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분류
Classification of obesity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인체중량 |
---|
비만 분류는 비만의 순위로, 초과 체지방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정도로 축적된 의학적 질환이다.[1]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을 체질량지수(BMI)별로 분류하고 있으며, BMI는 허리-엉덩이 비율과 총 심혈관 위험인자를 통한 지방분포 측면에서 추가로 평가된다.[2][3] 어린이의 경우, 건강한 체중은 나이와 성에 따라 다르며, 비만 결정은 역사적 정상 집단과 관련이 있다.[4]
배경
비만은 초과 체지방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정도로 축적된 의학적 질환이다.[1] 상대 체중과[clarification needed] 체질량 지수(BMI)[5]는 거의 동일하며, 체지방 백분율로 측정한 체지방의 합리적인 추정치다. 그러나 BMI는 체지방 분포의 광범위한 변화를 설명하지 않으며, 다른 개인과 모집단에서 동일한 수준의 비만이나 관련 건강 위험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6][7][3] 지방 분포를 측정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허리-엉덩이 비율과 체지방 비율이 있다. 정상체중비만은 정상체중이지만 비만의 건강위험이 같은 체지방 비율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8][9] BMI는 당뇨병과 같은 대사 이상 위험을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0]
측정
BMI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체지방량을 추정하기 위해 간단하고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11] BMI는 벨기에 통계학자 겸 인류학자 아돌프 퀘틀레에 의해 19세기에 개발되었다.[12] BMI는 성인 인구의 대다수에서 체지방 비율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디빌더나 임산부 같은 사람들에게는 덜 정확하다.[13] BMI, 나이, 성별을 결합한 공식을 사용하여 사람의 체지방 비율을 4%[14]의 정확도로 추정할 수 있다. Mayo Clinic은 다른 체형을 더 잘 고려하기 위해 대안적인 방법인 BVI를 개발하고 있다.[15] BVI는 체지방 분포를 측정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BVI 번호를 계산한다. 이 BVI 번호는 체중과 관련된 건강 위험을 나타낸다.
카테고리[16] | BMI(kg/m2) |
---|---|
저체중 | < 18.5 |
정상중량 | 18.5 – 24.9 |
과체중 | 25.0 – 29.9 |
비만(등급 I) | 30.0 – 34.9 |
비만(클래스 II) | 35.0 – 39.9 |
비만(클래스 III) | ≥ 40.0 |
BMI는 피험자의 질량을 키의 제곱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일반적으로 미터법 또는 미국의 "고객" 단위로 표현된다.
- 미터법: I = i g o o o o a e 2
- 미국/사용자 정의 및 영국식: B = n
1997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정해 2000년에 발간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정의는 오른쪽 표에 열거된 값을 제공한다.[17]
WHO 정의에 대한 일부 수정은 특정 기관에 의해 이루어졌다. 수술 문헌은 정확한 값이 여전히 논쟁거리지만, 3급 비만을 더 많은 범주로 분류한다.[18]
- 어떤 BMI ≥ 35는 심각한 비만이다.
- BMI 40은 병적인 비만이다.
- 50의 BMI는 극도의 비만이다.
아시아 인구가 서구 인구보다 낮은 BMI에서 부정적인 건강 결과를 낳으면서, 일부 국가들은 비만을 재정립했다. 일본인들은 비만을 25보다[19] 큰 BMI로 정의했고 중국은 비만을 28보다 큰 BMI로 정의했다.[20]
BMI를 기반으로 한 정의는 사용하기 쉽고 특히 통계적 목적에 편리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두 가지 수량, 즉 사람의 키와 몸무게에만 의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특히 근육량에서 개인들간의 변화를 무시한다. 무거운 육체 노동이나 스포츠에 종사하는 개인은 지방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BMI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NFL 선수 중 절반 이상이 BMI 지표에 따라 "obese"(BMI ≥ 30)로 분류되고, 4명 중 1명은 "극비만"(BMI ≥ 35)으로 분류된다.[21] 그러나 그들의 평균 체지방 비율인 14%는 건강한 범위 내에 있다.[22]
학계에서 선호되는 비만도 측정기준은 체지방 비율(BF%)으로, 체중에 대한 개인의 총체중량의 비율이며, BMI는 단지 BF%[23]를 근사하는 방법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32%, 남성의 25%를 초과하는 수준은 비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체질량지수의 정확한 측정은 BMI의 측정보다 훨씬 더 어렵다. 정확도와 복잡도가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제안되었지만 덜 보편적인 비만 대책으로는 허리둘레와 허리-엉덩이 비율이 있다. 이는 복부 또는 중앙 비만이라고 알려진 일반적인 형태의 비만을 측정하는데, 복부 부위와 복막 내 복강 내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은 제2형 당뇨병과 같은 대사 이상 위험을 예측하는 힘에서 BMI와 비교가 가능하고,[24] 심혈관 질환의 예측 변수로서 BMI보다 우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5]
허리둘레와 허리-엉덩이비
미국에서는 허리둘레가 남성이 102cm(약 40인치), 여성이[26] 88cm(약 34.5인치) 이하이거나 허리-허리 비율(허리 둘레를 엉덩이 둘레로 나눈 값)이 남성이 0.9, 여성은 0.85로 중앙비만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27]
유럽연합(EU) 허리둘레에서 남성은 94cm(약 37인치), 비임산부는 80cm(약 31.5인치)가 중심비만의 컷오프로 사용된다.[28]
남아시아와 중국 남성에게는 90cm의 낮은 컷컷이, 일본 남성에게는 85cm 컷컷이 권장됐다.[28]
BMI가 35 미만인 사람의 경우, 자궁내 체지방은 총체지방과 무관하게 부정적인 건강 결과와 관련이 있다.[29] 자궁내 또는 내장 지방은 특히 심혈관 질환과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27] 1만50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허리둘레 역시 BMI보다 대사증후군과 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0]복부비만이 있는 여성은 남성과 비슷한 심혈관질환 위험이 있다.[31] 그러나 35세 이상의 BMI를 가진 사람들의 허리둘레 측정은 BMI의 예측력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 BMI를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정상적인 허리둘레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32]
체적지수
BVI(Body Volume Index)는 체지방 분포를 계산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인체 체적과 체적 비율, 그리고 신체 구성과의 연관성은 몇 년 동안 연구되어 왔다.[33][34] 후에 선택연구와 메이요 클리닉에 의해 비율 대신 체적지수(BVI)라는 용어가 도입되었고, BVI는 BMI의 대안으로 개발되었다.[35][36] BMI는 근육과 지방분포, 성별, 민족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개인에서 비만의 정확한 척도가 아니다. BVI는 3D 기술을 사용하여 전체 체형을 분석하여 지방이 몸 전체에 분포하는 위치를 식별한다.[37]
체적(Body Volume)은 사람과 사람의 신체 부위의 구성을 의미하며, 사람의 신체 각 부위(팔, 다리, 가슴 등)는 고유의 3D 모양과 개별 체중 및 측정값을 가진다. 지방과 근육의 부피 증가는 일반적으로 신체의 그 부위의 부피 증감에 해당한다. BVI는 앞과 옆을 찍은 두 개의 이미지에서 사람의 체지방 구성을 계산한다. 이들 영상에서 실루엣을 추출해 3D 모델을 만들어, 이 모델에서 상세한 선형 및 볼륨 측정을 계산할 수 있다. 3D 모델을 MRI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BVI 소프트웨어는 지방분포, 특히 개인의 장기 근처에 축적된 내장지방을 계산할 수 있다. 그 결과는 허리 대 엉덩이 비율, BMI, 총체지방, 내장지방, BVI 수에 대한 정확한 측정을 제공할 것이다.
BVI 번호는 Mayo Clinic이 BMI의 대안으로 설계한 것으로, 장기 주변에 위치한 내장 지방을 특히 강조하여 지방 분포를 기반으로 건강 위험을 표시한다. 내장 지방은 대사적으로 활발하며, 높은 수치로 심혈관 질환과[38] 당뇨병 타입 II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39]
체지방 비율
체지방 비율은 총체중량의 비율로 표현되는 총체지방이다. 총체지방에 근거한 비만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는 없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비만을 정의하기 위해 남성에서는 >25%, 여성에서는 >30%를 컷포인트로 사용해 왔다.[41]
인체측정학 방법으로 체지방 비율을 사람의 BMI로부터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추정할 수 있다.[42]
- 여기서 성별(성)은 여성의 경우 0이고 남성의 하체지방 비율을 설명하기 위해 남성의 경우 1이다.
체지방 비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많은 방법들이 있다. 체지방 계산의 가장 정확한 방법 중 하나인 정수 체중은 물속에서 사람의 체중을 재는 것을 포함한다. 역사적으로 두 가지 더 단순하고 덜 정확한 방법이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권장되지 않는다.[43] 첫 번째는 피부결 검사로 피하지방층의 두께를 결정하기 위해 피부의 핀치를 정밀하게 측정한다.[44] 다른 하나는 전기 저항을 사용하는 생체 전기 임피던스 분석이다. 생체전기 임피던스는 BMI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45]
주로 연구에 사용되는 체지방 비율 측정 기법으로는 컴퓨터단층촬영(CT 스캔), 자기공명영상(MRI),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DEXA) 등이 있다.[29] 이러한 기법은 매우 정확한 측정을 제공하지만, 대부분의 장비의 무게 제한과 많은 CT나 MRI 스캐너의 지름이 부족하여 심한 비만에서는 구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46]
소아비만
건강한 BMI 범위는 아이의 나이와 성별에 따라 다르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만은 95번째 백분위수보다 큰 BMI로 정의된다.[47] 이러한 백분위수의 기준이 되는 참조 데이터는 1963년부터 1994년까지로 최근의 비만율 증가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48]
아동 비만은 21세기에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증가하는 비율과 함께 전염병 비율에 도달했다.[citation needed] 캐나다 소년들의 비만율은 1980년대 11%에서 1990년대 30% 이상으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동안 브라질 어린이들의 비만율은 4%에서 14%로 증가했다.[49]
어른들의 비만과 마찬가지로 많은 다른 요소들이 어린이 비만율의 상승에 기여한다. 최근 비만율 증가를 유발하는 데는 식습관을 바꾸는 것과 신체활동의 감소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자주 교통에서부터 학교 체육, 조직화된 스포츠에 이르기까지 많은 나라에서 활동이 감소하고 있다.[50]
소아비만은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많고, 수많은 만성질환과 연관되기 때문에 비만인 아동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51]
아이들에게 사용되는 치료법은 주로 생활방식의 개입과 행동기법이다. 이 연령대에서는 의약품 사용이 FDA 승인을 받지 않았다.[49]
참고 항목
- 앨로메트리
- 체질량지수(BAI)
- 체지방률(BFP)
- 체질량지수(BMI)
- 체질량지수 Prime(BMI Prime)
- 체형 지수
- 체적지수
- 체수
- 관용지수
- 체질량지수별 나라 목록
- 비만 역설
- 피그넷 지수
- 시상 복부 직경(SAD)
- 허리-엉덩이비
- 허리-높이 비율(허리-상태 비율 [WSR]라고도 함)
참조
- ^ a b WHO 2000 페이지 6
- ^ Sweeting HN (October 2007). "Measurement and definitions of obes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 field guide for the uninitiated". Nutrition Journal. 6 (1): 32. doi:10.1186/1475-2891-6-32. PMC 2164947. PMID 17963490.
- ^ a b NHLBI p.xiv
- ^ "Healthy Weight: Assessing Your Weight: BMI: About BMI for Children and Teens".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trieved 6 April 2009.
- ^ Gray DS, Fujioka K (1991). "Use of relative weight and Body Mass Index for the determination of adiposity". J Clin Epidemiol. 44 (6): 545–50. doi:10.1016/0895-4356(91)90218-X. PMID 2037859.
- ^ WHO 2000, 페이지 7
- ^ Sweeting HN (2007). "Measurement and Definitions of Obes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 field guide for the uninitiated". Nutr J. 6 (1): 32. doi:10.1186/1475-2891-6-32. PMC 2164947. PMID 17963490.
- ^ 정상 체중 비만: 심장 및 대사 문제에 대한 새로운 위험 요소. 메이요 클리닉. 2008년 3월 27일.
- ^ 캐서린 제라츠키, R.D., L.D. 정상 체중 비만: 숨겨진 건강 위험?: 체중이 정상이라면 비만이라고 볼 수 있을까? Mayo Clinic - 비만 전문가의 답변. 2009년 8월 5일. 2010년 1월 25일 발견
- ^ Vazquez, G.; Duval, S.; Jacobs, D. R.; Silventoinen, K. (2 May 2007). "Comparison of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Hip Ratio in Predicting Incident Diabetes: A Meta-Analysis". Epidemiologic Reviews. 29 (1): 115–128. doi:10.1093/epirev/mxm008. PMID 17494056.
- ^ Mei Z, Grummer-Strawn LM, Pietrobelli A, Goulding A, Goran MI, Dietz WH (1 June 2002). "Validity of body mass index compared with other body-composition screening indexes for the assessment of body fatnes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 J Clin Nutr. 75 (6): 978–85. doi:10.1093/ajcn/75.6.978. PMID 12036802.
- ^ Quetelet LAJ (1871). Antropométrie ou Mesure des Différences Facultés de l'Homme. Brussels: Musquardt.
- ^ NHLBI 페이지 60
- ^ 세이델 2005 페이지 3
- ^ 로메로코랄, A. Somers, V. Lopez-Jimenez, F. Korenfeld, Y. Palin, S. Boelaert, K. Boarin, S. Sierra-Johnson, J. Rahim, A. (2008) 3-D Body Scanner, Body Volume Index: A Novel, Reproducible and Automated Anthropometric Tool Associated with Cardiometabolic Biomarkers Obesity A Research Journal 16 (1) 266-P
- ^ The SuRF Report 2 (PDF). The Surveillance of Risk Factors Report Series (SuRF).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p. 22.
- ^ WHO 2000 페이지 9
- ^ Sturm R (July 2007). "Increases in morbid obesity in the USA: 2000–2005". Public Health. 121 (7): 492–6. doi:10.1016/j.puhe.2007.01.006. PMC 2864630. PMID 17399752.
- ^ Kanazawa M, Yoshiike N, Osaka T, Numba Y, Zimmet P, Inoue S (December 2002). "Criteria and classification of obesity in Japan and Asia-Oceania". Asia Pac J Clin Nutr. 11 Suppl 8: S732–S737. doi:10.1046/j.1440-6047.11.s8.19.x. PMID 12534701.
- ^ Bei-Fan Z; Cooperative Meta-Analysis Group of Working Group on Obesity in China (December 2002). "Predictive values of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for risk factors of certain related diseases in Chinese adults: study on optimal cut-off points of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in Chinese adults". Asia Pac J Clin Nutr. 11 Suppl 8: S685–93. doi:10.1046/j.1440-6047.11.s8.9.x.
- ^ "Many NFL Players Fatter Than Couch Potatoes".
- ^ "NFL Players Not at Increased Heart Risk: Study finds they showed no more signs of cardiovascular trouble than general male population".
- ^ Jacob C Seidell; Katherine M Flegal (1997). "Assessing obesity: classification and epidemiology" (PDF). British Medical Bulletin.
- ^ Vazquez, G.; Duval, S.; Jacobs, D. R.; Silventoinen, K. (2007). "Comparison of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Hip Ratio in Predicting Incident Diabetes: A Meta-Analysis". Epidemiologic Reviews. 29: 115–128. doi:10.1093/epirev/mxm008. PMID 17494056.
- ^ R Huxley; et al. (2010).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hip ratio as predictors of cardiovascular risk—a review of the literature" (PDF).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4 (1): 16–22. doi:10.1038/ejcn.2009.68. PMID 1965459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5-06-17. Retrieved 2012-03-21.
- ^ Janssen I, Katzmarzyk PT, Ross R (October 2002).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health risk: evidence in support of curren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guidelines". Arch. Intern. Med. 162 (18): 2074–9. doi:10.1001/archinte.162.18.2074. PMID 12374515.
- ^ a b Yusuf S; Hawken S; Ounpuu S; Dans T; Avezum A; Lanas F; McQueen M; Budaj A; Pais P; Varigos J; Lisheng L; INTERHEART Study Investigators. (2004). "Effect of potentially modifiabl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yocardial infarction in 52 countries (the INTERHEART study): Case-control study". Lancet. 364 (9438): 937–52. doi:10.1016/S0140-6736(04)17018-9. hdl:10983/21615. PMID 15364185.
- ^ a b Tsigosa Constantine; Hainer, V; Basdevant, A; Finer, N; Fried, M; Mathus-Vliegen, E; Micic, D; Maislos, M; et al. (April 2008). "Management of Obesity in Adults: Europ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he European Journal of Obesity. 1 (2): 106–16. doi:10.1159/000126822. PMC 6452117. PMID 20054170.
- ^ a b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Evidence Syntheses (2000). HSTAT: Guide to Clinical Preventive Services, 3rd Edition: Recommendations and Systematic Evidence Reviews, Guide to Community Preventive Services.
- ^ Janssen I, Katzmarzyk PT, Ross R (2004). "Waist circumference and not body mass index explains obesity-related health risk". Am. J. Clin. Nutr. 79 (3): 379–84. doi:10.1093/ajcn/79.3.379. PMID 14985210.
- ^ Larsson B, Bengtsson C, Björntorp P, et al. (February 1992). "Is abdominal body fat distribution a major explanation for the sex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myocardial infarction? The study of men born in 1913 and the study of women, Göteborg, Sweden". Am J Epidemiol. 135 (3): 266–73. doi:10.1093/oxfordjournals.aje.a116280. PMID 1546702.
- ^ 국립 심장, 폐, 혈액 연구소. (1998). 질병과 사망률: 1998년 심혈관계, 폐 및 혈액 질환 차트북. 베데스다, MD: 국립보건원 P61
- ^ Wells JC, Douros I, Fuller NJ, Elia M, Dekker L. 3차원 광학 스캔을 사용한 체적 평가. Ann N Y Acad Sci. 2000년 5월;904:247-54. doi: 10.111/j.1749-6632.2000.tb06460.x. PMID 10865749.
- ^ 올리바레스 J, 왕 J, 유 W 등. 성인 히스패닉계 미국인과 백인계 미국인의 3차원 광자 스캐닝을 이용한 체적과 치수의 비교. J 당뇨병 공상 과학 기술. 2007;1(6):921-928. doi:10.1177/164229680700100619
- ^ "Week in Review: May 5". Insights. 2017-05-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5-07. Retrieved 2019-05-07.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6-20. Retrieved 2018-06-20.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압드 타란. (2008) "체적지수: 체질량지수 교체 시간?" 내분비 추출 15 P104
- ^ Van Gaal LF.(2006) "비만과 심혈관 질환을 연결하는 기계" 자연. 14;444 (7121):875-80.
- ^ 칸 SE 외 (2006)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 및 제2형 당뇨병을 연결하는 메커니즘. 자연. 2006년 12월 14일 444 (7121):840-6.
- ^ Bazzocchi A, Diano D, Battista G (2012-04-06). "How fat is fat?". The Lancet. 380 (9837). doi:10.1016/S0140-6736(11)61925-9. PMID 22484135.
- ^ Okorodudu; et al. (2010). "Diagnostic performance of body mass index to identify obesity as defined by body adipo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4 (5): 791–799. doi:10.1038/ijo.2010.5. PMID 20125098.
- ^ BMI를 체지방 백분율로 변환하는 방법. 제시카 브루소가 2002년 국제 비만 및 관련 대사 장애 저널에 발표한 연구에 대해 언급했다. 2017년 7월 18일.
- ^ NICE 2006 페이지 36
- ^ 젭과 웰스 2005 페이지 16.
- ^ NICE 2006:36.
- ^ 젭과 웰스 2005년 오후 20시
- ^ "Healthy Weight: Assessing Your Weight: BMI: About BMI for Children and Teens".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trieved April 6, 2009.
- ^ Flegal KM, Ogden CL, Wei R, Kuczmarski RL, Johnson CL (June 2001). "Prevalence of overweight in US children: comparison of US growth charts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ith other reference values for body mass index". Am. J. Clin. Nutr. 73 (6): 1086–93. doi:10.1093/ajcn/73.6.1086. PMID 11382664.
- ^ a b Flynn MA, McNeil DA, Maloff B, et al. (February 2006). "Reducing obesity and related chronic disease risk in children and youth: a synthesis of evidence with 'best practice' recommendations". Obes Rev. 7 Suppl 1: 7–66. doi:10.1111/j.1467-789X.2006.00242.x. PMID 16371076.
- ^ Dollman J, Norton K, Norton L (December 2005). "Evidence for secular trends in children's physical activity behaviour". Br J Sports Med. 39 (12): 892–7, discussion 897. doi:10.1136/bjsm.2004.016675. PMC 1725088. PMID 16306494.
- ^ Fennoy I (October 1, 2008). "Childhood Obesity, Part 1: Weight Evaluation and Comorbidity Screening". Consultant for Pediatricians.
- 참고 문헌 목록
-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HLBI) (1998).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PDF). International Medical Publishing, Inc. ISBN 978-1-58808-002-8.
{{cite book}}
: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 "Obesity: guidance on the prevention, identif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and children" (PDF).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NICE). National Health Services (NHS). 2006. Retrieved April 8, 2009.
- Puhl R, Henderson K, Brownell K. 비만이 초래하는 사회적 영향:Peter G. Kopelman; Ian D. Caterson; Michael J. Stock; William H. Dietz (2005). Clinical obesity in adults and children: In Adults and Children. Blackwell Publishing. pp. 29–45. ISBN 978-1-4051-1672-5.
- Jebb S. 및 Wells J. 성인 및 아동 체성분 측정:Peter G. Kopelman; Ian D. Caterson; Michael J. Stock; William H. Dietz (2005). Clinical obesity in adults and children: In Adults and Children. Blackwell Publishing. pp. 12–28. ISBN 978-1-4051-1672-5.
- 코펠만 P, 캐터슨 1세 비만 관리 개요 In:Peter G. Kopelman; Ian D. Caterson; Michael J. Stock; William H. Dietz (2005). Clinical obesity in adults and children: In Adults and Children. Blackwell Publishing. pp. 319–326. ISBN 978-1-4051-1672-5.
- 세이델 JC. 역학 — 비만 정의 및 분류 In:Peter G. Kopelman; Ian D. Caterson; Michael J. Stock; William H. Dietz (2005). Clinical obesity in adults and children: In Adults and Children. Blackwell Publishing. pp. 3–11. ISBN 978-1-4051-1672-5.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0). Technical report series 894: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PDF).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ISBN 978-92-4-120894-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5-05-01. Retrieved 2009-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