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옥신 독성
Digoxin toxicity다이옥신 독성 | |
---|---|
기타 이름 | 디옥신 중독, 디옥신 과다 복용 |
디지탈리스 자반도의 도면 | |
전문 | 응급의학 |
증상 | 구토, 식욕 상실, 혼란, 시야 흐림, 색 인식 변화, 에너지[1] 감소 |
합병증 | 심장부정맥[1] |
원인들 | 과도한 다이옥신, 폭스글로브와[1][2] 같은 식물 |
위험요소 | 낮은 칼륨, 낮은 마그네슘, 높은 칼슘[1] |
차등진단 |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고칼륨혈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베타 차단제 독성[2] |
치료 | 보조 치료, 활성탄, 아트로핀, 디옥신 특이 항체 파편[2][1] |
빈도 | 연간 최대 2,500건(미국)[2] |
다이옥신 중독으로도 알려진 디옥신 독성은 약물 디옥신을 과다 복용하거나 비슷한 물질을 함유한 폭스글로브 같은 식물을 섭취하는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중독의 일종이다.[1][2] 증상은 전형적으로 모호하다.[1] 구토, 식욕 상실, 혼란, 시야 흐림, 색 인식 변화, 에너지 감소 등이 그것일 수 있다.[1] 잠재적인 합병증은 불규칙한 심장박동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릴 수 있다.[1]
독성은 약물 과다복용 후 단기간에 발생하거나 장기간 치료 중에 점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1] 위험요인으로는 저칼륨, 저마그네슘, 고칼슘 등이 있다.[1] 디옥신은 심부전이나 심방세동에 사용되는 약물이다.[3] 심전도는 진단의 일상적인 부분이다.[2] 혈중 수치는 마지막 투약 후 6시간 이상만 유용하다.[1]
활성탄을 복용한 사람이 투약 후 2시간 이내에 투여할 수 있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1] 심박수가 느릴 경우 아트로핀을 사용할 수 있고, 조기 심실 수축에 황산마그네슘을 사용할 수 있다.[2] 심한 독성의 치료는 디옥신 특유의 항체 파편과 함께 한다.[1] 부정맥이 심하거나 심장마비가 있거나 칼륨이 5mmol/L 이상인 사람에게 사용을 권장한다.[1] 저혈액 칼륨이나 마그네슘도 교정해야 한다.[1] 독성은 치료 후 며칠 안에 재발할 수 있다.[1]
2012년 호주에서는 약 140건의 문서화된 사례가 있었다.[1] 이는 다이옥신 사용이 줄어든 결과인 1994년 이후 절반가량 줄어든 것이다.[1] 미국에서는 2011년에 2,500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27명이 사망했다.[2] 이 질환은 1785년 윌리엄 위딩에 의해 처음 설명되었다.[4]
징후 및 증상
다이옥신 독성은 흔히 급성 독성 또는 만성 독성으로 나뉜다. 이 두 독성 모두 심장 영향이 가장 큰 관심사다. 급성 섭취와 함께 메스꺼움, 현기증, 구토 등의 증상이 두드러진다. 반면 비특이성 증상은 만성 독성이 우세하다. 이러한 증상에는 피로, 우울증, 시각 장애 등이 포함된다.[5]
디옥신 독성의 전형적인 특징은 메스꺼움, 구토, 복통, 두통, 현기증, 혼란, 정신착란, 시력교란이다. 또한 불규칙한 심장박동, 심실빈맥, 심실세동, 심장박동, 심장박동, AV 블록을 포함한 심장 장애와도 관련이 있다.[6]
진단
디옥신 독성이 의심되는 개인에서는 혈청 디옥신 농도, 혈청 칼륨 농도, 크레아티닌, BUN, 직렬 심전도 등을 얻는다.[7]
심전도
다이옥신 독성에서는 빈번한 조기 심실박동(PVC)의 발견이 가장 흔하고 가장 이른 부정맥이다. 부비동맥류 또한 매우 흔하다. 게다가, 우울한 전도는 디옥신 독성의 주요 특징이다. 다이옥신 독성을 암시하는 다른 심전도 변화로는 비게미날과 삼위일체 리듬, 심실비례, 양방향 심실빈맥 등이 있다.[5]
혈액검사
치료용 디옥신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0.5~2ng/mL이다.[8] 이는 좁은 치료지표인 만큼 다이옥신 과다복용이 발생할 수 있다. 심부전 환자 중 혈청 디옥신 농도가 0.5~0.9ng/mL이면 심부전 사망 및 입원 감소와 관련이 있다.[9] 따라서 디옥신 농도가 심부전 환자에게 사용되는 경우 대략 이 범위에서 유지되는 것이 좋다.
혈액 내 전해질 칼륨(K+)이 많은 경우(하이퍼칼륨)은 다이옥신 독성의 특징이다.[6] 디옥신 독성은 신장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서 증가한다. 이것은 노인이나 만성 신장 질환이나 말기 신장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10]
치료
디옥신 독성의 1차 치료법은 디옥신 면역 팹으로 항디옥신 면역글로불린 파편으로 구성된 항체다. 이 해독제는 고칼륨혈증, 혈류역학적 불안정성, 부정맥 등 디옥신 독성의 생명을 위협하는 징후를 치료하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1] 팹 선량은 두 가지 다른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섭취한 디옥신의 양에 근거한 것이고, 두 번째 방법은 혈청 디옥신 농도와 사람의 몸무게에 근거한 것이다.[10]
팹이 인수될 때까지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치료법은 마그네슘, 페니토인, 리도카인이다. 마그네슘은 디옥신 유도 심실 부정맥을 억제하는 반면 페니토인과 리도카인은 디옥신 유도 심실 자동화와 AV 전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지연 후분해를 억제한다. 비정상적으로 느린 심장박동수(Bradyrhythmias), 아트로핀, 카테콜아민(isoprenaline 또는 salbutamol) 및/또는 일시적인 심장 페이싱을 사용할 수 있다.[8]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Pincus, M (February 2016). "Management of digoxin toxicity". Australian Prescriber. 39 (1): 18–20. doi:10.18773/austprescr.2016.006. PMC 4816869. PMID 27041802.
- ^ a b c d e f g h Palatnick, W; Jelic, T (February 2014). "Emergency department management of calcium-channel blocker, beta blocker, and digoxin toxicity". Emergency Medicine Practice. 16 (2): 1–19, quiz 19–20. PMID 2488345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5-14.
- ^ Gheorghiade, M; van Veldhuisen, DJ; Colucci, WS (30 May 2006). "Contemporary use of digoxin in the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orders". Circulation. 113 (21): 2556–64. doi:10.1161/circulationaha.105.560110. PMID 16735690.
- ^ Feldman, Arthur M. (2008). Heart Failure: Pharmacologic Management. John Wiley & Sons. p. 26. ISBN 978140517253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9-10.
- ^ a b Ma, G; Brady, WJ; Pollack, M; Chan, TC (February 2001). "Electrocardiographic manifestations: digitalis toxicity". The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 (2): 145–52. doi:10.1016/s0736-4679(00)00312-7. PMID 11207409.
- ^ a b Eichhorn, EJ; Gheorghiade, M (2002). "Digoxin". Progress in Cardiovascular Diseases. 44 (4): 251–66. doi:10.1053/pcad.2002.31591. PMID 12007081.
- ^ Dugdale, David. "Digitalis toxicity". MedlinePlu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November 2014. Retrieved 30 October 2014.
- ^ a b Bhatia, SJ (July 1986). "Digitalis toxicity--turning over a new leaf?". The Western Journal of Medicine. 145 (1): 74–82. PMC 1306817. PMID 3529634.
- ^ Ahmed, A; Rich, MW; Love, TE; Lloyd-Jones, DM; Aban, IB; Colucci, WS; Adams, KF; Gheorghiade, M (January 2006). "Digoxin and reduction in mortality and hospitalization in heart failure: a comprehensive post hoc analysis of the DIG trial". European Heart Journal. 27 (2): 178–86. doi:10.1093/eurheartj/ehi687. PMC 2685167. PMID 16339157.
- ^ a b Yang, EH; Shah, S; Criley, JM (April 2012). "Digitalis toxicity: a fading but crucial complication to recognize".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25 (4): 337–43. doi:10.1016/j.amjmed.2011.09.019. PMID 22444097.
- ^ Antman, EM; Wenger, TL; Butler VP, Jr; Haber, E; Smith, TW (June 1990). "Treatment of 150 cases of life-threatening digitalis intoxication with digoxin-specific Fab antibody fragments. Final report of a multicenter study". Circulation. 81 (6): 1744–52. doi:10.1161/01.cir.81.6.1744. PMID 2188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