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뢰 스패치
Torpedo scad어뢰 스패치 | |
---|---|
과학적 분류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클래스: | 악티노프테르기 |
주문: | 카랑기목 |
패밀리: | 카랑과 |
서브패밀리: | 카랑기아과 |
속: | 메가라스피스 블리커, 1851년 |
종류: | 코딜라속 |
이항명 | |
메갈라스피스코딜라 | |
어뢰 스캐드의 대략적인 범위 | |
동의어[2] | |
어뢰스캐드(Megalaspis cordyla)는 꽁치스캐드(hardtail scad), 꽁치스캐드(finny scad), 꽁치스캐드(finleted trate scad), 꽁치스캐드(cordyla scad)로 알려진 중간 크기의 대형 해양 물고기의 일종이다.어뢰 스캐드는 서쪽의 남아프리카에서 동쪽의 통가까지, 북쪽의 일본, 남쪽의 호주까지 이르는 열대 인도-태평양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연안 및 연안 해양의 표층을 모두 차지하는 군생 원양어입니다.어뢰 스패드는 '토프도' 모양의 본체와 배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 뒤에 있는 일련의 분리된 핀릿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기록된 가장 큰 개체는 길이 80cm, 몸무게 4kg이었지만, 몸길이는 40cm 미만에서 더 흔하다.포식성 종으로 다양한 어류, 두족류, 갑각류 등을 먹이로 삼는다.그 종이 성장함에 따라 식생활의 변화가 있다; 그러나 물고기는 모든 크기의 종에서 지배적인 먹이이다.어뢰패드는 암컷이 22cm, 수컷이 26.4cm로 성적으로 성숙하며, 3~7월 인도에서 산란이 일어나며, 유충 성장과 형태측정학에 대한 중요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어뢰 스캐드는 인도를 포함한 인도-태평양 전역의 어업에서 매우 중요하다.통계자료(인도 제외)에 따르면 연간 어획량은 1997년 7만t에서 2007년 10만7000t으로 증가했다.이 데이터에서 이 종의 주요 사용자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이다.어뢰 스패드는 종종 낚시꾼들이 가져가지만, 그것은 단지 한계 테이블 요금으로 간주되고 때때로 미끼로 사용됩니다.
분류 및 계통발생
어뢰스패드는 카랑기과의 30개 속 중 하나인 메갈라스피스속(Megalaspis)의 유일한 속이며, 카랑기목(Carangiformes)[3]의 일부입니다.
이 종은 현대 분류학의 아버지로 널리 알려진 유명한 스웨덴 박물학자 칼 린네에 의해 [4]과학적으로 처음 기술되었다.린네가 묘사한 표본은 "아메리카"에서 온 것으로 잘못 묘사되었으며, 이 종의 [5]완모형은 알려져 있지 않다.로널드 프릭은 1999년 이 종의 신형을 지정했지만 ICZN [6]규정을 충족하지 못해 거부당했다.린네는 이 물고기를 진정한 고등어속으로 분류하면서 Scomber cordyla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것은 카랑과가 인정되기 전에는 흔한 관행이었다.구체적인 별명은 라틴어로 "고등어"[7] 또는 "젊은 참치"[8]를 의미한다.1793년 마커스 엘리저 블로흐가 스콤버 로틀레리라는 이름을 붙였고, [5]1874년까지 몇 번의 명칭 변경과 명칭이 있었다.1851년 피터 블리커는 스콤버 로틀레를 "큰 스쿠트"[9]라는 뜻의 메갈라스피스속으로 재지정했다.로틀레리가 코딜라의 하위 대명사라는 것이 밝혀졌을 때, 그 종의 이름은 마침내 메갈라스피스 코딜라로 옮겨졌고, 지금까지 남아 있다.M. cordyla는 다양한 일반적인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가장 흔한 것은 어뢰스캐드이며, 때로는 딱딱한 꼬리스캐드, 작은스캐드, 작은스캐드, 작은스캐드, 작은스캐드 등이 사용된다.그 종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2] 그것은 또한 많은 영어 이외의 일반적인 이름들을 가지고 있다.
카랑기과의 관계는 1986년 소코 구시켄의 카랑기과의 계통 발생에 관한 논문에서 평가되었다.그것은 카랑기니 [10]부족의 세 개의 다른 군락 중 하나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었다.어뢰 스캐드는 카랑가과의 향후 유전자 계통학 연구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묘사
어뢰 스패드는 중간 크기의 물고기로 최대 80cm, 무게 [2]4kg까지 자라지만 30~[2]40cm 사이에서 더 흔하다.길이가 80cm를 [11]넘는 경우는 드물다.이 종은 종종 참치, 고등어, 그리고 다른 카랑이드와 표면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가진 다소 특이한 체형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몸은 가늘고 아원통형으로 꼬리와 꼬리지느러미를 향해 매우 압축되며, 꼬리지느러미에 [11]용골 중앙이 표시된다.물고기의 등쪽과 배쪽의 윤곽은 거의 볼록하며, 두 윤곽은 뾰족한 [9]코에서 교차한다.두 개의 별도의 등지느러미가 있는데, 첫 번째 지느러미는 중간 정도의 높이의 8개의 가시로 이루어져 있고, 두 번째 지느러미는 18~20개의 부드러운 [12]광선이 뒤따른다.항문 지느러미는 두 개의 앞쪽으로 분리된 가시와 16 또는 17개의 부드러운 광선에 연결된 단일 척추로 구성됩니다.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양쪽에서 뒷부분 7~10개의 광선이 분리되어 일련의 진단용 [9]핀릿을 형성한다.가슴지느러미는 강하게 움푹 패이고, 두 번째 등지느러미의 원점을 넘어 확장됩니다.측면 선은 첫 번째 [11]등지느러미의 네 번째 또는 다섯 번째 척추 아래에 수직으로 구부러진 부분과 곧은 부분의 교차점이 있는 짧은 길이에 걸쳐서 앞으로 강하게 아치형이다.횡선의 곡선 부분은 21~29개의 눈금이 있는 반면, 직선 부분은 51~59개의 매우 큰 [13]스쿠트가 있습니다.가슴은 가슴 지느러미 밑부분까지의 거리의 약 3분의 1에 이르는 삼각형 패치에 비늘이 없다.눈은 눈을 거의 완전히 덮는 잘 발달된 지방 눈꺼풀을 가지고 있다.위턱에는 작은 융모 모양의 치아가 있으며, 일부 외치아는 적당히 커진 반면 아래턱에는 작은 치아가 한 줄로 나 있다.26에서 32개의 아가미 제거기와 24개의 [9][11]척추뼈가 있다.
이 종의 후각 기관과 시상하부 신경 분비 시스템은 인도 과학 [14][15]문헌에 광범위하게 기술되어 있다.또한 주목할 만한 것은 인도에서 [16]온 심하게 기형적인 개인이 성숙기를 지나 생존했다는 보고서이다.
어뢰의 스패드는 위쪽이 푸르스름한 회색에서 녹색으로 변하며 옆구리와 배 부분이 은백색으로 변한다.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옅은 노란색을 띠며 바깥쪽 가장자리가 거무스름해진다.가슴지느러미와 골반지느러미도 어둑어둑한 윗부분이 있는 반면, 꼬리지느러미는 특히 앞부분과 뒷부분이 어둡다.수술부에 [9][11]큰 검은 점이 있다.
분포 및 서식
어뢰 스캐드는 인도양과 [11]서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한다.서쪽에서, 이 종은 동아프리카 해안선을 따라 남아프리카의 북쪽 끝에서 페르시아만과 홍해까지 분포한다.이 물고기의 기록은 몰디브, 세이셸, 마다가스카르를 [2]포함한 대부분의 인도양 섬에서 흔히 볼 수 있다.이 종은 인도와 아시아의 해안선을 따라 북쪽으로 중국과 한국 본토까지 뻗어 있다.중앙 인도-태평양과 인도네시아 [2]군도에 많이 분포하며,[13] 북쪽의 대만과 일본까지 분포한다.호주 주변에서는 서해안의 프리만틀과 [17]동해안의 시드니까지 어뢰 스패드가 기록되고 있다.이 종은 사모아, 뉴칼레도니아, [2]통가를 포함한 몇몇 동태평양 섬까지 분포한다.
어뢰 스패드는 먼 연안 해양 환경뿐만 아니라 더 보호되는 연안 [11]환경에서도 발견되는 원양 학교용 종이다.이 물고기는 보통 지표수 근처의 윗물기둥에서 발견됩니다.하구에서는 볼 수 없고 더럽거나 탁한 물에도 잘 견디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따뜻한 물이 [7]해안으로 밀려들면서 여름에는 더 많은 남쪽 바다까지 분포한다.
생물학 및 생태학
어뢰 스패드는 아시아 일부 지역의 상업적 어업에 중요한 어종이며, 그 때문에 어뢰의 생물과 생태에 관한 중요한 연구가 발표되어 왔다.이 모든 정보는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은 인도 저널에 게재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어뢰 스캐드는 플랑크톤 [18]생물을 섭취하기 위해 더 큰 먹이와 여과 사료를 모두 소비하는 포식 어류이다.대형 먹잇감은 오징어와 오징어를 [19]포함한 다양한 물고기와 두족류이다.작은 음식은 주로 새우, 새우, 구각류, 갑각류, 갑각류, 게 등 갑각류입니다.연체동물과 복족류 또한 그 [20]종의 식단에서 작은 구성 요소라고 보고되었다.이 종은 또한 성장하면서 식생활의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보이지만, 모든 크기의 물고기들이 지배적인 [19]먹이입니다.어뢰 스캐드의 포식자로 기록된 종에는 북과 레퀴엠 상어가 [2]포함된다.어뢰의 각 성별은 다른 길이로 성적 성숙에 도달한다; 암컷은 22cm,[21] 수컷은 26.4cm가 성숙한다.남성 17cm,[22] 여성 27cm, 남녀 [23]평균 25cm를 포함한 다른 연구들은 비슷한 길이를 제안했다.산란기는 직접 관찰되지는 않았지만, 3~7월에 유충의 풍부함이 최고조에 달하고,[24] 인도에서는 6월에 최고조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다.알은 원양이고, 노른자와 단일 기름 방울이 있는 구체적이고 투명하다.유충의 단계는 광범위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그 종은 24개의 [24][25]근구체를 가지고 있다.이 종의 성장은 보고되지 않았지만, 이 [22][26]종에 대한 수많은 형태측정학(길이 대 체중) 연구가 수행되었다.인도 해역의 인구 구조도 잘 연구되고 있으며, 이 중 가장 최근의 것은 5월에서 8월 사이에 대규모 채용 행사가 일어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이 연구들은 또한 어업에 대한 규제를 안내하며, 이론적으로 물고기가 18cm에 [27]도달한 후에만 포획될 때 최대 수확량을 달성한다.
인간과의 관계
어뢰 스패드는 인도-태평양 중부 지역(인도 포함)의 상업 어업에 매우 중요하며, 다른 곳에서는 중간에서 작은 중요성을 가진다.FAO에 의해 기록된 통계에는 인도가 포함되지 않았지만, 이 나라가 없어도 어뢰의 연간 채취량은 1997년 70,000톤에서 [28]2007년 107,000톤으로 증가했다.이러한 통계에 따르면, 이 종의 가장 큰 이용자는 인도네시아로 42,000톤을 취합했으며, 말레이시아가 22,000톤을 취합했다.태국과 필리핀도 매년 약 1만8000t의 생선을 대량으로 섭취하고 있다.중동 국가들도 이 종을 그들의 굴에 기록하지만, 50에서 5000t [28]사이의 낮은 양으로 기록한다.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같은 남쪽 지방에서는 드물게 잡히며, 해변의 [7]센느에서 주로 볼 수 있습니다.이 어종은 비치 세인, 트롤 어선, 핸드백 세인 등 다양한 그물 방법과 갈고리와 줄을 포함한 다른 종류의 덫에 의해 포획된다.그것은 보통 신선하거나, 건조하거나,[29] 소금에 절여 판매된다.어뢰 스패드는 어획 범위 전체에 걸쳐 오락 어부들에 의해 종종 잡히지만, 게임 피싱의 표적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작은 미끼도 쉽게 잡을 수 있고 가벼운 [7]태클을 할 수 있는 스포츠입니다.어뢰 스패드는 고운 살에서 좋은 살점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다지 인기가 있지는 않다.몇몇 요리사들은 생선을 튀기거나 찌는 것을 추천하지만, 굽는 것도 [30]허용된다.오염된 수역에서는 물고기가 허용치보다 높은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므로 그러한 지역에서는 [31]피해야 한다.어뢰 스캐드는 종종 대형 사냥용 물고기의 살아있는 미끼로 사용된다.
레퍼런스
- ^ Smith-Vaniz, W.F. & Williams, I. (2017) [errata version of 2016 assessment]. "Megalaspis cordyl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20432158A115380392. doi:10.2305/IUCN.UK.2016-3.RLTS.T20432158A46664104.en.
- ^ a b c d e f g h Froise, Rainer; Pauly, Daniel (ed.) (2019).FishBase의 "Megalaspis cordyla"입니다.2019년 8월 버전.
- ^ J. S. Nelson; T. C. Grande; M. V. H. Wilson (2016). Fishes of the World (5th ed.). Wiley. pp. 380–387. ISBN 978-1-118-34233-6.
- ^ Hosese, D.F.; Bray, D.J.; Paxton, J.R.; Alen, G.R. (2007). Zoological Catalogue of Australia Vol. 35 (2) Fishes. Sydney: CSIRO. p. 1150. ISBN 978-0-643-09334-8.
- ^ a b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Ichthyology (September 2009). "Scomber cordyla". Catalog of Fishes. CAS. Retrieved 2009-09-21.
- ^ Fricke, R. (2000). "Invalid neotypes". Copeia. 2000 (2): 639–640. doi:10.1643/0045-8511(2000)000[0640:ENAN]2.0.CO;2. ISSN 0045-8511.
- ^ a b c d van der Elst, Rudy; Peter Borchert (1994). A Guide to the Common Sea Fishes of Southern Africa. New Holland Publishers. p. 142. ISBN 1-86825-394-5.
- ^ MyEtymology (2008). "Etymology of the Latin word cordyla". Retrieved 2009-09-17.
- ^ a b c d e Gunn, John S. (1990). "A revision of selected genera of the family Carangidae (Pisces) from Australian waters". Records of the Australian Museum Supplement. 12: 1–78. doi:10.3853/j.0812-7387.12.1990.92.
- ^ Gushiken, S. (1986).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Perciform Genera of the Family Carangidae". Japanese Journal of Ichthyology. 34 (4): 443–461. ISSN 0021-5090.
- ^ a b c d e f g Smith-Vaniz, W. (1999). "Carangidae" (PDF). In Carpenter, K.E.; Niem, V.H. (eds.).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Vol 4. Bony fishes part 2 (Mugilidae to Carangidae). FAO species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ery purposes. Rome: FAO. pp. 2659–2757. ISBN 92-5-104301-9.
- ^ Randall, John E. (1995). Coastal Fishes of Oman.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p. 183. ISBN 0-8248-1808-3.
- ^ a b Lin, Pai-Lei; Shao, Kwang-Tsao (1999). "A Review of the Carangid Fishes (Family Carangidae) From Taiwan with Descriptions of Four New Records". Zoological Studies. 38 (1): 33–68.
- ^ Datta, N.C.; Deb, S. (1985). "Anatomy of the olfactory apparatus of two marine India teleosts". Journal of the Inland Fisheries Society of India. 13 (2): 67–74. ISSN 0379-3435.
- ^ Pandey, A.K. (1997). "Hypothalamo - neurosecretory system of the marine teleost, Megalaspis cordyla Linnaeus".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India. 39 (1–2): 132–135. ISSN 0025-3146.
- ^ Gopel Raje, S. (1984). "Deformed specimen of Megalaspis cordyla (Linnaeus) from Veraval waters".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India. 26 (1–2): 177–179. ISSN 0025-3146.
- ^ Hutchins, B.; Swainston, R. (1986). Sea Fishes of Southern Australia: Complete Field Guide for Anglers and Divers. Melbourne: Swainston Publishing. p. 187. ISBN 1-86252-661-3.
- ^ Jaiswar, A.K.; George, J.P. (1991). "Food and feeding habits of Megalaspis cordyla (Linnaeus, 1758) along the northwest coast of India". Journal of the Indian Fisheries Association. 21: 5–10. ISSN 0971-1422.
- ^ a b Rajanna, K.B.; Benakappa, S.; Anajanayappa, H.N. (2006). "Food and feeding habits of the horse mackerel, Megalaspis cordyla (Linnaeus) from Mangalore region". Environment and Ecology. 24S (Special 3): 676–679. ISSN 0970-0420.
- ^ Sivakami, S. (1995). "Fishery and biology of the carangid fish Megalaspis cordyla (Linnaeus) off Cochin".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India. 37 (1–2): 237–248. ISSN 0025-3146.
- ^ Sreenivasan, P.V. (1978). "Observations on the fishery and biology of Megalaspis cordyla (Linnaeus) at Vizhinjam". Indian Journal of Fisheries. 25 (1–2): 122–140.
- ^ a b Rajanna, K.B.; Benakappa, S.; Anjanayappa, H.N. (2006). "Length-weight relationship and relative condition factor of Megalaspis cordyla (Linnaeus) from Mangalore coast". Environment and Ecology. 24S (Special 3): 670–672. ISSN 0970-0420.
- ^ Reuben, S.; H.M. Kasim; S. Sivakami; P.N. Radhakrishnan; K.N. Kurup; M. Sivadas; A. Noble; K.V.S. Nair; S.G. Raje (1992). "Fishery, biology and stock assessment of carangid resources from the Indian seas". Indian Journal of Fisheries. 39 (3–4): 195–234.
- ^ a b Premalatha, P. (1988). "Studies on the carangid fish larvae of the southwest coast of India - 1. Megalaspis cordyla (Linnaeus, 1758)".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India. 30 (1–2): 83–92. ISSN 0025-3146.
- ^ Kuthalingam, M.D.K. (1959). "A contribution to the life histories and feeding habits of Horse mackerels Megalaspis cordyla (Linn.) and Caranx mate (Cuv. and Val.) and notes on the development and feeding habits of larvae and post larvae of Megalaspis cordyla". Journal of the Madras University. 29 (2): 76–96.
- ^ Saker, Y.; Jaiswar, A.K.; Chakraborty, S.K.; Swamy, R.P. (2004). "Morphometry and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Megalaspis cordyla (Linnaeus, 1758) from Mumbai coast". Indian Journal of Fisheries. 51 (4): 481–486. ISSN 0970-6011.
- ^ Mustafa, M.G.; Ali, M.S. (2000). "Population dynamics and the management of the hardtail scad Megalaspis cordyla from the Bay of Bengal". Pakistan Journa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43 (5): 304–310. ISSN 0030-9885.
- ^ a b Fisheries and Agricultural Organisation. "Global Production Statistics 1950-2007". Torpedo scad. FAO. Retrieved 2009-05-19.
- ^ Fisheries and Agricultural Organisation (2009). "Megalaspis cordyla (Linnaeus, 1758)". Species Fact Sheets. FAO. Retrieved 2009-10-21.
- ^ Davidson, Alan (2004). Seafood of South-East Asia: A Comprehensive Guide with Recipes. Ten Speed Press. p. 63. ISBN 1-58008-452-4.
- ^ Naidu, V.A.; Rao, L.M.; Ramaneswari, K. (2008). "Occurrence of heavy metals (Zn, Pb, Cd, Cu and Fe) in the edible tissue of Megalaspis cordyla of the coastal waters of Visakhapatnam, A.P. India". Asian Fisheries Science. 21 (1): 13–19. ISSN 0116-6514.
외부 링크
- FishBase의 어뢰스캐드(Megalaspis cordyla)
- 호주 박물관 온라인 어뢰 스캐드(Megalaspis cordyla)
- FAO 종별 자료 시트의 어뢰 딱지(Megalaspis cordyla)
- 실라이프 컬렉션의 어뢰 자국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