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로플렉소타

Chloroflexota
클로로플렉소타
과학적 분류 e
도메인: 박테리아
(순위 미지정): 테라박테리아
문: 클로로플렉소타
게리티 홀트 2021[1]
동의어
  • '클로로박테리아' 카발리에 스미스 2006
  • 클로로플렉시 GarrityHolt 2001
  • '에오박테리아' 캐벌리어 스미스 2002
  • '클로로플렉소타' 휘트먼 2018년
  • '클로로플렉세오타' 오렌 2015

클로로플렉소타는 산소를 사용하고 고온에서 잘 자라는 호기성 열친화성 물질, 광합성위해 을 사용하는 무산소 광영양 생물, 할로겐화 기관을 사용하는 혐기성 할로레스피러를 포함한 다양한 표현형을 가진 박테리아의 이다.h 독성 염소화 에텐폴리염화 비페닐)을 전자 수용체로 사용한다.

클로로플렉소타문의 구성원은 단엽류이지만 대부분 그램 음성으로 [2]염색된다.잘 연구된 박테리아의 많은 잎은 디딤과 염색 그램 음성인 반면, 그램 양성으로 염색되는 잘 알려진 단엽은 Firmicutes (또는 Bacillota) (낮은 G+C 그램 양성자), Actinomycetota (높은 G+C 그램 양성자), 그리고 Deinoccoccota (두꺼운 펩타)를 포함한다.

역사

분류군의 이름은 2001년 베르제이의 계통세균학 설명서 제1권에 작성되었으며, Cloroflexus라는 이름의 라틴어 복수형으로, 문(文)의 표준속 명칭이 일반적[3]관행이다.

1987년, 칼 워즈는 분자 계통 발생학 혁명의 전조로 간주되고, 11구역으로 16S리보솜 RNA(SSU)순서를 토대로 일시적으로"Chloroflexi"으로 표기된"녹색non-sulfur 박테리아와 친척들"[4][5]에 속 클로로프렉 수스, Herpetosiphon과 Thermomicrobium 그룹 Eubacteria 나뉘어 진 권에매미 Bergey의 체계적 세균학 [6]매뉴얼 중 하나.

클로로플렉소타는 깊은 분지문(세균 계통 세균학 설명서 1권 참조)에서 같은 이름의 [6]단일 클래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그러나 2001년 이후 새롭게 발견된 종 덕분에 새로운 분류가 만들어졌고 클로로플렉시 문(Phyloroflexi)은 현재 여러 분류로 나뉘어 있다.

'[8]데할로코이데스'는 1997년 부분적으로 기술된 '데할로코이데스 에테노게네스'의 이름을 따 2004년 [7]Hugenholts & Stackebrandt가 붙인 자리 표시자 이름입니다.완전히 기술된 첫 번째 종은 모에 외 연구진이 쓴 Dehalogenimonas lykanthroporepellens였다.2009년,[9] 그러나 그 종에 대한 기술에서는 두 종이 단지 90%의 16S 리보솜 RNA 정체성을 공유하기 때문에, 그 분류는 공식화되지 않았고, 가족이나 목도 제시되지 않았다. 즉, 서로 다른 과 또는 목으로 [9]분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클로로플렉소타의 최근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 현재 문([10]門)의 일부인 다른 분류들의 그룹화에 대한 지지력이 매우 약한 것으로 밝혀졌다.문군을 구성하는 6개 클래스는 대규모 단백질 데이터셋에 대한 연결된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계통수에서 일관되게 잘 지지된 분지군을 형성하지 않았으며, 전체 [10]문군이 유일하게 공유하는 보존된 시그니처 인델은 확인되지 않았다.그러나 Cloroflexi와 Thermomicrobia 클래스는 일반적인 계통발생학적 수단과 50S 리보솜 단백질 L19 및 UDP-글루코스 4-에피머라아제에서 [10]공유 보존 시그니처 인델의 식별에 의해 일관되게 함께 그룹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Cloroflexi sensu stricto 문(문)은 Cloroflexi와 Thermomicrobia만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다른 4개 클래스(Dehalococococoidetes, Anaerolineae, Caldilineae 및 Kettonobacteria)는 Cloroflexi [10]근방의 하나 이상의 독립적인 지엽을 나타낼 수 있다.

계통발생학

현재 인정된 분류법은 LPSN([11]Standing in Nomenclature)과 [12]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를 사용한 원핵생물명목록에 기초하고 있다.계통 발생은 모든 종류의 살아있는 나무 프로젝트[13] 16S rRNA 기반 LTP 릴리스 132를 기반으로 합니다.

서모플렉서스후겐홀츠 도즈워스 외 2014년

데할로코코이드과

데할로코이데스속 뢰플러 외 2013년

데할로게니모나스

D. Lykanthroporepellens Moe 2009년 (타입 sp.)

알케니기넨스 Bowman 외 2013년

D. 포미세덱스 키 외 2017년

칼딜리네과

리토리리네아에어로필라 케일 외 2013년

칼딜리나과

다. 아에로필라 세키구치 2003년형(type sp)

타르벨리카 Gregoire 외 2011년

에포르티카텐과

에포르티카테나 마리티마 카와이치 외 2013년

아네롤린과

테르모마리나일리나라쿠니폰타나 누누라 외 2013년

아네롤리나속

서모리모사 야마다 외 2006년[14]

A. 써모필라 세키구치2003[15] (타입 sp)

플렉실리네아 플로쿨리 선 외 2015년

오나틸리나아피리마 Podosokorskaya 외 2013년

당용해충류 야마다 외 2006년[14]

쯔바시카메라 야마다 외 2007년

펠롤리나잠수함 이마치 외 2014년

렙톨리나타디비탈리스 야마다 외 2006년[14]

긴일리나 아르보리제 야마다 외 2007년[16]

케도노박테리아
테르모젬마티스포라

티폴리오럼 야베 외 2011년

카복시디보란스 King & King 2014

T. onikobensis Yabe et al. 2011 (타입 sp)

케도노박테리아류
케도노박터과

딕티오박터오란티아쿠스 야베 외 2017년

케도노박터라세미퍼 Corrig. 카발레티 외 2007년

서모스포로트릭스

하자켄시스 야베 외 2010년

나루코넨시스 야베, 사카이, 요코타 2016

열미량미생물

클로로플렉시아
헤르페토시폰

오란티쿠스 홀트 & 르윈 1968

간헐천 르윈 1970

칼로테누아과

칼로테누에유두충 콜 외 2013년

클로로플렉스목
장미과

로지플렉서스 카스텐홀지이 하나다 외 2002년

클로로플렉서스

오란티쿠스 피어슨 & 카스텐홀츠 1974

C. 애그리게이션 하나다 외 1995년

섬나물 가이신 외 2017년

주의:
국립생명공학정보센터(NCBI)에서 발견되었지만 LSPN(Standing in Nomenclature)과 함께 원핵생물명목록에는 기재되지 않은 균주.
♪ 순수(축적) 문화가 격리되거나 이용 가능하지 않은 원핵생물. 즉, 배양되지 않았거나 몇 개의 연속된 경로 이상 지속할 수 없는 원핵생물

분류법

"Candidatus Chlorotrix" 클라펜바흐 & 피어슨 2004[17]

클래스 Thermoflexia Dodsworth 2014

Class Dehalocococoidia Löffler et al. 2013 ["Dehalocococoidetes" Hugenholts & Stackebrandt 2004]

클래스 아나롤리나에 야마다 외 2006

Class Forticatenia Kawaichi et al.

야마다 2006년 제1종

Class Kettonobacteria Cavaletti et al. 2007 emend. 야베 외 2010년 [케도박테리아(식) 카발레티 외 2006년]

Class Chloroflexia Gupta et al. 2013

어원학

클로로플렉시라는 이름은 클로로플렉서스의 남성 복수인 네오라틴 주격이다.이것은 기술된 첫 번째 속 이름이다.The noun is a combination of the Greek adjective chloros, -a, on (χλωρός, -ά, -όν),[31] meaning "greenish-yellow," and the Latin masculine passive perfect participle flexus (of flecto),[32] meaning "bent."[6]이 어원은 1810년 험프리 데이비 경이 발견해 연두색에서 따온 원소인 염소와 무관하다.같은 뿌리를 가진 또 다른 문종은 클로로비오타인데 반해, "시아노박테리아"는 "푸른 녹색"[33]을 의미하는 시아노스 뿌리를 가지고 있다.

다른 식물과 달리 클로로플렉소타속 이름에는 테마 뿌리가 없으며, 사실 클로로-로 시작되거나 클로로비로 끝나는 많은 속들이 시아노박테리아 또는 클로로비이다.

레퍼런스

  1. ^ Oren A, Garrity GM (2021). "Valid publication of the names of forty-two phyla of prokaryotes". Int J Syst Evol Microbiol. 71 (10): 5056. doi:10.1099/ijsem.0.005056. PMID 34694987.
  2. ^ Sutcliffe, I. C. (2010). "A phylum level perspective on bacterial cell envelope architecture". Trends in Microbiology. 18 (10): 464–470. doi:10.1016/j.tim.2010.06.005. PMID 20637628.
  3. ^ Don J. Brenner; Noel R. Krieg; James T. Staley (July 26, 2005) [1984(Williams & Wilkins)]. George M. Garrity (ed.). Introductory Essays.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2A (2nd ed.). New York: Springer. p. 304. ISBN 978-0-387-24143-2. British Library no. GBA561951.
  4. ^ Holland L. (22 May 1990). "Woese,Carl in the forefront of bacterial evolution revolution". Scientist. 4 (10).
  5. ^ Woese, C. R. (1987). "Bacterial evolution". Microbiological Reviews. 51 (2): 221–271. doi:10.1128/MMBR.51.2.221-271.1987. PMC 373105. PMID 2439888.
  6. ^ a b c Don J. Brenner; Noel R. Krieg; James T. Staley (July 26, 2005) [1984(Williams & Wilkins)]. George M. Garrity (ed.). Introductory Essays.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2A (2nd ed.). New York: Springer. p. 304. ISBN 978-0-387-24143-2. British Library no. GBA561951.
  7. ^ Hugenholtz, P.; Stackebrandt, E. (2004). "Reclassification of Sphaerobacter thermophilus from the subclass Sphaerobacteridae in the phylum Actinobacteria to the class Thermomicrobia (emended description) in the phylum Chloroflexi (emended descri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54 (6): 2049–2051. doi:10.1099/ijs.0.03028-0. PMID 15545432.
  8. ^ Maymo-Gatell, X.; Chien, Y.; Gossett, J. M.; Zinder, S. H. (1997). "Isolation of a Bacterium That Reductively Dechlorinates Tetrachloroethene to Ethene". Science. 276 (5318): 1568–1571. doi:10.1126/science.276.5318.1568. PMID 9171062.
  9. ^ a b Moe, W. M.; Yan, J.; Nobre, M. F.; Da Costa, M. S.; Rainey, F. A. (2009). "Dehalogenimonas lykanthroporepellens gen. Nov., sp. Nov., a reductively dehalogenating bacterium isolated from chlorinated solvent-contaminated groundwater".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59 (11): 2692–2697. doi:10.1099/ijs.0.011502-0. PMID 19625421.
  10. ^ a b c d Gupta, R. S.; Chander, P.; George, S. (2012). "Phylogenetic framework and molecular signatures for the class Chloroflexi and its different clades; proposal for division of the class Chloroflexi class. nov. into the suborder Chloroflexineae subord. nov., consisting of the emended family Oscillochloridaceae and the family Chloroflexaceae fam. nov., and the suborder Roseiflexineae subord. nov., containing the family Roseiflexaceae fam. nov". Antonie van Leeuwenhoek. 103 (1): 99–119. doi:10.1007/s10482-012-9790-3. PMID 22903492. S2CID 17656551.
  11. ^ J.P. Euzéby. "Chloroflexi".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 Retrieved 2018-07-20.
  12. ^ Sayers; et al. "Chloroflex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taxonomy database. Retrieved 2014-03-20.
  13. ^ "16S rRNA-based LTP release 132 (full tree)". All-Species Living Tree Project. Silva Comprehensive Ribosomal RNA Database. Retrieved 2018-07-20.
  14. ^ a b c d e f Yamada, T.; Sekiguchi, Y.; Hanada, S.; Imachi, H.; Ohashi, A.; Harada, H.; Kamagata, Y. (2006). "Anaerolinea thermolimosa sp. nov., Levilinea saccharolytica gen. nov., sp. nov. And Leptolinea tardivitalis gen. nov., sp. nov., novel filamentous anaerobes, and description of the new classes Anaerolineae classis nov. and Caldilineae classis nov. in the bacterial phylum Chloroflexi".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56 (6): 1331–1340. doi:10.1099/ijs.0.64169-0. PMID 16738111.
  15. ^ a b c Sekiguchi, Y.; Yamada, T.; Hanada, S.; Ohashi, A.; Harada, H.; Kamagata, Y. (2003). "Anaerolinea thermophila gen. nov., sp. nov. And Caldilinea aerophila gen. nov., sp. nov., novel filamentous thermophiles that represent a previously uncultured lineage of the domain Bacteria at the subphylum level".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53 (6): 1843–1851. doi:10.1099/ijs.0.02699-0. PMID 14657113.
  16. ^ a b c d Yamada, T.; Imachi, H.; Ohashi, A.; Harada, H.; Hanada, S.; Kamagata, Y.; Sekiguchi, Y. (2007). "Bellilinea caldifistulae gen. nov., sp. nov. And Longilinea arvoryzae gen. nov., sp. nov., strictly anaerobic, filamentous bacteria of the phylum Chloroflexi isolated from methanogenic propionate-degrading consortia".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57 (10): 2299–2306. doi:10.1099/ijs.0.65098-0. PMID 17911301.
  17. ^ Klappenbach, J. A.; Pierson, B. K. (2004). "Phylogenetic and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 filamentous anoxygenic photoautotrophic bacterium 'Candidatus Chlorothrix halophila' Gen. Nov., sp. Nov., recovered from hypersaline microbial mats". Archives of Microbiology. 181 (1): 17–25. doi:10.1007/s00203-003-0615-7. PMID 14655000. S2CID 23854988.
  18. ^ Grégoire, P.; Fardeau, M. L.; Joseph, M.; Guasco, S.; Hamaide, F.; Biasutti, S.; Michotey, V. R.; Bonin, P.; Ollivier, B. (201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anaerothrix daxensis gen. nov., sp. nov., a thermophilic anaerobic bacterium pertaining to the phylum "Chloroflexi", isolated from a deep hot aquifer in the Aquitaine Basin". Systematic and Applied Microbiology. 34 (7): 494–497. doi:10.1016/j.syapm.2011.02.004. PMID 21621938.
  19. ^ Gregoire, P.; Bohli, M.; Cayol, J. -L.; Joseph, M.; Guasco, S.; Dubourg, K.; Cambar, J.; Michotey, V.; Bonin, P.; Fardeau, M. -L.; Ollivier, B. (2010). "Caldilinea tarbellica sp. nov., a filamentous, thermophilic, anaerobic bacterium isolated from a deep hot aquifer in the Aquitaine Basin".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61 (6): 1436–1441. doi:10.1099/ijs.0.025676-0. PMID 20584812.
  20. ^ a b c Yabe, S.; Aiba, Y.; Sakai, Y.; Hazaka, M.; Yokota, A. (2010). "Thermogemmatispora onikobensis gen. nov., sp. nov. And Thermogemmatispora foliorum sp. nov., isolated from fallen leaves on geothermal soils, and description of Thermogemmatisporaceae fam. Nov. And Thermogemmatisporales ord. Nov. Within the class Ktedonobacteria".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61 (4): 903–910. doi:10.1099/ijs.0.024877-0. PMID 20495028.
  21. ^ Cavaletti, L.; Monciardini, P.; Bamonte, R.; Schumann, P.; Rohde, M.; Sosio, M.; Donadio, S. (2006). "New Lineage of Filamentous, Spore-Forming, Gram-Positive Bacteria from Soil".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2 (6): 4360–4369. doi:10.1128/AEM.00132-06. PMC 1489649. PMID 16751552.
  22. ^ Yabe, S.; Aiba, Y.; Sakai, Y.; Hazaka, M.; Yokota, A. (2009). "Thermosporothrix hazakensis gen. nov., sp. nov., isolated from compost, description of Thermosporotrichaceae fam. Nov. Within the class Ktedonobacteria Cavaletti et al. 2007 and emended description of the class Ktedonobacteria".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60 (8): 1794–1801. doi:10.1099/ijs.0.018069-0. PMID 19767365.
  23. ^ Holt, J. G.; Lewin, R. A. (1968). "Herpetosiphon aurantiacus gen. Et sp. N., a new filamentous gliding organism". Journal of Bacteriology. 95 (6): 2407–2408. doi:10.1128/JB.95.6.2407-2408.1968. PMC 315177. PMID 5669912.
  24. ^ Copeland, J. J. (1936). "Yellowstone Thermal Myxophyceae".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36 (1): 4–223. Bibcode:1936NYASA..36....4C. doi:10.1111/j.1749-6632.1936.tb56976.x. S2CID 128571314.
  25. ^ Lewin, R. A. (1970). "New Herpetosiphon species (Flexibacterales)". Canadian Journal of Microbiology. 16 (6): 517–520. doi:10.1139/m70-087. PMID 5423287.
  26. ^ Wu, Q.; Watts, J. E. M.; Sowers, K. R.; May, H. D. (2002). "Identification of a Bacterium That Specifically Catalyzes the Reductive Dechlorin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with Doubly Flanked Chlorine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8 (2): 807–812. doi:10.1128/AEM.68.2.807-812.2002. PMC 126686. PMID 11823222.
  27. ^ Pierson, B. K.; Giovannoni, S. J.; Stahl, D. A.; Castenholz, R. W. (1985). "Heliothrix oregonensis, gen. Nov., sp. Nov., a phototrophic filamentous gliding bacterium containing bacteriochlorophyll a". Archives of Microbiology. 142 (2): 164–167. doi:10.1007/BF00447061. PMID 2412519. S2CID 20173280.
  28. ^ Hanada, S.; Takaichi, S.; Matsuura, K.; Nakamura, K. (2002). "Roseiflexus castenholzii gen. nov., sp. nov., a thermophilic, filamentous, photosynthetic bacterium that lacks chloros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52 (Pt 1): 187–193. doi:10.1099/00207713-52-1-187. PMID 11837302.
  29. ^ Hanada, S.; Hiraishi, A.; Shimada, K.; Matsuura, K. (1995). "Chloroflexus aggregans sp. nov., a Filamentous Phototrophic Bacterium Which Forms Dense Cell Aggregates by Active Gliding Mov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45 (4): 676–681. doi:10.1099/00207713-45-4-676. PMID 7547286.
  30. ^ Pierson, B. K.; Castenholz, R. W. (1974). "A phototrophic gliding filamentous bacterium of hot springs, Chloroflexus aurantiacus, gen. And sp. Nov". Archives of Microbiology. 100 (1): 5–24. doi:10.1007/BF00446302. PMID 4374148. S2CID 25076525.
  31. ^ 리델, 헨리 조지, 스콧, 로버트, 페르세우스 프로젝트의 그리스 영어 어휘집
  32. ^ 루이스 & 쇼트...
  33. ^ 리델, 헨리 조지, 스콧, 로버트, 페르세우스 프로젝트의 그리스 영어 어휘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