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해이

Moral disengagement

도덕적 해이는 특정한 맥락에서 윤리적 기준이 자신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자아에게 납득시키는 과정을 위한 사회심리학으로부터의 용어다.[1][2] 이것은 도덕적인 반응을 비인간적인 행위와 분리시키고 자기모순의 메커니즘을 무력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3] 그러므로 도덕적 해이는 행동이나 도덕 기준을 바꾸지 않고 도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으로서 파괴적 행동을 인지적으로 재구성하거나 재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1]

도덕의 사회인지론에서는 도덕적 기준과 자기제정에 내재된 자율규제 메커니즘이 도덕적 추리를 행동으로 옮기고, 그 결과 도덕적 기관이 발휘된다. 그러므로 도덕적 자아는 자기 조직화, 능동적, 자기반영적, 자기조절적 메커니즘으로 구성된 보다 광범위하고 사회인지적 자기이론에 위치한다.[1] 도덕적 기관이 바탕을 둔 이 자율규제 시스템에는 세 가지 주요 하위 기능이 운용되고 있다. 첫 번째 하위 기능은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감시하는 것인데, 이것이 그것을 통제하는 첫 단계인 것이다.[4] "행동은 내부 기준과 상황 상황에 대해 행위를 평가하는 판단 기능을 통해 자기 재발을 낳는다."[5] 그러므로 도덕적 판단은 자기반복적인 영향력을 불러 일으킨다. 자기반복적·판단적 메커니즘은 제2, 제3의 하위 기능을 구성한다.[4]

일반적으로, 도덕적 기준은 좋은 행동에 대한 지침과 나쁜 행동에 대한 억지로 채택된다. 일단 내실화된 통제가 발전하면, 사람들은 자신에게 적용되는 기준에 따라 행동을 조절하게 되고, 이것은 그들에게 자기 만족감과 자기 가치관을 준다. 개인은 자기모순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도덕적 기준을 위반하는 행동을 삼간다. 그러므로 자기제재는 이러한 내부의 도덕적 기준에 부합하는 행동을 유지하고 따라서 비인간적인 행위를 규제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도덕적 표준은 자기 규제 메커니즘이 활성화되었을 때 고정된 내부 행동 규제자로서만 기능한다. 많은 다른 사회적, 심리적 과정이 자기절제의 활성화를 방해한다. 자기제정의 선택적 활성화와 내부적 도덕적 통제 또는 해제는 동일한 도덕적 기준을 감안할 때 광범위한 행동을 허용한다.[1][4]

도덕적 해이는 도덕적 정당성, 완곡한 라벨 표시, 유리한 비교, 대체 또는 책임 확산, 유해한 결과를 무시하거나 잘못 표현하고, 피해자를 비인간화시키는 비인도적 행위를 영속시키는 데 기능한다.[1][4] 이러한 인지 메커니즘은 독립적으로 작용하기 보다는 사회구조적 맥락 안에서 상호 연관되어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비인간적인 행위를 촉진한다.[1]

메커니즘

도덕적 정당성

해제 방법 중 하나는 비인간적인 행동을 마치 도덕적인 목적이 있는 것처럼 묘사하는 것이다. 도덕적 정당성은 반두라가 제시한 일련의 메커니즘 중 처음으로, 자기 절제를 우회하고 개인의 기준을 위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6] 예를 들어, 고문은, 국가의 시민들을 보호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해제는 행동에 참여하기로 결정하기 전에 일어나는데, 보통 사람들은 도덕적인 이유로 그 행동을 정당화한 후에만 비난받을 만한 행동에 관여한다. 인지 재구성을 통해 잘못된 행동은 정의로 인식될 수 있다.[7]

종교적 원칙, 민족주의적 의무, 정의로운 이념은 오랫동안 비난받을 만하고 파괴적인 행위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다. 한 예는 레포트와 알렉산더가 문서화한 종교적 원칙에 의해 정당화된 거룩한 테러다.[8]

도덕적 정당성은 기만적인 도덕적 주장을 탐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여론에 영향을 미치는 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캐슬린의 문헌 검토 결과, 그 어려움은 다음의 네 가지 출처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알았다.1.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기만에 취약하다.2. 정치적 의사소통은 대개 미디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기만 탐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비언어적 단서들을 제거한다. 3. 사회적 판단 편중으로 인해 개인에 지나치게 집중하게 된다. 4. 서로를 거짓말이라고 비난하는 정치인은 정치문화의 규범이 아니기 때문에 국민이 도덕적 주장을 의심하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다.[9] 캐슬린은 또한 정치에서 도덕적 주장 정당성의 4가지 변종을 확인했다. 1. 개인의 윤리적 기준. 2. 정치적 가치 공유 3. 예를 들어 종교 특유의 원칙과 같이 공통적으로 가치를 공유하지 않는 것. 4. 집단적 이익에 대한 주장.[9] 이러한 변종 중에서 개인의 윤리적 기준과 집단적 사회적 편익에 호소하는 정당화가 여론을 형성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0]

도덕적 원칙이 높은 사람들은 도덕적 정당성에서 면제되지 않는다. 그들은 자의적인 사회적 요구에 덜 순응하지만, 그들의 원칙이 위반될 때, 그들은 또한 위반자들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더 높다.[11]

완곡한 라벨 표시

비난받을 만한 행동을 묘사하기 위해 완곡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개인들이 도덕적으로 그들의 도덕적 기준에서 벗어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다. 언어는 행동 방침의 기초를 이루는 개별적인 사고 방식을 형성한다. 활동은 어떤 이름을 붙이거나 붙이느냐에 따라 다른 '표현'을 취할 수 있다. 완곡한 표현은 해롭고 해로운 행동을 존중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당사자에게서 줄이는 수단이다.[1] 복잡한 개조의 도움으로 해로운 행동은 무해하고 용인될 수 있게 되며, 그 일부인 사람들은 죄책감으로부터 해방된다. 성인들은 해로운 행위가 공격적이라고 낙인찍힐 때 보다 더 공격적인 행동에 가담할 가능성이 높다.[12]

완곡어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그 중 하나는 언어소독에 의존하고 있다.[13] 유해한 자를 천진난만한 말로 위장함으로써 유해한 행동 자체가 더욱 존경받을 만해진다. 군인들은 사람을 죽이기보다는 "쓰레기"를 한다.[14] 폭격 임무는 "목표를 섬긴다"는 명목과 공공의 이익을 위해 수행된다. 테러리스트들은 스스로를 "자유 투사"라고 부른다. 이번 공격은 '깨끗한 외과수술식 타격'으로 묘사되며, 피해자들은 '상당파손상'으로 웅변적으로 나열돼 있다.[15] 소독한 완곡어법은 사람들이 매일 하는 덜 가증스러운 일상 활동에도 흔히 사용된다. 몇몇 정부 기관의 관점에서 볼 때, 사람들은 해고되지 않는다. 대신 그들에게 "경력 대체 강화"가 제공되어 마치 승진 제의를 받은 것처럼 보이게 한다. 강사는 기업 학생들에게 거래를 '전략적 잘못 표현'[14]으로 마무리하기 위해 경쟁적인 사업 거래에 놓여 있는 거짓말을 고쳐 쓰도록 가르칠 수 있다. 원자력 산업은 대중에게 원자력 사고로 인한 해로운 영향을 완곡하게 표현하는 기술적인 용어들을 가지고 있다. 폭발은 "에너지 분해 조립체"로 설명되며, 원자로 사고는 "정상 이상"으로 표시된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플루토늄 오염이 "유입"이라는 꼬리표가 붙는 것이다.[16] 텔레비전 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행동하고 모험하는" 프로그램이라는 깨끗한 꼬리표로 인간 학대의 가장 잔인한 텔레비전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대중에게 소개하려고 한다.[17] 호수와 숲에 파괴 효과를 주는 산성비는 "인류적으로 파생된 산성 물질의 대기권 침적"[18]이라는 완곡한 라벨을 가지고 있다.

사건을 제시하는 에이전트 없는 소극적인 스타일은 사람들이 자신보다 말할 수 없는 힘에서 비롯된 흠잡을 데 없고 치명적인 행위라는 외모를 확립할 수 있는 제2의 언어적 수단이다.[19] 사람들은 그들 자신의 행위에서 대리인이 되는 것을 스스로 벗었다. 한 운전자가 전봇대를 어떻게 간신히 철거했는지를 경찰에게 설명하자 그는 "전봇대가 다가오고 있었다. 나는 그 길을 벗어나려고 하고 있었는데, 그것이 내 앞끝을 강타했다."[20] 합법적인 기업의 전문 용어는 심지어 불법적인 상황에서 그들의 해로운 행동을 미화하는데 악용될 수 있다.[13] 워터게이트 어휘에서는 범죄 음모를 '게임 플랜'으로, 공모자는 '팀 플레이어'로 다시 묶었다.

유리한 비교

도덕적 정당성 외에도, 개인이 해로운 행동을 도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배치할 수 있는 또 다른 메커니즘은 유리한 비교라고 불린다. 이 과정은 대조 원리를 이용하는데, 이것은 인간의 행위에 대한 인식이 그것에 비교되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을 따른다. 즉, 개인은 자신의 행동을 더 부도덕한 행동의 다른 예와 대조하고, 이 비교를 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행동이 경미하게 된다. 대조적인 행동이 부도덕할수록 파괴적인 행동이 덜 나쁘게 보일 가능성이 높다.[1] 예를 들어, "미국의 군사 개입을 공산주의 노예화로부터 인민을 구하는 것으로 묘사함으로써 베트남에서의 대규모 파괴를 최소화했다."[21]

이러한 소위 격앙된 비교는 공리주의적 기준에 의한 도덕적 정당성에 의존한다. 두 가지의 판단은 파괴적인 행동을 도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만든다. 첫째, 비폭력적 대안은 원하는 변화를 달성하는 데 비효과적이라고 판단되어 결과적으로 옵션으로 제거된다.[22] 둘째로, 공리주의 분석은 한 사람의 해로운 행동이 그들이 야기하는 것보다 더 많은 인간의 고통을 막을 것이라고 단언한다.[23] 알버트 반두라는 특정한 상황에서 공리적인 미적분학을 적용하는 것은 미래가 담고 있는 불확실성과 인간의 판단의 편견 때문에 "엄청난 미끄럽다"고 제안했다. 그의 소신에 따르면, 잠재적 위협의 중요성을 추정하는 계산 과정은 주관적이다.[22]

알버트 반두라 역시 도덕적 정당성과 유리한 비교가 가장 효과적인 '자기방어자'라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자기 검열을 없애고 해로운 활동의 서비스에서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24] "한 때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수 있었던 것이 자기 밸류에이션의 원천이 된다."[21]

책임전가

책임의 전가라고 알려진 또 다른 분열적 관행은 행동과 그것들이 야기하는 영향 사이의 관계를 왜곡하여 작동한다. 사람들은 합법적인 당국이 그 행동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인다면 보통 반대할 수 있는 방식으로 행동한다.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사실을 왜곡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이 아니라 당국의 지시로 간주한다.[1]

사람들이 부정적인 결과에 기여하는 것에 동의할 때, 그것은 해로운 활동에 관여하는 도덕적 통제의 강력한 작동으로 이어지며, 그 활동의 효과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한다. 그들은 도덕적 해이의 대리인 역할을 하고 적절한 당국이 그들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면 그들이 일반적으로 무시하는 방식으로 행동하기 시작한다. 행동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의 행동을 책임 전가된 책임 하에 있는 권위 있는 사람들로부터 온 것으로 간주하게 한다. 그들의 행동의 진정한 요원이 아닌 그들은 자기모순에서 구원을 받는다. 책임을 전가한 것은 사회적으로 인정된 집단 처형의 자기 면제를 통해 끔찍한 비인간성을 드러냈다. 소름끼치는 명령에 대한 자칭마이 라이 대학살과 같은 군사적 잔학 행위에서 분명히 나타난다.[25]

비인간성을 영구화하려면 헌신적인 기능사가 필요하다. 만약 그들의 행동에 대한 책임이 취소된다면, 그들은 그들의 임무 수행에 있어서 신뢰할 수 없을 것이다. 좋은 기능사가 되기 위해서는 강한 책임감이 요구된다. 책임감은 상사에 대한 강한 의무감과 자신의 행동으로 야기되는 효과에 대한 책임감이라는 두 가지 단계로 구분된다. 최고위직 관리들은 그들의 권위에 대한 의무를 존중하고 그들의 행동에 의해 야기된 영향에 대해 개인적으로 책임감을 느끼지 않는다.[22][26]

책임의 확산

게다가 책임의 확산이라는 관행이 있다. 사람 수가 증가하면 확산 정도가 높아지는 집단에서 발생한다. 이런 현상 속에서 사람은 다른 사람도 집단 내에서 똑같이 책임이 있다고 느끼기 때문에 책임에 대한 성향이 낮다. 다른 사람이 행동을 취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근거로 가정한다. 책임은 분업으로 분산된다.[25] 세분화된 과제는 무해하고 실행하기 쉬워 보인다. 이것은 그들의 특정 직업의 세부사항에 주의를 돌린다. 집단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것은 그렇지 않으면 예의 바른 사람들이 비인간적으로 행동하도록 만드는 관행이다. 집단행동은 도덕적 통제의 약화를 허용하는 익명성을 제공한다. 그룹에서 수행되는 모든 유해한 활동은 다른 행위와 연관될 수 있다. 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개인적으로 책임을 지지 않을 때 비인간적으로 행동한다.[22][27][28]

에스컬레이션 문헌에서 책임의 확산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중요성은 무시되는데, 실질적인 사실적 뒷받침이 있는 에스컬레이션의 가장 보편적으로 확대된 정의는 자기 정당화의 인상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비록 새로운 틀에 관한 초기 결정은 사람들이 스스로 내리지만, 가장 필수적인 결정은 경영적인 맥락에서 그룹에 의해 취해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오류의 지속성에 대해 제시된 설명은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고 최소한 에스컬레이션 상황과 관련이 낮을 수도 있다.[29]

책임의 확산이 에스컬레이션 경향에 미치는 영향은 그룹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 실패 프로젝트의 첫 단계를 밟는 개인들이 초기 결정에 대해 개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개인들보다 에스컬레이션 효과가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직 내 대부분의 의사결정은 새로운 정책과 규정의 형태로 집단에 의해 취해지므로 자기 정당성 이론은 개인보다 집단에 있어서 중요성이 낮다. 결정이 실패하면, 사람들은 주관적으로 결과를 망쳐 스스로를 더 호의적으로 보이게 만든다.[30][31] 이러한 왜곡은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려는 시도로 심리적으로 자신을 보호하려 할 때 발생한다. 사람들은 과거에 취했던 행동을 정당화하려고 노력한다. 그것은 그들이 실패한 행동을 취하도록 이끈다. 비록 이러한 조치가 이전에 취한 조치들이 더 높은 약속으로 이어졌지만, 동일한 조치 과정에 머무르려는 결정은 실패한 조치의 개시 책임을 개인이 공유하는 정도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32] 의사결정에 참여한 후에도 개인이 두 가지 방법으로 책임을 회피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책임이나 책임을 제3자에게 전가하는 부분이다. 이 경우 실패하는 사업에 대한 성향과 함께 자신들에 의해 야기된 실패에 대해 책임감을 덜 느끼게 된다.[33][34] 책임을 회피하는 또 다른 방법은 그룹이 실패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초기 결정을 내릴 때 입니다. 부실한 결정의 책임은 그룹 내에서 공유되며, 한 사람이 단독으로 결정했을 때보다 각 구성원에게 적은 책임을 할당한다. 사회적 상호작용은 원래의 결정에 대한 책임을 분산시키고 이전의 행동을 정당화하려는 의도의 격앙을 좌절시킴으로써 패배한 행동 방침에 대한 약속을 확대하려는 경향을 줄일 수 있다.[29]

유해한 결과를 무시하거나 잘못 전달하는 행위

또 다른 해제 방법은 행동의 결과를 무시하거나 잘못 전달하는 것이다. 누군가가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또는 사회적 자극에 의한 영향의 결과로 타인에게 해로운 활동을 추구하기로 결정할 때, 그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이 초래한 피해를 최소화하거나 그것에 직면하지 않으려고 시도한다. 사람들은 기꺼이 그 행동의 잠재적인 이익에 관한 이전의 정보를 기억하기 시작하지만 그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끼칠 해로운 영향을 기억하기 어렵다.[35] 사람들은 특히 혼자 행동할 때 해로운 영향을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다. 야기된 해악이 덜 명백해지고 개인화되면, 사람들은 비인간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된다.[36] 선택적 부주의와 주관적 인지 왜곡과는 별개로, 결과의 잘못된 표현은 또한 그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야기하는 손상의 증거를 없애기 위한 끈질긴 노력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위해를 간과하거나 최소화하거나 왜곡하는 한 자강이나 도덕적 규범이 발동될 이유는 거의 없다.

자신의 행위의 해로운 결과가 무시되고, 신체적, 정신적 수준에서 자신의 행동과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인과적 효과가 보이지 않을 때는 상대적으로 타인에게 상처를 주기 쉽다.[37] 기계화된 무기 시스템과 심각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지만 버튼 하나를 누르는 먼 곳의 누군가가 조종하는 폭발 장치는 그러한 비인격적 행동의 적절한 예다. 비록 사람들에게 높은 수준의 개인적 책임이 존재하더라도, 그들은 그들이 희생자들에게 가하는 해악이 실현되지 않을 때 해로운 행동을 할 것이다.[38] 개인은 주어진 행위와 관련된 결과를 왜곡함으로써 해로운 활동과 자기 해결 사이의 연결을 끊으려고 한다. 예를 들어, "스포츠에서 이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은 선수들이 상대방에 의해 지속되는 부상의 정도를 알아내지 않거나 그들이 알고 있는 부상의 심각성을 부정할 때 나타난다."[39] 반대로 자신이 초래하는 고통을 사람들이 알게 되면 간접적으로 각성된 괴로움과 자책감이 작용하기 시작하고 자기 억제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희생자의 고통이 더 뚜렷하고 개인화됨에 따라 해로운 행동을 실행하기 위해 복종하는 경향이 더 적다.

오늘날 대부분의 조직들은 상위 계층의 사람들이 계획을 세워 실행자로 알려진 부하들에게 그것들을 물려주고 실행시키는 명확한 계층적 사슬을 가지고 있다고 흔히 볼 수 있다. 개인이 최종 결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예측 가능한 파괴 효과의 구속력이 약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개인 통제의 해제는 일반적으로 계획 수립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고, 의사결정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계층적 시스템에서 위아래에 위치한 사람들 사이에 존재한다. 송신자로서 그들은 충실한 행동을 본받으려 하고, 더 나아가 상관을 정당화하려고 한다. 따라서 중개업자는 새로운 계획을 짜는 일을 맡고 그것을 수행하고 결과에 직면하는 일을 담당하는 사람들보다 파괴적인 명령을 실행하는 경향이 훨씬 더 많다.[40]

비인간화

비인간화란 사람이나 집단이 '인간성'이나 인간의 속성을 부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희생자는 더 이상 감정, 희망, 걱정을 가진 사람으로 보지 않고 덜 인간적인 것으로 객관화된다.[41] 비인간화는 도덕적 관심사와 공감이 적은 타인을 대하는 것을 정당화하고, 따라서 타인에 대한 폭력적이거나 학대적인 처우를 검증하기 때문에 도덕적 해이의 메커니즘 중 하나로 확인된다.[42] 비인간화는 다른 사람들의 도덕적 배척위임과 관련이 있다.[43] 도덕적 배제는 집단이나 개인이 집단의 도덕적 가치, 규칙, 신념의 영역에서 제외될 때 발생한다. 위임은 타인을 부정적인 사회 집단으로 분류하는 과정으로, 타인을 용납할 수 있는 인간성에서 배제한다.[44] 이러한 위임과정을 통해 타인에 대한 비인간화가 촉진되고, 이는 결국 도덕적인 배척과 개인이나 집단에게 비도덕적인 대우와 행동의 정당화로 이어진다.[43]

비인간화에는 독특한 인간 속성의 부정과 인간 본성 속성의 부정이라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45] 인간 고유의 속성은 인간을 다른 동물 종과 차별하는 특성을 가리킨다. 그러한 속성에는 도덕성, 합리성, 공손성, 정교함이 포함된다.[46] 인간의 본성 속성은 인간을 무생물체와 차별하는 따뜻함, 대행성, 감정성, 인지적 개방성과 같은 특성을 포함한다.[46]

인간의 본성을 사람들의 집단으로 귀속시킬 때, 집단 내 편향과 집단 내 편견이 작용한다. 사람들은 자신들을 자신의 사회적 집단(그룹 내)과 동일시하고, 그들이 (아웃그룹)과 동일시하지 않는다고 믿는 사회적 집단과 분리한다.[46]

인간 고유의 속성을 부정하는 것은 사회적 소외 집단을 비인간과 연관시켜 동물과 비교하는 은유에 기초한 비인간화 과정으로 이어진다.[42] 인간과 동물의 분열에 대한 이념적, 역사적으로 내재된 믿음은 인간이 다른 모든 동물보다 우월하다는 인식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아웃그룹을 동물에 비유함으로써 그들은 덜 이성적이고 정교하게 인식되어 결국 '비인간' 아웃그룹에 대한 부정적인 행동의 정당성을 허용하는 심리적 장벽을 만들어낸다.[47] 이러한 동물적 비인간화의 과정은 은유법을 통해 가장 일반적으로 확립된다. 예를 들어 나치는 정기적으로 유태인을 '쥐'에 비유했고, 후투스는 그들의 선전 대부분을 '투치스'와 '코크로치'라는 용어를 번갈아 사용했다.[46] 이러한 비유들의 사용과 효과는 도덕적 혐오라는 측면에 작용한다. 뱀, 거머리, 쥐와 같은 많은 동물들은 혐오의 무의식적이고 자동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동물들에 외래 그룹을 비유함으로써 이러한 동물들의 부정적이고 '혐오스러운' 속성이 외래 그룹에 은유적으로 투영된다.[46]

인간 본성의 속성에 대한 부정은 감정을 수반하는 인간의 특성과 소외된 그룹을 분리하는 속성 기반의 인간화 과정으로 이어지며, 따라서 이들을 무생물체와 비유한다. 이 과정을 기계론적 비인간화라고 한다.[42] 그들의 인간성 속성이 거부되기 때문에, 외부 집단의 구성원들은 로봇과 냉정함으로 인식되어 집단에 대한 공감대가 낮아지게 된다.[47]

비인간화의 또 다른 핵심 측면은 바로 비인간화 이론이다. 독특한 인간의 속성과 부차적인 감정 면에서 자신의 집단이 아웃그룹보다 더 '인간'이라는 믿음이다.[42] 일차적 감정(놀람, 분노, 두려움)은 일반적으로 동물계 전체에서 공유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이차적 감정(희망, 회한, 후회)은 순수하게 인간의 특성으로 간주된다.[46] 이러한 이차적인 감정은 사회적으로 결정되며 인간성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집단은 이러한 이차적인 감정을 그들 자신에게 귀속시키는 경향이 있지만, 이러한 감정들의 정도를 외부 집단에서 부정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아웃 그룹이 '덜 인간'으로 그려지게 된다.[46]

선행자

개인차이

제임스 R. 데터트, 린다 K. 트레비뇨와 비키 L. 스위이처는[48] 일부 개인들이 다른 개인들보다 도덕적으로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고 제안한다. 그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그들은 특정한 개인의 차이가 도덕적 해이를 예측하고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48]

구체적으로, 제임스 R. 데터트, 린다 K. 트레비뇨와 비키 L. 스위이처는[48] 다른 사람들의 필요와 감정을 더 절실하게 인식하는 것이 도덕적 해이 활동을 방해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감정이입이 높은 개인은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행위로부터 도덕적으로 분리될 가능성이 적다. 또한, 그들의 연구는 특성 냉소주의가 도덕적 해이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시사했다. "특성 냉소주의에 높은 개인들은 타인에 대한 근본적인 불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인들의 동기에 대해 더 회의적이며, 그러한 목표들이 그들의 운명을 맞을 만하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다."[49] 그러므로 다른 사람들에 대한 특성 냉소주의자들의 신뢰 부족은 그들 자신을 다른 사람들에게 거리를 두고 책임을 분산시키는 과정을 더 쉽게 만든다. 피해자를 비난하고 인간성을 떨어뜨리는 행위도 마찬가지다. 또한, 그들은 통제 방향의 우연한 위치가 도덕적 해이와 긍정적으로 관련된 또 다른 개별적 특성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즉, 삶의 경험과 결과가 외부의 힘에 기인한다고 믿는 사람들은 도덕적으로 분리될 가능성이 더 높다. 그들의 발견은 또한 도덕적 정체성의 높은 자기 암시일수록 개인은 도덕적 해이를 덜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48] 자기 중요성이 높은 도덕적 정체성을 가진 개인에게, "도덕적 관심"과 약속은 자기 정의와 자기[50] 개념에 있어서 중요하며, 따라서 파괴적이고 해로운 행동을 도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으로 인지적으로 재결정할 가능성이 낮다.[48]

개인 및 사회적 제재의 상호 작용

사회 인지 이론도덕에 대한 상호 작용주의적 관점을 제시한다. 사람들은 그들이 내재되어 있는 사회적 현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율적인 도덕적 주체로서 활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도덕적 행위자는 사회적으로 위치한다. 도덕적 기관은 사람들의 일상적 거래가 이루어지는 조건에 따라 "특정화된 방법"으로 행사된다.[1][22] 이 견해에 따르면, 도덕적 행동은 그러므로 개인과 사회적 영향의 상호적 상호 작용의 결과물이다.[22] 사회 인지 이론은 인간 기관의 세 가지 다른 모드를 나열한다: 개인, 대리, 집단이다.

개인적 통제의 관점에서 보면, 많은 상황에서 사람들은 대개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조건이나 제도적 관행을 직접적으로 통제할 수 없다. 그런 다음 사람들은 지략이 풍부하거나 영향력과 힘을 낼 수 있는 전문가들이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해서 행동하도록 하기 위해 이런저런 방법을 동원할 것이다. 제한된 시간, 에너지, 자원을 가지고 일상 생활의 모든 측면을 마스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51]

사람들은 또한 그렇게 할 수 있는 수단을 개발하지 않았거나, 다른 사람들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믿거나, 직접 통제가 야기하는 부담스러운 측면에 자신을 연루시키고 싶지 않을 때 직접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분야에서 대리 통제를 모색하려고 시도한다. 진화하는 삶의 조건 하에서 효과적인 통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간, 노력, 자원의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의 숙달성이 필요하다.

집단 기관은 인간들의 사회화라는 특성에서 비롯된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필연적으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다양한 관계에 관여하게 된다. 그리고 많은 상황에서 진보는 사회적으로 상호의존적인 노력만으로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자신이 개별적으로 성취할 수 없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의 공통된 신념은 집단 에이전시의 핵심 요소다. 집단의 구성원으로서가 아닌, 공동의 신념에 따라 집단적으로 행동하는 사람들은 사회를 위해 인지하고, 지망하고, 동기를 부여하고,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52]

결과들

비윤리적인 의사 결정과 기만적인 행동

알버트 반두라는 도덕적 해이의 다양한 메커니즘을 고려할 때, 인간적인 개인적 기준은 비인간적인 행동을 포기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문명화된 삶은 도덕적 개인적 통제와 "공감적" 행동을 지지하기 위한 사회 시스템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안전장치를 요구한다.[22]

도덕적 해이의 결과를 조사함에 있어서, 제임스 R. 데터트, 린다 K. 트레비뇨와 비키 L. 스위이처는 도덕적 해이가 비윤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과 확실히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경험적 증거를 발견했다. 높은 수준의 도덕적 해이는 비윤리적인 의사 결정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내부 도덕 기준과 "공모된 행동" 사이의 단절이 그렇지 않으면 사람들이 비윤리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내부화된 단념의 활성화를 감소시킨다.[48]

아담 바르스키는 두 가지 연구 전반에 걸쳐 도덕적 해이와 비윤리적인 업무행태의 참여의 영향을 조사했다.[53] 이번 연구는 '거짓말' '진실을 모호하게 하려는 시도' 등의 기만적 행위로서 도덕적 정당성과 책임의 변위를 통한 도덕적 해이에 초점을 맞췄다.[54] 아담 바르스키의 두 연구 모두 조직 문학에서 도덕적 해이와 사람들이 비윤리적인 결정을 내릴 가능성 사이에 중요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증명했다. 두 번째 연구에서 아담 바르스키는 목표설정, 즉 공동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기만행위와 긍정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경험적 증거를 발견했다.[53] "아마도 가장 흥미로운 것은, 보고된 비윤리적인 행동의 발생에서 도덕적 정당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이것은 직원들이 직장에서 성과 목표를 설정하는 데 참여할 기회가 없다고 느낄 때에만 사실이었다."[55]

맥그로, 베스트, 팀포네는 정치 분야에서 도덕적 정당화의 중요한 결과를 발견했다. 그들은 논란이 되는 결정이 도덕적 정당성으로 인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될 것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인격 판단도 영향을 받을 수 있고, 그 결과 관련 정치인이 더 긍정적인 여론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10] 맥그로는 정치인들이 도덕적인 정당성을 이용해 논란에 대한 여론에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인 결과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의 명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9]

스포츠 분야에서는 도덕적 해이와 선수들의 부정행위 정당성 사이의 관계가 밝혀졌다. 슈키스는 다른 형태의 부정행위를 분석했고, 스포츠 규칙의 조작과 경기의 결과와 관련된 선수들의 기만행위에 대한 정당성은 스포츠에서의 도덕적 해이에 의해 예측된다는 것을 발견했다.[56]

군사 행위

도덕적 정당성의 결과로서 파괴적인 행동은 종종 군사행동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보통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살인은 심지어 자존심의 원천으로도 인식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놀랄 만큼 빨리 숙련된 전투원으로 변할 수 있다.[7] 이는 비폭력적 선택권이 비효과적이라고 판단되어 더욱 촉진되며, 공리주의 관점에서 적에 의한 고통이 폭력행위로 인한 고통보다 더 클 때 더욱 촉진된다.[7]

키미와 사기는 군대의 도로 봉쇄에 대한 도덕적 정당성과 이스라엘 군인들의 적응 감정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는 군인들이 군대 도로 봉쇄를 정당화할수록 그들이 느끼는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조정의 정도가 더 높다는 그들의 가설을 뒷받침했다.[57]

도덕적인 정당성은 테러리스트들이 그들의 흉악한 행동을 방어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58] 한편, 대테러 대책의 정당성은 특히 민주주의 사회가 직면한 도덕적 딜레마로서, 문명화된 사회의 도덕 규범을 준수하면서 무고한 생명을 잃는 것은 정당화되어야 한다.[59]

공격성

연구는 괴롭힘아동[60] 청소년에서 스스로 보고된 도덕적 해이와 긍정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61] 또한, 더 높은 수준의 해제된 정당성이 전통적인 괴롭힘의 더 높은 수준을 예측한 것으로 밝혀졌다.[62]

포르나리와 우드는 전통적인 동료 공격성 외에도 도덕적 해이가 사이버 공격성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63]

Thornberg와 Jungert의 추가 연구는 학생들 사이에서 도덕적 정당성, 완곡한 라벨 표시, 책임의 확산, 결과 왜곡 및 피해자 귀속 등 상당히 높은 수준의 도덕적 해이가 남학생들에 의해 표현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왕따의 발생 건수도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훨씬 많았다. 모든 도덕적 해이 메커니즘들 중에서 오직 도덕적 정당성과 피해자 귀속만이 왕따와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었다.[64]

일상적으로 수행되는 자기 봉사 활동에서의 도덕적 해이

전통적으로 도덕적 해이가론은 주로 대인관계의 공격성, 절도나 속임수, 무장갈등과 같은 높은 도덕적 강도의 시나리오와 행동에 적용되어 왔으며, 반두라는 이를 '초특한 상황'[1]이라고 칭했다. 그러나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타인과 환경에 해를 끼치는 희생으로 자기 잇속적인 활동을 하는 일상적인 상황에서의 도덕적 해이의 역할 또한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65] 특히, 최근의 연구들은 도덕적 해이를 육류 소비에서 중요한 인지 과정으로 관찰하고 있다.[66][67][68] 한 연구는 고기를 먹는 사람들과 채식주의자들이 비식량 동물에 대한 그들의 평가에서 다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고기를 먹는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먹을 수 있는 동물들이 세련된 감정을 경험할 능력이 덜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발견했다.[68] 연구자들은 또한 육류 소비에서 도덕적 해이가 더 높은 수준을 가진 개인은 일반적인 공감의 수준을 더 낮게 보이고, 육류 소비의 영향을 고려할 때 자기 평가적 감정 반응(즉, 죄책감과 수치심)을 덜 경험하며, 인간 내에서 집단 기반의 차별을 지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n), 그리고 다른 종에 비해 인간의 지배와 위계질서의 지지의 힘의 동기를 나타낸다(파괴주의, 인간 우월주의 신념).[66] 또한, 그들은 도덕적으로 분리되는 더 높은 일반적 성향을 보이는 경향이 있고, 그들이 그들 자신을 어떻게 보는가에 있어서 도덕적 특성(도덕적 정체성), 그리고 고기를 더 자주 먹는 것에 덜 중요성을 부여한다.[66]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Bandura, Albert (1999-08-01). "Moral Disengagement in the Perpetration of Inhumaniti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3 (3): 193–209. CiteSeerX 10.1.1.596.5502. doi:10.1207/s15327957pspr0303_3. ISSN 1088-8683. PMID 15661671.
  2. ^ Moore, Celia (December 2015). "Moral disengagement". Current Opinion in Psychology. 6: 199–204. doi:10.1016/j.copsyc.2015.07.018.
  3. ^ Fiske, Susan T. (2004). Social beings : core motives in social psychology. Hoboken, NJ: J. Wiley. ISBN 978-0471654223.
  4. ^ a b c d Bandura, Albert; Barbaranelli, Claudio; Caprara, Gian Vittorio; Pastorelli, Concetta (1996-01-01). "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2): 364–374. CiteSeerX 10.1.1.458.572. doi:10.1037/0022-3514.71.2.364.
  5. ^ Bandura, Albert; Barbaranelli, Claudio; Caprara, Gian Vittorio; Pastorelli, Concetta (1996-01-01). "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2): 364–374. CiteSeerX 10.1.1.458.572. doi:10.1037/0022-3514.71.2.364.
  6. ^ Bandura, A. (1991). "Social cognitive theory of moral thought and action". In Kurtines, W. M.; Gewirtz, J. L. (eds.). Handbook of Moral Behavior and Developmen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1.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 45–103.
  7. ^ a b c Bandura, Albert (1990). "Selective Activation and Disengagement of Moral Control". Journal of Social Issues. 46: 27–46. doi:10.1111/j.1540-4560.1990.tb00270.x.
  8. ^ Rapoport, D. C.; Alexander, Y., eds. (1982). The morality of terrorism: Religious and secular justification. Elmsford, NY: Pergamon.
  9. ^ a b c McGraw, Kathleen M. (1998). "Manipulating Public Opinion with Moral Justification".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60: 129–142. doi:10.1177/0002716298560001010. JSTOR 1048981.
  10. ^ a b McGraw, Kathleen M.; Best, Samuel; Timpone, Richard (1995). ""What They Say or What They Do?" The Impact of Elite Explanation and Policy Outcomes on Public Opinion".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9 (1): 53–75. doi:10.2307/2111757. JSTOR 2111757.
  11. ^ Keniston, K. (1970). "Student activism, moral development, and morality".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40 (4): 577–592. doi:10.1111/j.1939-0025.1970.tb00716.x. PMID 5507294.
  12. ^ Diener, Edward; Dineen, John; Endresen, Karen; Beaman, Arthur L.; Fraser, Scott C. (1975). "Effects of altered responsibility, cognitive set, and modeling on physical aggression and deindivid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 (2): 328–337. doi:10.1037/h0076279. PMID 1123716.
  13. ^ a b Gambino, Richard (1973). "Watergate lingo: A language of non-responsibility". Freedom at Issue. 22 (7–9): 15.
  14. ^ a b Safire, W. (1979). "The fine art of euphemism". San Francisco Chronicle: 13.
  15. ^ Hilgartner, Stephen; Bell, Richard C.; O'Connor, Rory (1982). Nukespeak: Nuclear language, visions, and mindset. San Francisco: Sierra Club Books.
  16. ^ "Award-winning nuclear jargon". San Francisco Chronicle. 1979.
  17. ^ Baldwin, Thomas F.; Lewis, Colby (1972). "Violence in television: The industry looks at itself". Television and Social Behavior. 1: 290.
  18. ^ Hechinger, F. M. (1985). "Down with doublespeak". San Francisco Chronicle (This World section).
  19. ^ Bolinger, Dwight (1982). Language: The loaded weapon. London: Longman.
  20. ^ Bandura, Albert (2002). "Selective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Journal of Moral Education. 31 (2): 101–119. CiteSeerX 10.1.1.473.2026. doi:10.1080/0305724022014322.
  21. ^ a b 반두라(1999. 페이지 196).
  22. ^ a b c d e f g Bandura, Albert (2002-06-01). "Selective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Journal of Moral Education. 31 (2): 101–119. CiteSeerX 10.1.1.473.2026. doi:10.1080/0305724022014322. ISSN 0305-7240.
  23. ^ Bandura, Albert (2002-06-01). "Selective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Journal of Moral Education. 31 (2): 106. CiteSeerX 10.1.1.473.2026. doi:10.1080/0305724022014322. ISSN 0305-7240.
  24. ^ Bandura, Albert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ew Jersey: Prentice-Hall, Inc. pp. 375–389. ISBN 978-0-13-815614-5.
  25. ^ a b Kelman, H.C. (1973). "Violence without moral restraint: Reflections on the dehumanization of victims and victimizers". Journal of Social Issues. 29 (4): 25–61. doi:10.1111/j.1540-4560.1973.tb00102.x.
  26. ^ Milgram, S. (1974). "Obedience to Authority: an experimental view" – via New York, Harper & Row.
  27. ^ Bandura, A., Underwood, B., Fromson, M.E. (1975). "Disinhibition of aggression through diffusion of responsibility and dehumanization of victim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9 (4): 253–269. doi:10.1016/0092-6566(75)90001-x.{{cite journal}}: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28. ^ Zimbardo, P.G. (1995). "The psychology of evil: a situationist perspective on recruiting good people to engage in anti-social acts". Research in Social Psychology. 11: 125–133.
  29. ^ a b Whyte, Glen (1991). "Diffusion of Responsibility: Effects on the Escalation Tendency" (PDF).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 (3): 408–415. CiteSeerX 10.1.1.574.4195. doi:10.1037/0021-9010.76.3.408. Retrieved 19 September 2015.
  30. ^ Staw, B. (1974). "Attitudinal and behavioral consequences of changing a major organizational reward: A natural field experi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9 (6): 742–751. doi:10.1037/h0036292.
  31. ^ Weick, K. (1964). "Reduction of cognitive dissonance through task enhancement and effort expenditur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8 (5): 533–539. doi:10.1037/h0047151. PMID 14143858.
  32. ^ Staw, B. (1981). "The escalation of commitment to a course of ac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6 (4): 577–587. doi:10.5465/amr.1981.4285694.
  33. ^ Leatherwood, M.L., & Conlon, E.J. (1987). "Diffusability of blame: Effects on persistence in a projec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0 (4): 836–848. doi:10.2307/256165. JSTOR 256165.{{cite journal}}: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34. ^ Staw, B., & Ross, J. (1978). "Commitment to a policy decision: A multi-theoretical perspectiv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3 (1): 40–64. doi:10.2307/2392433. JSTOR 2392433.{{cite journal}}: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35. ^ Brock, Timothy C.; Buss, Arnold H. (1962). "Dissonance, aggression, and evaluation of pain".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5 (3): 197–202. doi:10.1037/h0048948. PMID 13873246.
  36. ^ Milgram, Stanley (1974). Obedience to authority: an experimental view. New York: Harper & Row.
  37. ^ Bandura, Albert (1 July 1999). "Moral Disengagement in the Perpetration of Inhumanities" (PD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3 (3): 193–209. CiteSeerX 10.1.1.596.5502. doi:10.1207/s15327957pspr0303_3. PMID 15661671. Retrieved 12 October 2007.
  38. ^ Tilker, Harvey A. (1970). "Socially responsible behavior as a function of observer responsibility and victim feedback".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4 (2): 95–100. doi:10.1037/h0028773.
  39. ^ Boardley, Ian D.; Kavussanu, Maria (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oral disengagement in sport scale" (PDF).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9 (5): 608–28. doi:10.1123/jsep.29.5.608. PMID 18089895. Retrieved 20 September 2015.
  40. ^ Kilham, Wesley; Mann, Leon (1974). "Level of destructive obedience as a function of transmitter and executant roles in the Milgram obedience paradig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9 (5): 696–702. doi:10.1037/h0036636. PMID 4833430.
  41. ^ Alleyne, Emma; Fernandes, Isabel; Pritchard, Elizabeth (2014-11-01). "Denying humanness to victims: How gang members justify violent behavior" (PDF). Group Processes & Intergroup Relations. 17 (6): 750–762. doi:10.1177/1368430214536064. ISSN 1368-4302.
  42. ^ a b c d van Noorden, Tirza H.J.; Haselager, Gerbert J.T.; Cillessen, Antonius H.N.; Bukowski, William M. (2014-07-01). "Dehumanization in children: The link with moral disengagement in bullying and victimization". Aggressive Behavior. 40 (4): 320–328. doi:10.1002/ab.21522. ISSN 1098-2337. PMID 24375450.
  43. ^ a b Tileagă, Cristian (2007-12-01). "Ideologies of moral exclusion: A critical discursive reframing of depersonalization, delegitimization and dehumanization".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6 (4): 717–737. doi:10.1348/014466607X186894. ISSN 2044-8309. PMID 17535456.
  44. ^ Bar-Tal, Daniel (1990-04-01). "Causes and Consequences of Delegitimization: Models of Conflict and Ethnocentrism". Journal of Social Issues. 46 (1): 65–81. doi:10.1111/j.1540-4560.1990.tb00272.x. ISSN 1540-4560.
  45. ^ Zhang, Hong; Chan, Darius K.-S.; Cao, Qian (2014-03-19). "Deliberating on Social Targets' Goal Instrumentality Leads to Dehumanization: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Social Cognition. 32 (2): 181–189. doi:10.1521/soco.2014.32.2.181. ISSN 0278-016X.
  46. ^ a b c d e f g Vaes, Jeroen; Leyens, Jacques-Philippe; Paladino, Maria Paola; Miranda, Mariana Pires (2012-03-01). "We are human, they are not: Driving forces behind outgroup dehumanisation and the humanisation of the ingroup" (PDF). European Review of Social Psychology. 23 (1): 64–106. doi:10.1080/10463283.2012.665250. hdl:10400.12/2344. ISSN 1046-3283.
  47. ^ a b Costello, Kimberly; Hodson, Gordon (2014-04-01). "Lay beliefs about the causes of and solutions to dehumanization and prejudice: do nonexperts recognize the role of human–animal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4 (4): 278–288. doi:10.1111/jasp.12221. ISSN 1559-1816.
  48. ^ a b c d e f Detert, James R.; Treviño, Linda Klebe; Sweitzer, Vicki L. (2008-01-01). "Moral disengagement in ethical decision making: A study of antecedents and outcom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 (2): 374–391. doi:10.1037/0021-9010.93.2.374. PMID 18361639.
  49. ^ Detert, James R.; Treviño, Linda Klebe; Sweitzer, Vicki L. (2008-01-01). "Moral disengagement in ethical decision making: A study of antecedents and outcom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 (2): 377. doi:10.1037/0021-9010.93.2.374. PMID 18361639.
  50. ^ Aquino, Karl; Americus; Reed, II (2002-01-01). "The self-importance of moral ident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 (6): 1423–1440. CiteSeerX 10.1.1.459.3159. doi:10.1037/0022-3514.83.6.1423. PMID 12500822.
  51. ^ Bandura, Albert (2001). "Social cognitive theory: An agentic perspective" (PDF).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 1–26. doi:10.1146/annurev.psych.52.1.1. PMID 11148297. Retrieved 21 September 2015.
  52. ^ Bandura, Albert (2001). "Social cognitive theory: An agentic perspective" (PDF).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 1–26. doi:10.1146/annurev.psych.52.1.1. PMID 11148297.
  53. ^ a b Barsky, Adam (2011-06-16).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Moral Disengagement and Participation on Unethical Work Behavior". Journal of Business Ethics. 104 (1): 59–75. doi:10.1007/s10551-011-0889-7. ISSN 0167-4544.
  54. ^ Barsky, Adam (2011-06-16).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Moral Disengagement and Participation on Unethical Work Behavior". Journal of Business Ethics. 104 (1): 61. doi:10.1007/s10551-011-0889-7. ISSN 0167-4544.
  55. ^ Barsky, Adam (2011-06-16).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Moral Disengagement and Participation on Unethical Work Behavior". Journal of Business Ethics. 104 (1): 70. doi:10.1007/s10551-011-0889-7. ISSN 0167-4544.
  56. ^ Šukys, Saulius (2013). "Athletes' Justification of Cheating in Sport: Relationship with Moral Disengagement in Sport and Personal Factors". Sportas Nr. 3 (90): 70–77.
  57. ^ Kimhi, Shaul; Sagy, Shifra (2008). "Moral justification and feelings of adjustment to military law-enforcement situation: the case of Israeli soldiers serving at army roadblocks". Mind Soc. 7 (2): 177–191. doi:10.1007/s11299-008-0051-0.
  58. ^ Bandura, A. (1990). "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in terrorism.". In Reich, W. (ed.). Origins of terrorism: Psychologies, ideologies, states of min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61–191.
  59. ^ Carmichael, D. J. C. (1982). "Of beasts, gods, and civilized men: The justification of terrorism and of counterterrorist measures". Terrorism. 6 (1–2): 1–26. doi:10.1080/10576108208435531.
  60. ^ Gini, G. (2006). "Social cognition and moral cognition in bullying: What's wrong?". Aggressive Behavior. 32 (6): 528–539. doi:10.1002/ab.20153.
  61. ^ Obermann, M. L. (2011). "Moral disengagement in self-reported and peer-nominated school bullying". Aggressive Behavior. 37 (2): 133–144. doi:10.1002/ab.20378. PMID 21274851.
  62. ^ Perren, Sonja; Gutzwiller-Helfenfinger, Eveline (2012). "Cyberbullying and traditional bullying in adolescence: Differential roles of moral disengagement, moral emotions, and moral values". Europ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9 (2): 195–209. doi:10.1080/17405629.2011.643168.
  63. ^ Pornari, C. D.; Wood, J. (2010). "Peer and cyber aggression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role of moral disengagement,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outcome expectancies" (PDF). Aggressive Behavior. 36 (2): 81–94. doi:10.1002/ab.20336. PMID 20035548.
  64. ^ Thornberg, Robert; Jungert, Tomas (2014). "School Bullying and the 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Aggressive Behavior. 40 (2): 99–108. doi:10.1002/ab.21509. PMID 24496999.
  65. ^ Bandura, Albert (2007-08-01). "Impeding ecological sustainability through selective moral disengagement" (PDF).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2 (1): 193–209. doi:10.1504/IJISD.2007.016056.
  66. ^ a b c Graça, João; Calheiros, Maria Manuela; Oliveira, Abílio (2016-02-01). "Situating moral disengagement: Motivated reasoning in meat consumption and substitu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90: 353–364. doi:10.1016/j.paid.2015.11.042.
  67. ^ Graça, João; Calheiros, Maria Manuela; Oliveira, Abílio (Oct 2014). "Moral Disengagement in Harmful but Cherished Food Practices? An Exploration into the Case of Meat". Journal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Ethics. 27 (5): 749–765. doi:10.1007/s10806-014-9488-9. Retrieved 18 August 2015.
  68. ^ a b Bilewicz, Michal; Imhoff, Roland; Drogosz, Marek (2011). "The humanity of what we eat: Conceptions of human uniqueness among vegetarians and omnivores" (PDF).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1 (2): 201–209. doi:10.1002/ejsp.76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