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과산화

Lipid peroxidation

지질 과산화(lipid peroxidation) 또는 지질 산화(lipid oxidation)는 지질의 산화적 분해를 [1]유도하여 과산화수소과산화수소 유도체를 형성하는 복잡한 화학적 과정입니다.[2] 활성산소(ROS)는 활성산소(ROS)가 세포막 내 지질, 일반적으로 다불포화지방산(PUFA)과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지고 상호작용할 때 발생합니다. 이 반응은 지질 과산화물(lipid peroxide) 또는 지질 산화물(lipid oxidation products, LOPs)로 통칭되는 지질 라디칼(lipid radical)을 형성하고, 이는 차례로 다른 산화제와 반응하여 산화 스트레스세포 손상을 초래하는 연쇄 반응을 초래합니다.

병리학의학에서 지질 과산화는 노화를 포함한 다양한 질병 및 질병 상태의 발병기전에 광범위하게 관련된 세포 손상에 역할을 하는 반면,[3][4] 식품 과학에서 지질 과산화는 산패에 대한 많은 경로 중 하나입니다.[5]

반응 메커니즘

지질 자동 산화를 위한 단순화된 경로: 하이드록실 라디칼에 의해 시작되며,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수소를 추출하여 펜타디엔일 라디칼을 형성합니다(단 하나의 공명 구조만 표시됨). 이 라디칼은 O를2 첨가하여 하이드로퍼옥실 라디칼(빨간색)을 만듭니다. 하이드로퍼옥실 라디칼은 새로운 디엔에서 H 원자를+ 추출하여 새로운 펜타디엔 라디칼과 하이드로퍼옥사이드(파란색)를 생성합니다.

지질 과산화의 화학 반응개시, 전파, 종결의 세 단계로 구성됩니다.[4]

개시 단계에서, 프로-옥시단 하이드록실 라디칼(pro-oxidanthydroxyl radical).OH•)는 안정한 지질 기질, 일반적으로 다불포화 지방산(PUFA)의 알릴 위치(–CH–CH=CH) 또는 메틴 가교(=CH-)에서 수소추출하여 지질 라디칼(L•)과 물(HO)을 형성합니다.

프로파지 단계에서 지질 라디칼(L•)분자 산소(O2)와 반응하여 지질 하이드로퍼옥실 라디칼(LOO•)을 형성합니다. 지질 하이드로퍼옥실 라디칼(LOO•)은 새로운 PUFA 기질로부터 수소를 추가로 추출하여 또 다른 지질 라디칼(L•)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지질 하이드로퍼옥사이드(LOOH)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6] 지질 하이드로퍼옥실 라디칼(LOO•)도 다양한 반응을 거쳐 새로운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citation needed]

추가적인 지질 라디칼(L•)연쇄 반응을 지속시키고, 지질 하이드로퍼옥사이드(LOOH)는 주요 최종 생성물입니다.[6]

종료 단계는 실제 화학 반응과 발생 시기 모두에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6] 지질 과산화는 자가 전파 연쇄 반응으로 지질 기질이 소모되고 마지막 남은 두 개의 라디칼이 결합하거나 반응이 일어날 때까지 진행됩니다.[3] 종료는 두 개의 지질 하이드로퍼옥실 라디칼(LOO•)이 반응하여 과산화물과 산소(O2)를 형성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3][clarification needed] 라디칼 의 농도가 높을 때도 종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citation needed]

지질 과산화의 주요 생성물은 지질 과산화수소(LOOH)입니다.[3]

기질로서의 아라키돈산

아라키돈산이 기질인 경우, 하이드로퍼옥시이코사테트라엔산(HPETEs) 및 하이드록시이코사테트라엔산(HITEs)의 이성질체가 형성됩니다.

항산화제의 역할

조직 손상의 자유 라디칼 메커니즘입니다. 이종 생물에 의해 유도된 지질 과산화 및 세포 효소에 의한 후속 해독(termination).

항산화제는 활성산소를 중화시켜 라디칼 연쇄반응을 중단시킴으로써 지질 과산화를 완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항산화제로는 비타민 C비타민 E가 있습니다.[7] 또한, 과산화물 디스뮤타제, 카탈라아제, 과산화효소를 포함한 효소는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의 일반적인 전구체인 과산화수소의 존재를 감소시켜 산화 반응에 기여합니다.

예를 들어, 비타민 E는 지질 하이드로퍼옥실 라디칼(LOO•)에 수소 원자를 공여하여 비타민 E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비 라디칼 생성물을 형성하는 또 다른 지질 하이드로퍼옥실 라디칼(LOO•)과 추가로 반응합니다.[2]

의학적 의미

광요법은 지질 과산화를 유발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적혈구 세포막이 파열될 수 있습니다.[8]

또한 지질 과산화의 최종 생성물은 돌연변이 유발성 및 발암성일 수 있습니다.[9] 예를 들어, 최종 생성물인 MDA는 DNA의 데옥시아데노신데옥시구아노신과 반응하여 DNA 부가물, 주로 MG1 형성합니다.[9]

반응성 알데히드는 아미노산 측쇄에 티올 또는 아민기가 있는 마이클 부가물 또는 쉬프 염기를 형성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친전자성 스트레스를 통해 민감한 단백질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10]

동물에 대한 지질 과산화수소의 독성은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 4(GPX4) 녹아웃 마우스의 치명적인 표현형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됩니다. 이 동물들은 배아 발생 8일이 지나도 살아남지 못해 지질 과산화수소 제거가 포유류의 생명에 필수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11]

반면 건강한 인체는 이러한 위험에 대한 보호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식이 지질 과산화물이 생체 이용 가능하고 질병에 역할을 하는지 여부는 불분명합니다.[12]

테스트

지질 과산화의 최종 생성물, 구체적으로 말론디알데히드(MDA)의 정량화를 위해 특정 진단 테스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9]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검사는 TBARS 검사(티오바르비투르산 반응성 물질 검사)라고 합니다. 티오바르비투르산은 말론디알데히드와 반응하여 형광 생성물을 생성합니다. 그러나 말론디알데히드의 다른 공급원이 있으므로 이 테스트는 지질 과산화에 완전히 특이적이지 않습니다.[13]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Izdebska, Joanna (2016), "Aging and Degradation of Printed Materials", Printing on Polymers, Elsevier, pp. 353–370, doi:10.1016/b978-0-323-37468-2.00022-1, ISBN 978-0-323-37468-2, retrieved 2024-03-15
  2. ^ a b Ayala, Antonio; Muñoz, Mario F.; Argüelles, Sandro (2014). "Lipid Peroxidation: Production, Metabolism, and Signaling Mechanisms of Malondialdehyde and 4-Hydroxy-2-Nonenal". Oxidative Medicine and Cellular Longevity. 2014: 1–31. doi:10.1155/2014/360438. ISSN 1942-0900. PMC 4066722. PMID 24999379.
  3. ^ a b c d Nam, Tae-Gyu (2011-03-01). "Lipid Peroxidation and Its Toxicological Implications". Toxicological Research. 27 (1): 1–6. doi:10.5487/TR.2011.27.1.001. ISSN 1976-8257. PMC 3834518. PMID 24278542.
  4. ^ a b Porter, Ned A.; Caldwell, Sarah E.; Mills, Karen A. (1995). "Mechanisms of free radical oxidation of unsaturated lipids". Lipids. 30 (4): 277–290. doi:10.1007/BF02536034. PMID 7609594. S2CID 4051766.
  5. ^ Mozuraityte, R.; Kristinova, V.; Rustad, T. (2016-01-01), "Oxidation of Food Components", in Caballero, Benjamin; Finglas, Paul M.; Toldrá, Fidel (eds.), Encyclopedia of Food and Health, Oxford: Academic Press, pp. 186–190, doi:10.1016/b978-0-12-384947-2.00508-0, ISBN 978-0-12-384953-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5-04, retrieved 2024-03-15
  6. ^ a b c Ayala, Antonio; Muñoz, Mario F.; Argüelles, Sandro (2014-05-08). "Lipid Peroxidation: Production, Metabolism, and Signaling Mechanisms of Malondialdehyde and 4-Hydroxy-2-Nonenal". Oxidative Medicine and Cellular Longevity. 2014: e360438. doi:10.1155/2014/360438. ISSN 1942-0900. PMC 4066722. PMID 24999379.
  7. ^ Huang, Han-Yao; Appel, Lawrence J.; Croft, Kevin D.; Miller, Edgar R.; Mori, Trevor A.; Puddey, Ian B. (September 2002). "Effects of vitamin C and vitamin E on in vivo lipid peroxidation: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76 (3): 549–555. doi:10.1093/ajcn/76.3.549. ISSN 0002-9165. PMID 12197998.
  8. ^ Ostrea, Enrique M.; Cepeda, Eugene E.; Fleury, Cheryl A.; Balun, James E. (1985). "Red Cell Membrane Lipid Peroxidation and Hemolysis Secondary to Phototherapy". Acta Paediatrica. 74 (3): 378–381. doi:10.1111/j.1651-2227.1985.tb10987.x. PMID 4003061. S2CID 39547619.
  9. ^ a b c Marnett, LJ (March 1999). "Lipid peroxidation-DNA damage by malondialdehyde". Mutation Research. 424 (1–2): 83–95. doi:10.1016/s0027-5107(99)00010-x. PMID 10064852.
  10. ^ Bochkov, Valery N.; Oskolkova, Olga V.; Birukov, Konstantin G.; Levonen, Anna-Liisa; Binder, Christoph J.; Stockl, Johannes (2010). "Gener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Oxidized Phospholipids". Antioxidants & Redox Signaling. 12 (8): 1009–1059. doi:10.1089/ars.2009.2597. PMC 3121779. PMID 19686040.
  11. ^ Muller, F. L., Lustgarten, M. S., Jang, Y., Richardson, A. and Van Remmen, H. (2007). "Trends in oxidative aging theories".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43 (4): 477–503. doi:10.1016/j.freeradbiomed.2007.03.034. PMID 17640558.{{cite journal}}: CS1 maint: 다중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12. ^ Vieira, Samantha A.; Zhang, Guodong; Decker, Eric A. (2017). "Biological Implications of Lipid Oxidation Products".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94 (3): 339–351. doi:10.1007/s11746-017-2958-2. S2CID 9031953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4-13. Retrieved 2021-04-13.
  13. ^ Trevisan, M.; Browne, R; Ram, M; Muti, P; Freudenheim, J; Carosella, A. M.; Armstrong, D (2001). "Correlates of Markers of Oxidative Status in the General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4 (4): 348–56. doi:10.1093/aje/154.4.348. PMID 1149585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