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 엘보
Tennis elbow테니스 엘보 | |
---|---|
기타 이름 | 요골신장기원의 [1]장병증.외측 상완골통, 외측 팔꿈치[2] 건병증 |
왼쪽 팔꿈치 관절, 후측부 및 요골측부 인대를 보여줍니다 (외측외측외측외측외측외측부 인대 중앙에서 볼 수 있음) | |
전문 | 정형외과, 스포츠의학 |
증상 | 팔꿈치[2] 바깥쪽이 아프고 부드럽다 |
통상적인 개시 | 서서히[3] |
지속 | 1~2년[4] 미만 |
원인들 | 팔뚝[3] 뒤쪽 근육의 과도한 사용 |
진단 방법 | 다른 잠재적[3] 원인을 배제하기 위해 사용된 의료 영상과 관련된 증상에 근거합니다. |
차동 진단 | 골연골염, 골관절염, 방사선증[4] |
치료 | 활동 변경, 물리치료, 진통제[2] |
빈도수. | c. 2%[4] |
요골신장의 외측 상완골염 또는 장염으로도 알려진 테니스 엘보는 팔꿈치 바깥쪽이 아프고 [2][1]부드러워지는 질환이다.통증은 또한 팔뚝 뒤쪽으로 확장될 수 있고 악력이 [3][2]약할 수 있습니다.증상의 시작은 갑작스럽게 [3][5]보이고 부상으로 오해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점진적이다.골퍼의 팔꿈치도 [2]팔꿈치 안쪽에 영향을 미치는 비슷한 질환이다.
엔테소피스는 특발성인데, 이는 과학이 [6]아직 원인을 밝혀내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흔히 이 상태는 팔뚝 뒤쪽 근육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언급되지만, 이는 실험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으며 [3][7]증상에 대한 일반적인 오역이나 도움이 되지 않는 생각이다.일반적으로 이는 작업 및/또는 여가 중, 전형적으로 라켓 [2][3]스포츠의 과다 사용의 결과로 발생하지만 컴퓨터 마우스(따라서 "마우스 엘보")[8]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다.진단은 일반적으로 다른 잠재적 [3]원인을 배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 영상과 관련된 증상에 기초합니다.손목을 중립 [2]자세로 잡고 있을 때 손목을 뒤로 젖히려고 할 때 통증이 더 심해질 가능성이 높다.전동식 스크루드라이버는 한 손으로 무리하게 사용할 경우 이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건염이 [2]아닌 만성 건염으로 분류됩니다.
치료는 물리치료나 [2][9]점차 부하가 증가하는 다른 치료와 함께 증상을 일으키는 활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NSAIDS 또는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과 같은 진통제를 사용할 [2]수 있다.팔뚝 위쪽에 있는 버팀대도 도움이 [3]될 수 있습니다.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의 역할이 논의되고 있다.최근의 증거에 따르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는 [10]증상 해결을 지연시킬 수 있다.
30세에서 50세가 가장 흔하게 [3]영향을 받는다.그 상태는 1873년에 [4]처음 기술되었다."[11]빨간 테니스 엘보"라는 이름은 1882년에 처음 이 질환에 사용되었습니다.
징후 및 증상
테니스 엘보우와 관련된 증상에는 팔꿈치 바깥쪽에서 팔뚝과 손목에 이르는 통증과 [13]손목 연장 시 통증이 포함됩니다.통증은 골퍼의 팔꿈치로 알려진 상태와 비슷하지만 팔꿈치 [14]안쪽에서 발생한다.
용어.
"테니스 엘보"라는 용어는 (비공식적이지만)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테니스 [15][16]선수에게만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역사적으로, "외측 상완골염"이라는 의학 용어가 이 질환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지만, "상완골염"은 염증을 의미하고 이 질환은 [3][15][16][17][18]염증이 아니다.
조직학적 소견에서 비염증 조직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측면 팔꿈치 건병증", "텐디노시스", 또는 "혈관섬유아세포성 건병증"이라는 용어가 "측면 상완골염"[19][20] 대신에 제안되었다.2019년 국제 전문가 그룹은 "측방 팔꿈치 건병증"이 가장 적절한 [21]용어라고 제안했다.그러나 부착점(또는 마취)의 질병은 가장 정확하게 "관절증"[22]이라고 불립니다.
원인들
테니스 엘보는 힘줄 과다 사용과 힘줄의 치유 실패로 인한 반복적인 긴장 부상의 한 종류이다.또한 요골신장근은 중요한 역할을 [20][23]한다.
초기 실험들은 테니스 엘보가 주로 과로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상완골에 직접 타격을 가하거나, 갑자기 힘을 주어 잡아당기거나, 또는 무리하게 연장하는 것과 같은 외상이 이러한 [24]부상의 절반 이상을 유발합니다.스포츠 학습 초기에 테니스 공을 반복적으로 잘못 치는 것은 팔꿈치 관절에 충격을 주고 상태를 [25]수축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테니스에는 테니스 엘보가 생기는 원인이 되는 여러 측면이 있다.기술적인 관점에서 볼 때 팔꿈치로 백핸드를 이끄는 것, 포핸드에 탑스핀을 놓을 때 팔뚝의 과도한 회전, 서브에 손목의 과도한 굴곡 등이 테니스 엘보로 이어질 수 있다.그 밖에 개선할 수 있는 것은 라켓 타입, 그립 사이즈, 스트링 텐션, 코트 표면 타입, 볼 [26]중량입니다.
병태생리학
조직학적 소견으로는 과립조직, 미세파열, 퇴행성 변화 등이 있으며 전통적인 [20][27][28]염증은 없다.따라서 건염보다는 건염이나 [19]건병증이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
컬러 도플러 초음파는 신장 [29]기원의 통증 부위에 해당하는 혈관 및 저 에코 영역과 함께 구조적인 힘줄 변화를 드러낸다.
외측 상완골염의 병태생리학은 퇴행성입니다.비염증성 요골신장근(ECRB) 기원의 만성 퇴행성 변화는 외과 병리 [30]검체에서 확인된다.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citation needed]사전 주입에 의해 병리학이 영향을 받는지는 불분명하다.
테니스 선수들은 일반적으로 테니스 엘보가 수천 개의 테니스 공을 치는 반복적인 특성 때문에 발생한다고 믿고 있는데,[17] 이것은 팔꿈치의 전완 힘줄 부착부에 작은 상처를 입힌다.
또한 신장 디지티 최소치에는 이 조건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팔꿈치 안쪽의 작은 원점 부위가 있습니다.근육은 어린 손가락의 확장과 손목의 일부 확장을 포함하며, 손목을 "찰칵"하거나 튕기도록 적응할 수 있습니다. 보통 라켓 스윙과 관련이 있습니다.대부분의 경우, 신장근육은 과도한 신장에 의한 힘줄의 파괴로 고통스러워진다.부적절한 형태나 움직임은 스윙의 동력이 손목과 손목 사이를 지나 회전하도록 하여 팔꿈치 관절이나 회전근개 대신 관절에 모멘트를 만듭니다.이 순간 충격력이 힘줄에 작용하여 자극과 [citation needed]염증을 일으킨다.
적어도 한 저자는 외측외상염이 반복적인 미세외상/과사용에 의해 발생하며, 이론을 유지하는 것은 과장되고 과학적 [30]뒷받침이 부족할 수 있다고 의문을 제기한다.
외측 상완골염의 다른 투기적 위험 요인으로는 만년에 테니스를 치기 시작, 익숙하지 않은 격렬한 활동, 정신 시간 측정 및 속도 감소, 근육의 반복적인 편심 수축(근육 그룹의 [citation needed]신장 조절) 등이 있다.
진단.
신체검사
진단은 개별적이고 특징적인 임상 징후와 증상에 의해 이루어집니다.예를 들어 팔꿈치가 완전히 확장되면 환자는 팔꿈치의 해당 지점 위로 압통을 느낍니다.압통의 가장 일반적인 위치는 외측 상완골(외측 상완골 근원)에서 외측 상완골 [12]근위(외측 상완골 근위)로 1cm 원위부 및 외측 상완골 근위부입니다.수동적인 손목 굴곡과 저항성 손목 확장(코젠 검사)[31]으로 통증도 있습니다.
의료 영상
X-레이는 골절이나 관절염과 같이 테니스 엘보와는 무관한 통증의 기존 원인을 확인하고 구별할 수 있습니다.드물게, 석회화는 신근육이 외측 상완골에 [12]부착되는 곳에서 발견됩니다.의료용 초음파 및 자기공명영상(MRI)도 진단에 유용한 도구이지만 비용이 [14]많이 들기 때문에 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MRI 검사에서는 팔꿈치 내 전완골과 요골신장근의 [citation needed]연결점 등 과도한 액체와 부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외측 팔꿈치의 세로 초음파 검사에서 석회화, 관강 내 눈물 및 외측 상완골의 현저한 불규칙성을 나타냄에 따라 건염과 일치하는 공통 신장 힘줄의 비후화와 이질성을 나타낸다.비록 "상피염"이라는 용어가 이 장애를 묘사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 결과들은 급성 또는 만성 염증 과정의 증거를 보여주지 않았다.조직학적 연구는 이 상태가 정상 조직을 콜라겐의 무질서한 배열로 대체하는 힘줄 변성의 결과라는 것을 증명했다.
예방
외측 상완골염이 테니스를 치면서 발생하는 경우, 테니스 팔꿈치 부상의 또 다른 요인은 경험과 능력이다.테니스 엘보 병력을 보고한 선수들의 비율은 경기 연수가 증가했다.실력은 다른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기술력이 떨어지면 부상 확률이 높아진다.그러므로, 개인은 스포츠의 모든 측면에 적절한 기술을 배워야 한다.선수의 경쟁 수준 또한 테니스 엘보 발생률에 영향을 미친다.클래스 A와 클래스 B의 선수들은 클래스 C와 초보 선수들에 비해 테니스 엘보 발생률이 현저히 높았다.그러나 이전 사례의 재발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반대의 추세가 관찰되며 능력 수준이 [14]감소함에 따라 증가율이 증가한다.
사람들이 테니스 엘보를 예방할 수 있는 다른 방법:
- 이미 부상을 입었거나 팔꿈치 바깥쪽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 경기 시간을 줄인다.
- 전체적으로 좋은 몸매를 유지하고 있다.
- 팔뚝의 근육 강화: (발음자 사각형, 발음자, 반추근)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와[32] Brevis (상완골, 삼두근) 그리고 어깨(상완골근)와 등(상완골근)근력이 증가하면 팔꿈치 등 관절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 다른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능력, 신체 크기, [14]근력에 맞는 장비를 사용한다.
- 무거운 물건(특히 머리 [33]위)의 반복적인 리프팅 또는 당김을 피한다.
진동 댐퍼(다른 말로 "검미"라고 함)는 신뢰할 수 있는 예방 조치로 간주되지 않습니다.오히려,[34] 라켓의 적절한 무게 분배는 충격을 부정하는 데 더 실행 가능한 선택이라고 생각됩니다.
치료
2010년 이전에 외측 상완골염의 치료에 대한 증거는 빈약했다.[35]제안된 많은 치료법을 다루는 임상시험이 있었지만,[36] 그 시험은 질이 낮았다.
테니스 엘보 증상이 6개월에서 24개월 사이에 치료 없이 회복되는 경우도 있다.테니스 엘보를 치료하지 않으면 일상생활의 [14]질을 떨어뜨리는 만성적인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물리치료
힘줄[37] 및 기타 운동 조치의 재자극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레칭 [38]및 점진적 강화 운동을 포함하여 주로 추측적인 재발 방지, 치료 및 회피에 관한 몇 가지 권고사항이 있다.
테니스 엘보우 경미한 경우를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 한 가지 방법은 단순히 아픈 팔을 이완시키는 것이다.나머지는 팔뚝 내부의 스트레스와 조임 상태를 서서히 완화시키고,[citation needed] 경우에 따라 하루나 이틀 안에 팔을 작동 상태로 만듭니다.
고무봉을 이용한 편심 운동은 통증을 없애고 [39][40]강도를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이 연습은 고무봉을 잡고 비틀고 천천히 [39][41]풀어주는 것을 포함한다.증거 기반 관행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장기적인 결과는 아직 [42]결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43]운동 중에 통증이 발생해도 괜찮은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10분의 5 이하의 통증은 [43]괜찮다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팔꿈치와 손목에 대한 관절 조작과 경추와 흉추 부위에 대한 척추 조작이 통증과 [44][45]기능에 대한 임상적 변화를 가져온다는 중간 정도의 증거가 존재한다.또한 동심원 및 편심 스트레칭과 손목 및 팔뚝의 이동에 대한 추가 치료로서 경추 및 흉추 조작의 단기 및 중기 효과에 대한 적당한 증거가 있다.아직 결정적이지는 않지만, 조작 기술의 단기 진통 효과는 보다 활발한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외측 [46]상완골염에서 영향을 받은 힘줄의 더 나은 회복 과정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특정 용량과 파장에서 팔꿈치 힘줄 삽입부에 직접 투여하는 저준위 레이저 치료는 단기적인 통증 완화 및 [47]장애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체외충격파 치료는 안전하지만 [48][49]효과가 불분명하다.
직교 장치
직교란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통증을 줄이기 위해 사지에 외적으로 사용하는 장치이다.정형외과는 테니스 엘보우에서 유용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효과는 알려지지 않았다.[50]이 문제에 대해 처방된 두 가지 주요 유형의 정형외과가 있습니다: 반력 팔꿈치 정형외과와 손목 확장외과입니다.대향력 직교에는 암을 둘러싼 원주 구조가 있습니다.이 직교에는 일반적으로 손목 익스텐더의 원점에 구속력을 가하는 스트랩이 있습니다.직교로 가해지는 힘은 근긴장 섬유 내에서의 신장을 감소시킨다.손목신장수술은 손목의 경미한 확장을 유지한다.이 위치는 병변 [citation needed]부위의 과부하 변형을 줄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두 가지 타입 모두 손의[51] 기능을 향상시키고 테니스 엘보가 있는 사람들의 고통을[52]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비록 항염증제가 테니스 엘보에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치료법이지만,[53] 그 효과에 대한 증거는 대개 일화이며, 오직 제한된 연구만이 이점을 보여준다.체계적인 검토 결과 국소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는 단기(최대 4주)에 통증을 개선할 수 있지만 방법론적 [54]문제로 인해 확실한 결론을 도출할 수 없었다.경구 NSAIDs에 대한 증거는 [54]혼합되어 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보툴리누스 독소, 프로테라피 또는 기타 [55]물질 등 모든 유형의 주사로부터 장기적인 개선을 위한 증거는 불충분하다.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는 단기적으로[56] 효과적일 수 있지만 관망하는 [57]접근법에 비해 1년 후에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 물리치료 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 및 물리치료 조합의 효과를 비교한 최근 무작위 대조군 실험에서 위약과 비교하여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 치료 환자는 1년에 완치 또는 개선이 더 낮았다(상대 위험 0.86).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은 환자도 위약 대비 1년 재발률이 높았다(12% 대비 54%, 상대위험 0.23).[58]스테로이드 주사의 반복적인 합병증에는 저색소 침착과 지방 위축과 같은 피부 문제가 있으며 주사 [56]부위 주변의 피부 움푹 패임으로 이어진다.에 대한 스테로이드 주사는 충격파 [59]치료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만성 테니스 엘보우 환자의 전완신장근육을 마비시키는 보툴리누스 독소 A형은 보존조치로 개선되지 않은 경우가 [60]있을 수 있다.
수술.
완강한 경우에는 수술이 [61][62][63]선택사항이 될 수 있다.수술 방법에는 [64]다음이 포함됩니다.
외측 상완골염의 외과적 기술은 개복 수술, 경피 수술 또는 관절경 수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특정 유형이 다른 [65][62]유형보다 낫거나 나쁘다는 고품질의 증거는 없습니다.부작용으로는 감염, 신경 손상, 팔을 [66]곧게 펴지 못하는 것이 있다.수술과 관련된 증거를 검토한 결과 발표된 연구는 질이 낮았고 수술이 다른 [65]치료법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지 못했다.이후 진행된 연구 실험에서는 적은 수의 [67]환자들로 제한되긴 했지만 환자들이 피부 절개만 받는 위장 수술보다 수술이 더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후
초기 치료에 대한 반응이 일반적이지만 재발(25%~50%) 및/또는 장기적이고 중간 정도의 불쾌감(40%)[citation needed]도 마찬가지입니다.
축적된 다발성 힘줄 손상의 심각성과 양에 따라 요골신장은 보존적 치료로 완전히 치유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Nirschl은 외측 상완골염의 4단계를 정의하며, 2단계부터 영구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 되돌릴 수 있는 염증적 변화
- 요골신장근의 기원에 대한 비가역적인 병리학적 변화
- ECRB 근원 파열
- 섬유화 또는 석회화 [68]등의 2차적 변화
역학
테니스 선수들의 경우, 약 39.7%가 팔꿈치에 현재 또는 이전에 문제가 있었다고 보고했습니다.50세 미만의 운동선수 중 4분의 1 미만(24%)이 테니스 엘보 증상이 "심각"하고 "장애"라고 답한 반면, 50세 이상의 운동선수 중 42%는 "장애"라고 답했습니다.남성(24%)보다 더 많은 여성(36%)이 자신의 증상이 심각하고 장애가 된다고 생각했다.테니스 엘보는 40세 이상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데, 남자들 사이에서는 약 4배, 여자들 사이에서는 약 2배 증가했다.테니스 엘보는 남녀 모두에게 동등하게 영향을 미치며, 비록 남성이 여성에 비해 전체 유병률이 약간 높지만, 이는 각 연령대 내에서 일관되지 않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69]차이도 아니다.
경기 시간은 테니스 엘보 발생의 중요한 요소이며, 40세 미만 응답자의 경기 시간이 증가하면 발생률이 증가한다.두 시간 이상 경기를 한 40세 이상의 사람들은 부상 확률을 두 배로 높였습니다.40세 이하 청소년은 [14]하루 2시간 미만 청소년보다 3.5배 증가했다.
역사
독일 의사 F.룽게는[70] 보통 [71]1873년에 이 상태를 "작가의 경련"(Schreibekrampf)이라고 부르며 처음 기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나중에, 그것은 "워셔 여성의 팔꿈치"[72]라고 불렸습니다.영국의 외과의사 헨리 모리스는 1883년 [73][70]랜싯에 "빨려진 테니스 팔"에 대한 기사를 실었다.인기 있는 용어 "테니스 엘보"는 같은 해 H. P. 메이저의 논문에서 처음 등장했는데, 이는 "세븐 테니스 엘보"[74][75]로 묘사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Behazin M, Kachooei AR (March 2021). "Arthroscopic Recession Technique in the Surgery of Tennis Elbow by Sharp Cutting the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ECRB) Tendon Origin". The Archives of Bone and Joint Surgery. 9 (2): 174–179. doi:10.22038/abjs.2020.48173.2383. PMC 8121031. PMID 34026934.
- ^ a b c d e f g h i j k Hubbard MJ, Hildebrand BA, Battafarano MM, Battafarano DF (June 2018). "Common Soft Tissue Musculoskeletal Pain Disorders". Primary Care. 45 (2): 289–303. doi:10.1016/j.pop.2018.02.006. PMID 29759125. S2CID 46886582.
- ^ a b c d e f g h i j k "Tennis Elbow (Lateral Epicondylitis)". OrthoInfo. July 2015. Retrieved 21 June 2018.
- ^ a b c d Vaquero-Picado A, Barco R, Antuña SA (November 2016). "Lateral epicondylitis of the elbow". EFORT Open Reviews. 1 (11): 391–397. doi:10.1302/2058-5241.1.000049. PMC 5367546. PMID 28461918.
- ^ Solheim E, Hegna J, Øyen J (June 2011). "Extensor tendon release in tennis elbow: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in 80 elbows". Knee Surgery, Sports Traumatology, Arthroscopy. 19 (6): 1023–1027. doi:10.1007/s00167-011-1477-1. PMC 3096769. PMID 21409461.
- ^ Gorski, Jerrold M. (August 2018). "Evaluation of Sleep Position for Possible Nightly Aggravation and Delay of Healing in Tennis Elbow". JAAOS Global Research & Reviews. 3 (8): e082. doi:10.5435/JAAOSGlobal-D-19-00082. ISSN 2474-7661. PMC 6754212. PMID 31592507.
- ^ Bunata, Robert E.; Brown, David S.; Capelo, Roderick (September 2007). "Anatomic Factors Related to the Cause of Tennis Elbow". JBJS. 89 (9): 1955–1963. doi:10.2106/JBJS.F.00727. ISSN 0021-9355. PMID 17768192.
- ^ "Mouse Elbow - Injury Overview".
- ^ Orchard J, Kountouris A (May 2011). "The management of tennis elbow". BMJ. 342: d2687. doi:10.1136/bmj.d2687. PMID 21558359. S2CID 8358075.
- ^ Saccomanni B (July 2010). "Corticosteroid injection for tennis elbow or lateral epicondylitis: a review of the literature". Current Reviews in Musculoskeletal Medicine. 3 (1–4): 38–40. doi:10.1007/s12178-010-9066-3. PMC 2941575. PMID 21063499.
- ^ Wolf JM (2015). Tennis Elbow: Clinical Management. Springer. p. 1. ISBN 9781489975348.
- ^ a b c Sarwark JF (2010). Essentials of musculoskeletal care. Rosemont, Ill.: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ISBN 978-0892035793. OCLC 706805938.
- ^ Geoffroy P, Yaffe MJ, Rohan I (January 1994). "Diagnosing and treating lateral epicondylitis". Canadian Family Physician. 40: 73–78. PMC 2379994. PMID 8312757.
- ^ a b c d e f "Tennis Elbow". Mayo Clinic Medical Information and Tools for Healthy Living – MayoClinic.com. 15 October 2008.
- ^ a b "Tennis elbow (lateral epicondylitis) Elbow Pain". Cleveland Clinic. 2018. Retrieved 23 January 2018.
- ^ a b "Tennis elbow". Mayo Clinic. 2 August 2017. Retrieved 23 January 2018.
- ^ a b Smith C (18 June 2004). "What is tennis elbow?". BBC Sport Academy. Retrieved 23 January 2018.
- ^ Nirschl, Robert P; Ashman, Edward S (2004-01-01). "Tennis elbow tendinosis (epicondylitis)". Instructional Course Lectures. 53: 587–598. ISSN 0065-6895. PMID 15116648.
- ^ a b McShane JM, Nazarian LN, Harwood MI (October 2006). "Sonographically guided percutaneous needle tenotomy for treatment of common extensor tendinosis in the elbow". Journal of Ultrasound in Medicine. 25 (10): 1281–1289. doi:10.7863/jum.2006.25.10.1281. PMID 16998100. S2CID 22963436.
- ^ a b c du Toit C, Stieler M, Saunders R, Bisset L, Vicenzino B (November 2008). "Diagnostic accuracy of power Doppler ultrasound in patients with chronic tennis elbow".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2 (11): 872–876. doi:10.1136/bjsm.2007.043901. hdl:10072/22142. PMID 18308874. S2CID 3274396.
- ^ Scott A, Squier K, Alfredson H, Bahr R, Cook JL, Coombes B, et al. (March 2020). "ICON 2019: International Scientific Tendinopathy Symposium Consensus: Clinical Terminology".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4 (5): 260–262. doi:10.1136/bjsports-2019-100885. PMID 31399426. S2CID 199517946.
- ^ Ikonen, Joona; Lähdeoja, Tuomas; Ardern, Clare L.; Buchbinder, Rachelle; Reito, Aleksi; Karjalainen, Teemu (April 2022). "Persistent Tennis Elbow Symptoms Have Little Prognostic Valu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480 (4): 647–660. doi:10.1097/CORR.0000000000002058. ISSN 0009-921X. PMC 8923574. PMID 34874323.
- ^ Nirschl RP, Ashman ES (2004). "Tennis elbow tendinosis (epicondylitis)". Instructional Course Lectures. 53: 587–598. PMID 15116648.
- ^ KURPPA, K., WARIS, P. 및 ROKKANEN, P.테니스 엘보: 측면 팔꿈치 통증 증후군.J. 작업 환경을 검사합니다. & health 5 (본명): 3, 15 ~ 18."테니스 엘보"의 병인, 발생 및 병인에 대한 검토가 제시된다.
- ^ "Tennis Elbow (Lateral Epicondylitis)". OrthoInfo. July 2015. Retrieved February 20, 2018.
In racquet sports like tennis, improper stroke technique and improper equipment may be risk factors.
- ^ Keijsers R, de Vos RJ, Kuijer PP, van den Bekerom MP, van der Woude HJ, Eygendaal D (October 2019). "Tennis elbow". Shoulder & Elbow. 11 (5): 384–392. doi:10.1177/1758573218797973. PMC 6739751. PMID 31534489.
- ^ Nirschl RP (October 1992). "Elbow tendinosis/tennis elbow". Clinics in Sports Medicine. 11 (4): 851–870. doi:10.1016/S0278-5919(20)30489-0. PMID 1423702.
- ^ Lian J, Mohamadi A, Chan JJ, Hanna P, Hemmati D, Lechtig A, Nazarian A (October 2019). "Comparative Efficacy and Safety of Nonsurgical Treatment Options for Enthesopathy of the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47 (12): 3019–3029. doi:10.1177/0363546518801914. PMID 30380334. S2CID 53148287.
- ^ Zeisig E, Ohberg L, Alfredson H (November 2006). "Sclerosing polidocanol injections in chronic painful tennis elbow-promising results in a pilot study". Knee Surgery, Sports Traumatology, Arthroscopy. 14 (11): 1218–1224. doi:10.1007/s00167-006-0156-0. PMID 16960741. S2CID 23469092.
- ^ a b Boyer MI, Hastings H (1999). "Lateral tennis elbow: "Is there any science out there?"".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8 (5): 481–491. doi:10.1016/S1058-2746(99)90081-2. PMID 10543604.
- ^ "Tennis elbow".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 ^ Alizadehkhaiyat O, Frostick SP (December 2015). "Electromyographic assessment of forearm muscle function in tennis players with and without Lateral Epicondylitis".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25 (6): 876–886. doi:10.1016/j.jelekin.2015.10.013. PMID 26559462.
- ^ "Tennis Elbow". DoveMed. Retrieved 2016-12-15.
- ^ https://www.racquetresearch.com/sevencri.htm#What 테니스 엘보의 원인?
- ^ Bisset L, Paungmali A, Vicenzino B, Beller E (July 2005).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linical trials on physical interventions for lateral epicondylalgia".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39 (7): 411–22, discussion 411–22. doi:10.1136/bjsm.2004.016170. PMC 1725258. PMID 15976161.
- ^ Cowan J, Lozano-Calderón S, Ring D (August 2007). "Quality of prospective controlled randomized trials. Analysis of trials of treatment for lateral epicondylitis as an example".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American Volume. 89 (8): 1693–1699. doi:10.2106/JBJS.F.00858. PMID 17671006.
- ^ Stasinopoulos D, Stasinopoulou K, Johnson MI (December 2005). "An exercise programme for the management of lateral elbow tendinopathy".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39 (12): 944–947. doi:10.1136/bjsm.2005.019836. PMC 1725102. PMID 16306504.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4-02. Retrieved 2015-03-12.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a b Tyler TF, Thomas GC, Nicholas SJ, McHugh MP (September 2010). "Addition of isolated wrist extensor eccentric exercise to standard treatment for chronic lateral epicondylosis: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19 (6): 917–922. doi:10.1016/j.jse.2010.04.041. PMID 20579907.
- ^ 레이놀즈, 그레첸 "물리학 에드:테니스 엘보를 위한 쉬운 수정?) 뉴욕타임스 2009년 8월 25일 오후 11시 54분
- ^ https://www.thera-bandacademy.com/elements/clients/docs/Tyler%20et%20al%20JSES%202010__201009DD_123442.pdf[베어 URL PDF]
- ^ Page P (September 2010). "A new exercise for tennis elbow that works!". North American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5 (3): 189–193. PMC 2971639. PMID 21589674.
- ^ a b Coombes BK, Bisset L, Vicenzino B (November 2015). "Management of Lateral Elbow Tendinopathy: One Size Does Not Fit All". The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45 (11): 938–949. doi:10.2519/jospt.2015.5841. PMID 26381484.
- ^ Vicenzino B, Cleland JA, Bisset L (2007). "Joint manipulation in the management of lateral epicondylalgia: a clinical commentary". The Journal of Manual & Manipulative Therapy. 15 (1): 50–56. doi:10.1179/106698107791090132. PMC 2565595. PMID 19066643.
- ^ Herd CR, Meserve BB (2008).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manipulative therapy in treating lateral epicondylalgia". The Journal of Manual & Manipulative Therapy. 16 (4): 225–237. doi:10.1179/106698108790818288. PMC 2716156. PMID 19771195.
- ^ Hoogvliet P, Randsdorp MS, Dingemanse R, Koes BW, Huisstede BM (November 2013). "Does effectiveness of exercise therapy and mobilisation techniques offer guidance for the treatment of lateral and medial epicondylitis? A systema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7 (17): 1112–1119. doi:10.1136/bjsports-2012-091990. PMID 23709519. S2CID 1679092.
- ^ Bjordal JM, Lopes-Martins RA, Joensen J, Couppe C, Ljunggren AE, Stergioulas A, Johnson MI (May 2008). "A systematic review with procedural assessments and meta-analysis of low level laser therapy in lateral elbow tendinopathy (tennis elbow)".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9: 75. doi:10.1186/1471-2474-9-75. PMC 2442599. PMID 18510742.
- ^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for refractory tennis elbow". Interventional procedures guidanc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August 2009. IPG313.
- ^ Thiele S, Thiele R, Gerdesmeyer L (December 2015). "Lateral epicondylitis: This is still a main indication for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24 (Pt B): 165–170. doi:10.1016/j.ijsu.2015.09.034. PMID 26455532.
- ^ Struijs PA, Smidt N, Arola H, Dijk C, Buchbinder R, Assendelft WJ (2002-01-21). "Orthotic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tennis elbow".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0 (1): CD001821. doi:10.1002/14651858.cd001821. PMC 8407516. PMID 11869609.
- ^ Jafarian FS, Demneh ES, Tyson SF (June 2009). "The immediate effect of orthotic management on grip strength of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osis". The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39 (6): 484–489. doi:10.2519/jospt.2009.2988. PMID 19487823.
- ^ Sadeghi-Demneh E, Jafarian F (2013-01-01). "The immediate effects of orthoses on pain in people with lateral epicondylalgia". Pain Research and Treatment. 2013: 353597. doi:10.1155/2013/353597. PMC 3854508. PMID 24349776.
- ^ Jayanthi N. "Epicondylitis (tennis and golf elbow)". UpToDate. UpToDate, Inc. Retrieved 17 August 2015.
- ^ a b Pattanittum P, Turner T, Green S, Buchbinder R (May 2013).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for treating lateral elbow pain in adult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5 (5): CD003686. doi:10.1002/14651858.CD003686.pub2. PMC 7173751. PMID 23728646.
- ^ Krogh TP, Bartels EM, Ellingsen T, Stengaard-Pedersen K, Buchbinder R, Fredberg U, et al. (June 2013).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injection therapies in lateral epicondylitis: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41 (6): 1435–1446. doi:10.1177/0363546512458237. PMID 22972856. S2CID 25355427.
- ^ a b Coombes BK, Bisset L, Vicenzino B (November 2010). "Efficacy and safety of corticosteroid injections and other injections for management of tendinopathy: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Lancet. 376 (9754): 1751–1767. doi:10.1016/S0140-6736(10)61160-9. hdl:10072/35812. PMID 20970844. S2CID 45054853.
- ^ Haines T, Stringer B (April 2007). "Corticosteroid injections or physiotherapy were not more effective than wait and see for tennis elbow at 1 year". Evidence-Based Medicine. 12 (2): 39. doi:10.1136/ebm.12.2.39. PMID 17400631. S2CID 43254510.
- ^ Coombes BK, Bisset L, Brooks P, Khan A, Vicenzino B (February 2013). "Effect of corticosteroid injection, physiotherapy, or both on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unilateral lateral epicondylalg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309 (5): 461–469. doi:10.1001/jama.2013.129. PMID 23385272.
- ^ Buchbinder R, Green SE, Youd JM, Assendelft WJ, Barnsley L, Smidt N (October 2005). "Shock wave therapy for lateral elbow pai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9 (4): CD003524. doi:10.1002/14651858.cd003524.pub2. PMC 8717012. PMID 16235324.
- ^ Kalichman L, Bannuru RR, Severin M, Harvey W (June 2011).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for treatment of chronic lateral epicondylit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eminars in Arthritis and Rheumatism. 40 (6): 532–538. doi:10.1016/j.semarthrit.2010.07.002. PMID 20822798. S2CID 22022658.
- ^ Monto R (September 2014). "Tennis elbow repair with or without suture anchor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Techniques in Shoulder and Elbow Surgery. 15 (3): 92–97. doi:10.1097/BTE.0000000000000027. S2CID 58020081.
- ^ a b Lo MY, Safran MR (October 2007). "Surgical treatment of lateral epicondylitis: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463: 98–106. doi:10.1097/BLO.0b013e3181483dc4. PMID 17632419. S2CID 6954029.
- ^ Solheim E, Hegna J, Øyen J (May 2013). "Arthroscopic versus open tennis elbow release: 3- to 6-year results of a case-control series of 305 elbows". Arthroscopy. 29 (5): 854–859. doi:10.1016/j.arthro.2012.12.012. PMID 23388420.
- ^ Faro F, Wolf JM (October 2007). "Lateral epicondylitis: review and current concepts". The Journal of Hand Surgery. 32 (8): 1271–1279. doi:10.1016/j.jhsa.2007.07.019. PMID 17923315.
- ^ a b Bateman M, Littlewood C, Rawson B, Tambe AA (February 2019). "Surgery for tennis elbow: a systematic review". Shoulder & Elbow. 11 (1): 35–44. doi:10.1177/1758573217745041. PMC 6348580. PMID 30719096.
- ^ Buchbinder R, Johnston RV, Barnsley L, Assendelft WJ, Bell SN, Smidt N (March 2011). "Surgery for lateral elbow pai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3): CD003525. doi:10.1002/14651858.cd003525.pub2. PMC 7154580. PMID 21412883.
- ^ Kroslak M, Murrell GA (April 2018). "Surgical Treatment of Lateral Epicondylitis: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46 (5): 1106–1113. doi:10.1177/0363546517753385. PMID 29498885. S2CID 4487650.
- ^ Owens BD, Wolf JM, Murphy KP (2009-11-03). "Lateral Epicondylitis: Workup". eMedicine Orthopedic Surgery. Retrieved 2010-04-19.
- ^ Gruchow HW, Pelletier D (1979). "An epidemiologic study of tennis elbow. Incidence, recurrence, and effectiveness of prevention strategie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7 (4): 234–238. doi:10.1177/036354657900700405. PMID 474862. S2CID 20360265.
- ^ a b "Tennis Elbow-Cap". The Lancet. 128 (3301): 1083. 1886. doi:10.1016/s0140-6736(00)49587-5.
- ^ Runge F (1873). "Zur Genese und Behandlung des Schreibekrampfes". Berliner Klin Wochenschr. 10: 245–248.
- ^ Renstrom PA (5 November 2013). "Elbow Injuries in Tennis". In Reilly T, Hughes M, Lees A (eds.). Science and Racket Sports. E & FN Spon. ISBN 978-0-419-18500-0.
- ^ Flatt AE (October 2008). "Tennis elbow". Proceedings. 21 (4): 400–402. doi:10.1080/08998280.2008.11928437. PMC 2566914. PMID 18982084.
- ^ Major HP (1883). "Lawn-tennis elbow". BMJ. 2 (1185): 556–558. doi:10.1136/bmj.2.1185.556. PMC 2372911.
- ^ Kaminsky SB, Baker CL (December 2003). "Lateral epicondylitis of the elbow". Techniques in Hand & Upper Extremity Surgery. 7 (4): 179–189. doi:10.1097/00130911-200312000-00009. PMID 16518219. S2CID 128648.
외부 링크
- Wilson JJ, Best TM (September 2005). "Common overuse tendon problems: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treatment". American Family Physician. 72 (5): 811–818. PMID 16156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