량을 관측하고 있는데, 이는[8] 토성의 [9][10]적도와 극지방에서 가 고이는 으로 관측되고 있다.

종류들

많은 비를 동반한 뇌우

강수량은 의 순환의 주요 요소이며, 지구에 대부분의 담수를 축적하는 데 책임이 있다.매년 약 505,000km3(121,000mi3)의 물이 강우량으로 떨어지며, 그 중 398,000km3(95,000cumi)가 [5]바다 위로 내려갑니다.지구 표면적을 고려할 때, 이는 전 세계 연평균 강수량이 990mm(39인치)임을 의미한다.

강수량을 생성하는 메커니즘에는 대류성,[12] [11]층상성지형성 강우가 포함됩니다.대류 과정에는 1시간 이내에 그 위치에서 대기가 뒤집히고 많은 [13]비가 내릴 수 있는 강한 수직 운동이 수반되는 반면, 성층상 과정에는 더 약한 상승 운동과 덜 강한 [14]강수가 수반된다.강수량은 액체 상태의 물인지, 표면과 접촉하여 얼리는 액체 상태의 물인지, 얼음인지에 따라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서로 다른 범주의 유형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강수 혼합물이 동시에 떨어질 수 있다.액체 형태의 강수에는 비와 가랑비가 포함된다.영하의 기단 내에서 닿으면 얼어붙는 비 또는 가랑비를 "얼음 비" 또는 "얼음 이슬비"라고 합니다.얼어붙은 강수 형태로는 눈, 얼음 바늘, 얼음 알갱이, 우박, 그리고 [15]그라우펠이 있다.

측정.

액체 침전
강우량(가랑비와 비 포함)은 보통 우량계를 사용하여 측정되며 높이 또는 깊이밀리미터(mm) 단위로 표시됩니다.마찬가지로 채취면적당 물의 부피 치수를 리터/제곱미터(L/m2) 단위로 한 물리량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1L=1dm3=1mm·m로2 하면 면적 m2 단위가 소거되어 간단히 "mm"가 된다.이는 또한 물 1리터의 질량이 1kg(수밀도)이라고 가정할 경우 kg/m2 단위로 표시되는 면적 밀도에 해당하며, 이는 가장 실용적인 목적에 적합하다.대응하는 영어 단위는 보통 인치입니다.미터법 이전의 호주에서는 강우량이 100분의 [citation needed]1인치로 정의된 "점"으로 측정되었다.
고체 강수량
측정기는 보통 고체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눈은 보통 용기에 눈을 넣고 높이를 측정하여 센티미터 단위로 측정됩니다.그런 다음 선택적으로 눈을 녹여 액체 강수량과 같은 밀리미터 단위의 물 등가 측정치를 얻을 수 있다.눈 높이와 물 등가물의 관계는 눈의 수분 함량에 따라 달라지며, 따라서 물 등가물은 눈 깊이의 대략적인 추정치만 제공할 수 있다.눈 알갱이, 우박, 심지어 진눈깨비(비와 눈이 섞인 것)와 같은 다른 형태의 고체 강수량도 녹여서 보통 액체 [citation needed]강수량처럼 밀리미터로 표현되는 물 등가물로 측정할 수 있다.

공기가 포화되는 방법

이슬점까지 냉각 공기

덴마크의 늦여름 폭풍우
와이오밍 산맥으로 인한 렌즈 구름 형성

이슬점은 공기 덩어리가 포화 상태가 되기 위해 냉각되어야 하는 온도이며, (초포화가 발생하지 않는 한) 물로 [16]응축됩니다.수증기는 보통 구름을 형성하기 위해 먼지, 얼음, 소금과 같은 응축 핵에서 응축되기 시작합니다.구름 응축 핵의 농도에 따라 구름 미세물리학이 [17]결정됩니다.전방 구역의 높은 부분은 고단 또는 서로스트라투스와 같은 구름 데크를 형성하는 광범위한 리프트 영역을 강제한다.은 따뜻하고 차가운 기단이 따뜻한 기단 아래에 갇혀 있을 때 형성되는 안정된 구름 갑판이다.그것은 또한 산들바람이 부는 [18]상황에서 이류 안개가 걷히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슬점까지 공기를 냉각하는 주요 메커니즘은 단열 냉각, 전도성 냉각, 복사 냉각 및 증발 냉각의 4가지가 있습니다.단열 냉각은 공기가 상승하고 [19]팽창할 때 발생합니다.대류, 대규모 대기 운동 또는 산과 같은 물리적 장벽에 의해 공기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전도성 냉각은 공기가 차가운 [20]표면과 접촉할 때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액체 상태의 수면에서 차가운 육지로 한 표면에서 다른 표면으로 불어갑니다.방사 냉각은 공기 또는 그 [21]아래 표면에 의해 적외선 방사선이 방출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증발 냉각은 증발을 통해 공기 중에 수분이 추가되어 공기 온도가 습구 온도로 또는 [22]포화 상태에 이를 때까지 냉각될 때 발생합니다.

공기 중에 수분을 더하다

그 주된 방법은 수증기의 공기 중에 있는데 추가됩니다 상승 motion,[13]강수 또는 미류운 above,[23]주간 난방 수분 물에서 대양, 물 기구나 plants,[25]거나 건조한 시원한 공기가 더 따뜻하water,[26]고 산을 넘어 공기를 들어올리고 움직이지 않게 젖은 land,[24]는 증산 작용의 표면에서 떨어지는 지역에 바람 수렴하죠.[27]

강수 형태

응축과 결합은 물 순환의 중요한 부분이다.

빗방울

빗속의 웅덩이

결합은 물방울이 더 큰 물방울을 만들기 위해 융합되거나 물방울이 얼음 결정 위에서 얼 때 일어나는데, 이것은 Bergeron 과정으로 알려져 있다.매우 작은 물방울의 낙하율은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구름이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습니다; 강수량은 이러한 큰 물방울이 합쳐질 때만 발생합니다. 크기가 다른 물방울은 물방울 충돌을 일으키고 더 큰 물방울을 생성하는 다른 종말 속도를 가질 것입니다. 난류는 [28]충돌 과정을 강화합니다.이렇게 큰 물방울이 내려오면서, 결합이 지속되고, 공기 저항을 이겨내고 [29]빗방울로 떨어질 만큼 물방울이 무거워집니다.

빗방울의 크기는 평균 직경 5.1mm(0.20인치)에서 20mm(0.79인치) 사이이며, 그 이상은 부서지기 쉽습니다.작은 방울들은 구름 방울이라고 불리며, 그 모양은 구형이다.빗방울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빗방울의 모양은 점점 더 타원형으로 변하며, 가장 큰 단면은 다가오는 기류를 향하고 있습니다.만화 속 빗방울 그림과는 달리, 빗방울의 모양은 [30]눈물방울과 닮지 않았다.강우 강도와 지속 시간은 일반적으로 역상관된다. 즉, 고강도 폭풍은 단시간이고 저강도 폭풍은 [31][32]장기일 수 있다.우박이 녹는 것과 관련된 빗방울은 다른 [33]빗방울보다 큰 경향이 있습니다.비의 METAR 코드는 RA이고, 소나기의 코드는 SHRA입니다.[34]

얼음 알갱이

얼음 알갱이 축적

얼음 알갱이 또는 진눈깨비는 작고 반투명한 얼음덩어리로 이루어진 강수 형태이다.얼음 알갱이는 보통 [35]우박보다 작다.그들은 종종 땅에 부딪힐 때 튕겨나가며, 일반적으로 얼어붙는 비와 섞이지 않는 한 단단한 덩어리로 얼지 않는다.얼음 알갱이의 METAR 코드는 [34]PL입니다.

얼음 알갱이는 상하의 얼음 공기와 함께 상하의 얼음 공기의 층이 존재할 때 형성됩니다.이것은 따뜻한 층을 통해 떨어지는 눈송이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녹음을 일으킨다.그들은 표면에서 더 가까운 얼음 층으로 다시 떨어지면서 얼음 알갱이로 다시 얼립니다.그러나 온대층 아래의 아동결층이 너무 작으면 강수량이 다시 얼릴 시간이 없어 지표면에 얼어붙은 비가 내릴 수 있다.지표면 위의 온난층을 나타내는 온도 프로파일은 [36]추운 계절에는 온난 전선보다 먼저 발견될 가능성이 높지만, 지나가는 한랭 전선 뒤에서 종종 발견될 수 있습니다.

우박

지름 약 6cm(2.4인치)의 대형 우박

다른 강수량과 마찬가지로, 우박은 먼지나 흙과 같은 응축 핵과 접촉하여 과냉각된 물방울이 얼면 폭풍 구름에서 형성됩니다.폭풍의 상승 기류에 의해 우박이 구름의 상층부로 날아갑니다.상승 기류가 소멸하고 우박이 내려서 상승 기류로 되돌아가 다시 상승합니다.우박의 지름은 5밀리미터(0.20인치) [37]이상입니다.METAR 코드 내에서 GR은 직경이 최소 6.4mm(0.25인치)인 더 큰 우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GR은 프랑스어 gréle에서 유래했다.눈알뿐만 아니라 작은 크기의 우박은 프랑스어 grésil의 [34]줄임말인 GS의 코드를 사용한다.골프공 크기보다 조금 큰 돌은 가장 자주 보고되는 우박 [38]크기 중 하나이다.우박은 15센티미터까지 자랄 수 있고 무게는 500그램이 넘습니다.[39]큰 우박에서는 추가 결빙에 의해 방출되는 잠열이 우박의 바깥쪽 껍질을 녹일 수 있다.그러면 우박은 '습한 성장'을 겪게 되는데, 여기서 액체 겉껍질은 다른 작은 [40]우박을 모읍니다.우박은 얼음층을 얻고 올라갈 때마다 점점 더 커진다.우박이 폭풍의 상승 기류에 떠받치기에는 너무 무거워지면 구름에서 [41]떨어집니다.

눈송이

광학 현미경으로 본 눈송이

눈의 결정은 아주 작은 과냉각 구름 방울(지름 약 10 μm)이 얼면 형성된다.일단 액체 방울이 얼면, 그것은 과포화 환경에서 자란다.물방울이 얼음 결정보다 더 많기 때문에 물방울을 희생하면서 결정체가 수백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자랄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는 베게너-베르제론-핀다이슨 프로세스라고 불립니다.그에 상응하는 수증기의 고갈로 인해 물방울이 증발하게 되는데, 이는 얼음 결정이 물방울의 비용으로 성장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이러한 큰 결정들은 질량에 의해 대기를 통과하여 충돌하고 클러스터 또는 집합체로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강수원이다.이 집합체는 눈송이이며, 보통 [42]지상으로 떨어지는 얼음 입자의 종류입니다.기네스북은 세계에서 가장 큰 눈송이를 1887년 1월 몬태나 주 포트 케오 시의 것으로 나열했는데,[43] 이 중 하나는 너비가 38cm(15인치)였다고 한다.부착 메커니즘의 정확한 세부 사항은 여전히 연구 대상이다.

얼음은 깨끗하지만 결정면과 공동/불완전함에 의한 빛의 산란으로 인해 작은 얼음 [44]입자에 의한 빛의 전체 스펙트럼의 확산 반사로 인해 결정이 종종 흰색으로 보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눈송이의 모양은 그것이 [42]형성되는 온도와 습도에 의해 대략적으로 결정된다.드물게 -2°C(28°F) 정도의 온도에서 눈송이가 세 가지 대칭인 삼각 [45]눈송이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가장 흔한 눈 입자는 눈에 띄게 불규칙하지만, 거의 완벽한 눈송이는 시각적으로 더 매력적이기 때문에 사진에서는 더 흔할 수 있다.어떤 눈송이도 [46]비슷하지 않다. 눈송이는 [47]지상으로 떨어지는 대기 중의 온도와 습도 변화에 따라 다른 속도와 패턴으로 성장하기 때문이다.눈의 METAR 코드는 SN이고, 눈보라 코드는 SSN 코드입니다.[34]

다이아몬드 분진

얼음 바늘 또는 얼음 결정이라고도 하는 다이아몬드 분진은 -40°C(-40°F)에 가까운 온도에서 더 차가운 표면 기반 [48]공기와 혼합하여 약간 높은 수분을 가진 공기로 인해 형성됩니다.그것들은 단순한 얼음 결정으로 만들어졌고,[49] 모양은 육각형이다.국제 기상 보고에서 다이아몬드 분진의 METAR 식별자는 [34]IC입니다.

오컬트 디포지션

수증기가 고포화된 안개나 공기가 [50]수증기가 통과하는 나무나 관목의 잎과 상호작용할 때 잠복 퇴적이 발생합니다.

원인들

전방 활동

성층형 또는 동적 강수량은 표면 한랭 전선 및 온난 전선 위 및 전방과 같이 (cm/s 정도의) 시놉틱 시스템에서 공기의 느린 상승의 결과로 발생한다.비슷한 상승은 안벽 밖의 열대 저기압 주변에서 나타나고, 중간 위도 저기압 [51]주변에서 쉼표 머리 강수 패턴에서 나타난다.막힌 전선을 따라 매우 다양한 날씨를 찾을 수 있으며, 뇌우가 발생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그 통과는 기단의 건조와 관련이 있습니다.폐색 전선은 보통 성숙한 저기압 [52]영역 주위에 형성된다.강수량은 지구 이외의 천체에서 발생할 수 있다.날씨가 추워지면, 화성은 비나 [53]눈이 아니라 얼음 바늘의 형태를 띠는 강수량을 갖게 된다.

대류

대류성 강수량

대류성 비 또는 소나기는 적란운이나 적란운과 같은 대류성 구름에서 발생한다.급격히 변화하는 강도의 소나기처럼 내립니다.대류성 구름은 수평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류성 강수량은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특정 지역에 내린다.열대지방의 강수량은 대부분 대류성인 것으로 보이지만, 성층형 강수량도 발생하는 [32][51]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라우펠과 우박은 [54]대류를 나타낸다.중위도에서는 대류성 강수량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한랭전선, 스콜라인, [55]난기전선과 같은 기압계 경계와 관련된 경우가 많다.

오로그래픽 효과

지형적 강수량

지형적 강수량은 산의 바람(상풍) 쪽에서 발생하며, 산등성이를 가로지르는 습한 공기의 대규모 흐름이 상승하여 단열 냉각 및 결로가 발생하므로 발생합니다.비교적 일정한 바람(를 들어 무역풍)을 받는 세계의 산악 지역에서는 바람이 불어오는 쪽이나 바람이 부는 쪽보다 더 습한 기후가 일반적으로 산의 바람 쪽으로 우세하다.습기는 지형적 리프트에 의해 제거되며, 그림자가 [27]관측되는 바람 쪽으로 하강하고 일반적으로 따뜻한 공기(가타바틱 바람 참조)를 남긴다.

하와이 카우아이섬의 와이알레살레산은 12,000mm(460인치)[56]로 지구상에서 두 번째로 연평균 강수량이 많기 때문에 극도의 강우량으로 유명하다.폭풍 시스템은 10월과 3월 사이에 폭우로 그 주에 영향을 미친다.지역 기후는 높은 산에 대한 위치에 따라 풍향(koololau)과 풍향(kona) 지역으로 구분되는 지형 때문에 각 섬에서 상당히 다르다.바람 부는 쪽은 동쪽에서 북동쪽의 무역풍을 마주하고 훨씬 더 많은 비를 받는다. 바람 부는 쪽은 비가 적게 내리고 구름이 적게 [57]끼면서 더 건조하고 맑다.

남미에서는 안데스 산맥이 그 대륙에 도달하는 태평양의 습기를 막아주어 [58]아르헨티나 서부를 가로지르는 사막 같은 기후가 형성된다.시에라 네바다 산맥그레이트 베인 사막[59][60]모하비 사막을 형성하는 북미에서도 같은 효과를 창출합니다.마찬가지로 아시아에서는 히말라야 산맥이 몬순에 장애를 일으켜 남쪽은 강수량이 매우 높고 북쪽은 강수량이 낮습니다.

2008년 12월 초 한반도 인근 호수효과 눈대

온대성 저기압은 119km/h(74mph)[61] 이상의 바람과 함께 폭우와 눈이 내리는 춥고 위험한 조건을 가져올 수 있다.온난 전선과 관련된 강수 대역은 종종 전면 경계에서 공기의 약한 상향 수직 이동에 의해 강하되며, 이는 냉각될 때 응축되어 넓은 층상대([62]nimbostratus cloud)[63]에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습한 공기가 북극 기단을 제거하려고 할 때, 눈이 너무 많이 내리면 길쭉한 강수대의 극 쪽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북반구에서 극방향은 북극을 향하거나 북쪽을 향합니다.남반구 내에서 극방향은 남극을 향하거나 남반구를 향합니다.

온대성 저기압의 남서쪽에 있는 곡선의 사이클론 흐름이 상대적으로 따뜻한 수역에 찬 공기를 몰고 오면 좁은 호수 영향의 눈띠가 생길 수 있다.이러한 대역은 다음과 같이 국지적으로 강한 눈을 가져온다. 호수 등의 대형 수역은 효율적으로 열을 저장하여 수면과 [64]위 공기 사이에 상당한 온도 차이(13°C 또는 23°F 이상)를 발생시킨다.이 온도 차이로 인해 온기와 습기가 위로 이동되어 수직 방향 구름(위성 사진 참조)으로 응축되어 눈비가 발생한다.높이와 구름 깊이에 따른 온도 하락은 수온과 대규모 환경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기온이 높이에 따라 강해질수록 구름이 깊어지고 강수량도 [65]커진다.

산간 지역에서는 공기가 산을 타고 올라가 바람이 불어오는 경사면을 따라 강우량을 짜내면 폭설이 쌓이게 되는데, 이 강우량은 추운 날씨에는 눈의 형태로 내린다.지형이 험준하기 때문에 폭설의 위치를 예측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66]과제입니다.

열대내

해당 위치의 우기 범위를 나타내는 케언스의 월별 강우량 분포

우기 또는 우기는 한 해 중 한 달 또는 그 이상의 기간을 포함하며, 한 지역의 평균 연간 강우량의 대부분이 [67]내리는 시기이다.그린 시즌이라는 용어는 관광 [68]당국에 의해 완곡한 표현으로 쓰이기도 한다.우기가 있는 지역은 열대 지방과 아열대 [69]지역에 걸쳐 분산되어 있다.사바나 기후와 몬순 기후가 있는 지역은 여름은 습하고 겨울은 건조하다.열대 우림은 일년 [70]내내 비가 균등하게 내리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건기와 우기가 없다.장마철이 뚜렷한 일부 지역은 열대간 수렴대나 장마 기압골이 따뜻한 [31]계절에 극지방으로 이동하면서 비가 중단될 것이다.따뜻한 계절이나 여름에 우기가 발생하면, 비는 주로 늦은 오후와 초저녁 시간에 내린다.우기는 대기질이 [71]좋아지고, 담수질이 [72][73]좋아지며, 식물이 크게 자라는 시기이다.토양 영양소는 감소하고 침식은 [31]증가한다.동물들은 더 습한 체제에 대한 적응과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다.이전의 건기는 농작물이 아직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기에 식량 부족을 초래한다.개발도상국들은 그들의 인구가 장마철에 [74]늦게 발생하는 첫 수확 전 식량 부족 때문에 계절적 체중 변동을 보인다는 것을 주목했다.

열대성 저기압은 폭우가 쏟아지는 근원으로 중심에서 저기압이 발생하고 바람이 시계방향(남반구) 또는 시계반대방향(북반구)[75]으로 중심쪽으로 부는 수백 마일 크기의 큰 기단으로 구성된다.사이클론은 생명과 개인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건조한 [76]지역에 절실히 필요한 강수량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강수 체계에서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이동 경로에 있는 지역들은 열대성 사이클론 [77]통로로부터 1년치 강우량을 받을 수 있다.

대규모 지리적 유통

대규모로, 지형 외의 강수량이 가장 많은 열대지방은 해들리 세포의 상승 분지인 열대간 수렴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콜롬비아의 적도 근처의 산악 지대는 지구에서 [78]가장 습한 지역 중 하나이다.북쪽과 남쪽은 강수량이 [79]적은 아열대 능선을 형성하는 하강 공기의 지역입니다. 이러한 능선 아래의 지표면은 보통 건조하며, 이러한 지역은 지구 [80]사막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이 규칙에 대한 예외는 하와이의 경우인데, 하와이에서는 무역풍으로 인해 상승 기류가 [81]지구상에서 가장 습도가 높은 지역 중 하나로 이어진다.그렇지 않으면, 편서풍이 로키 산맥으로 유입되면서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습도가 높고,[82] 가장 눈이 많이 오는 지역이 된다.우기 동안 아시아에서는 히말라야 산맥으로 유입되는 습한 공기의 흐름이 인도 북동부 지역에서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양의 비를 내리게 한다.

측정.

표준 우량계

강우량 또는 적설량을 측정하는 표준 방법은 100mm(4인치) 플라스틱과 200mm(8인치) 금속 [83]품종에서 찾을 수 있는 표준 강우량계입니다.내측 실린더는 25mm(1in)의 강우로 채워지며, 외부 실린더로 오버플로가 유입됩니다.플라스틱 게이지는 내부 실린더에 0.25mm(0.01인치) 분해능까지 마크가 있는 반면, 금속 게이지는 적절한 0.25mm(0.01인치) 마크가 있는 스틱을 사용해야 합니다.내부 실린더를 채운 후 내부 실린더의 양을 버리고 외부 실린더의 유체가 모두 없어질 때까지 외부 실린더의 남은 강우량을 채우고, 외부 실린더가 비워질 때까지 전체 합계를 더한다.이 게이지들은 깔때기와 내부 실린더를 제거하고 눈과 얼어붙은 비가 외부 실린더 내부에 모일 수 있도록 하여 겨울에 사용한다.일부는 게이지에 부동액을 첨가하여 [84]게이지에 떨어지는 눈이나 얼음을 녹일 필요가 없습니다.적설/얼음이 다 쌓이거나 300mm(12인치)에 가까워지면 내부로 가져와 녹이거나 미지근한 물로 내부 실린더를 채워서 외부 실린더의 동결된 강수량을 녹여 전체 t에서 차감한 따뜻한 액체를 추적할 수 있다.얼음/눈이 [85]녹았다.

다른 유형의 게이지에는 인기 있는 웨지 게이지(가장 싸고 가장 깨지기 쉬운 우량계), 팁 버킷 우량계중량 [86]우량계가 있습니다.웨지 및 팁 버킷 게이지는 눈에 문제가 있습니다.눈/얼음을 보상하기 위해 티핑 버킷을 데우려는 시도는 제한적으로 성공합니다. 게이지가 동결보다 훨씬 높게 유지되면 눈이 승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부동액으로 계량기를 달면 눈에는 문제가 없지만, 다시 한번 행사가 시작되기 전에 깔때기를 제거해야 합니다.가장 저렴하게 강우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직선형의 캔은 야외에 방치되어 있으면 우량계 역할을 하지만, 그 정확도는 어떤 자로 비를 측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위의 우량계는 충분한 [87]노하우를 가지고 집에서 만들 수 있습니다.

강수량을 측정할 때, 미국 전역CoCoRAHS 또는 GLOBE와 [88][89]같은 인터넷을 통해 강수량 측정을 제출할 수 있는 다른 지역에도 다양한 네트워크가 존재한다.거주 지역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가장 가까운 지역 기상청에서 [90]측정에 관심을 보일 수 있습니다.

하이드로메테오르의 정의

강수량 측정에 사용되는 개념은 하이드로메터입니다.대기 중에 있는 액체나 고체 물의 미립자는 하이드로메터로 알려져 있습니다.구름, 안개, 안개, 안개 등 응축에 의한 형성은 하이드로메터로 구성됩니다.모든 강수 유형은 정의에 따라 지상에 도달하기 전에 증발하는 비르가를 포함한 하이드로메터로 구성됩니다.눈을 날리거나 바닷물을 뿌리는 것과 같은 바람에 의해 지구 표면에서 날아오는 입자들도 우박이나 [91]마찬가지하이드로메타이다.

위성 추정치

지표면 강수량 계측기는 강수량 측정의 표준으로 간주되지만, 사용이 불가능한 지역이 많다.이것은 광대한 바다와 외딴 육지 지역을 포함한다.다른 경우에는 사회적, 기술적 또는 행정적 문제로 인해 게이지 관찰의 전파가 방해된다.그 결과, 현대의 전지구 강수 기록은 [92]위성 관측에 크게 좌우된다.

위성 센서는 강수량을 원격으로 감지하여 작동하며 이론과 실천이 강수량의 발생 및 강도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전자파 스펙트럼의 다양한 부분을 기록합니다.이 센서는 거의 수동적이며, 신호를 보내고 관찰되는 영역에 대한 영향을 감지하는 능동형 센서(레이더, 라이더)와 대조적으로 카메라와 유사하게 보이는 것을 기록합니다.

현재 강수량에 사용되는 위성 센서는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됩니다.열적외선(IR) 센서는 11미크론 파장의 채널을 기록하며 주로 구름 꼭대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대기의 전형적인 구조 때문에, 구름 꼭대기의 온도는 구름 꼭대기의 높이와 거의 반비례하며, 이는 거의 항상 더 높은 고도에서 더 차가운 구름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또한, 작은 크기의 변화가 많은 구름 꼭대기는 매끄러운 꼭대기 구름보다 더 활발할 수 있습니다.다양한 수학적 체계 또는 알고리즘은 IR [93]데이터에서 강수량을 추정하기 위해 이러한 특성 및 기타 특성을 사용합니다.

센서 채널의 두 번째 범주는 전자파 스펙트럼의 마이크로파 부분에 있습니다.사용 중인 주파수는 약 10기가헤르츠에서 수백 GHz까지 다양합니다.최대 약 37GHz의 채널은 주로 구름 하부에 있는 액체 하이드로메터(비와 이슬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더 많은 양의 액체가 더 많은 양의 마이크로파 복사 에너지를 방출합니다.37GHz 이상의 채널은 방출 신호를 표시하지만 고체 하이드로메터(눈, 그라펠 등)의 작용에 의해 마이크로파 복사 에너지가 산란됩니다.열대우 측정 임무(TRMM)와 지구 강수량 측정 임무(GPM)와 같은 인공위성은 강수량 추정치를 형성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센서를 사용한다.

가시 채널, 추가 IR 채널, 수증기 채널 및 대기 소리 검색 등 유용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센서 채널 및 제품이 시연되었습니다.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강수량 데이터 세트는 이러한 데이터 [94]소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위성 데이터 세트

IR 추정치는 짧은 시간 및 공간 척도에서 다소 낮은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지구 동기 궤도의 위성에서 매우 자주(15분 이상) 이용할 수 있다.IR은 열대지방과 같이 깊고 활발한 대류의 경우에 가장 잘 작동하며, 층상(층상) 강수량이 많은 지역, 특히 중위도 및 고위도 지역에서 점차적으로 유용성이 떨어진다.하이드로메터와 마이크로파 채널 간의 보다 직접적인 물리적 연결을 통해 마이크로파 추정은 IR보다 짧은 시간 및 공간 척도에서 더 큰 기술을 제공합니다.그러나 마이크로파 센서는 지구 저궤도 위성에서만 비행하며 관측 사이의 평균 시간이 3시간을 넘을 정도로 적은 편입니다.이 몇 시간 간격은 대부분의 강수 시스템의 일시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단일 위성이 주어진 위치에서 강수량의 전형적인 일일 주기를 적절하게 포착할 수 없기 때문에 강수량을 적절히 문서화하기에는 불충분하다.

1990년대 후반부터 여러 위성 센서의 강수 데이터를 결합하기 위해 여러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각각의 입력 데이터 세트의 강점을 강조하고 약점을 최소화하고자 한다.목표는 균일한 시간/공간 그리드에서 강수량에 대한 "최상의" 추정치를 제공하는 것이다(보통 가능한 한 지구 전체에 대해).경우에 따라서는 데이터 세트의 장기적 동질성이 강조되며, 이는 기후 데이터 기록 표준이다.

다른 경우, 목표는 최상의 순간 위성 추정치, 즉 고해상도 강수 생성물 접근방식을 생성하는 것이다.물론 어느 경우든 강조되지 않는 목표도 바람직하다고 생각됩니다.다중 위성 연구의 한 가지 핵심 결과는 적은 양의 표면 게이지 데이터도 위성 추정의 고유 편향을 제어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다.게이지 데이터 사용의 어려움은 1)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용성이 제한되고 2) 게이지 데이터에 대한 최선의 분석은 관찰 시간 후 필요한 전송, 조립, 가공 및 품질 관리를 거치는 데 2개월 이상이 소요된다는 것이다.따라서 게이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강수량 추정치는 비게이지 추정치보다 관측 시간 이후에 더 많이 생성되는 경향이 있다.결과적으로 게이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추정치는 "참" 강수량을 보다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실시간 또는 근접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는 적합하지 않다.

설명한 작업을 통해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 세트, 시간/공간 그리드, 기록 기간 및 적용 범위 영역, 입력 데이터 세트 및 분석 절차를 보유한 다양한 데이터 세트 및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세트 버전 지정자.[95]대부분의 경우, 현대의 다중 위성 데이터 세트 중 하나가 일반적인 용도에 가장 적합한 선택이다.

반품기간

특정 강도 및 지속시간을 갖는 이벤트의 가능성 또는 확률을 반환 주기 또는 [96]빈도라고 합니다.폭풍의 세기는 위치에 [97]대한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차트에서 모든 복귀 기간과 폭풍 지속 기간에 대해 예측할 수 있습니다.10년1이라는 용어는 드문 강우 현상을 나타내며, 10년에 한 번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매년 10%의 확률로 나타납니다.이번 강우량은 역대 최악의 폭풍우보다 더 많은 비가 내릴 것이며 홍수는 그 어느 해보다 더 심할 것이다.100년 중 1이라는 용어는 매우 드물고 한 세기에 한 번 발생할 확률로 발생하는 강우 사건을 의미하며, 따라서 어떤 해에든 1%의 확률을 가집니다.강우량은 10년 후 1회보다 더 심하고 홍수는 더 심할 것이다.모든 확률 사건과 마찬가지로,[98] 1년에 두 번의 "100년 중 폭풍"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지만 가능합니다.

강수 패턴의 고르지 않음

특정 지역의 연간 강수량 중 상당 부분(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의 기상 관측소는 고려되지 않았다)은 며칠에 불과하며,[99] 일반적으로 강수량이 가장 많은 12일 동안 약 50%이다.

쾨펜 기후 분류에서의 역할

쾨펜-가이거 기후[100] 지도 업데이트

쾨펜 분류는 기온과 강수량의 월평균 값에 따라 달라진다.쾨펜 분류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는 A부터 E까지 라벨이 붙은 5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특히, 1차 유형은 A, 열대, B, 건조, C, 경도 중위도, D, 저온 중위도, E, 극성이다.5가지 1차 분류는 열대 우림, 몬순, 열대 사바나, 습한 아열대, 습한 대륙성, 해양성 기후, 지중해성 기후, 스텝, 아한대 기후, 툰드라, 극지방 만년설, 사막과 같은 2차 분류로 나눌 수 있다.

열대우림은 강우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며, 정의상 연간 최소 정상 강우량은 1750~2000mm(69~[101]79인치)이다.열대 사바나는 아열대 및 열대 위도의 반건조 반습윤 기후 지역에 위치한 초원 생물군이며, 강수량은 연간 750에서 1,270mm(30에서 50인치) 사이입니다.그들은 아프리카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인도, 남아메리카의 북부 지역, 말레이시아, [102]그리고 호주에서도 발견된다.습도가 높은 아열대 기후대는 편서풍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향하는 큰 폭풍과 겨울 강우(때로는 폭설)가 연관된 곳입니다.대부분의 여름 강우량은 천둥번개가 치는 동안 그리고 가끔 열대성 [103]저기압에서 발생한다.습한 아열대 기후는 [104]적도로부터 위도 20도에서 40도 사이에 있는 동쪽 대륙에 있다.

해양성(또는 해양성) 기후는 일반적으로 호주 남동부뿐만 아니라 서늘한 바다에 접한 모든 대륙의 중위도에서 서해안을 따라 발견되며 연중 [105]많은 양의 강수량을 동반한다.지중해 기후 체제는 지중해 분지, 북미 서부 일부, 호주 서부 및 남부 일부, 남아프리카 남서부 및 칠레 중부 일부 지역의 기후와 유사하다.기후는 덥고 건조한 여름과 시원하고 습한 [106]겨울이 특징이다.스텝은 건조한 [107]초원이다.아한대 기후는 영구 동토층이 지속되고 [108]강수량이 적은 추운 기후입니다.

농업에 미치는 영향

2009년 7월 20일부터 27일까지의 일본 남부 및 주변 지역의 강우량 예측.

강수, 특히 비는 농업에 극적인 영향을 미친다.모든 식물은 생존하기 위해 최소한 약간의 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는 농업에 중요하다.규칙적인 강우 패턴이 보통 건강한 식물에게 필수적인 반면, 너무 많거나 적은 강우량은 농작물에 해로울 수 있고 심지어 파괴적일 수 있습니다.가뭄은 농작물을 죽이고 [109]침식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면, 지나치게 습한 날씨는 해로운 곰팡이 성장을 [110]야기할 수 있다.식물은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양의 비가 필요하다.예를 들어, 열대 식물들은 살아남기 위해 매년 수백 인치의 비가 내리는 반면, 어떤 선인장은 적은 양의 [111]물을 필요로 한다.

우기와 건기가 있는 지역에서는 토양 영양소가 감소하고 우기에 [31]침식이 증가한다.동물들은 더 습한 체제에 대한 적응과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다.이전의 건기는 농작물이 아직 [112]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기에 식량 부족을 초래한다.개발도상국들은 그들의 인구가 장마철에 [74]늦게 발생하는 첫 수확 전 식량 부족 때문에 계절적 체중 변동을 보인다는 것을 주목했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변화

미국에서는 최근 수십 [113]년 동안 극단적인 강수 현상이 더 흔해졌다.

온도가 올라가면 증발량이 증가하여 강수량이 많아집니다.강수량은 일반적으로 1900년부터 2005년까지 북위 30°N 이북의 육지에 증가했으나 1970년대 이후 열대지방에 걸쳐 감소하였다.전 세계적으로 지난 세기에 걸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강수량 추세는 없었으나, 지역별 및 시간에 따라 추세가 크게 달라졌다.2018년 33년 이상의 고해상도 지구 강수량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공간적 규모의 강수량 변화를 평가한 연구에서는 "지역적인 추세는 있지만 관측된 지구 [114]온난화에 대응하여 지구적 규모로 강수량이 증가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결론지었다.

세계 각 지역은 고유한 조건에 따라 강수량에 변화가 있을 것이다.북미와 남미, 북유럽, 그리고 북부와 중앙 아시아의 동부 지역이 더 습해졌다.사헬, 지중해, 남아프리카와 남아시아의 일부 지역은 건조해졌다.지난 세기 동안 많은 지역에서 많은 강수 건수가 증가했으며, 1970년대 이후 가뭄이 유행하면서 특히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증가하였다.바다 위의 강수량과 증발량의 변화는 중위도 및 고위도 물의 염도 감소(강수량 증가, 증발량 증가 또는 둘 다 포함)에 의해 제시된다.미국의 인접 지역에서 1900년 이후 연평균 강수량은 6.1% 증가했으며, 동부 북중부 기후 지역(11.6%)과 남부(11.1%) 내에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하와이는 유일하게 감소세를 보였다.[115]

도시열섬에 따른 변화

고온 지역이 흰색으로 보이는 온도 분포를 보여주는 조지아주 애틀랜타 이미지

도시 열섬은 주변 교외 및 시골 지역보다 0.6 - 5.6 °C(1.1 - 10.1 °F) 높은 도시를 따뜻하게 한다.이 여분의 열은 더 큰 상승 운동으로 이어지며, 이것은 추가적인 소나기와 뇌우 활동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도시의 강우량은 48%에서 116% 사이에서 증가한다.부분적으로 이러한 온난화의 결과로, 한 달 강우량은 32~[116]64km(20~40mi)의 도시 하류에 비해 약 28% 더 많다.일부 도시는 총 51%의 [117]강수량 증가를 유발한다.

예측

수문기상예측센터의 5일간의 강우예보 예

정량적 강수량 예측(약칭 QPF)은 특정 지역에 [118]걸쳐 특정 기간 동안 누적된 예상 액체 강수량이다.QPF 유효기간 중 최소 임계값에 도달하는 측정 가능한 강수 유형이 1시간 동안 예측될 때 QPF가 지정된다.강수량 예측은 0000, 0600, 1200 및 1800 GMT와 같은 시놉틱 시간에 의해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지형은 지형을 사용하거나 정밀하게 [119]관찰된 기후학적 강수 패턴을 바탕으로 QPF에서 고려된다.1990년대 중후반부터 QPF는 미국 [120]전역의 하천에 대한 영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수문 예측 모델에 사용되었다.예측 모델은 행성 경계층 내 습도 수준 또는 대기 중 가장 낮은 수준에서 [121]고도에 따라 감소하는 유의한 민감도를 보여준다.QPF는 양적,[122] 예측 금액 또는 질적 기준으로 특정 금액의 확률을 예측하여 생성할 수 있다.레이더 이미지 예측 기술은 레이더 이미지 시간으로부터 6시간에서 7시간 이내에 모델 예측보다 더 높은 기술을 보여줍니다.예측은 우량계 측정, 기상 레이더 추정 또는 두 가지를 조합하여 검증할 수 있다.강우 예보의 [123]값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 점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Karger, D.N.; Schmatz, D.; Detttling, D.; Zimmermann, N.E. (2020). "igh resolution monthly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timeseries for the period 2006-2100". Scientific Data. 7 (1): 248. arXiv:1912.06037. doi:10.1038/s41597-020-00587-y. PMC 7378208. PMID 32703947.
  2. ^ "Precipitation". Glossary of Meteor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0-09. Retrieved 2009-01-02.
  3. ^ Scott Sistek (December 26, 2015).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rain' and 'showers'?". KOMO-TV. Retrieved January 18, 2016.
  4. ^ Adler, Robert F.; et al. (December 2003). "The Version-2 Global Precipitation Climatology Project (GPCP) Monthly Precipitation Analysis (1979–Present)". Journal of Hydrometeorology. 4 (6): 1147–1167. Bibcode:2003JHyMe...4.1147A. CiteSeerX 10.1.1.1018.6263. doi:10.1175/1525-7541(2003)004<1147:TVGPCP>2.0.CO;2.
  5. ^ a b Chowdhury's Guide to Planet Earth (2005). "The Water Cycle". WestE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2-26. Retrieved 2006-10-24.
  6. ^ Seneviratne, Sonia I.; Zhang, Xuebin; Adnan, M.; Badi, W.; et al. (2021). "Chapter 11: Weather and climate extreme events in a changing climate" (PDF). IPCC AR6 WG1 2021.
  7. ^ Graves, S. D. B.; McKay, C. P.; Griffith, C. A.; Ferri, F.; Fulchignoni, M. (2008-03-01). "Rain and hail can reach the surface of Titan". Planetary and Space Science. 56 (3): 346–357. Bibcode:2008P&SS...56..346G. doi:10.1016/j.pss.2007.11.001. ISSN 0032-0633.
  8. ^ "Cassini Sees Seasonal Rains Transform Titan's Surface".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Retrieved 2020-12-15.
  9. ^ "Changes in Titan's Lakes".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Retrieved 2020-12-15.
  10. ^ "Cassini Saw Rain Falling at Titan's North Pole". Universe Today. 2019-01-18. Retrieved 2020-12-15.
  11. ^ Emmanouil N. Anagnostou (2004). "A convective/stratiform precipitation classification algorithm for volume scanning weather radar observations". Meteorological Applications. 11 (4): 291–300. Bibcode:2004MeApp..11..291A. doi:10.1017/S1350482704001409.
  12. ^ A.J. Dore; M. Mousavi-Baygi; R.I. Smith; J. Hall; D. Fowler; T.W. Choularton (June 2006). "A model of annual orographic precipitation and acid deposition and its application to Snowdonia". Atmospheric Environment. 40 (18): 3316–3326. Bibcode:2006AtmEn..40.3316D. doi:10.1016/j.atmosenv.2006.01.043.
  13. ^ a b Robert Penrose Pearce (2002). Meteorology at the Millennium. Academic Press. p. 66. ISBN 978-0-12-548035-2.
  14. ^ Robert A. Houze, Jr. (1994). Cloud Dynamics. Academic Press. p. 348. ISBN 978-0-08-050210-6.
  15. ^ Jan Jackson (2008). "All About Mixed Winter Precipitation". National Weather Service. Retrieved 2009-02-07.
  16. ^ Glossary of Meteorology (June 2000). "Dewpoint".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05. Retrieved 2011-01-31.
  17. ^ Khain, A. P.; BenMoshe, N.; Pokrovsky, A. (2008-06-01). "Factors Determining the Impact of Aerosols on Surface Precipitation from Clouds: An Attempt at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65 (6): 1721–1748. Bibcode:2008JAtS...65.1721K. doi:10.1175/2007jas2515.1. ISSN 1520-0469.
  18. ^ FMI (2007). "Fog And Stratus - Meteorological Physical Background". Zentralanstalt für Meteorologie und Geodynamik. Retrieved 2009-02-07.
  19. ^ Glossary of Meteorology (2009). "Adiabatic Proces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0-17. Retrieved 2008-12-27.
  20. ^ TE Technology, Inc (2009). "Peltier Cold Plate". Retrieved 2008-12-27.
  21. ^ Glossary of Meteorology (2009). "Radiational cooling".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5-12. Retrieved 2008-12-27.
  22. ^ Robert Fovell (2004). "Approaches to saturation" (PDF). University of California in Los Angel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2-25. Retrieved 2009-02-07.
  23. ^ National Weather Service Office, Spokane, Washington (2009). "Virga and Dry Thunderstorms". Retrieved 2009-01-02.{{cite web}}: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24. ^ Bart van den Hurk & Eleanor Blyth (2008). "Global maps of Local Land-Atmosphere coupling" (PDF). KNMI.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2-25. Retrieved 2009-01-02.
  25. ^ H. Edward Reiley; Carroll L. Shry (2002). Introductory horticulture. Cengage Learning. p. 40. ISBN 978-0-7668-1567-4.
  26. ^ National Weather Service JetStream (2008). "Air Mass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2-24. Retrieved 2009-01-02.
  27. ^ a b Michael Pidwirny (2008). "CHAPTER 8: Introduction to the Hydrosphere (e). Cloud Formation Processes". Physical Geography. Retrieved 2009-01-01.
  28. ^ Benmoshe, N.; Pinsky, M.; Pokrovsky, A.; Khain, A. (2012-03-27). "Turbulent effects on the microphysics and initiation of warm rain in deep convective clouds: 2-D simulations by a spectral mixed-phase microphysics cloud mode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17 (D6): n/a. Bibcode:2012JGRD..117.6220B. doi:10.1029/2011jd016603. ISSN 0148-0227.
  29. ^ Paul Sirvatka (2003). "Cloud Physics: Collision/Coalescence; The Bergeron Process". College of DuPage. Retrieved 2009-01-01.
  30.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9). "Are raindrops tear shaped?".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6-18. Retrieved 2008-12-27.
  31. ^ a b c d J. S. 0guntoyinbo and F. 0. Akintola (1983). "Rainstorm characteristics affecting water availability for agriculture" (PDF). IAHS Publication Number 14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2-05. Retrieved 2008-12-27.
  32. ^ a b Robert A. Houze Jr (1997). "Stratiform Precipitation in Regions of Convection: A Meteorological Paradox?".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8 (10): 2179–2196. Bibcode:1997BAMS...78.2179H. doi:10.1175/1520-0477(1997)078<2179:SPIROC>2.0.CO;2.
  33. ^ Norman W. Junker (2008). "An ingredients based methodology for forecasting precipitation associated with MCS's". Hydrometeorological Prediction Center. Retrieved 2009-02-07.
  34. ^ a b c d e Alaska Air Flight Service Station (2007-04-10). "SA-METAR".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via the Internet Wayback Mach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5-01. Retrieved 2009-08-29.
  35. ^ "Hail (glossary entry)".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s National Weather Service. Retrieved 2007-03-20.
  36. ^ Weatherquestions.com. "What causes ice pellets (sleet)?". Retrieved 2007-12-08.
  37. ^ Glossary of Meteorology (2009). "Hail".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7-25. Retrieved 2009-07-15.
  38. ^ Ryan Jewell & Julian Brimelow (2004-08-17). "P9.5 Evaluation of an Alberta Hail Growth Model Using Severe Hail Proximity Soundings in the United States" (PDF). Retrieved 2009-07-15.
  39. ^ National Severe Storms Laboratory (2007-04-23). "Aggregate hailston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Retrieved 2009-07-15.
  40. ^ Julian C. Brimelow; Gerhard W. Reuter & Eugene R. Poolman (October 2002). "Modeling Maximum Hail Size in Alberta Thunderstorms". Weather and Forecasting. 17 (5): 1048–1062. Bibcode:2002WtFor..17.1048B. doi:10.1175/1520-0434(2002)017<1048:MMHSIA>2.0.CO;2.
  41. ^ Jacque Marshall (2000-04-10). "Hail Fact Sheet". 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10-15. Retrieved 2009-07-15.
  42. ^ a b M. Klesius (2007). "The Mystery of Snowflakes". National Geographic. 211 (1): 20. ISSN 0027-9358.
  43. ^ William J. Broad (2007-03-20). "Giant Snowflakes as Big as Frisbees? Could Be". New York Times. Retrieved 2009-07-12.
  44. ^ Jennifer E. Lawson (2001). Hands-on Science: Light, Physical Science (matter) - Chapter 5: The Colors of Light. Portage & Main Press. p. 39. ISBN 978-1-894110-63-1. Retrieved 2009-06-28.
  45. ^ Kenneth G. Libbrecht (2006-09-11). "Guide to Snowflakes".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Retrieved 2009-06-28.
  46. ^ John Roach (2007-02-13). ""No Two Snowflakes the Same" Likely True, Research Reveals". National Geographic. Retrieved 2009-07-14.
  47. ^ Kenneth Libbrecht (Winter 2004–2005). "Snowflake Science" (PDF). American Educator.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8-11-28. Retrieved 2009-07-14.
  48. ^ Glossary of Meteorology (June 2000). "Diamond Dust".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4-03. Retrieved 2010-01-21.
  49. ^ Kenneth G. Libbrecht (2001). "Morphogenesis on Ice: The Physics of Snow Crystals" (PDF). Engineering & Scienc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1): 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0-06-25. Retrieved 2010-01-21.
  50. ^ Unsworth, M H; Wilshaw, J C (September 1989). "Wet, occult and dry deposition of pollutants on forest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47 (2–4): 221–238. Bibcode:1989AgFM...47..221U. doi:10.1016/0168-1923(89)90097-X. Retrieved 26 March 2021.
  51. ^ a b B. Geerts (2002). "Convective and stratiform rainfall in the tropics". University of Wyoming. Retrieved 2007-11-27.
  52. ^ David Roth (2006). "Unified Surface Analysis Manual" (PDF). Hydrometeorological Prediction Center. Retrieved 2006-10-22.
  53. ^ Jim Lochner (1998). "Ask an Astrophysicist".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Retrieved 2009-01-16.
  54. ^ Glossary of Meteorology (2009). "Graupel".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3-08. Retrieved 2009-01-02.
  55. ^ Toby N. Carlson (1991). Mid-latitude Weather Systems. Routledge. p. 216. ISBN 978-0-04-551115-0. Retrieved 2009-02-07.
  56. ^ Diana Leone (2002). "Rain supreme". Honolulu Star-Bulletin. Retrieved 2008-03-19.
  57. ^ Western Regional Climate Center (2002). "Climate of Hawaii". Retrieved 2008-03-19.
  58. ^ Paul E. Lydolph (1985). The Climate of the Earth. Rowman & Littlefield. p. 333. ISBN 978-0-86598-119-5. Retrieved 2009-01-02.
  59. ^ Michael A. Mares (1999). Encyclopedia of Desert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p. 252. ISBN 978-0-8061-3146-7. Retrieved 2009-01-02.
  60. ^ Adam Ganson (2003). "Geology of Death Valley". Indiana University. Retrieved 2009-02-07.
  61. ^ Joan Von Ahn; Joe Sienkiewicz; Greggory McFadden (April 2005). "Hurricane Force Extratropical Cyclones Observed Using QuikSCAT Near Real Time Winds". Mariners Weather Log. Voluntary Observing Ship Program. 49 (1). Retrieved 2009-07-07.
  62. ^ Owen Hertzman (1988). "Three-Dimensional Kinematics of Rainbands in Midlatitude Cyclones Abstract". PhD thesis. University of Washington. Bibcode:1988PhDT.......110H. {{cite journal}}:Cite 저널 요구 사항 journal=(도움말)
  63. ^ Yuh-Lang Lin (2007). Mesoscale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405. ISBN 978-0-521-80875-0. Retrieved 2009-07-07.
  64. ^ B. Geerts (1998). "Lake Effect Snow". University of Wyoming. Retrieved 2008-12-24.
  65. ^ Greg Byrd (1998-06-03). "Lake Effect Snow". 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6-17. Retrieved 2009-07-12.
  66. ^ Karl W. Birkeland & Cary J. Mock (1996). "Atmospheric Circulation Patterns Associated With Heavy Snowfall Events, Bridger Bowl, Montana, USA" (PDF). Mountain Research and Development. 16 (3): 281–286. doi:10.2307/3673951. JSTOR 367395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1-15.
  67. ^ Glossary of Meteorology (2009). "Rainy season".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2-15. Retrieved 2008-12-27.
  68. ^ Costa Rica Guide (2005). "When to Travel to Costa Rica". ToucanGuides. Retrieved 2008-12-27.
  69. ^ Michael Pidwirny (2008). "CHAPTER 9: Introduction to the Biosphere". PhysicalGeography.net. Retrieved 2008-12-27.
  70. ^ Elisabeth M. Benders-Hyde (2003). "World Climates". Blue Planet Biomes. Retrieved 2008-12-27.
  71. ^ Mei Zheng (2000). "The sources and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particulates during the wet and dry seasons in Hong Kong". Dissertations and Master's Theses (Campus Access). University of Rhode Island: 1–378. Bibcode:2000PhDT........13Z. Retrieved 2008-12-27.
  72. ^ S. I. Efe; F. E. Ogban; M. J. Horsfall; E. E. Akporhonor (2005). "Seasonal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Water Resources Quality in Western Niger Delta Region, Nigeria" (PDF). Journal of Applied Scientific Environmental Management. 9 (1): 191–195. ISSN 1119-8362. Retrieved 2008-12-27.
  73. ^ C. D. Haynes; M. G. Ridpath; M. A. J. Williams (1991). Monsoonal Australia. Taylor & Francis. p. 90. ISBN 978-90-6191-638-3. Retrieved 2008-12-27.
  74. ^ a b Marti J. Van Liere, Eric-Alain D. Ategbo, Jan Hoorweg, Adel P. Den Hartog, and Joseph G. A. J. Hautvast (1994). "The significance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for adult seasonal body-weight fluctuations: a study in north-western Benin".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72 (3): 479–488. doi:10.1079/BJN19940049. PMID 7947661.{{cite journal}}: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75. ^ Chris Landsea (2007). "Subject: D3 - Why do tropical cyclones' winds rotate counter-clockwise (clockwise) in the Northern (Southern) Hemisphere?". National Hurricane Center. Retrieved 2009-01-02.
  76. ^ Climate Prediction Center (2005). "2005 Tropical Eastern North Pacific Hurricane Outlook".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Retrieved 2006-05-02.
  77. ^ Jack Williams (2005-05-17). "Background: California's tropical storms". USA Today. Retrieved 2009-02-07.
  78. ^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2005-08-09). "Global Measured Extreme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5-25. Retrieved 2007-01-18.
  79. ^ 오웬 E 박사톰슨(1996년).해들리 순환 세포.Wayback Machine Channel Video Productions에서 2009-03-05 아카이브 완료.2007-02-11에 취득.
  80. ^ ThinkQuest team 26634(1999년).사막의 형성2012-10-17년 Wayback Machine Oracle ThinkQuest Education Foundation에서 보관.2009년 2월 16일에 취득.
  81. ^ "USGS 220427159300201 1047.0 Mt. Waialeale Rain Gage nr Lihue, Kauai, HI". USGS Real-time rainfall data at Waiʻaleʻale Raingauge. Retrieved 2008-12-11.
  82. ^ USA 투데이베이커산의 폭설 기록은 남아 있다.2008-02-29에 취득.
  83. ^ National Weather Service Office, Northern Indiana (2009). "8 Inch Non-Recording Standard Rain Gauge". Retrieved 2009-01-02.
  84. ^ Chris Lehmann (2009). "10/00". Central Analytical Labora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6-15. Retrieved 2009-01-02.
  85. ^ National Weather Service Office Binghamton, New York (2009). "Rainguage Information". Retrieved 2009-01-02.
  86. ^ National Weather Service (2009). "Glossary: W". Retrieved 2009-01-01.
  87. ^ Discovery School (2009). "Build Your Own Weather Station". Discovery Educ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8-28. Retrieved 2009-01-02.
  88. ^ "Community Collaborative Rain, Hail & Snow Network Main Page". Colorado Climate Center. 2009. Retrieved 2009-01-02.
  89. ^ The Globe Program (2009). "Global Learning and Observations to Benefit the Environment Progr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8-19. Retrieved 2009-01-02.
  90. ^ National Weather Service (2009). "NOAA's National Weather Service Main Page". Retrieved 2009-01-01.
  91. ^ Glossary of Meteorology (2009). "Hydrometeor".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Retrieved 2009-07-16.
  92. ^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2). "NASA and JAXA's GPM Mission Takes Rain Measurements Global". Retrieved 2014-01-21.
  93. ^ C. Kidd; G.J. Huffman (2011).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Meteorological Applications. 18 (3): 334–353. Bibcode:2011MeApp..18..334K. doi:10.1002/met.284.
  94. ^ F.J. Tapiador; et al. (2012).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Methods, Datasets and Applications". Atmospheric Research. 104–105: 70–97. Bibcode:2013AtmRe.119..131W. doi:10.1016/j.atmosres.2011.10.012.
  95. ^ International Precipitation Working Group. "Global Precipitation Datasets". Retrieved 2014-01-21.
  96. ^ Glossary of Meteorology (June 2000). "Return period".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10-20. Retrieved 2009-01-02.
  97. ^ Glossary of Meteorology (June 2000). "Rainfall intensity return period".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6-06. Retrieved 2009-01-02.
  98. ^ Boulder Area Sustainability Information Network (2005). "What is a 100 year flood?". Boulder Community Network. Retrieved 2009-01-02.
  99. ^ Angeline G. Pendergrass; Reto Knutti (October 19, 2018). "The Uneven Nature of Daily Precipitation and Its Chang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5 (21): 11, 980–11, 988. Bibcode:2018GeoRL..4511980P. doi:10.1029/2018GL080298. Half of annual precipitation falls in the wettest 12 days each year in the median across observing stations worldwide.
  100. ^ Peel, M. C. and Finlayson, B. L. and McMahon, T. A. (2007).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ydrol. Earth Syst. Sci. 11 (5): 1633–1644. Bibcode:2007HESS...11.1633P. doi:10.5194/hess-11-1633-2007. ISSN 1027-5606.{{cite journal}}: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다이렉트:최종 개정판)
  101. ^ Susan Woodward (1997-10-29). "Tropical Broadleaf Evergreen Forest: The Rainforest". Radford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2-25. Retrieved 2008-03-14.
  102. ^ Susan Woodward (2005-02-02). "Tropical Savannas". Radford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2-25. Retrieved 2008-03-16.
  103. ^ "Humid subtropical climate".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08. Retrieved 2008-05-14.
  104. ^ Michael Ritter (2008-12-24). "Humid Subtropical Climate". University of Wisconsin–Stevens Poi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0-14. Retrieved 2008-03-16.
  105. ^ Lauren Springer Ogden (2008). Plant-Driven Design. Timber Press. p. 78. ISBN 978-0-88192-877-8.
  106. ^ Michael Ritter (2008-12-24). "Mediterranean or Dry Summer Subtropical Climate". University of Wisconsin–Stevens Poi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8-05. Retrieved 2009-07-17.
  107. ^ Brynn Schaffner & Kenneth Robinson (2003-06-06). "Steppe Climate". West Tisbury Elementary Schoo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4-22. Retrieved 2008-04-15.
  108. ^ Michael Ritter (2008-12-24). "Subarctic Climate". University of Wisconsin–Stevens Poi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5-25. Retrieved 2008-04-16.
  109. ^ Bureau of Meteorology (2010). "Living With Drought". Commonwealth of Austral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2-18. Retrieved 2010-01-15.
  110. ^ Robert Burns (2007-06-06). "Texas Crop and Weather". Texas A&M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6-20. Retrieved 2010-01-15.
  111. ^ James D. Mauseth (2006-07-07). "Mauseth Research: Cacti". University of Texas. Retrieved 2010-01-15.
  112. ^ A. 로베르토 프리산초(1993)인간의 적응과 적응.미시간 대학 출판부, 388페이지. ISBN 978-0-472-09511-7.2008-12-27에 취득.
  113. ^ 데이터 원본
  114. ^ Nguyen, Phu; Thorstensen, Andrea; Sorooshian, Soroosh; Hsu, Kuolin; Aghakouchak, Amir; Ashouri, Hamed; Tran, Hoang; Braithwaite, Dan (2018-04-01). "Global Precipitation Trends across Spatial Scales Using Satellite Observation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99 (4): 689–697. Bibcode:2018BAMS...99..689N. doi:10.1175/BAMS-D-17-0065.1. ISSN 0003-0007. OSTI 1541806.
  115. ^ Climate Change Division (2008-12-17). "Precipitation and Storm Changes".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etrieved 2009-07-17.
  116. ^ Dale Fuchs (2005-06-28). "Spain goes hi-tech to beat drought". The Guardian. London. Retrieved 2007-08-02.
  117. ^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02-06-18). "NASA Satellite Confirms Urban Heat Islands Increase Rainfall Around Citie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6, 2010. Retrieved 2009-07-17.
  118. ^ Jack S. Bushong (1999).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Its Generation and Verification at the Southeast River Forecast Center" (PDF). University of Georg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2-05. Retrieved 2008-12-31.
  119. ^ Daniel Weygand (2008). "Optimizing Output From QPF Helper" (PDF). National Weather Service Western Reg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2-05. Retrieved 2008-12-31.
  120. ^ Noreen O. Schwein (2009). "Optimization of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time horizons used in river forecast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6-09. Retrieved 2008-12-31.
  121. ^ Christian Keil; Andreas Röpnack; George C. Craig & Ulrich Schumann (2008-12-31). "Sensitivity of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to height dependent changes in humidity".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5 (9): L09812. Bibcode:2008GeoRL..3509812K. doi:10.1029/2008GL033657.
  122. ^ P. Reggiani & A. H. Weerts (2007). "Probabilistic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for Flood Prediction: An Application". Journal of Hydrometeorology. 9 (1): 76–95. Bibcode:2008JHyMe...9...76R. doi:10.1175/2007JHM858.1.
  123. ^ Charles Lin (2005).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QPF) from Weather Prediction Models and Radar Nowcasts, and Atmospheric Hydrological Modelling for Flood Simulation" (PDF). Achieving Technological Innovation in Flood Forecasting Project.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2-05. Retrieved 2009-01-0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