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디키닌

Bradykinin
브라디키닌
Bradykinin structure.svg
Bradykinin updated.png
이름
IUPAC 이름
브라디키닌
우선 IUPAC 이름
(2S)-2-{(1S2,3S2,9S,12S,14S2,17S)-1-1[(2S)-2-아미노-5-(카르바미도일아미노)펜타노일]-9-벤질-12-(히드록시메틸)-2,4,10,15ahe
식별자
3D 모델(JSmol)
체비
첸블
켐스파이더
ECHA 정보 카드 100.000.362 Edit this at Wikidata
메쉬 브라디키닌
유니
  • InChI=1S/C50H73N15O11/c51-32(16-7-21-56-49(52)53)45(72)65-25-11-20-39(65)47(74)64-24-18-37(64)43(7058-28-40(67512)303-303-234,52,53,56) (H4,54,55,57)/t32-,33-,34-,35-,36-,37-,38-,39-/m0/s1 checkY
    키: QXZGBUJYSLZLT-FDISYFBBSA-N checkY
  • InChI=1/C50H73N15O11/c51-32(16-7-21-56-49(52)53)45(72)65-25-11-20-39(65)47(74)64-24-9-18-37(64)43(7058-28-40(67)-34-34-326),52,53,56) (H4,54,55,57)/t32-,33-,34-,35-,36-,37-,38-,39-/m0/s1
    키: QXZGBUJYSLZLT-FDISYFBG
  • O=C(N[C@H])(C(=O)N[C@H](C(=O)O)CC/N=C(\N)N)C1cccc1)[C@H] 5N(C(=O)[C@H](NC(=O)[C@H])(NC(=O) CNC(=O)[C@H][C@H] 3N(C=O)[C@H] 2N(C=O)[C=O]CO) CCC5
특성.
C50H73N15O11
몰 질량 1060.228g/1040−1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표준 상태(25°C[77°F], 100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됩니다.
키니노겐 1
식별자
기호.KNG1
Alt.KNG, BDK
NCBI유전자3827
HGNC6383
612358
참조NM_001102416
유니프로트P01042
기타 데이터
궤적제3장 21분기
브라디키닌
식별자
기호.브라디키닌
PF06753
인터프로IPR009608

브라디키닌(BK)은 염증을 촉진하는 펩타이드이다.프로스타사이클린, 산화질소, 내피유래 과분극인자의 방출에 의해 동맥이 확장(대규모)되고 프로스타글란딘 F2를 통해 정맥이 수축되어 모세혈관의 압력이 증가하여 모세혈관 바닥으로 누출된다.브래디키닌은 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의 키닌 그룹의 생리 및 약리학적으로 활성화된 펩타이드이다.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CE억제제)라고 불리는 약물은 브라디키닌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브라디키닌 수치를 증가시켜 혈압강하 효과를 높인다.ACE 억제제는 고혈압과 심부전 치료에 대해 FDA 승인을 받았다.

구조.

브래디키닌(BK)은 9-아미노산 펩타이드 사슬이다.브라디키닌의 아미노산 배열은 Arg-Pro-Pro-Gly-Phe-Ser-Pro-Phe-Arg(RPPGFSPFR)[1]이다.그러므로
50

73

15

11
그것의 경험식은 CHNO이다.

대사

키닌-칼리크레인 시스템키니노겐 전구체인 고분자량 키니노겐(HMWK 또는 HK)을 칼리크레인 효소에 의해 단백질 분해하여 브라디키닌을 만든다.또한 섬유분해효소인 플라스민이 HMWK 절단 [2]후 브라디키닌을 생성할 수 있다는 확실한 증거가 있다.

인간에서 브라디키닌은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CE, 키나아제 II), 네프릴린,[3] NEP2, 아미노펩티다아제 P(APP), 카르복시펩티다아제 N(CPN, 키나아제 I), 카르복시펩티다아제 M, 엔드롭티다아제 2415의 많은 다른 키나제에 의해 분해된다.

기능.

영향들

브래디키닌은 강력한 내피 의존성 혈관 확장제이며 혈압 강하를 일으킬 수 있는 가벼운 이뇨제입니다.또한 기관지와 내장에 있는 비혈관 평활근의 수축을 유발하고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며 [5]통증 메커니즘에도 관여합니다.

염증 중에, 그것은 조직 [6]손상 동안 비만 세포와 호염기구에서 국소적으로 방출된다.특히 통증과 관련하여, 브래디키닌은 TRPV1 수용체를 민감하게 하여 활성화되는 온도 임계값을 낮추어 알로디니아[7]원인이 될 수 있다.

태아 후 브래디키닌의 초기 분비는 동맥관의 수축과 궁극적인 위축을 유발하여 폐줄기와 대동맥궁 사이에 동맥인대를 형성한다.그것은 또한 탯줄 동맥과 정맥을 포함한 많은 다른 태아 혈관의 수축과 궁극적인 폐색에도 역할을 한다.이러한 태아 혈관의 혈관 수축은 다른 혈관의 혈관 확장 반응과 비교하여 이러한 태아 혈관의 벽이 다른 [8]혈관과 다르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수용체

  • B 수용체(브래디키닌 수용체 B1)는1 조직 손상의 결과로만 발현되며 만성 통증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이 수용체는 또한 [9]염증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키닌1 B 수용체는 케모카인 CXCL5 생산을 통해 호중구를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1 내피세포는 [10]이 B 수용체-CXCL5 경로의 잠재적 공급원으로 기술되어 왔다.
  • B2 수용체는 구성적으로 발현되며 브라디키닌의 혈관 확장 역할에 관여한다.

키닌1 B 및 B2 수용체는 G 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 계열에 속합니다.

장애

브래디키닌은 또한 널리 처방된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ACE) 억제제 약물의 일부 환자에서 마른 기침의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브라디키닌은 ACE에 의해 비활성 대사물로 전환되므로, 이 효소의 억제는 브라디키닌의 수치를 증가시킨다. 브라디키닌의 증가는 소마토 감각 섬유를 민감하게 만들어 과민증을 유발한다.Bradykinin은 항염증성 펩타이드(예를 들어 물질 P, 신경펩타이드 Y) [11][12]및 히스타민의 국소 방출을 통해 이를 매개할 수 있다.

심각한 경우 브래디키닌의 상승은 [13]응급상황인 혈관부종을 초래할 수 있다.아프리카 혈통의 사람들은 유전성 혈관부종[14]같은 유전적 소인성 위험인자로 인해 ACE 억제제 유발 혈관부종의 위험이 최대 5배까지 증가한다.이 난치성 기침은 ACE 억제제 치료를 중단시키는 일반적인 원인이다.

브래디키닌의 과잉 활성화는 유전성 혈관 [15]부종이라는 희귀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브래디키닌은 많은 암 진행 과정에 관여해 [16]왔다.ACE 억제제 사용으로 인한 브래디키닌 수치 증가는 폐암 [17]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브래디키닌은 위암의 [18]세포 증식과 이동에 관여하고 있으며, 브래디키닌 길항제들은 [19]항암제로 조사되었다.

브래디키닌은 마른 기침, 근육통, 피로, 메스꺼움, 구토, 설사, 거식증, 두통, 인지 기능 저하, 부정맥, 갑작스런 [20]심장사를 포함한 COVID-19와 관련된 많은 증상에 대한 설명으로 제안되었다.

치료적 의미

혈관확장에 대한 브래디키닌 효과의 지속시간과 크기를 증가시키고 그에 따른 혈압 하락을 증가시키는 브래디키닌 가감인자(BPF)가 Bothrops jaraca [21]독에서 발견되었다.이 발견에 기초하여, 경구적으로 효과적인 BPF의 비단백질 유사체, 즉 최초의 앤지오텐신 변환 효소 억제제 [citation needed]캡토프릴이 개발되었습니다.그것은 1981년에 고혈압 치료에 대해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2019년 4월 인용 필요}

현재 유전성 혈관부종의 잠재적 치료법으로 브래디키닌 억제제(항체제)가 개발되고 있다.이카티반은 그러한 억제제 중 하나이다.추가적인 브라디키닌 억제제가 존재한다.파인애플 식물의 줄기와 잎에서 얻은 물질인 브로멜린이 혈류와 [22]조직으로 브라디키닌이 방출되면서 생기는 외상으로 인한 부종을 억제한다는 것은 동물 연구에서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브래디키닌 억제제로 작용하는 다른 물질로는 적포도주와 [25]녹차에서 발견되는 물질인 알로에[23][24] 폴리페놀 등이 있다.

역사

Bradykinin은 1948년 Mauricio Rocha e [26]Silva 박사가 이끄는 브라질 상파울루생물 연구소에서 일하는 세 의 생리학자와 약리학자에 의해 발견되었다.동료인 윌슨 테이세이라 베랄도와 가스탱 로젠펠트와 함께 그들은 동물 조제에서 브래디키닌의 강력한 저혈압 효과를 발견했다.브래디키닌은 부탄 연구소의 로젠펠트가 가져온 보트로프 자라라카(브라질산 창두뱀)에서 추출한 을 첨가한 후 동물 혈장에서 검출됐다.이 발견은 1939년 초에 로카 에 실바가 시작한 뱀에 물린 독성과 관련된 순환기 충격과 단백질 분해 효소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의 일부였다.브래디키닌은 새로운 자가약리학적 원리, 즉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전구체의 대사 변형을 통해 체내에서 방출되는 물질을 증명하는 것이었다.로카 에 실바의 전기 작가인 B.J. 해그우드에 따르면, "브래디키닌의 발견은 정맥과 독소에 의해 유발되는 순환기 충격을 포함한 많은 생리학적, 병리학적 현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이끌어냈다."1957년 Mauricio Rocha e Silva 박사는 브라질 상파울루주 리베이랑 프레토에 있는 Universidade de Ribeirang Preto의 Faculdade de Medicina de Ribeirang Preto 약리학부의 전임 교수가 되어 뛰어난 약리학자 팀을 이끌었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Pinheiro, AS; Silbak, S; Schmaier, AH (February 2022). "Bradykinin - An elusive peptide in measuring and understanding". Research and Practice in Thrombosis and Haemostasis. 6 (2): e12673. doi:10.1002/rth2.12673. PMID 35252738.
  2. ^ Marcos-Contreras OA, Martinez de Lizarrondo S, Bardou I, Orset C, Pruvost M, Anfray A, et al. (November 2016). "Hyperfibrinolysis increases blood-brain barrier permeability by a plasmin- and bradykinin-dependent mechanism". Blood. 128 (20): 2423–2434. doi:10.1182/blood-2016-03-705384. PMID 27531677.
  3. ^ "MME membrane metalloendopeptidase [Homo sapiens (human)]". www.ncbi.nlm.nih.gov. Retrieved 2022-02-06.
  4. ^ Campbell DJ (2018-09-19). "Neprilysin Inhibitors and Bradykinin". Frontiers in Medicine. 5: 257. doi:10.3389/fmed.2018.00257. PMC 6157573. PMID 30283782.
  5. ^ Mutschler E, Schäfer-Korting M (1997). Arzneimittelwirkungen (in German) (7 ed.). Stuttgart: Wissenschaftliche Verlagsgesellschaft. ISBN 978-3-8047-1377-2.
  6. ^ Dray A, Perkins M (March 1993). "Bradykinin and inflammatory pain". Trends in Neurosciences. 16 (3): 99–104. doi:10.1016/0166-2236(93)90133-7. PMID 7681240. S2CID 4061940.
  7. ^ Mathivanan S, Devesa I, Changeux JP, Ferrer-Montiel A (2016-06-23). "Bradykinin Induces TRPV1 Exocytotic Recruitment in Peptidergic Nociceptors". Frontiers in Pharmacology. 7: 178. doi:10.3389/fphar.2016.00178. PMC 4917537. PMID 27445816.
  8. ^ Standring S, Gray H (2016). "Ch. 52: Development of the thorax. Section: Changes in the Fetal Circulation and Occlusion of Fetal Vessels after Birth".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1st ed.). Elsevier. pp. 905–930. ISBN 9780702052309. OCLC 920806541.
  9. ^ McLean PG, Ahluwalia A, Perretti M (August 2000). "Association between kinin B(1) receptor expression and leukocyte trafficking across mouse mesenteric postcapillary venule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192 (3): 367–80. doi:10.1084/jem.192.3.367. PMC 2193221. PMID 10934225.
  10. ^ Duchene J, Lecomte F, Ahmed S, Cayla C, Pesquero J, Bader M, et al. (October 2007). "A novel inflammatory pathway involved in leukocyte recruitment: role for the kinin B1 receptor and the chemokine CXCL5". Journal of Immunology. 179 (7): 4849–56. doi:10.4049/jimmunol.179.7.4849. PMC 3696729. PMID 17878384.
  11. ^ Fox AJ, Lalloo UG, Belvisi MG, Bernareggi M, Chung KF, Barnes PJ (July 1996). "Bradykinin-evoked sensitization of airway sensory nerves: a mechanism for ACE-inhibitor cough". Nature Medicine. 2 (7): 814–7. doi:10.1038/nm0796-814. PMID 8673930. S2CID 6040673.
  12. ^ Karlberg BE (April 1993). "Cough and inhibition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Journal of Hypertension Supplement. 11 (3): S49-52. PMID 8315520.
  13. ^ Li HH (2018-05-22). "Angioedema: Practice Essentials, Background, Pathophysiology". Medscape.
  14. ^ Guyer AC, Banerji A. "ACE inhibitor-induced angioedema". UpToDate. Retrieved 2018-06-03.
  15. ^ Bas M, Adams V, Suvorava T, Niehues T, Hoffmann TK, Kojda G (August 2007). "Nonallergic angioedema: role of bradykinin". Allergy. 62 (8): 842–56. doi:10.1111/j.1398-9995.2007.01427.x. PMID 17620062. S2CID 22772933.
  16. ^ Stewart JM, Gera L, Chan DC, Bunn PA, York EJ, Simkeviciene V, Helfrich B (April 2002). "Bradykinin-related compounds as new drugs for cancer and inflammation". Canadi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80 (4): 275–80. doi:10.1139/y02-030. PMID 12025961.
  17. ^ Kmietowicz Z (October 2018). "ACE inhibitors are linked to increased lung cancer risk, study finds". BMJ. 363: k4471. doi:10.1136/bmj.k4471. PMID 30355572. S2CID 53024740.
  18. ^ Wang G, Sun J, Liu G, Fu Y, Zhang X (December 2017). "Bradykinin Promotes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Invasion, and Tumor Growth of Gastric Cancer Through ERK Signaling Pathway". Journal of Cellular Biochemistry. 118 (12): 4444–4453. doi:10.1002/jcb.26100. PMID 28464378. S2CID 3954713.
  19. ^ Stewart JM (2003). "Bradykinin antagonists as anti-cancer agents".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9 (25): 2036–42. doi:10.2174/1381612033454171. PMID 14529414.
  20. ^ Garvin MR, Alvarez C, Miller JI, Prates ET, Walker AM, Amos BK, et al. (July 7, 2020). "A mechanistic model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COVID-19 involving a RAS-mediated bradykinin storm". eLife. 9. doi:10.7554/eLife.59177. PMC 7410499. PMID 32633718.
  21. ^ Ferreira S (1965). "A bradykinin-potentiation factor (BPF) present in the venom of Bothrops jararaca".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and Chemotherapy. 24 (1): 163–69. doi:10.1111/j.1476-5381.1965.tb02091.x. PMC 1704050. PMID 14302350.
  22. ^ Lotz-Winter H (June 1990). "On the pharmacology of bromelain: an update with special regard to animal studies on dose-dependent effects". Planta Medica. 56 (3): 249–53. doi:10.1055/s-2006-960949. PMID 2203073.
  23. ^ Bautista-Pérez R, Segura-Cobos D, Vázquez-Cruz B (July 2004). "In vitro antibradykinin activity of Aloe barbadensis ge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93 (1): 89–92. doi:10.1016/j.jep.2004.03.030. PMID 15182910.
  24. ^ Yagi A, Harada N, Yamada H, Iwadare S, Nishioka I (October 1982). "Antibradykinin active material in Aloe saponaria".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71 (10): 1172–4. doi:10.1002/jps.2600711024. PMID 7143219.
  25. ^ Richard T, Delaunay JC, Mérillon JM, Monti JP (December 2003). "Is the C-terminal region of bradykinin the binding site of polyphenols?". Journal of Biomolecular Structure & Dynamics. 21 (3): 379–85. doi:10.1080/07391102.2003.10506933. PMID 14616033. S2CID 24807751.
  26. ^ Rocha e Silva M, Beraldo WT, Rosenfeld G (1949). "Bradykinin, a hypotensive and smooth muscle stimulating factor released from plasma globulin by snake venoms and by trypsi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156 (2): 261–73. doi:10.1152/ajplegacy.1949.156.2.261. PMID 18127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