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쿠스마크로필라
Ficus macrophylla모턴베이 무화과 | |
---|---|
시드니 더 번에서 1850년에 심은 표본 | |
하와이 마우이에서 촬영된 과일과 잎 | |
과학적 분류 | |
킹덤: | 플랜태 |
클래드: | 기관지동물 |
클래드: | 안기오스페름스 |
클래드: | 에우디코츠 |
클래드: | 로시즈 |
순서: | 로잘레스 |
패밀리: | 모라과 |
속: | 피쿠스 |
하위 게놈: | F. subg.우로스티그마 |
종: | F. 마크로필라 |
이항식 이름 | |
피쿠스마크로필라 | |
오스트레일리아의 자연 범위(녹색) | |
동의어 | |
보통 모어톤 베이 무화과 또는 오스트레일리아 반얀으로 알려진 피쿠스 마크로필라는 북쪽의 와이드베이-버넷 지역에서 뉴사우스웨일즈의 일라와라까지 호주 동부 모라과의 큰 상록수 반얀나무다.그 흔한 이름은 호주 퀸즐랜드에 있는 모어튼 베이에서 유래되었다.그것은 당당한 버팀목 뿌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피쿠스 마크로필라(Ficus macrophella)는 종자 발아가 보통 숙주나무의 캐노피(canopy)에서 일어나며, 묘목의 뿌리가 땅과 접촉할 때까지 착생제로 살아가는데, 숙주를 확대·교살하면 결국 저절로 자유분방한 나무가 된다.개인은 높이가 60m(200ft)에 이를 수 있다.모든 무화과와 마찬가지로 무화과 말벌과의 상호주의도 필수적이다; 무화과는 무화과 말벌에 의해서만 수분되고 무화과 말벌은 무화과 꽃에서만 번식할 수 있다.비둘기, 앵무새, 그리고 다양한 행인을 포함한 많은 종의 새들이 그 과일을 먹는다.
피쿠스 마크로필라는 캘리포니아,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 몰타, 뉴질랜드 북부(오클랜드), 호주 등 따뜻한 기후의 공원이나 정원에서 피쳐 트리로 널리 쓰인다.오래된 표본은 엄청난 크기에 이를 수 있으며, 그들의 공격적인 뿌리 체계는 가장 큰 개인 정원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에게 적합하지 않다.
분류학
남아프리카의 식물학자 크리스티아안 헨드릭 페르순은 1807년작 시놉시스 플랜타룸에서 모어톤 베이 무화과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을 발표했는데,[2] 이 자료는 1804년 프랑스의 식물학자 르네 루우이체 데스폰테인스가 보고한 것이다.[3]활자 표본은 분실되었지만 아마도 플로렌스에 있었을 것이다.[4]구체적인 표현인 마크로필라는 고대 그리스 마크로스 '크게'와 필론 '잎'[5]에서 유래되었으며, 잎의 크기를 가리킨다.[6]19세기 초 시칠리아 오르토 보타니코 디 팔레르모의 이탈리아 식물학자 빈첸초 티네오는 프랑스의 한 보육원에서 바나나의 습관과 함께 엄청난 크기로 자라는 식물을 얻었다.이러한 형태가 전파되어 시칠리아 주변의 정원에서 재배되었다.이후 정원 관리자인 안토니노 보르쯔는 1897년에 그것을 피쿠스 마그놀리오아데스라고 묘사했는데, 이것은 밑부분이 더 푸르른 잎을 가진 더 큰 잎 때문에 F. 마크로필라와 구별되었다.이 이름은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었다.[1]
호주의 식물학자 찰스 무어는 1870년 하우 섬 경으로부터 수집된 물질로부터 피커스 주상동물을 묘사하면서 기둥과 같은 뿌리의 라틴 주상동물의 종 이름을 선택했다.[7]영국의 식물학자 E. J. H. 코너는 이것을 1965년에 F. 마크로펠라와의 동의어로 줄였다. P. S. Green은 1986년에 아종의 지위에 대해 충분히 구별할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호주의 식물학자 데일 딕슨은 자료를 검토했고, 그 차이가 너무 경미하다고 느꼈고,[4]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형태를 인정했다.피쿠스 마크로필라 f. 마크로필라 f.[8] 마크로필라 f. 마크로필라 f. 그리고 피쿠스 마크로필라 f. columnaris는 뚜렷한 주줄기가 없고 하우 섬 영주에게만 고유하다.실비오 피치와 프란체스코 마리아 라이몬도가 F. 마그놀리오이드에 대해 검토한 결과 F. 마크로필라 f. 주상아리가 검출되었다.[1]
이 종은 다른 곳에서 발견되기는 하지만 퀸즐랜드 남부의 모어튼 만 다음으로 일반적으로 [6]모어톤 베이 무화과로 알려져 있다.대체 이름인 검은색 무화과는 노화 껍질의 어두운 색깔에서 유래되었다.[9]
750종이 넘는 피쿠스는 가장 큰 혈관종 중 하나이다.[10]형태학에 기초하여 코너는 그 속을 4개의 하위 유전자로 나누었다가 나중에는 6개로 확대되었다.[8][11]이 분류에서, 모어톤 베이 무화과는 하위 시리즈인 Malvantheae, 시리즈 Malvantheae, 하위 유전자인 Urostigma의 섹션 Malvanthera에 배치되었다.[12]딕슨은 오스트레일리아 말반테라를 재분류하면서, 구간 내에서 시리즈의 구분을 변경했지만, 이 종은 말반테레에 시리즈로 남겨두었다.[8]
2005년에 네덜란드의 식물학자 코넬리스 버그는 플로라 말레시아나를 위한 모라과에 대한 코너의 치료를 완료했다; 코너와 플로라 말레시아나의 편집자인 C. J. J. G. 반 스테니스 사이의 의견 차이로 1972년 이후로 그 작업의 완성이 지연되었다.[13]Berg는 Stilpnophyllum과 Malvanthhera를 확장된 Stilpnophyllum으로 결합했다.이것은 Malvanthera, Stilpnophyllum 섹션의 Morton Bay 무화과를 남겼다.[12]
2008년 핵 리보솜 내부와 외부 복사 스페이서의 DNA 서열에 대한 연구에서 덴마크 식물학자 니나 뢰네스트드와 동료들은 이전의 말반테라 소분류를 거부했다.대신, 그들은 말반테라를 말반테라, 플라티포데, 헤스페리디폼의 세 하위 섹션으로 나누었다.이 시스템에서 모어톤 베이 무화과는 F. 플레로카르파와 함께 말반테레 하위 절에 있다.Malvantherae는 그룹의 기본 (조기 오프슈트)으로 보인다.F. 마크로필라(macrophella)는 호주 본토가 원산지인 반면 마크로필라(macrophella)는 로드 하우섬을 식민지로 삼은 마크로필라(lord howe Island)[12]의 주상복합체다.말반테라(Malvanthera) 구간 자체는 4,100만년 전에 진화했고 약 3,500만년 전에 방사된 것으로 생각된다.[11]
설명
모레톤 베이 무화과는 60m(200피트)의 높이에 이를 수 있는 상록수다.[14]트렁크는 두껍고 두드러진 버팀목으로 거대할 수 있으며 직경은 2.4m(7.9ft)에 이른다.[6]거친 껍질은 회갈색이며,[15] 여러 가지 흠이 있다.[16]모어튼 베이 무화과의 로드 하우 형태는 나뭇가지에서 공중 뿌리를 떨어뜨리는 습성이 있는데, 그것은 땅에 닿자마자 왕관의 무게를 지탱하는 보조 줄기로 두꺼워진다.[17]
잎과 가지들은 잘리거나 부러지면 우윳빛 수액을 흘린다.무화과는 직경이 2–2.5 cm(0.8–1 in)로, 익을수록 반점이 옅은 녹색에서 보라색으로 변한다.[14] 익은 과일은 2월부터 5월까지 더 풍부하지만 [16]일년 내내 발견될 수 있다.[6]그것은 열대우림 식물이고 이러한 환경에서는 나무의 덩굴보다 더 자주 경작하는 덩굴의 형태로 자란다.그것의 씨앗이 숙주 나무의 가지에 착륙할 때, 그것은 숙주 줄기에 항공적인 "스트랭글러"를 뿌리고 결국 숙주를 죽이고 홀로 서 있다.[6]나무마다 기능성 수꽃과 암꽃이 핀다.[8]구체적인 비명으로 나타내듯이, 길이 15~30cm(6~12인치)의 크고 타원형, 가죽색, 짙은 녹색의 잎을 가지고 있으며 줄기에 번갈아 배열되어 있다.열매는 작고 둥글고 푸르러서 일년 중 어느 때라도 익어서 보라색으로 변한다. 그것은 시코늄(syconium), 꽃들이 내강(內江)에 줄지어 있는 반전된 꽃으로 알려져 있다.
분포 및 서식지
모어톤 베이 무화과는 퀸즐랜드 중심부의 와이드 베이-버넷 지역에서 뉴사우스 웨일즈 남부 해안의 쇼알하벤 강에 이르는 호주 동부 연안 원산이다.[4][16]그것은 아열대성, 따뜻한 온대성, 건조한 열대우림에서 발견되는데,[18] 이 열대우림은 신생 나무로서 캐노피,[16] 특히 충적토양의 수초를 따라 왕관이 우뚝 솟아 있을 수 있다.시드니 지역에서는 연평균 1,200–1,800 mm(47–71 in)의 강우량이 있는 지역에서 F. 마크로펠라가 해수면에서 300 m(1000 ft) 고도까지 성장한다.[19]
It often grows with trees such as white booyong (Argyrodendron trifoliolatum), Flindersia species, giant stinging tree (Dendrocnide excelsa), lacebark (Brachychiton discolor), red cedar (Toona ciliata), hoop pine (Araucaria cunninghamii), green-leaved fig (Ficus watkinsiana) and Cryptocarya obovata.[18]자생하는 토양에는 영양소가 풍부하며 범보 라타이트와 버드공 사암 등이 있다.[19]열대우림이 개간되면서, 고립된 표본들이 그늘과 가축들의 은신처로 가치가 있는 남아 있는 나무로 들판에 남아 있었다.[20][21]그러한 나무 중 하나는 뉴사우스웨일즈의 월롱 교외인 피그트리(Figtree)에 기념비적인 나무였고 이름을 붙였다.[20]
생태학
모레톤 베이 무화과가 생산하는 엄청난 수의 과일은 열대우림의 주요 식량원이 되고 있다.[21]녹색고양이새(Alluroedus crassirostis)[22]는 물론, 웜푸 열매 도브(Ptilinopus magnifus), 팽나무 비둘기(Lopholaimus leginus) 등 과일을 먹는 비둘기(Ptillianopus regina)에게 중요한 먹이로, 장미 왕성한 과실 도브(Ptilopus regina)의 한때 먹이로다.[23]Other bird species that eat the fruit include the yellow-eyed cuckoo-shrike (Coracina lineata), pied currawong (Strepera graculina), Australasian figbird (Sphecotheres vieilloti), Regent bowerbird (Sericulus chrysocephalus), satin bowerbird (Ptilonorhynchus violaceus), and Lewin's honeyeater (Meliphaga lewinii).[6]흰머리날개박쥐(Pteropus pymaleus)와 같은 과일박쥐도 이 과일을 먹고 산다.[24]As well as the pollinating fig wasp, Pleistodontes froggatti, syconia of the Moreton Bay fig are host to several species of non-pollinating chalcidoid wasps including Sycoscapter australis (Pteromalidae), Eukobelea hallami (Sycophaginae), and Meselatus sp. (Epichrysomallinae).[25]네마토드 종인 슈스톤쿠스 마크로필라와 슈스톤쿠스 알테마크로필라는 시코니아에서 발견되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P. 프로가티아를 기생시킨다.[26]
번식종인 Gynaikothrips Australia는 F. macrophella의 새로운 잎 밑부분뿐만 아니라 F. rubiginosa와 F. obliqua의 잎을 먹고 산다.식물 세포가 죽으면서 근처의 세포가 유도되어 메리스템 조직을 형성하고 갈의 결과가 나타나며 잎이 일그러지고 곱슬곱슬해진다.[27]번식은 나무가 새로운 성장의 홍조를 띠면 먹이를 먹기 시작하며, 수명은 약 6주 정도 된다.다른 때에는, 번식은 먹이지 않고 오래된 잎에 산다.그 종은 번데기가 나무껍질 속에 숨겨져 있다.번데기들은 밤에 갈대 속에 남아 낮에 돌아다니다가 저녁에 돌아오는데, 아마도 나무에 관한 갈대마다 다를 것이다.[28]
스트레스를 받는 나무도 탈색할 정도로 환각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잎 가장자리에 놓여진 알에서 부화하여 잎 속으로 파고들어 영양분을 빨아들이는 나무의 라텍스(latex)가 곤충을 보호한다.[19]나방종의 애벌레는 잎의 나무를 벗길 수 있다.[19]이 나무는 또한 긴 뿔풍뎅이(Cerambycae) 종인 아그리아노메 스피니콜리스(Agrianome spinicolis)의 숙주이기도 하다.[19]진균 병원체 갈색 뿌리 썩음(Phellinus noxius)이 이 종을 감염시켜 죽였다.[29]
재생산 및 수명
무화과는 무화과 말벌(Agaonae)과 필수 상호주의를 가지고 있으며, 무화과는 무화과 말벌에 의해서만 수분되며, 무화과 말벌은 무화과 꽃에서만 번식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각 무화과 종은 수분작용을 위해 말벌의 단일 종에 의존한다.말벌들은 비슷하게 번식하기 위해 무화과 종에 의존한다.모레톤 베이 무화과의 본토와 하우 경 인구는 둘 다 플리스토돈테스 프로가티에 의해 수분된다.[4][30]
모든 무화과가 그러하듯이 열매는 시코늄으로 알려진 역성 꽃이며, 안쪽 표면에서 작은 꽃이 피어난다.[16]피쿠스 마크로필라는 단성 동물이다. 수꽃과 암꽃 모두 같은 식물에서 발견되며, 사실 같은 열매에서 발견되지만, 다른 시기에 성숙한다.암컷 말벌은 시코늄에 들어가 성숙하면서 암꽃 속에 알을 낳는다.이 알들은 나중에 부화해서 자손의 짝을 짓는다.신세대 암컷들은 이때쯤 성숙해진 수꽃에서 꽃가루를 채취해 다른 시코니아를 찾아 그 과정을 반복하기 위해 떠난다.브리즈번의 한 현장 연구는 F. 마크로펠라 나무가 종종 수컷과 암컷 시코니아를 동시에 낳는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것은 섬에 있는 것과 같이 작고 고립된 개체군의 번식에 이로운 것일 수 있다.같은 연구는 말벌 꽃가루 매개체가 더 많은 열대 무화과류 종보다 더 추운 날씨를 견뎌냈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남성 위상 시코니아 발달이 겨울 동안 지속된다는 것을 발견했다.F. 마크로펠라 자체는 다른 무화과 동물들보다 더 추운 기후를 견딜 수 있다.[31]모튼 베이 무화과나무는 야생에서 100년 이상 산다.[19]
잠재적으로 침입하는 종
Ficus macrophella는 하와이와 뉴질랜드 북부에서 재배된다.두 곳 모두 이제 수분 말벌(Pleistodontes proggatti)을 획득하면서 귀화되었다.하와이에서는 1921년 말벌(wasp)이 의도적으로 도입되었고, 뉴질랜드에서는 호주에서 장거리 분산에 의해 1993년에 처음 기록되었다.말벌의 도착은 새에 의해 분산되도록 변형된 많은 작은 씨앗을 함유한 과일들의 다산적인 생산으로 이어졌다.모튼 베이 무화과는 뉴질랜드와 하와이의 토종 나무와 소개된 나무 모두에서 자라는 것이 발견되었다.뉴질랜드에서 이 무화과의 크기와 활력, 그리고 천적 부족과 주머니쥐 브라우징에 대한 면역력은 그것이 숲과 다른 토종 식물 집단을 침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14][32]터키에서는 이따금씩 정원 탈출자들이 기록되어 왔다.[33]
사용하다
모레톤 베이 무화과는 서리가 내리지 않는 지역의 공원들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오스트레일리아의 초기 정착민들에게 인기가 있었다.[15]20세기 초경, 시드니 왕립식물원 원장 조셉 메이든은 거리 나무의 심기를 주창하였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한 종의 균일하게 늘어서 있는 것이다.그는 모어튼 베이 무화과는 나무가 성숙함에 따라 혼잡을 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멀리 떨어진 30m(100ft) 간격으로 간격을 두라고 권고했다.[34]표본들은 엄청난 비율에 달할 수 있고, 건조한 기후에서 번성했다; 인상적인 표본 나무들은 데닐리퀸과 하이의 Waring Garden에서 자랐다.[35]가벼운 서리를 견딜 수 있고 해안가 상황에서 염분이 많은 스프레이에 대처할 수 있으며, 열매는 도시 야생동물에게 이롭다.그러나, 그들의 거대한 크기는 가장 큰 정원을 제외한 모든 정원에서의 사용을 금지하고, 그들의 뿌리는 매우 침습적이며, 배관을 손상시키고, 길과 길을 방해할 수 있다; 많은 양의 찌그러진 과일은 땅에서 지저분할 수 있다.[21]무화과는 먹을 수 있지만 먹을 수 없고 건조하다.[6]
특히 뿌리 버팀목의 경향 때문에 큰 잎은 크기가 많이 줄지 않고 줄기는 연이은 잎사귀 사이에 긴 간격(내부 공간)을 가지기 때문에 더 큰 스타일에 훨씬 적합하지만 분재로 자주 보여진다.[36]중대형에서 밝게 조명되는 실내공간에 실내공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37]연한 가벼운 목재는 물결무늬가 있어 케이스에 쓰인다.[6]원주민들은 전통적으로 이 섬유질을 어망으로 사용했다.[6]
주목할 만한 표본
모어톤 베이 무화과 나무의 큰 표본은 호주 동부와 북동부의 많은 공원과 사유지에서 발견된다.브리즈번, 멜버른, 시드니 식물원에는 19세기 중반에 심은 수많은 표본들이 있다.이 나무들은 높이가 35미터(115피트)에 이른다.[21]월롱공 근처의 키이라 산에는 높이 58미터(190피트)의 모어톤 베이 무화과가 있다.[38]시드니 교외 랜드윅에 있는 주목할 만한 나무인 150년 된 '지식의 나무'는 2016년 CBD와 사우스이스트 경전철에 자리를 내주기 위해 논란이 일었던 나무다.[39]뉴질랜드에는 많은 큰 표본들이 있다.노스랜드 카이파라하버 파히의 모어튼베이 무화과는 1984년 높이 26.5m(87ft), 너비 48.5m(159ft)로 측정됐고 2011년 둘레가 14.8m(49ft)[40]로 측정됐다.
모어튼 베이 무화과는 1870년대에 미국 캘리포니아에 재배되기 시작했으며, 1980년 로스앤젤레스의 예외 나무로 분류된 13개의 표본이 있다.[41]북아메리카에서 가장 높은 피커스 마크로펠라는 샌디에이고 자연사 박물관과 인접해 있으며 1914년에 심어졌다.1996년까지 그것의 높이는 23.7미터(78피트)였고 가로 37.4미터(123피트)가 되었다.[42]북아메리카에서 가장 넓은 모어톤 베이 무화과는 산타 바바라 모어톤 베이 무화과 나무다.1876년 호주 선원으로부터 모종을 받은 어린 소녀가 심은 것으로 알려졌다.[43]그것은 폭이 175피트(53m)이다.[44]아오야마 나무는 로스앤젤레스 시내에 있는 일본 국립 박물관과 임시 컨템포러리 사이에 있다.20세기 초 불교계 미국인들에 의해 심어졌다.[45]
클레어몬트의 아르데른 정원과 프레토리아 동물원에 있는 두 개의 남아공 표본은 이 나라에서 가장 넓은 나무와 가장 넓은 나무 두 개를 가지고 있다.프레토리아 표본은 1899년 이전에 심어져 2012년까지 높이가 27m(89ft)로 캐노피 폭은 43.1m(141ft)에 이른다.[46][47]포르투갈 코임브라 대학의 식물원 계단 위에 눈에 띄는 표본이 널브러져 있다.[48]피쿠스 마크로펠라는 시칠리아의 팔레르모에 있는 공공장소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오르토 보타니코, 빌라 가리발디, 지아르디노 잉글레세, 그리고 일부 광장에서는 인상적인 표본이 발견되었다.[49]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Fici, Silvio; Raimondo, Francesco Maria (1996). "On the real identity of Ficus magnolioides". Curtis's Botanical Magazine. 13 (2): 105–07. doi:10.1111/j.1467-8748.1996.tb00549.x.
- ^ Persoon, Christiaan Hendrik (1807). Synopsis plantarum,seu Enchiridium botanicum, complectens enumerationem systematicam specierum hucusque cognitarum (in Latin). Vol. 2. Paris, France: C.F. Cramerum. p. 609.
- ^ Desfontaines, René Louiche (1804). Tableau de l'Ecole de Botanique du Museum d'Histoire Naturelle (in French). Vol. 1–2. p. 209.
- ^ a b c d Dixon, Dale J. (2001). "Figs, wasps and species concepts: a re-evaluation of the infraspecific taxa of Ficus macrophylla (Moraceae: Urostigma sect. Malvanthera)". Australian Systematic Botany. 14 (1): 125–32. doi:10.1071/SB99026.
- ^ Liddell, Henry George; Scott, Robert (1980). A Greek-English Lexicon (Abridged ed.). Oxford,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10207-5.
- ^ a b c d e f g h i Floyd, Alex G. (2009). Rainforest Trees of Mainland Southeastern Australia. Lismore, New South Wales: Terania Rainforest Publishing. pp. 231–32. ISBN 978-0-9589436-7-3.
- ^ Moore, Charles (1870). "Sketch of the botany of Lord Howe's Island". Transactions and Proceedings of the Botanical Society of Edinburgh. 10 (1–4): 365–71. doi:10.1080/03746607009468716.
- ^ a b c d Dixon, Dale J. (2003). "A taxonomic revision of the Australian Ficus species in the section Malvanthera (Ficus subg. Urostigma: Moraceae)". Telopea. 10 (1): 125–53. doi:10.7751/telopea20035611.
- ^ Webber, Len (1991). Rainforest to Bonsai. East Roseville, New South Wales: Simon and Schuster. p. 105. ISBN 978-0-7318-0237-1.
- ^ Frodin, David G. (2004). "History and concepts of big plant genera". Taxon. 53 (3): 753–76. doi:10.2307/4135449. JSTOR 4135449.
- ^ a b Rønsted, Nina; Weiblen, George D.; Clement, W. L.; Zerega, N. J. C.; Savolainen, V. (2008). "Reconstructing the phylogeny of figs (Ficus, Moraceae) to reveal the history of the fig pollination mutualism" (PDF). Symbiosis. 45 (1–3): 45–56.
- ^ a b c Rønsted, Nina; Weiblen, George D.; Savolainen, V; Cook, James M. (2008). "Phylogeny, biogeography, and ecology of Ficus section Malvanthera (Moraceae)" (PDF).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8 (1): 12–22. doi:10.1016/j.ympev.2008.04.005. PMID 18490180.
- ^ Weiblen, G. D.; Clement, W. L. (2007). "Flora Malesiana. Series I. Volume 17 parts 1 & 2" (PDF). Edinburgh Journal of Botany. 64 (3): 431–37. doi:10.1017/S0960428607064311.
- ^ a b c Starr, Forest; Starr, Kim; Loope, Lloyd (2003). "Ficus macrophylla – Moreton bay fig – Moraceae" (PDF). Haleakala Field Station, Maui, Hawai'i: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Biological Resources Division. Retrieved 20 April 2018.
- ^ a b Holliday, Ivan (1989). A Field Guide to Australian Trees. Melbourne, Victoria: Hamlyn Australia. p. 198. ISBN 978-0-947334-08-6.
- ^ a b c d e Fairley, Alan; Moore, Philip (2000). Native Plants of the Sydney District: An Identification Guide (2nd ed.). Kenthurst, New South Wales: Kangaroo Press. p. 62. ISBN 978-0-7318-1031-4.
- ^ Harden, Gwen J. "Ficus macrophylla Desf. ex Pers". New South Wales Flora online. NSW Herbarium. Retrieved 21 March 2018.
- ^ a b Boland, Douglas J.; Brooker, M. I. H.; Chippendale, G. M.; McDonald, Maurice William (2006). Forest Trees of Australia. Collingwood, Victoria: CSIRO Publishing. pp. 193–95. ISBN 978-0-643-06969-5.
- ^ a b c d e f Benson, Doug; McDougall, Lyn (1997). "Ecology of Sydney Plant Species Part 5: Dicotyledon Families Flacourtiaceae to Myrsinaceae" (PDF). Cunninghamia. 5 (2): 330–544 [52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3 December 2015.
- ^ a b Fuller, Leon (1980). Wollongong's Native Trees. Kiama, New South Wales: Weston & Co. pp. 218–19. ISBN 978-0-9594711-0-6.
- ^ a b c d Elliot, Rodger W.; Jones, David L.; Blake, Trevor (1986). Encyclopaedia of Australian Plants Suitable for Cultivation: Volume 4 (Eu-Go). Port Melbourne, Victoria: Lothian Press. pp. 280, 286. ISBN 978-0-85091-589-1.
- ^ Innis, Gary John; McEvoy, Jim (1992). "Feeding ecology of green catbirds (Ailuroedus crassirostris) in subtropical rainforests of south-eastern Queensland". Wildlife Research. 19 (3): 317–29. doi:10.1071/WR9920317.
- ^ Innis, Gary John (1989). "Feeding Ecology of Fruit Pigeons in Subtropical Rainforests of Southeast Queensland". Australian Wildlife Research. 16 (4): 365–94. doi:10.1071/WR9890365.
- ^ Eby., P. "Diet Species of the Grey-headed Flying-fox in the Sydney Region". Ku-ring-gai Bat Conservation Society In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September 2009. Retrieved 3 May 2009.
- ^ Bean, Daniel; Cook, James M. (2001). "Male mating tactics and lethal combat in the nonpollinating fig wasp Sycoscapter australis". Animal Behaviour. 62 (3): 535–42. doi:10.1006/anbe.2001.1779. S2CID 53202910.
- ^ Lloyd, Janine; Davies, Kerrie A. (1997). "Two new species of Schistonchus (Tylenchida: Aphelenchoididae) associated with Ficus macrophylla from Australia". Fundamental and Applied Nematology. 20 (1): 79–86.
- ^ Tree, Desley J.; Walter, G. H. (2009). "Diversity of host plant relationships and leaf galling behaviours within a small genus of thrips –Gynaikothrips and Ficus in south east Queensland, Australia". Australian Journal of Entomology. 48 (4): 269–275. doi:10.1111/j.1440-6055.2009.00706.x. ISSN 1440-6055.
- ^ Tree, Desley J; Walter, G. H. (2009). "Diversity of host plant relationships and leaf galling behaviours within a small genus of thrips –Gynaikothrips and Ficus in south east Queensland, Australia". Australian Journal of Entomology. 48 (4): 269–75. doi:10.1111/j.1440-6055.2009.00706.x.
- ^ Gray, Peter (2017). "Brown Root Rot" (PDF). Retrieved 20 April 2018.
- ^ Lopez-Vaamonde, Carlos; Dale J. Dixon; James M. Cook; Jean-Yves Rasplus (2002). "Revision of the Australian species of Pleistodontes (Hymenoptera: Agaonidae) fig-pollinating wasps and their host-plant associations".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36 (4): 637–83. doi:10.1046/j.1096-3642.2002.00040.x.
- ^ McPherson, John R. (2005). "Phenology of Six Ficus L., Moraceae, Species and its Effects on Pollinator Survival, in Brisbane, Queensland, Australia". Geographical Research. 43 (3): 297–305. doi:10.1111/j.1745-5871.2005.00329.x.
- ^ Gardner, Rhys O.; John W. Early (1996). "The naturalisation of banyan figs (Ficus spp., Moraceae) and their pollinating wasps (Hymenoptera: Agaonidae) in New Zealand". New Zealand Journal of Botany. 34: 103–10. doi:10.1080/0028825x.1996.1041269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ly 2008.
- ^ Uludag, Ahmet; Aksoy, Necmi; Yazlık, Ayşe; Arslan, Zubeyde Filiz; Yazmış, Efecan; Uremis, Ilhan; Cossu, Tiziana Antonella; Groom, Quentin; Pergl, Jan; Pyšek, Petr; Brundu, Giuseppe (2017). "Alien flora of Turkey: checklist, taxonomic composition and ecological attributes". NeoBiota. 35: 61–85. doi:10.3897/neobiota.35.12460.
- ^ Frawley, Jodi (2009). "Campaigning for Street Trees, Sydney Botanic Gardens 1890s–1920s" (PDF). Environment and History. 15 (3): 303–22. doi:10.3197/096734009x12474738199953.
- ^ de Beuzeville, W.A.W. (1947). Australian Trees for Australian Planting. Sydney, New South Wales: Forestry Commission of New South Wales/ A. H. Pettifer, Government Printer. pp. 47–48.
- ^ Koreshoff, Dorothy and Vita (1984). Bonsai with Australian native Plants. Brisbane, Queensland: Boolarong Publications. p. 52. ISBN 978-0-908175-66-6.
- ^ Ratcliffe, David and Patricia (1987). Australian Native Plants for Indoors. Crows Nest, New South Wales: Little Hills Press. p. 90. ISBN 978-0-949773-49-4.
- ^ "Moreton Bay Fig – Mount Keira". National Tree Register of Big Trees. Retrieved 23 November 2011.
- ^ "Historic Moreton Bay fig being felled to make way for Sydney light rail". The Guardian. 11 July 2016. Retrieved 3 April 2018.
- ^ Burstall, S.W.; Sale, E.V. (1984). Great Trees of New Zealand. Wellington, New Zealand: Reed. p. 39. ISBN 978-0-589-01532-9.
- ^ Masters, Nathan (2018). "Majestic Mammoths: A Brief History of L.A.'s Moreton Bay Fig Trees". KCETLink (formerly Community Television of Southern California). Retrieved 3 April 2018.
- ^ "theNAT Moreton Bay Fig Tree". San Diego Natural History Museum. Retrieved 2 April 2018.
- ^ Baker, Gayle (2003). Santa Barbara. Santa Barbara, CA: HarborTown Histories. p. 55. ISBN 9780971098411.
- ^ Hayes, Virginia (21 December 2011). "S.B. Big Trees: The Moreton Bay Fig Tree was Planted from a Cutting from Australia". Santa Barbara Independ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March 2014. Retrieved 18 March 2014.
- ^ The Cultural Landscape Foundation (2010). "Aoyama Tree". Every Tree Tells a Story: The Cultural Landscape Foundation's 2010 Landslide. Washington, D.C.: The Cultural Landscape Foundation. Retrieved 10 January 2012.
- ^ Versluis, Jeanne-Marié (4 January 2012). "Reuse-vyeboom op kampioen-lys". Bee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April 2015. Retrieved 9 January 2013.
- ^ Schwan, Angeliné. "Who planted this massive tree?". National Zoological Gardens of South Africa.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Retrieved 11 December 2015.
- ^ Pakenham, Thomas (2002). Remarkable Trees of the World. London: Weidenfeld & Nicolson. pp. 146–47. ISBN 978-0-297-84300-9.
- ^ Dummett, Jeremy (2015). Palermo, City of Kings: The Heart of Sicily. London: I.B.Tauris. p. 218. ISBN 978-1-78453-083-9.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피쿠스 마크로필라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Ficus macrophylla". Australian Plant Name Index (APNI), IBIS database. Centre for Plant Biodiversity Research, Australian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