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브록솔

Ambroxol
암브록솔
Ambroxol structural formulae.png
Ambroxol ball-and-stick.png
임상자료
AHFS/Drugs.com국제 마약 이름
ATC 코드
법적현황
법적현황
식별자
  • trans-4-(2-아미노-3,5-디브롬벤질아미노)-사이클로헥산올
CAS 번호
펍켐 CID
켐스파이더
유니
케그
켐벨
CompTox 대시보드 (EPA)
ECHA InfoCard100.038.621 Edit this at Wikidata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공식C13H18BR2N2O
어금질량378.10 g·190−1
3D 모델(JSmol)
  • O[C@H]2CC[C@H](NCC1cc(Br)cc(Br)c1N)CC2
  • InChi=1S/C13H18Br2N2O/c14-9-5-8(13(16)12(15-6-9)7-17-10-1-3-11(18)4-2-10/h5-6,10-11,17-18H,1-4,16H2/t-10,11 checkY)
  • 키:JBDGDEWWWOUBZPM-XYPYZODXSA-N checkY
☒NcheckY (이게 뭐야?) (iii)

암브록솔가래를 분해하는 약으로, 점액이나 과다한 점액과 관련된 호흡기 질환 치료에 쓰인다.암브록솔은 종종 기침 시럽의 활성 성분으로 투여된다.

1966년에 특허를 받았으며 1979년에 의학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

의학적 용법

암브록솔은 "이상 점액 분비 및 점액 운반 장애와 관련된 기관지 심폐 질환에서 분비물 요법"으로 알려져 있다.'점액 간극을 촉진하고, 기침을 용이하게 하며, 생산적인 기침을 완화시켜 환자가 자유롭고 깊게 숨을 쉴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2]

일본의 암브록솔 염산염제

1978년 첫 번째 마케팅 허가 이후 개발된 많은 다른 공식들이 있다.Ambroxol은 시럽, 정제, 파스티유, 드라이 파우더 사체, 흡입 용액, 방울, 앰플뿐만 아니라 활력 있는 알약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Ambroxol은 또한 급성 인후염의 통증 완화를 제공한다.인후통증은 급성 인두염의 특징이다.[3]인후염은 보통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감염은 스스로 제한되며 며칠 후 환자는 정상적으로 회복된다.환자가 가장 괴롭히는 것은 삼킬 때 목의 지속적인 통증이 극대화된 것이다.따라서 치료의 주된 목표는 고통을 줄이는 것이다.인후염을 치료하는 암브록솔의 주요 성질은 1970년대 후반에 처음 설명되었으나 보다 최근의 연구에서 설명하고 확인되었다.[4][5]

부작용

현재까지 현장검사에서 암브록솔의 구체적인 금기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위궤양 환자에게는 주의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임신 초기 3개월 동안에는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6]

작용기전

점액의 막에, 점액 생산 촉진, 유형 IIpneumocytes에 의해 계면 활성제의 합성 및 배출을 자극 가래를 차단 등을 포함한 물질 행위, 여러 메커니즘을 통해 호흡기(는 신체의 자연 방어 기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의 생리적 간격 장치 회복을 하다.[7][8]계면활성제는 기관지 벽에 점액의 유착을 감소시키고, 운반 능력을 향상시키며, 감염과 자극제로부터 보호해 줌으로써 유광방지 인자의 역할을 한다.[9][10]

Ambroxol은 뉴런 Na+ 채널의 강력한 억제제다.[11]이 재산은 암브록솔 20mg이 함유된 로젠지를 개발하게 되었다.많은 첨단 임상 연구들이[3] 급성 인후염의 통증 완화에 있어 암브록솔의 효능을 입증했으며, 그 효과는 최소 3시간 이상 지속된다.암브록솔 역시 항염증이라 목의 홍조를 줄여준다.

암브록솔은 최근 리소솜 효소 글루코세레브로시디아제의 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때문에 고셔병과 파킨슨병 모두에 유용한 치료제가 될 수 있다.[12]

암브록솔이 산성 세포 칼슘 저장소에서 칼슘을 방출해 리소좀의 엑소시토스를 유발한다는 사실도 최근 밝혀졌다.이것은 암브록솔이 리소솜으로 확산되고 리소솜 pH 중성화에 의해 발생한다.[8]이 메커니즘은 약물의 점액 효과에 책임이 있을 가능성이 가장 크지만, 고셔와 파킨슨병에서 보고된 활동을 설명할 수도 있다.

암브록솔과 그 모제인 브롬헥신 둘 다 여러 종류의 세포에서 자가포진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암브록솔은 숙주 유도 효과를 통해 결핵 모델에서 리팜피신 요법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14]Ambroxol은 또한 광범위한 항생제의 폐 수치를 향상시킨다.[15]암브록솔은 아직 행동 메커니즘을 알 수는 없지만 베로 E6 세포에서 사스 CoV2에 대한 활동도 했다.[16]

브랜드명

무키클라(이탈리아), 무코솔반, 무코브록스(스페인), 비솔본(호주와 스위스), 무콜, 라솔반, 무코앙긴, 수르브론크, 브론텍스(리투아니아), 암브로(카자흐스탄), 암볼라, 리소파인 등의 활성 성분이다.

참조

  1. ^ Fischer, Jnos; Ganellin, C. Robin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John Wiley & Sons. p. 544. ISBN 9783527607495.
  2. ^ Malerba M, Ragnoli B (August 2008), "Ambroxol in the 21st century: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update", Expert Opin Drug Metab Toxicol, 4 (8): 1119–29, doi:10.1517/17425255.4.8.1119, PMID 18680446, S2CID 72361856
  3. ^ a b de Mey C, et al. (2008), "Efficacy and safety of ambroxol lozenges in the treatment of acute uncomplicated sore throat", Arzneimittelforschung, 58 (11): 557–68, doi:10.1055/s-0031-1296557, PMID 19137906
  4. ^ Püschmann S, Engelhorn R (1978). "[Pharmacological study on the bromhexine metabolite ambroxol (author's transl)]". Arzneimittel-Forschung. 28 (5a): 889–98. PMID 581987.
  5. ^ Klier KF, Papendick U (December 1977). "[The local anesthetic effect of NA872-containing eyedrops]". Medizinische Monatsschrift. 31 (12): 575–8. PMID 593223.
  6. ^ "Ambroxol". Drugs.com. Retrieved 21 January 2014.
  7. ^ Seifart C, Clostermann U, Seifart U, Müller B, Vogelmeier C, von Wichert P, Fehrenbach H (February 2005). "Cell-specific modulation of surfactant proteins by ambroxol treatment".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203 (1): 27–35. doi:10.1016/j.taap.2004.07.015. PMID 15694461.
  8. ^ a b Fois G, Hobi N, Felder E, Ziegler A, Miklavc P, Walther P, Radermacher P, Haller T, Dietl P (December 2015). "A new role for an old drug: Ambroxol triggers lysosomal exocytosis via pH-dependent Ca2+ release from acidic Ca2+ stores". Cell Calcium. 58 (6): 628–37. doi:10.1016/j.ceca.2015.10.002. PMID 26560688.
  9. ^ Sanderson RJ, Paul GW, Vatter AE, Filley GF (September 1976). "Morphological and physical basis for lung surfactant action". Respiration Physiology. 27 (3): 379–92. doi:10.1016/0034-5687(76)90066-9. PMID 989610.
  10. ^ Kido H, Okumura Y, Yamada H, Mizuno D, Higashi Y, Yano M (November 2004). "Secretory leukoprotease inhibitor and pulmonary surfactant serve as principal defenses against influenza A virus infection in the airway and chemical agents up-regulating their levels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Biological Chemistry. 385 (11): 1029–34. doi:10.1515/bc.2004.133. PMID 15576322. S2CID 43633056.
  11. ^ Weiser T (March 2006).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four Na+ channel analgesics on TTX-resistant Na+ currents in rat sensory neurons and recombinant Nav1.2 channels". Neuroscience Letters. 395 (3): 179–84. doi:10.1016/j.neulet.2005.10.058. PMID 16293367. S2CID 45844891.
  12. ^ McNeill A, Magalhaes J, Shen C, Chau KY, Hughes D, Mehta A, Foltynie T, Cooper JM, Abramov AY, Gegg M, Schapira AH (May 2014). "Ambroxol improves lysosomal biochemistry in glucocerebrosidase mutation-linked Parkinson disease cells". Brain. 137 (Pt 5): 1481–95. doi:10.1093/brain/awu020. PMC 3999713. PMID 24574503.
  13. ^ Choi SW, Gu Y, Peters RS, Salgame P, Ellner JJ, Timmins GS, Deretic V (July 2018). "Ambroxol induces autophagy and potentiates Rifampin antimycobacterial activity".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62 (9): AAC.01019–18. doi:10.1128/AAC.01019-18. PMC 6125555. PMID 30012752.
  14. ^ Chauhan S, Ahmed Z, Bradfute SB, Arko-Mensah J, Mandell MA, Won Choi S, et al. (October 2015). "Pharmaceutical screen identifies novel target processes for activation of autophagy with a broad translational potential". Nature Communications. 6: 8620. Bibcode:2015NatCo...6.8620C. doi:10.1038/ncomms9620. PMC 4624223. PMID 26503418.
  15. ^ Deretic, Vojo; Timmins, Graham S. (2019). "Enhancement of lung levels of antibiotics by ambroxol and bromhexine". Expert Opinion on Drug Metabolism & Toxicology. 15 (3): 213–218. doi:10.1080/17425255.2019.1578748. PMC 6947664. PMID 30721101.
  16. ^ Ambroxol과 ciprofloxacin은 Vero E6 세포에서 SARS CoV2에 대항하여 활동한다.Bradfute et al BioRxiv https://www.biorxiv.org/content/10.1101/2020.08.11.245100v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