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만족
Arameans아라만족(오래된 아라만족: 𐤀𐤓𐤌𐤉𐤀:; 그리스어: αραμαῖι; 시리아어: ܐܪ̈ܡ / / / r /ā))은 기원전 12세기 후반부터 역사 출처에 처음 기록된 근동의 고대 셈어족이었다. 아라메안 고국은 현대 시리아의 중앙 지역을 아우르는 아람의 땅으로 알려져 있었다. 기원전 1천년 초에, 고대 근동의 서부 지역 전역에 많은 아라메아 주가 설립되었다.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하사엘 왕 통치기인 기원전 9세기 후반에 절정에 이른 아람-다마스쿠스 왕국이다. 독특한 아람 문자도 개발되어 올드 아람어로 글을 쓰는 데 사용되었다.[1][2][3]
기원전 8세기 동안, 지역 아라미아 왕국은 네오아시리아 제국에 의해 점차 정복되었다. 아시리아 도메인 전체에 적용되는 인구 이동과 이전 정책도 아시리아 당국에 의해 재설치된 아라미안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근동의 여러 지역에 걸쳐 아람어 공동체가 보다 넓게 분산된 결과, 아람어의 말하기 영역도 넓어져 점차 의미를 갖게 되었고, 결국 네오바빌론 제국 시대(612–539), 후에 아흐가 공공 생활과 행정의 공용어가 되었다.메메네이드 제국(539–330) 언어적 아람화의 결과로 근동의 중앙 지역 전체에 아라미어 사용 지역이 아라미아 인종 공동체의 경계를 넘어 더 넓어졌다. 후기 헬레니즘과 로마 시대에 작은 아라메아 주들이 등장했는데,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에데산 아라마이치의 출생지인 에데사를 중심으로 한 오스루엔 왕국으로, 후에 고전적인 시리아크어로 알려지게 되었다.[4][5][6]
1세기 CE부터, 기독교화의 과정은 학문 근동에 걸쳐, 시리아 포함한 다양한 Aramaic-speaking 공동체고, 이로 인해서 아람 사람 Christianity,[7]의 창출에, 문학적 신학적 작품들을 창조했다. 저명한 기독교 지도자들과 저자들로 표현한 것에 결과를 포함하여 시작되었다. 아라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에데사의 성 에프렘(373년)이다. 다음 시기에는 두 가지 연속적인 과정이 기독교 아라미아인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첫 번째 과정은 5세기 동안 시작되었는데,[8] 시리아어/시리아어 표지를 시리아어와 그 언어에 사용하는 고대 그리스의 관습이 아라메어 문학과 교회 엘리트들 사이에서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9][10] 두 번째 과정은 7세기 아랍 정복 이후 시작되었고, 그 후 이슬람화와 근동지역 아라만 공동체의 점진적인 아랍화가 뒤따랐으며, 결국 그 분열과 번창으로 귀결되었다.[11] 기독교 아라만족의 나머지 공동체는 중세 내내 계속 쇠퇴하여, 분모선을 따라 내적으로 분열되었고, 대다수가 동양 정교회를 고수하여 안디옥의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회의 교회적 관할권에 속하게 되었고, 후에 시리아크 정교회 추르크로 알려지게 되었다.h.[12][7][13]
초기 근대기 동안 서양 학자들 사이에서 아라마어(고대와 현대 모두)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아라마어 연구가 보다 광범위한 다학제 분야로 형성되었으며, 이 분야에는 아라마어 학문은 아라만족의 문화 및 역사적 유산에 대한 연구도 포함된다. 아라미아 연구의 언어적, 역사적 측면은 19세기 이후 근동의 여러 지역에서 고대 아라미아 유적지를 고고학적으로 발굴함으로써 넓어졌다.[14][15][16]
역사
오리진스
토폰어 A-ra-mu는 지명을 나열한 동 셈어국 에블라의 비문에 나타나며, 인근 이들립의 에블라이트어인 아르미(Armi)라는 용어는 에블라 정판(기원전 2300년)에서 자주 발생한다. 아카드(기원전 2250년)의 나람신(나람신) 연보 중 하나는 북쪽 산에서 시무럼을 상대로 하는 캠페인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아람의 엔시인 두불'(아람은 겉보기엔 젠릭한 형태)을 포획했다고 언급하고 있다.[17] "아람"의 장소나 사람들에 대한 다른 초기 언급은 마리 (기원전 1900년)와 우가리트 (기원전 1300년)의 기록 보관소에 나타났다. 그러나 아라무, 아르미 또는 아라메라는 용어의 초기 사용이 실제로 아라메인을 지칭하고 있었다는 역사적, 고고학적, 언어학적 증거는 없다. 한 민족으로서 아라만인에 대한 최초의 명백한 역사적 증명은 훨씬 나중에 티글라스 말뚝 1세의 비문에 나타난다.[18][19][20]
유목 목회자들은 오랫동안 중동의 역사와 경제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해왔지만, 이들의 수는 기후 조건과 영구 정착을 유도하는 이웃 국가들의 힘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다. 청동기 후기의 시기는 이웃 국가들을 약화시키고 초인종 목회자들이 그들의 양 떼와 더 긴 기간을 보내도록 유도한 건조증 증가와 맞물린 것 같다. 레반트에 있는 도시 정착촌(대부분 아모리테, 가나안테, 히타이트, 우가르테)은 규모가 축소되어 결국 완전히 유목적인 목회자의 생활양식이 이 지역의 대부분을 지배하게 되었다. 이동성이 높고 경쟁이 치열한 이들 부족민들은 갑작스런 습격으로 장거리 무역을 위협하고 세금과 헌납을 방해했다.
오늘날 시리아(재임기간 동안 아무루루 땅이라 불림) 내에서 오랫동안 저명한 인구였던 사람들은 기원전 25세기 동안 나타난 북서 셈족 언어인 아모리인들로, 지금까지 지배적인 에블라의 동 셈족 언어국가를 무너뜨리고, 마리 1세의 강력한 국가를 건설했다.레반트와 기원전 19세기 동안 남부 메소포타미아에 바빌로니아를 세웠다. 그러나 그들은 기원전 13세기에 이르러 역사에서 사라진 아흐라무라는 민족의 출현에 의해 실향되거나 완전히 흡수된 것 같다.
알람마는 기원전 13세기 동안 근동, 아라비아 반도, 아시아 마이너, 이집트에 걸쳐 나타난 셈족 방랑자들과 다양한 기원의 유목민들의 새로운 물결의 총칭으로 보인다. 알람마족의 존재는 이미 알람마가 일어난 많은 땅을 바빌로니아의 니푸르 시와 딜문(현대 바레인)에서도 지배했던 중 아시리아 제국(기원전 1365년–1020년) 동안 증명된다. 샬마네세르 1세(기원전 1274년–1245년)는 미타니 왕 샤투아라와 히타이트 용병, 알람마 용병을 물리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다음 세기에 알람마는 바빌론에서 하투사스로 가는 길을 끊었고, 투쿨티-니누르타 1세(기원전 1244년–1208년)는 유프라테스 강에서 마리, 하니갈바트, 라피쿰과 시리아 북부 제벨 비슈리의 지역으로 보이는 '아흐람의 산'을 정복했다.
아라만족은 아람무와 동의어라기 보다는 더 큰 일반 알람무 집단의 한 부분으로 보일 것이다.
아라미아 주
아라만족의 출현은 청동기 시대 붕괴(기원전 1,200~900년)에 일어났는데, 이 시기에 중동, 아시아 마이너, 코카서스, 동 지중해, 북아프리카, 고대 이란, 고대 그리스, 발칸 지역의 민족들이 큰 격변과 집단 이동을 보였으며, 이 지역들에 걸쳐 새로운 민족과 정치로 이어졌다.
아라만족에 대한 첫 번째 특정 언급은 티글랏빌레세르 1세 (기원전 1115년–1077년)의 비문에 나타나는데, 이 비문은 "아람마-아라만족" (Ahlama Armaia)을 복속시키는 것을 말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아시리아 연호에서 아람마가 사라져 아라만족(아람무, 아리미)이 대신하게 된다. 이것은 아라미안이 유목민들 사이에서 지배력을 얻었음을 나타낸다. 학자들 사이에서는 아클라메와 아라메족의 관계는 추측의 문제다.[21] 기원전 12세기 후반에 시리아에 아라미안이 확고히 자리잡았으나, 이전의 아모리 족과 알라무 족처럼 중간 아시리아 제국에 의해 정복되었다.
기원전 14세기 전반부터 근동·아시아 소국을 지배하던 중간 아시리아 제국(기원전 1365–1050년)은 기원전 1056년 마지막 대왕 아슈르벨칼라가 죽은 후 급속히 위축되기 시작했으며, 아시리아 철수는 아라미족 등이 독립을 쟁취하고 무엇이냐를 확고히 통제할 수 있게 했다.기원전 11세기 후반의 n Eber-Nari (그리고 오늘날 시리아)이다. 이 지역을 아라메아라고 부른 것은 이 때부터이다.
아라만어를 사용하는 주요 왕국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되어 있다. Aram-Damascus,[22][23] Hamath,[24][25] Bet-Adini,[26][27] Bet-Bagyan,[28] Bit-Hadipe, Aram-Bet Rehob,[29] Aram-Zobah, Bet-Zamani,[30] Bet-Halupe,[31] and Aram-Ma'akah, as well as the Aramean tribal polities of the Gambulu, Litau and Puqudu.[32]
Later Biblical sources tell us that Saul, David and Solomon (late 11th to 10th centuries) fought against the small Aramean kingdoms ranged across the northern frontier of Israel: Aram-Sôvah in the Beqaa, Aram-Bêt-Rehob (Rehov) and Aram-Ma'akah around Mount Hermon, Geshur in the Hauran, and Aram-Damascus. 적어도 2세기 후 이스라엘 북부에서 발견된 아라미아 왕의 이야기인 텔단 기석은 이스라엘 왕조인 다윗 왕조에 대한 아마도 가장 초기 비이스라엘 왕조인 비성경적 성서적 역사적 언급으로 유명하다. 기원전 11세기 초 이스라엘 상당수는 성서판서에 따라 8년 동안 외세의 지배를 받았으며, 오트니엘은 성경에 아람-나하라임의 통치자로 책봉된 쿠샨-리샤타임이 이끄는 세력을 물리쳤다.[33]
더 북쪽으로, 아라메인들은 오론테스 강에서 포스트 히타이트 하마스를 소유하게 되었고, 곧 인도-유럽어를 사용하는 포스트 히타이트 주들과 분리될 정도로 강해졌다.
기원전 11세기, 10세기 동안 아라메인들은 야우디라고도 알려진 삼알(현대판 젠지르리)을 정복했고, 아르파드에서 알레포까지 이 지역을 보트-아구시로 개칭했으며,[34] 또 베스 에덴으로도 알려진 보트-아디니의 주요 마을이 된 틸 바르시프를 정복했다. 삼알의 북쪽은 시리아의 비트갑바리 주였는데, 이 주는 포스트 히타이트 주의 카르케미시 주, 구르굼 주, 카티나 주, 운치 주와 그루지야[citation needed] 주의 타발 주 사이에 끼어 있었다.
이와 동시에 아라메아인들은 유프라테스 강 동부로 이주하여 한동안 이 지역 전체가 아람-나하라임 또는 '양강의 아람'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동부 아라미아 부족은 바빌로니아로 퍼져 나갔고 아라미아 우서르페르는 아다드-아팔-iddin이라는 이름으로 바빌로니아의 왕으로 추대되었다.[35] 남부 메소포타미아에 있는 그들의 초기 반독립 왕국들 중 하나는 Btt-Bahiarni (Tell Halaf)이다.
네오아시리아 통치하에서
기원전 1050년 중간 아시리아 제국 말기의 아시리아 연호와 기원전 911년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등극은 아라미안과 아시리아 군대의 전투에 대한 수많은 묘사를 담고 있다.[32] 아시리아인들은 무역로를 개방하기 위해 아라메아, 바빌로니아, 고대 이란, 엘람, 아시아 마이너, 심지어 지중해까지 반복해서 기습 공격을 감행할 것이다. The Aramean kingdoms, like much of the Near East and Asia Minor, were subjugated by the Neo Assyrian Empire (911–605 BCE), beginning with the reign of Adad-nirari II in 911 BCE, who cleared Arameans and other tribal peoples from the borders of Assyria, and began to expand in all directions (See Assyrian conquest of Aram). 이 과정은 아슈르나시르팔 2세에 의해 계속되었고, 아들 샬마네세르 3세는 그들 사이에 많은 작은 아라메아 부족을 멸망시켰으며, 아시리아인들을 위해 아라메아(현대 시리아) 전체를 정복했다. 기원전 732년 아람-다마스쿠스가 멸망하여 아시리아 왕 티글랏-필레세르 3세에 의해 정복되었다. 아시리아인들은 시리아 식민지의 이름을 에베르 나리라고 지었고, 시리아라는 용어를 여전히 많은 민족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했다. 아시리아인들은 수십만 명의 시리아인들을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로 강제 추방했다.[36] 반대로 아람어는 기원전 8세기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언어 프랑카로 채택되었고, 원주민인 아시리아인과 바빌로니아인들은 공공 생활과 행정의 가장 보편적인 언어로서 아람어를 향해 점진적인 언어 이동을 하기 시작했다.
네오 아시리아 제국은 기원전 626년부터 잔혹한 내전(內戰)의 연속 속에 빠져들어 크게 약화되었다. 이로써 바빌로니아인, 찰딘인, 메데스인, 페르시아인, 파르티아인, 스키티아인, 사르가티아인, 시메르인 등 많은 종족들이 연합하여 기원전 616년에 아시리아를 공격하여 기원전 612년에 니네베를 경질하고 마침내 기원전 605년에서 599년 사이에 패배시켰다.[37] 앗시리아와의 전쟁 동안, 많은 말떼들이 스키티안과 시메르 마러들을 낳았고 아라메아를 거쳐 이집트까지 황폐화되었다.
철새 이동 과정으로 인해 고대 근동 전역에 다양한 아라미아 집단이 정착되었으며, 아시리아,[38] 바빌로니아,[39] 아나톨리아,[40] 페니키아,[41] 팔레스타인,[42] 이집트,[43] 북부 아라비아 지역에 이들의 존재가 기록되어 있다.[44]
네오아시리아 제국 시대에 시행되어 비아리아 인구의 점진적인 언어적 아람화에 뒤이어 이루어진 인구 이동은 아시리아 고유 지역에 구체적인 상황을 만들어 냈는데, 원래 고대 아시리아어(아크카디안의 방언)를 말했으나, 후에 아람어를 받아들였다.[45]
네오바빌론 통치하에서
그 후 아라메아/에버나리는 후대의 네오바빌론 제국(기원전 612년–539년)에 의해 통치되었는데, 처음에는 단명 찰딘 왕조가 통치하였다. 아라메아 지역은 이집트를 정복한 후 아시리아인들이 신하로서 설치하여 이전의 누비아 왕조를 몰아내고 쿠시테 제국을 멸망시킨 바빌로니아와 이집트 26왕조 사이의 전쟁터가 되었다. 아시리아 출신 거장들을 돕기 위해 뒤늦게 이 지역에 들어온 이집트인들은 수십 년 동안 이 지역에서 바빌로니아인(처음에는 아시리아군의 잔당들의 도움으로)과 싸웠다가 결국 패퇴했다.
바빌로니아인들은 기원전 539년 페르시아 아케메니드 제국이 바빌로니아의 마지막 왕인 나보니두스를 멸망시켰을 때까지만 해도 아라미아 땅의 주인이었다. 아시리아인은 기원전 556년 찰데아 왕조를 타도한 바 있다.
아케메니드 통치하에서
아라미안은 후에 아케메니드 제국(기원전 539년–332년)에 의해 정복되었다. 그러나 페르시아인들은 자신들을 이전 제국의 계승자로 보고 제국주의 아라마어어를 공공 생활과 행정의 주요 언어로 유지했기 때문에 네오아시리아나 네오바빌론 시대와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46][47] 지방 행정 구조도 그대로 유지되었고, 에베르 나리라는 명칭은 여전히 이 지역에 적용되었다.
셀레우시드와 프톨레마이오스 지배하에
알렉산더 대왕(기원전 336년-323년)의 정복은 아라미안이 거주하는 지역을 포함한 근동 전체 역사에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기원전 4세기 말까지, 셀레우시드 제국 (기원전 305–64년)과 프톨레마이오스 제국 (기원전 305–30년)이라는 두 개의 새로운 헬레니즘 국가가 지역 패권을 위한 주요 척도로 등장했다. 역사학적으로 시리아 전쟁으로 알려진 몇 가지 분쟁은 기원전 3세기에서 2세기 사이에 두 강대국 사이에서, 오래된 아라미안 지명(전 시리아)에서 유래한 용어인 "코엘레 시리아"(전 시리아)로 알려진 지역 통제를 둘러싸고 일어났다. 이전 시대 이후로, 고대 그리스인들은 일반적으로 시리아 군인이자 후계자 땅에 대해서는 지정으로 보이지만 용어 앗시리아에 반대하는 헬레니즘(Seleucid-Ptolemaic)기간 동안이다는 용어 시리아 마침내, 지역 Euphrates의 서부식 명칭으로, 한층 더 동쪽으로 지역 지정 정의되었다"시리아"라벨을 사용했다.[48][49][50]
기원전 3세기 동안, 히브리 성경이 그리스어로 번역된 이후, 이전 아라미아 왕국의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이 더 많은 청중들에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셉투아긴트로 알려진 이 번역은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의 수도 알렉산드리아에서 만들어졌는데, 그곳은 헬레니즘 세계의 가장 중요한 도시였고, 헬레니즘의 중심지 중 하나이기도 했다. 그리스어 용어의 영향을 받아 번역가들은 시리아어 표지를 아라메인과 그 땅의 지정으로 사용함으로써 히브리 성경에 사용되었던 내명(원어) 용어를 버리고 고대 그리스어 관습을 채택하기로 결정했다.[51] 그리스어 번역(세푸아긴트)에서는 아람 지역을 흔히 '시리아'라고 표기했고, 아라미안은 '시리아인'[52]으로 표기했다. 이와 같은 익명(외국어) 용어의 승진은 후기 용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53]
1921년 미국의 동양학자 로버트 W. 로저스(d. 1930)는 그리스어 용어가 영어 번역에 미친 전통적 영향에 대해 "시리아와 시리아어가 영어판으로 들어온 것은 가장 불행한 일이다"라고 지적했다. "항상 아람과 아람인이어야 한다.[54]
로마와 파르티아 통치하에서.
기원전 1세기 동안 시리아의 적절한 지역(유프라테스 서쪽)에 로마 통치가 성립된 후, 아라메안 땅은 로마와 파르티아 두 제국 사이의 국경지역이 되었고, 이후 그들의 후임 국가인 비잔틴과 사사니드 제국 사이의 국경지역이 되었다. 국경지역에도 여러 개의 작은 주들이 존재했는데,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주는 우르하이로 알려진 에데사 시를 중심으로 한 오스루네 왕국이다.[55]
그리스의 지리학자 겸 역사학자 스트라보(24CE 24년)는 그의 "지오그래피"에서 여러 예에 대해 언급하면서 현대 아라메인에 대해 썼다. 스트라보는 특히 사람들의 이름에 관심을 보이며 아라미안인들이 아라미안(그들의 원주민 이름)이라는 용어를 자기 지정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기록했으며 그리스인들이 공통적으로 이들을 '시리아인'으로 표기하고 있다고도 언급했다. 그는 "우리가 시리아인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은 시리아인 스스로 아라미안이라고 부른다"고 밝히며 "시리아인들은 시리아인으로, 지금은 시리아인으로 불린다"고 인정하고 "시리아 자체가, 그곳에는 시리아인이 있기 때문에"라고 언급했다.[56]
AD 1세기에서 3세기 사이에 고대 아라미안인들은 기독교를 채택하여 다신교 아라미아 종교를 대체하였다. 같은 길목에서 기독교 성경은 아라마어로 번역되었고, 4세기에 이르러 에데사(우르헤이)의 지방 아라마어 사투리가 문학적 언어로 발전하여 에데산 아라마어(우르하야)로 알려지게 되었다.[57][58]
그 시기의 대표적인 기독교 작가로는 에데사의 성 에프렘(373년)이 있는데, 그의 작품에는 그의 언어(아람어), 조국(아람어), 사람(아람어)에 대한 여러 내명적(원어) 참고문헌이 수록되어 있다.[59][60][61][62][63] 따라서 그는 세루흐의 신학자 야곱(d. 521년)으로부터 아라메족의 왕관이나 화환(클래식 시리아크: :ܳܪܳܳܝܐܐܐ)으로 칭송받았으며, 같은 찬사가 소송문에서도 반복되었다.
시리아화와 아랍화
후기 고대와 초기 중세기 동안, 두 가지 연속적인 과정: 시리아화와 아랍화는 시리아인들 사이에서 시작되었고, 그들의 자기 정체성과 민족언어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다.
첫 번째 과정(시리아화)은 시리아어 표기를 아라메인과 그 언어에 사용하던 고대 그리스의 관습이 아라메아 문학과 교회 엘리트 사이에서 받아들여지기 [8]시작한 5세기에 시작되었다. 시리아어 표지를 시리아어 표기와 그들의 언어 표기로 사용하는 관습은 고대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매우 흔했고, 그 영향 아래 로마인과 비잔틴인들 사이에서도 흔해졌다.[67]
시리아화의 초기 선박은 신약성서의 그리스 서적과 함께 9부아긴트(그리스어 번역본 히브리 성서)로,[52] 시리아어 표기를 시리아어 표기를 아라메인과 그 땅(아람)의 지정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5세기 초에 이르러 그 관습은 아라미아 교회주의 및 문학 엘리트들의 용어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고, 시리아의 라벨은 그리스 작품의 아라미아 번역뿐만 아니라 아라미아 작가들의 원작에서도 빈도와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 그들의 엘리트들의 예에 따라 아라미아인들 사이에서 내명적(native)뿐만 아니라 익명적(외국적) 지정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었고, 따라서 아라미아/아람어, 시리아/시리아크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한 저명한 작가들의 작품에서 증명되었듯이 중세에도 지속되는 특정한 이중성을 만들어냈다.[68][69]
에데산 아람어(Urhaya)는 아라마 기독교의 주요 리트리아어였기 때문에 후에 서양 학자들에 의해 고전 시리아어(Classic Syriac)로 정의되어 시리아크 기독교라는 용어의 기초를 만들었다.[70][71][7][72][73][74]
두 번째 과정(아랍화)은 7세기 아랍 정복 이후 시작되었다. 종교적인 삶의 영역에서는 기독교 아라미안이 이슬람화에 노출되어 이슬람 기도와 예배의 지배적인 언어일 뿐만 아니라 공적인 생활과 가정생활의 공용어로서 아랍어를 점진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 아랍어의 수용은 근동 전역의 아라만 공동체가 점진적으로 아랍화되는 주요 그릇이 되었고, 궁극적으로 그 분열과 변혁을 초래하게 되었다. 그러한 과정들은 이슬람화된 아라미아인들뿐만 아니라 기독교인으로 남아 있는 사람들 중 일부에게도 영향을 미쳐 아라미아 출신 아랍어를 구사하는 기독교인들의 지역사회를 만들었고, 그들은 공공 생활과 가정 생활에서 아랍어를 말하지만, 계속해서 공적인 아라미어/시리아어를 사용하는 교회들에 속했다.[75][76][10][12]
아랍과 터키의 통치하에.
7세기 아랍이 근동을 정복한 이후 기독교 아라미아의 나머지 공동체는 이미 분모선을 따라 분열된 지역 교회 제도들을 중심으로 모여들었다.[77][74][7][78]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을 포함한 서부 지역의 사람들 중 대다수는 안디옥의 동양 정교회 총대주교가 관할하는 동양 정교회를 고수했고, 소수 민족은 안디옥과 예루살렘의 지역 총대주교가 관할하는 동방 정교회에 속해 있었다.[79] 사실 동방 정교회 patriarchates 그리스 episcopate와 그리스 linguistic와 문화적 전통에 의해 장악되었다에도 불구하고, 아람의 언어와 문학적인 예배 삶에 사용하는 중동 Ages,[11]은 14일 century,[80] 구체적인 지역의 방언이 기독교 Palestin으로 알려져 사용에 구체적으로까지 내내 고집했다.아라ian신랄한 [81]말 한편, 동양 정교회 공동체 내에서는 지배적인 리트리아어와 문학적 언어가 에데산 아람어였으며, 후에 고전 시리아크로 알려지게 되었고,[73] 안티오크의 동양 정교 총대주교 그 자체가 시리아크 정교회로 알려지게 되었다.
10세기 동안 비잔틴 제국은 멜리테네(934년)와 안티오키아(969년)를 포함한 시리아 북부와 메소포타미아 상부의 상당 부분을 정기적으로 재조명함으로써 지역 아라마어를 사용하는 기독교 공동체를 이슬람 통치에서 해방시켰다. 비잔틴은 동방 정교회를 선호했지만 안티오키아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회의 지도력이 비잔틴 당국과 합의에 성공해 종교적 관용성을 확보했다.[82] 비잔틴은 에데사(1031년)까지 통치를 연장했으나 11세기 동안 시리아로부터 총퇴각으로 밀려났고, 새로 도착한 셀주크 투르크인들이 안티오키아(1084년)를 빼앗았다. 이후 안티오키아 공국과 에데사 카운티인 십자군 국가(1098년)의 설립은 동양의 정교회와 동방 정교회 양쪽 지역 아라마어를 구사하는 기독교인들에게 새로운 도전을 불러일으켰다.[83]
안티오키아 동방정교 총대주교회의 교회적이고 문학적인 엘리트 가운데 아라미아 정체성과 유산과 관련된 전통이 중세 내내 지속되었다. 아라마어(아라마야/오로모요)와 아라마어(아라마야/오로모요) 일반(아라마예/오로모요)에 대한 네이티브(익명) 지정의 사용은 저명한 작가들의 작품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 시리아/시리아어 지정의 획득과 함께 계속되었다.[84][85][86][69]
주크닌 연대기(8세기)의 저자들은 그들의 민족을 언급할 때 수리아예(시리아크)라는 용어를, 아라마예(아람어)라는 용어를 동의어로 사용하면서,[87] 자신들의 민족을 '아람의 아들들'[88] 즉 '아람의 자녀들'[89]로 정의했다. 아시리아의 저명한 학자이자 아시리아 연속성의 지지자인 아미르 하라크 교수는 이 자료에 대해 연대기 편집자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아랍 출처의 자즐라인 북부 시리아는 기원전 2천년 후반부터 시리아인들의 고향이었습니다. 시리아어를 쓰는 사람들은 위의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아라마이족의 후손들이었습니다."[89][90]
근동의 동방 기독교인들 중 가장 주목받는 중세 작가 중 하나인 안티오크의 동양 정교회 총대주교 마이클(d. 1199년)은 그의 주요 역사 작품의 부록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하나님의 도움으로 우리는 과거에 우리 아라미아 민족에게 속했던 왕국들, 즉 수려예라고 불리는 아람의 아들들, 즉 시리아에서 온 사람들의 기억을 적는다."[91][92]
시간이 흐르면서 시리아어/시리아어 표지를 기반으로 한 아라마어 고유명칭은 여러 변증법적 변이(Suryoyo/Suryaya, Surayṯ/Sureṯ, Suryán)로 발전하면서 더욱 보편화되었다. 터키 통치하의 근동 흉악범 전부가 있던 16세기 무렵에는 시리아/시리아식 지정이 이미 지배적이었고, 이에 따라 수례라는 용어는 자칭의 주요 용어가 되었다.[93][94]
레거시 및 현대 아라메아 정체성
고대 아라미안의 유산은 초기 근대기에 학자들에게 특히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 결과 아라미어 연구가 출현하게 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아라미어 및 아라미어 문화유산 연구에 전념하는 특색 있는 분야로 나타났다.[14] 19세기에 이르러 아라미아 문제가 공식화되었고, 아라미어의 발전과 아라미아인들의 역사에 관한 여러 학구적인 논문들이 제시되었다.[95]
그 질문들 중 일부는 아라만/아람어, 시리아/시리아어, 아시리아어 및 찰데아어 지정의 사용과 관련된 현대 문제에 집중되었다. In 1875, Henry Van-Lennep (d. 1889), who was working as an American missionary among Eastern Christians in the Ottoman Near East, stated that Arameans are "better known as the Syrians, the Assyrians, and the Chaldeans", and also added: "The name Aramean is generally applied to all the inhabitants of the country which extends from the eastern bound아시리아의 지중해행 아리아, 아시아 소수민족 및 팔레스타인을 제외한" 반-레네프는 또한 아라미안이 동부(현재의 샬데아어로 불리는 동부 아라미안 또는 아시리아인)와 서부(서부 아라미안 또는 현대 시리아인)[96]의 두 갈래로 나뉘어져 있다고 말했다.
그러한 범아리아인의 견해 중 일부는 후에 다른 서방 연구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졌는데, 그들은 또한 현대 시리아인들이 아라메인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97] 1888년 영국의 항생물학자 조지 T. 따라서 베타니(1891년 dd)는 "시리아를 점령한 현대 셈족들은 아라마에인이라고 가장 정확하게 불린다"[98]고 언급했다. 1919년 아일랜드 오리엔탈리스트 에드먼드 파워(d. 1953년)는 "이 지역들에서 기독교의 생존으로 인해 보다 고대의 아라미아 원소가 가장 잘 보존되고 있는 것은 북메소포타미아와 서시리아에 있다"고 언급하면서 현대 시리아의 기독교 아라미아인들과 관련된 여러 가지 질문을 지적했다.[99]
20세기 동안 시리아의 연속성 개념과 아시리아의 연속성 개념이 충돌하면서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는 일련의 분쟁들이 일어났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시리아와 레바논의 남동부, 그리고 특히 독일과 스웨덴의 아라만 디아스포라에서 아라미아 기독교인들이 아라미아 정체성을 주로 지니고 있다.[100][101] 2014년 이스라엘은 아라만족을 특색 있는 소수민족으로 공식 인정했다.[102] 일부 다른 나라들의 아라미아인들의 소수민족 권리와 관련된 질문들도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103][104]
문화
언어
아라미안은 대부분 페니키아 문자를 사용하여 최초로 쓰여진 서 셈어 구 아라미어(기원전 1100년–기원전 200년)의 사용에 의해 정의되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 아라미어 문자로 수정되었다.
기원전 8세기 초, 아람어는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에서 동 셈어 악카디아어와 대본과 경쟁하였고, 그 후 근동 전역에 다양한 방언으로 전파되었다. 기원전 800년경에 아라미치는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언어 프랑카가 되었고, 아케메니드 시대에도 제국 아라미어로서 계속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에 그리스어에 의해 소외되었지만, AD 7세기 아랍 이슬람이 메소포타미아를 정복할 때까지 다양한 방언의 아라마어는 그 지역의 모든 셈족들의 공통언어로 도전받지 않고 남아 있다가 점차 아랍어로 대체되었다.
네오아시리아 제국, 네오바빌론 제국, 아차메니드 페르시아 제국의 고(故) 구(舊) 아라마어어는 페르시아 아시리아의 중간 아라마어 시리아어(Middle Aramic Syriac language)로 발전하여 시리아크 기독교의 리트리아어가 되었다. 아직도 악카디아어 외래어를 간직하고 있는 이 동아람어의 후예 방언은 아시리아 민족의 구어와 문어로 여전히 존속하고 있다. 그것은 주로 이라크 북부, 이란 북서쪽, 터키 남동쪽, 시리아 북동부에서 발견되며, 적은 정도는 아르메니아, 그루지야, 러시아 남부, 레바논, 이스라엘, 요르단, 아제르바이잔의 이주 공동체, 특히 미국, 캐나다, 영국, 스웨덴, 호주, 그리고 서부의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 발견된다. 독일. 소수의 이스라엘 유대인들, 특히 이라크에서 온 사람들, 그리고 덜한 정도로 이란과 터키 동부는 여전히 동아람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주로 히브리어에 의해, 특히 이스라엘 태생 세대 내에서 침식되고 있다.
서양의 아라마 방언은 이제 마울라, 쥬바딘, 바카에서 무슬림과 기독교인들만이 사용하고 있다. 만도어는 주로 이라크와 이란을 중심으로 민족주의-메소포타미아 그누아론 종파의 최대 7만5000여 명의 연사가 사용한다.
종교
It appears from their inscriptions as well as from their names that Arameans worshipped Mesopotamian gods such as Haddad (Adad), Sin, Ishtar (whom they called Astarte), Shamash, Tammuz, Bel and Nergal, and Canaanite-Phoenician deities such as the storm-god, El, the supreme deity of Canaan, in addition to Anat (‘Atta) and others.
고국 밖에서 살던 아라메인들은 그들이 정착한 나라의 전통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다마스쿠스의 왕은 페니키아 조각가들과 상아 운반자들을 고용했다. Tell Halaf-Guzana에서는 아라미아의 통치자(기원전 9세기)인 카파라의 궁전을 정형외과와 메소포타미아, 히타이트, 후리아인의 영향을 혼합한 조각상으로 장식했다.
AD 1세기와 4세기 사이에 아라미아인들은 다신교 아라미아 종교를 대신하여 기독교를 채택하기 시작했고, 레반트와 메소포타미아의 지역은 시리아어와 시리아크 문자가 등장한 동쪽에 있는 아라미아 왕국 오스루네와 함께 시리아크 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참고 항목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아라만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참조
- ^ Lipiński 2000, 페이지 25-54, 347-407.
- ^ Gzella 2015, 페이지 16-45, 53-103.
- ^ 2016년 초, 페이지 109-220, 549-654.
- ^ Lipiński 2000, 페이지 409-489.
- ^ Gzella 2015, 페이지 104-211.
- ^ 2016년 초, 페이지 655-740.
- ^ Jump up to: a b c d 힐리 2019, 페이지 433-446.
- ^ Jump up to: a b 미노프 2020, 페이지 256-257.
- ^ 위타코프스키 1987년, 페이지 76: "기독교화 시대부터 새로운 종교를 수용한 아라메인들은 결국 그들 자신을 받아들인 그리스 태생의 이름인 시리아인으로 일컬어졌다."
- ^ Jump up to: a b 메소 2017, 페이지 41-57.
- ^ Jump up to: a b 그리피스 1997, 페이지 11~31.
- ^ Jump up to: a b Frenschkowski 2019, 페이지 457–484.
- ^ 하우저 2019년, 페이지 431: "무슬림 정복 이후에도 기독교 아라메인들은 오늘날까지 근동의 종교적, 민족적 구성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었는데, 기독교 서부와 무슬림(이전의 조로아스트리아) 동부에 대한 단순한 이원론적 생각에서 너무나 자주 잊혀진 사실이었다."
- ^ Jump up to: a b 버넷 2005 페이지 421-436.
- ^ 니에르 2014 페이지 1-9.
- ^ Gzella 2015, 페이지 3-16.
- ^ Lipiński 2000, 페이지 26-40.
- ^ Lipiński 2000, 페이지 25-27.
- ^ Gzella 2015, 페이지 56.
- ^ 2016년 초, 페이지 35-108.
- ^ "Akhlame". Encyclopædia Britannica.
- ^ Lipiński 2000, 페이지 347.
- ^ 2016년 젊은 페이지 549-654.
- ^ Lipiński 2000, 페이지 249.
- ^ 2016년 초, 페이지 425-500.
- ^ Lipiński 2000, 페이지 163.
- ^ 2016년 초, 페이지 307-372.
- ^ Lipiński 2000, 페이지 119.
- ^ Lipiński 2000, 페이지 319.
- ^ Lipiński 2000, 페이지 135.
- ^ Lipiński 2000, 페이지 78.
- ^ Jump up to: a b 2016년 젊음.
- ^ 빌링턴 2005, 페이지 117–132.
- ^ 2016년 초, 페이지 501-548.
- ^ "아라마이안(사람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 운슈 2013, 페이지 247–260.
- ^ 색스 1984, 페이지 290: "아시리아 제국의 파괴는 그 인구를 소탕하지 않았다. 그들은 주로 농민들이었고, 아시리아에는 근동의 가장 좋은 밀밭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아시리아 농민들의 후손들은 기회가 된다면 구시가지 위에 새로운 마을을 건설하고, 구시가지들의 전통을 기억하며 농업생활을 이어나갈 것이다. 7, 8세기와 다양한 변천을 거쳐 이 사람들은 기독교인이 되었다."
- ^ 니시넨 2014, 페이지 273-296.
- ^ Streck 2014, 페이지 297-318.
- ^ 르메이르 2014, 319-328페이지.
- ^ 니에르 2014b, 329-338페이지.
- ^ 2014년 버러정 페이지 339-365.
- ^ 보타 2014, 페이지 366-377.
- ^ 니에르 2014c, 378-390페이지.
- ^ 밀라드 1983, 페이지 106-107.
- ^ 리피에스키 2000.
- ^ Gzella 2015.
- ^ 1992년식, 페이지 281–285.
- ^ 하인리히스 1993 페이지 106-107.
- ^ 요셉 1997, 페이지 37-43.
- ^ 주스텐 2010, 페이지 53–72.
- ^ Jump up to: a b Wevers 2001, 페이지 237-251.
- ^ 메소 2011, 페이지 113-114.
- ^ 로저스 1921 페이지 139.
- ^ 하라크 1992 페이지 209-214.
- ^ 롤러 2014, 페이지 71, 594, 730.
- ^ 브록 1992a, 페이지 16.
- ^ 브록 1992b, 226페이지.
- ^ 그리피스 2002, 페이지 15, 20.
- ^ 파머 2003, 페이지 3
- ^ 그리피스 2006, 페이지 447.
- ^ 데비에 2009년 페이지 103.
- ^ 메소 2011, 페이지 119.
- ^ 브록 1999, 14-15페이지.
- ^ Rompay 2004, 페이지 99.
- ^ 미노프 2020, 페이지 304.
- ^ 메소 2011, 페이지 118.
- ^ 메소 2011, 페이지 118-123.
- ^ Jump up to: a b 미노프 2020, 페이지 255-263.
- ^ 아우프레히트 2001, 페이지 149.
- ^ 퀴스펠 2008, 페이지 80.
- ^ 그리피스 2002 페이지 5-20.
- ^ Jump up to: a b 힐리 2007년 115-127페이지.
- ^ Jump up to: a b 힐리 2014 페이지 391–402.
- ^ 1998년 루빈 페이지 149-162.
- ^ Bchheyr 2010, 페이지 455-475.
- ^ 그리피스 2007, 페이지 109–137.
- ^ 하우저 2019, 페이지 431-432.
- ^ 메소 2017, 페이지 41-47.
- ^ 브록 2011, 96-97페이지.
- ^ Gzella 2015, 페이지 317-326.
- ^ 데비에 2009년 페이지 110-111.
- ^ 2006년 웰터키 페이지 95-124.
- ^ Rompay 1999, 페이지 269–285.
- ^ 롬페이 2000, 페이지 71-103.
- ^ Welteke 2009, 페이지 115-125.
- ^ 하락 1999, 226페이지.
- ^ 하락 1999, 페이지 148.
- ^ Jump up to: a b 하락 1999, 225페이지.
- ^ 하락 1998, 페이지 475 : "2기 시리아의 배경은 기원전 2천년 후반부터 시리아 북부가 아라마이족의 본고장이었던 데 있다. 시리아어를 쓰는 사람들은 그 표현이 그것을 반영하듯이 이 아라마이족의 후손들이었습니다."
- ^ Welteke 2009, 페이지 119.
- ^ 데비예 2009년, 페이지 104: "그리고 마이클 대왕 연대기 부록의 제목 저자는 시리아인(수리야)이나 시리아인(비나이 수리아)으로 불리게 된 시리아인의 인종이나 국가(음타)에 속한다고 말한다."
- ^ 메소 2011, 페이지 111-125.
- ^ 메소 2017.
- ^ Nöldeke 1871, 페이지 113-131.
- ^ 반-레네프 1875, 페이지 341, 358.
- ^ 웰스 1920, 페이지 192.
- ^ 베타니 1888, 페이지 491.
- ^ 1919년, 페이지 79.
- ^ 2012년, 페이지 73–83.
- ^ 2015년 워즈니악, 페이지 483-496.
- ^ Eti Weissblei(2017): 중동과 이스라엘의 아라메인: 역사적 배경, 근대적 국가 정체성, 정부정책
- ^ 테울레 2012, 페이지 47-56.
- ^ 소머 2012 페이지 157-170.
원천
- Akopian, Arman (2017). Introduction to Aramean and Syriac Studies: A Manual. Piscataway, NJ: Gorgias Handbooks. ISBN 9781463238933.
- Arav, Rami (2013). "Geshur: The Southwesternmost Aramean Kingdom". Arameans, Chaldeans, and Arabs in Babylonia and Palestine in the First Millennium B.C.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1–29. ISBN 9783447065443.
- Arnold, Bill T. (2011). "Aramean Origins: The Evidence from Babylonia". Archiv für Orientforschung. 52: 179–185.
- Aufrecht, Walter E. (2001). "A Legacy of Syria: The Aramaic Language". Bulletin of the Canadian Society for Mesopotamian Studies. 36: 145–155.
- Bcheiry, Iskandar (2010). "The Arabization Process in Upper Mesopotamia in the Eighth Century A.D.: The Case of the Mosulis in the Chronicle of Zūqnīn". Parole de l'Orient. 35: 455–475.
- Beaulieu, Paul-Alain (2013). "Arameans, Chaldeans, and Arabs in Cuneiform Sources from the Late Babylonian Period". Arameans, Chaldeans, and Arabs in Babylonia and Palestine in the First Millennium B.C.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31–55.
- Berlejung, Angelika (2014). "Palestine".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339–365. ISBN 9789004229433.
- Bettany, George T. (1888). The World's Inhabitants. London-New York: Ward, Lock & Co.
- Beyer, Klaus (1986). The Aramaic Language: Its Distribution and Subdivisions.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ISBN 9783525535738.
- Billington, Clyde E. (2005). "Othniel, Cushan-Rishathaim, and the Date of the Exodus". Beyond the Jordan: Studies in Honor of W. Harold Mare. Eugene: Wipf and Stock Publishers. pp. 117–132. ISBN 9781597520690.
- Bonatz, Dominik (2014). "Art".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205–253. ISBN 9789004229433.
- Botta, Alejandro F. (2014). "Egypt".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366–377. ISBN 9789004229433.
- Bowman, Raymond A. (1948). "Arameans, Aramaic, and the Bible".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7 (2): 65–90. doi:10.1086/370861. JSTOR 542672. S2CID 162226854.
- Brinkman, John A. (1968). A Political History of Post-Kassite Babylonia, 1158-722 B.C. Roma: Pontificium Institutum Biblicum.
- Brinkman, John A. (1977). "Notes on Arameans and Chaldeans in Southern Babylonia in the Early Seventh Century B.C." Orientalia. 46 (2): 304–325. JSTOR 43074768.
- Brock, Sebastian P. (1989). "Three Thousand Years of Aramaic Literature". Aram Periodical. 1 (1): 11–23.
- Brock, Sebastian P. (1992a) [1985]. The Luminous Eye: The Spiritual World Vision of Saint Ephrem (2nd revised ed.). Kalamazoo: Cistercian Publications. ISBN 9780879075248.
- Brock, Sebastian P. (1992b). "Eusebius and Syriac Christianity". Eusebius, Christianity, and Judaism. Detroit: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pp. 212–234. ISBN 0814323618.
- Brock, Sebastian P. (1999). "St. Ephrem in the Eyes of Later Syriac Liturgical Tradition" (PDF). Hugoye: Journal of Syriac Studies. 2 (1): 5–25. doi:10.31826/hug-2010-020103. S2CID 212688898.
- Brock, Sebastian P. (2011). "Christian Palestinian Aramaic". Gorgias Encyclopedic Dictionary of the Syriac Heritage. Piscataway, NJ: Gorgias Press. pp. 96–97.
- Burnett, Stephen G. (2005). "Christian Aramaism: The Birth and Growth of Aramaic Scholarship in the Sixteenth Century" (PDF). Seeking Out the Wisdom of the Ancients. Winona Lake: Eisenbrauns. pp. 421–436.
- Coyne, John J. A. (1914). "Hellenism and the Aramean People". Studies: An Irish Quarterly Review. 3 (10): 64–91. JSTOR 30092466.
- Courtois, Sebastien de (2004). The Forgotten Genocide: Eastern Christians, the Last Aramaeans. Piscataway, NJ: Gorgias Press. ISBN 9781593330774.
- D'Agostino, Anacleto (2009). "The Assyrian-Aramaean interaction in the upper Khabur: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Tell Barri Iron Age layers". Syria. 86 (86): 17–41. doi:10.4000/syria.507. JSTOR 20723917.
- Debié, Muriel (2009). "Syriac Historiography and Identity Formation". Church History and Religious Culture. 89 (1–3): 93–114. doi:10.1163/187124109X408014.
- Drijvers, Hendrik J. W. (1980). Cults and Beliefs at Edessa. Leiden: Brill. ISBN 9004060502.
- Fales, Frederick M. (2011). "Moving around Babylon: On the Aramean and Chaldean Presence in Southern Mesopotamia". Babylon: Wissenskultur in Orient und Okzident. Berlin-Boston: Walter de Gruyter. pp. 91–112.
- Fales, Frederick M. (2017). "Ethnicity in the Assyrian Empire: A View from the Nisbe (III): Arameans and Related Tribalists". At the Dawn of History: Ancient Near Eastern Studies in Honour of J. N. Postgate. Winona Lake: Eisenbrauns. pp. 133–178. ISBN 9781575064710.
- Frame, Grant (2013). "The Political History and Historical Geography of the Aramean, Chaldean, and Arab Tribes in Babylonia in the Neo-Assyrian Period". Arameans, Chaldeans, and Arabs in Babylonia and Palestine in the First Millennium B.C.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87–121.
- Frenschkowski, Marco (2019). "Are Syrians Arameans? Some Preliminary Remarks on Syriac Ethnic Identity in Late Antiquity". Research on Israel and Aram: Autonomy, Independence and Related Issues. Tübingen: Mohr Siebeck. pp. 457–484. ISBN 9783161577192.
- Frye, Richard N. (1992). "Assyria and Syria: Synonyms".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51 (4): 281–285. doi:10.1086/373570. JSTOR 545826. S2CID 161323237.
- Greenfield, Jonas C. (1976). "The Aramean God Rammān/Rimmōn". Israel Exploration Journal. 26 (4): 195–198. JSTOR 27925588.
- Griffith, Sidney H. (1997). "From Aramaic to Arabic: The Languages of the Monasteries of Palestine in the Byzantine and Early Islamic Periods". Dumbarton Oaks Papers. 51: 11–31. doi:10.2307/1291760. JSTOR 1291760.
- Griffith, Sidney H. (2002). "Christianity in Edessa and the Syriac-Speaking World: Mani, Bar Daysan, and Ephraem, the Struggle for Allegiance on the Aramean Frontier". Journal of the Canadian Society for Syriac Studies. 2: 5–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12-11.
- Griffith, Sidney H. (2006). "St. Ephraem, Bar Daysān and the Clash of Madrāshê in Aram: Readings in St. Ephraem's Hymni contra Haereses". The Harp: A Review of Syriac and Oriental Studies. 21: 447–472. doi:10.31826/9781463233105-026.
- Griffith, Sidney H. (2007). "Christian Lore and the Arabic Qur'an: The Companions of the Cave in Surat al-Kahf and in Syriac Christian Tradition". The Quran in its Historical Context. London-New York: Routledge. pp. 109–137. ISBN 9781134109456.
- Gzella, Holger (2014). "Language and Script".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71–107. ISBN 9789004229433.
- Gzella, Holger (2015). A Cultural History of Aramaic: From the Beginnings to the Advent of Islam. Leiden-Boston: Brill. ISBN 9789004285101.
- Gzella, Holger (2017). "New Light on Linguistic Diversity in Pre-Achaemenid Aramaic: Wandering Arameans or Language Spread?". Wandering Arameans: Arameans Outside Syria: Textual and Archaeological Perspectives.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19–38.
- Harrak, Amir (1992). "The Ancient Name of Edessa" (PDF).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51 (3): 209–214. doi:10.1086/373553. S2CID 16219034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4-08-09.
- Harrak, Amir (1998). "Arabisms in Part IV of the Syriac Chronicle of Zuqnin". Symposium Syriacum VII. Roma: Pontificio Istituto Orientale. pp. 469–498. ISBN 9788872103197.
- Harrak, Amir, ed. (1999). The Chronicle of Zuqnīn, Parts III and IV: A.D. 488-775. Toronto: 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ISBN 9780888442864.
- Hasegawa, Shuichi (2012). Aram and Israel during the Jehuite Dynasty. Berlin-Boston: Walter de Gruyter. ISBN 9783110283488.
- Hauser, Stefan R. (2019). "The Church of the East until the Eighth Century". The Oxford Handbook of Early Christian Archae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431–450. ISBN 978-0-19-936904-1.
- Hausleiter, Arnulf (2016). "The Middle Euphrates, Iraq: Assyrian-Babylonian interactions in an Aramaean territory in the early 1st millennium BC". Parcours d'Orient: Recueil de textes offert à Christine Kepinski. Oxford: Archaeopress publishing. pp. 107–120.
- Healey, John F. (2007). "The Edessan Milieu and the Birth of Syriac" (PDF). Hugoye: Journal of Syriac Studies. 10 (2): 115–127.
- Healey, John F. (2014). "Aramaean Heritage".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391–402. ISBN 9789004229433.
- Healey, John F. (2019). "Arameans and Aramaic in Transition – Western Influences and the Roots of Aramean Christianity". Research on Israel and Aram: Autonomy, Independence and Related Issues. Tübingen: Mohr Siebeck. pp. 433–446. ISBN 9783161577192.
- Heinrichs, Wolfhart (1993). "The Modern Assyrians - Name and Nation". Semitica: Serta philologica Constantino Tsereteli dicata. Torino: Zamorani. pp. 99–114. ISBN 9788871580241.
- Jarjour, Tala (2016). "Chant as the Articulation of Christian Aramean Spirithood".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and World Christianiti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187–207. ISBN 9780199859993.
- Joosten, Jan (2010). "The Aramaic Background of the Seventy: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Bulletin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eptuagint and Cognate Studies. 43: 53–72.
- Joseph, John B. (1997). "Assyria and Syria: Synonyms?" (PDF). Journal of Assyrian Academic Studies. 11 (2): 37–4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0-07-15.
- Kühn, Dagmar (2014). "Society, Institutions, Law, and Economy".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37–70. ISBN 9789004229433.
- Levin, Yigal (2017). "My Father was a Wandering Aramean: Biblical Views of the Ancestral Relationship between Israel and Aram". Wandering Arameans: Arameans Outside Syria: Textual and Archaeological Perspectives.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39–52.
- Lemaire, André (2014). "Anatolia".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319–328. ISBN 9789004229433.
- Lipiński, Edward (2000). The Aramaeans: Their Ancient History, Culture, Religion. Leuven: Peeters Publishers. ISBN 9789042908598.
- Lipiński, Edward (2013). "The Aramaeans in the West (13th–8th centuries)". Arameans, Chaldeans, and Arabs in Babylonia and Palestine in the First Millennium B.C.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123–147. ISBN 9783447065443.
- Mazar, Benjamin (1962). "The Aramean Empire and Its Relations with Israel". The Biblical Archaeologist. 25 (4): 97–120. doi:10.2307/3210938. JSTOR 3210938. S2CID 165844359.
- Merlo, Paolo (2014). "Literature".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109–125. ISBN 9789004229433.
- Messo, Johny (2011). "The Origin of the Terms Syria(n) and Suryoyo: Once Again". Parole de l'Orient. 36: 111–125.
- Messo, Johny (2017). Arameans and the Making of Assyrians: The Last Aramaic-speaking Christians of the Middle East. Aramaic Press.
- Millard, Alan R. (1980). "A Wandering Aramean".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39 (2): 153–155. doi:10.1086/372792. JSTOR 545123. S2CID 161083532.
- Millard, Alan R. (1983). "Assyrians and Arameans". Iraq: British Institute for the Study of Iraq. 45 (1): 101–108. JSTOR 4200184.
- Minov, Sergey (2020). Memory and Identity in the Syriac Cave of Treasures: Rewriting the Bible in Sasanian Iran. Leiden-Boston: Brill. ISBN 9789004445512.
- Mutlu-Numansen, Sofia; Ossewaarde, Marinus (2019). "A Struggle for Genocide Recognition: How the Aramean, Assyrian, and Chaldean Diasporas Link Past and Present" (PDF). Holocaust and Genocide Studies. 33 (3): 412–428. doi:10.1093/hgs/dcz045.
- Niehr, Herbert (2014). "Introduction".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1–9. ISBN 9789004229433.
- Niehr, Herbert (2014a). "Religion".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127–203. ISBN 9789004229433.
- Niehr, Herbert (2014b). "Phoenicia".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329–338. ISBN 9789004229433.
- Niehr, Herbert (2014c). "Northern Arabia".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378–390. ISBN 9789004229433.
- Nissinen, Martti (2014). "Assyria".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273–296. ISBN 9789004229433.
- Nöldeke, Theodor (1871). "Die Namen der aramäischen Nation und Sprache".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ändischen Gesellschaft. 25 (1–2): 113–131. JSTOR 43366019.
- Novák, Mirko (2014). "Architecture".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255–271. ISBN 9789004229433.
- Öztemiz den Butter, Mutay (2017). "Cultural Boundaries and Homeland among the Arameans (Syriacs)". Parole de l'Orient. 43: 303–314.
- Palmer, Andrew N. (2003). "Paradise Restored". Oriens Christianus. 87: 1–46.
- Quispel, Gilles (2008). Gnostica, Judaica, Catholica: Collected Essays of Gilles Quispel. Leiden-Boston: Brill. ISBN 9789047441823.
- Power, Edmond (1919). "The National Problem in Syria and Mesopotamia". Studies: An Irish Quarterly Review. 8 (29): 77–94. JSTOR 30092955.
- Rogers, Robert W. (1921). A Book of Old Testament Lessons for Public Reading in Churches. New York: Abingdon Press.
- Roller, Duane W., ed. (2014). The Geography of Strabo: An English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Not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39952491.
- Rompay, Lucas van (1999). "Jacob of Edessa and the Early History of Edessa". After Bardaisan: Studies on Continuity and Change in Syriac Christianity. Louvain: Peeters Publishers. pp. 269–285. ISBN 9789042907355.
- Rompay, Lucas van (2000). "Past and Present Perceptions of Syriac Literary Tradition" (PDF). Hugoye: Journal of Syriac Studies. 3 (1): 71–103. doi:10.31826/hug-2010-030105. S2CID 212688244.
- Rompay, Lucas van (2004). "Mallpânâ dilan Suryâyâ Ephrem in the Works of Philoxenus of Mabbog: Respect and Distance" (PDF). Hugoye: Journal of Syriac Studies. 7 (1): 83–105. doi:10.31826/hug-2011-070107. S2CID 212688667.
- Rubin, Milka (1998). "Arabization versus Islamization in the Palestinian Melkite Community during the Early Muslim Period". Sharing the Sacred: Religious Contacts and Conflicts in the Holy Land: First-fifteenth Centures CE. Jerusalem: Yad Izhak Ben Zvi. pp. 149–162.
- Sader, Hélène (1992). "The 12th Century B.C. in Syria: The Problem of the Rise of the Aramaeans". The Crisis Years: The 12th Century B.C. from beyond the Danube to the Tigris. Dubuque: Kendall-Hunt. pp. 157–164.
- Sader, Hélène (2000). "The Aramaean Kingdoms of Syria: Origin and Formation Processes". Essays on Syria in the Iron Age. Louvain: Peeters Press. pp. 61–76. ISBN 9789042908789.
- Sader, Hélène (2010). "The Aramaeans of Syria: Some Considerations on their Origin and Material Culture". The Books of Kings: Sources, Composition, Historiography and Reception. Leiden-Boston: Brill. pp. 273–300. ISBN 978-9004177291.
- Sader, Hélène (2014). "History".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11–36. ISBN 9789004229433.
- Sader, Hélène (2016). "The Formation and Decline of the Aramaean States in Iron Age Syria". State Formation and State Decline in the Near and Middle East.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61–76. ISBN 9783447105651.
- Saggs, Henry W. F. (1984). The Might That Was Assyria. London: Sidgwick & Jackson. ISBN 9780312035112.
- Salvesen, Alison (2009). "Keeping it in the Family? Jacob and his Aramean Heritage according to Jewish and Christian Sources". The Exegetical Encounter between Jews and Christians in Late Antiquity. Leiden-Boston: Brill. pp. 205–220. ISBN 978-9004177277.
- Sato, Noriko (2018). "The Memory of Sayfo and Its Relation to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Assyrian/Aramean Christians in Syria". Sayfo 1915: An Anthology of Essays on the Genocide of Assyrians/Arameans during the First World War. Piscataway, NJ: Gorgias Press. pp. 305–326. ISBN 9781463207304.
- Sergi, Omer (2017). "The Battle of Ramoth-gilead and the Rise of the Aramean Hegemony in the Southern Levant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9th Century BCE". Wandering Arameans: Arameans Outside Syria: Textual and Archaeological Perspectives.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81–98.
- Sokoloff, Michael, ed. (1983). Arameans, Aramaic and the Aramaic Literary Tradition. Tel Aviv: Bar Ilan University Press.
- Soldi, Sebastiano (2009). "Aramaeans and Assyrians in North-Western Syria: Material Evidence from Tell Afis". Syria: Archéologie, Art et Histoire. 86: 97–118.
- Sommer, Renate (2012). "The Role of Religious Freedom in the Context of the Accession Negotiations between the European Union and Turkey - The Example of the Arameans". The Slow Disappearance of the Syriacs from Turkey and of the Grounds of the Mor Gabriel Monastery. Münster: LIT Verlag. pp. 157–170. ISBN 9783643902689.
- Spieckermann, Hermann (1999). "Arameans".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1. Grand Rapids: Eerdmans. pp. 114–115.
- Streck, Michael P. (2014). "Babylonia". The Aramaeans in Ancient Syria. Leiden: Brill. pp. 297–318. ISBN 9789004229433.
- Teule, Herman G. B. (2012). "Who Are the Syriacs?". The Slow Disappearance of the Syriacs from Turkey and of the Grounds of the Mor Gabriel Monastery. Münster: LIT Verlag. pp. 47–56. ISBN 9783643902689.
- Van-Lennep, Henry J. (1875). Bible Lands: Their Modern Customs and Manners Illustrative of Scripture. New York: Harper & Brothers.
- Vittmann, Günter (2017). "Arameans in Egypt". Wandering Arameans: Arameans Outside Syria: Textual and Archaeological Perspectives.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229–280.
- Wells, Herbert G. (1920). The New and Revised Outline of History. 1. New York: Macmillan.
- Weltecke, Dorothea (2006). "On the Syriac Orthodox in the Principality of Antioch during the Crusader Period" (PDF). East and West in the Medieval Eastern Mediterrean I: Antioch from the Byzantine Reconquest until the End of the Crusader Principality. Leuven: Peeters Publishers. p. 95-124.
- Weltecke, Dorothea (2009). "Michael the Syrian and Syriac Orthodox Identity" (PDF). Church History and Religious Culture. 89 (1–3): 115–125. doi:10.1163/187124109X408023.
- Wevers, John W. (2001). "Aram and Aramaean in the Septuagint". The World of the Aramaeans. 1.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pp. 237–251. ISBN 9781841271583.
- Witakowski, Witold, ed. (1987). The Syriac Chronicle of Pseudo-Dionysius of Tel-Mahrē: A Study in the History of Historiography. Uppsala-Stockholm: University of Uppsala. ISBN 9789155419677.
- Woźniak, Marta (2012). "Far from Aram-Nahrin: The Suryoye Diaspora Experience". Border Terrains: World Diasporas in the 21st Century. Oxford: United Kingdom Inter-Disciplinary Press. pp. 73–83. ISBN 9781848881174.
- Woźniak, Marta (2015). "The Modem Arameans: In Search for National Identity". Parole de l'Orient. 40: 483–496.
- Wunsch, Cornelia (2013). "Glimpses on the Lives of Deportees in Rural Babylonia.". Arameans, Chaldeans, and Arabs in Babylonia and Palestine in the First Millennium B.C.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247–260.
- Younger, Kenneth Lawson (2007). "The Late Bronze Age/Iron Age Transition and the Origins of the Arameans". Ugarit at Seventy-Five. Winona Lake: Eisenbrauns. pp. 131–174. ISBN 9781575061436.
- Younger, Kenneth Lawson (2014). "War and Peace in the Origins of the Arameans". Krieg und Frieden im Alten Vorderasien. Münster: Ugarit Verlag. pp. 861–874.
- Younger, Kenneth Lawson (2016). A Political History of the Arameans: From Their Origins to the End of Their Polities. Atlanta: SBL Press. ISBN 9781628370843.
- Younger, Kenneth Lawson (2017). "Tiglath-Pileser I and the Initial Conflicts of the Assyrians with the Arameans". Wandering Arameans: Arameans Outside Syria: Textual and Archaeological Perspectives.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195–228.
- Younger, Kenneth Lawson (2020). "Reflections on Hazael's Empire in Light of Recent Study in the Biblical and Ancient Near Eastern Texts". Writing and Rewriting History in Ancient Israel and Near Eastern Cultures.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79–102. ISBN 9783447113632.
- Zadok, Ran (2013). "The Onomastics of the Chaldean, Aramean, and Arabian Tribes in Babylonia during the First Millennium". Arameans, Chaldeans, and Arabs in Babylonia and Palestine in the First Millennium B.C.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261–336. ISBN 9783447065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