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미국 원정대

United States expedition to Korea
한국 원정대
Sujagi.jpg
1871년 6월 USS 콜로라도호에서 나포된 스자기는
날짜.1871년 6월 1일~7월 3일
위치좌표:37°42°00°N 126°26°00°E/37.7000°N 126.4333°E/ 37.7000, 126.4333
결과

탐험[1] 실패

  • 미군의 철수
  • 한국은 고립주의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교전국
미국 조선
지휘관 및 리더
  • 650명
  • 프리깃함 1척
  • 슬루프 오브 워(sloops-of-war) 2개
  • 건보트 2대
  • 팔백 명
  • 포 40문
  • 6 포트
  • 쇼어 배터리x 4
사상자 및 손실
  • 3명 사망
  • 부상자 10명
  • 건보트 1대 손상
  • 243명 사망 (미국 추정)[2]
  • 최대 350명 사망 (한국 추정,[2] 익사자 포함)
  • 20장 캡처(나중에 해방)
  • 포병 40문 생포
  • 5개의 요새가 파괴됨
  • 요새 1개 손상
  • 해안 배터리 4개 파괴
주한 미국 원정대
한글
신미양요
한자
辛未洋擾
개정된 로마자 표기법신미양요
맥쿤-라이샤우어신미양요

한국에선 신미양요(新美陽 ()로 알려진 미국 원정대는 1871년 신미년 서방의 난동(1871년)으로 알려진 최초의 한국 군사작전으로 주로 강화도와 그 주변에서 벌어졌다.

주한 미국대사 프레데릭 로우(Frederick Low)가 이끄는 한반도와의 무역 및 정치적 관계를 협상하기 위해 파견된 미국 외교사절단을 지원하여 방문 중 실종된 제너럴 셔먼(General Sherman)의 생사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1866년에 한국에 왔다.하지만, National Interest 기사에 따르면, 로우 자신의 기록에 따르면, 징벌 캠페인은 그가 약소국으로 간주하는 나라에 대한 미국의 힘을 과시하기 위한 필요성에 의해 동기부여가 되었다고 한다.이전에 미군 사령관들은 중무장한 군함을 사용하여 "평화롭게" 한국 영해에 들어와 조사와 교역을 할 수 있다고 느꼈고 한국의 [3]주권을 존중해 달라는 거듭된 외교적 요청을 무시해 왔다.

1871년 미국은 로우를 미 해군 아시아 함대와 함께 한국에 보내 셔먼호의 실종을 조사하고 무역 관계를 열도록 설득했다.그러나 한국 관리들은 로우에게 무역 조약에 관심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6월 1일 한국의 해안 포대가 한강 하류에서 두 척의 미국 군함을 공격했을 때 로우 사령관은 한국인들이 강변 매복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하지 않았다면 이 요새들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그러나 한국 관리들은 불법으로 무장한 군함을 영해로 들여보냄으로써 자국의 법을 어긴 것에 대한 책임을 묻는 서한을 보냈고 마침내 로우에게 제너럴 셔먼호에게 유사한 일이 일어났다는 것을 설명했다.강화의 주지 또한 소 세 마리와 닭 오십 마리와 계란 천 개 등 로우에게 "소량의 가치 없는 물건"이라고 묘사했던 물건들을 보내서 그것들을 완화시키려 했다.미국인들은 그 제안을 거절했다.대신 지휘하는 미군 제독이 한국인들로부터 그들이 [4]빚졌다고 느낀 공식적인 사과를 받지 못하자 징벌적인 캠페인이 시작되었다.조선 정부의 고립주의적 성격과 한국의 정해진 정책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미국인들의 제국주의적 성격은 외교 원정을 [5]무력 충돌로 변화시켰다.

6월 10일, 약 650명의 미군이 상륙하여 여러 요새를 점령하였고, 강화 전투에서 200명 이상의 한국군이 전사하고 단 3명의 미군만 사망했다.로우는 이번 승리 이후 한국이 양보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대신 협상이나 한국 외교관과의 만남은 없을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인질들을 활용하는 데 실패했고 더 크고 더 잘 갖춰진 한국 [6]증원군 소식을 접한 로우는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병력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철수를 선택했다.1876년 한일조약이 한국의 고립주의를 강제 종식시킨 지 [2]6년이 지난 1882년에야 양국 간 무역협정이 체결되었다.

초기 연락처

탐험대는 콜로라도, 알래스카, 팔로스, 모노캐시, 베니시아 5척의 [7]군함뿐만 아니라 약 650명의 선원과 100명의 해병대원으로 구성되었다.콜로라도에 승선한 사람은 존 로저스 해군 소장과 프레데릭 F. 로우,[8][9] 주중 미국 대사입니다."호랑이 사냥꾼"으로 알려진 한국군은 어재연 장군이끌었다.

미국인들은 " 옷을 입은 사람들"로 묘사되는 교민들과 안전하게 접촉했다.그들이 제너럴 셔먼 사건에 대해 질문했을 때, 한국인들은 표면적으로 어떠한 보상도 받지 않기 위해 처음에는 이 주제에 대해 논의하기를 꺼렸다.이에 따라 미국인들은 한국 함대가 이 지역을 탐험할 것이며, 아무런 해를 끼칠 의도는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이 제스처는 잘못 해석되었다; 당시 한국의 정책은 외국 선박의 한강 항해를 금지했다. 왜냐하면 그것은 바로 수도인 오늘날의 서울까지 이어졌기 때문이다.따라서 조선 정부는 미국의 요청을 거절했다.하지만, 조선 정부의 거절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10]항해했다.

6월 1일, 한국의 요새는 강화해협을 따라 강을 향해 항해하던 미군 함대를 향해 발포했다.미군은 "15분 동안 매우 뜨거웠지만 사격 방향이 잘못되어 결과적으로 [11]효과가 없었다"는 이유로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미국은 10일 이내에 사과를 요구했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어서 로저스는 [9]요새에 대한 징벌적 공격을 결정했다.

강화 전투

6월 10일 펠리스 베토에 의해 덕진 요새를 점령한 후 미군 병사들.

6월 10일, 미군은 살레강을 따라 강화에 있는 초지 수비대를 공격했다.한국인들은 매치록 머스킷총과 대포와 같은 심하게 구식 무기들로 무장하고 있었다.빠르게 점령당한 후, 미군은 그들의 다음 목표인 덕진 기지로 이동했다.허술한 무장을 한 한국군은 미국의 12파운드 포탄에 의해 유효사거리 밖에 배치되지 않았다.미군은 버려진 다음 목표인 덕진 요새를 향해 계속 나아갔다.수병과 해병대는 이 요새를 빠르게 허물고 성채광성 수비대로 계속 갔습니다.이때쯤 한국군은 그곳에 다시 집결했다.도중에 일부 한국군 부대는 미군의 측면을 공격하려 했으나 두 언덕에 포병을 배치하는 전략적인 이유로 다시 격퇴당했다.

미군의 공격에 대비해 지상군과 모노캐시 해안에서 포격이 성채를 강타했다.546명의 해군과 105명의 해병대 병력이 요새 서쪽 언덕에 집결했다(영아부대는 요새 서쪽 언덕에 있었고, 다른 언덕의 포병부대는 요새를 포격하고 미군 측면과 후방을 엄호했다).폭격이 멈추자 미군은 휴 맥키 중위가 이끄는 요새를 급습했다.한국 성냥갑의 느린 재장전 시간은 우수한 레밍턴 밀대 카빈으로 무장한 미군이 벽을 넘어가는 데 도움을 주었고, 한국군은 공격자들에게 돌을 던지기도 했다.

맥키는 맥키를 [12]죽인 한국 군인을 쏜 윈필드 스콧 슐리 사령관이 온 후 가장 먼저 성채에 들어갔고 사타구니에 총을 맞아 치명상을 입었다.한국인들이 "수지기"라고 부르는 한국 사령관 어재연 장군의 깃발은 콜로라도 경비대찰스 브라운 상병과 알래스카 [13]경비대의 휴 퍼비스 일병에 의해 포획되었다.어 장군은 제임스 도허티 [14]일병에 의해 살해당했습니다콜로라도의 선원들과 해병대기수 역할을 하는 동안, 콜로라도 카펜터 사이러스 헤이든은 적의 집중 포화를 받으며 성조기를 성벽에 꽂았다.브라운 상병, 도허티 상병, 퍼비스 상병, 헤이든 카펜터는 명예 훈장을 받았다.

싸움은 15분 동안 계속되었다.사망자는 한국인 243명, 미국인 3명(맥키, 세스 앨런, 미 해병대 데니스 한라한 [15]일병)으로 10명이 부상하고 20명이 생포됐으며 이중 몇 명이 부상했다.총 다섯 개의 한국 요새가 함락되었고, 수십 개의 다양한 소형 [16][17]대포가 있었다.생포된 [18]부상자 중에는 한국군 부사령관도 포함돼 있었다.미국은 피랍자들을 현지 관리들과 만날 수 있는 협상 카드로 사용하기를 원했지만, 한국인들은 피랍자들을 겁쟁이라고 부르며 "그가 부상당한 포로를 잡아두는 것을 환영한다고 들었다"며 거절했다.하지만 미국인들은 [19]죄수들을 풀어주었다.

6월 10일부터 12일까지의 군사 작전 이후,[20][21] 미국 아시아 비행대는 중국으로 출발[clarification needed] 7월 3일까지 작약섬의 정박지에 머물렀다.

여파

미국은 그들의 승리가 한국인들로 하여금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도록 설득할 수 있기를 바랐었다.그러나 한국인들은 협상을 거부했다.사실, 이러한 사건들은 섭정 대원군이 고립 정책을 강화하고 외국인들을 [22]달래는 것에 반대하는 국가적인 포고문을 발표하게 만들었다.게다가, 한국군은 곧 현대 무기로 무장한 많은 수의 지원군을 미군과 대치하기 위해 보냈다.승산이 바뀌었다는 것을 깨달은 미 함대는 결국 [6]7월 3일 출항하여 중국으로 향했다.

외국 선박에 대한 더 이상의 공격은 없었다.1876년 일본 선박들이 강화도에 접근해 서울에 발포하겠다고 위협하자 한국은 일본과 무역협정을 맺었다.유럽 국가 및 미국과의 조약이 곧 뒤따랐다.

9명의 선원(쿼터마스터 그레이스 수석, 쿼터마스터 트로이, 프랭클린, 로저스, 보츠와인 동료 맥켄지, 일반 선원 앤드류스, 카펜터 헤이든, 랜즈맨 루크와 머튼)과 6명의 해병대(코퍼 브라운, 더그허티, 맥남 오웬스)

수교 통상 조약

1882년 4월부터 5월까지 로버트 W 제독으로 대표되는 미국. 미국 해군의 슈펠트와 한국은 14개조의 [23]조약을 협상하고 승인했다.이 조약은 공격 [24]시 상호 우호와 상호 원조를 확립하였으며, 주한[25] 미국인에 대한 치외법권 및 가장 선호하는 국가 무역 [26]현황과 같은 구체적인 사항들을 다루었다.

이 조약은 1910년 한일합방 때까지 유효했다.

갤러리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사실: 미국이 한국에서 처음 전쟁을 시작한 1871년, "미 함대는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채 7월 1일 일본으로 돌아갔습니다.강화의 국군은 참패했지만 조국은 의지의 싸움에서 승리했다.
  2. ^ a b c 사실: 1871년 미국이 처음으로 한국에서 전쟁을 일으켰다, 국익
  3. ^ Roblin, Sebastien (18 January 2018). "In 1871, America 'Invaded' Korea. Here's What Happened". The National Intere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November 2020. Retrieved 14 April 2021.
  4. ^ Rights to Protect Citizens in Foreign Countries by Landing Force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12. p. 5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April 2021. Retrieved 14 April 2021.
  5. ^ Hwang, Kyung Moon, ed. (2019), "The General Sherman Incident of 1866", Past Forward: Essays in Korean History, Anthem Press, pp. 170–171, ISBN 978-1-78308-88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pril 2021, retrieved 15 April 2021
  6. ^ a b "TWE Remembers: The Korean Expedition of 1871 and the Battle of Ganghwa (Shinmiyangyo)".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pril 2021. Retrieved 15 April 2021.
  7. ^ 선박의 수는 Lee(1984), 페이지 264에 의해 확인된다.
  8. ^ 리(1984년), loc. cit.
  9. ^ a b 미국 의회 도서관 웹 아카이브에 보관된 콜로라도 사본(2012년 10월 4일 보관).미국 해군 전투함 사전
  10. ^ Korean History Dictionary Compilation Society (10 September 2005). "신미양요". terms.naver.com (in Kore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ne 2021. Retrieved 6 June 2021.
  11. ^ "2020년 9월 20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존 로저스 해군 소장의 보고서"해군장관과 우체국장관의 보고서.워싱턴: 관공서. 1871. 페이지 277.
  12. ^ 렉싱턴 모닝 헤럴드 1897년 11월 28일
  13. ^ 1871년 6월 16일 맥레인 틸튼 선장의 대한 해군장관 보고
  14. ^ L.A. 킴벌리(USN) 사령관이 1871년 7월 5일 해군장관에게 보고
  15. ^ 1871년 6월 23일, 존 로저스 제독으로부터 코레아 해군 장관에게 파견
  16. ^ 나름(1996), 페이지 149.
  17. ^ 해군 소장 존 로저스, 일반 명령 제32호, 1871년 6월 12일
  18. ^ <한국전쟁> 뉴욕타임스 제20권 제6215호, 1871년 8월 22일
  19. ^ Kim Young-Sik, PhD. "Association for Asia Research- The early US-Korea relations". Asianresearch.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15. Retrieved 18 July 2014.
  20. ^ 1871년 7월 5일 해군 장관에게 존 로저스 해군 제독의 보고
  21. ^ 1871년 6월 10일부터 1871년 7월 3일까지 콜로라도호, 알래스카호, 베니샤호, 모노캐시호팔로스호의 갑판 로그
  22. ^ 남(1986), 페이지 149-150; 리(1984), 페이지 266.
  23. ^ 영호 정외 (2000).구글북스의 한국 전통 자료(235쪽, 235쪽), 발췌: "한국은 미국과 유사한 협정체결했고, 그 다른 서방 국가들과 유사한 협정을 체결하였다; 워싱턴 D. 1922-C. 한국대표부는 1921년 워싱턴 D.구글북스에서 열린 군비제한회의에 대한 한국의 호소(29페이지, 29페이지)는 "미국과 한국의 대우와 외교관계"를 발췌했다.1882년 5월 22일 우호통상항해조약.
  24. ^ 한국미션코리아 구글북스에서 열린 군비제한회의에 대한 호소, 페이지 29, 페이지 29, 발췌, "...제1조.
  25. ^ 구글북스 한국선교단 페이지 29, 페이지 29, 발췌문 "제4조.
  26. ^ 구글북스 한국선교단 페이지 29, 페이지 29, 발췌문 "제14조.
  27. ^ [같은 장면의 유사한 버전은 [1] 2021년 9월 26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됨]

레퍼런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