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레버스 산
Mount Erebus에레버스 산 | |
---|---|
최고점 | |
승진 | 3,794 m (12,448 ft)[1] |
저명성 | 3,794 m (12,448 ft)[1] 랭킹 34위 |
격리 | 121 km (75 mi) |
리스팅 | 울트라 |
좌표 | 77°31'47 ″S 167°09'12 ″E/77.52972°S 167.15333°E[2] |
지리학 | |
위치 | 로스 섬, 남극 (뉴질랜드가 로스 종속국의 일부라고 주장함) |
토포맵 | 로스 섬 |
지질학 | |
에이지 오브 락 | 130만년 |
산형 | 성층 화산 (복합 원뿔) |
화산대 | 맥머도 화산군 |
마지막 분화 | 현재 분출중 |
등산 | |
첫등정 | 1908년 에지워스 데이비드와 파티에[3] 의해 |
가장 쉬운 경로 | 기본 설빙 |
에레부스 산(/ ˈɛr ɪb əs/)은 남극에서 두 번째로 높은 화산으로, 남극에서 가장 높은 활화산이며, 지구상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활화산입니다.이 산은 대륙에서 여섯 번째로 높은 울트라 산입니다.[1]정상 고도가 3,794 미터(12,448 피트)인 로스 섬의 로스 의존성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또한 세 개의 비활성 화산의 본거지이기도 합니다.마운트 테러, 마운트 버드, 마운트 테라 노바입니다.
이 화산은 약 130만년 전부터 활동해 왔으며 내부 정상 분화구에는 적어도 1970년대 초부터 존재해 온 오랜 용암 호수가 있습니다.
이 화산은 1979년 11월 발생한 에어뉴질랜드 901편 사고, 에레버스 산 참사가 일어난 곳입니다.
지질학과 화산학
에레부스 산은 세계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활화산입니다.현재 에레버스 핫스팟의 폭발 중심지입니다.그 정상에는 지속적으로 대류하는 음운대류 용암 호수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호수는 지구상에 오래 지속된 용암 호수 5개 중 하나입니다.특징적인 분출 활동은 용암 호수나 화산의 내부 분화구에 있는 여러 부속 분출구 중 하나에서 스트롬볼리아 분출로 구성됩니다.[4][5]이 화산은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비정상적으로 지속적인 분출 활동으로 인해 이탈리아의 스트롬볼리와 같은 지구상의 몇몇 화산들과만 공유하는 특성인 활화구와 매우 가까운 (수백 미터) 스트롬볼리 화산 분출 시스템에 대한 장기간의 화산학적 연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과학적으로 주목할 만합니다.화산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맥머도 기지(미국)와 스콧 기지(뉴질랜드)가 35km 정도 떨어진 같은 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에레부스 산은 다유전 성층 화산으로 분류됩니다.화산의 아래쪽 반은 방패이고 위쪽 반은 성층권입니다.에레부스의 현재 분출물의 구성 성분은 화산에 노출된 용암류의 대부분인 오르토클레이스-포르피라이트 테프라이트 포놀라이트와 포놀라이트입니다.가장 오래된 분출물은 에레버스의 낮고 넓은 플랫폼 방패를 형성하는 비교적 미분화된 비점성 바사나이트 용암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초기 에레부스 화산의 침식 잔재인 팡 리지(Fang Ridge)와 에레부스 측면의 다른 고립된 장소에서 약간 어린 바사나이트와 폰테프라이트 용암이 발견됩니다.에레버스는 현재 세계에서 유일하게 폭발하고 있는 포놀라이트 화산입니다.[6]
바사나이트 다음으로 더 점성이 있는 음운석과 트라키테의 용암류가 분출되었습니다.에레버스 산의 위쪽 경사면은 가파른 침지(약 30°)가 지배적입니다.테프리트 포놀라이트 용암은 대규모의 제방과 함께 흐릅니다.ASL 약 3,200m의 경사면에서 눈에 띄는 휴식은 칼데라를 대표하는 정상 고원에 대한 관심을 촉구합니다.정상 칼데라는 18,000 ± 7,000년 전에 발생한 폭발적인 VEI-6 폭발로 인해 생성되었습니다.[7]그것은 작은 부피의 테프라이트 포놀라이트와 포놀라이트 용암류로 가득 차 있습니다.정상 칼데라의 중앙에는 주로 분해된 용암 폭탄과 에레부스 결정으로 알려진 오르토클레이즈 결정의 많은 퇴적물로 구성된 작고 가파른 면의 원뿔이 있습니다.이 정상 원뿔에 있는 활성 용암호는 지속적으로 탈가스가 발생합니다.
1990년대 초에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에레버스 산은 화산에서 생성된 가스에서 소량의 금 결정을 방출한다는 것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결정들은 크기가 20에서 60 마이크로미터에 이릅니다.매일 약 80그램의 금이 이런 방식으로 화산에 의해 방출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8]
연구원들은 2007-08 시즌 동안 에레버스 산 주변에 전형적이지 않게 밀집된 지진계들을 설치하는데 3개월 이상을 보냈습니다. 에레버스 산의 측면과 주변에 묻힌 폭발물들이 만들어내는 작고 통제된 폭발물들이 만들어내는 에너지의 파도를 듣기 위해 말이죠.용암호수 분출과 국지적인 얼음지진으로 발생하는 산란된 지진신호를 기록하는 것입니다.굴절되고 흩어진 지진파를 연구함으로써, 과학자들은 화산의 "플럼핑"의 기하학적 구조와 마그마가 용암 호수까지 어떻게 솟아오를 수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화산의 가장 높은 곳(상위 몇 킬로미터)의 이미지를 만들었습니다.[9][10] 이러한 결과는 지표면 아래 수백 미터 깊이에서 용암 호수의 북서쪽에 상당한 상부 화산 마그마 저장이 있는 복잡한 상부 화산 도관 시스템을 보여주었습니다.
아이스푸마롤
에레버스 산은 수많은 얼음 푸마롤 – 표면의 분출구에서 빠져나오는 가스 주위에 형성되는 얼음 탑 – 으로 유명합니다.[11]푸마롤과 관련된 얼음 동굴들은 어둡고, 극지방 고산 환경에서는 유기질이 부족하고, 고도로 환원된 숙주 암석에서는 산소화된 열수 순환을 합니다.생명체는 희박하며, 주로 박테리아와 곰팡이가 많습니다.이것은 최소한의 자원으로 생존할 수 있는 유기체인 올리고트로프를 연구하는 것을 특별히 흥미롭게 만듭니다.
에레부스의 동굴들은 대부분의 지표면 동굴들이 인간의 활동이나 동물(박쥐와 새)이나 지하수에 의해 유입된 유기체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우주생물학에 특별한 관심이 있습니다.[12][13]에레부스의 동굴들은 높은 고도에 있지만 연구를 위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동굴의 일부는 섭씨 25도(화씨 77도)까지 도달할 수 있고, 동굴 입구 근처의 빛으로 인해 얇은 얼음으로 뒤덮인 동굴의 빛으로 인해 이끼, 조류, 절지동물, 선충류로 구성된 동식물 생태계를 유지하기에 충분합니다.[14]
그것들은 붕괴되고 재건되는 역동적인 시스템이지만 수십 년에 걸쳐 지속됩니다.동굴 내부의 공기는 80~100%의 습도와 최대 3%의 이산화탄소(CO2), 일부 일산화탄소(CO)와 수소(H2)를 가지고 있지만 메탄(CH4)이나 황화수소(HS2)는 거의 없습니다.그들 중 다수는 완전히 어두워서 광합성을 지원할 수 없습니다.유기체는 오직 대기 또는 여름에 표면에서 자라는 얼음 해조류에서만 나올 수 있는데, 이 얼음 해조류는 결국 매장과 용해를 통해 동굴로 들어가는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결과적으로,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화학적으로 자기의 모든 에너지를 암석과의 화학적 반응으로부터 얻는 미생물, 즉 생존을 위해 다른 어떤 생명체에도 의존하지 않는 화학적 자기위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그 유기체들은 CO2 고정을 사용하여 생존하고 일부는 대사에 CO 산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그곳에서 발견되는 주요 미생물 종류는 클로로플렉소타와 아세트오박테리오타입니다.[15][16]2019년 마스덴 기금은 와이카토 대학과 캔터베리 대학에 지열 푸마롤의 미생물을 연구하기 위해 거의 100만 뉴질랜드 달러를 지원했습니다.[17]
명명된 피쳐
에레버스 산은 경사면에 여러 개의 분화구와 암석층을 포함한 여러 개의 이름 붙여진 지형을 가질 만큼 충분히 큽니다.
에레부스 산에 위치한 분화구로 이름 붙여진 것은 사이드 분화구(Side Crater), 주 정상 원뿔의 측면에 위치한 것에서 이름 붙여진 거의 원형의 분화구와 이 분화구가 위치한 경사면에서 이름을 따온 웨스턴 분화구가 있습니다.[18][19]
에레버스 산에는 많은 암석층이 있습니다.이전 탐험 캠프 장소 근처의 활동적인 원뿔의 북서쪽 상부 경사면에서 용암류가 오심 노브라고 불리는 두드러진 노두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고산병으로 인한 오심에서 이름 붙여진 것입니다.[20]또한 북서쪽 비탈길에는 뉴질랜드 지리 위원회(NZGB)가 2000년 남극 횡단 탐험대의 뉴질랜드 파견 항공 정비공 L.W. 타르 병장의 이름을 따 명명한 타르 누나탁이 자리하고 있습니다.[21]정상의 남서쪽 가장자리에는 근처에 있는 지진 관측소의 이름을 딴 지진 블러프가 있습니다.[22]Cashman Crags는 Hoopers Shoulder에서 남서쪽으로 0.6 해리(1.1 km) 떨어진 Erebus 산의 서쪽 비탈에 있는 약 1,500 미터(4,900 피트) 높이의 두 개의 바위 정상입니다.이 바위들은 남극 이름 자문 위원회에 의해 미국 남극 연구 프로그램 팀원인 [23]캐서린 캐시먼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습니다.[24]
역사
검색 및 이름 지정
에레버스 산은 1841년 1월 27일 [25]극지 탐험가 제임스 클라크 로스 경에 의해 남극 탐험에서 발견되었으며, 그는 그의 배인 HMS 에레버스와 HMS 테러(후에 존 프랭클린 경에 의해 그의 재난적인 북극 탐험에서 사용됨)의 이름을 따서 에레버스 산과 그 동반자인 테러 산이라고 이름 지었습니다.HMS Erebus에 Ross와 함께 참석한 어린 Joseph Hooker는 미래의 왕립학회 회장이자 Charles Darwin의 가까운 친구입니다.에레부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하데스의 어두운 지역으로, 고대 그리스의 어둠의 신, 혼돈의 아들로 의인화되었습니다.[26]
유적지
이 산은 1912년 12월 로버트 팰컨 스콧(Robert Falcon Scott)의 테라 노바(Terra Nova) 탐험대의 과학 파티에 의해 조사되었으며, 그는 지질 샘플도 수집했습니다.그들이 사용했던 캠프 장소 중 두 곳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소로 인정받았습니다.
- 상부 "정상 캠프" 장소(HSM 89)는 아마도 텐트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돌들의 원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하부 "캠프 E" 부지(HSM 90)는 약간 높은 자갈 영역과 정렬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텐트 가치를 무게를 싣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습니다.
이들은 영국, 뉴질랜드, 미국의 남극조약협의회 제안에 따라 역사적인 유적지나 기념물로 지정되었습니다.[27]
등산
에레버스 산의 정상 분화구 림은 1908년 어니스트 섀클턴 경의 당원들에 의해 처음 달성되었습니다; 에지워스 데이비드 교수, 더글러스 모슨 경, 앨리스터 매케이 박사, 제임슨 애덤스, 에릭 마샬 박사, 필립 브로클허스트(정상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들).최초의 단독 등반이자 최초의 겨울 등반은 1985년 6월 7일 영국 산악인 로저 미어(Roger Mear)[28]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1991년 1월 19일부터 20일까지 맥머도 역과 남극에서 수년간 철공으로 일하던 찰스 J. 블랙머는 스노우모빌과 도보로 약 17시간 만에 완전히 지지받지 못한 채 단독 등반을 달성했습니다.[29][30]
로봇 탐사
1992년, 8개의 다리를 묶은 로봇 탐험가 단테 1세에 의해 화산 내부가 탐사되었습니다.[31]단테는 에레부스 산의 내부 분화구 안에 있는 마그마 호수에서 가스 샘플을 획득하여 화산 내부의 온도와 그러한 화산에 존재하는 물질의 방사능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선상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의 사용을 통해 화학을 더 잘 이해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Dante는 워커와 기지국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광섬유 케이블로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크레이터의 상당 부분을 성공적으로 확장했습니다.단테가 아직 분화구 바닥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화산의 중요성에 대한 자료는 기록되지 않았습니다.이 탐험은 로봇과 컴퓨터 과학의 측면에서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아마도 로봇 플랫폼에 의한 남극으로의 첫 번째 탐험이었을 것입니다.
에어 뉴질랜드 901편
에어 뉴질랜드 901편(Air New Zealand Flight 901)은 뉴질랜드 오클랜드 공항에서 남극대륙을 거쳐 크라이스트처치 공항에서 예정된 정류장을 가지고 돌아오는 관광 서비스로 오클랜드로 돌아오기 전에 연료를 주입했습니다.[32]1977년 2월에 맥도넬더글러스 DC-10-30 항공기로 운항을 시작한 에어 뉴질랜드 항공편.이 비행기는 1979년 11월 28일 에레부스 산에 추락해 탑승자 257명 전원이 사망했습니다.충돌 몇 초 전에 촬영된 승객 사진에서는 "구름 속을 날아간다"는 이론을 배제하고, 항공기의 왼쪽으로 13마일(21km), 오른쪽으로 10마일(16km)의 랜드마크가 보이는 등 구름 베이스 아래에서 완벽하게 선명한 가시성을 보여주었습니다.[33]바로 앞에 있는 산은 항공기 바로 뒤에서 위의 구름 갑판을 통해 비추는 햇빛에 의해 밝혀졌고, 이로 인해 그림자가 부족하여 고전적인 화이트아웃(더 정확하게는 "평광") 현상을 넘어 흐린 하늘을 배경으로 에레버스 산이 효과적으로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34]추락 사고에 대한 추가 조사 결과, 에어 뉴질랜드의 항해 실수와 은폐로 약 1억 달러의 소송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에어 뉴질랜드는 남극대륙 비행을 중단했습니다.마지막 비행은 1980년 2월 17일이었습니다.남극의 여름 동안, 에레부스 산의 측면에 쌓인 눈이 계속해서 공중에서 보이는 충돌의 잔해들을 드러냅니다.[32]
이미지갤러리
-
에레부스 산 분화구 항공도
-
지속되는 용암호수의 빛을 보여주는 에레버스산 위성사진
-
1955년 12월 에레부스 산
참고 항목
- 찰스 나이더
- 콜먼 피크
- 에레부스 빙하
- 에레부스 얼음혀
- 아이스 타워 리지
- 남극대륙의 화산 목록
- Lower Erebus Hut – MEVO의 본거지
- 화산 7대 정상 #화산 7대 정상
- 칼데라의 두드러진 특징인 헬로 절벽
참고문헌
- ^ a b c "Mount Erebus". Global Volcanism Program. Smithsonian Institution. Retrieved 29 December 2008.
- ^ "Mount Erebus".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Retrieved 30 July 2011.
- ^ "Antarctic explorers". Australian Antarctic Divi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May 2010. Retrieved 29 December 2008.
- ^ Kyle, P. R., ed. (1994). Volcanological and Environmental Studies of Mount Erebus, Antarctica. Antarctic Research Series. Washington DC: American Geophysical Union. ISBN 0-87590-875-6. OCLC 1132108108.
- ^ Aster, R.; Mah, S.; Kyle, P.; McIntosh, W.; Dunbar, N.; Johnson, J. (2003). "Very long period oscillations of Mount Erebus volcano". J. Geophys. Res. 108 (B11): 2522. Bibcode:2003JGRB..108.2522A. doi:10.1029/2002JB002101.
- ^ Burgisser, Alain; Oppenheimer, Clive; Alletti, Marina; Kyle, Philip R.; Scaillet, Bruno; Carroll, Michael R. (November 2012). "Backward Tracking of Gas Chemistry Measurements at Erebus Volcano" (PDF). Geochemistry, Geophysics, Geosystems. 13 (11). Bibcode:2012GGG....1311010B. doi:10.1029/2012GC004243. S2CID 14494732.
- ^ "VOGRIPA". www.bgs.ac.uk.
- ^ Hecht, Jeff (7 September 1991). "Science: Antarctic gold dust". New Scientist. Retrieved 24 August 2022.
- ^ "Plumbing Erebus: Scientists use seismic technique to map interior of Antarctic volcano".
- ^ Zandomeneghi, D.; Aster, R.; Kyle, P.; Barclay, A.; Chaput, J.; Knox, H. (2013). "Internal structure of Erebus volcano, Antarctica imaged by high-resolution active-source seismic tomography and coda interferometr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8 (3): 1067–1078. Bibcode:2013JGRB..118.1067Z. doi:10.1002/jgrb.50073. S2CID 129121276.
- ^ 얼음 푸마롤 사진은 Wayback Machine Mount Everest Volcano Observatory에서 2015-01-01 Ice Towers Archived 2015-01을 참조하십시오.
- ^ "Descent into a Frozen Underworld". Astrobiology Magazine. 17 Februar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y 2021. Retrieved 5 July 2019.
{{cite web}}
: CS1 maint : URL(링크) 부적합 - ^ AnOther (18 June 2015). "Mount Erebus: A Tale of Ice and Fire". AnOther. Retrieved 5 July 2019.
- ^ "Secret Life May Thrive Under Warm Antarctic Caves". Geology In. 9 September 2017.
- ^ Tebo, Bradley M.; Davis, Richard E.; Anitori, Roberto P.; Connell, Laurie B.; Schiffman, Peter; Staudigel, Hubert (2015). "Microbial communities in dark oligotrophic volcanic ice cave ecosystems of Mt. Erebus, Antarctica". Frontiers in Microbiology. 6: 179. doi:10.3389/fmicb.2015.00179. ISSN 1664-302X. PMC 4356161. PMID 25814983.
- ^ Wall, Mike (9 December 2011). "Antarctic Cave Microbes Shed Light on Life's Diversity". Livescience.
- ^ Harris, Rosie (2019). "Micro-organisms in the volcanic vents of Erebus - a key to life on other planets?". Antarctic. 38 (3 & 4): 14–15. ISSN 0003-5327.
- ^ "Side Crat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Retrieved 27 July 2018.
- ^ "Western Crat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Retrieved 11 January 2019.
- ^ "Nausea Knob".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11 January 2019.
- ^ "Tarr Nunatak".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Retrieved 11 January 2019.
- ^ "Seismic Bluff".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11 January 2019.
- ^ 왕립학회: 2021-05-10 캐더린 캐시맨 회수
- ^ "Cashman Crags".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8 May 2020.
- ^ Ross, J.C. (1847). A Voyage of Discovery and Research in the Southern and Antarctic Regions, During the Years 1839-43. Vol. 1. John Murray. p. 216-218.
- ^ 헤시오도스, 테오고니 116–124.
- ^ "List of Historic Sites and Monuments approved by the ATCM (2013)" (PDF). Antarctic Treaty Secretariat. 2013. Retrieved 9 January 2014.
- ^ Mear, Roger; Swan, Robert; Fulcher, Lindsay (1987). A Walk to the Pole: To the Heart of Antarctica in the Footsteps of Scott. Crown. pp. 95–104. ISBN 978-0-517-56611-4. OCLC 16092953.
- ^ Wheeler, Sara (1998). Terra Incognita. Random House. ISBN 9780679440789.
- ^ Johnson, Nicholas (2005). Big Dead Place. Feral House. ISBN 9780922915996.
- ^ Wettergreen, David; Thorpe, Chuck; Whittaker, Red (December 1993). "Exploring Mount Erebus by Walking Robot".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11 (3–4): 171–185. CiteSeerX 10.1.1.46.6546. doi:10.1016/0921-8890(93)90022-5. S2CID 1190583.
- ^ a b Holmes, Paul (2011). Daughters of Erebus. Hodder Moa. p. 31. ISBN 978-1-86971-250-1. OCLC 740446014.
- ^ 왕립위원회 보고서, 28단
- ^ 왕립위원회 보고서, par 40(a)
- 일반적
- LeMasurier, W. E.; Thomson, J. W., eds. (1990). Volcanoes of the Antarctic Plate and Southern Ocea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ISBN 0-87590-172-7.
- Sims, Kenneth W. W.; Aster, Richard C.; Gaetani, Glenn \; Blichert-Toft, Janne; Phillips, Erin H.; Wallace, Paul J.; Mattioli, Glen S.; Rasmussen, Dan; Boyd, Eric S. (2021). "Mount Erebus" (PDF).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Memoirs. doi:10.1144/m55-2019-8. eISSN 2041-4722. ISSN 0435-4052. S2CID 233522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