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비나 스필레인

Sabina Spielrein
사비나 스필레인
Sabina Spielrein
태어난
셰이브 (엘리셰바) 나프툴로브나 스필레인

(1885-11-07)7 1885년 11월 OS
죽은1942년 8월 11일 (1942-08-11) (56)
국적러시아어
모교취리히 대학교(M.D, 1911)
로 알려져 있다.죽음의 본능
아동 심리 치료
심리 언어학
배우자파벨 나후모비치 셰펠
과학 경력
필드심리치료
정신분석학
기관루소 연구소
박사학위 자문위원외젠 블룰러
칼 융
저명한 학생알렉산더 루리아
레프 비고츠키
영향칼 융
지그문트 프로이트
영향받은칼 융
지그문트 프로이트
장 피아제

Sabina Nikolayevna Spielrein[1] (Russian: Сабина Николаевна Шпильрейн, IPA: [sɐˈbʲinə nʲɪkɐˈlajɪvnə ʂpʲɪlʲˈrɛjn]; 7 November 25 October 1885 OS – 11 August 1942) was a Russian physician and one of the first female psychoanalysts. 그녀는 그 환자였던 당시 학생이었던 칼 구스타프 융의 동료였으며, 1908-1910년 당시 그들의 통신과 그녀의 일기에 기록된 바와 같이 그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2][3][4] 그녀는 또한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만나고, 서신 왕래를 하며, 동료애를 가졌다. 그녀는 스위스의 발달 심리학자 장 피아제와 함께 정신분석을 했다.[5] 그녀는 스위스와 러시아에서 정신과 의사, 정신분석학자, 교사, 소아과 의사로 일했다.[6] 30년 전문직 경력에서 그녀는 정신분석, 발달심리학, 심리언어학, 교육심리학을 망라한 35개 이상의 논문을 3개 국어(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로 발표했다.[7][8] 정신분석 분야의 그녀의 작품들 중에는 1912년 독일어로 쓰여진 "존재하는 원인의 파괴"라는 제목의 에세이가 있다.[9][10]

스필레인은 정신분석의 선구자였고 죽음의 본능의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사람 중 한 명이었다. 그녀는 정신분열증에 대한 사례 연구를 실시한 최초의 정신분석학자 중 한 명이었고 정신분석학 저널에 논문을 실었다.[11] 스필레인은 유별난 색채주의, 계파 가입 거부, 여성주의 심리학 접근, 홀로코스트 살인 등으로 역사에서 소외됐던 중요하고 혁신적인 사상가로 점차 인정받고 있다.[7][12]

전기

가족 및 초기 생활 1885-1904

사비나 스필레인은 어릴 때(왼쪽) 어머니와 누나와 함께 했다.

그녀는 1885년 러시아 제국 로스토프온돈의 부유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어머니 에바(하베 출생) 루블린스카야는 예카테리노슬라프 출신의 랍비스의 딸이자 손녀였다.[8] 에바는 치과의사로 훈련했지만, 연습은 하지 않았다. 사비나의 아버지 니콜라이(나프툴 출생) 스필레인은 농학자였다. 바르샤바에서 로스토프로 이적한 후 그는 성공한 상인이 되었다. 출생증명서에는 사비나가 셰이브 나프툴로브나로 등장했지만,[13] 평생 동안과 공식 문서에는 사비나 니콜라예브나라는 이름을 사용했다.[6] 그녀는 다섯 아이들 중 장남이었다. 그녀의 세 형제 모두 후에 유명한 과학자가 되었다. 그 중 한 명인 아이작 스필레인은 소련의 심리학자였고, 직업 심리학의 선구자였다.[13] 어린 시절부터 사비나는 상상력이 풍부했고 위대함을 성취하기 위한 '높은 소명'을 가졌다고 믿었고, 이에 대해 '보호자 정신'[3]: 60 으로 사적으로 소통했다. 하지만 부모의 결혼은 난항을 겪었고 그녀는 두 사람으로부터 신체적 폭력을 경험했다. 그녀는 다중 체증상과 강박증에 시달렸다.[14][15] 일부 논평자들은 그녀가 가족 중 누군가에게 성적 학대를 당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16] 그녀는 로스토프의 예카테린스카야 체육관에 이어 프루벨 학교에 다녔고, 과학, 음악, 언어에 뛰어났다.[8] 그녀는 3개 국어를 유창하게 말하는 법을 배웠다. 10대 동안, 그녀는 감정적으로 계속 문제를 일으켰고, 처음에는 역사 선생님에게, 그 다음에는 친삼촌에게 열중하게 되었다.[3]: 65 학교에 있는 동안, 그녀는 랍비인 할아버지의 승인을 얻어 의사로서 훈련하기 위해 해외로 가기로 결심했다. 그녀는 학교 교육을 마칠 때 금메달을 땄다.

입원 1904-05

하나뿐인 언니 에밀리아가 장티푸스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후 스필레인의 정신건강이 악화되기 시작했고, 18세 때 그녀는 틱스, 찡그린 얼굴, 걷잡을 수 없는 웃음과 울음 등 심한 히스테리 증세로 파탄에 시달렸다.[14][15] 스위스의 한 요양원에서 성공적으로 지내지 못한 후, 그녀는 의사들 중 한 명과 또 다른 격앙을 일으켰고, 1904년 8월 취리히 근처의 부르굴즐리 정신 병원에 입원했다. 원예, 드라마, 과학 강의 등 환자들을 위한 사회 활동으로 치료 공동체로 운영했던 외젠 블뤼어 감독이 맡았다.[16] 블룰러의 조수 중 한 명은 칼 이었고, 이후 부국장으로 임명되었다. 스필레인은 입학 후 며칠 동안 아버지가 자신을 자주 때렸으며, 때리는 마조히즘적 환상에 시달렸다고 정 씨에게 폭로했다. 블룰러는 그녀가 가족과 떨어져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나중에 그녀의 아버지와 형제들이 그녀와 접촉하지 않도록 요구하였다.[15] 그녀는 빠른 회복에 성공했고, 10월까지 의대에 지원할 수 있었고 그의 실험실에서 정씨의 단어 연상 시험을 보조하기 시작했다. 정씨는 10월과 1월 사이에 그녀에게 단어 연상 테스트를 실시했고, 몇 가지 초보적인 정신분석 기술을 사용하기도 했다.[17] 나중에 그는 그의 출판물에서 이러한 용어로 두 명의 후기 환자를 언급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녀를 두 번이나 그의 첫 번째 분석 사례로 언급하였다.[7]: 47, 187 그녀가 입학하는 동안, 스필레인은 정우성과 사랑에 빠졌다. 그녀 자신의 선택에 의해 그녀는 더 이상 치료를 받지 않고 있었지만 1905년 1월부터 6월까지 병원에 계속 입원했다. 그녀는 그곳에서 막스 에이팅온을 포함한 다른 러시아 학생들과 함께 인턴으로 일했고, 칼 아브라함을 포함한 블룰러와 함께 공부하고 있던 국외 거주 정신과 의사들과 함께 일했다.

의대생 1905-1911

그녀는 1905년 6월부터 1911년 1월까지 취리히 대학의 의과대학을 다녔고, 그 의과대학에서 학업적으로 우수했다.[8] 그녀의 일기는 철학, 종교, 러시아 문학, 진화 생물학 등 매우 광범위한 관심사와 독서를 보여준다. 그녀는 주로 동료 러시아 유대인 여성 의대생들을 포함한 사교계에 섞여 여러 다른 아파트에 살았다. 이 중 상당수는 스필레인과 함께 서유럽에서 나타나고 있는 정신분석학의 움직임에 매료되어 블룰러, 융과 함께 공부하게 되었다. 의과대학 재학 중 스필레인의 주된 관심사는 정신의학과였다. 스필레인과 같은 많은 이들이 그 후 정신과 의사가 되었고, 비엔나에서 프로이트와 함께 시간을 보냈으며, 정신분석학 저널에 실렸다. 에스더 압텍만, 판야 찰렙스키, 셰이나 그레벨스카야, 타티아나 로젠탈 등이 여기에 포함되었다.[8][18] 정치적으로 스필레인은 사회주의와 동일시되었지만 러시아 제자의 일부는 사회주의 혁명당이나 시오니즘의 추종자들이었다. [19]

스필레인은 정신분열증 환자의 언어에 대한 면밀한 연구에 대해 블뤼어가 먼저 감독한 의대 논문을 완성했다. 융이 편집한 '자흐르부흐 퓌르 정신분석학(Jahrbuch für sychoanalytische und cycodologische Forschungen)'에 실렸다. 그녀는 정신분열증에 대한 사례 연구를 실시한 최초의 사람 중 한 명이었고 정신분석학 저널에 그것을 게재했다.[20][11] 프로이트는 슈레버 케이스에 대한 그의 후기에서 같은 권으로 그것을 인용했다;[21] 그것은 정신분석학 저널에 등장한 최초의 박사학위였으며, 정신분열증에 대한 최초의 정신분석학 사례 연구 중 하나였다. 그녀의 논문은 정신분열증 환자의 언어에 대한 이해에 크게 기여했다. 그녀의 연구가 정신분열증에 초점을 맞춘 최초의 연구 중 하나였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의 필요성이 시작되었고 정신질환에 집중하는 사람들로 이어졌다.[22] 정신분석학적으로 지향하는 여성이 쓴 최초의 논문이기도 했다.[23] 그녀는 졸업 다음 날 취리히를 떠나 다른 곳에서 정신분석학자로서의 독자적인 경력을 쌓기로 결심했다.[8]

칼 융과의 관계

의과대학에 다니는 동안, 스필레인은 입원 환자로서 그랬던 것처럼 정일휘를 실험실에서 계속 보좌했다. 그녀는 또한 그의 병동 라운드에 참석했고 그를 사교적으로 만났다.[7]: 53–7 의대 첫 3년 동안 그의 병원 환자가 계속되면서 그녀가 그를 향해 발전해 온 강한 감정들, 그리고 그녀는 지그프리드라고 불릴 만한 아이를 사이에 두고 있다는 환상을 갖게 되었다. 1907년 말부터 그는 비공식적으로 자신의 아이에 대한 소망을 분석하려 했지만 그녀는 그에게서 더 이상의 치료를 받지 않았다.[24] 1908년 여름, 의대 4학년에 접어들면서 그녀와 정씨는 점점 더 친밀한 만남을 가지기 시작했는데, 정씨는 이를 일기에 '시'라고 표현했다. 이들이 성관계를 했는지에 대해서는 견해가 엇갈린다.[8]: 178 [24] 존 러너는 2015년 자신의 전기인 '섹스 서바이벌'에서 그녀의 일기와 그들의 편지에서 나온 증거들을 검토했다. 사비나 스필레인의 삶과 사상.[7] 그는 그들이 합의적이고 에로틱한 신체 접촉을 했지만 성적인 침투에는 미치지 못했다고 결론지었다.[25] 이는 스필레인이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지금까지 우리는 위험하지 않은 시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24]고 밝힌 데서 뒷받침된다. 랜스 오웬스는 2015년 연구 '정인 러브: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자 겸 정신분석사 학자인 즈비 로트헤인 [26]리버 노부스의 미스테리움은 이 두 사람 사이의 소모된 성관계에 대항하여 가장 건실하고 잘 뒷받침되는 사례를 만든다. 로트헤인은 자신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 투영, 그리고 추론에 의해 지시된 대로 믿는 경향이 있다. 우리의 판단은 정말로 주인공들이 자신들을 주장하는데 결코 지치지 않는 것에 의해 인도되어야 한다: 섹스가 없었다는 것이다. 마지막 분석에서 문제는 우리가 그들의 증언을 믿느냐 안 믿느냐 이다. 나는 그들을 믿기로 선택했다. 신중함에서가 아니라, 그 당시 사람들은 혼전 성관계를 보았고, 특히 스필레인에 적용되는 것처럼 오늘날과 다르게 보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충족되지 않은 성욕이 소모된 성관계보다 훨씬 더 가슴 아프고 낭만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적인 신화는 열심히 죽어가며 다수의 연극 연출에 선정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대중 언론과 전문 저널에 수많은 기사를 싣는다.[27]

이후 몇 달 동안, 융은 프로이트에게 그 관계에 대해 편지를 썼는데, 처음에는 스필레인이 자신을 유혹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했다고 비난했고, 그리고 나서 그가 그녀와 연애하게 되었다는 것을 인정했다.[28] : 207–35 그는 스필레인의 어머니에게 편지를 연달아 보내 "누구도 두 친구가 원하는 대로 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아마도 더 많은 무언가가 관계 속으로 들어갈 것이다"[3]라고 말했다. : 92 스필레인은 또한 프로이트에게 편지를 써서, 몇 달 동안 그들의 관계는 어떤 패션적인 육체적 관계를 유지해왔으며, 스필레인이 다시 "시"라고 부르는 것을 포함시켰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결국 피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그것은 그가 더 이상 참을 수 없고 '시'를 원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에바 스필레인은 여러 가지 이유로 그를 외젠 블룰러에게 보고하겠다고 위협하고 취리히로 와서 그렇게 하겠으나 결국 그렇게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3][3] : 96–7 한편, 정씨는 실험실 일과 대학 교습을 계속했지만, 부르헐즐리에서의 의병직을 사임한 상태였다. 스필레인, 융, 프로이트의 3자 서신을 포함한 이러한 사건들에 대한 문서 기반의 설명은 론더의 전기에서 나타난다.[7]

위의 논란으로 인해 몇 달간의 공백이 있은 후, 1909년 여름, 스필레인과 융은 다시 관계를 시작했고, 1910년 마지막 달까지 계속 개인적으로 만났다. 스필레인은 1911년 1월경 취리히를 영구히 떠났다.[29] 의대를 졸업하기 불과 넉 달 전인 1910년 9월 11일자 스필레인의 개인 일기에서, 그녀는 융과 주리히를 모두 떠나면서, 융의 아들을 품고 있는 자신의 환상에 대해 다시 한번 숙고했다. 사비나는 현실에서 그것이 얼마나 완전히 불가능한 것인지, 그것이 또 다른 사랑을 찾을 기회를 망치고 자신의 과학적이고 직업적인 야망을 파괴하는 것을 보았다.

아기가 있으면 나는 어디에서도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최선의 경우일 것이다; 만약 내가 임신을 하지 않았다면? 그러면 우리의 순수한 우정은 친밀한 관계로 인해 파괴될 것이고, 우리의 우정은 나에게 너무나도 소중한 것이다.[30]

1910년 후반의 이 개인적인 일기는 스필레인이 그들이 마침내 성관계를 갖게 되더라도 그녀는 임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달았음을 강력하게 암시한다. 그리고 "우리의 순수한 우정은 친밀한 관계에 의해 파괴될 것이다...." 그녀가 주리히를 떠나기 직전에 쓴 그 말들은 그들의 육체적인 "시"의 본질이 무엇이든 간에 융과 스필레인은 성관계를 맺지 않았음을 암시하는 것 같다.[31]

정씨의 행위를 전문적 경계 위반으로 본 해설자도 있고, 정신분석적 기법으로 초기 실험을 한 의도하지 않고 용서할 수 있는 결과로 본 해설자도 있다. 역사학자 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자 브루노 베텔하임은 그녀의 치료법과 명백히 유익한 결과에 대해 "하지만 정씨의 행동은 도덕적인 관점에서...어떻게 해서든 그것은 그의 환자를 치료하는 치료사의 주된 의무인 "그녀를 치료하는 것"을 충족시켰다.[32] 와는 대조적으로, 피터 뢰웬버그(다른 사람들 중)는 그것이 직업 윤리에 위배된다고 주장했고, 그것이 "부르헐즐리 대학에서 그의 지위를 더럽혔고, 블룰러와의 파열과 취리히 대학에서의 이탈로 이어졌다"[33]고 주장했다.

당시 프로이트는 융과 스필레인 사이에 일어난 일에 대해 관대했고, 이를 역전의 예로 여겼다. 이후 그는 스필레인에게 자신과 융의 분열에 한몫했다고 고백했다. 나의 의견은 당신으로부터 그 첫 번째 편지를 받았을 때와는 많이 달라졌다."[3]: 122 융과 스필레인의 관계는 치료사의 감정과 인간성이 정신분석적 관계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프로이트에게 증명했다. 정씨도 같은 결론을 내렸었다.[34] 이 에피소드 이전에, 프로이트는 분명히 의사가 환자를 분석할 때 그의 감정을 마비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 융이 스필레인과의 관계에 대해 프로이트에 왔을 때, 프로이트는 의사와 환자의 관계에 대한 생각을 바꾸었다.[citation needed] 스필레인은 정우성과의 경험이 다른 것보다 전반적으로 더 유익하다고 여겼던 것 같다. 그녀는 그 후 몇 년 동안 그를 계속 그리워했고, 프로이트에게 '나와의 그 사업'[3]: 112 보다 정신분석학 운동을 떠난 융을 용서하는 것이 더 힘들다고 편지를 썼다.

스필레인은 때때로 정일휘의 애니마에 대한 관념에 영감을 준 것으로 여겨지는데, 부분적으로는 정일휘가 50년 후에 애니마에 대한 그의 인식을 일깨운 상상력이 풍부한 실내 여성 목소리에 아니엘라 자페가 편집한 전기적 회고록인 기억, 꿈, 성찰에서 언급했기 때문이다. 그는 "환자의 목소리"라고 말했다. 내게 강한 전횡을 가졌던 사람"[35]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1957년 아니엘라 자페가 녹음한 정씨의 발언 미발표 녹취록에서 정씨는 이 여성이 스필레인이 아닌 마리아 몰처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랜스 오웬스는 스필레인과의 관계가 훨씬 후에 그가 애니마라고 불렀던 것에 대한 융의 이해를 진화하는 데 정말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기록하였다.[37]

Career 1912–1920 ("Destruction" 포함)

독일 베를린 사비나 스필레인의 전 거주지 위패

졸업 후, 스필리엔은 뮌헨으로 건너가 미술사를 공부하면서, 성과 죽음의 연관성에 대한 논문을 쓰기도 했다. 10월에 그녀는 비엔나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비엔나 정신분석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녀는 이 협회의 두 번째 여성 회원이었다.[38][39] 그녀는 11월 27일 "존재하게 된 원인으로서의 파멸"이라는 논문을 학회에 전달했고, 이듬해 자흐부치에 개정판을 출간했다.[9][10] 이 논문은 정언과 프로이드 사상의 증거를 보여주지만, 그녀가 정언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것에서 자신을 더 프로이드적인 존재로 보는 쪽으로 옮겨간 시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40] 프로이트는 '즐거움 너머 원칙'에 대한 유명한 각주에 그녀의 논문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면서, 그것이 죽음의 추구를 개념화하게 만든 일련의 사상을 시작했음을 인정했다: "그녀의 작품에서 이러한 추측의 상당 부분이 예상되었다."[41] 그러나 스필레인의 개념은 파괴력을 그 자체로 한 것이 아니라 생식 본능을 섬기는 것으로 본다는 점에서 프로이트의 개념과는 달랐다. 스필레인은 1912년 여러 차례에 걸쳐 프로이트를 만났고, 1923년까지 계속 연락을 취했다. 그녀는 프로이트와 융과의 교신에서 두 남자를 화해시키려고 시도했다. "Destruction" 논문에서, 그리고 그녀의 그 이후의 경력 내내, 그녀는 많은 다른 학문들과 사상의 학교들로부터 아이디어를 끌어냈다. 26세가 되자, 스필리엔은 자신의 작품을 출판한 최연소가[clarification needed] 되었다.[42]

1912년 스필레인은 러시아 유대인 의사 파벨 나후모비치 셰펠과 결혼했다. 그들은 베를린으로 옮겨갔고, 그곳에서 스필레인은 칼 아브라함과 함께 일했다. 스필레인은 1913년 첫 딸 이르마 레나타(레나타로 알려져 있다)를 낳았다. 베를린에 있는 동안, 스필레인은 9개의 논문을 추가로 발표했다. 이것들 중 하나는 섹스와 생식에 대한 아이들의 신념에 대한 설명이었는데, 그 설명에는 이것에 대한 그녀 자신의 초기 환상에 대한 회상이 포함되어 있었다.[43] '어린이의 영혼에 대한 이해에 기여'라는 제목의 이 책은 그녀의 이전 논문들보다 더 프로이드적인 방식으로 그녀를 보여준다.[44] '시어머니'[45][46]라는 제목의 다른 논문에서 그녀는 시어머니의 역할과 그들과 며느리 사이의 관계에 대해 동정적인 이야기를 했다. 네덜란드의 정신분석학자 판 와닝은 이 논문에서 "여성 연구 - 1913년!"이라고 논평했다.[47] 당시 또 다른 논문은 동물 공포증이 있는 어린이를 치료한 사실을 상세히 소개하며, 아동 심리치료[48][49] 대한 최초의 보고 중 하나이다.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그녀는 다시 잠시 취리히에서 생활하다가 로잔느로 이주하여 남은 전쟁 기간 동안 그녀와 레나타가 머물렀다. 그녀의 남편은 키예프에서 그의 연대에 합류했고, 그들은 10년 이상 재결합하지 않았다. 스필레인은 전쟁 기간 동안 외과 의사나 안과 병원에서 일했지만, 부모로부터 기부금을 받았다.[8] 하지만 그녀는 전쟁 기간 동안 두 편의 짧은 논문을 더 출판할 수 있었다. 그녀는 작곡을 했고 작곡가가 되는 것을 고려했다. 그녀는 또한 프랑스어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그녀는 언어와 놀이 면에서 딸의 발달에 대한 관찰을 기록했다. 그녀는 프로이트와 융과의 서신을 이어갔고, 특히 아이들에 대한 애착과 관련하여 그녀 자신의 이론적 사상을 발전시켰다.

제네바에서 1920-23년 경력의 장 피아제와 함께 일함

1920년 그녀는 헤이그에서 열린 국제 정신분석학회 제6차 회의에 참석하여 어린 시절 언어의 기원에 대해 강연을 했다. 관객들은 지그문트 프로이트, 그의 딸 안나 프로이드, 멜라니 클라인, 샌도르 페렌츠지 등이었다. 그녀는 또한 제네바에서 아동발달을 위한 선구적인 임상, 훈련, 연구 센터인 제네바에 있는 루소 연구소의 직원들과 합류할 의사를 밝혔다. 그녀는 설립자인 에두아르 클라파레데와 피에르 보벳을 포함한 당대의 저명한 심리학자들과 함께 일하면서 3년 동안 그곳에 머물렀다. 그녀가 그곳에 있는 동안, Jean Piaget 또한 그 직원들과 함께 했다: 그들은 긴밀하게 협력했고, 1921년에 그는 그녀와 함께 8개월간의 분석에 들어갔다. 1922년 그녀와 피아제는 베를린에서 열린 국제정신분석학회 제7차 총회에서 모두 논문을 발표했다. 이 시기는 그녀의 삶에서 가장 생산적인 시기 중 하나였으며, 그녀는 1920년에서 1923년 사이에 20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그녀가 헤이그에서 언어의 기원에 대해 주었던 논문의 새로운 판본으로 언어학자 찰스 밸리와의 협력을 이끌어냈다.[45] '파파'와 '마마'라는 단어의 기원이라는 제목으로 그녀는 언어가 유전적 준비성의 기질 위에서 어떻게 발달하는지, 처음에는 아이와 엄마의 젖가슴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 다음에는 가족 및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했다. 그 당시 그녀의 다른 논문들은 주로 아동발달에 대한 관찰적 연구와 함께 정신분석적 사고를 가져오는데 전념하고 있다. 이때부터 그녀가 ZeitschriftImago에 쓴 논문은 주로 유아기의 언어 습득의 중요성과 시간의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50] 그러나 오토 피니켈은 1923년 자신의 관음증 관련 기사에서 "사비나 스필레인은 환자가 심한 거세 공포로 인해 성기와 수동적 에로틱성의 초기 억압을 극복하려 했던 훔쳐보는 변태를 묘사했다"[51]고 특별히 언급했다. 전체적으로 이 시기 그녀의 작품은 피아제의 사상, 그리고 어쩌면 클라인의 사상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52]

1923년 제네바에서 사사로운 관행을 쌓는 데 성공하지 못해 낙담했고, 프로이트의 지원으로 모스크바를 여행해 그곳의 정신분석학의 발전을 지원하기로 했다.[8] 그녀는 제네바로 돌아갈 계획이었고, 루소 연구소 지하에 일기와 편지 등 개인 서류를 모두 놓고 갔다. 이 행사에서 그녀는 서유럽으로 돌아가지 않았고, 그 논문들은 거의 60년 후에 정글의 분석가 알도 카로테누토에 의해 확인될 때까지 발견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다. 이 기록관은 에두아르 클라파레데의 상속인들이 소장하고 있으며, 추가 선정이 다수의 서적과 학술지에 게재되었지만, 완전한 검토나 목록화 된 적은 없었다.[7] : 7–9

러시아 경력 1923-1942

러시아의 정신분석학은 이미 격동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지만 1921년과 1923년 사이에 그 영향력이 가장 강했다. 모스크바에 도착하면서 그녀는 자신이 그곳에서 가장 경험이 많은 정신분석학자일 뿐만 아니라 서부의 분석가 및 심리학자들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6] 그녀는 퍼스트 모스크바 대학의 아동 심리학 강좌에 임명되었고, 발달 심리학과 교육 심리학을 통합한 소아과학에 대한 접근법인 소아학(아동학)에 종사했다. 그녀는 모이스(모이스헤) 울프의 지휘 아래 1922년에 설립된 모스크바 정신분석 연구소에 가입하기도 했다. 그 후 그녀는 "Detski Dom" 정신분석 고아원-실험실("백악관"으로도 알려져 있는 어린이 학습의 야심찬 새로운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6]

사비나 스필레인이 살고 있던 스필레인 저택의 위패는 로스토프온돈주 푸슈킨스카야 83번지에 있다. 표지판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이 집에는 C. G. 정과 S의 유명한 학생이 살고 있었다.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자 사비나 스필레인(1885~1942)"

1921년 베라 슈미트(프로이트의 제자 중 한 명이기도 했던)에 의해 설립된 '데스키 돔'은 프로이트의 이론을 바탕으로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한 것이었다. 그 학교는 이름뿐인 고아원이었다. 슈미트의 친아들과 함께, 그 학교에는 저명한 볼셰비키 출신 아이들이 있었다. (그 아들 바실리 스탈린도 그의 아들 바실리 스탈린이 입학했다.)[53] 규율의 사용은 피했고 아이들은 최대한의 이동 자유가 허용되었다. 성적 탐구와 호기심도 허용됐다. 스필레인이 개입된 데는 교사들의 감독도 포함됐고, 이들의 열악한 근무환경에 대한 항의로 이들을 지원했을 가능성이 있어 이들의 해고를 이끌어냈다.[7] : 222 이 학교는 1924년, 아이들의 성욕을 조급하게 자극하기 위한 실험에 대한 비난이 있은 후 문을 닫아야 했다. 이러한 비난은 레온 트로츠키가 학교 수용을[6] 무산시키려는 시도에 대한 반응으로 가능했다. 스필레인이 모스크바에 있는 동안, 알렉산더 루리아레프 비구츠키 둘 다 정신분석 연구소와 "디에츠키 돔"으로 일하러 와서 그녀와 함께 공부했다. 정신분석학에서 나오는 주관적인 심리학적 사상을 어린이에 대한 객관적인 관찰연구와 결합시키는 스필레인의 독특한 방식은 연구자로서 초기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쳐 당대 최고의 러시아 심리학자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6]

1924년 말이나 1925년에 스필레인은 모스크바를 떠났다. 그녀와 딸은 로스토프돈에서 남편 파벨과 재회했다. 아마도 모스크바에서의 경험에 환멸을 느꼈을 뿐만 아니라, 스필레인은 지금쯤 그녀의 남편이 우크라이나 여성 올가 스네트코바(Aksyuk 태생)와 사귀고 있었고, 지금 그들에게는 딸 니나가 있었기 때문에 돌아가도록 강요받았을지도 모른다.[8] 파벨은 아내에게 돌아왔고, 그들의 둘째 딸 에바는 1926년에 태어났다. 적어도 그 후 10년 동안 스필레인은 소아과 의사로서 활발한 활동을 계속하여 1931년까지 더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정신분석을 강의하며 서양에서 출판하였다. 1929년 그녀는 로스토프에서 열린 정신의학과 신경병리학 대회에서 프로이트에 대한 활발한 방어와 정신분석을 제시했는데, 아마도 정신분석이 러시아에서 금지될 위기에 처해 있던 시기에 그런 방어에 오른 마지막 인물일 것이다.[54] 이 논문은 또한 그녀가 서양의 발달에 대해 최신식임을 분명히 했으며, 치료사 쪽에서는 더욱 감정적인 관여 역할을 옹호하고 있던 산도르 페렌치의 접근에 대한 동정적인 언급도 포함시켰다. 그녀는 또한 아이들과 함께 심리적인 일을 하기 위해 임상 감리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했고, 자원이 광범위한 치료를 허용하지 않을 때 사용될 수 있는 단기 치료에 대한 접근법을 설명했다. 그녀의 조카 메니카는 1930년대부터 그녀를 "아주 예의 바르고, 친절하고, 상냥한 사람"이라고 묘사했다. 동시에 소신에 관한 한 강인한 성격이었다고 말했다.[55] 그녀의 남편은 1936년에 죽었다. 1937년 그녀의 형제인 이삭, 잔, 에밀 스필레인이 체포되어 대숙청 기간인 1937년과 1938년에 처형되었다.[8] 스필레인은 파벨의 전 파트너인 올가 스네코바와 만약 그들 중 한 명이 죽으면 살아남은 여성이 세 딸을 돌볼 것이라는 합의에 도달했다.

죽음

스필레인과 그녀의 딸들은 1941년 11월 독일 최초의 로스토프-온-돈 침공에서 살아남았는데, 이것은 붉은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그러나 1942년 7월 독일군은 이 도시를 다시 점령했다. 스필레인과 그녀의 두 딸은 29세, 16세의 두 딸로, 즈미예프스카야 발카나 로스토프-온-돈 근처의 "스네이크 라빈"에 의해 살해되었고[56], 대부분 2만 7천 명의 유대인 희생자들과 함께 살해되었다.[8] : 294–302 [57] 스필레인이족 대부분이 홀로코스트에서 살해당했지만 형제들의 아내와 자녀들은 모두 살아남았고, 현재 러시아, 캐나다, 미국[7]: 246–7 , 이스라엘에 14명 정도의 후손이 살고 있다.[58]

레거시

20세기 1부 정신분석학과 발달심리학의 중심 인물들과 친밀함에도 불구하고, 스필레인은 1923년 모스크바로 떠난 후 서유럽에서 다소 잊혀졌다. 홀로코스트에서의 그녀의 비극적인 살인은 이 지우기들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1974년, 프로이트와 융의 서신에 관한 출판물,[28] 그리고 1980년대 이후 그녀의 개인 논문의 발견과 그 중 몇몇의 출판물은 그녀의 이름을 꽤 널리 알려지게 했다.[2][3] 그러나, 그것은 대중문화에서 그녀가 두 남자의 삶에 있어서 에로틱한 사이드쇼라고 인식하게 만들었다. 정신 분석의 세계 Spielrein은 대개 성충동의 파괴의 본능적인 것이며 변화의 본능, 따라서 모두 프로이트의"죽음 드라이브"과"변환"에 정 씨의 견해에 대한 기대가 포함된 것으로 그녀의 임신에;에 상관 없이 Jung,과 의심 가는 관계의[59]는 각주보다 더 주어진다.그렇게심리치료에 긍정적이고 매우 유용한 것은 그것으로부터 탄생했다. 융이 스필레인과의 관계에 대해 프로이트와 서신을 주고받은 것은 프로이트의 전이역전의 개념에 영감을 주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스필레인은 융, 프로이트, 멜라니 클라인뿐만 아니라피아제, 알렉산더 루리아, 레프 비구츠키 등 후기 심리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면서 자신의 권리에 있어 중요한 사상가로 점차 인식되고 있다.[60] 스필레인의 작품은 또한 성 역할, 사랑, 여성에 대한 직관의 중요성, 무의식, 꿈 해석, 성욕과 성적 충동, 성욕, 성욕, 성욕, 아동에서의 성도, 승화, 전이, 언어학, 언어학, 언어학 발달과 같은 여러 분야에서 영향력을 발휘해 왔다.

1990년대 러시아에서 Etkind가 연구한 결과 서유럽을 떠난 뒤 '사라지지 않고' 적극적인 임상의와 연구원으로 계속 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6] 2003년[12] '정신분석의 잊혀진 개척자'라는 제목으로 그녀에 대한 에세이를 선별한 출판물은 독창적인 사상가로서의 그녀에게 흥미를 자극했다. 사빈 리체베처가 쓴 독일어로 쓴 그녀의 첫 번째 학자적 전기는 정신분석과 심리학에 관여하는 평생의 직업이라는 적절한 맥락에 정씨와의 관계를 배치한다.[8]

랜스 오웬스는 스필레인과 융의 관계의 중요성을 역사적으로 깎아내릴 것이 아니라, 그녀의 유산과 폭넓은 창조적 영향력의 추가 부분으로 보아야 한다고 제안한다. 오웬스는 스필레인이 융의 개인적 심리학적 발달, 사랑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이후 그가 "애니타"와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핵심 심리학적 개념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61]

페미니스트와 관계 정신분석의 추종자들 또한 그녀를 중요한 시조라고 주장하기 시작하고 있다.[62] 2015년 미국 정신분석협회(American Symanalytic Association)에서 Adrienne Harris가 '사비나 스필레인의 임상 및 이론적 공헌'을 주제로 개강하는 전체 강연을 하면서 스필레인을 독창적인 사상가로 재탄생시키는 획기적인 계기가 마련되었다.

스필린은 아동 분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자폐 언어와 사회 언어를 구별할 수 있었다. 그녀는 (주요) 자폐언어와 사회언어(노래, 단어 등)를 구분하고, 엄마의 젖가슴의 의미를 설명하고 빨/누르기를 하는 아동발달의 맥락에서 흥미진진한 이론을 전개했다.[63]

2015년 11월 로스토프에 있는 어린 시절의 집인 스필린 맨션에 사비나 쉴레레이언 기념관이 개관했다.[64]

존 라너(John Lorner)가 2015년에 쓴 스필레인의 전기(영어로, 스필레인 가족의 지원으로 쓰여짐)는 그녀의 병원 노트, 일기, 편지 등을 자세히 읽어본 것에 바탕을 두고 있다.[7] 그것은 스필레인에 대한 많은 수신된 계정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는 융이 스필리언을 어떤 체계적인 방법으로든 정신분석적으로 평가하거나, 오랫동안 그녀의 감정에 보답하거나, 그녀를 그의 '애니타'로 보거나, 아니면 당시의 다른 여성 파트너들보다 더 의미 있는 인물로 간주했다는 추정에 도전한다.[7] 그 대신, 론더는 그녀의 역사적 중요성을 애착 이론과 진화 심리학으로부터 현대 사상을 기대하면서, 중요한 생물학적 틀 안에서 정신분석과 발달 심리학을 조화시키려는 초기 시도를 한 사람으로 본다.

안젤라 M의 스필레인의 영어 전기. 판매, Sabina Spielrein: [65]여자와 신화》는 2017년 8월 SUNY Press에 의해 출판되었다.

대중문화

작동하다

  • 스필레인이 출판한 모든 글(영어 번역의 세부사항 포함)에 대한 완전한 참고 문헌은 국제 스필레인학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스필레인의 독일어 논문. "major journals". Imago,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Jahrbuch für Psychoanalytische und Psychopathologische Forschungen, Zeitschrift für Psychoanalytische Pädagogik and Zentralblatt. 베를린 국제 정신분석대학 콜렉션에서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다. (COTIPUB)
  • Spielrein, Sabina (1912). "Die Destruktion als Ursache des Werdens". Jahrbuch für Psychoanalytische und Psychopathologische Forschungen (in German). IV: 465–503. Retrieved October 14, 2012.
영어 번역:
1) Spielrein, Sabina (April 1994). "Destruction as the Cause of Coming Into Being" (PDF). Journal of Analytical Psychology. 39 (2): 155–186. doi:10.1111/j.1465-5922.1994.00155.x.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3-04.
2) (추상)
3) Spielrein, Sabina (2015) [2003]. "11. Destruction as the Cause of Coming Into Being (pp. 185—212)". In Covington, Coline; Wharton, Barbara (eds.). Sabina Spielrein. Forgotten Pioneer of Psychoanalysis, Revised Edition (2nd, illustrated, revised ed.). Abingdon-on-Thames: Routledge. doi:10.4324/9781315700359. ISBN 978-1-31745860-9.
  • (독일어로) 스필레인, 사비나. 셈틀리히 슈리프텐 지센: 사이코소지알-베를라크, 2008. (스필레인의 모든 글. 독일어로. 영문판 없음.)

참고 항목

참조

  1. ^ 또한 쉬필레인, 쉬필레인 또는 쉬필린으로 번역됨.
  2. ^ a b Carotenuto (ed.), Aldo (1982). A Secret Symmetry: Sabina Spielrein between Jung and Freud. New York, NY: Random House.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
  3. ^ a b c d e f g h i Carotenuto (ed.), Aldo (1986). Tagebuch einer hemlichen Symmetrie: Sabina Spielrein zwischen Jung und Freud. Freiburg: Kore.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
  4. ^ 랜스 S. 오웬스, 정인 러브: Liber Novus의 미스테리움 (Genosis Archive Books, 2015), 27-35. ISBN 978-0692578278(온라인 에디션 이용 가능)
  5. ^ Schepeler, E. M. (1993). "Jean Piaget's experiences on the couch: Some clues to a mystery".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74 (2): 255–273. PMID 8491531.
  6. ^ a b c d e f g Etkind, Alexander (1997). Eros of the Impossible: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in Russia. Boulder, CO: Westview Press. p. 172.
  7. ^ a b c d e f g h i j k Launer, John (2014). Sex Versus Survival. The Life and Ideas of Sabina Spielrein. London: Bloomsbury Publishing. ISBN 978-0-715-64741-7.
  8. ^ a b c d e f g h i j k l m Richebächer, Sabine (2005). Eine fast grausame Liebe zur Wissenschaft. Munich: BTB.
  9. ^ a b Spielrein, S. (1912). "Die Destruktion als Ursache des Werdens". Jahrbuch für Psychoanalytische und Psychopathologische Forschungen. 4: 464–503.
  10. ^ a b Spielrein, S. (1994). "Destruction as the Cause of Coming into Being". Journal of Analytical Psychology. 39 (2): 155–86. doi:10.1111/j.1465-5922.1994.00155.x.
  11. ^ a b "Sabina Spielrein".
  12. ^ a b Covington, C.; Wharton, B., eds. (2003). Sabina Spielrein: Forgotten Pioneer of Psychoanalysis. Hove: Brunner-Routledge.
  13. ^ a b Ljunggren, Magnus (2001). "Sabina and Isaak Spielrein". In Björling, Fiona (ed.). On the Verge: Russian Thought Betwee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Lund University. pp. 79–95.
  14. ^ a b Steffens D (trans) (2001). "Burghölzli Hospital Records of Sabina Spielrein". Journal of Analytical Psychology. 46 (1): 15–42. doi:10.1111/1465-5922.00213. PMID 11227107.
  15. ^ a b c Hensch, T, ed. (2006). Sabina Spielrein. Nimm meine Seele: Tagebücher und Schriften. Freitag. pp. 234–56.
  16. ^ a b Graf-Nold, A. (2001). "The Zurich School of Psychotherapy in Theory and Practice: Sabina Spielrein's Treatment at the Burghölzli Clinic in Zurich". Journal of Analytical Psychology. 46 (1): 73–104. doi:10.1111/1465-5922.00216. PMID 11227114.
  17. ^ Minder, B. (2001). "Sabina Spielrein, Jung's patient at the Burghölzli". Journal of Analytical Psychology. 46 (1): 43–66. doi:10.1111/1465-5922.00214. PMID 11227112.
  18. ^ Ljunggren, Magnus (1989). "The psychoanalytic breakthrough in Russia on the eve of the First World War". In Rancour-Laferriere, Daniel (ed.). Russian Literature and Psychoanalysis. Amsterdam: John Benjamins.
  19. ^ Richebächer, Sabine (2003). "'In league with the devil, and yet you fear fire?' Sabina Spielrein and CG Jung: A suppressed scandal from the early days of psychoanalysis". In Covington, C.; Wharton, B. (eds.). Sabina Spielrein: Forgotten Pioneer of Psychoanalysis. Hove: Brunner-Routledge. pp. 227–50.
  20. ^ "Spielrein Association".
  21. ^ S. 프로이트, 사례 연구 II (PFL 9) 페이지 220
  22. ^ Spielrein, S. (1911). "Über den Psychologischen Inhalt eines Falles von Schizophrenie". Jahrbuch für Psychoanalytische und Psychopathologische Forschungen. 3 (1): 329–400.
  23. ^ 홀, 캐런 사비나 스필레인 1885-1942 유대인 여성: 포괄적인 역사 백과사전, 2009년 3월 1일. 유대인 여성 보관소 2015년 5월 1일 접속
  24. ^ a b c Lothane Z (1999). "Tender love and transference: Unpublished letters of CG Jung and Sabina Spielrei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16: 12–27, 81–94. doi:10.1080/07853890601160135. PMID 10669968. S2CID 143520293.
  25. ^ Launer, John (2015-09-02). "Carl Jung's relationship with Sabina Spielrein: a reassessment" (PDF). International Journal of Jungian Studies. 7 (3): 179–193. doi:10.1080/19409052.2015.1050597. ISSN 1940-9052.
  26. ^ 오웬스, 랜스 S, 정인 러브: Liber Novus(Genosis Archive Books, 2015), 27-35. (온라인이용 가능) 이 책은 원래 Das Rote Buch C. G. Jungs Reise zum and Eren Pol der Welt, Ed에서 출판되었다. 토마스 아르츠, Verlag Königshausen & Neumann, 2015.
  27. ^ Zvi Lothane "Tender love and transference: C. G. Jung과 Sabina Spielrein의 미발표 편지." 코빙턴과 B. 와튼, 에드, 사비나 스필레인: 잊혀진 정신분석학의 개척자 (Hove: Brunner-Routrege, 2003), 221. 스필레인과 융의 관계 진화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오웬스, 랜스 S, 정인 러브: 리버 노부스의 미스테리움, 27-35. (온라인이용 가능)
  28. ^ a b McGuire, W, ed. (1974). The Freud/Jung letters: The Correspondence between Sigmund Freud and CG Ju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 오웬스, 랜스, 정인 러브: 리버 노부스의 미스테리움, 29세
  30. ^ 카로테누토, 알도, 비밀 대칭: 정과 프로이트 사이의 사비나 스필레인 (판테온 북스, 1982), 13.
  31. ^ 오웬스, 랜스 S, 정인 러브: 리버 노부스의 미스테리움, 31세
  32. ^ Bettelheim, B. (30 June 1983). "Scandal in the Family [1st part]".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39–43. Retrieved 15 February 2017.
  33. ^ Loewenberg, Peter (1995). "The Creation of A Scientific Community: The Burghölzli, 1902-1914". Fantasy and Reality in Histo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76. ISBN 9780195067637.
  34. ^ 융은 그 후 몇 년 동안 이것에 대해 광범위하게 썼다; 오웬스, 랜스, 정인 러브: 리버 노부스의 미스테리움, 16-25.
  35. ^ Jung, CG (1963). Memories, Dreams, Reflections. London: Routledge. p. 178. 스필레인을 정씨의 애니마의 목소리로 해석한 이 해석은 커, 존, 가장 위험한 방법 502-7에서 찾을 수 있다.
  36. ^ Carl G. Jung Protocols, 의회 도서관; 이것은 또한 Sonu Shamdasani, Cult Phiction: C.G. Jung과 분석심리학의 창시 (London: Routrege, 1998), 16, 57ff에 기록되어 있다.
  37. ^ 오웬스, 랜스 S, 정인 러브: 리버 노부스의 미스테리움 27번지
  38. ^ "Spielrien Association".
  39. ^ "Spielrein".
  40. ^ F. 맥린, 칼 구스타프 융(1996) 페이지 192-7.
  41. ^ Freud, Sigmund (1922).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Editorial Preface by Ernest Jones. Translated by C. J. M. Hubback. Bartleby.com. Retrieved May 23, 2013. A considerable part of this speculation has been anticipated in a work which is full of valuable matter and ideas but is unfortunately not entirely clear to me: (Sabina Spielrein: Die Destruktion als Ursache des Werdens, Jahrbuch für Psychoanalyse, IV, 1912). She designates the sadistic component as 'destructive'.
  42. ^ Spielrein, S (1994). "Destruction as the cause of coming into being". Journal of Analytical Psychology. 39 (2): 155–186. doi:10.1111/j.1465-5922.1994.00155.x.
  43. ^ Spielrein, S. (1912). "Beiträge zur Kenntnis der kindlichen Seele". Zentralblatt für Psychoanalyse und Psychotherapie. 3: 57–72.
  44. ^ F. 맥린, 칼 구스타프 융(1996) 페이지 192
  45. ^ a b Spielrein, S. (1913). "Die Schwiegemutter". Imago. 2: 589–92.
  46. ^ Spielrein, S. (2001). "The mother-in-law". Journal of Analytical Psychology. 46 (1): 201–20. doi:10.1111/1465-5922.00223. PMID 11227109.
  47. ^ van Waning, A (1992). "The works of pioneering psychoanalyst Sabina Spielrein".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o-Analysis. 19: 399–413.
  48. ^ Spielrein, S. (1914). "Tiersymbolik und Phobie einem Knaben". Internazionale Zeitschrift für Ärtzliche Psychoanalyse. 2: 375–7.
  49. ^ Spielrein, S. (2001). "Animal symbolism and a boy's phobia". Journal of Analytical Psychology. 46: 525–7.
  50. ^ Spielrein, S. (1923). "Die Zeit im unterschwellingen Seelenleben". Imago. 9: 300–17.
  51. ^ 오토 피니켈, 신경증 정신분석 이론 (1946) 페이지 348
  52. ^ Vidal, F (2001). "Sabina Spielrein, Jean Piaget – Going their own ways". Journal of Analytical Psychology. 46 (1): 139–53. doi:10.1111/1465-5922.00220. PMID 11227106.
  53. ^ (러시아어로) 페트류크 PT, 리 본다렌코, AP 페트류크. 이반 드미트리비치 에르마코프 교수가 정신의학과 정신분석학의 발전에 기여한 것(생년 130주년). 뉴스 psihіatrі 이 psihіfarmakoterapїї. - 2005. - № 2. - S. 143-147.
  54. ^ Spielrein, Sabina (1986). "Referat zur Psychoanalyse". In Brinkmann and Bose, Fiona (ed.). Sabina Spielrein: Ausgabe in 2 Bänden, Bd 2. Brinkmann and Bose. pp. 205–12.
  55. ^ Lothane, Z (2007). "The snares of seduction in life and therapy, Or what do young girls (Spielrein) seek in their Aryan heroes (Jung) and vice versa?". International Forum of Psychoanalysis. 16: 1189–204.
  56. ^ 그녀의 친구인 https://namesfs.yadvashem.org/YADVASHEM/23031614_240_5513/178.jpg의 1995년 증언
  57. ^ "About Rostov : Remembering Rostov". rememberingrostov.com. Retrieved January 23, 2012.
  58. ^ 야드 바셈은 이스라엘에 살고 있는 그녀의 사촌에 의한 증언 https://namesfs.yadvashem.org/YADVASHEM/NEW_APP/20160302_1155_340_9056/26185.jpg
  59. ^ 베텔하임, 브루노(1983) 프로이트의 비엔나와 기타 에세이에 나오는 "비밀의 대칭성" 뉴욕: 알프레드 A. 크노프.
  60. ^ "Psychology History - Lev Semyonovich Vygotsky". Compiled by Christina Gallagher. May 19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5-02. Retrieved 19 March 2020.CS1 maint: 기타(링크)
  61. ^ 오웬스, 랜스 S, 정인 러브: 리버 노부스의 미스테리움.
  62. ^ Cooper-White, P (2015). ""The power that beautifies and destroys. Sabina Spielrein and "Destruction as the Cause of Coming into Being"". Pastoral Psychology. 64 (2): 259–278. doi:10.1007/s11089-014-0604-6. S2CID 144293943.
  63. ^ "Sabina-Spielrein".
  64. ^ В Ростове открылся музей ученицы Фрейда и любовницы Юнга Сабины Шпильрейн
  65. ^ 1987-, Sells, Angela M. (2017-07-25). Sabina Spielrein : the woman and the myth. Albany. ISBN 9781438465791. OCLC 957223391.CS1 maint: 숫자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