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도코쿠스 에퀴

Rhodococcus equi
로도코쿠스 에퀴
Rhodococcus species.jpg
과학적 분류
도메인:
망울:
클래스:
순서:
패밀리:
속:
종:
로도코쿠스 에퀴

(Magnusson 1923) Goodfellow & Alderson 1977

로도코커스 에키는 그램 양성 코코바실러스 박테리아다. 이 유기체는 건조하고 먼지가 많은 토양에서 흔히 발견되며 길들여진 동물(코르기와 염소)의 질병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감염 빈도는 거의 60%에 이를 수 있다.[1] R. equi폐렴을 유발하는 중요한 병원체다. 2008년부터 R. equi멧돼지국내 돼지를 감염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2] R. equi는 인간을 감염시킬 수 있다. 위험에 처한 그룹은 면역 결핍 바이러스 환자나 이식 수혜자와 같은 면역억제자들이다. 이들 환자의 로도코쿠스 감염은 폐결핵의 임상적, 병리적 징후와 유사하다. 그것은 세포내 기능이다.[3]

호스트

바이럴런스

말에서 가장 흔한 감염 경로는 오염된 먼지 입자를 흡입하는 것이다. 흡입된 치명적인 R. equi 변종은 치경 대식세포에 의해 치조세포화된다. 정상적인 혈소판증 동안 박테리아는 포고솜둘러싸여 있는데, 이것은 리소솜과 결합하여 포고솜이 된다. 포골리소솜의 내부 환경은 핵과 프로테아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구획의 낮은 pH에 의해 활성화된다. 대식세포는 호흡기 폭발에 따른 박테리아성 화합물(예: 산소산소)을 생성한다. 그러나, 가까운 친척인 마이코박테리움 결핵처럼, R.에퀴는 포고솜과 포고솜의 리소솜의 융합과 산성화를 방지한다.[4][5][6] 또한 호흡기 폭발도 억제된다. 이것은 R.[7] equi가 pagosome 내에서 그것을 죽이기로 되어 있던 바로 그 세포에 의해 면역계로부터 보호되는 것을 증식할 수 있게 한다. 약 48시간 후에 대식세포는 사멸이 아닌 괴사에 의해 죽는다.[8] 괴사는 친염증이며, 추가적으로 포고세포가 감염 부위로 유입되어 결국 막대한 조직 손상을 초래한다.

처녀자리 플라스미드

모든 변종은 포아로부터 격리되고 대부분의 인간, 소, 돼지는 큰 플라스미드를 함유하고 있다. 이 플라스미드는 포아의 감염에 필수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아마도 이것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지만 다른 숙주의 감염에도 유사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이다. 독성 플라스미드가 부족한 변종은 대식세포에서 증식할 수 없다. 이 독성 플라스미드는 전자가 기능적으로 특징지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등각과 포카인 변종에서 상세하게 특징지어졌다.[9][10] 이 원형 플라스미드는 플라스미드의 복제와 박테리아적 결합을 담당하는 보존된 등뼈로 구성된다. 플라스미드의 이 부분은 매우 보존되어 있고 비병원성 로도코치 플라스미드에서 발견된다. 보존된 지역 외에도, 변성성 플라스미드는 뒤집힘삭제 등 상당한 유전적 재배열을 거친 매우 가변적인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 부위는 플라스미드의 나머지 부분과는 다른 GC 함량을 가지며, 이동 유전 원소와 관련된 유전자가 측면에 있다. 따라서 그것은 측면 유전자 전이를 통해 플라스미드의 등뼈와는 다른 박테리아 종에서 유래된 것으로 가정한다.

병원성 섬

독성 플라스미드의 가변 부위는 대식세포에 의한 R. equi의 포고세포 분열에 따른 고도로 발현되는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다.[11] 이 가변 지역은 병균에 필수적인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병원성 섬으로 여겨진다.

병균섬(PAI)의 특징은 그 안에 있는 많은 유전자들이 다른 종에서 동질감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독성 관련 단백질(vap) 유전자다. R. equi에 감염된 모든 포아는 특징지어지는 첫 번째 증기 유전자인 증기 A에 특정한 높은 수준의 항체를 생산한다. 증기를 제거하면 그 결과 발생하는 변종이 파괴된다.[12] PAI는 증기와 더불어 5개의 전신증기 호몰로게이션, 1개의 잘린 증기유전자, 2개증기 유사생물을 추가로 암호화한다. PAI는 5개의 전신증기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apvA 호몰로뉴, apvB가 포함된다. PAI는 이러한 독특한 유전자 외에도 알려진 기능을 가진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데, 특히 라이스R형 조절기 VirR과 반응 조절기 Orf8을 인코딩하는 두 가지 조절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 두 단백질은 증기를 포함한 다수의 PAI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3] 다른 유전자들은 단백질과 효소를 운반하기 위한 동질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자의 기능이나 PAI 내에 암호화된 단백질이 대식세포의 분열을 어떻게 하는지는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분류논쟁

이 유기체는 일반적으로 로도코커스 에퀴로 알려져 있지만, 이 이름이[14] 유효한 이름인지에 대해서는 1980년대 이후 분류학적으로 논쟁이 있어 로도코커스 호아지이프레스코텔라 에퀴가 둘 다 공식적인 대체 명칭으로 제안되었다.[15] 다른 이름으로는 노초음 제한, [14]코리네박테리움 에퀴,[16] 바실러스 호아지,[16] 코리네박테리움 푸란티우스,[16] 마이코박테리움 에퀴,[16] 마이코박테리움 제한,[16] 프로락틴미세스 제한 등이 있다.[16]

참조

  1. ^ Muscatello, G; Leadon, DP; Klayt, M; Ocampo-Sosa, A; Lewis, DA; Fogarty, U; Buckley, T; Gilkerson, JR; Meijer, WG; Vazquez-Boland, JA (September 2007). "Rhodococcus equi infection in foals: the science of 'rattles'". Equine Veterinary Journal. 39 (5): 470–8. doi:10.2746/042516407X209217. PMID 17910275.
  2. ^ Makrai, L; Kobayashi, A; Matsuoka, M; Sasaki, Y; Kakuda, T; Dénes, B; Hajtós, I; Révész, I; Jánosi, K; Fodor, L; Varga, J; Takai, S (15 October 2008). "Isol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Rhodococcus equi from submaxillary lymph nodes of wild boars (Sus scrofa)". Veterinary Microbiology. 131 (3–4): 318–23. doi:10.1016/j.vetmic.2008.04.009. PMID 18499361.
  3. ^ Kelly, B. G.; Wall, D. M.; Boland, C. A.; Meijer, W. G. (2002). "Isocitrate lyase of the facultative intracellular pathogen Rhodococcus equi". Microbiology. 148 (Pt 3): 793–798. doi:10.1099/00221287-148-3-793. PMID 11882714.
  4. ^ von Bargen, K; Polidori, M; Becken, U; Huth, G; Prescott, JF; Haas, A (December 2009). "Rhodococcus equi virulence-associated protein A is required for diversion of phagosome biogenesis but not for cytotoxicity". Infection and Immunity. 77 (12): 5676–81. doi:10.1128/IAI.00856-09. PMC 2786453. PMID 19797071.
  5. ^ Fernandez-Mora, E; Polidori, M; Lührmann, A; Schaible, UE; Haas, A (August 2005). "Maturation of Rhodococcus equi-containing vacuoles is arrested after completion of the early endosome stage". Traffic. 6 (8): 635–53. doi:10.1111/j.1600-0854.2005.00304.x. PMID 15998320. S2CID 30122137.
  6. ^ Sydor, T; von Bargen, K; Hsu, FF; Huth, G; Holst, O; Wohlmann, J; Becken, U; Dykstra, T; Söhl, K; Lindner, B; Prescott, JF; Schaible, UE; Utermöhlen, O; Haas, A (March 2013). "Diversion of phagosome trafficking by pathogenic Rhodococcus equi depends on mycolic acid chain length". Cellular Microbiology. 15 (3): 458–73. doi:10.1111/cmi.12050. PMC 3864644. PMID 23078612.
  7. ^ Hondalus, MK; Mosser, DM (October 1994). "Survival and replication of Rhodococcus equi in macrophages". Infection and Immunity. 62 (10): 4167–75. doi:10.1128/IAI.62.10.4167-4175.1994. PMC 303092. PMID 7927672.
  8. ^ Lührmann, A; Mauder, N; Sydor, T; Fernandez-Mora, E; Schulze-Luehrmann, J; Takai, S; Haas, A (February 2004). "Necrotic death of Rhodococcus equi-infected macrophages is regulated by virulence-associated plasmids". Infection and Immunity. 72 (2): 853–62. doi:10.1128/iai.72.2.853-862.2004. PMC 321572. PMID 14742529.
  9. ^ Letek, M; Ocampo-Sosa, AA; Sanders, M; Fogarty, U; Buckley, T; Leadon, DP; González, P; Scortti, M; Meijer, WG; Parkhill, J; Bentley, S; Vázquez-Boland, JA (September 2008). "Evolution of the Rhodococcus equi vap pathogenicity island seen through comparison of host-associated vapA and vapB virulence plasmids". Journal of Bacteriology. 190 (17): 5797–805. doi:10.1128/JB.00468-08. PMC 2519538. PMID 18606735.
  10. ^ Takai, S; Hines, SA; Sekizaki, T; Nicholson, VM; Alperin, DA; Osaki, M; Takamatsu, D; Nakamura, M; Suzuki, K; Ogino, N; Kakuda, T; Dan, H; Prescott, JF (December 2000). "DNA sequence and comparison of virulence plasmids from Rhodococcus equi ATCC 33701 and 103". Infection and Immunity. 68 (12): 6840–7. doi:10.1128/iai.68.12.6840-6847.2000. PMC 97788. PMID 11083803.
  11. ^ Ren, J; Prescott, JF (1 July 2003). "Analysis of virulence plasmid gene expression of intra-macrophage and in vitro grown Rhodococcus equi ATCC 33701". Veterinary Microbiology. 94 (2): 167–82. doi:10.1016/S0378-1135(03)00099-3. PMID 12781484.
  12. ^ Jain, S; Bloom, BR; Hondalus, MK (October 2003). "Deletion of vapA encoding Virulence Associated Protein A attenuates the intracellular actinomycete Rhodococcus equi". Molecular Microbiology. 50 (1): 115–28. doi:10.1046/j.1365-2958.2003.03689.x. PMID 14507368. S2CID 42313934.
  13. ^ Russell, DA; Byrne, GA; O'Connell, EP; Boland, CA; Meijer, WG (September 2004). "The LysR-type transcriptional regulator VirR is required for expression of the virulence gene vapA of Rhodococcus equi ATCC 33701". Journal of Bacteriology. 186 (17): 5576–84. doi:10.1128/JB.186.17.5576-5584.2004. PMC 516814. PMID 15317761.
  14. ^ a b Garrity, GM (January 2014). "Conservation of Rhodococcus equi (Magnusson 1923) Goodfellow and Alderson 1977 and rejection of Corynebacterium hoagii (Morse 1912) Eberson 1918".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64 (Pt 1): 311–2. doi:10.1099/ijs.0.059741-0. PMID 24408953.open access
  15. ^ Goodfellow, M; Sangal, V; Jones, AL; Sutcliffe, IC (September 2015). "Charting stormy waters: A commentary on the nomenclature of the equine pathogen variously named Prescottella equi, Rhodococcus equi and Rhodococcus hoagii". Equine Veterinary Journal. 47 (5): 508–509. doi:10.1111/evj.12399. PMID 25912143.
  16. ^ a b c d e f Berman, Jules J. (2012). Taxonomic guide to infectious diseases : understanding the biologic classes of pathogenic organisms. London: Elsevier/Academic Press. p. 266. ISBN 978-0-12-415895-5.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