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폴리 포위전(1271)
Siege of Tripoli (1271)1271년 트리폴리 포위전은 맘루크 지배자 바이바르스가 안티오키아 공국과 보헤몬드 6세의 트리폴리 군 프랑크 통치자에 대항하여 시작되었다. 1268년 안티오크가 극적으로 몰락한 데 이어, 마름루크족이 십자군 국가인 안티오크와 트리폴리를 완전히 파괴하려는 시도였다.
배경
13세기 중엽 십자군은 꾸준히 설 자리를 잃고 있었으며, 남쪽에서 이집트 맘루크군의 진격군과 동쪽에서 진격하는 몽골제국 사이에 압제되어 서쪽에서 유럽으로부터 도착하는 원조가 불충분했다. 1260년경, 보헤몬드 6세는 장인인 아르메니아의 헤툼 1세의 영향을 받아 몽골 제국에 안티오크와 트리폴리를 제출하여 몽골군에 군대를 기부한 속국이 되어 무슬림과의 전투에 참가하였다. 몽고군은 페르시아와 시리아에서 극적인 승리를 거두어 아바시드와 아유비드 칼리파이트를 사실상 무너뜨리고, 카이로의 이집트 맘루크족으로 이슬람권력의 이변을 일으켰다. 그러나 몽골군이 팔레스타인을 통해 이집트를 향해 남쪽으로 계속 진격하기 전에, 몽골 왕자들이 새로운 대칸을 결정하기 위해 카라코룸에 소집되었기 때문에, 계승 위기로 인해 대다수의 병력이 철수되었다. 시리아를 점령하고 팔레스타인을 통해 습격을 할 수 있는 소규모의 병력이 남아 있었으나, 십자군과 맘루크는 휴전을 벌였고, 이로 인해 맘루크족이 십자군 영토를 통해 북쪽으로 진격하고, 1260년 아인 잘루트 전투에서 약화된 몽골군과 교전할 수 있다. 1262년 몽골군의 대다수가 돌아왔을 때, 그들은 결코 패배의 원수를 갚지 못했다. 한편 맘루크족은 남은 레반트족을 십자군 손에서 되찾기 위해 진격했다. 예루살렘은 1244년 후레짐 투르크족에 의해 함락되었고, 이집트 맘루크족은 성을 따라 성을 점령하며 북쪽으로 나아갔다.
1268년 이집트 맘루크족이 안티오크를 포위하여 점령하고 보헤몬드는 트리폴리만 남게 되었다. 그 다음 바이바르스는 트리폴리를 향해 시선을 돌렸고, 보헤몬드에게 서신을 보내 그를 전멸시키겠다고 위협하고, 몽골의 통치자 아바카와의 동맹에 대해 조롱했다.
우리의 노란 깃발은 당신의 붉은 깃발을 물리쳤고, 종소리는 "Allh Akbar!" (...) 당신의 벽과 당신의 교회들에게 경고하라. 우리의 포위 기계는 곧 그들을 상대할 것이고, 당신의 기사들은 곧 우리의 칼이 그들의 집에 자신을 초대할 것이다. (...) 우리는 그때 아바그하와 당신의 동맹이 어떤 소용이 있는지 보게 될 것이다.
— Letter from Baibars to Bohemond VI, 1271[1]
보헤몬드는 트리폴리도 잃지 않기 위해 휴전을 간청했다. 바이바르는 용기가 부족하다고 비웃으며 맘루크 캠페인의 모든 비용을 그에게 지불하라고 했다. 보헤몬드는 그 제의를 거절할 만큼 자존심이 남아 있었다. 이때쯤이면 맘루크족은 프랑크족의 내륙의 모든 성을 함락시켰지만, 맘루크족은 훗날 영국의 에드워드 1세가 될 왕자를 필두로 제9차 십자군이 도래했다는 보고를 들었다. 에드워드는 1271년 5월 9일 에이커에 상륙하여 곧 보헤몬드와 그의 사촌인 키프로스 왕 휴와 예루살렘에 합류하였다.[2]
따라서 바이바르스는 5월 보헤몬드의 휴전 제의를 받아들여 트리폴리의 포위를 포기하고 대신 향후 전투를 예상하고 다마스 지역에 병력을 집중시켰다. 에드워드는 몽고인들과 자신의 행동을 조정하려 했으나 몽고인들이 내부 갈등으로 바빴고, 에드워드 자신의 세력도 매우 작고 상당히 비효율적이었다. 따라서 그는 영국으로 돌아가기 전에 맘루크족과 자신의 휴전 협상을 하기로 결정했다.
여파
다음으로 트리폴리에 대한 주요 공세는 1289년 맘루크 술탄 칼라윈이 트리폴리 함락과 십자군 국가 파괴를 성공적으로 지휘하였다. 그 후 그는 마지막 주요 십자군의 거점인 생장 다크레를 점령할 계획을 세웠으나 1290년에 사망했다. 아크레의 몰락은 1291년 칼라운의 아들 알 아슈라프 칼릴에 의해 달성되었다.
메모들
참조
- 르네 그루셋, 히스토아르 데 크로아데스 3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