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닝언 프로토콜

Groningen Protocol

그로닝겐 프로토콜은 네덜란드 그로닝엔에 있는 대학의료원 그로닝엔(UMCG) 소아청소년과 에두아르트 베르하겐(Eduard Verhagen) 의학부장이 2004년 9월 만든 의료 프로토콜이다. 의사가 법적 기소를 두려워하지 않고 '영유아에 대한 능동적 삶의 종결'(아동 안락사)을 수행할 수 있는 기준을 담은 지시문을 담고 있다.[1][2][3]

기원

이 의정서는 대학 의료원 그로닝겐의 의사 등의 위원회가 그로닝겐 지방 검사와 협의하여 만들어졌으며 네덜란드 국립 소아과 의사 협회의 비준을 받아왔다.[4]

그 저자들에 따르면, 그로닝겐 프로토콜은 법적, 의료적 틀 안에서 상황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신생아의 삶을 능동적으로 끝내는 것을 고려할 때 의사결정 과정을 돕기 위해 개발되었다.[5] 2005년 7월 네덜란드 소아과 협회는 이 의정서를 의무화하기로 선언하였다.[6]

프로토콜

의사와 변호사, 학부모, 검찰청 간 광범위한 협의를 거쳐 작성된 이 의정서는 올바른 결정과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절차와 지침을 제공한다. '영유아에 대한 삶의 능동적 종료'에 대한 최종 결정은 의사가 아닌 부모 손에 달려 있으며, 의사와 사회복지사가 이에 동의한다. 그 중에서도 기준은 "참을 수 없는 고통"과 "기대되는 삶의 질"이다. 부모만이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그 절차는 잘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7]

네덜란드 검사의 경우, 다음 4가지 요건을 적절히 충족한 경우(1세 미만) 아동의 생명 종료가 허용된다.

  1. 절망적이고 견딜 수 없는 고통의 존재.
  2. 부모의 삶의 종식에 대한 동의.
  3. 의료 상담이 이루어졌다.
  4. 종료의 신중한 실행.[7]

아기의 생을 마감하는 의사는 반드시 지역 검시관에게 사망 사실을 보고해야 하며, 검시관은 지방 검사와 심사위원회에 각각 보고해야 한다. 이 점에서 절차는 자발적 안락사를 규정하는 블랙 레터 법과는 다르다. 그곳에서 검시관은 지역심사위원회에만 보고서를 보내는데, 지역심사위원회는 의사가 부적절하게 행동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지방검사에게 통보한다.

법적현황

네덜란드의 안락사법은 사람들이 스스로 안락사를 요청하도록 하고 있으며(자발적 안락사) 12세 이상에게는 합법이다. 네덜란드에서 안락사는 12세 미만 환자에게 기술적으로 불법으로 남아 있다. Groningen Protocol은 의사들에게 난공불락의 법적 보호를 제공하지 않는다. 판례법은 지금까지 의약에 따라 행동하는 한 의사들을 기소로부터 보호해왔지만, 이 영역에는 흑문자 법이 존재하지 않는다.[4]

검토

2005년에 1997년과 2004년 사이에 보고된 22건의 모든 사례에 대한 검토 연구가 수행되었다.[7] 모든 케이스는 척추비절염수두증에 걸린 신생아에 관한 것이었다. 모든 경우에서 최소 2명의 의사가 의료진 밖에서 상담을 받았다. 22건 중 17건에서 다학제 척추분리증 팀이 상담을 받았다. 모든 부모들은 삶의 종식에 동의했다; 4가지 경우 그들은 그것을 명시적으로 요구했다. 사건 보고와 기소 결정 사이의 평균 시간은 5.3개월이었다. 그 사건들 중 어느 것도 기소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보고된 삶의 활성 종료 사례가 모두 모범 사례에 따른 것으로 결론지었다.[7]

리셉션

이 의정서는 논란이 되고 있으며, 안락사 반대 운동가인 [8]Wesley J. Smith 디스커버리 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부터 공격을 받아왔는데, 그는 이 의정서가 영아살해 합법화를 위한 시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9]

몇몇 연구들은 그 의정서의 근거를 의심했고 그것을 버리라고 권고했다.[10][11][12] 그러나 생명윤리학자 제이콥 M. 뉴욕 대학아펠은 이 의전이 성공적이며 확장되어야 한다고 말했다.[13] 힐드 린데만과 마리안 베르커크는 네덜란드 문화와 의학의 맥락에서 이 정책이 평가되어야 한다고 말했지만,[14] 에릭 코디쉬는 란셋에 게재된 기사에서 의전과 그 전제를 신랄하게 비판해 왔다. 코디쉬는 유아 살해의 의료 제도화에 대한 시민 불복종을 통해 의전에 대한 저항을 불러들이면서 결론을 내렸다.[3]

참고 항목

참조

메모들

  1. ^ 소아과 의사들은 참을없을 정도로 고통 받는 신생아의 삶을 끝내기 위해 전국적인 의전을 요구한다 - 2004년 12월 10일
  2. ^ 살인 또는 건강 관리: 웨이백 머신보관Groningen 프로토콜 2010-09-21
  3. ^ a b Kodish, Eric (2008). "Paediatric ethics: a repudiation of the Groningen protocol". The Lancet. 371 (9616): 892–893. doi:10.1016/S0140-6736(08)60402-X. PMID 18348350.
  4. ^ a b "Ending the Life of a Newborn: The Groningen Protocol,: Introduction". www.medscape.com. Retrieved 2009-11-03.
  5. ^ Verhagen E, Sauer PJ (March 2005). "The Groningen protocol--euthanasia in severely ill newborns". N. Engl. J. Med. 352 (10): 959–62. doi:10.1056/NEJMp058026. PMID 15758003.
  6. ^ (네덜란드어로) 리치틀린 레벤스베잉 비제이 파스게보렌엔, 연기하라
  7. ^ a b c d Verhagen, AA.; Sol, JJ.; Brouwer, OF.; Sauer, PJ. (Jan 2005). "[Deliberate termination of life in newborns in The Netherlands; review of all 22 reported cases between 1997 and 2004]". Ned Tijdschr Geneeskd. 149 (4): 183–8. PMID 15702738.
  8. ^ "Now They Want to Euthanize Children". www.weeklystandard.com. Retrieved 2009-11-03.
  9. ^ Smith, Wesley J. (March 2008). "Pushing Infanticide". National Right to Life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13. Retrieved 31 August 2012.
  10. ^ Kompanje, EJ.; de Jong, TH.; Arts, WF.; Rotteveel, JJ. (Sep 2005). "[Questionable basis for 'hopeless and unbearable suffering' as the criterion for the active termination of life in newborns with spina bifida]". Ned Tijdschr Geneeskd. 149 (37): 2067–9. PMID 16184950.
  11. ^ de Jong, TH. (Jan 2008). "Deliberate termination of life of newborns with spina bifida, a critical reappraisal". Childs Nerv Syst. 24 (1): 13–28, discussion 29–56. doi:10.1007/s00381-007-0478-3. PMC 2092440. PMID 17929034.
  12. ^ Kon AA (2007). "Neonatal euthanasia is unsupportable: the Groningen protocol should be abandoned". Theor Med Bioeth. 28 (5): 453–63. doi:10.1007/s11017-007-9047-8. PMID 17985108.
  13. ^ Appel, JM (May 5, 2009). "Neonatal Euthanasia: Why Require Parental Consent?". Journal of Bioethical Inquiry. 6 (4): 477–482. doi:10.1007/s11673-009-9156-3.
  14. ^ Lindemann, H.; Verkerk, M. (Mar–Apr 2008). "Ending the Life of a Newborn: The Groningen Protocol". Hastings Center Report. 38 (1): 42–51. doi:10.1353/hcr.2008.0010. PMID 18314809.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