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트라세아 페에투스

Publius Clodius Thrasea Paetus
표도르 브론니코프(Fyodor Bronnikov)의 스라세아 파에토 상원의원에게 사형선고를 낭독하는 퀴스터

서기 1세기에 살았던 로마상원의원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트라세아 파에토(Died 66년)가 있다. 네로 황제에 대한 원칙적인 반대와 스토이즘에 대한 관심으로 유명한 그는 A씨의 딸인 아리아씨의 남편이었다. 카에시나 페에토스와 장로 아리아, 헬비디우스 프리수스의 장인, 시인 페르시우스의 결혼에 의한 친구 및 친척. 트라세아는 오늘날 스토아 야당으로 알려진 정파의 가장 중요한 일원이었다.

기원과 초기의 삶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1] 트라세아는 유명하고 부유한 집안의 일원이었다. 이 집안이 파타비움에서 왔다는 것은 확실하지만,[2] 그가 그곳에서 태어났는지 로마에서 태어났는지는 알 수 없다. 확실히 그는 파타비움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는데, 만년에는 파타비움의 전통 축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3] 그의 초창기 경력에 대해 확실한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그가 원로원에 입성하는 데 성공한 것은 누구의 영향력으로도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42년까지 카에시나 파에토스(37년 집정관)의 딸인 카에시니아 아리아와 결혼했다.[4] 그 해에 카에시나는 아마도 공화국을 회복하려는 목적으로 클라우디우스에게 대항한 스크리포니아누스의 반란에 연루되었다. 플리니 편지에 계정이 보존된 딸 판니아에 따르면 트라세아는 시어머니 아리아와 함께 남편과 함께 자살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실패했다고 한다. 트라세아가 자신의 이름을 페에토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아마도 카에시나 페에토스가 죽은 후였을 것인데, 그것은 사위치고 황제의 적과의 관계를 광고하는 매우 특이한 조치였다.

우리는 초서체의 하위계급을 통한 트라세아의 진행 연대기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적어도 클라우디우스 집권 초기에는 그의 정치 경력이 정지 상태였다는 것은 가능하지만 결코 확실하지 않다. 같은 해 취임에 앞서 있었던 네로의 고문 세네카의 영향 때문인지 그는 네로 휘하의 11월부터 12월[5] 56일까지 집정관을 맡았다. 이 일이 있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어느 날, 그는 여전히 quindecimvir sacris fasiundis라는 존칭 제사를 받을 만큼 충분히 호의적이었다.[6] 집정관이 될 무렵 그는 사위 헬비디우스 프리쿠스의 중요한 정치적 동맹도 얻었다.[7]

트라세아가 유명해진 것은 법률가들의 활동에 의해 도움을 받았을 것이라는 몇몇 징후들이 있다.[8] 52년과 62년 사이의 어느 시점(영사직의 이전이나 그 후가 명확하지 않은지)에 그는 아마 어느 정도 지방 지사를 지냈을 것이다; 이것은 젊은 시인이 그의 사위와 '해외에 여행했다'는 페르시우스의 생애의 성명이 함축이다. 상원의원들은 보통 단순히 재미로 이탈리아 외곽을 여행하지는 않았다.

네로 휘하의 정치 활동

57년, 트라세아는 고인이 된 코수티아누스 카피토 총독을 갈취죄로 고발한 원인을 지지했고, 검찰은 그의 영향력에 의해 대체로 성공했다.[9] 그러나 타키투스가 실록에서 그를 처음 언급한 것은 다음 해와 관련이 있는데, 그 해 그는 상원에서의 일상적인 동의에 반대하여 말함으로써 친구들과 적을 놀라게 했는데, 시라쿠스인들이 그들의 게임에서 법정 검투사의 수를 초과하라는 요청이었다.[10] 타키투스가 (익명) '추심자'에게 귀속하는 이것에 대한 반대는 정확하다면, 트라세아가 이미 현상유지에 대한 반대와 상원의원적 자유의 이상에 대한 헌신에 대한 평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친구들에게 트라세아는 자신이 실제 상황을 알지 못한다고 설명했지만, 사소한 일에 주의를 기울인 사람들이 더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넘어가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원로원에 이해시켰고, '그런 문제들에 대한 진짜 토론이 허용된다면'과 같은 문구를 무언가에 남겨두었다.

이듬해 봄, 그는 먼저 아그리피나의 살인을 정당화하는 황제의 편지가 읽혀진 후 네로의 행동과 원로원의 아첨에 대한 혐오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냈고, 네로를 축하하는 다양한 동작들이 제안되었다. 상원 절차는 각 개인에게 차례로 그 동의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도록 요구했고, 트라세아는 '무엇을 할 것인지 말할 수 없고, 할 수 있는 것을 말할 수 없기 때문에' 회의장에서 걸어나가는 것을 선택했다(다이오).[11]

62년 네로에 대한 욕설시를 썼던 프레이토 안티스티우스 소시아누스는 최근 장인인 티겔리누스의 영향으로 원로원에 복권된 트라세아의 오랜 원수 코수티아누스 카피토에게 마에스타 혐의로 고발당했다. 트라세아는 사형선고를 내리자는 제안에 반대했고 그러한 범죄에 대한 적절한 법적 처벌은 망명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견해는 다수의 동의를 얻었고, 투표할 때 영사들이 상의했던 네로의 명백한 불리한 반응에도 불구하고 결국 통과되었다. 네로가 안티스티우스를 사형에 처하도록 의도했는지, 아니면 많은 사람들이 믿었던 것처럼, 원로원이 사형제도에 반대표를 던진 것은 분명히 그의 계획에 심각한 어긋난 것이었다.[12]

같은 해 원로원에서 열린 크레탄 클라우디우스 티마르쿠스 재판에서도 피고는 크레타의 프로콘술사가 지방의 감사를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는 자신의 권한에 있다고 여러 차례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라세아는 그러한 감사 표의 금지에 의해 그러한 폐해를 막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다시 한 번 다수를 업었지만, 영사들이 황제의 견해를 확인할 때까지 노나투스 컨설턴트가 통과되지 않았다.[13]

이듬해에는 트라세아에 대한 네로의 불쾌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안티움에서 황제에게 딸이 태어났을 때 원로원은 축하의 뜻을 표하기 위해 한 덩어리로 들어갔지만, 트라세아는 네로로부터 명백히 제외되었다.[14] 황제 쪽에 대한 그러한 '우정의 언행'은 보통 희생자의 죽음의 서막이었지만, 의외로 네로는 카피토의 장인으로서 트라세아의 제거를 염원할 강력한 동기가 있다고 추정할 수 있는 티겔리누스와의 세력 역학관계 변동 때문인지 이 시점에서 마음이 변한 것 같다. 네로가 세네카에게 트라세아와 화해했다고 말하자 세네카는 그의 관용을 칭찬하기보다 소중한 우정을 되찾은 것을 축하했다고 한다.[15]

그러나 이 무렵부터 트라세아는 정치 생활에서 물러났다. 정확히 언제 그는 이 결정(타키투스을 거라고 Capito가 66개에 달하는 그는 하지만 그에 항의할 사항들을을 거라고 Capito가의 목록이 명확하고 아마도 신뢰할 수 없는 논쟁이 될 것은 senate-house'[16]을 입력하지 않고 3년 'for라고 하는 거) 해도 우리는, 이러한 표변이 왜 일어나촉매이지만 의도가 된 것과, itsel로 이해하는 것은 명백했습니다 알지 못한다.f는 특히 이전에 상원의원 사업에 그렇게 부지런히 자신을 적용했던 사람으로부터 나온 정치적 행동; 그것은 항의의 궁극적인 형태였다. 이 기간 동안, 트라세아는 계속해서 그의 고객들의 이익을 돌보았다. 그가 카이사르에 대한 상원의원적 자유의 옹호자를 칭송했던 <카토의 생애>를 쓴 것도 아마 이 시기였을 것이며, 카이사르와도 스토이즘에 관심을 같이 했다. 지금 잃어버린 이 작품은 젊은 카토에 대한 플루타르크의 삶의 주요 원천이었다.[17]

재판과 죽음

66년, 코수티아누스 카피토는 마침내 네로에게 트라세아에 맞서 움직이도록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네로는 아르메니아 왕 티리다테스가 로마를 방문하는 동안 행동함으로써 트라세아에 대한 자신의 공격과 바랴 소라누스에 대한 동시 공격을 '베리를' 바랐을지도 모른다; 어떤 일이 있어도 그는 트라세아를 티리다테스의 영접에서 배제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했다. 아마도 타키투스의 제안대로 그를 당황하게 하여 어떤 종류의 복종에 이르게 하고 싶었지만, 트라세아의 반응은 단지 자신에 대한 혐의가 무엇인지를 묻고 방어 준비를 위한 시간을 요구하는 것이었을 뿐, 즉 그에 대한 소송절차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었다. 카피토가[18] 주장한 일부 뒷받침 증거(황제의 천자성명에 희생하지 않는 등)의 기괴한 성격으로 판단한다면 이는 사실일 가능성이 높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판은 상원에서 열렸다. 트라세아는 친구들과 상의한 끝에 불참을 결정했다. 그는 또한 호민관의 하나인 젊은 아룰레누스 루스티누스의 제안을 거절하고, 그러한 행동은 단지 자신의 호민관의 생명을 구하지 않고 위태롭게 할 뿐이라고 말했다.[19]

재판 당일 원로원의 회의장소는 프레이토리아 근위대의 무장괴한들에게 둘러싸여 있었다. 네로의 편지 한 통이 낭독되었는데, 이름은 없고 공적인 의무를 소홀히 한 원로원 의원들을 탓하는 내용이었다. 그 후 카피토는 트라세아에 반대 입장을 밝혔고, 이어 타키투스가 보다 효과적인 연설자로 간주하는 에프리우스 마르첼로스가 그 뒤를 이었다. 국방을 위한 연설은 언급되지 않고 있다; 상원의원들은 '죽음의 자유로운 선택'(자유로운 모티스의 중재) 즉, 자살 명령의 형태로 사형에 투표하는 것 외에는 대안이 거의 없었다. 이와는 별도로 바랴 소라누스와 그의 딸 세르빌리아도 사형을 선고받았으며, 트라세아와 함께 사위 헬비디우스 프리스크와 동료 파카니우스 아그리피누스커티우스 몬타누스도 사형을 선고받았다.[20]

이 소식이 그의 교외 별장에 있는 트라세아에게 전해지자, 그는 침실로 물러가 두 팔의 혈관을 벌렸다. 사형선고를 받은 피고인을 보기 위해 전화한 그는 자신의 피를 흘린 것을 자유를 주는 아이유피터 라이베이터인 쥬피터에게 가담한 것이라고 밝혔다. 타키투스의 살아남은 본문은 트라세아가 그날 이전에 함께했던 사이닉 철학자 데메트리오스를 연설하려던 순간 끊어진다. 그의 죽음은 고통스럽고 길었지만 소크라테스와 카토의 죽음에 대한 암시를 담고 있었고, 그의 전기 작가 아룰레누스 루스쿠스에 의해 분명히 제시되었고, 아마도 스스로 건설하여 위엄 있고 침착하며 인간적인 최후의 모델로 삼았을 것이다.[21]

대중문화에서

  • 스라세아는 노벨상 수상자인 헨리크 시엔키에비츠가 쓴 1895년 소설인 《Causion Vadis》에 언급되어 있다.
  • In the second chapter of Marguerite Yourcenar's 1951 novel, Memoirs of Hadrian, the emperor alludes to Thrasea's composure in the face of death when he muses, “If ever I am to undergo torture (and illness will doubtless see to that) I cannot be sure of maintaining the impassiveness of a Thrasea, but I shall at least have the resource of resigning m내 울음소리에 너 자신을 맞추어라."

메모들

  1. ^ 디오 62.26.1
  2. ^ 타키투스, 안날레스 16.21, 디오 62,26,4
  3. ^ 타키투스, 안날레스 16.21, 디오 62,26,4
  4. ^ 어린 플리니스트, 에피스툴레, 3.16.10
  5. ^ 주세페 카모데카, "나는 위로한다 55–56 e unnuovo collega di seneca 위로: P. Cornelius Dolabella (TP.75 [=1401 +135)], Zeitschrift für Papydr und Epigrapik, 63 (1986), 페이지 201–215)
  6. ^ 타키투스 안날레스 16.22.1
  7. ^ 타키투스, 히스토리 4.5; 안날레스 13.28
  8. ^ 예를 들어 플리니 에피스툴레 6.29.1, 플루타르크 모랄리아 810a, 타키투스 안날레스 14.48, 16.24는 상당한 법적 경험과 전문성을 제시한다.
  9. ^ 타키투스, 안날레스 16.21
  10. ^ 타키투스, 안날레스 13.49
  11. ^ 디오 62.15.2, cf. 타키투스, 안날레스 14.12.
  12. ^ 타키투스, 안날레스 14.48-9; 트라세아는 황제보다는 원로원이 보여준 자비심인 공공의식(Publica clementia)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3. ^ 타키투스, 안날레스 15.20-2
  14. ^ Romm, James (December 2014). Dying Every Day (First ed.). New York: Vintage Books. p. 290. ISBN 978-0-307-74374-9.
  15. ^ 타키투스, 안날레스 15.23
  16. ^ 타키투스, 안날레스 16.22
  17. ^ J. 가이거, 'Munatius Rufus and Thrasea Paetus on the Cato, 57 (1979년), 페이지 48-72를 참조하라.
  18. ^ 타키투스(Annales 16.22)는 네로와의 사적인 대화로서 트라세아에 대한 카피토의 경우를 대표하지만, 이 장의 근거는 아마도 원로원에서의 연설이었을 것이다.
  19. ^ 타키투스, 안날레스 16.25-6
  20. ^ 타키투스, 안날레스 16.27-9, 33
  21. ^ 타키투스, 안날레스 34-5; 디오 62.26.4

고대의 출처와 추가 읽기

  • See Tacitus, Annals 13. 49, 14. 12, 48, 15. 20–22, 16. 21–35, containing a full account of his trial and condemnation, Histories, 2. 91, 4. 5; Pliny the Younger, Letters 3.16.10, 6.29.1-2, 8.22.3; Dio Cassius 61. 15, 62. 26; Juvenal, Satire 5. 36 with scholia.
  • R. Syme, 'A Political Group', 로마 논문 7편 568–87; C. 비르주브스키, Libertas as a Political Idea in the Loma, Libertas in the Loma, Cambridge 1950; P.A. Brunt, "Stoism and the Principate", PBSR, 43 (1975) 7-35; V. 루디치, 1993년 런던 네로 휘하의 정치적 반대; O. Devillers, 'Le r desle des passes a Trasea Paetus dans les Annales de Tacite', 네로니아 6세(Brussels 2002, Collection Latomus 268) 296–311; W. 투르핀, '타시투스, 스토익의 예시, 프리큐푸스 무누스 안날리움', 고전고대 27(2008) 359-404; T. E. 스트렁크, '바보 같은 시인의 생명을 구하라: 마르쿠스 레피두스에 대한 타키투스, 트라세아 페에투스, 그리고 공국 통치하의 정치적 행동인 실렉타 클라스리카 21 (2010) 119–139.
  • Chisholm, Hugh, ed. (1911). "Thrasea Paetus, Publius Clodius" .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26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정치국
선행자영사로서. 로마 제국영사 수용
56
루시우스 뒤비우스 아비토스와 함께
성공자보통영사로서.