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protected with pending changes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BMI)
미터법과 임페리얼 모두 높이와 무게 범위에 대한 체질량 지수(BMI)를 보여주는 차트입니다.색상은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정의된 BMI 범주를 나타냅니다.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중간비만, 심각한 비만 및 매우 심각한 비만입니다.
동의어퀘틀렛 지수
MeSHD015992
메드라인 플러스007196
LOINC39156-5

체질량지수(BMI)는 사람의 몸무게(체중)와 에서 도출된 값입니다.BMI는 체중을 신체 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며, kg/m2 단위로 표시되며, 킬로그램(kg) 단위의 질량과 미터(m) 단위의 키로 표시됩니다.

BMI는 먼저 체중계체력계를 통해 성분을 측정하여 결정할 수 있습니다.곱셈과 나눗셈은 직접, 손으로 또는 계산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도 있고, 룩업 테이블(또는 차트)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a]표에는 BMI가 질량과 키의 함수로 표시되며, 다른 측정 단위(계산을 위해 미터법 단위로 변환)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b]표에는 다양한 BMI 범주에 대한 윤곽선이나 색상이 표시될 수도 있습니다.

BMI는 사람을 조직의 질량(근육, 지방, )과 키에 따라 폭넓게 분류하기 위해 사용되는 편리한 경험칙입니다.주요 성인 BMI 분류는 저체중(18.5 kg/m2 이하), 정상체중(18.5 ~ 24.9), 과체중(25 ~ 29.9), 비만(30 이상)입니다.[1]BMI는 집단에 대한 통계적 측정이 아닌 개인의 건강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될 때 특히 복부 비만, 단신 또는 고근육량을 가진 개인에게 적용될 때 일부 대안보다 유용성이 떨어질 수 있는 한계가 있습니다.

20-25세 미만의 BMI와 25세 이상의 BMI는 20-25세 범위의 거리에 따라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더 높은 모든 원인 사망률과 관련이 있습니다.[2]

역사

비만도와 체질량지수

벨기에 천문학자, 수학자, 통계학자, 사회학자아돌프 퀘틀렛은 그가 "사회 물리학"이라고 부르는 것을 개발하면서 1830년에서 1850년 사이에 체질량 지수의 기초를 고안했습니다.[3]퀘틀렛 자신은 당시 퀘틀렛 지수라고 불리는 이 지수가 의학적 평가의 수단으로 사용될 의도가 전혀 없었습니다.대신, 그것은 그의 평균적인 남성에 대한 연구의 한 부분이었습니다.퀘틀렛은 평균적인 남성을 사회적 이상으로 생각했고, 사회적으로 이상적인 인간을 발견하는 수단으로 체질량지수를 개발했습니다.[4]스칸디나비아 장애 연구 저널의 Lars Grue와 Arvid Heiberg에 따르면, Quetlet의 평균적인 남성에 대한 이상화는 10년 후에 Francis Galton에 의해 우생학의 발전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입니다.[5]

키 제곱에 대한 인체 체중의 비율을 나타내는 현대적 용어인 "체질량지수"(BMI)는 Ancel Keys 등이 Journal of Chronic Diseases 1972년 7월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만들어졌습니다.이 논문에서 키스는 자신이 BMI라고 부르는 것이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면, 적어도 상대적 비만의 지표로서 다른 상대적 체중 지표만큼 좋다"고 주장했습니다.[6][7][8]

체지방을 측정하는 지표에 대한 관심은 부유한 서구 사회에서 비만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Keys는 BMI를 모집단 연구에 적합한 것으로 명시적으로 판단하고 개별 평가에는 부적합했습니다.하지만 그 간편함 때문에, 그것은 예비 진단에 널리 사용되게 되었습니다.[9]허리둘레와 같은 추가적인 측정법이 더 유용할 수 있습니다.[10]

BMI는 kg/m2 단위로 표시되며, kg 단위의 질량과 미터 단위의 높이로 표시됩니다.파운드인치를 사용할 경우 703(kg/m2)/(lb/in2)의 변환 계수가 적용됩니다.BMI라는 용어가 비공식적으로 사용될 때, 단위는 대개 생략됩니다.

BMI는 사람의 두께마른 정도의 간단한 수치를 제공하여 건강 전문가들이 환자들과 좀 더 객관적으로 체중 문제를 논의할 수 있게 해줍니다.BMI는 평균적인 체성분으로 평균적인 좌식(물리적으로 활동하지 않는) 인구를 분류하는 간단한 수단으로 사용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11]그러한 개인의 경우 2014년 기준 BMI 값 권장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8.5~24.9 kg/m은2 최적 체중을 나타낼 수 있고, 18.5 미만은 저체중, 25~29.9는 과체중, 30 이상은 비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9][10]마른 남성 운동선수들은 종종 높은 근육 대 지방 비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체지방률에 비해 오해의 소지가 있을 정도로 높은 체질량지수를 가지고 있습니다.[10]

분류

BMI의 일반적인 용도는 개인의 몸무게가 키의 정상치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근육질과 같은 다른 요인들도 BMI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체중 초과 또는 결핍은 부분적으로 체지방(이중 조직)에 의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아래 및 과체중에 대한 논의 참조).[12]

WHO는 18.5 미만의 성인 BMI를 저체중으로 간주하고 영양실조, 섭식장애 또는 기타 건강상의 문제를 나타낼 수 있는 반면, 25 이상은 과체중으로 간주하고 30 이상은 비만으로 간주합니다.[1]국제 WHO BMI 컷오프 포인트(16, 17, 18.5, 25, 30, 35, 40) 원칙 외에도 위험 아시아인에 대한 4개의 컷오프 포인트(23, 27.5, 32.5, 37.5)가 추가로 확인되었습니다.[13]이러한 BMI 값 범위는 통계적 범주로만 유효합니다.

BMI, 기본 범주
카테고리 BMI (kg/m2)[c] BMI 프라임[c]
저중량(엄중박리) < 16.0 < 0.64
저중량(적당한 두께) 16.0 – 16.9 0.64 – 0.67
저중량(약한 두께) 17.0 – 18.4 0.68 – 0.73
정상범위 18.5 – 24.9 0.74 – 0.99
과체중(전비만) 25.0 – 29.9 1.00 – 1.19
비만 (Class I) 30.0 – 34.9 1.20 – 1.39
비만 (Class II) 35.0 – 39.9 1.40 – 1.59
비만 (III급) ≥ 40.0 ≥ 1.60

어린이와 청소년

2세에서 20세 남자아이의 연령 백분위수 BMI
2~20세 여자아이의 연령 백분위수 BMI

BMI는 2세에서 20세 사이의 사람들에게 다르게 사용됩니다.성인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되지만 동일한 연령의 다른 어린이 또는 청소년의 경우 일반적인 값과 비교됩니다.저체중 및 과체중에 대한 고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대신, BMI는 동일한 성별 및 연령의 어린이에 대한 백분위수와 비교됩니다.[14]

BMI가 5백분위수 미만이면 저체중, 95백분위수 이상이면 비만으로 간주됩니다.체질량지수가 85-95 백분위수 사이인 아이들은 과체중으로 간주됩니다.[15]

2013년 영국의 연구는 12세에서 16세 사이의 여성들이 같은 나이의 남성들보다 평균 1.0 kg/m2 더 높은 체질량 지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냈습니다.[16]

국제변주

이러한 선형 척도에 따른 권장 차이는 국가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전 세계적, 종단적 조사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인구와 혈통이 다른 사람들은 BMI, 체지방률 및 건강 위험 간에 상이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과체중의 경우 WHO 컷오프 포인트인 25 kg/m보다2 낮은 BMI에서 제2형 당뇨병죽상경화성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더 높습니다.비록 관측된 위험에 대한 컷오프는 여러 모집단에 따라 다릅니다.관측된 위험의 차단선은 유럽, 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인구와 하위 인구에 따라 달라집니다.[17][18]

홍콩

홍콩 병원 당국은 다음과 같은 BMI 범위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19]

홍콩의 체질량 지수
카테고리 BMI (kg/m2)[c]
저체중(건강하지 않음) < 18.5
정상 범위(정상) 18.5 – 22.9
과체중 I(위험) 23.0 – 24.9
과체중 II(중간 비만) 25.0 – 29.9
과체중 III(중증 비만) ≥ 30.0

일본

일본비만학회(JASO)의 2000년 연구는 다음과 같은 체질량지수 분류표를 제시합니다.[20][21][22]

일본의 체질량 지수
카테고리 BMI (kg/m2)[c]
저중량(씬) < 18.5
정상체중 18.5 – 24.9
비만 (1급) 25.0 – 29.9
비만 (2급) 30.0 – 34.9
비만 (3급) 35.0 – 39.9
비만 (4급) ≥ 40.0

싱가포르

싱가포르에서는 2005년 건강증진위원회(HPB)가 다른 나라의 일반적인 BMI 권고에 비해 싱가포르 사람을 포함한 많은 아시아 인구가 체지방 비율이 높고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에 자극받아 BMI 수치를 수정했습니다.체질량 지수 컷오프는 체중보다는 건강 위험에 중점을 두고 제시됩니다.[23]

싱가포르의 체질량 지수
카테고리 BMI (kg/m2)[c] 건강위험
저체중 < 18.5 가능한 영양 결핍 및 골다공증.
보통의 18.5 – 22.9 위험도가 낮습니다(건강한 범위).
경도에서 중등도의 과체중 23.0 – 27.4 심장병, 고혈압, 뇌졸중,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중간 정도입니다.
매우 과체중에서 비만까지 ≥ 27.5 심장병, 고혈압, 뇌졸중,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습니다.대사증후군.

영국

영국에서 NICE 지침은 제2형 당뇨병의 예방은 백인의 경우 BMI가 30이고 흑인, 아프리카-카리브해, 남아시아, 중국 인구의 경우 27.5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권고합니다.[24]

영국에서 거의 150만 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표본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일부 민족 집단은 BMI 이상에서 예방의 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합니다.[25][26]

  • 30 인 화이트
  • 28 인 블랙
    • 흑인 영국어로 30 이하.
    • 검은 아프리카어로 29
    • 27 in 검정 기타
    • 26 인 블랙 캐리비안
  • 아랍어와 중국어로 27
  • 남아시아어로 24
    • 파키스탄, 인도, 네팔에서 24명
    • 타밀어와 스리랑카어로 23
    • 방글라데시어로 21

미국

1998년 미국 국립보건원세계보건기구 지침에 따라 미국의 정의를 도입하여 정상/과체중 컷오프를 27.8 (남성), 27.3 (여성)에서 25 (여성)으로 낮췄습니다.이것은 이전에 건강했던 약 2천 5백만 명의 미국인들을 과체중으로 재정의하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27][28]

이는 지난 20년간[when?] 과체중 진단이 증가한 것과 동시에 체중 감량 제품의 판매가 증가한 것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WHO는 또한 동남아시아 체형의 정상/과체중 역치를 BMI 23 정도로 낮출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다양한 체형의 임상 연구에서 추가적인 수정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29]

2007년의 한 조사에 따르면 63%의 미국인들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이었으며, 26%는 비만 범주(BMI 30 이상)에 속했습니다.2014년까지 미국 성인의 37.7%가 비만이었고, 남성의 35.0%, 여성의 40.4%가 비만이었습니다. 3급 비만(BMI 40세 이상) 값은 남성의 7.7%, 여성의 9.9%였습니다.[30]2015-2016년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미국 남성과 여성의 71.6%가 25 이상의 체질량지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1]미국 성인의 39.8%는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세 이상 남성의 체질량 지수 값(kg/m2) 및 연령별 선택 백분위수:
나이 백분위수
5번째 열번째 15일 25일 50번째 75번째 85번째 90번째 95번째
≥ 20(총) 20.7 22.2 23.0 24.6 27.7 31.6 34.0 36.1 39.8
20–29 19.3 20.5 21.2 22.5 25.5 30.5 33.1 35.1 39.2
30–39 21.1 22.4 23.3 24.8 27.5 31.9 35.1 36.5 39.3
40–49 21.9 23.4 24.3 25.7 28.5 31.9 34.4 36.5 40.0
50–59 21.6 22.7 23.6 25.4 28.3 32.0 34.0 35.2 40.3
60–69 21.6 22.7 23.6 25.3 28.0 32.4 35.3 36.9 41.2
70–79 21.5 23.2 23.9 25.4 27.8 30.9 33.1 34.9 38.9
≥ 80 20.0 21.5 22.5 24.1 26.3 29.0 31.1 32.3 33.8
20세 이상 여성의 체질량 지수 값(kg/m2)과 연령별 선택 백분위수:
나이 백분위수
5번째 열번째 15일 25일 50번째 75번째 85번째 90번째 95번째
≥ 20(총) 19.6 21.0 22.0 23.6 27.7 33.2 36.5 39.3 43.3
20–29 18.6 19.8 20.7 21.9 25.6 31.8 36.0 38.9 42.0
30–39 19.8 21.1 22.0 23.3 27.6 33.1 36.6 40.0 44.7
40–49 20.0 21.5 22.5 23.7 28.1 33.4 37.0 39.6 44.5
50–59 19.9 21.5 22.2 24.5 28.6 34.4 38.3 40.7 45.2
60–69 20.0 21.7 23.0 24.5 28.9 33.4 36.1 38.7 41.8
70–79 20.5 22.1 22.9 24.6 28.3 33.4 36.5 39.1 42.9
≥ 80 19.3 20.4 21.3 23.3 26.1 29.7 30.9 32.8 35.2

성인의 수치 상승에 따른 결과

체질량지수 범위는 체중과 질병 및 사망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합니다.[11]과체중인 사람과 비만인 사람은 다음과 같은 질병에 걸릴 위험이 증가합니다.[33]

담배를 피운 적이 없는 사람들 사이에서 과체중/비만은 항상 정상 체중이었던 사람들에 비해 사망률이 51%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36]

적용들

공중보건

BMI는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질량에 의해 연관된 그룹들 간의 상관관계의 수단으로 사용되며 지방량을 추정하는 모호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BMI의 이중성은 일반적인 계산으로는 사용하기 쉽지만, BMI로부터 얻은 데이터가 얼마나 정확하고 타당한지에 대해서는 제한적이라는 것입니다.일반적으로 이 지수는 오차 한계가 더 작기 때문에 좌식 또는 과체중인 사람들의 경향을 인식하는 데 적합합니다.[37]세계보건기구는 1980년대 초부터 체질량지수를 비만 통계를 기록하는 기준으로 사용해 왔습니다.

이 일반적인 상관 관계는 해를 규정할 수 있는 반 정확한 표현을 구축하거나 그룹의 RDA를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만이나 다른 여러 조건에 관한 합의 데이터에 특히 유용합니다.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아이들이 앉아있기 때문에, 이것은 아이들의 성장과 점점 더 관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38]단면적 연구들은 앉아있는 사람들이 더 신체적으로 활동적이 됨으로써 BMI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나타냈습니다.BMI의 추가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극적인 이동을 지원하는 잠재적 코호트 연구에서 더 작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39]

입법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에서는 BMI 18 미만의 패션쇼 모델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도입되었습니다.[40]이스라엘에서는 체질량지수가 18.5 미만인 모델은 금지되어 있습니다.[41]이것은 모델들과 패션에 관심있는 사람들의 거식증과 싸우기 위해서 행해집니다.

건강과의 관계

2005년 JAMA(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과체중인 사람들은 체질량지수(BMI)에 의해 정의된 정상 체중인 사람들과 비슷한 사망률을 가진 반면, 저체중비만인 사람들은 더 높은 사망률을 보였습니다.[42]

2009년 란셋(The Lancet)이 발표한 성인 900,0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과체중인 사람과 저체중인 사람 모두 체질량지수(BMI)로 정의한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최적의 체질량지수는 22.5-25 범위로 나타났습니다.[43]운동선수들의 평균 체질량지수는 여성이 22.4, 남성이 23.6입니다.[44]

높은 BMI는 높은 혈청 감마 글루타밀 트랜스펩타이드를 가진 사람들에게서만 제2형 당뇨병과 관련이 있습니다.[45]

250,000명을 대상으로 한 40개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BMI가 정상인 관상동맥 질환 환자는 BMI가 과체중 범위(BMI 25–29.9)인 사람보다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높았습니다.[46]

한 연구는 체질량지수가 체지방률과 좋은 일반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비만이 흡연을 제치고 세계 1위의 사망원인이 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그러나 또한 이 연구에서 체지방에 따라 남성의 50%와 여성의 62%가 비만을 정의한 반면, BMI에 따라 남성의 21%와 여성의 31%만이 비만을 정의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는 BMI가 비만 대상자의 수를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47]

2010년 11,000명의 피실험자들을 8년까지 추적한 연구는 BMI가 심장마비, 뇌졸중, 사망의 위험에 대한 좋은 척도가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더 좋은 척도는 허리와 키의 비율입니다.[48]최대 13년 동안 60,000명의 참가자를 추적한 2011년 연구에서 허리-엉덩이 비율이 허혈성 심장 질환 사망률을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9]

한계

이 그래프는 NCHSNHANES 1994 데이터에서 8550명의 남성에 대한 체질량지수(BMI)와 체지방률(BFP)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줍니다.왼쪽 위와 오른쪽 아래 사분면의 데이터는 BMI의 한계를 암시합니다.[47]

의료 기관과[50] 통계 커뮤니티는[51] 모두 BMI의 한계를 강조했습니다. BMI 척도의 통계적 한계의 일부는 Quetlet의 원래 표본 추출 방법의 결과입니다.[52]그의 주요 저작인 인간과 그의 능력 개발에 관한 논문에서 언급했듯이, 퀘틀렛이 그의 공식을 도출한 데이터는 대부분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군인들과 프랑스 헌병대에서 가져온 것입니다.[4]체질량 지수는 항상 유럽 남성들의 지표로 설계되었습니다.여성과 비유럽계 사람들의 경우, 그 규모는 종종 편향됩니다.사회학자 사브리나 스트링스(Sabrina Strings)에 의해 언급된 바와 같이, 특히 흑인들에게 BMI는 대체로 부정확하며, 건강한 개인들에게도 불균형적으로 과체중이라고 표시합니다.[52]

스케일링

BMI에 대한 공식의 분모에 있는 지수는 임의입니다.BMI는 몸무게와 키의 제곱에 따라 달라집니다.질량이 선형 치수의 세 번째 힘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정확히 같은 체형과 상대적인 구성을 가진 키가 큰 사람들은 더 큰 BMI를 가집니다.[53] BMI는 질량에 비례하고 키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따라서, 모든 신체 치수가 두 배가 되고, 키의 세제곱과 함께 자연스럽게 질량이 확장된다면, BMI는 그대로 유지되는 대신 두 배가 됩니다.이것은 키가 큰 사람들이 자신들의 실제 체지방 수치에 비해 특이하게 높은 체질량지수를 가지고 있는 결과를 가져옵니다.이에 비해 폰데랄 지수는 높이의 세 번째 힘으로 질량의 자연스러운 스케일링을 기반으로 합니다.[54]

하지만, 키가 큰 많은 사람들은 키가 작은 사람들일 뿐만 아니라 키에 비례하여 더 좁은 프레임을 가지고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55] 라비(Carl Lavie)는 "B.M.I. 표는 많은 인구에서 비만과 체지방을 식별하는 데는 탁월하지만 개인의 지방 측정에는 훨씬 신뢰성이 떨어집니다."[56]라고 썼습니다.

미국 성인의 경우 지수 추정치는 남성의 경우 1.92에서 1.96 사이이고 여성의 경우 1.45에서 1.95 사이입니다.[57][58]

물리적 특성

BMI는 큰 프레임(또는 큰 프레임)의 경우 약 10%를 과대평가하고 작은 프레임(짧은 신장)의 경우 약 10%를 과소평가합니다.다시 말해서, 작은 체구를 가진 사람들은 최적보다 더 많은 지방을 가지고 있을 것이지만, 그들의 체질량 지수는 그들이 정상임을 나타냅니다.반대로, 체격이 큰(또는 키가 큰) 사람들은 체지방률이 상당히 낮은 건강할 수 있지만, 체질량지수에 의해 과체중으로 분류됩니다.[59]

예를 들어, 신장/체중 차트에서는 1.78미터(5피트 10인치) 남자의 이상적인 몸무게(BMI 21.5)가 68킬로그램(150파운드)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만약 그 남자가 날씬한 체구(작은 체구)를 가지고 있다면, 68kg 또는 150lb의 과체중일 수 있고, 대략 61kg 또는 135lb(BMI 19.4)로 10%를 줄여야 합니다.반대로, 더 큰 체격과 더 탄탄한 체격을 가진 남자는 약 75kg 또는 165lb(BMI 23.7)로 10% 증가해야 합니다.만약 한 사람이 작은/중간 또는 중간/큰/큰 가장자리에 있다면, 사람의 이상적인 몸무게를 계산할 때 상식을 사용해야 합니다.그러나 키와 체격에 이상적인 체중 범위에 드는 것은 여전히 허리와 키의 비율과 실제 체지방률만큼 건강 위험 요소를 결정하는 데 정확하지 않습니다.[60]

정확한 프레임 크기 계산기는 여러 가지 측정(손목 둘레, 팔꿈치 너비, 목 둘레 등)을 사용하여 개인이 특정 키에 해당하는 범주를 결정합니다.[61]BMI는 또한 노화로 인한 키의 감소를 고려하지 못합니다.이런 상황에서 체질량지수는 상응하는 체중 증가 없이 증가할 것입니다.

근육 대 지방

근육량과 지방량의 분포에 대한 가정은 정확하지 않습니다.BMI는 일반적으로 체중이 더 날씬한 사람(예: 운동선수)의 지방량을 과대평가하고, 더 뚱뚱한 사람의 지방량을 과소평가합니다.

2008년 6월 Romero-Corral et al. 의 연구는 미국의 제3차 국가건강영양조사(NHANES III) 대상자 13,601명을 조사한 결과, 남성의 21%와 여성의 31%에서 BMI ≥ 30이 검출되었습니다.체지방 정의 비만은 남성의 50%, 여성의 62%에서 발견되었습니다.체질량지수(BMI) 정의 비만은 특이도(남성 95%, 여성 99%)가 높은 반면, BMI는 민감도(남성 36%, 여성 49%)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즉, BMI는 사람이 비만이라고 판단할 때는 대부분 정확하지만, 그렇지 않다고 판단할 때는 꽤 자주 오류가 날 수 있습니다.BMI로 비만을 과소 계산했음에도 불구하고, 20-30의 중간 BMI 범위에서 BMI 값은 광범위한 체지방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체질량지수가 25인 남성의 경우 약 20%가 체지방률이 20% 미만이고 약 [47]10%가 30% 이상입니다.

운동선수들을 위한 체성분은 종종 체지방 측정을 사용하여 더 잘 계산되는데, 이는 피부 주름 측정이나 수중 체중 측정과 같은 기술에 의해 결정되며, 수동 측정의 한계는 또한 신체 용적 지표와 같은 비만을 측정하는 새롭고 대안적인 방법으로 이어졌습니다.[citation needed]

범주 정의의 변동

BMI 척도에서 과체중비만의 임계치를 어디로 설정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습니다.이 때문에 지난 수십 년간 기준은 다양했습니다.1980년과 2000년 사이에 미국 식생활 지침은 과체중을 체질량지수 24.9에서 27.1의 다양한 수준으로 정의했습니다.1985년 미국 국립보건원(NIH) 합의 회의에서 과체중 BMI를 남성의 경우 27.8, 여성의 경우 27.3으로 설정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1998년 NIH 보고서는 25세 이상의 체질량지수는 과체중이고 30세 이상의 체질량지수는 비만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27]1990년대 세계보건기구(WHO)는 체질량지수(BMI)가 정한 기준인 25~30은 과체중, 30 이상은 비만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결정했습니다.이것은 어떤 사람이 과체중인지를 판단하는 데 있어 결정적인 지침이 되었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현재 정의에 따라 '과체중'과 '비만'으로 분류된 사람들의 대다수는 사실 조기 사망에 대한 의미 있는 증가 위험에 직면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600,000명 이상의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의 정량적 분석에서 BMI가 23에서 29 사이인 사람들의 사망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체중'으로 간주되는 25-30 범위의 대부분은 더 높은 위험과 관련이 없었습니다.[62]

대안

강제력 지수(3 지수)

응집 지수는 2가 아닌 3의 지수를 사용합니다.비만 지수는 키가 작고 키가 매우 큰 사람들에게도 유효한 결과를 제공하는데,[63] 이것은 BMI의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이상적인 체중 48 kg (106 lb)인 152.4 cm (5 ft 0 in) 키의 사람은 정상 BMI 20.74와 CI 13.6을 제공하는 반면, 100 kg (220 lb)인 200 cm (6 ft 7 in) 키의 사람은 24.84의 BMI를 제공합니다.비만 체질량지수 25, CI 12.4로 정상인 12에 매우 가깝습니다.[64]

새 BMI (지수 2.5)

5th/2 지수는 19세기에 퀘틀렛에 의해 제안되었습니다.[4]

일반적으로, 우리는 발달 중에 다른 연령의 무게 제곱을 높이의 다섯 번째 거듭제곱으로 가정할 때 큰 오차가 없습니다.

이 지수 2.5는 옥스포드 대학의 수치 분석 교수인 닉 트레페텐이 제안한 체질량 지수의 수정된 공식에 사용되며,[65] 이는 전통적인 체질량 지수 2의 지수 사용으로 인해 키가 작고 키가 큰 사람들의 왜곡을 최소화합니다.

제안된 새로운 BMI 공식이 평균 신장의 성인에 대한 전통적인 BMI 공식과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1.3의 스케일링 계수가 결정된 반면, 2.5의 지수는 BMI에 대한 전통적인 공식에서 2의 지수와 체중의 스케일링에 예상되는 3의 지수 사이의 절충입니다(정밀도 wo).이론적으로 부피에 따라 축척합니다. 즉, 높이의 세제곱으로).Trefeten의 분석에서 2.5의 지수가 2 또는 3의 지수보다 왜곡이 적은 경험적 데이터에 더 밀접하게 맞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MI prime (지수 2, 정규화 계수)

BMI Prime은 BMI 시스템의 변형으로 상한 최적 BMI에 대한 실제 BMI의 비율(현재 25 kg/m으로 정의됨2), 즉 상한 최적 BMI의 비율입니다.BMI Prime은 단위와 무관한 무차원 수치입니다.BMI Prime이 0.74 미만인 사람은 저체중, 0.74에서 1.00 사이인 사람은 최적 체중, 1.00 이상인 사람은 과체중입니다.BMI Prime은 사람이 최대 최적 BMI에서 벗어나는 비율(예: 1.36) 또는 비율(예: 136% 또는 36%)로 보여주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BMI 34 kg/m을 가진 사람은 34/25 = 1.36의 BMI Prime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상한 질량보다 36% 초과합니다.동남아시아 및 남중국 인구(국제 § 변이 참조)에서 BMI Prime은 분모의 상한 BMI 25 대신 23을 사용하여 계산해야 합니다.BMI Prime을 사용하면 상한 최적 BMI 값이 다른 모집단을 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66]

허리둘레

허리둘레는 내장지방의 좋은 지표인데, 다른 곳의 지방보다 건강에 더 큰 위험을 가지고 있습니다.미국 국립보건원(NIH)에 따르면, 허리둘레가 남성의 경우 1,020mm(40인치), 여성의 경우 880mm(35인치)를 초과하는 것은 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심혈관 질환 CVD의 높은 위험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허리둘레는 BMI보다 비만과 관련된 질병 위험을 더 잘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시아계와 노인 인구가 이에 해당합니다.[67]남성의 경우 940mm, 여성의 경우 800mm가 "더 높은 위험"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IH 수치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68]

허리와 엉덩이 둘레의 비율도 사용되어 왔지만 허리 둘레만으로는 더 나을 것이 없고 측정이 더 복잡하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69]

관련 지표는 허리둘레를 키로 나눈 것입니다.위험이 증가했음을 나타내는 값은 40세 미만의 경우 0.5 이상, 40-50세의 경우 0.5~0.6 이상, 50세 이상의 경우 0.6 이상입니다.[70][better source needed]

표면 기반 체형 지수

표면 기반 체형 지수(SBSI)는 훨씬 더 엄격하며, 신체 표면적(BSA), 수직 몸통 둘레(VTC), 허리 둘레(WC) 및 신장(H)의 네 가지 주요 측정을 기반으로 합니다.1999-2004년 국민건강 및 인체영양조사(NHANES)의 11,808명의 피험자에 대한 데이터는 SBSI가 BMI, 허리둘레, 그리고 BMI의 대안인 체형지수(ABSI)를 능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71][72]

SBSI라고* 알려진 단순화되고 무차원적인 형태의 SBSI도 개발되었습니다.[72]

수정체질량지수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신경병증과 같은 일부 의학적 맥락에서 혈청 알부민은 변형된 체질량지수(mBMI)를 생성하도록 요소화됩니다.mBMI는 BMI에 혈청 알부민(리터당 그램)을 곱하여 얻을 수 있습니다.[73]

참고 항목

해설서

  1. ^ 예를 들어, 그"Body Mass Index Tab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s NHLB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3-10.
  2. ^ 예를 들어, 사람들이 종종 자신의 몸무게를 로 알고 높이를 발과 인치로 알고 있는 영국에서는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3. ^ a b c d e 라운딩 후에.

참고문헌

  1. ^ a b The SuRF Report 2 (PDF). The Surveillance of Risk Factors Report Series (SuRF).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p. 22.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10-09.
  2. ^ Di Angelantonio E, Bhupathiraju S, Wormser D, Gao P, Kaptoge S, Berrington de Gonzalez A, et al. (August 2016). "Body-mass index and all-cause mortality: individual-participant-data meta-analysis of 239 prospective studies in four continents". Lancet. 388 (10046): 776–86. doi:10.1016/S0140-6736(16)30175-1. PMC 4995441. PMID 27423262.
  3. ^ Eknoyan G (January 2008). "Adolphe Quetelet (1796–1874)--the average man and indices of obesity".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23 (1): 47–51. doi:10.1093/ndt/gfm517. PMID 17890752.
  4. ^ a b c Quetlet A., 인간에 관한 논문과 그 능력의 발전.
  5. ^ Heiberg, Arvid (2006-11-04). "Notes on the History of Normality – Reflections on the Work of Quetelet and Galton". Scandinavian Journal of Disability Research. 8 (4): 232–246. doi:10.1080/15017410600608491.
  6. ^ Blackburn H, Jacobs D (June 2014). "Commentary: Origins and evolution of body mass index (BMI): continuing saga" (PDF).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43 (3): 665–669. doi:10.1093/ije/dyu061. PMID 24691955.
  7. ^ Singer-Vine J (July 20, 2009). "Beyond BMI: Why doctors won't stop using an outdated measure for obesity". Sla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September 2011. Retrieved 15 December 2013.
  8. ^ Keys A, Fidanza F, Karvonen MJ, Kimura N, Taylor HL (July 1972). "Indices of relative weight and obesity". Journal of Chronic Diseases. 25 (6): 329–343. doi:10.1016/0021-9681(72)90027-6. PMID 4650929.
  9. ^ a b "Assessing Your Weight and Health Risk".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December 2014. Retrieved 19 December 2014.
  10. ^ a b c "Defining obesity". NH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December 2014. Retrieved 19 December 2014.
  11. ^ a b "Physical status: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anthropometry. Report of a WHO Expert Committee"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854 (854): 1–452. 1995. PMID 8594834.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07-02-10.
  12. ^ "About Adult BMI Healthy Weight". CDC. 2017-08-29. Retrieved 2018-01-26.
  13. ^ 세계보건기구 2005, pp. 21-22.
  14. ^ "Body Mass Index: BMI for Children and Teens". Center for Disease Contro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10-29. Retrieved 2013-12-16.
  15. ^ Wang Y (2012). "Chapter 2: Use of Percentiles and Z-Scores in Anthropometry". Handbook of Anthropometry. New York: Springer. p. 29. ISBN 978-1-4419-1787-4.
  16. ^ "Health Survey for England: The Health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Archive2.official-documents.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6-25. Retrieved 16 December 2013.
  17. ^ Ogunlade O, Adalumo OA, Asafa MA (2015). "Challenges of body mass index classification: New criteria for young adult Nigerians". Niger J Health Sci. 15 (15:71–4): 71. doi:10.4103/1596-4078.182319. S2CID 132117809.
  18. ^ WHO Expert Consultation (January 2004).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ancet. 363 (9403): 157–163. doi:10.1016/S0140-6736(03)15268-3. PMID 14726171. S2CID 15637224.
  19. ^ "Body weight chart – ideal goal weight chart". Fitness of Body – Health & Wellness 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3-08. Retrieved 2019-04-21.
  20. ^ "肥満って、 どんな状態?" [What is obesity, what kind of state?]. Obesity Homepage (in Japanes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6-28. Retrieved 2013-05-25.
  21. ^ Shiwaku K, Anuurad E, Enkhmaa B, Nogi A, Kitajima K, Shimono K, et al. (January 2004). "Overweight Japanese with body mass indexes of 23.0–24.9 have higher risks for obesity-associated disorders: a comparison of Japanese and Mongolian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28 (1): 152–158. doi:10.1038/sj.ijo.0802486. PMID 14557832.
  22. ^ Kanazawa M, Yoshiike N, Osaka T, Numba Y, Zimmet P, Inoue S (December 2002). "Criteria and classification of obesity in Japan and Asia‐Oceania" (PDF). Asia Pacific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1: S732-7. doi:10.1046/j.1440-6047.11.s8.19.x.: S734
  23. ^ "Body Mass Index (BMI)". Peter Yan Cardiology Clinic. Retrieved 8 July 2021.
  24. ^ "Diabetes: putting people at the heart of services". NIHR Evidence (Plain English summary).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2-07-26. doi:10.3310/nihrevidence_52026. S2CID 251299176.
  25. ^ "Are you at risk of diabetes? Research finds prevention should start at a different BMI for each ethnic group". NIHR Evidence (Plain English summary).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2-03-10. doi:10.3310/alert_48878. S2CID 247390548.
  26. ^ Caleyachetty R, Barber TM, Mohammed NI, Cappuccio FP, Hardy R, Mathur R, et al. (July 2021). "Ethnicity-specific BMI cutoffs for obesity based on type 2 diabetes risk in England: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The Lancet. Diabetes & Endocrinology. 9 (7): 419–426. doi:10.1016/S2213-8587(21)00088-7. PMC 8208895. PMID 33989535.
  27. ^ a b "Who's fat? New definition adopted". CNN. June 17, 199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2, 2010. Retrieved 2010-04-26.
  28. ^ Nuttall, Frank Q. (2015-04-07). "Body Mass Index — Obesity, BMI, and Health: A Critical Review". Nutrition Today. 50 (3): 117–128. doi:10.1097/NT.0000000000000092. PMC 4890841. PMID 27340299.
  29. ^ World Health Organization (January 10, 2004).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PDF). The Lancet. 363 (9403): 157–163. doi:10.1016/s0140-6736(03)15268-3. PMID 14726171. S2CID 1563722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December 10, 2006.
  30. ^ Flegal KM, Kruszon-Moran D, Carroll MD, Fryar CD, Ogden CL (June 2016). "Trends in Obesity Among Adults in the United States, 2005 to 2014". JAMA. 315 (21): 2284–2291. doi:10.1001/jama.2016.6458. PMID 27272580.
  31. ^ "Selected health conditions and risk factors, by age: the United States, selected years"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10-09.
  32. ^ a b "Anthropometric Reference Data for Children and Adults: United States" (PDF). CDC DHHS. 2016.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7-02-02.
  33. ^ "Executive Summary".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The Evidence Report.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eptember 1998. xi–xxx.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03.
  34. ^ Bhaskaran K, Douglas I, Forbes H, dos-Santos-Silva I, Leon DA, Smeeth L (August 2014). "Body-mass index and risk of 22 specific cancers: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f 5·24 million UK adults". Lancet. 384 (9945): 755–765. doi:10.1016/S0140-6736(14)60892-8. PMC 4151483. PMID 25129328.
  35. ^ Jaimes R, Rocco AG (2014). "Multiple epidural steroid injections and body mass index linked with occurrence of epidural lipomatosis: a case series". BMC Anesthesiology. 14: 70. doi:10.1186/1471-2253-14-70. PMC 4145583. PMID 25183952.
  36. ^ Stokes A, Preston SH (December 2015). "Smoking and reverse causation create an obesity paradox in cardiovascular disease". Obesity. 23 (12): 2485–2490. doi:10.1002/oby.21239. PMC 4701612. PMID 26421898.
  37. ^ Jeukendrup A, Gleeson M (2005). Sports Nutrition. Human Kinetics: An Introduction to Energy Production and Performance. ISBN 978-0-7360-3404-3.[페이지 필요]
  38. ^ Barasi ME (2004). Human Nutrition – a health perspective. CRC Press. ISBN 978-0-340-81025-5.[페이지 필요]
  39. ^ Dons E, Rojas-Rueda D, Anaya-Boig E, Avila-Palencia I, Brand C, Cole-Hunter T, et al. (October 2018). "Transport mode choice and body mass index: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evidence from a European-wide study" (PDF). Environment International. 119 (119): 109–116. doi:10.1016/j.envint.2018.06.023. hdl:10044/1/61061. PMID 29957352. S2CID 49607716.
  40. ^ Stampler L. "France Just Banned Ultra-Thin Models". Ti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4-10.
  41. ^ ABC News. "Israeli Law Bans Skinny, BMI-Challenged Models". ABC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2-10.
  42. ^ Flegal KM, Graubard BI, Williamson DF, Gail MH (April 2005). "Excess deaths associated with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JAMA. 293 (15): 1861–1867. doi:10.1001/jama.293.15.1861. PMID 15840860.
  43. ^ Whitlock G, Lewington S, Sherliker P, Clarke R, Emberson J, Halsey J, et al. (March 2009). "Body-mass index and cause-specific mortality in 900 000 adults: collaborative analyses of 57 prospective studies". Lancet. 373 (9669): 1083–1096. doi:10.1016/S0140-6736(09)60318-4. PMC 2662372. PMID 19299006.
  44. ^ Walsh J, Heazlewood IT, Climstein M (July 2018). "Body Mass Index in Master Athletes: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Lifestyle Medicine. 8 (2): 79–98. doi:10.15280/jlm.2018.8.2.79. PMC 6239137. PMID 30474004.
  45. ^ Lim JS, Lee DH, Park JY, Jin SH, Jacobs DR (June 2007). "A strong interac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and obesity on the risk of prevalent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linical Chemistry. 53 (6): 1092–1098. doi:10.1373/clinchem.2006.079814. PMID 17478563.
  46. ^ Romero-Corral A, Montori VM, Somers VK, Korinek J, Thomas RJ, Allison TG, Mookadam F, Lopez-Jimenez F (August 2006). "Association of bodyweight with total mortality and with cardiovascular events in coronary arte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of cohort studies". Lancet. 368 (9536): 666–678. doi:10.1016/S0140-6736(06)69251-9. PMID 16920472. S2CID 23306195.
  47. ^ a b c Romero-Corral A, Somers VK, Sierra-Johnson J, Thomas RJ, Collazo-Clavell ML, Korinek J, et al. (June 2008). "Accuracy of body mass index in diagnosing obesity in the adult general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2 (6): 959–966. doi:10.1038/ijo.2008.11. PMC 2877506. PMID 18283284.
  48. ^ Schneider HJ, Friedrich N, Klotsche J, Pieper L, Nauck M, John U, et al. (April 2010). "The predictive value of different measures of obesity for incident cardiovascular events and mortality".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5 (4): 1777–1785. doi:10.1210/jc.2009-1584. PMID 20130075.
  49. ^ Mørkedal B, Romundstad PR, Vatten LJ (June 2011). "Informativeness of indices of blood pressure, obesity and serum lipids in relation to ischaemic heart disease mortality: the HUNT-II study". European Journal of Epidemiology. 26 (6): 457–461. doi:10.1007/s10654-011-9572-7. PMC 3115050. PMID 21461943.
  50. ^ "Aim for a Healthy Weight: Assess your Risk".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July 8,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December 2013. Retrieved 15 December 2013.
  51. ^ Kronmal RA (1993). "Spurious correlation and the fallacy of the ratio standard revisited".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156 (3): 379–392. doi:10.2307/2983064. JSTOR 2983064.
  52. ^ a b Strings, Sabrina (2019). Fearing the black body : the racial origins of fat phobia. New York University Press. ISBN 978-1-4798-9178-8. OCLC 1256003500.
  53. ^ Taylor RS (May 2010). "Letter to the editor". Paediatrics & Child Health. 15 (5): 258. doi:10.1093/pch/15.5.258. PMC 2912631. PMID 21532785.
  54. ^ Bonderud D (9 September 2023). "What is the Ponderal Index?". The Health Board.
  55. ^ Sperrin M, Marshall AD, Higgins V, Renehan AG, Buchan IE (September 2016). "Body mass index relates weight to height differently in women and older adults: serial cross-sectional surveys in England (1992-2011)". Journal of Public Health. 38 (3): 607–613. doi:10.1093/pubmed/fdv067. PMC 5072155. PMID 26036702.
  56. ^ Brody JE (31 August 2010). "Weight Index Doesn't Tell the Whole Truth".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7.
  57. ^ Diverse Populations Collaborative Group (September 2005). "Weight-height relationships and body mass index: some observations from the Diverse Populations Collaboration".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128 (1): 220–229. doi:10.1002/ajpa.20107. PMID 15761809.
  58. ^ Levitt DG, Heymsfield SB, Pierson RN, Shapses SA, Kral JG (September 2007). "Physiological models of body composition and human obesity". Nutrition & Metabolism. 4: 19. doi:10.1186/1743-7075-4-19. PMC 2082278. PMID 17883858.
  59. ^ "Why BMI is inaccurate and misleading". Medical News Today. 25 August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7-23.
  60. ^ "BMI: is the body mass index formula flawed?". Medical News Toda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7-23.
  61. ^ Lewis T (22 August 2013). "BMI Not a Good Measure of Healthy Body Weight, Researchers Argue". LiveScienc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7-21.
  62. ^ Campos P, Saguy A, Ernsberger P, Oliver E, Gaesser G (February 2006). "The epidemiology of overweight and obesity: public health crisis or moral panic?".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5 (1): 55–60. doi:10.1093/ije/dyi254. PMID 16339599.
  63. ^ Ditmier, Lawrence F. (2006). New Developments in Obesity Research. Hauppauge,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ISBN 1-60021-296-4.[페이지 필요]
  64. ^ v Roth, Jonathan (2018). "Taller people should have Higher BMI's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s as their Normal" (PDF). Biomed J Sci & Tech Res. 6 (4). doi:10.26717/BJSTR.2018.06.001381.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10-09.
  65. ^ Trefethen N. "New BMI (Body Mass Index)". Ox.ac.uk. Mathematical Institute, University of Oxford. Retrieved 5 February 2019.
  66. ^ Gadzik J (February 2006). ""How much should I weigh?"--Quetelet's equation, upper weight limits, and BMI prime". Connecticut Medicine. 70 (2): 81–88. PMID 16768059.
  67. ^ "Obesity Education Initiative Electronic Textbook - Treatment Guidelines".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7. Retrieved 29 July 2016.
  68. ^ "Why is my waist size important?". UK HNS Choic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ugust 2016. Retrieved 29 July 2016.
  69. ^ "Waist Size Matters".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2012-1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ugust 2016. Retrieved 29 July 2016.
  70. ^ HospiMedica International staff writers (18 Jun 2013). "Waist-Height Ratio Better Than BMI for Gauging Mortal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April 2016. Retrieved 7 April 2016.
  71. ^ Pomeroy R (29 December 2015). "A New Potential Replacement for Body Mass Index RealClearScience". www.realclearscienc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1-01. Retrieved 2015-12-31.
  72. ^ a b Rahman SA, Adjeroh D (2015). "Surface-Based Body Shape Index and Its Relationship with All-Cause Mortality". PLOS ONE. 10 (12): e0144639. Bibcode:2015PLoSO..1044639R. doi:10.1371/journal.pone.0144639. PMC 4692532. PMID 26709925.
  73. ^ Tsuchiya A, Yazaki M, Kametani F, Takei Y, Ikeda S (April 2008). "Marked regression of abdominal fat amyloid in patients with familial amyloid polyneuropathy during long-term follow-up after liver transplantation". Liver Transplantation. 14 (4): 563–570. doi:10.1002/lt.21395. PMID 18383093. S2CID 13072583.

추가열람

  • Ferrera LA, ed. (2006). Focus on Body Mass Index And Health Research. New York: Nova Science. ISBN 978-1-59454-963-2.
  • Samaras TT, ed. (2007). Human Body Size and the Laws of Scaling: Physiological, Performance, Growth, Longevity and Ecological Ramifications. New York: Nova Science. ISBN 978-1-60021-408-0.
  • Sothern MS, Gordon ST, von Almen TK, eds. (19 April 2016). Handbook of Pediatric Obesity: Clinical Management (Illustrated ed.). CRC Press. ISBN 978-1-4200-1911-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