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메크로리무스
Pimecrolimus임상자료 | |
---|---|
상명 | 엘리델 |
AHFS/Drugs.com | 모노그래프 |
임신 범주 |
|
경로: 행정 | 시사적인 |
ATC 코드 | |
법적현황 | |
법적현황 |
|
약동학 데이터 | |
생체이용가능성 | 낮은 전신 흡수 |
단백질 결합 | 74%–87% |
신진대사 | 간상 CYP3A을 |
식별자 | |
| |
CAS 번호 | |
펍켐 CID | |
드러그뱅크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켐벨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ECHA InfoCard | 100.124.895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43H68CLNO11 |
어금질량 | 810.46 g·190−1 |
3D 모델(JSmol) | |
| |
| |
(이게 뭐야?) (iii) |
피메크로리무스는 아토피피부염(에케마) 치료에 사용되는 캘시닌 억제제 등급의 면역억제제제다[clarification needed]. 한때 노바티스가 시판했던 (그러나 갈데르마는 2007년 초부터 캐나다에서 이 화합물을 엘리델이라는 상표명으로 홍보하고 있다) 국소 크림으로 판매되고 있다.
의학적 용법
각종 염증성 피부질환(예: 지루성피부염),[1] 피하 루푸스 에리테마토스,[2] 구강 이끼 플라누스,[3] 바이틸리고,[4] 건선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됐다.[5][6] 타크로리무스와 피메크로리무스는 둘 다 캘시닌 억제제로서 면역억제제로서의 기능을 한다.[7]
부작용
2006년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엘리델 포장이 유사한 약물인 타크로리무스에 대해 림프절이나 피부암의 위험 증가 가능성에 관한 블랙박스 경고를 반드시 휴대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반면에 영국의 피부과 의사들은 이것을 중요한 진짜 관심사로 여기지 않고 그들은 점점 더 그러한 신약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8]
중요한 것은, 비록 FDA가 타크로리무스와 피임크로리무스에 대한 업데이트된 블랙박스 경고를 승인했지만, 미국 피부과학협회 특별위원회의 최근 보고서는 국소 면역 조절기가 림프종이나 비멜라노마 피부암을 유발하고, 단기 또는 중간 휴식 후 전신 면역억제를 유발한다는 인과적 증거가 없다는 것을 발견한다.텐트 장기 국소적 응용은 가능성이 희박한 메커니즘으로 보인다.[9] 또 다른 최근의 증거 검토는 시판 후 감시가 이러한 전신 면역억제나 악성종양에 대한 위험 증가의 증거를 보여주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10] 그러나 면역억제제의 정확한 표시와 적극적인 통제 실험이 없을 때 면역억제제의 사용 기간을 놓고 강한 논쟁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11] 피부과 전문의와 알레르기 전문의의 전문사회인 미국피부과학원,[12] 미국 알레르기천식면역학원이 블랙박스 경고 포함에 항의했다. AAAAI는 "AD에서 국소 피임약 또는 타크로리무스의 사용과 관련된 림프종의 사례에 대해 제공된 정보 중 어느 것도 인과관계를 나타내거나 시사하지 않는다"[13]고 명시하고 있다.
약리학
피메크로리무스는 아스코마이신 마크로락탐 파생물이다. 피메크로리머스는 FKBP1A에 결합하고 캘시네우린도 억제하는 것이 체외에서 밝혀졌다.[citation needed] 따라서 피메크로리무스는 T세포에서 사이토카인의 합성과 방출을 억제함으로써 T세포 활성화를 억제한다. 피메크로리무스는 또한 마스트 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매개체가 방출되는 것을 막는다.[citation needed]
피메크로리무스는 타크로리무스와 마찬가지로 마크로락탐 면역억제제의 아스코마이신 등급에 속하며, 칼시누린 경로에 의한 T세포 활성화 억제와 수많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방출 억제 등에 의해 작용하여 면역 및 염증성 신호의 폭포화를 방지한다.[14] 피메크로리무스는 타크로리무스와 비슷한 작용 방식을 가지고 있지만 보다 선택적이어서 랑게르한스(Langerhans) 세포에는 영향이 없다.[15] 점막을 통한 투과능력으로 서로 비교되지 않았지만 국소 스테로이드나 국소 타크로리무스보다[16] 피부를 통한 투과율이 낮다. 게다가 국소 스테로이드와는 대조적으로 피임크로리무스는 피부 위축을 일으키지 않는다.[17]
참조
- ^ Firooz A, Solhpour A, Gorouhi F, Daneshpazhooh M, Balighi K, Farsinejad K, Rashighi-Firoozabadi M, Dowlati Y (2006). "Pimecrolimus cream, 1%, vs hydrocortisone acetate cream, 1%, in the treatment of facial seborrheic dermatitis: a randomized, investigator-blind, clinical trial". Archives of Dermatology. 142 (8): 1066–1067. doi:10.1001/archderm.142.8.1066. PMID 16924062.
- ^ Kreuter A, Gambichler T, Breuckmann F, Pawlak FM, Stücker M, Bader A, Altmeyer P, Freitag M (2004). "Pimecrolimus 1% cream for cutaneous lupus erythematosus". J Am Acad Dermatol. 51 (3): 407–410. doi:10.1016/j.jaad.2004.01.044. PMID 15337984.
- ^ Gorouhi F, Solhpour A, Beitollahi JM, Afshar S, Davari P, Hashemi P, Nassiri Kashani M, Firooz A (2007). "Randomized trial of pimecrolimus cream versus triamcinolone acetonide paste in the treatment of oral lichen planus". J Am Acad Dermatol. 57 (5): 806–813. doi:10.1016/j.jaad.2007.06.022. PMID 17658663.
- ^ Boone B, Ongenae K, Van Geel N, Vernijns S, De Keyser S, Naeyaert JM (2007). "Topical pimecrolimus in the treatment of vitiligo". Eur J Dermatol. 17 (1): 55–61. doi:10.1684/ejd.2007.0093 (inactive 31 October 2021). PMID 17324829.
{{cite journal}}
: CS1 maint : 2021년 10월 현재 DOI 비활성화(링크) - ^ Kreuter A, Sommer A, Hyun J, Bräutigam M, Brockmeyer NH, Altmeyer P, Gambichler T (2006). "1% pimecrolimus, 0.005% calcipotriol, and 0.1% betamethasone in the treatment of intertriginous psoriasi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study". Arch Dermatol. 142 (9): 1138–1143. doi:10.1001/archderm.142.9.1138. PMID 16983001.
- ^ Jacobi A, Braeutigam M, Mahler V, Schultz E, Hertl M (2008). "Pimecrolimus 1% cream in the treatment of facial psoriasis: a 16-week open-label study". Dermatology. 216 (2): 133–136. doi:10.1159/000111510. PMID 18216475. S2CID 35741213.
- ^ Scheinfeld N (2004). "The use of topical tacrolimus and pimecrolimus to treat psoriasis: a review". Dermatol. Online J. 10 (1): 3. doi:10.5070/D35ZK7V6CS. PMID 15347485.
- ^ N H Cox & Catherine H Smith (December 2002). "Advice to dermatologists re topical tacrolimus". Therapy Guidelines Committee. British Association of Dermatologis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DOC) on 2006-05-25.
- ^ Berger TG, Duvic M, Van Voorhees AS, VanBeek MJ, Frieden IJ,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Association Task Force (2006). "The use of topical calcineurin inhibitors in dermatology: safety concerns Report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Association Task Force". J Am Acad Dermatol. 54 (5): 818–823. doi:10.1016/j.jaad.2006.01.054. PMID 16635663.
- ^ Spergel JM, Leung DY (2006). "Safety of topical calcineurin inhibitors in atopic dermatitis: evaluation of the evidence". Curr Allergy Asthma Rep. 6 (4): 270–274. doi:10.1007/s11882-006-0059-7. PMID 16822378. S2CID 40761750.
- ^ Stern RS (2006). "Topical calcineurin inhibitors labeling: putting the "box" in perspective". Archives of Dermatology. 142 (9): 1233–1235. doi:10.1001/archderm.142.9.1233. PMID 16983018.
- ^ "Statement Regarding FDA Decision On Two Eczema Medications By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4-07. Retrieved 2007-09-24.
-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7-18. Retrieved 2007-09-24.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Allen BR, Lakhanpaul M, Morris A, Lateo S, Davies T, Scott G, Cardno M, Ebelin ME, Burtin P, Stephenson TJ (2003). "Systemic exposure, tolerability, and efficacy of pimecrolimus cream 1% in atopic dermatitis patients". Arch Dis Child. 88 (11): 969–973. doi:10.1136/adc.88.11.969. PMC 1719352. PMID 14612358.
- ^ Meingassner JG, Kowalsky E, Schwendinger H, Elbe-Bürger A, Stütz A (2003). "Pimecrolimus does not affect Langerhans cells in murine epidermis". Br J Dermatol. 149 (4): 853–857. doi:10.1046/j.1365-2133.2003.05559.x. PMID 14616380. S2CID 26517363.
- ^ Billich A, Aschauer H, Aszódi A, Stuetz A (2004). "Percutaneous absorption of drugs used in atopic eczema: pimecrolimus permeates less through skin than corticosteroids and tacrolimus". Int J Pharm. 269 (1): 29–35. doi:10.1016/j.ijpharm.2003.07.013. PMID 14698574.
- ^ Firooz A, Solhpour A, Gorouhi F, Daneshpazhooh M, Balighi K, Farsinejad K, Rashighi-Firoozabadi M, Dowlati Y (2006). "Pimecrolimus cream, 1%, vs hydrocortisone acetate cream, 1%, in the treatment of facial seborrheic dermatitis: a randomized, investigator-blind, clinical trial". Archives of Dermatology. 142 (8): 1066–1067. doi:10.1001/archderm.142.8.1066. PMID 16924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