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언어손상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특정언어손상
전문신경학
치료언어병리학

아이들의 언어 일반적으로 발전하지 않는다 특정 언어 장애(SLI)(용어 개발 언어 장애 일부 사람들이 선호된다)[1]과 어려움을 위해 일반적으로 느린 속도로 계발이 연설 장치의 물리적 이상,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 실행해 뇌 손상이나 목적에 의해 설명할 수 없게 진단되는 병이다.ring 손실. 쌍둥이 연구는 그것이 유전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언어장애는 단일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지만,[2] 이것은 이례적이다. 더 일반적으로 SLI는 환경 영향뿐만 아니라 일반 모집단에서 발견되는 여러 유전적 변종의 결합 영향에서 발생한다.[3]

분류

특정 언어장애(SLI)는 아이가 뚜렷한 이유 없이 언어발달을 지연시키거나 질서정연하게 했을 때 진단된다.[4] 보통 SLI의 첫 번째 표시는 아이가 말을 시작할 때 평소보다 늦고, 그 후에 문장을 만들기 위해 단어를 함께 쓰는 것이 지연된다는 것이다. 구어는 미숙할 수도 있다. SLI를 사용하는 많은 어린이들에서는 언어에 대한 이해, 또는 수용적인 언어에 대한 이해도 손상되지만, 이것은 아이에게 공식적인 평가를 하지 않는 한 명백하지 않을 수 있다.[5]

복잡한 문장의 사용과 이해의 어려움이 SLI의 공통적인 특징이지만, 진단 기준은 광범위한 문제를 포괄하며, 일부 어린이의 경우 언어의 다른 측면에 문제가 있다(아래 참조). 일반적으로 SLI라는 용어는 학령기까지 언어적 어려움이 지속되는 아이들을 위한 것으로, 그래서 말하기가 늦은 유아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을 것이며, 대부분의 유아들은 늦은 시작 후에 그들의 또래 집단을 따라잡는다.[6]

용어.

어린이 언어 장애의 용어는 매우 광범위하고 혼란스러우며, 라벨이 중복되지만 반드시 동일한 의미는 아니다. 부분적으로 이러한 혼란은 SLI의 경계와 다른 하위 유형의 존재에 대한 불확실성을 반영한다. 역사적으로 SLI의 임상 사진과 함께 어린이를 묘사하기 위해 "발달성 실어증" 또는 "발달성 실어증"[7]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들은 대체로 폐기되었는데, 이는 성인 후천성 실어증과 유사하다는 것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SLI는 뇌 손상에 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citation needed]

현재 특정 언어 장애에 사용되고 있는 동의어로는 언어 장애, 발달 언어 지연(DLD), 언어 장애, 언어 학습 장애 등이 있다. 보니 브린튼 연구원은 "특정 언어 장애"라는 용어가 언어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읽기, 쓰기, 사회/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주장한다.[8]

의학계에서는 특정발달언어장애와 같은 용어가 자주 쓰이지만, 이것은 말이 많다는 단점이 있으며, SLI를 '장애'로 보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일부 사람들에게도 거부당하기도 한다. 영국 교육 시스템에서는 현재 음성, 언어, 의사소통 필요(SLCN)가 선택 용어지만, 이는 SLI보다 훨씬 광범위하며, 광범위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언어 및 언어 장애를 가진 아이들을 포함한다.[citation needed]

하위 유형(Rapin 및 Allen 1987)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SLI를 가진 아이들이 상당히 가변적이라는 것에 동의하지만, 어떻게 그들을 가장 잘 아우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9] 널리 받아들여지는 분류 체계가 없다. 1983년 라핀과 앨런은[10] 언어장애의 언어적 특징을 바탕으로 발달 언어장애의 분류를 제안했고, 이후 라핀에 의해 갱신되었다.[11] 라핀은 아동 신경과 의사로서, 그녀는 다른 하위 유형을 "신드롬"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교육이나 언어 치료의 관점에서 오는 많은 사람들은 이런 종류의 의학적인 라벨을 거부하며, SLI와 정상적인 변화 사이에 명확한 구분선이 없다고 주장한다.[12] 또한,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라핀 하위 유형의 특성을 가진 아이들이 식별될 수 있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분류하기가 덜 쉬운 경우가 많고, 또한 분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13]

라핀의 하위 그룹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뉜다.

수용성/표현성 발달 언어 장애

수용성/표현성 음성/합성적 결핍 증후군은 SLI의 가장 흔한 형태로서, 아이의 가장 명백한 문제는 짧고 단순화된 문장으로 말하는 경향이며, 과거 긴장된 문법적 특징과 같은 일부 문법적 특징이 누락된다.[14] 아이가 어릴 때 단순화된 언어 생산도 흔히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의 군집을 줄여 "끈"을 "팅"으로 발음할 수 있다. 어휘는 더 구체적인 단어보다는 "일반적인 다목적"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종종 제한적이다.[15][16]

언어 청각 장애는 매우 드문 형태의 언어 장애로, 아이가 소리를 이해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이는 일반적으로 란도-클레프너 증후군의 증상으로 발생하는데, 이 경우 언어의 어려움에 대한 신경학적 기원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SLI에 대한 진단이 적절하지 않을 것이다.

표현 발달 언어 장애 증후군

발달성 언어장애(DVD) – DVD를 소지한 아이의 경우 이해력이 충분하며, 언어의 시작은 매우 지연되고 극히 제한적이며, 음성 소리와 짧은 발음이 생성된다. 저조한 음성 생산은 관절기의 구조적 또는 신경학적 손상 측면에서 설명될 수 없다. 진단 기준에 대해서는 이견이 크지만 개별적인 소리나 음절을 낼 때와 비교해 복잡한 발음을 시도할 때 지능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어린이에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라벨이다.[citation needed]

또 다른 주요 특징은 말소리 연출의 불일치다. 비록 "Dyspracseia"라는 용어가 순수한 출력 장애를 암시하지만,[17] 이 아이들 중 다수는 음운학적 인식 과제와 같이 정신적으로 음성 소리를 조작하는 일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DVD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은 또한 전형적으로 주요한 읽고 쓸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고, 수용적언어 수준은 어휘와 문법 시험에서 좋지 않을 수 있다.[18]

음운론적 프로그래밍 결핍 증후군 – 아이는 길고 이해는 부족하며 전문용어처럼 들리는 말을 만들어 낸다. 라핀의 그룹 밖에서는 진단 프레임워크에서 일반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이 하위 유형에 대해 거의 쓰여지지 않았다.[citation needed]

고차 처리 장애

어휘적 적자 장애 – 아이는 단어 찾기 문제와 단어 입력에 어려움을 겪는다. 연결된 언어에 대한 이해력이 부족하다. 다시 말하지만, 널리 인식되지 않는 이 서브타입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실용적인 언어 장애 – 아이는 유창하고 적절한 표현으로 말을 한다. 언어의 내용은 이례적이다. 이해력이 지나치게 뛰어나고 언어 사용이 이상할 수 있다. 그 아이는 쉴 새 없이 수다를 떨며 대화의 순서를 바꾸거나 화제를 유지하는 데 서툴 수도 있다. 영국에서 실용언어장애(PLI)로 불리는 이 범주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SLI의 하위 유형인지, 자폐 스펙트럼의 일부인지, 아니면 별도의 조건인지에 대한 문제에 대해 논쟁이 집중되었다.[19] DSM-5에서 사회 의사소통 장애라는 용어가 도입되었다. 이것은 PLI에 해당한다.

다른 신경 발달 장애와의 관계

비록 교과서가 서로 다른 신경 발달 장애 사이에 분명한 경계를 긋지만, 그것들 사이에 겹치는 것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다.[20] SLI를 가진 많은 어린이들이 발달 난독증 진단 기준을 충족하고,[21] 다른 아이들은 자폐증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22]

프리젠테이션

관련 요인

수컷은 암컷보다 SLI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임상 표본에서, 영향을 받은 남성의 성비: 암컷의 성비는 약 3, 4:1이다.[23] 이 연관성의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성 염색체에서 유전자와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쁜 운동 기술은 SLI를 가진 아이들에게서 흔히 발견된다.[17] 비록 정량적 비교가 특정한 지역에서 뇌의 크기나 백색이나 회색의 상대적 비율의 차이를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 뇌 스캔은 보통 SLI를 가진 어린이들에게 명백한 이상을 드러내지 않는다.[24] 특이한 뇌혈관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25] 현재까지 SLI에 대한 일관된 "신경 서명"은 발견되지 않았다. SLI를 사용하는 어린이와 일반적으로 발달하는 어린이의 두뇌의 차이는 미묘하며 다른 신경 발달 장애에서 보이는 비정상적인 패턴과 중복될 수 있다.[26][27]

유전의

SLI가 강한 유전적 장애라는 것이 현재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28] 가장 좋은 증거는 쌍둥이에 대한 연구에서 나온다. 함께 자란 두 쌍둥이는 같은 가정환경에 노출되지만 언어능력은 근본적으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른 결과는 유전적으로 다른 이란성(비식별적) 쌍둥이를 거의 독점적으로 볼 수 있다. 일란성 쌍둥이는 같은 유전자를 공유하고 언어 능력이 훨씬 더 비슷한 경향이 있다.

일란성 쌍둥이의 SLI의 심각성과 지속성에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어 환경적 요인이 무질서의 진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정상 언어의 일란성 쌍둥이를 가진 SLI를 가진 아이를 발견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SLI는 보통 단일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현재의 증거는 언어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많은 다른 유전자가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으며, SLI 결과는 아이가 각각 작은 영향만 미칠 수 있는 위험 요인의 특히 해로운 조합을 물려받았을 때 나타난다.[29] 그러나 FOXP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언어와 관련된 신경 경로와 관련된 유전자를 조절하기 때문에 SLI의 발달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어 왔다.[29]

어린이들의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선택적으로 소수의 비유전적 요소만이 발견되었다. 대가족의 만년에 태어난 아이들은 일찍 태어난 아이들보다 더 큰 위험에 처해 있다.[30]

전반적으로, 유전적 돌연변이, 유전적 영향, 그리고 환경적 요인 모두가 SLI의 개발과 발현에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발을 단일 요인과 연관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러한 요인의 일부 또는 전체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29]

진단

SLI는 순전히 행동적 용어로 정의된다. SLI에 대한 생물학적 테스트는 없다. SLI 진단을 위해 충족해야 하는 세 가지 사항이 있다.

  • 아이는 언어의 어려움이 있어서 일상생활이나 학업 진보를 방해한다.
  • 다른 원인으로는 청력 손실, 일반적인 발달 지연, 자폐증, 말하기의 신체적 어려움 등의 측면에서 문제를 설명할 수 없다.
  • 표준화된 언어 테스트(평가, 이하 참조)의 수행이 연령 수준보다 현저히 낮음

이 마지막 기준이 어떻게 이행되는지에 대해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톰빈 외 연구진(1996)은 언어의 3개 영역(어법, 문법, 내레이션)에서 성과를 나타내는 5개의 종합 점수와 2개의 양형(계산 및 제작)에 근거하여 EpiSLI 기준을 제안했다. 두 개 이상의 종합 점수에서 하위 10%의 점수를 받은 아이들은 언어 장애를 가진 것으로 확인된다.[31]

평가

평가는 보통 아이의 간병인과의 인터뷰, 비정형 환경에서 아이의 관찰, 청력 테스트, 언어 및 비언어 능력에 대한 표준화된 테스트 등이 포함된다. 영어의 어학평가는 매우 다양하다. 일부는 언어언어 전문가(영국의 경우 열사 또는 SOLT, 미국 및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우 음성 언어 병리학자, SLP)에 의해 사용이 제한된다. SLI 진단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테스트 배터리는 CELF(Linical Evaluation of Language Fundership)이다. 부모나 교사가 완료할 수 있는 평가는 좀 더 심도 있는 평가가 필요할 수 있는 아동을 식별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GAPS(Grammar and Foonology Scription) 시험은 영국에서 개발되고 표준화 된 신속 (10분) 간편하고 정확한 선별 시험이다. 3;4~6;8세 아동에게 적합하며 전문직 종사자와 비전문직 종사자(부모 포함)가 함께 관리할 수 있으며,[32] 장애아동에 비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장애아동을 식별하는데 매우 정확함(98%정확도)을 입증했다.[33] 이것은 잠재적으로 광범위한 심사를 위한 실현 가능한 시험으로 만든다.

아동소통 체크리스트(CCC–2)는 학령기 아동의 언어능력 테스트에 적합한 학부모 설문지다. 언어 샘플과 같은 비공식 평가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절차는 예를 들어, 아이가 이중언어이고 표본이 단일언어 어린이인 경우, 주어진 시험의 규범적 표본이 특정 어린이에게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 유용하다. 그것은 또한 언어의 모든 측면(예: 의미론, 구문, 실용론 등)에 대한 생태학적으로 유효한 척도다.

언어 샘플을 완성하기 위해, SLP는 아이와 15분 정도 대화를 할 것이다. 그 샘플은 대화(Hadley, 1998) 또는 서술적 리텔일 수 있다. 서사 언어 샘플에서 SLP는 단어 없는 그림책(예: 개구리 어디있니?, 메이어, 1969년)을 사용하여 아이에게 이야기를 들려준 다음, 아이에게 그림을 사용하게 하고 그 이야기를 다시 들려준다.

언어 샘플은 일반적으로 언어 소프트웨어의 체계적 분석(SALT, Miller et al. 2012)과 같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필사한 후 분석한다. 예를 들어, SLP는 아이가 등장인물을 그들의 이야기에 소개하거나 바로 뛰어들지, 사건이 논리적인 순서를 따르는지, 그리고 서술에 주요 아이디어나 주제와 지원 세부사항이 포함되어 있는지 등을 찾을 수 있다.

개입

개입은 보통 언어 학습을 자극하기 위해 광범위한 기술을 사용하는 언어 치료사와 언어 치료사가 수행한다. 과거에는 모방유도 방법을 동원하여 문법 연습에 어린이를 시추하는 것이 유행했지만, 일상적 상황에 대한 일반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 명백해지면서 그러한 방법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언어구조의 발전을 강화하기 위한 현대의 접근방식은 의사소통의 자연스러운 에피소드에 개입되어 치료사가 이야기될 것을 지시하기보다는 아이의 말을 토대로 하는 '미유' 방법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문법음운학에만 집중하는 것에서 벗어나 아이들의 언어의 사회적 사용을 발전시키는 개입으로, 종종 언어 장애가 있는 또래들뿐만 아니라 전형적으로 발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소규모 그룹에서 일한다.[34]

교정조치에 대한 현대적인 접근방식이 과거와 다른 또 다른 방법은 부모들이 특히 미취학 아동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다.[35]

탈랄과 동료들은 언어와 청각 처리의 특정 요소에 대한 장기적이고 집중적인 훈련을 수반하는 컴퓨터 기반의 개입인 Fast ForWord를 고안해 냈다.[36] 이 접근법의 기초가 되는 이론은 언어의 어려움은 시간적 차원에서 미세한 청각적 변별을 하지 못하여 발생하며, 컴퓨터화된 훈련 자료는 지각의 예민함을 날카롭게 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모든 유형의 개입에 대해 임상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하게 통제된 실험은 거의 없다.[37] 일반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곳에서는 더 많은 긍정적인 결과가 보고되었지만 결과는 실망스러웠다.[38][39] 2010년에는 FastForword 접근방식을 평가하는 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발표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한 이득은 보고되지 않았다.[40]

결과

종적 연구는 SLI를 사용하는 4세 어린이의 약 40%에서 5년 동안 문제가 주로 해결된다는 것을 보여준다.[41] 그러나, 여전히 학교 입학에서 상당한 언어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린이들에게, 심지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어린이들에게도, 낮은 수준의 읽고 쓰는 능력이 보통이고,[42] 교육적 성취도는 전형적으로 좋지 않다.[43] 표현형 언어뿐만 아니라 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부진한 결과가 가장 흔하다.[44] SLI를 가진 아이들의 비언어 IQ가 발달 과정에서 감소한다는 증거도 있다.[45]

SLI는 높은 정신 질환 비율과 관련이 있다.[46] 예를 들어 콘티-람스든과 보팅(2004)은 SLI가 있는 11세 아동 표본의 64%가 정신 질환에 대한 설문지에서 임상 임계값을 초과했고, 36%가 정기적으로 괴롭힘을 당했다고 밝혔다.[47] 장기적으로는 SLI를 가진 아이들의 성인 결과에 대한 연구는 실업률, 사회적 고립, 정신 질환의 증가율을 발견한다.[48]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심각한 문제를 가진 아이들에게 초점을 맞췄는데, 그 곳에서 이해력과 표현력이 영향을 받았다. 더 나은 결과는 더 가벼운 어려움을 가지고 있고 특별한 교육적 제공을 요구하지 않는 어린이들에게 발견된다.[49]

유병률

미국과[50] 캐나다의 역학 조사는 5세 어린이들의 SLI 유행을 약 7%로 추정했다.[51] 그러나 두 연구 모두 정신장애 진단통계 매뉴얼 또는 ICD-10의 엄격한 "점수" 기준을 채택하지 않았다. SLI는 아이가 표준 언어 시험에서 컷오프 이하의 점수를 받았으나 비언어 IQ가 90 이상이고 다른 제외 기준이 없는 경우 진단되었다.

리서치

많은 연구는 무엇이 어떤 어린이들에게 언어 학습을 그렇게 어렵게 만드는지를 알아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큰 차이는 난이도를 청각 시간 처리의 낮은 수준의 문제로 돌리는 이론과 [52][53]전문화된 언어 학습 시스템에 적자가 있다고 주장하는 이론들 사이에 있다.[54][55] 다른 회계는 기억력의 특정 측면에서의 결손을 강조한다.[56][57][58][59][60] 이론은 항상 뚜렷한 예측을 하지 않고 SLI를 가진 아이들 사이에서는 상당한 이질성이 있기 때문에 둘 중 하나를 선택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SLI는 둘 이상의 기초적자가 존재할 때만 발생할 수 있다는 제안도 나왔다.[61][62][63]

참고 항목

참조

  1. ^ Bishop DV, Snowling MJ, Thompson PA, Greenhalgh T (October 2017). "Phase 2 of CATALISE: a multinational and multidisciplinary Delphi consensus study of problems with language development: Termin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58 (10): 1068–1080. doi:10.1111/jcpp.12721. PMC 5638113. PMID 28369935.
  2. ^ Lai CS, Fisher SE, Hurst JA, Vargha-Khadem F, Monaco AP (October 2001). "A forkhead-domain gene is mutated in a severe speech and language disorder". Nature. 413 (6855): 519–23. Bibcode:2001Natur.413..519L. doi:10.1038/35097076. PMID 11586359. S2CID 4421562.
  3. ^ Bishop DV (2002-07-01). "The role of genes in the etiology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 (4): 311–28. doi:10.1016/S0021-9924(02)00087-4. PMID 12160351.
  4. ^ Bishop D, Norbury CF (2008).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 Thapar A, Rutter M, Bishop D, Pine D, Scott SM, Stevenson J, Taylor E (eds.). Rutter'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Oxford: Wiley-Blackwell. pp. 782–801. ISBN 978-1-4051-4549-7. OCLC 473789535.
  5. ^ Bishop D (1997). Uncommon understanding: development and disorders of language comprehension in children. East Sussex: Psychology Press. ISBN 978-0-86377-260-3. OCLC 776282908.
  6. ^ Thal DJ, Katich J (1996). "Predicaments in early identification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 does the early bird always catch the worm?". In Thal DJ, Cole KN, Dale PS (eds.). Assessment of Communication and Language (Communication and Language Intervention Series). Brookes Publishing Company. pp. 1–28. ISBN 978-1-55766-193-7. OCLC 34772171.
  7. ^ Ingram TT, Reid JF (June 1956). "Developmental aphasia observed in a department of child psychiatry".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31 (157): 161–72. doi:10.1136/adc.31.157.161. PMC 2011959. PMID 13328151.
  8. ^ Fujiki M, Spackman MP, Brinton B, Hall A (June 2004). "The relationship of language and emotion regulation skills to reticence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7 (3): 637–46. doi:10.1044/1092-4388(2004/049). PMID 15212574.
  9. ^ Bishop DV (2004).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diagnostic dilemma". In Van Balkom H, Verhoeven, LT (eds.). Classification of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theoretical issues and clinical implication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pp. 309–326. ISBN 978-1-4106-0902-1. OCLC 53721852.
  10. ^ Rapin I, Allen D (1983).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nosologic considerations.". In Kirk U (ed.). Neuropsychology of language, reading, and spelling. New York: Academic Press. pp. 155–184.
  11. ^ Rapin I (September 1996). "Practitioner review: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a clinical updat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37 (6): 643–55. doi:10.1111/j.1469-7610.1996.tb01456.x. PMID 8894945.
  12. ^ Dale PS, Cole KN (April 1991). "What's normal?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an individual differences perspective".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22 (2): 80–83. doi:10.1044/0161-1461.2202.80.
  13. ^ Conti-Ramsden G, Botting N (October 1999). "Classifica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longitudinal consideration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5): 1195–204. doi:10.1044/jslhr.4205.1195. PMID 10515515.
  14. ^ Leonard LB (1998).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ss: The MIT Press. ISBN 978-0-585-27859-9. OCLC 45728290.
  15. ^ Rice ML, Bode J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37): 113–131. doi:10.1177/014272379301303707. ISSN 0142-7237. S2CID 144261715.
  16. ^ Leonard LB (May 2009). "Is expressive language disorder an accurate diagnostic category?".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8 (2): 115–23. doi:10.1044/1058-0360(2008/08-0064). PMC 2718760. PMID 19029534.
  17. ^ a b Hill EL (2001). "Non-specific nature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with regard to concomitant motor impairments" (PDF).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36 (2): 149–71. doi:10.1080/13682820010019874. PMID 11344592.
  18. ^ Wells B, Stackhouse J (1997). Children's speech and literacy difficulties: a psycholinguistic framework. San Diego, Calif: Singular Pub. Group. ISBN 978-1-86156-030-8. OCLC 246491090.
  19. ^ Bishop DV (2000).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a correlate of SLI, a distinct subgroup, or part of the autistic continuum?". In Bishop DV, Leonard LB (eds.).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 Children: Causes, Characteristics, Intervention and Outcome. Hove, UK: Psychology Press. pp. 99–113.
  20. ^ Bishop D, Rutter M (2008).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conceptual approaches.". In Thapar A, Rutter M, Bishop D, Pine D, Scott SM, Stevenson J, Taylor E (eds.). Rutter'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Oxford: Blackwell. pp. 32–41.
  21. ^ Bishop DV, Snowling MJ (November 2004). "Developmental dyslexia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ame or different?". Psychological Bulletin. 130 (6): 858–86. doi:10.1037/0033-2909.130.6.858. PMID 15535741.
  22. ^ Bishop DV (2008).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dyslexia, and autism: Using genetics to unravel their relationship.". In Norbury CF, Tomblin JB, Bishop DV (eds.). Understanding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from theory to practice. Hove: Psychology Press. pp. 67–78.
  23. ^ Robinson RJ (November 1991). "Causes and associations of severe and persistent specific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in children".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33 (11): 943–62. doi:10.1111/j.1469-8749.1991.tb14811.x. PMID 1720749. S2CID 7412606.
  24. ^ Jernigan TL, Hesselink JR, Sowell E, Tallal PA (May 1991). "Cerebral structure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language- and learning-impaired children". Archives of Neurology. 48 (5): 539–45. doi:10.1001/archneur.1991.00530170103028. PMID 2021369.
  25. ^ Jackson T, Plante E (June 1996). "Gyral morphology in the posterior Sylvian region in families affected by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Neuropsychology Review. 6 (2): 81–94. doi:10.1007/bf01875369. PMID 8976499. S2CID 30948122.
  26. ^ Herbert MR, Kenet T (June 2007). "Brain abnormalities in language disorders and in autism".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54 (3): 563–83, vii. doi:10.1016/j.pcl.2007.02.007. PMID 17543910.
  27. ^ Bishop DV (September 2010). "Overlaps between autism and language impairment: phenomimicry or shared etiology?". Behavior Genetics. 40 (5): 618–29. doi:10.1007/s10519-010-9381-x. PMC 2921070. PMID 20640915.
  28. ^ Bishop DV (October 2006). "What Cause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Childre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5 (5): 217–221. doi:10.1111/j.1467-8721.2006.00439.x. PMC 2582396. PMID 19009045.
  29. ^ a b c Bishop DV (March 2009). "Genes, cognition, and communication: insights from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156: 1–18. Bibcode:2009NYASA1156....1B. doi:10.1111/j.1749-6632.2009.04419.x. PMC 2805335. PMID 19338500.
  30. ^ Garside RF, Fundudis T, Kolvin I (1979). Speech retarded and deaf children : their psychological development. Boston: Academic Press. ISBN 978-0-12-270150-4. OCLC 6308388.
  31. ^ Tomblin JB, Records NL, Zhang X (December 1996). "A system for the diagnosis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kindergarten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6): 1284–94. doi:10.1044/jshr.3906.1284. PMID 8959613.
  32. ^ Gardner H, Froud K, McClelland A, van der Lely HK (2006). "Development of the Grammar and Phonology Screening (GAPS) test to assess key markers of specific language and literacy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41 (5): 513–40. CiteSeerX 10.1.1.110.4964. doi:10.1080/13682820500442644. PMID 17050469.
  33. ^ van der Lely HK, Payne E, McClelland A (2011). "An investigation to validate the grammar and phonology screening (GAPS) test to identify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PLOS ONE. 6 (7): e22432. Bibcode:2011PLoSO...622432V. doi:10.1371/journal.pone.0022432. PMC 3145645. PMID 21829461.
  34. ^ Gallagher T (1996). "Social-interactional approaches to child language intervention.". In Beitchman J, Cohen NJ, Konstantareas MM, Tannock R (eds.). Language, Learning and Behavior Disorders: Developmental, Biological and Clinical Perspectiv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93–514.
  35. ^ Tannock R, Girolametto L (1992). "Reassessing parent-focused intervention programs.". In Warren SF, Reichle J (eds.). Causes and effects in communication and language intervention. Baltimore MD: Paul Brooks. pp. 49–81.
  36. ^ Tallal P (2000). "Experimental studies of language learning impairments: From research to remediation.". In Bishop DV, Leonard LB (eds.).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in Children: Causes, Characteristics, Intervention and Outcome. Hove, UK: Psychology Press. pp. 131–155.
  37. ^ Law J, Garrett Z, Nye C (August 2004). "The efficacy of treatment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speech and language delay/disorder: a meta-analysi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7 (4): 924–43. doi:10.1044/1092-4388(2004/069). PMID 15324296. S2CID 10725720.
  38. ^ Glogowska M, Roulstone S, Enderby P, Peters TJ (October 2000).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community based speech and language therapy in preschool children". BMJ. 321 (7266): 923–6. doi:10.1136/bmj.321.7266.923. PMC 27499. PMID 11030677.
  39. ^ Bryne-Saricks MC (1987). "Treatment of language disorders in children: a review of experimental studies.". In Winitz H (ed.). Human Communication and its Disorders. Norwood, N.J: Ablex Publishing. pp. 167–201.
  40. ^ Strong GK, Torgerson CJ, Torgerson D, Hulme C (March 2011). "A systematic meta-analytic review of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Fast ForWord'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52 (3): 224–35. doi:10.1111/j.1469-7610.2010.02329.x. PMC 3061204. PMID 20950285.
  41. ^ Bishop DV, Edmundson A (May 1987). "Language-impaired 4-year-olds: distinguishing transient from persistent impairment". Th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2 (2): 156–73. doi:10.1044/jshd.5202.156. PMID 3573746.
  42. ^ Catts HW, Fey ME, Tomblin JB, Zhang X (December 2002).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reading outcomes in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5 (6): 1142–57. doi:10.1044/1092-4388(2002/093). PMID 12546484. S2CID 27888843.
  43. ^ Snowling MJ, Adams JW, Bishop DV, Stothard SE (2001). "Educational attainments of school leavers with a preschool history of speech-language impai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36 (2): 173–83. doi:10.1080/13682820120976. PMID 11344593.
  44. ^ Simkin E, Conti-Ramsden G (2006). "Evidence of reading difficulty in subgroup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hild Language Teaching and Therapy. 22 (3): 315–331. doi:10.1191/0265659006ct310xx. ISSN 0265-6590. S2CID 145300877.
  45. ^ Botting N (March 2005). "Non-verbal cognitive development and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46 (3): 317–26. doi:10.1111/j.1469-7610.2004.00355.x. PMID 15755307.
  46. ^ Cohen N (2001). Language impairment and psychopathology in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ISBN 978-0-7619-2025-0. OCLC 45749780.
  47. ^ Conti-Ramsden G, Botting N (February 2004). "Social difficulties and victimization in children with SLI at 11 years of ag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7 (1): 145–61. doi:10.1044/1092-4388(2004/013). PMID 15072535.
  48. ^ Clegg J, Hollis C, Mawhood L, Rutter M (February 2005).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a follow-up in later adult life. Cognitive, language and psychosocial outcom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46 (2): 128–49. doi:10.1111/j.1469-7610.2004.00342.x. PMID 15679523.
  49. ^ Snowling MJ, Bishop DV, Stothard SE, Chipchase B, Kaplan C (August 2006). "Psychosocial outcomes at 15 years of children with a preschool history of speech-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47 (8): 759–65. doi:10.1111/j.1469-7610.2006.01631.x. PMID 16898989.
  50. ^ Tomblin JB, Records NL, Buckwalter P, Zhang X, Smith E, O'Brien M (December 1997). "Prevalence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kindergarten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6): 1245–60. doi:10.1044/jslhr.4006.1245. PMC 5075245. PMID 9430746.
  51. ^ Johnson CJ, Beitchman JH, Young A, Escobar M, Atkinson L, Wilson B, et al. (June 1999). "Fourteen-year follow-up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language impairments: speech/language stability and outcom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3): 744–60. doi:10.1044/jslhr.4203.744. PMID 10391637.
  52. ^ Ceponiene R, Cummings A, Wulfeck B, Ballantyne A, Townsend J (September 2009). "Spectral vs. temporal auditory processing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 developmental ERP study". Brain and Language. 110 (3): 107–20. doi:10.1016/j.bandl.2009.04.003. PMC 2731814. PMID 19457549.
  53. ^ Tallal P (September 2004). "Improving language and literacy is a matter of time". Nature Reviews. Neuroscience. 5 (9): 721–8. doi:10.1038/nrn1499. PMID 15322530. S2CID 1702681.
  54. ^ Rice ML, Wexler K, Cleave PL (August 1995).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s a period of extended optional infinitiv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4): 850–63. doi:10.1044/jshr.3804.850. PMID 7474978. S2CID 14673508.
  55. ^ van der Lely HK (February 2005). "Domain-specific cognitive systems: insight from Grammatical-SLI".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9 (2): 53–9. doi:10.1016/j.tics.2004.12.002. PMID 15668097. S2CID 54374098.
  56. ^ Lum JA, Gelgic C, Conti-Ramsden G (2010). "Procedural and declarative memory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45 (1): 96–107. doi:10.3109/13682820902752285. PMC 2826154. PMID 19900077.
  57. ^ Ullman MT, Pierpont EI (June 2005).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s not specific to language: the procedural deficit hypothesis". Cortex; A Journal Devoted to the Study of the Nervous System and Behavior. 41 (3): 399–433. CiteSeerX 10.1.1.211.8238. doi:10.1016/s0010-9452(08)70276-4. PMID 15871604. S2CID 1027740.
  58. ^ Montgomery JW (2003). "Working memory and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hat we know so far".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6 (3): 221–31. doi:10.1016/S0021-9924(03)00021-2. PMID 12742669.
  59. ^ Montgomery JW, Magimairaj BM, Finney MC (February 2010). "Working memory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 update on the relation and perspectives on assessment and treatment".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1): 78–94. doi:10.1044/1058-0360(2009/09-0028). PMID 19948760.
  60. ^ Gathercole SE, Baddeley AD (1990). "Phonological memory deficits in language disordered children: Is there a causal connection?".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29 (3): 336–360. doi:10.1016/0749-596X(90)90004-J. ISSN 0749-596X.
  61. ^ Coady JA, Evans JL (2008). "Uses and interpretations of non-word repetition tasks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SLI)".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43 (1): 1–40. doi:10.1080/13682820601116485. PMC 5524521. PMID 18176883.
  62. ^ Hsu HJ, Bishop DV (January 2011). "Grammatical Difficulties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s Learning Deficient?". Human Development. 53 (5): 264–277. doi:10.1159/000321289. PMC 3191529. PMID 22003258.
  63. ^ Bishop DV (July 2006). "Developmental cognitive genetics: how psychology can inform genetics and vice versa".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59 (7): 1153–68. doi:10.1080/17470210500489372. PMC 2409179. PMID 16769616.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