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갑상선
Parathyroid gland부갑상선 | |
---|---|
세부 사항 | |
전구체 | 신경마루 중간자리와 세 번째와 네 번째 인두 주머니 내막 |
시스템 | 내분비 |
동맥 | 갑상선 동맥, 하등 갑상선 동맥, |
정맥 | 갑상선 정맥, 중간 갑상선 정맥, 하등 갑상선 정맥, |
신경 | 중경부 강낭, 하경부 강낭 |
림프 | 전신, 원장, 주구선 림프절 |
식별자 | |
라틴어 | 하등선, 상등선 |
메슈 | D010280 |
TA98 | A11.4.00.001 |
TA2 | 3870 |
FMA | 13890 |
해부학적 용어 |
부갑상선(Parathyroid)은 인간과 다른 사다리꼴의 목에 있는 작은 내분비선이다.인간은 보통 4개의 부갑상선(parathyroid subline)을 가지고 있는데, 갑상선의 뒤쪽에 가변적인 위치에 위치한다.부갑상선(parathyroid)은 저혈액 칼슘에 반응하여 부갑상선 호르몬을 생성, 분비하는데, 이는 혈액과 뼈의 칼슘량을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부갑상샘은 갑상선과의 혈액공급, 정맥배수, 림프 배수를 공유한다.부갑상선(Parathyroid)은 세 번째와 네 번째 인두 주머니의 상피 안감에서 파생되며, 네 번째 주머니에서 우월한 분비샘이 생기고 세 번째 주머니에서 더 높은 것으로부터 열등한 분비샘이 생긴다.최종 위치에 따라 이름 붙여진 하등선과 우등선의 상대적 위치는 발생조직의 이동으로 인해 변한다.
혈중 칼슘 수치의 변화와 뼈 신진대사가 특징인 과파병증 및 저포파병증(hypaparathyroidism)은 부갑상선기능이 과잉이거나 결핍된 상태를 말한다.
구조
부갑상선이란 갑상선의 좌우엽 뒤에 위치하는 두 쌍의 분비선을 말한다.각 글랜드는 황갈색의 납작한 난형이며, 렌틸 씨앗과 비슷한 모양으로 보통 길이 약 6mm, 너비 3~4mm, 무테로피오스테르오피오스테리학적으로 1~2mm이다.[1]일반적으로 4개의 부갑상선들이 있다.양쪽에 있는 두 개의 부갑상샘을 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갑상등건강한 부갑상선들은 일반적으로 남성의 경우 약 30mg, 여성의 경우 35mg의 무게가 나간다.[2]이러한 분비선은 목 검사 시 보이지 않거나 느낄 수 없다.[3]
각 부갑상선 정맥은 상, 중, 하의 갑상선 정맥으로 배수한다.상·중 갑상선 정맥은 내경정맥으로, 하등 갑상선 정맥은 대뇌수두정맥으로 배수한다.[4]
림프 배수
부갑상선으로부터 나온 림프관은 깊은 자궁경부 림프절과 부갑상선 림프절로 배수된다.[4]
변형
부갑상선(parathyroid)은 3개 이상의 작은 분비샘으로 수가 가변적이며,[5] 보통 갑상선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5]때때로, 어떤 사람들은 6개, 8개, 또는 심지어 더 많은 부갑상선들을 가질 수 있다.[3]드물게 부갑상샘은 갑상선 자체, 가슴 또는 흉선 안에 있을 수도 있다.[5]
미세조영술
부갑상선들은 갑상선에 가깝다고 이름 붙여졌고, 갑상선과는 전혀 다른 역할을 한다.부갑상샘은 갑상선의 모낭구조와 대조적으로 세포가 촘촘히 들어있어 갑상선에서 쉽게 알아볼 수 있다.[6]부갑상선에는 두 가지 독특한 유형의 세포가 존재한다.
- 부갑상선 호르몬을 합성하여 분비하는 수석 세포.이 세포들은 작고, 부갑상선 호르몬을 주입할 때 어둡게 보이며, 호르몬이 분비되었을 때, 또는 휴식 상태에 있을 때 선명하게 나타난다.[7]
- 외모가 가벼워지고 나이가 들수록 수가 늘어나는 옥시필 세포는 알 수 없는 기능을 갖고 있다.[7][8]
개발
인간 배아의 초기 발달에는 얼굴과 목, 주변 구조물을 발생시키는 인두 아치 5개와 인두 주머니 4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주머니에는 첫 번째 주머니가 배아의 머리 꼭대기에 가장 가깝고 네 번째 주머니가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정도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부갑상선(parathyroid)은 세 번째와 네 번째 주머니의 내측선과 신경마루 중간선의 상호 작용에서 비롯된다.[5]분비선의 위치는 발생학적 수명 동안 역전된다.궁극적으로 열등한 한 쌍의 분비샘은 흉선이 있는 세 번째 주머니에서 발현되는 반면, 궁극적으로 우월한 한 쌍의 분비샘은 네 번째 주머니에서 발현된다.발생학적 발달 동안 흉선은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그것으로 하선들을 끌고 간다.우월한 쌍은 네 번째 파우치에 의해 같은 정도로 아래로 끌려 내려가지 않는다.이 분비샘들은 발생학적 위치가 아닌 최종 위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9]흉선의 최종 목적지는 흉곽의 종격부에 있으므로 목에서 분리되지 않으면 흉강 내 세 번째 주머니에서 파생된 외경성 부갑상선(Ectopic Parathyroids)이 간혹 가능하다.
Parathyroid 개발은 몇몇 전사 인자에 대한 코딩을 포함한 많은 유전자에 의해 조절된다.[10][a]
함수
부갑상선의 주요 기능은 신체의 칼슘과 인산염 수치를 매우 좁은 범위 내에서 유지시켜 신경계와 근육계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부갑상선들은 부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함으로써 이것을 한다.[11]
부갑상선호르몬(Parathormone이라고도 한다)은 뼈 생리뿐만 아니라 칼슘과 인산염 동점선 조절에도 관여하는 작은 단백질이다.Parathyroid 호르몬은 캘시토닌 호르몬에 대항하는 효과가 있다.[12]
- 칼슘.PSTH는 골수체를 직접 자극하여 혈중 칼슘 수치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골수성형(LANK/RANKL 메커니즘을 통해)을 간접적으로 자극하여 뼈를 분해하고 칼슘을 방출한다.PTH는 비타민D를 활성화해 위장 칼슘 흡수를 증가시키고, 신장에 의한 칼슘보전(재흡수)을 촉진한다.[12]
- 인산염.PTH는 신장에 대한 작용을 통해 혈청 인산염 농도의 주요 조절기다.그것은 근위관인 인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것이다.비타민 D의 활성화를 통해 인산염의 흡수율(표면)을 높인다.[12]
장애
부갑상선 질환은 통상적으로 부갑상선기능이 과한 상태(저갑상선기능항진증)와 부갑상선 기능저하 상태(저갑상선기능항진증)로 나뉜다.두 상태 모두 그들의 증상에 의해 특징지어지는데, 이것은 혈액 속의 부갑상선 호르몬의 과잉 또는 결핍과 관련이 있다.[13]
과갑상선기능항진증
1차
과대병변성증이란 과도한 부갑상선 호르몬이 순환하는 상태를 말한다.이것은 뼈의 재흡수가 증가하여 뼈의 통증과 부드러움을 유발할 수 있다.순환 칼슘의 증가로 인해, 가장 흔히 탈수증인 고칼슘증과 관련된 다른 증상들이 있을 수 있다.과파병증후군은 일반적으로 단일샘에서 정상세포의 양성 증식에 의해 발생하며, 드물게 MEN 증후군이 발생한다.이것은 제1차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알려져 있는데,[13] 이는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인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외과적 제거에 의해 관리된다.[14]
이차적
신장질환은 과대병증 항진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칼슘이 너무 많이 손실되면 부갑상선기능항진증에 의한 보상이 있고, 부갑상선 호르몬이 분비된다.분비샘은 더 많은 부갑상선 호르몬을 합성하기 위해 비대해진다.이것은 2차 과대병증 항진증이라고 알려져 있다.
제3차
이 같은 상황이 2차 과갑상선기능항진증의 장기간에 걸쳐 존재한다면, 부갑상선조직은 혈중 칼슘 수치에 반응하지 않게 되어 자율적으로 부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기 시작할 수 있다.이것은 제3의 과병증 항진증이라고 알려져 있다.[15]
저포파라시스트로이드증
부갑상선 기능저하 상태를 저포파성 항진증이라고 한다.이것은 갑상선 수술 중 분비선의 손상이나 혈액 공급과 가장 일반적으로 관련이 있다. 이것은 자가 우성 증후군으로 유전되는 디조지 증후군과 같은 희귀한 유전적 증후군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부갑상선 제거 수술 후 저포파성 항진증이 발생할 것이다.[16]
때때로, 개인의 조직은 부갑상선 호르몬의 효과에 저항적이다.이것은 사이비인종장애증이라고 알려져 있다.이 경우 부갑상선기능이 완전하고 호르몬 자체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혈중 칼슘 수치가 감소한다.사이비하수성 항진증은 종종 올브라이트의 유전적인 골격변화와 관련이 있다.영어에서 가장 긴 단어 중 하나인 사이비-가소성 항진증은 정상 부갑상선 호르몬과 혈청 칼슘 수치를 가진 올브라이트의 유전성 골수분열을 가진 개인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16]
저포파성 항진증은 칼슘 감소와 관련된 증상과 함께 나타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비타민 D 유사성으로 치료된다.[16]
역사
부갑상선들은 1852년 리처드 오웬에 의해 인도 코뿔소에서 처음 발견되었다.[17]목 해부학에 대한 설명에서, 오웬은 분비샘을 "정맥이 생겨난 지점에서 갑상선에 부착된 작고 작은 노란색 선체"라고 언급했다.이 분비샘은 스웨덴 의대생인 이바르 빅토르 샌드스트룀(1852–1889)이 1880년 웁살라 대학에서 인간에게서 처음 발견했다.[18]오웬의 묘사를 모른 채 그는 자신의 모노그래프 '인간과 동료 동물의 새 분비샘에 대하여'에서 분비샘을 '간두래 부갑상선'이라고 표현하면서 개, 고양이, 토끼, 소, 말, 인간에게 그 존재에 주목했다.[19][20]몇 년 동안 샌드스트룀의 묘사는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21]
생리학자 유진 글리는 1891년에 처음으로 분비샘의 삽입 기능을 기록하면서, 분비샘의 제거와 근육 테타니의 발달 사이의 연관성에 주목했다.윌리엄 G. 1908년 맥칼럼은 부갑상선 종양을 조사하면서 칼슘 대사에서 그들의 역할을 제안했다.[20]그는 "테타니는 많은 형태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며 부갑상선 파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22]
부갑상선 제거는 1928년 의사 아이작 Y 올치에 의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을지도 모른다. 그의 인턴은 근육의 약체인 노인 환자의 칼슘 수치가 증가했음을 알아챘다.이 수술에 앞서 부갑상선 제거 환자는 일반적으로 근육 테타니로 사망했다.[20]
Parathyroid 호르몬은 1923년 아돌프 M에 의해 격리되었다. Hanson과 1925년 제임스 B. 콜립.로저 길레민, 앤드류 샬리, 로잘린 수스만 얄로우의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 연구는 1977년 체내 물질 측정이 가능한 면역항암제와 노벨상을 개발하게 했다.[18][20]
다른동물
부갑상선들은 모든 성인 4각형에서 발견된다; 그것들은 그들의 수와 위치에 따라 다르다.포유류들은 일반적으로 4개의 부갑상선들을 가지고 있는 반면, 다른 종류의 동물들은 6개의 부갑상선을 가지고 있다.동물에서 부갑상선 제거는 불규칙한 근육 수축과 함께 급성 중독과 유사한 상태를 만들어낸다.[23]
물고기는 부갑상선(parathyroid)을 가지고 있지 않다. 몇몇 종은 부갑상선 호르몬을 표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물고기 아가미의 발달 유전자와 칼슘 감지 수용체는 새와 포유류의 부갑상선 내 유전자와 유사하다.이 네트라포드샘은 이러한 물고기 아가미에서 진화적으로 파생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0][24]
추가 이미지
분지 상피체의 발전을 보여주는 계략.I, II, III, IV 분지 파우치
참고 항목
메모들
참조
- ^ Gray, Henry (1980). Williams, Peter L; Warwick, Roger (eds.). Gray's Anatomy (36th ed.). Churchill Livingstone. p. 1453. ISBN 0-443-01505-8.
- ^ Johnson, S J (1 April 2005). "Best Practice No 183: Examination of parathyroid gland specimens".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58 (4): 338–342. doi:10.1136/jcp.2002.002550. PMC 1770637. PMID 15790694.
- ^ a b 그림설명 머리와 목의 해부학, 페렌바흐와 헤링, 엘스비에, 2012, 페이지 159
- ^ a b Drake, Richard L.; Vogl, Wayne; Tibbitts, Adam W.M. Mitchell; illustrations by Richard; Richardson, Paul (2005). Gray's anatomy for students. Philadelphia: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p. 918. ISBN 978-0-8089-2306-0.
- ^ a b c d Williams, S. Jacob; dissections by David J. Hinchcliffe; photography by Mick A. Turton; illustrated by Amanda (2007). Human anatomy: a clinically-orientated approach (New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ISBN 978-0-443-10373-5.[페이지 필요]
- ^ Lappas D, Noussios G, Anagnostis P, Adamidou F, Chatzigeorgiou A, Skandalakis P (September 2012). "Location, number and morphology of parathyroid glands: results from a large anatomical series". Anat Sci Int. 87 (3): 160–4. doi:10.1007/s12565-012-0142-1. PMID 22689148. S2CID 207431255.
- ^ a b c Young, Barbara; Heath, John W.; Stevens, Alan; Burkitt, H. George (2006).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a text and colour atlas (5th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p. 337. ISBN 978-0-443-06850-8.
- ^ Ritter, Cynthia S.; Haughey, Bruce H.; Miller, Brent; Brown, Alex J. (August 2012).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by Oxyphil and Chief Cells of Human Parathyroid Gland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97 (8): E1499–E1505. doi:10.1210/jc.2011-3366. PMC 3591682. PMID 22585091.
- ^ Larsen, William J. (2001). Human embryology (3rd ed.). Philadelphia, Pa.: Churchill Livingstone. pp. 377–8. ISBN 0-443-06583-7.
- ^ a b c Zajac, Jeffrey D; Danks, Janine A (July 2008). "The development of the parathyroid gland: from fish to human". Current Opinion in Nephrology and Hypertension. 17 (4): 353–356. doi:10.1097/MNH.0b013e328304651c. PMID 18660669. S2CID 7971353.
- ^ Young, Barbara; Heath, John W.; Stevens, Alan; Burkitt, H. George (2006).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a text and colour atlas (5th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p. 336. ISBN 978-0-443-06850-8.
- ^ a b c Hall, Arthur C. Guyton, John E. (2005).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11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pp. 985–8. ISBN 978-0-7216-0240-0.
- ^ a b Colledge, Nicki R.; Walker, Brian R.; Ralston, Stuart H., eds. (2010).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21st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pp. 766–7. ISBN 978-0-7020-3084-0.
- ^ Colledge, Nicki R.; Walker, Brian R.; Ralston, Stuart H., eds. (2010).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21st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p. 767. ISBN 978-0-7020-3084-0.
- ^ Staren, Prinz; Richard, A., eds. (2000). Endocrine surgery. Georgetown TX: Landes Bioscience. pp. 98–114. ISBN 978-1-57059-574-5.
- ^ a b c Colledge, Nicki R.; Walker, Brian R.; Ralston, Stuart H., eds. (2010).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21st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p. 768. ISBN 978-0-7020-3084-0.
- ^ Cave, A.J.E. (1953). "Richard Owen and the discovery of the parathyroid glands" (PDF). In E. Ashworth Underwood (ed.). Science, Medicine and History. Essays on the Evolution of Scientific Thought and Medical Practice. Vol. 2. Oxford University Press. pp. 217–222. Retrieved 2009-07-20.
- ^ a b Eknoyan G (November 1995). "A history of the parathyroid glands".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26 (5): 801–7. doi:10.1016/0272-6386(95)90447-6. PMID 7485136.
- ^ "On a New Gland in Man and Several Mammals (Glandulæ Parathyreoideæ)".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11 (2): 197. 9 July 1938. doi:10.1001/jama.1938.02790280087037.
- ^ a b c d DuBose, Joseph; Ragsdale, Timothy; Morvant, Jason (January 2005). ""Bodies so tiny": The history of parathyroid surgery". Current Surgery. 62 (1): 91–95. doi:10.1016/j.cursur.2004.07.012. PMID 15708157.
- ^ Carney, JA (Sep 1996). "The glandulae parathyroideae of Ivar Sandström. Contributions from two continent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20 (9): 1123–44. doi:10.1097/00000478-199609000-00010. PMID 8764749.
- ^ Maccallum, W. G; Voegtlin, C. (Jan 9, 1909). "On the Relation of Tetant to the Parathyroid Glands and to Calcium Metabolism". The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11 (1): 118–51. doi:10.1084/jem.11.1.118. PMC 2124703. PMID 19867238.
- ^ Councilman, WT (1913). "Chapter 1". Disease and Its Causes. United States: New York Henry Holt and Company London Williams and Norgate Th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S. ASIN B0065T4O6Q. OCLC 654587300.
- ^ Okabe, Masataka; Graham, Anthony (2004). "The origin of the parathyroid gland".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1 (51): 17716–9. Bibcode:2004PNAS..10117716O. doi:10.1073/pnas.0406116101. JSTOR 3374034. PMC 539734. PMID 15591343.
추가 읽기
- Sandström, Ivar (1938). On a New Gland in Man and Several Mammals: (Glandulæ Parathyreoideæ). Translated by Carl Michael Seipel.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OCLC 69441047.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Parathyroid 분비선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